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496B1 - 사용후 핵연료 금속 및 콘크리트 운반 또는 저장 용기 공용 운반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후 핵연료 금속 및 콘크리트 운반 또는 저장 용기 공용 운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496B1
KR102615496B1 KR1020210175736A KR20210175736A KR102615496B1 KR 102615496 B1 KR102615496 B1 KR 102615496B1 KR 1020210175736 A KR1020210175736 A KR 1020210175736A KR 20210175736 A KR20210175736 A KR 20210175736A KR 102615496 B1 KR102615496 B1 KR 102615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clear fuel
pair
storage container
spent nuclea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7101A (ko
Inventor
이운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리온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리온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리온이엔씨
Priority to KR1020210175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496B1/ko
Publication of KR20230087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6Details of, or accessories to, the containers
    • G21F5/14Devices for handling containers or shipping-casks, e.g. transporting devices loading and unloading, fill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66C1/663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having hoisting gear adapted to special load-engaging elemen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7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for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 F16J1/10Connection to driving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후 핵연료 및 방사성폐기물 운반 또는 저장 용기 이송 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사용후 핵연료 저장용기(T)의 이동장치(1)는, 휠(25)이 장착되어 이동가능하고,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4)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4)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는 거더(7)와; 거더(7)의 상측에 배치된 레일(33,34)상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그라브(Crab;9,11)와; 그리고 그라브(9,11)의 상측에 배치되며 와이어(W) 및 후크(19)를 승하강시킴으로써 사용후 핵연료 저장용기(T)를 직립시켜서 이동시키는 윈치(13,1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후 핵연료 금속 및 콘크리트 운반 또는 저장 용기 공용 운반 시스템{System for moving used nuclear fuel}
본 발명은 사용후 핵연료 금속 및 콘크리트 운반 또는 저장 용기 공용 운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용기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크레인의 상부에 2개의 윈치를 설치하고, 이 윈치에 연결된 와이어의 단부에 후크를 장착하여, 저장용기의 걸림돌기에 각각 건 상태에서, 2개의 윈치의 회전량을 제어하여 와이어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저장용기를 직립상태에서 점차로 기울여서 수평상태로 위치시키고, 한 쌍의 받침대에 적재한 상태에서 목적지로 이동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다량의 사용후 핵연료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러한 사용후 핵연료는 저장용기에 저장된 후 폐기처리된다.
이때, 약 130톤 중량의 사용후 핵연료 저장용기는 다양한 운반수단에 의하여 운반되는 바, 각 원전의 사용후 핵연료 임시저장시설에서 원전 물양장까지, 중간저장시설의 물양장에서 사용후 핵연료 인수검사시설까지 운반한다.
이러한 운반수단은 트레일러 등이며, 저장용기를 트레일러에 적재한 상태에서 운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사용후 핵연료 저장용기를 운반하기 위한 차량은 저장용기를 결속하기 위한 장비와, 충격완충재 등을 구비하여야 하고, 저장용기의 정적하중을 지지할 수 있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장용기의 상차 및 하차시에 움직임이 최소화되어야 하나 이를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출원 제10-1400-79454호(명칭: 중저준위 방사성 사용후 핵연료의 처리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후 핵연료 저장용기를 2개의 윈치가 구비된 크레인 방식에 의하여 픽업하여 한 쌍의 받침대에 안착시켜서 이동시킴으로써 별도의 결속 및 완충부재가 필요하지 않고 상하차시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사용후 핵연료 금속 및 콘크리트 운반 또는 저장 용기 공용 운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장용기의 재질을 금속 혹은 콘크리트를 적용할 경우, 실린더 및 받침대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외경 차이에 제약을 받지않고 안정적으로 적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휠(25)이 장착되어 이동가능하고,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4)과;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4)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는 거더(7)와;
거더(7)의 상측에 배치된 레일(33,34)상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그라브(Crab;9,11)와;
그라브(9,11)의 상측에 배치되며 와이어(W) 및 후크(19)를 승하강시킴으로써 사용후 핵연료 저장용기(T)를 직립시켜서 이동시키는 윈치(13,15)와;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3,4)의 전후에 배치되어 윈치(13,15)에 의하여 이송된 사용후 핵연료 저장용기(T)가 적치되는 한 쌍의 받침부(30,31)를 포함하는 사용후 핵연료 금속 및 콘크리트 운반 또는 저장 용기 공용 운반 시스템(1)을 제공한다.
사용후 핵연료 저장용기(T)의 상하부에는 상부 및 하부 트러니언(60,62)이 각각 배치되며,
상부 및 하부 트러니언(60,62)은, 저장용기(T)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 1 및 제 2클램프(61,63)와; 제 1 및 제 2클램프(61,63)의 일측단을 서로 절첩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64)와; 제 1 및 제 2클램프(61,63)의 타측단을 고정시키는 체결부(77)와; 제 1 및 제 2클램프(61,63)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크레인이 픽업하는 걸림돌기(70,72)를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핵연료 금속 및 콘크리트 운반 또는 저장 용기 공용 운반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사용후 핵연료 저장용기를 크레인 방식에 의하여 견인하여 이동시킬 수 있어서 구조가 단순하고, 이동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둘째, 크레인의 상부에 2개의 윈치를 설치하고, 이 윈치에 연결된 와이어의 단부에 후크를 장착하여, 저장용기의 걸림돌기에 각각 건 상태에서 저장용기를 수평상태로 위치시킨 후 한 쌍의 받침대에 적재한 상태에서 목적지로 이동시킬 수 있어서 별도의 결속부재 및 완충부재가 불필요하고, 상하차시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핵연료 금속 및 콘크리트 운반 또는 저장 용기 공용 운반 시스템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후 핵연료 금속 및 콘크리트 운반 또는 저장 용기 공용 운반 시스템에 의하여 저장용기를 픽업 및 이동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용후 핵연료 금속 및 콘크리트 운반 또는 저장 용기 공용 운반 시스템의 이동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한 쌍의 받침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사용후 핵연료 금속 및 콘크리트 운반 또는 저장 용기 공용 운반 시스템의 저장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저장용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하부에 트러니언이 구비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트러이언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핵연료 금속 및 콘크리트 운반 또는 저장 용기 공용 운반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사용후 핵연료 금속 및 콘크리트 운반 또는 저장 용기 공용 운반 시스템(1; 이하, 사용후 핵연료 저장용기의 이동장치)은, 휠(25)이 장착되어 이동가능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4)과;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4)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는 거더(7)와; 거더(7)의 상측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그라브(Crab;9,11)와; 그라브(9,11)의 상측에 배치되며 와이어(W) 및 후크(19)를 승하강시킴으로써 사용후 핵연료 저장용기(T)를 직립시켜서 이동시키는 윈치(13,15)와; 베이스 프레임(3,4)의 전후에 배치되어 사용후 핵연료 저장용기(T)를 지지하는 한 쌍의 받침부(30,31)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사용후 핵연료 저장용기의 이동장치(1)에 있어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4)은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고, 하부에 복수개의 휠(25)이 장착된다. 그리고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4) 사이에 사용후 핵연료 저장용기(T)가 픽업될 수 있다. 따라서, 휠(25)이 구동함으로써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4)이 저장용기(T)를 픽업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다.
거더(7)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4)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부에는 레일(21)이 길이방향으로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이 레일(21)의 상부에는 그라브(9,11)가 활주가능하게 안착된다.
이러한 그라브(9,11)는 전방 그라브(11) 및 후방 그라브(9)의 한 쌍으로 구비되며,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그라브(9,11)는, 거더(7)의 일측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전방 그라브(11)와; 거더(7)의 타측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후방 그라브(9)를 포함한다.
이러한 각각의 그라브(9,11)는 레일(21)에 안착된 상태에서 모터가 구동하는 경우 전후진가능하다.
또한, 그라브(9,11)의 일측면에는 오목홀(23)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와이어(W)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W)는 상부는 윈치(13,15)에 권취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상부로 당겨지거나 늘어뜨려진다. 또한, 와이어(W)의 하부는 후크(17,19)가 장착됨으로써 저장용기(T)의 걸림돌기(29,27)에 걸릴 수 있다. 이때, 걸림돌기(29,27)는 양측으로 2개씩 상하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모두 4개의 걸림돌기(29,27)가 돌출된다.
따라서, 윈치(13,15)가 회전하는 경우, 와이어(W)가 승하강함으로써 저장용기(T)를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이때, 전방 윈치(15)와 후방 윈치(13)의 후크(19)는 저장용기(T)의 상하 걸림돌기(29,27)에 각각 걸린 상태인 바, 각 윈치(13,15)의 회전량을 제어하여 와이어(W)의 감긴 정도를 달리함으로써 결국은 저장용기(T)의 직립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저장용기(T)는 한 쌍의 받침부(30,31)에 적치되는 바, 이러한 한 쌍의 받침부(30,31)는 제 1받침부(30)와 제 2받침부(31)를 포함하며, 양 받침부는 동일한 구조이며 다만 배치되는 방향이 서로 반대이다.
따라서, 제 1 및 제 2받침부(30,31)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받침부(30)에 의하여 설명하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받침부(30)는 베이스 프레임(3,4)의 내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 1레일(33)과; 제 1레일(33)에 활주가능하게 장착되어 전후진하는 한 쌍의 측면 브래킷(42)과; 한 쌍의 측면 브래킷(42)의 내측에 배치된 받침대(44)와; 받침대(44)에 돌출 형성되어 승하강하며, 저장용기(T)가 안착되는 한 쌍의 실린더 조립체(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1받침부(30)에 있어서, 한 쌍의 측면 브래킷(42)이 제 1레일(33)에 활주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한 쌍의 측면 브래킷(42)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레일(33)에 암수결합으로 활주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전후진이 가능하다.
한 쌍의 측면 브래킷(42)의 내측에는 받침대(44)가 배치되며, 이 받침대(44)에는 한 쌍의 실린더 조립체(40)가 배치됨으로써 저장용기(T)를 수평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한 쌍의 실린더 조립체(40)는 받침대(44)의 표면에 일정 각도로 돌출되어 승하강 가능한 실린더(36) 및 피스톤(46)과; 피스톤(46)의 상단에 장착되어 저장용기(T)를 지지하는 패드(48)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린더 조립체(40)는 제 1받침부(30)의 내측에 2개가 배치됨으로써 저장용기(T)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측면 브래킷(42)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저장용기(T)를 크레인에 의하여 픽업할 때, 이 공간을 간섭없이 통과하여 픽업될 수 있다.
제 2받침부(31)는 제 1받침부(30)와 유사한 바, 베이스 프레임(3,4)의 내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 2레일(34)과; 제 2레일(34)에 활주가능하게 장착되어 전후진하는 한 쌍의 측면 브래킷(43)과; 한 쌍의 측면 브래킷(43)의 내측에 배치된 받침대(49)와; 받침대(49)에 돌출 형성되어 승하강하며, 저장용기(T)가 안착되는 한 쌍의 실린더 조립체(45)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2받침부(31)는 제 1 받침부(30)와 동일한 구조를 갖으며, 다만 한 쌍의 측면 브래킷(43)의 사이에 안착대(39) 및 돌기(47)가 배치되는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저장용기(T)가 안착될 때, 안착대(39) 및 돌기(47)가 저장용기(T)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 2받침대(31)에 안착대(39) 및 돌기(47)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받침대(30)에도 구비될 수 있는 바, 이는 저장용기(T)가 인입되는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린더 받침대(40)는 제 1받침부(30)에 2개가 배치되고, 제 2받침부(31)에 2개가 배치됨으로써 모두 4개의 받침대가 배치된다. 따라서, 4개의 실린더 받침대(40)가 저장용기(T)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 1 및 제 2받침부(30,31)에 저장용기(T)를 거치시키는 경우, 한 쌍의 그라브(Crab;9,11)를 레일(21)을 따라 일측단으로 이동시키고, 전후방 윈치(13,15)를 구동시켜서 후크(17,19)를 저장용기(T)에 걸림돌기(27,29)에 건다.
이 상태에서 전후방 윈치(13,15)를 구동시켜서 와이어(W)를 감아서 저장용기(T)를 일정 높이로 상승시킨다.
그리고, 전후방 윈치(13,15)를 역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저장용기(T)를 한 쌍의 받침부(30,3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제 1받침부(30)에 배치된 한 쌍의 측면 브래킷(42)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저장용기(T)를 크레인에 의하여 픽업할 때, 이 공간을 간섭없이 통과하여 픽업될 수 있다.
그리고, 전후방 윈치(13,15)를 구동시킴으로써 와이어(W)를 풀어서 수평상태의 저장용기(T)를 하강시켜서 4개의 패드(48)의 상측에 안착시킨다.
이때, 제 1 및 제 2받침대를 레일(33,34)을 따라 소정 거리를 전후진시키고, 실린더(36) 및 피스톤(46)을 구동시켜서 패드(48)의 높낮이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저장용기(T)의 안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용기(T)를 제 1 및 제 2받침부(30,31)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폐기장 등 목적지에 도달하면, 상기의 과정과 역순으로 전후방 윈치(13,15)를 구동시킴으로써 와이어(W)를 감아서 수평상태의 저장용기(T)를 들어올린 후 일측으로 수평이동시킨 후 내려놓게 된다.
한편, 저장용기(T)는 금속재 혹은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 바, 금속재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도 이동에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재질의 저장용기(T)는 내구성이 약하여 파손될 수 있는 바, 트러니언(60,62)을 추가로 장착하여야 한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니언(60,62)은 저장용기(T)의 상단 및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필요시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트러니언(60,62)은 상부에 장착되는 트러니언(60)과 하부에 장착되는 트러니언(62)이 동일한 구조이므로 이하 상부 트러니언(60)에 의하여 설명한다.
상부 트러니언(60)은, 저장용기(T)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 1 및 제 2클램프(61,63)와; 제 1 및 제 2클램프(61,63)의 일측단을 서로 절첩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64)와; 제 1 및 제 2클램프(61,63)의 타측단을 고정시키는 체결부(77)와; 제 1 및 제 2클램프(61,63)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크레인이 픽업하는 걸림돌기(64)를 포함한다.
이러한 트러니언에 있어서,
절첩부(64)는 제 1클램프(61)의 일단에 제 1엔드(65;End)가 형성되며, 제 1엔드(65)에는 제 1 힌지홀(66)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클램프(63)의 일단에 제 2엔드(67)가 형성되며, 제 2엔드(67)에는 제 2힌지홀(68)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 1엔드(65)의 상측에 제 2엔드(67)를 적치시키고 제 1 및 제 2힌지홀(66,68)을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힌지핀(69)을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제 1 및 제 2클램프(61,63)는 절첩부(64)를 중심으로 절첩가능하다.
물론, 상기에서는 힌지핀(69)을 상하방향으로 체결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측방향으로도 체결가능하다.
그리고, 제 1 및 제 2클램프(61,63)의 타단은 체결부(77)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는 바, 체결부(77)는 제 1클램프(61)의 타단에 형성되며 제 1고정홀(76)이 형성된 제 1고졍편(71)과; 제 2클램프(63)의 타단에 형성되며 제 2고정홀(74)이 형성된 제 2고졍편(73)과; 제 1 및 제 2고정홀(76,74)에 체결되어 고정시키는 고정부재(75)를 포함한다.
이때, 고정부재(75)는 볼트 및 너트 체결방식일 수도 있고, 핀 방식일 수도 있는 바, 설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리니언은 제 1 및 제 2클램프(61,63)이 절첩부(64)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저장용기(T)의 외주면을 감싼 후 고정부재(75)를 삽입 체결함으로써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용기(T)의 하부에 트러니언(62)을 추가로 장착하는 바, 하부 트러니언(62)은 상부 트러니언(60)과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콘크리트 저장용기(T)는 압축력에는 높은 내구성이 있으나, 인장력은 약하므로 이동 및 픽업과정에서 파손될 수 있는 바, 상기한 바와 같은 트러니언(60,62)에 의하여 핸들링함으로써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사용후 핵연료 저장용기의 이동장치에 의하여 저장용기를 이동시키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용기(T)를 이동시키는 경우, 먼저 이동장치(1)를 저장용기(T)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한 쌍의 그라브(Crab;9,11)를 거더(7)의 상측에 배치된 레일(33,34)을 따라 일측단으로 수평 이동시킴으로써 전후방 윈치(13,15)가 끝단에 위치하게 한다.
전후방 윈치(13,15)가 끝단, 즉 저장용기(T)의 픽업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전후방 윈치(13,15)를 구동시켜서 와이어(W)를 풀어서 하강시킨다.
그리고, 후크(17,19)를 저장용기(T)에 걸림돌기(27,29)에 건다. 이 상태에서 와이어(W)를 감아서 저장용기(T)를 일정 높이로 상승시킨다.
그리고, 전후방 윈치(13,15)를 역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저장용기(T)를 제 1 및 제 2받침부(30,3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제 1받침부(30)에 배치된 한 쌍의 측면 브래킷(42)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저장용기(T)를 크레인에 의하여 픽업할 때, 이 공간을 간섭없이 통과하여 픽업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전후방 윈치(13,15)를 구동시킴으로써 와이어(W)를 풀어서 수평상태의 저장용기(T)를 하강시켜서 4개의 패드(48)의 상측에 안착시킨다.
이때, 제 1 및 제 2받침대(30,31)를 레일(33,34)을 따라 소정 거리를 전후진시키고 실린더(36) 및 피스톤(46)을 구동시켜서 패드(48)의 높낮이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저장용기(T)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특히, 금속제 저장용기(T)와 콘크리트 저장용기(T)의 외경은 차이가 있음으로 실린더(36) 및 피스톤(46)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안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용기(T)를 제 1 및 제 2받침대(30,31)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폐기장 등 목적지에 도달하면, 상기의 과정과 역순으로 전후방 윈치(13,15)를 구동시킴으로써 와이어(W)를 감아서 수평상태의 저장용기(T)를 들어올린 후 일측으로 수평이동시킨 후 내려놓게 된다.

Claims (8)

  1. 휠(25)이 장착되어 이동가능하고,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4)과;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3,4)의 상측에 각각 배치되는 거더(7)와;
    거더(7)의 상측에 배치된 레일(33,34)상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그라브(Crab;9,11)와;
    그라브(9,11)의 상측에 배치되며 와이어(W) 및 후크(19)를 승하강시킴으로써 사용후 핵연료 저장용기(T)를 직립시켜서 이동시키는 윈치(13,15)와;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3,4)의 전후에 배치되어 윈치(13,15)에 의하여 이송된 사용후 핵연료 저장용기(T)가 적치되는 제 1 및 제 2받침부(30,31)를 포함하며,
    사용후 핵연료 저장용기(T)의 상하부에는 상부 및 하부 트러니언이 각각 배치되며,
    상부 및 하부 트러니언(60,62)은, 저장용기(T)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 1 및 제 2클램프(61,63)와; 제 1 및 제 2클램프(61,63)의 일측단을 서로 절첩가능하게 연결하는 절첩부(64)와; 제 1 및 제 2클램프(61,63)의 타측단을 고정시키는 체결부(77)와; 제 1 및 제 2클램프(61,63)의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크레인이 픽업하는 걸림돌기(70,72)를 포함하는 사용후 핵연료 금속 및 콘크리트 운반 또는 저장 용기 공용 운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그라브(9,11)는 거더(7)의 일측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전방 그라브(11)와; 거더(7)의 타측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후방 그라브(9)를 포함하며, 전방 및 후방 그라브(9,11)의 내측면에는 오목홀(23)이 형성되어 와이어(W)가 상하로 배치되는 사용후 핵연료 금속 및 콘크리트 운반 또는 저장 용기 공용 운반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사용후 핵연료 저장용기(T)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2개씩의 걸림돌기(29,27)가 돌출 형성되는 사용후 핵연료 금속 및 콘크리트 운반 또는 저장 용기 공용 운반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절첩부(64)는 제 1클램프(61)의 일단에 형성되며 제 1힌지홀(66)이 형성되는 제 1엔드(65)(End)와; 제 2클램프(63)의 일단에 형성되며 제 2힌지홀(68)이 형성되는 제 2엔드(67)와; 제 1 및 제 2힌지홀(66,68)을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관통하여 체결하는 힌지핀(69)을 포함하는 사용후 핵연료 금속 및 콘크리트 운반 또는 저장 용기 공용 운반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전방 및 후방 윈치(13,15)는 와이어(W)가 각각 권취되며, 와이어(W)의 하단에는 후크(19)가 연결됨으로써 사용후 핵연료 저장용기(T)의 상하부 걸림돌기(29,27)에 각각 걸리며,
    전방 및 후방 윈치(13,15)를 각각 제어함으로써 와이어(W)의 길이를 조정하여 사용후 핵연료 저장용기(T)를 직립상태에서 수평상태로 기울이는 사용후 핵연료 금속 및 콘크리트 운반 또는 저장 용기 공용 운반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받침부(30,31)는 제 1받침부(30)와 제 2받침부(31)를 포함하며,
    제 1받침부(30)는 베이스 프레임(3,4)의 내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 1레일(33)과; 제 1레일(33)에 활주가능하게 장착되어 전후진하는 한 쌍의 측면 브래킷(42)과; 한 쌍의 측면 브래킷(42)의 내측에 배치된 받침대(44)와; 받침대(44)에 돌출 형성되어 승하강하며, 저장용기(T)가 안착되는 한 쌍의 실린더 조립체(40)를 포함하고,
    제 2받침부(31)는 베이스 프레임(3,4)의 내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 2레일(34)과; 제 2레일(34)에 활주가능하게 장착되어 전후진하는 한 쌍의 측면 브래킷(43)과; 한 쌍의 측면 브래킷(43)의 내측에 배치된 받침대(49)와; 받침대(49)에 돌출 형성되어 승하강하며, 저장용기(T)가 안착되는 한 쌍의 실린더 조립체(45)와; 한 쌍의 측면 브래킷(43)의 사이에 연결되는 안착대(39)와; 안착대(39)에 돌출되는 돌기(47)를 포함하는 사용후 핵연료 금속 및 콘크리트 운반 또는 저장 용기 공용 운반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한 쌍의 실린더 조립체(40)는 받침대(44)의 표면에 일정 각도로 돌출되어 승하강 가능한 실린더(36) 및 피스톤(46)과; 피스톤(46)의 상단에 장착되어 저장용기(T)를 지지하는 패드(48)를 포함하는 사용후 핵연료 금속 및 콘크리트 운반 또는 저장 용기 공용 운반 시스템.
KR1020210175736A 2021-12-09 2021-12-09 사용후 핵연료 금속 및 콘크리트 운반 또는 저장 용기 공용 운반 시스템 KR102615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736A KR102615496B1 (ko) 2021-12-09 2021-12-09 사용후 핵연료 금속 및 콘크리트 운반 또는 저장 용기 공용 운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736A KR102615496B1 (ko) 2021-12-09 2021-12-09 사용후 핵연료 금속 및 콘크리트 운반 또는 저장 용기 공용 운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101A KR20230087101A (ko) 2023-06-16
KR102615496B1 true KR102615496B1 (ko) 2023-12-20

Family

ID=86948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736A KR102615496B1 (ko) 2021-12-09 2021-12-09 사용후 핵연료 금속 및 콘크리트 운반 또는 저장 용기 공용 운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4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28366A1 (en) * 2014-02-12 2015-08-13 Babcock & Wilcox Mpower, Inc. Lift-based up-ender and methods using same to manipulate a shipping container containing unirradiated nuclear fue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15328A1 (de) 2011-10-07 2013-04-11 Mtu Friedrichshafen Gmbh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r Abgasanlage
TWI703583B (zh) * 2015-11-30 2020-09-01 美商Tn美國有限責任公司 用於傳送、旋轉及/或檢查之罐體移動總成及罐體移動方法
US10614925B2 (en) * 2016-12-13 2020-04-07 Nac International Inc. Modular portable cask transfer facil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28366A1 (en) * 2014-02-12 2015-08-13 Babcock & Wilcox Mpower, Inc. Lift-based up-ender and methods using same to manipulate a shipping container containing unirradiated nuclear fu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101A (ko) 202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9445A (ko)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항구 및 운송장치
CN101060020B (zh) 运输包装设备的翻转机
EP2361217B1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a nacelle of a wind turbine
US20110268541A1 (en) Methods for positioning a large load into a transport position and for positioning a large load into a storage position, trailer and/or lorry
US3178216A (en) Cargo pallet construction
CN101920825A (zh) 一种运车箱及利用该运车箱装运汽车的方法
US5915906A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a ship
US4383792A (en) Crane for detachable mounting on a truck bed
KR102615496B1 (ko) 사용후 핵연료 금속 및 콘크리트 운반 또는 저장 용기 공용 운반 시스템
US20110250040A1 (en) Trailer for the transportation by road of containers
KR101609163B1 (ko) 핵 연료 집합체용 용기 취급 시스템
JPH04327430A (ja) 船への積込・積降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908402B1 (ko) 크레인의 제조방법 및 크레인의 상가(上架)구조체의 상가(上架) 시스템
CN113795642A (zh) 用于将塔架或塔架段从非竖立位置枢转至竖立位置的工具布置结构
RU2550940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еревозки суперконтейнеров с разрядными и экологически опасными грузами
CN115315577A (zh) 移动提升装置以及用于运输风力涡轮机的部件的方法和系统
RU221324U1 (ru)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ый механизм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съемных контейнеров
SU839777A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 перевозкиКРупНОгАбАРиТНыХ Т жЕлОВЕСНыХ гРузОВ
CN216443523U (zh) 物品装卸车装置
CN213706442U (zh) 一种防运输倾覆且方便吊运的铁路运输用卷钢座架
JP2022146163A (ja) 建材の建て起こし方法および装置
JP4514277B2 (ja) 製品コイルの船積方法
KR200452252Y1 (ko) 로로선 카 데크 대차 인입용 지그
JP2504293Y2 (ja) 船舶上架用台車の昇降装置
JPH0460068A (ja) コンテナ用トレーラシャーシの立体格納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