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131Y1 - 과일 수확기 - Google Patents

과일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131Y1
KR200468131Y1 KR2020130001615U KR20130001615U KR200468131Y1 KR 200468131 Y1 KR200468131 Y1 KR 200468131Y1 KR 2020130001615 U KR2020130001615 U KR 2020130001615U KR 20130001615 U KR20130001615 U KR 20130001615U KR 200468131 Y1 KR200468131 Y1 KR 2004681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fruit
handle
suppor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우석
Original Assignee
한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우석 filed Critical 한우석
Priority to KR2020130001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1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1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1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47Manually operated fruit-picking 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일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인 것은, 장대끝에 일정각도로 벌어지게 배치되는 3개의 방사형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연결홈에 집게편의 하단부 외측면에 형성된 지지돌편을 끼워 축핀으로 연결하고, 집게편 하단을 장대 상단중심부에 장치된 환상작동링의 상면에 형성한 연결홈에 끼워 축핀으로 연결하여 집게편 내측에 과일수집공간이 형성되게하고, 작동링 중심에서 장대속을 통과하여 장대하단에 부착된 손잡이의 작동봉작동레버에 연결되는 작동간과, 작동간 상단 외주면에 끼워져서 작동링과 장대 사이에 탄력을 장진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과일수확기에 있어서, 집게편이 연결되는 지지대 외면에 밀착피복되어 지지대를 보강할 수 있게 보강지지대를 더 설치하고 집게편 내측 외표면에 피복되어 과일수집공간에 삽입되는 과일과 집게편간의 접촉면에 쿠션을 부여하는 탄성소재로 된 완충카버와 장대하단에 끼워지는 손잡이 연결관에 회전안내홈을 형성하여 손잡이 연결관이 장대 하단부 결합하여 이탈이 방지되면서 장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으로 일정각도 범위에서 왕복회전되게하고, 손잡이 연결관이 장대끝에서 분리되지 않게 하는 장대회전장치와, 손잡이에 내측단이 연결되어 축봉으로 지지되며, 작동간을 당기고 밀 수 있도록 된 작동레버에 스토퍼를 장치하여 작동간의 작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집게편의 파악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안전하고 사용하기 좋은 과일수확기가 되게한 과일 수확기이다.

Description

과일 수확기{Apparatus of Harvest for fruit}
본 고안은 과일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인 것은, 사과나 배, 감과 같이 키가 큰나무의 가지에 달려 있어서 하나하나를 따서 수확하는 과일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과, 배, 감과 같이 키가 큰나무의 가지에 달리는 열매는 하나하나를 따서 수확하므로 장대끝에 주머니를 달거나 장대끝에 집게형상으로 된 수확기를 장치하여 수확을 하고 있으며, 집게형의 경우 장대끝에 일정각도로 벌어지는 방사형의 지지대 3개를 형성하고, 각지지대 상단에 연결홈을 만들어 집게편의 하단부 외측면에 돌출시킨 지지돌편을 끼워 축핀으로 연결하여 집게편 내측에 과일수집공간을 형성하고, 집게편 하단을 장대중심에 배치한 작동링의 연결홈에 끼워 축핀으로 연결한 다음 작동링 중심부에서 장대속을 통과하여 장대하단 손잡이에 장치한 작동레버 사이에 작동간을 연결하고 작동링과 장대 상단부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장치하여 작동간을 당겨 집게편을 오므리고 작동간을 놓으면 코일스프링의 복귀력으로 집게편이 벌어지게 하는 방법으로된 과일수확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에 설명한 집게형 과일수확기는 장대 상단에 부착한 방사형지지대가 빈약하여 집게편으로 과일을 수용한 다음 장대를 비틀게되면 집게편과 지지대 사이에 저항력이 작용하여 지지대의 연결홈 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불편이 있고, 집게편의 과일수집공간에 과일을 수용하고 장대를 회전시킬때 집게편의 파악력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작동봉작동레버를 계속당기면서 이동시켜야 하고, 이 과정에서 작동봉작동레버를 당기는 정도가 조금이라도 느슨해지면 집게편의 파악력이 느슨해져 집게편에서 과일이 탈출하게 되므로 안전한 수확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손잡이 부분이 장대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집게편을 비틀기 위해 장대를 회전시키려해도 장대편 하단에 손잡이가 고정되어 있어서 손잡이도 같이 회전하게 되므로 손잡이를 잡은 손이 비틀리게 되는바, 장대를 비트는 작업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불편이 있었고, 집게편이 금속제로 되어 있어서 과일과 접촉할 때, 과일의 표면이 쉽게 손상되는 등의 불편이 있었으며, 상기와 같은 종류의 과일수확기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362582호와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1993-0003193호를 예로 들수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장대끝에 일정각도로 벌어지게 배치되는 3개의 방사형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연결홈에 집게편의 하단부 외측면에 형성된 지지돌편을 끼워 축핀으로 연결하고, 집게편 하단을 장대 상단중심부에 장치된 환상작동링의 상면에 형성한 연결홈에 끼워 축핀으로 연결하여 집게편 내측에 과일수집공간이 형성되게하고, 작동링 중심에서 장대속을 통과하여 장대하단에 부착된 손잡이의 작동봉작동레버에 연결되는 작동간과,
작동간 상단 외주면에 끼워져서 작동링과 장대 사이에 탄력을 장진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과일수확기에 있어서,
집게편이 연결되는 지지대 외면에 피복되어 지지대를 보강할 수 있게 보강지지대를 더 설치하고 집게편 내측 외표면에 피복되어 과일수집공간에 삽입되는 과일과 집게편간의 접촉면에 쿠션을 부여하는 탄성소재로 된 완충카버와 장대하단에 끼워지는 손잡이 연결관에 회전안내홈을 형성하여 손잡이 연결관이 장대 하단연결부에 결합하여 이탈이 방지되면서 장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으로 일정각도 범위에서 왕복회전되고, 손잡이 연결관이 장대끝에서 분리되지 않게 하는 장대 회전장치와, 손잡이에 내측단이 연결되어 축봉으로 지지되며, 작동간을 당기고 밀 수 있도록 된 작동봉작동레버에 스토퍼를 장치하여 작동간의 작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집게편의 파악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작동거리 제한장치로 구성되며 안전하고 사용하기 좋은 과일수확기가 되게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장대(6)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홈으로 된 3개의 보강홈(6a)이 나란히 형성되어 장대를 보강하므로 가볍고, 견고한 장대를 만들 수 있고, 집게편(3)을 지지하는 지지대(1)의 외면에 보강지지대(103)를 피복하여 지지대 외면에 보강지지대가 밀착하므로 지지대와 지지대의 연결홈이 보강되어 과일수확시 집게편의 과일수용부(100)에 과일을 수용하고, 장대를 비틀어서 과일을 나뭇가지에서 강제로 분리할 때 집게편(3)의 지지돌편(3a)이 연결되어 있는 지지대(1)의 연결홈(101)과 지지대(1)에 많은 힘이 가해져도 지지대가 쉽게 파손되지 않을뿐 아니라 집게편의 연결홈까지 볼록연결부(103c)에 의거 보강되어 내구성이 담보되는 장점이 있고,
손잡이(7)의 작동봉작동레버(8)에 장치된 스토퍼(801)의 끝이 접촉하는 곳에 장대끝에서 가까운 제1고정턱(702)과 제1고정턱보다 먼거리에 있는 제2고정턱(703)이 구분되게 형성되어 집게편에 수용된 과일의 크기에 따라 집게편의 수용공간을 조정할 수 있게 작동간의 작동거리가 제한되게 구성함으로써, 직경이 큰 과일을 수확하여 옮길때와 직경이 조금 작은 과일을 수확하여 옮길때를 구분하여 집게편의 파악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집게편에 수용된 과일을 파악력 변동 없이 파악한 상태로 장대를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장대하단 연결부가 손잡이(7)의 연결관(701)에 결합되어 손잡이 연결관에서 장대의 길이방향과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안내홈(701a)에 장대연결부에 부착된 고정돌기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손잡이를 한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손으로 장대를 잡고, 일정각도 범위에서 장대를 왕복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장대를 비트는 작업이 쉽게 되어 집게편에 수용한 과일을 나뭇가지에서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으며, 집게편의 내표면에 탄성소재로 된 완충커버(302)가 씌워져 있어서 과일을 수용할 때, 금속제로 된 집게편의 표면이 직접 과일에 접촉하지 않아 과일표면에 상처를 내지 않으므로 안전하게 과일을 수확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장대 중간부에는 미끄럼방지홈(602)이 있는 보조손잡이(601)가 피복되어 있어서 장대를 비틀때 장대중간을 안전하게 파악하고 장대를 비틀 수 있게 되며, 장대를 손으로 잡고 이동시키는 작업도 편리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이는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집게부분을 분해한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보강지지대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가-가'선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집게편의 완충커버를 분해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손잡이 연결관 부분의 고정홈 부분 예시도로서
(a)는 스토퍼를 제2고정홈에 고정시킨 예시도
(b)는 스토퍼를 제1고정홈에 고정시킨 예시도
(c)는 스토퍼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예시도
도 7은 도 6의 사시도
도 8은 도 6의 나-나'선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알루미늄제 파이프로 된 장대(6) 끝에서 원주를 따라 3등분된 지점에 결합되어 상단이 일정각도로 벌어지게 배치되는 3개의 방사형 지지대(1)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형성된 연결홈(101)에 지지돌편(3a)이 끼워져 축핀으로 연결되는 집게편(3)과, 환륜체로되어 장대 상단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연결홈이 있는 연결편이 형성되어 집게편의 하단연결부(3b)가 삽입되어 축핀으로 지지됨에 따라 집게편 내측에 과일수용부(100)를 형성하는 환상작동링(2)과, 환상작동링 중심에서 장대속을 지나 장대하단에 부착된 손잡이(7)에 내측단이 축핀(8a)으로 연결된 작동봉작동레버(8)에 연결되는 작동봉(4)과,
장대상단과 환상작동링 사이에 배치되어 집게편을 개폐할 수 있도록 탄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5)으로 된 과일수확기에 있어서,
장대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요입홈으로 된 3~4개의 보강홈(6a)과,
지지대(1) 외면에 밀착되도록 씌워지며 단면이 "
Figure 112013054552964-utm00001
" 형상으로 되어 지지대의 연결홈(101)과 대면하는 외벽에 볼록연결부(103c)가 형성되고, 축핀 연결공과 일치되는 위치에 연결공이 형성되며, 개방부에 내향절곡편(103a)이 형성되어 지지대 외면에 밀착결합하는 보강지지대(103)와,
집게편(3) 내측 표면에 씌워지며 탄성체로 성형되는 완충커버(302)와,
장대(6) 하단연결부가 결합하는 손잡이(7)의 연결관(701)에 연결관의 중간에서 장대 길이 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개방되고, 개방되는 길이가 연결관 원주면의 3분의1 범위에 달하도록 되는 회전안내홈(701a)이 형성되어 장대연결부에 고정된 고정돌기(701b)가 회전안내홈에 결합함으로써, 장대연결부가 손잡이에서 분리되지 않으면서 일정각도가 회전하는 장대회전장치와,
손잡이(7)에 장치된 작동봉(4) 작동레버(8)와,
상기 작동봉작동레버와 작동간이 접속되는 접속부 표면에서 축핀(802)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스토퍼(801)와,
스토퍼의 선단부가 접촉하도록 손잡이 연결관 입구측에 형성되는 제1고정턱(702)과 제2고정턱(703)으로 이루어져 작동간의 작동거리를 제한하는 작동거리제한장치와,
장대중간에 피복되어 표면에 미끄럼방지홈(602)이 형성된 보조손잡이(601)를 갖추어서 되는 구성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작동봉작동레버(8)에 의해 작동봉(4)이 손잡이쪽으로 당겨지면 환상작동링이 집게편의 지지돌편(3a)을 당겨 집게편(3)이 과일수용부(100) 내측으로 움직이고, 상기 작동봉작동레버(8)를 놓으면 코일스프링(5)의 복원력에 의하여 환상작동링(2)과 작동봉(4)이 복귀하여 집게편(3)이 벌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은 일반적인 것과 같으나 집게편(3)은 내측표면에 완충커버(302)를 설치함으로써, 과일을 파악할 때 과일표면이 금속제 집게편(3)에 직접 닿지 않아 과일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확할 수 있게 되고,
장대(6)의 보조손잡이(601)는 표면에 미끄럼방지홈이 있어서, 사용자가 과일을 수확할 때 장대를 잡은 손이 미끄러지지 않아 안전하게 장대를 파악하고 장대를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장대(6)의 하단은 손잡이(7)의 연결관(701)에 끼워져서 연결관의 회전안내홈(701a)에 장대연결부에 부착된 고정돌기(701b)가 투입되므로 손잡이를 한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다른한손으로 장대를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집게편(3)으로 과일을 움켜잡은 후 장대를 비틀고 당겨서 과일을 나무에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과일을 수확할 수 있게 되며,
또, 보강지지대(103)는 스테인레스스틸판을 절곡하여 지지대(1)의 외면을 감싸게 "
Figure 112013054552964-utm00002
" 형상으로 형성하되 개방부 내측으로 내향절곡편(103a)을 형성하여 지지대에 밀착피복할 수 있으며, 지지대(1)의 연결홈(101)과 대면하는 외벽에 볼록연결부(103c)를 형성함으로써, 집게편의 지지돌편(3a)이 결합되는 연결홈까지 보강할 수 있게 되므로 지지대를 완벽하게 보강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작동봉(4)을 작동시키는 작동봉작동레버(8)에는 스토퍼(801)가 장치되어 그 선단부에 손잡이 연결관 입구에 형성된 제1고정턱(702)에 접촉하거나 제2고정턱(703)에 접속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제1고정에 접속하면 집게편에 직경이 큰 과일을 협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고, 제2고정에 접속시키면 제1고정에 고정시킬 경우보다 직경이 더 작은 과일을 협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포획한 과일의 크기에 따라 집게편의 수용부를 조정하여 장대를 이동시키는 동안 파악 상태를 변동없이 유지시킬 수 있게 되므로 과일을 지면에 내려놓을 때까지 수용부에서 안전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낼 수 있어 안전한 수확과 이동이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나 응용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서는 안 될 것이다.
1 : 지지대 2 : 환상작동링
3 : 집게편 3a : 지지돌편
3b : 하단연결부 4 : 작동봉
5 : 코일스프링 6 : 장대
6a : 보강홈 7 : 손잡이
8 : 작동봉작동레버 8a : 축핀
100 : 과일수용부 101 : 연결홈
103 : 보강지지대 103a : 내향절곡편
103b : 연결공 103c : 볼록연결부
302 : 완충커버 601 : 보조손잡이
602 : 미끄럼방지홈 701 : 연결관
701a : 회전안내홈 701b : 고정돌기
702 : 제1고정턱 703 : 제2고정턱
801 : 스토퍼 802 : 축핀

Claims (1)

  1. 알루미늄제 파이프로 된 장대(6) 끝에서 3등분된 지점에 결합되어 상단이 일정각도로 벌어지게 배치되는 3개의 방사형 지지대(1)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형성된 연결홈(101)에 지지돌편(3a)이 끼워져 축핀으로 연결되는 집게편(3)과, 환륜체로되어 장대 상단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연결홈이 있는 연결편이 형성되어 집게편의 하단연결부(3b)가 삽입되어 축핀으로 지지됨에 따라 집게편 내측에 과일수용부(100)를 형성하는 환상작동링(2)과, 환상작동링 중심에서 장대속을 지나 장대하단에 부착된 손잡이(7)에 내측단이 축핀(8a)으로 연결된 작동봉작동레버(8)에 연결되는 작동봉(4)과,
    장대상단과 환상작동링 사이에 배치되어 집게편을 개폐할 수 있도록 탄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5)으로 된 과일수확기에 있어서,
    장대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요입홈으로 된 3~4개의 보강홈(6a)과,
    지지대(1) 외면에 밀착되도록 씌워지며 단면이 "
    Figure 112013054552964-utm00014
    " 형상으로 되어 지지대의 연결홈(101)과 대면하는 외벽에 볼록연결부(103c)가 형성되고, 축핀 연결공과 일치되는 위치에 연결공이 형성되며, 개방부에 내향절곡편(103a)이 형성되어 지지대 외면에 밀착결합하는 보강지지대(103)와,
    집게편(3) 내측 표면에 씌워지며 탄성체로 성형되는 완충커버(302)와,
    장대(6) 하단연결부가 결합하는 손잡이(7)의 연결관(701)에 연결관의 중간에서 장대 길이 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개방되고, 개방되는 길이가 연결관 원주면의 3분의1 범위에 달하도록 되는 회전안내홈(701a)이 형성되어 장대연결부에 고정된 고정돌기(701b)가 회전안내홈에 결합함으로써, 장대연결부가 손잡이에서 분리되지 않으면서 일정각도가 회전하는 장대회전장치와,
    손잡이(7)에 장치된 작동봉작동레버(8)와,
    상기 작동봉작동레버와 작동간이 접속되는 접속부 표면에서 축핀(802)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스토퍼(801)와,
    스토퍼의 선단부가 접촉하도록 손잡이 연결관 입구측에 형성되는 제1고정턱(702)과 제2고정턱(703)으로 이루어져 작동간의 작동거리를 제한하는 작동거리제한장치와,
    장대중간에 피복되어 표면에 미끄럼방지홈(602)이 형성된 보조손잡이(601)를 갖추어서 되는 과일 수확기
KR2020130001615U 2013-03-04 2013-03-04 과일 수확기 KR2004681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615U KR200468131Y1 (ko) 2013-03-04 2013-03-04 과일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615U KR200468131Y1 (ko) 2013-03-04 2013-03-04 과일 수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131Y1 true KR200468131Y1 (ko) 2013-07-24

Family

ID=51396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615U KR200468131Y1 (ko) 2013-03-04 2013-03-04 과일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131Y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616B1 (ko) * 2013-08-02 2014-12-22 박강철 과실 수확구
CN106171294A (zh) * 2016-06-30 2016-12-07 哈尔滨尼亚农业有限公司 一种仿真人手采摘装置
CN107615984A (zh) * 2017-11-07 2018-01-23 贵州湄潭百卉中药工程技术研究开发有限公司 皂角刺采摘装置
CN107736133A (zh) * 2017-11-16 2018-02-27 广东工业大学 一种抓手式采摘装置
KR20180041416A (ko) * 2016-10-14 2018-04-24 장성욱 과일수확기
CN108207330A (zh) * 2018-02-11 2018-06-29 宁波大学 一种人工辅助新型水果采摘器
KR20180091333A (ko) 2017-02-06 2018-08-16 김미정 과실수확장치
CN108605506A (zh) * 2018-04-28 2018-10-02 芜湖盛科环保技术有限公司 一种适用性高的水果采摘器
CN108811744A (zh) * 2018-06-25 2018-11-16 吉林工程技术师范学院 一种辅助人工水果仿生采摘机械手装置
CN109041782A (zh) * 2018-08-24 2018-12-21 张振阳 半自动高空水果采摘器
CN109757215A (zh) * 2019-02-25 2019-05-17 武汉理工大学 一种适用于高空水果采摘杆的柔性爪
CN110383988A (zh) * 2019-08-29 2019-10-29 中北大学 一种可剪短果梗的苹果采摘工具
KR20210001246U (ko) * 2019-11-27 2021-06-0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재배용 보조기구
KR20220078826A (ko) 2020-12-04 2022-06-13 최미정 과일수확기용 프레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133Y1 (ko) * 1989-07-27 1991-06-17 김용기 과실 채취기
JPH03119046U (ko) * 1990-03-14 1991-12-09
KR930003193Y1 (ko) * 1990-12-15 1993-06-03 이상도 과실 채취기의 파지기구 회전장치
KR20040072307A (ko) * 2003-02-10 2004-08-18 학교법인 신천학원 과일 수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133Y1 (ko) * 1989-07-27 1991-06-17 김용기 과실 채취기
JPH03119046U (ko) * 1990-03-14 1991-12-09
KR930003193Y1 (ko) * 1990-12-15 1993-06-03 이상도 과실 채취기의 파지기구 회전장치
KR20040072307A (ko) * 2003-02-10 2004-08-18 학교법인 신천학원 과일 수확기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616B1 (ko) * 2013-08-02 2014-12-22 박강철 과실 수확구
CN106171294A (zh) * 2016-06-30 2016-12-07 哈尔滨尼亚农业有限公司 一种仿真人手采摘装置
KR20180041416A (ko) * 2016-10-14 2018-04-24 장성욱 과일수확기
KR101867694B1 (ko) * 2016-10-14 2018-07-17 장성욱 과일수확기
KR20180091333A (ko) 2017-02-06 2018-08-16 김미정 과실수확장치
CN107615984A (zh) * 2017-11-07 2018-01-23 贵州湄潭百卉中药工程技术研究开发有限公司 皂角刺采摘装置
CN107736133A (zh) * 2017-11-16 2018-02-27 广东工业大学 一种抓手式采摘装置
CN108207330A (zh) * 2018-02-11 2018-06-29 宁波大学 一种人工辅助新型水果采摘器
CN108605506A (zh) * 2018-04-28 2018-10-02 芜湖盛科环保技术有限公司 一种适用性高的水果采摘器
CN108811744A (zh) * 2018-06-25 2018-11-16 吉林工程技术师范学院 一种辅助人工水果仿生采摘机械手装置
CN109041782A (zh) * 2018-08-24 2018-12-21 张振阳 半自动高空水果采摘器
CN109757215A (zh) * 2019-02-25 2019-05-17 武汉理工大学 一种适用于高空水果采摘杆的柔性爪
CN109757215B (zh) * 2019-02-25 2020-05-12 武汉理工大学 一种适用于高空水果采摘杆的柔性爪
CN110383988A (zh) * 2019-08-29 2019-10-29 中北大学 一种可剪短果梗的苹果采摘工具
CN110383988B (zh) * 2019-08-29 2021-05-14 中北大学 一种可剪短果梗的苹果采摘工具
KR20210001246U (ko) * 2019-11-27 2021-06-0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재배용 보조기구
KR200494950Y1 (ko) * 2019-11-27 2022-02-08 대한민국 재배용 보조기구
KR20220078826A (ko) 2020-12-04 2022-06-13 최미정 과일수확기용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131Y1 (ko) 과일 수확기
US7281740B1 (en) Debris collection and vegetation removal apparatus
KR101867694B1 (ko) 과일수확기
CN205305444U (zh) 一种推车式手动果实采摘器
RU2378819C1 (ru) Плодосъемник (варианты)
KR100895423B1 (ko) 농작물 지지용 집게
CN207612670U (zh) 一种便携式苹果采收装置
CN109302888A (zh) 一种旋转式水果采摘器
CN201938194U (zh) 家禽捕捉器
CN102124958B (zh) 家禽捕捉器
KR20100003441U (ko) 밤 수거장치
US20140159399A1 (en) Multiple use retrieving and inserting devices
CN209120688U (zh) 旋转式水果采摘器
KR20140078071A (ko) 다용도 집게
CN104488447A (zh) 一种果实采集装置
CN205681875U (zh) 食用菌采摘专用夹
CN109197155A (zh) 苹果采摘装置
CN202406561U (zh) 高位水果采摘器
CN202172605U (zh) 一种核桃采摘装置
RU2503168C2 (ru) Плодосъемник
KR101323682B1 (ko) 과실수확기구
CN220044192U (zh) 拔花生器
US20020020161A1 (en) Manual fruit harvesting tool
CN208768457U (zh) 一种菠萝采摘装置
CN219876893U (zh) 一种带有夹持爪的烟叶采摘辅助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