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147B1 - 과일수확기 - Google Patents
과일수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3147B1 KR101163147B1 KR1020100030249A KR20100030249A KR101163147B1 KR 101163147 B1 KR101163147 B1 KR 101163147B1 KR 1020100030249 A KR1020100030249 A KR 1020100030249A KR 20100030249 A KR20100030249 A KR 20100030249A KR 101163147 B1 KR101163147 B1 KR 1011631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horizontal frame
- vertical
- rod connecting
- cutting bla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47—Manually operated fruit-picking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2—Baskets or bags attachable to the pick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수확기에 관한 것으로서, 파지봉과, 상기 파지봉의 일단에 결합된 폐루프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파지봉을 조작하여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킬 때 상기 프레임의 내부영역에 배치된 과일의 꼭지부분을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절단날을 구비한 절단동작부를 갖는 과일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파지봉의 상단에 고정된 봉연결프레임과, 상기 봉연결프레임에 나란하도록 배치된 수직프레임과, 상기 봉연결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접근하고 이반할 수 있도록 양단이 상기 봉연결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된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에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봉연결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접근하고 이반할 수 있도록 양단이 상기 봉연결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된 하부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동작부는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 중 어느 일방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접근하거나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 중 어느 일방이 상기 봉연결프레임에 접근할 때 탄성력을 축적하도록 양단중 적어도 어느 일방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절단날은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 중 어느 일방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접근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 중 어느 일방이 상기 봉연결프레임에 접근할 때 절단동작이 일어나도록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절단동작부의 구조가 간단하고 절단동작이 용이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과일수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나무가지에 달려있는 과일을 지상에서 수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감, 사과 등과 같이 높은 나무가지에 달려 있는 과일을 사다리를 사용하거나 직접 나무에 올라 수확하는 것은 위험하기 때문에 과일을 안전하게 수확하기 위한 도구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8은 종래의 과일수확기의 사시도이고, 도9는 종래의 과일수확기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과일수확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봉(110)과, 파지봉(110)의 일단에 결합된 폐루프 형태의 프레임(120)과, 프레임(120)에 형성된 절단날(141)을 구비한 절단동작부(140)와, 프레임(120)에 결합된 주머니(135)를 갖고 있다.
파지봉(110)은 연결봉부(111)와, 연결봉부(111)에 결합된 파지봉부(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프레임(120)은 반원보다 약간 큰 원호형태로 형성된 수평프레임부(121)와, 수평프레임부(121)의 종단에 결합된 경사프레임부(122)를 갖고 있다.
절단동작부(140)는 절단날(141)에 더하여 수평프레임부(121)의 중앙영역에 결합된 한 쌍의 밀기동작안내바(142)와, 경사프레임부(122)의 중앙영역에 결합된 한 쌍의 당기기동작안내바(143)를 갖고 있다.
절단날(141)은 밀기동작안내바(142)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수평프레임부(121)에 결합된 밀기동작절단날(141a)과, 당기기동작안내바(143)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경사프레임부(122)에 결합된 당기기동작절단날(141b)을 갖고 있다.
밀기동작절단날(141a)과 당기기동작절단날(141b)은 각각 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절단동작부(140)의 파지봉(110) 당기기동작시 동작을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파지봉(110)을 움직여서 과일이 당기기동작안내바(143)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프레임(120)을 이동시킨다.
다음에 파지봉(110)을 잡아당겨서 과일이 당기기동작안내바(143)의 사이영역 또는 당기기동작안내바(143)의 외측 영역에 진입하도록 프레임(120)을 이동시킨다.
다음에 파지봉(110)을 잡아당겨서 과일의 꼭지부분이 당기기동작절단날(141b)에 의해 절단되도록 프레임(120)을 이동시킨다.
한편 파지봉(110) 밀기동작시 절단동작부(140)의 동작을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파지봉(110)을 움직여서 과일이 밀기동작안내바(142)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프레임(120)을 이동시킨다.
다음에 파지봉(110)을 밀어서 과일이 밀기동작안내바(142)의 사이영역 또는 밀기동작안내바(142)의 외측 영역에 진입하도록 프레임(120)을 이동시킨다.
다음에 파지봉(110)을 밀어서 과일의 꼭지부분이 밀기동작절단날(141a)에 의해 절단되도록 프레임(120)을 이동시킨다.
절단날(141)에 의해 꼭지부분이 절단된 과일은 주머니(135)에 수집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과일수확기는 2009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6809호(고안의 명칭 : 과일수확기의 프레임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과일수확기에 따르면, 과일을 안정적으로 절단날(141)에 접근시키고 절단동작시 과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밀기동작안내바(142)와 당기기동작안내바(143)를 프레임(120)에 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절단동작부(140)의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과일을 절단날(141)로 안내하는 동작과 과일꼭지를 절단하는 동작이 시간차를 두고 일어나기 때문에(과일꼭지의 절단 동작전에 과일을 절단날의 전방으로 이동시켜야 함), 절단동작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과일꼭지의 절단이 일자형태의 절단날(141)에 의한 일방향 가압동작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압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과일이 절단날(141)을 넘어 회동하여(절단날과 과일의 접촉점이 과일꼭지를 기준으로 과일을 반분할 때 한 쪽 영역에만 형성됨) 절단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단동작부의 구조가 간단하고 절단동작이 용이하고 절단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과일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파지봉과, 상기 파지봉의 일단에 결합된 폐루프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파지봉을 조작하여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킬 때 상기 프레임의 내부영역에 배치된 과일의 꼭지부분을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절단날을 구비한 절단동작부를 갖는 과일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파지봉의 상단에 고정된 봉연결프레임과, 상기 봉연결프레임에 나란하도록 배치된 수직프레임과, 상기 봉연결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접근하고 이반할 수 있도록 양단이 상기 봉연결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된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에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봉연결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접근하고 이반할 수 있도록 양단이 상기 봉연결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된 하부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동작부는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 중 어느 일방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접근하거나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 중 어느 일방이 상기 봉연결프레임에 접근할 때 탄성력을 축적하도록 양단중 적어도 어느 일방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절단날은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 중 어느 일방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접근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 중 어느 일방이 상기 봉연결프레임에 접근할 때 절단동작이 일어나도록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수확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절단동작이 용이해지도록, 상기 절단날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측영역과 하측영역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된 수직절단날과,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 중 어느 일방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접근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 중 어느 일방이 상기 봉연결프레임에 접근할 때 상기 수직절단날과 협조하여 절단동작이 일어나도록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에 형성된 수평절단날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보다 적은 힘으로 절단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수직절단날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측영역과 하측영역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고;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봉연결프레임에 분산 형성된 상부고정편 및 상부안내핀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과 상기 봉연결프레임에 분산 형성된 하부고정편 및 하부안내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귀스프링은 코일상의 상부바디부와 상기 상부바디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상부고정암과 상기 상부바디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유(U)자 형태의 상부걸림암을 가지고 상기 상부고정암이 상기 상부고정편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접근할 때 상기 상부안내핀이 상기 상부걸림암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접근할 때 상기 상부안내핀과 상기 상부걸림암이 걸림작용을 하도록 설치되는 상부복귀스프링과, 코일상의 하부바디부와 상기 하부바디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하부고정암과 상기 하부바디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유(U)자 형태의 하부걸림암을 가지고 상기 하부고정암이 상기 하부고정편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접근할 때 상기 하부안내핀이 상기 하부걸림암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접근할 때 상기 하부안내핀과 상기 하부걸림암이 걸림작용을 하도록 설치되는 하부복귀스프링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절단동작시 과일의 이탈을 방지하고 과일꼭지에 대한 절단력이 증가하도록,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은 각각 저면이 상기 봉연결프레임의 상면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봉연결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절단날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절단날은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의 상면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파지봉의 당기기 동작 또는 밀기 동작시 수직프레임과 상부수평프레임 또는 수직프레임과 하부수평프레임이 협조하여 과일을 안정적으로 절단날에 접근시키고 절단동작시 수직프레임과 상부수평프레임 또는 수직프레임과 하부수평프레임에 의해 과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절단동작부의 구조가 간단해진다.
그리고 과일을 절단날로 안내하는 동작과 과일꼭지를 절단하는 동작이 동시에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절단동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양방향 가압동작에 의해 절단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절단동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과일꼭지의 절단이 양방향 가압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압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과일이 절단날을 넘어 튕겨나가지 않게 된다(절단날과 과일의 접촉점이 과일꼭지를 기준으로 과일을 반분할 때 양 쪽 영역에 형성됨). 이에 따라 절단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일수확기의 결합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일수확기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일수확기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일수확기의 단면도,
도5 및 도6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일수확기의 사용방법으로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일수확기의 사시도,
도8은 종래의 과일수확기의 사시도,
도9는 종래의 과일수확기의 단면도,
도10 및 도11은 각각 종래의 과일수확기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일수확기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일수확기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일수확기의 단면도,
도5 및 도6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일수확기의 사용방법으로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일수확기의 사시도,
도8은 종래의 과일수확기의 사시도,
도9는 종래의 과일수확기의 단면도,
도10 및 도11은 각각 종래의 과일수확기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일수확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일수확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일수확기의 평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일수확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일수확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봉(10)과, 파지봉(10)의 일단에 결합된 폐루프 형태의 프레임(20)과, 프레임(20)에 형성된 상부고정편(31), 상부안내핀(32), 하부고정편(33) 및 하부안내핀(34)과, 프레임(20)에 형성된 절단날(41)을 구비한 절단동작부(40)와, 프레임(20)에 결합된 주머니(35)를 갖고 있다.
파지봉(10)은 연결봉부(11)와, 연결봉부(11)에 결합된 파지봉부(12)를 갖고 있다.
프레임(20)은 연결봉부(11)의 상단에 고정된 봉연결프레임(21)과, 봉연결프레임(21)에 나란하도록 배치된 수직프레임(22)과, 양단이 봉연결프레임(21)의 상단과 수직프레임(22)의 상단에 결합된 상부수평프레임(23)과, 상부수평프레임(23)에 나란하도록 배치되도록 양단이 봉연결프레임(21)의 하단과 수직프레임(22)의 하단에 결합된 하부수평프레임(24)을 갖고 있다.
봉연결프레임(21)은 연결봉부(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수평프레임(23)은 회동핀(25)을 통해 봉연결프레임(21)과 수직프레임(22)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부수평프레임(23)은 봉연결프레임(21)과 수직프레임(22)에 접근하고 이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부수평프레임(23)의 결합은 저면이 봉연결프레임(21)의 상면과 수직프레임(22)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하부수평프레임(24)은 회동핀(25)을 통해 봉연결프레임(21)과 수직프레임(22)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하부수평프레임(24)은 봉연결프레임(21)과 수직프레임(22)에 접근하고 이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부수평프레임(24)의 결합은 저면이 봉연결프레임(21)의 상면과 수직프레임(22)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상부고정편(31)은 상부수평프레임(23)의 상면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부안내핀(32)은 봉연결프레임(21)에 결합되어 있다.
하부고정편(33)은 하부수평프레임(24)의 상면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하부안내핀(34)은 봉연결프레임(21)에 결합되어 있다.
절단동작부(40)는 절단날(41)에 더하여 프레임(20)에 설치된 복귀스프링(50)을 갖고 있다.
절단날(41)은 수직프레임(22)의 상측영역과 하측영역에 형성된 수직절단날(41a)과, 상부수평프레임(23)과 하부수평프레임(24)에 형성된 수평절단날(41b)을 갖고 있다.
수직절단날(41a)은 수직프레임(22)의 상측영역 저면과 하측영역 저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수평절단날(41b)은 상부수평프레임(23)의 좌측영역과 하부수평프레임(24)의 좌측 영역 중 수직프레임(22)에 포개지는 지점으로부터 시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부수평프레임(23)과 하부수평프레임(24) 중 어느 일방이 수직프레임(22)에 접근할 때 수평절단날(41b)과 수직절단날(41a)의 협조하에 절단동작이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수평절단날(41b)은 상부수평프레임(23)의 상면과 하부수평프레임(24)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복귀스프링(50)은 상부수평프레임(23)과 봉연결프레임(21)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상부복귀스프링(51)과, 하부수평프레임(24)과 봉연결프레임(21)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하부복귀스프링(52)을 갖고 있다.
상부복귀스프링(51)은 코일상의 상부바디부(51a)와, 상부바디부(51a)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상부고정암(51b)과, 상부바디부(51a)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유(U)자 형태의 상부걸림암(51c)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복귀스프링(51)은 상부고정암(51b)이 상부고정편(31)에 고정되고, 상부걸림암(51c)에 상부안내핀(32)이 가장 깊숙히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하부수평프레임(24)이 수직프레임(22)에 접근할 때 상부안내핀(32)이 상부걸림암(51c)을 따라 이동하고, 상부수평프레임(23)이 수직프레임(22)에 접근할 때 상부안내핀(32)이 상부걸림암(51c)과 걸림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상부안내핀(32)과 상부걸림암(51c)이 걸림작용을 할 때 상부바디부(51a)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하부복귀스프링(52)은 코일상의 하부바디부(52a)와, 하부바디부(52a)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하부고정암(52b)과, 하부바디부(52a)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유(U)자 형태의 하부걸림암(52c)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하부복귀스프링(52)은 하부고정암(52b)이 하부고정편(33)에 고정되고, 하부걸림암(52c)에 하부안내핀(34)이 가장 깊숙히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부수평프레임(23)이 수직프레임(22)에 접근할 때 하부안내핀(34)이 하부걸림암(52c)을 따라 이동하고, 하부수평프레임(24)이 수직프레임(22)에 접근할 때 하부안내핀(34)과 하부걸림암(52c)이 걸림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하부안내핀(34)과 하부걸림암(52c)이 걸림작용을 할 때 하부바디부(52a)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절단동작부(40)의 파지봉(10) 당기기동작시 동작을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파지봉(10)을 움직여서 과일이 수직프레임(22)의 상측영역에 형성된 수직절단날(41a)과 상부수평프레임(23)의 좌측영역에 형성된 수평절단날(41b)의 사이영역에 진입하도록 프레임(20)을 이동시킨다.
다음에 파지봉(10)을 잡아당겨서 과일의 꼭지부분이 수직프레임(22)의 상측영역에 형성된 수직절단날(41a)과 상부수평프레임(23)의 좌측영역에 형성된 수평절단날(41b)에 의해 절단되도록 수직프레임(22)과 상부수평프레임(23)을 접근시킨다. 여기서 수직프레임(22)과 상부수평프레임(23)이 접근할 때 상부바디부(51a)에 탄성력이 축적되고, 하부안내핀(34)은 하부걸림암(52c)을 따라 이동한다.
과일의 꼭지부분이 절단되면 상부바디부(51a)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수직프레임(22)과 상부수평프레임(23)은 이반한다.
한편 파지봉(10) 밀기동작시 절단동작부(40)의 동작을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파지봉(10)을 움직여서 과일이 수직프레임(22)의 하측영역에 형성된 수직절단날(41a)과 하부수평프레임(24)의 좌측영역에 형성된 수평절단날(41b)의 사이영역에 진입하도록 프레임(20)을 이동시킨다.
다음에 파지봉(10)을 잡아당겨서 과일의 꼭지부분이 수직프레임(22)의 하측영역에 형성된 수직절단날(41a)과 하부수평프레임(24)의 좌측영역에 형성된 수평절단날(41b)에 의해 절단되도록 수직프레임(22)과 하부수평프레임(24)을 접근시킨다. 여기서 수직프레임(22)과 하부수평프레임(24)이 접근할 때 하부바디부(52a)에 탄성력이 축적되고, 상부안내핀(32)은 상부걸림암(51c)을 따라 이동한다.
과일의 꼭지부분이 절단되면 하부바디부(52a)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수직프레임(22)과 하부수평프레임(24)은 이반한다.
절단날(41)에 의해 꼭지부분이 절단된 과일은 주머니(35)에 수집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복귀스프링(50)의 양단이 프레임(20)에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스프링(52')의 양단을 프레임(20)과 파지봉(10)에 하나씩 나누어 고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지봉(10)의 당기기 동작 또는 밀기동작시 수직프레임(22)과 상부수평프레임(23) 또는 수직프레임(22)과 하부수평프레임(24)이 협조하여 과일을 안정적으로 절단날(41)에 접근시키고 절단동작시 과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절단동작부(40)의 구조가 간단해진다.
그리고 과일을 절단날(41)로 안내하는 동작과 과일꼭지를 절단하는 동작이 동시에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절단동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양방향 가압동작에 의해 절단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절단동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과일꼭지의 절단이 양방향 가압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압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과일이 절단날을 넘어 튕겨나가지 않게 된다(절단날과 과일의 접촉점이 과일꼭지를 기준으로 과일을 반분할 때 양 쪽 영역에 형성됨). 이에 따라 절단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절단날(41)을 수직절단날(41a)과 수평절단날(41b)을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절단동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파지봉(10)의 당기기동작에 의한 절단시와 파지봉(10)의 밀기동작에 의한 절단시 각각 하나의 복귀스프링(50)에 탄성력이 축적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적은 힘으로 절단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수평프레임(23)과 하부수평프레임(24)의 저면이 각각 봉연결프레임(21)의 상면과 수직프레임(22)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하는 한편 수직절단날(41a)을 수직프레임(22)의 저면에 형성하고 수평절단날(41b)을 상부수평프레임(23)과 하부수평프레임(24)의 상면에 각각 형성함으로써, 절단동작시 과일의 이탈을 방지하고, 과일꼭지에 대한 절단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10, 110 : 파지봉 20, 120 : 프레임
21 : 봉연결프레임 22 : 수직프레임
23 : 상부수평프레임 24 : 하부수평프레임
35, 135 : 주머니 40, 140 : 절단동작부
41, 141 : 절단날 50 : 복귀스프링
51 : 상부복귀스프링 52 : 하부복귀스프링
121 : 수평프레임부 122 : 경사프레임부
142 : 밀기동작안내바 143 : 당기기동작안내바
21 : 봉연결프레임 22 : 수직프레임
23 : 상부수평프레임 24 : 하부수평프레임
35, 135 : 주머니 40, 140 : 절단동작부
41, 141 : 절단날 50 : 복귀스프링
51 : 상부복귀스프링 52 : 하부복귀스프링
121 : 수평프레임부 122 : 경사프레임부
142 : 밀기동작안내바 143 : 당기기동작안내바
Claims (4)
- 삭제
- 파지봉과, 상기 파지봉의 일단에 결합된 폐루프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파지봉을 조작하여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킬 때 상기 프레임의 내부영역에 배치된 과일의 꼭지부분을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절단날을 구비한 절단동작부를 갖는 과일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파지봉의 상단에 고정된 봉연결프레임과, 상기 봉연결프레임에 나란하도록 배치된 수직프레임과, 상기 봉연결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접근하고 이반할 수 있도록 양단이 상기 봉연결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된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에 나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봉연결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접근하고 이반할 수 있도록 양단이 상기 봉연결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된 하부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동작부는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 중 어느 일방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접근하거나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 중 어느 일방이 상기 봉연결프레임에 접근할 때 탄성력을 축적하도록 양단중 적어도 어느 일방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절단날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측영역과 하측영역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된 수직절단날과,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 중 어느 일방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접근하거나 또는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 중 어느 일방이 상기 봉연결프레임에 접근할 때 상기 수직절단날과 협조하여 절단동작이 일어나도록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에 형성된 수평절단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수확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절단날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측영역과 하측영역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고;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봉연결프레임에 분산 형성된 상부고정편 및 상부안내핀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과 상기 봉연결프레임에 분산 형성된 하부고정편 및 하부안내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귀스프링은 코일상의 상부바디부와 상기 상부바디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상부고정암과 상기 상부바디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유(U)자 형태의 상부걸림암을 가지고 상기 상부고정암이 상기 상부고정편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접근할 때 상기 상부안내핀이 상기 상부걸림암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접근할 때상기 상부안내핀과 상기 상부걸림암이 걸림작용을 하도록 설치되는 상부복귀스프링과, 코일상의 하부바디부와 상기 하부바디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하부고정암과 상기 하부바디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유(U)자 형태의 하부걸림암을 가지고 상기 하부고정암이 상기 하부고정편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접근할 때 상기 하부안내핀이 상기 하부걸림암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접근할 때 상기 하부안내핀과 상기 하부걸림암이 걸림작용을 하도록 설치되는 하부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수확기.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은 각각 저면이 상기 봉연결프레임의 상면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봉연결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절단날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절단날은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의 상면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수확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0249A KR101163147B1 (ko) | 2010-04-02 | 2010-04-02 | 과일수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0249A KR101163147B1 (ko) | 2010-04-02 | 2010-04-02 | 과일수확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0943A KR20110110943A (ko) | 2011-10-10 |
KR101163147B1 true KR101163147B1 (ko) | 2012-07-06 |
Family
ID=45027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0249A KR101163147B1 (ko) | 2010-04-02 | 2010-04-02 | 과일수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314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38704A (zh) * | 2018-06-20 | 2018-11-06 | 兴国深田农业开发有限公司 | 一种脐橙摘取器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640660B (zh) * | 2020-12-16 | 2022-04-19 | 建始绮丽果业有限责任公司 | 方便高处柿子采摘的采摘工具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0427Y1 (ko) | 2005-01-15 | 2005-03-31 | 성판원 | 두 개의 절단부가 형성된 과일수확기 |
JP2007202537A (ja) | 2006-01-30 | 2007-08-16 | Toru Yamaguchi | 鋏み付き収穫用竿袋 |
-
2010
- 2010-04-02 KR KR1020100030249A patent/KR1011631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0427Y1 (ko) | 2005-01-15 | 2005-03-31 | 성판원 | 두 개의 절단부가 형성된 과일수확기 |
JP2007202537A (ja) | 2006-01-30 | 2007-08-16 | Toru Yamaguchi | 鋏み付き収穫用竿袋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38704A (zh) * | 2018-06-20 | 2018-11-06 | 兴国深田农业开发有限公司 | 一种脐橙摘取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0943A (ko) | 2011-10-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46347B1 (ko) | 과일 채집기 | |
KR101082785B1 (ko) | 과일수확기 | |
CN203934350U (zh) | 一种具有夹持功能的摘果剪 | |
KR200474453Y1 (ko) | 과일 수확기 | |
KR101163147B1 (ko) | 과일수확기 | |
KR101441807B1 (ko) | 과일채취기 | |
KR200476050Y1 (ko) | 전동 전지가위 | |
CN103797969B (zh) | 一种手持式果蔬采收器 | |
CN2899424Y (zh) | 苹果采摘器 | |
KR101163145B1 (ko) | 가위 | |
CN107493828A (zh) | 一种猕猴桃采集装置 | |
CN206879490U (zh) | 一种柑橘采摘装置 | |
CN107371602B (zh) | 柑桔采摘器 | |
KR20130022019A (ko) | 원거리 참외 및 과일 수확 장치. | |
CN209914509U (zh) | 高空果实手动安全采摘装置 | |
KR200362582Y1 (ko) | 과일수확기 | |
KR20120005338U (ko) | 과실 수확기 | |
CN110720445B (zh) | 一种防止马蜂飞出的马蜂窝摘除装置 | |
JP2005176745A (ja) | 果実採取作業具 | |
CN208370294U (zh) | 双臂背包式多功能水果采摘器 | |
CN210987106U (zh) | 一种便携式农产品采摘装置 | |
CN109644681A (zh) | 一种葡萄采摘组件 | |
CN214800873U (zh) | 一种用于樱桃番茄种植的采摘装置 | |
RU2277320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учного сбора плодов | |
CN214545728U (zh) | 一种网兜式快速高空水果采摘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