KR20140045472A - 다단식 카본파이프로 구성된 고지작업구용 샤프트 - Google Patents

다단식 카본파이프로 구성된 고지작업구용 샤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5472A
KR20140045472A KR1020140024853A KR20140024853A KR20140045472A KR 20140045472 A KR20140045472 A KR 20140045472A KR 1020140024853 A KR1020140024853 A KR 1020140024853A KR 20140024853 A KR20140024853 A KR 20140024853A KR 20140045472 A KR20140045472 A KR 20140045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haft
carbon
carbon pipe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6312B1 (ko
Inventor
정혜원
Original Assignee
정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혜원 filed Critical 정혜원
Priority to KR1020140024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312B1/ko
Publication of KR20140045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5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00Hand-cutting implements for harvesting
    • A01D1/02Scyt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00Hand-cutting implements for harves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95De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탄소섬유복합재료 시트를 뿌리부분이 넓고 끝부분이 좁은 테이퍼 형상으로 말아서 성형한 카본파이프(10)와 상기 카본파이프(10)의 끝부분 외주면에 부착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파이프조인트(20), 그리고 상기 카본파이프(10)의 뿌리부분 외주면 위에 형성된 고무코팅층(12)을 포함하여 구성된 샤프트유닛(30)과 이를 다수 연결 구성한 고지작업구용 샤프트가 개시된다. 카본파이프(10)의 뿌리부분 외주면과 상기 고무코팅층(12) 사이에는 탄소섬유 복합재료 시트를 일정 간격으로 분할하여 테이핑 접착한 다수의 테이핑돌기(11)가 더 형성되며 돌기들은 적당한 변형력을 가진 고무코팅층(12)과 결합될 때 파이프의 뿌리로 갈수록 넓은 면적에서 적게 압착되고 덜 비틀리며, 파이프의 끝으로 갈수록 좁은 면적에서 많이 압착되면서 많이 비틀리는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매우 넓은 띠폭의 되밀림 방지 지지면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알루미늄 압출파이프보다 훨씬 경량이며 고강도 재질인 카본파이프를 고지작업도구용 자루로 사용가능하고, 또한 고지작업 중에 샤프트를 앞으로 미는 동작을 취했을 때에도 인출된 카본파이프가 안으로 되밀려 들어가지 않아 매우 높은 상품성을 가진 고지작업구용 샤프트가 구현된다.

Description

다단식 카본파이프로 구성된 고지작업구용 샤프트{Carbon multistage pipe shaft which is used for high ground work tools}
본 발명은 낚시대나 텐트폴대 용도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던 고강도 카본파이프를 특이한 목적으로 재 설계하여 새로운 용도로 발전시킨 고지작업도구용 멀티스테이지 샤프트(다단식 자루)에 관한 것이다.
나뭇가지를 자르거나, 열매를 수확하거나, 기타 나무 위에 올라가서 작업중인 작업자를 보조하기 위해 긴 장대모양의 자루(shaft)에다 고지(高地) 작업에 최적화된 맞춤형 장비를 달아 사용하는 도구를 고지작업구라 한다. 대표적으로 고지톱, 고지가위 등이 있으며 예를 들어 고지톱의 톱몸체는 톱질과정에서 높은 곳의 나뭇가지를 지속적으로 물고 있을 수 있도록 끝이 구부러진 모양으로 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2.7m~5.5m의 길이범위를 갖는 고지작업구는 강한 압축력, 인장력, 심한 굽힘 등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며, 작업자가 지면에 서서 도구를 위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장시간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능률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경량 고강도의 재질로 만들어져야 한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알루미늄제 고지작업구용 샤프트는 관이음매의 구조상 다단화가 어렵고 길이 5m를 넘었을 때 무게가 상당하여 작업자가 휴대, 조작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같은 무게로 샤프트를 좀 더 길게 만들거나, 같은 길이에서 자루를 좀 더 가볍게 만들기 위해 낚시대 등에 쓰이는 카본파이프를 샤프트소재에 적용하는 방법을 일견 생각해 볼 수 있다.
탄소섬유 복합재료로 된 관을 의미하는 카본파이프는 알루미늄관보다 더 가볍게 만들 수 있으므로 매우 매력적인 소재이나 실제로 다단식 파이프로 제작하면 낚시대처럼 단순히 뽑히지 않는 구조로 만들기는 쉬워도, 뽑힌 상태에서 밀었을 때 되밀려 들어가지 않는 구조로 만들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카본파이프는 카본 시트지를 여러겹으로 단단히 말아서 굳히는 제조 공정상 밑둥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테이퍼타입 파이프(원뿔형 관) 형상이기 때문에 고정장치를 만들기가 쉽지 않고, 또한 일단 경화되고 나면 프레스가공이 먹히지 않는 카본소재의 특성상 관 이음매를 복잡하고 섬세한 구조로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이유로 현재 거의 모든 고지작업도구용 자루는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이 알루미늄 압출식 파이프로 제작되고 있으며 기타 되밀림 방지구조를 갖는 샤프트 중 가정용 청소도구나 기타 인출식 폴대 등 일부만이 성형성이 좋은 PVC관으로 제작되고 있다.
결국 금속재질인 알루미늄 압출파이프의 길이제한과 무게 그리고 관이음매 구조의 헐거움 때문에 고지작업구용 자루는 보통 3m 전후의 길이와 3단 내외의 연장관 단수가 주로 사용되며 그 이상의 길이와 단수에서는 원활한 사용이 어려웠던 한계가 있었다.
한국등록실용 20-0131365 텐트 폴의 길이조절용 조인트 한국등록실용 20-0437730 진공청소기용 연장관 한국공개특허 10-2004-0019706 텐트용 폴의 연결부 보강구조 한국공개실용 20-2010-0005265 고정된 배관 파이프 연결구 한국공개실용 20-2011-0011891 신축성 텐트 폴의 슬라이딩 장치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이하에 설명되는 구체적인 기술적 난제를 해결하여 카본파이프 재질의 고성능 다단 인출식 샤프트를 구현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단식 알루미늄 압출관은 정밀한 형상으로 압출가공이 가능할 뿐 아니라 압출된 후에도 간단한 프레스가공으로 원하는 형상을 추가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고지작업도구의 특성상, 다단식 파이프가 뽑혀진 상태에서 톱질 등을 할 때 인출된 파이프가 되 밀려 들어가지 않도록 다양한 연결부 고정구조(예를 들면 스프링핀 방식의 고정핀 구조 등)를 형성하기 쉽다. 그러나 위에서 예로 든 스프링핀 방식은 양쪽 관의 이음매 전체를 일체로 단단하게 고정하기 어려워 흔들거림이 심하고 장기간 사용시 고정핀과 핀홀 부위가 마모되거나 벌어져서 점차 그 기능을 상실하는 단점이 있다.
이 같은 단점은 진공청소기용 흡입관 등에 널리 쓰이는 클램프(톱니집게) 고정방식의 자루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여러 선행기술 문헌을 살펴보면 연장식 지지관의 가장 기초적인 구조로서 관의 양단을 암수 구조로 만들어 끼우고, 그같이 끼워진 단턱부에서 서로 버티게 하는 구조가 있으며(문헌 3), 파이프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걸림턱을 만들고 클램프가 물리면서 되밀려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구조가 있다(문헌 2). 그러나 이 구조들은 잡아 뺐을 때 쉽게 빠지거나, 클램프의 부피로 인해 전체 굵기가 두꺼워지므로 삼림지대를 다니며 휴대하는 작업도구에 적합한 구조는 아니다.
다른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적용될만한 구조로서 양쪽 인출관(인접하는 겉관과 속관)의 결합부 양쪽에서 나사를 조여 단단히 압박하는 구조가 있으며(문헌 1), 여기에 추가로 고무링을 나사조임부 중간에 삽입하여 조임압박에 의한 마찰력을 높이는 구조가 있다(문헌 4). 물론 앞서 설명한 스프링핀 구조(문헌 5)도 필요에 따라 이용된다.
그러나 스프링핀 구조나 클램프 구조 등 카본 파이프에 효과적 적용이 어려운 것들은 차치하고라도, 추가로 소개한 나사조임 구조 역시 직선 원통형 파이프 구조, 즉 알루미늄 압출관 구조로 된 고지작업 샤프트에만 적합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알루미늄 압출관과 같이 단위 파이프 양단의 지름이 균일한 직선 단면형 관이 아니라면 양단 결합을 분리하여 접었을 때, 외측 나사조임링이 헐렁해지면서 놀게 되어 자루에서 빠지게 될 뿐 아니라 이를 샤프트 안쪽으로 수납하기도 불가능하여 자루를 접었을 때 길이가 과도하게 길어지기 때문이다.
이같은 이유로 현행 고지작업도구용 샤프트는 알루미늄 압출관의 두께와 강도, 무게를 고려하여 샤프트의 길이는 4미터를 넘지 않고 전체 연장관의 단수는 3단 내외로 설정되고 있다.
한편 위와 같은 양쪽 나사조임식 구조를 카본 파이프에 그대로 적용한다면 카본 파이프의 장점을 살릴 수 없음은 물론이며, 공정상 테이퍼진 형상으로만 제조되는 카본 파이프에는 실질적으로 적용되기도 어렵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카본파이프는 알루미늄관보다 좀더 가볍고 얇게 만들 수 있으므로 매우 매력적인 소재이나, 카본 시트지를 여러겹으로 말아서 단단히 굳히는 제작방법의 특성상, 말려진 시트관을 맨드릴(고정봉)에서 빼내기 위해서 끝이 점점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이 필수적이다. (대략 0.3도~1.2도의 오무림각도를 갖는 테이퍼 형상)
이 같은 테이퍼 형상으로 인해, 우리가 즐겨 사용하는 카본 낚시대는 인출된 상태에서 속관이 겉관 안으로 되밀려 들어가기는 쉬워도 속관 전체가 겉관에서 완전히 뽑혀 분리되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핵심 기술과제는 고지작업도구용 자루로서 경량 고강도의 카본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고지작업행위 중에 샤프트를 앞으로 미는 동작을 취했을 때에 인출된 파이프가 안으로 되밀려 들어가는 카본 연장관의 기술적 약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핵심 기술과제는 샤프트의 관이음매 구조로서 강도가 약한 고정핀 방식이 아닌 나사조임 방식 구조를 채택한 알루미늄파이프 샤프트와 비교할 때에도 인출 수납조작이 지극히 편리하고 신속한 편리한 카본파이프 샤프트를 구현하는 것이다.
상술한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아래에 기술되는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과 이를 뒷받침하는 도면에 상세히 기술되었다.
아래 구체적인 내용을 기술하기에 앞서 본 발명 해결수단의 기술적 착안 포인트를 설명하자면, 우선 종래 낚시대와 유사하게 테이퍼관 형상인 카본파이프(10)를 단위 샤프트유닛(30)으로 사용하는 것은 같으나, 뿌리로 갈수록 넓어지는 단점을 독특하고 고유한 착안으로 극복한 것이 핵심이다.
보통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뿌리로 갈수록 넓어지는 테이퍼관을 다단식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속관을 인출하여 강하게 잡아당기는 과정에서 겉관의 끝부분이 금가서 벌어지는 파손이 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먼저 이를 막기 위해 (겉관이 되는) 카본파이프의 끝부분에 단단한 금속재질의 파이프조인트(20)를 접착시켜 다음 속관이 되는 카본파이프의 뿌리부분에 의해 겉관 끝부분의 오무림이 벌어지면서 파손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였다. 이 과정에서 금속관과 카본파이프관의 접착은 석분(돌가루)을 첨가한 전용 접착제로 단단히 부착 결합된다.
다음으로, 뿌리로 갈수록 넓어지는 테이퍼관은 사용 전에 일단 강하게 당겨 빡빡하게 고정하였다 하더라도 끝을 살짝 밀면 쉽게 되밀려 들어가기 마련이다. 이래서는 높은 나뭇가지에 고지톱을 물어두고 톱질하기가 어려우며, 수확된 열매를 매달아 내릴 때 그 무게를 버텨내기도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절삭이나 프레스 등 복잡한 형상 가공이 어려운 카본파이프의 소재특성을 고려하여 깎아내거나 찌그러뜨리는 가공이 아닌, 덧테이핑(tape adding)과 코팅(coating) 공정을 유기적으로 조합하여 고지작업도구용 샤프트에 적합하도록 연결부의 되밀림 방지구조를 고안하였다.
일차적으로 카본파이프(10)의 외주면에 고무를 코팅한 고무코팅층(12)을 형성시켜 압착에 대한 여유와 함께 높은 마찰력에 의한 강한 지지구조가 형성되게 하였다. 이 같은 구조는 휨이 적은 알루미늄 테이퍼관에서는 사실상 별 효과가 없으나 적당한 휨을 가진 카본 테이퍼관에서는 높은 효과를 갖는다.
추가적으로 고무코팅층(12) 안쪽에 형성시키는 테이퍼돌기(11)는 본 발명에서 기술적 특징이 가장 집약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작업공정은 프레스가공이 어려운 카본파이프에 간단한 분할 테이핑으로 효율적인 돌기가공을 한 다음, 이것을 고무코팅액에 담갔다가 꺼내서 굳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적당한 변형력을 가진 고무코팅층(12)과 그보다 더 작게 변형되는 테이핑돌기가 결합되면서 고무돌기 층 요철부의 의도된 변형, 즉 카본파이프의 뿌리로 갈수록 넓은 면적에서 적게 압착되고 덜 비틀리며, 끝으로 갈수록 좁은 면적에서 많이 압착되면서 많이 비틀리는 의도된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극히 일부 영역에서 얇은 띠 모양으로 선 접촉만 가능한 전통적인 테이퍼관의 관이음매 구조와 달리, 상술한 특유의 돌기변형으로 매우 넓은 띠폭(실질적인 면 접촉)의 되밀림 방지 지지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카본 연장관식 샤프트(자루)는 인출,수납이 쉽고 경량고강도의 샤프트를 구성할 수 있어 사람이 들고 사용하는 고지작업도구용 지지대로서 낚시대의 장점과 나사체결식 파이프의 장점을 합친 듯한 매우 뛰어난 상품성을 발휘한다.
도 1~2는 본 발명 샤프트의 최대 인출상태를 나타낸 외형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샤프트의 측면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샤프트의 유니트별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샤프트에서 금속부품(고무링포함)을 따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샤프트의 파이프조인트 결합정렬상태와 단위 샤프트유닛을 나타낸 단면도
도 7~8은 본 발명 샤프트의 각 샤프트유닛 뿌리부분 테이퍼지지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개념적 구조도(비현실적 확대도면)
도 9는 본 발명 샤프트의 실 제작품 촬영사진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을 기술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하여 도면에 포함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아래에 설명될 실시예에서 특정 전문용어로 표현된 구성요소들과 이들의 결합구조가 본 발명에 포괄적으로 내재된 기술사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바탕으로 본 발명 샤프트의 전체적인 구조를 살펴본다.
여타의 고지 작업구용 샤프트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는 단위 샤프트유닛(30)이 복수 개 연결되어 다단식으로 인출되고 수납되는 구성은 같다.
도 4는 전체 분해사시도인데, 샤프트유닛(30)의 범위를 정의해 둔 것을 알 수 있다. 기본적으로 하나의 샤프트유닛(30)은 도면부호 10~20번대의 구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었다.
도면에서는 미세한 테이퍼 각도를 도시하기 어려워 실질적으로 직선형 파이프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샤프트유닛(30)은 기본적으로 탄소섬유복합재료 시트를 뿌리부분이 넓고 끝부분이 좁은 테이퍼 형상으로 말아서 성형한 카본파이프(10)와 상기 카본파이프(10)의 끝부분 외주면에 부착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파이프조인트(20), 그리고 상기 카본파이프(10)의 뿌리부분 외주면 위에 형성된 고무코팅층(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샤프트유닛(30) 중 맨 끝에 연결되는 샤프트유닛(30)에는 상기 파이프조인트(20) 대신에 작업구마운트(40)를 부착 결합된다. 또한 작업구마운트(40)에는 작업구고정핀(41)을 사용하는 고지작업구(50)가 추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가장 뿌리쪽에 연결되는 샤프트유닛(30)의 밑둥에는 웨이트캡(60)으로 마감하여 작업자가 다루기 좋은 무게균형을 유지한다.
도 6은 본 발명 샤프트의 파이프조인트 결합정렬상태와 단위 샤프트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파이프조인트(20)의 외주면 일부에는 상기 카본파이프(10)의 뿌리 쪽으로 사각나사 타입의 수나사산(21)이 형성되고, 파이프조인트(20)의 내주면 일부에는 상기 카본파이프(10)의 끝 쪽으로 사각나사 타입의 암나사산(22)이 형성되며, 인접한 두 개의 파이프조인트 간 수나사산과 암나사산은 서로 같은 반지름으로 꼭 들어맞게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사각나사, 즉 나사산 모양의 단면이 사각으로 된 나사는 원활한 동력전달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결합체결력이 약해 주로 기계구동용 나사로 쓰이며, 본 발명과 같은 지지용 샤프트에는 잘 쓰이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인출 및 수납조작을 빠르고 쉽게 하면서 부드러운 작동감과 고급감을 살리기 위해 사각나사를 채택하였다. 이로 인해 작업환경에서의 먼지유입이 있어도 삼각나사에 비해 먼지배출이 쉽다.
사각나사의 떨어지는 체결력을 보완하기 위해 암나사산(22)이 형성된 부분의 외주면과 상기 수나사산(21) 사이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인접한 두 개의 파이프조인트 간 사각나사결합 고정을 위한 고무링(23)이 끼워진다.
도 7~8은 본 발명의 핵심 기술사상이 보다 잘 이해되기 위해 비현실적으로 과장, 왜곡한 확대도면(개념도)이다. 도면에서 각 샤프트유닛 뿌리부분 테이퍼지지구조를 살펴보면, 샤프트유닛을 이루는 중심소재 중 하나인 카본파이프(10)의 뿌리부분 외주면과 그 위에 코팅되는 고무코팅층(12) 사이에는 탄소섬유 복합재료 시트를 일정 간격으로 분할하여 테이핑 접착한 다수의 테이핑돌기(11)가 더 형성된다.
테이핑돌기(11)는 상기 암수나사산(22,21)과 같은 조임방향을 갖는 나사산 형태로 형성되거나(도 7에 도시) 또는, 상기 카본파이프(10)의 뿌리 쪽에서 끝 쪽으로 갈수록 돌기 폭이 좁아지면서 돌기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도 8에 도시)된 것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파이프조인트(20)를 풀어내는 동작에서 샤프트유닛을 팽팽하게 잡아당겨 조이면서 회전방향이나 회전조임감각이 전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쾌적한 조작감을 느낄 수 있으며, 강력한 조임을 자연스럽게 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샤프트유닛을 팽팽하게 잡아당길 때 폭과 높이가 변화된 테이핑돌기에 의해 그 위에 코팅된 고무코팅층의 변형량이 달라진다. 이 때문에 이론적으로 선 접촉에 가까운 테이퍼관 양단접촉이 면접촉에 가깝게 변화되면서 되밀림 방지 지지력이 대폭 상승하는 것이며, 지지면의 초기 변형량이 충분하므로 최초 접촉면이 떨어지거나 미끌리지 않게 된다. 이는 카본파이프 특유의 탄성에 의해 약간의 휨이 동반되면서 더욱 효과적인 지지력이 유지되며 톱질과 같은 고지작업을 할 때 장시간 샤프트를 다시 매만지지 않아도 효과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해 준다.
이로써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도 9의 실제작품 사진을 참조하면 카본파이프에는 은색코팅지로 마감하고, 파이프 조인트를 검정색으로 마감하여 마치 알루미늄 샤프트와 유사한 느낌을 내고 있으나 알루미늄제 샤프트에서 금속부분은 비닐코팅지로 플라스틱 부품은 금속부품으로 대체되어 매우 고급스런 느낌을 준다. 더구나 이러한 마감이 단지 고급감을 늘리기 위한 불필요한 원가상승 부분이 아니라 실제 제품성능에 기술적으로 기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상품성과 가격경쟁력은 더욱 커질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활용하여 필요에 따라 명세서 및 도면에 미처 포함되지 않은 단순 변경 또는 간단 확장된 기술사상을 구현할 수도 있겠으나, 그 또한 이하의 청구범위로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범주에 당연히 포함된다.
본 발명은 사람이 들고 사용하는 모든 용도의 중공 파이프에 최적화된 기능성을 보유하며, 적절한 구조개선이 이루어졌을 때 휴대용 미니 청소기의 흡입관으로도 이용 가능하다.
10: 카본파이프
11: 테이핑돌기
12: 고무코팅층
20: 파이프조인트
21: 수나사산
22: 암나사산
23: 고무링
30: 샤프트유닛
40: 작업구마운트
41: 작업구고정핀
50: 고지작업구
60: 웨이트캡

Claims (4)

  1. 단위 샤프트유닛(30)이 복수 개 연결되어 다단식으로 인출되고 수납되도록 구성한 고지 작업구용 샤프트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유닛(30)은 탄소섬유복합재료 시트를 뿌리부분이 넓고 끝부분이 좁은 테이퍼 형상으로 말아서 성형한 카본파이프(10)와 상기 카본파이프(10)의 끝부분 외주면에 부착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파이프조인트(20), 그리고 상기 카본파이프(10)의 뿌리부분 외주면 위에 형성된 고무코팅층(1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샤프트유닛(30) 중 맨 끝에 연결되는 샤프트유닛(30)에는 상기 파이프조인트(20) 대신에 작업구마운트(40)를 부착 결합하여 고지작업구(50)가 추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고지작업구용 샤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파이프(10)의 뿌리부분 외주면과 상기 고무코팅층(12) 사이에는 탄소섬유 복합재료 시트를 일정 간격으로 분할하여 테이핑 접착한 다수의 테이핑돌기(11)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작업구용 샤프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핑돌기(11)는 상기 암수나사산(22,21)과 같은 조임방향을 갖는 나사산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카본파이프(10)의 뿌리 쪽에서 끝 쪽으로 갈수록 돌기 폭이 좁아지면서 돌기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작업구용 샤프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조인트(20)의 외주면 일부에는 상기 카본파이프(10)의 뿌리 쪽으로 사각나사 타입의 수나사산(21)이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조인트(20)의 내주면 일부에는 상기 카본파이프(10)의 끝 쪽으로 사각나사 타입의 암나사산(22)이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산(22)이 형성된 부분의 외주면과 상기 수나사산(21) 사이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인접한 두 개의 파이프조인트 간 사각나사결합 고정을 위한 고무링(23)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작업구용 샤프트.
KR1020140024853A 2014-03-03 2014-03-03 다단식 카본파이프로 구성된 고지작업구용 샤프트 KR101596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853A KR101596312B1 (ko) 2014-03-03 2014-03-03 다단식 카본파이프로 구성된 고지작업구용 샤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853A KR101596312B1 (ko) 2014-03-03 2014-03-03 다단식 카본파이프로 구성된 고지작업구용 샤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472A true KR20140045472A (ko) 2014-04-16
KR101596312B1 KR101596312B1 (ko) 2016-02-22

Family

ID=50652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853A KR101596312B1 (ko) 2014-03-03 2014-03-03 다단식 카본파이프로 구성된 고지작업구용 샤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31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365Y1 (ko) 1995-09-13 1998-12-15 이관훈 텐트 폴의 길이 조절용 조인트
KR20040019706A (ko) 2002-08-29 2004-03-06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텐트용 폴의 연결부 보강구조
KR200348717Y1 (ko) * 2004-02-07 2004-04-29 엄종철 낚시 받침대
KR200361910Y1 (ko) * 2004-06-29 2004-09-14 성판원 밀어 절단하는 형식의 전정가위
KR200380427Y1 (ko) * 2005-01-15 2005-03-31 성판원 두 개의 절단부가 형성된 과일수확기
KR200437730Y1 (ko) 2007-02-05 2007-12-26 은성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연장관
KR20100004859U (ko) * 2008-11-01 2010-05-11 김상순 다단식 지팡이
KR20100005265U (ko) 2008-11-13 2010-05-24 오상기 고정된 배관 파이프 연결구
KR20110011891U (ko) 2010-06-18 2011-12-26 배진산업주식회사 신축성 텐트 폴의 슬라이딩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365Y1 (ko) 1995-09-13 1998-12-15 이관훈 텐트 폴의 길이 조절용 조인트
KR20040019706A (ko) 2002-08-29 2004-03-06 연안알루미늄 주식회사 텐트용 폴의 연결부 보강구조
KR200348717Y1 (ko) * 2004-02-07 2004-04-29 엄종철 낚시 받침대
KR200361910Y1 (ko) * 2004-06-29 2004-09-14 성판원 밀어 절단하는 형식의 전정가위
KR200380427Y1 (ko) * 2005-01-15 2005-03-31 성판원 두 개의 절단부가 형성된 과일수확기
KR200437730Y1 (ko) 2007-02-05 2007-12-26 은성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연장관
KR20100004859U (ko) * 2008-11-01 2010-05-11 김상순 다단식 지팡이
KR20100005265U (ko) 2008-11-13 2010-05-24 오상기 고정된 배관 파이프 연결구
KR20110011891U (ko) 2010-06-18 2011-12-26 배진산업주식회사 신축성 텐트 폴의 슬라이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6312B1 (ko) 201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95404S1 (en) Support stand frame extrusion
USD893679S1 (en) Faucet handle
AU2017101790A4 (en) Gardening pillar
US11266227B1 (en) Power driven duster and cleaner apparatus
USD923107S1 (en) Attachment band
US2147356A (en) Contracted sleeve hose coupling
USD966895S1 (en) Pre-form with handle
USD955882S1 (en) Pre-form with handle
USD925707S1 (en) Garden hose
KR20140045472A (ko) 다단식 카본파이프로 구성된 고지작업구용 샤프트
US1743922A (en) Clamp
USD887509S1 (en) Baseball bat with symmetrical rounded knob
CN204985213U (zh) 易拆装的圆管组件
CN204023894U (zh) 钢筋机械接头
USD884837S1 (en) Faucet handle
WO2019212340A3 (en) Nut for a parasol foot and assembly
USD843063S1 (en) Interdental pick
TWI579157B (zh) Bicycle Composites Spokes
CN210519923U (zh) 一种园林用除草叉
CA2632368A1 (en) Quick fastening nut
US8656549B2 (en) Drywall knife with brace
JP2012075745A (ja)
US1083269A (en) Hose-splice.
KR200451953Y1 (ko) 등산지팡이의 길이조절용 조임 장치
USD1026253S1 (en) Extrusion for a glaz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