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229B1 -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229B1
KR102615229B1 KR1020210140821A KR20210140821A KR102615229B1 KR 102615229 B1 KR102615229 B1 KR 102615229B1 KR 1020210140821 A KR1020210140821 A KR 1020210140821A KR 20210140821 A KR20210140821 A KR 20210140821A KR 102615229 B1 KR102615229 B1 KR 102615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built
hinge
fastening
in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6957A (ko
Inventor
박문하
Original Assignee
박문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문하 filed Critical 박문하
Priority to KR1020210140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229B1/ko
Publication of KR20230056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에 관한 발명으로, 안경프레임의 렌즈림 양측에 선단을 결합하여 후방으로 연장 구비하고 후단에는 고정체결부(111)를 하향 절곡하여 형성하는 고정몸체(110)와, 양측 안경다리의 선단에서 일체로 형성하여 전방으로 연장 구비하고 선단에는 작동체결부(121)를 하향 절곡하여 형성하는 작동몸체(120)와, 고정몸체(110) 및 작동몸체(120)의 사이에서 박스 형상으로 구비하여 상호 연결하되, 고정몸체(110)는 고정하고 작동몸체(120)는 제한된 각도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하는 힌지박스부(130)와, 힌지박스부(130)에 내장하고 중심부에는 체결고정홈(141)을 요입 형성하여 상기 고정체결부(111)를 결합하도록 구비하는 제1내장몸체(140)와, 힌지박스부(130)에 내장하고 중심부에는 체결작동홈(151)을 요입 형성하여 작동체결부(121)를 결합하도록 구비하는 제2내장몸체(150)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보다 원활한 작동성 및 사용성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HINGE ASSEMBLY FOR GLASSES}
본 발명은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프레임과 안경다리 사이를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 어셈블리의 구조를 종래와 차별하여 구성함으로써 작동성 및 사용성이 편리한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시력을 교정하고 눈을 보호하거나 패션의 목적으로 이용하며 사용자가 얼굴에 착용 가능하도록 설계된 안경프레임과, 프레임에 조립되는 렌즈로 구성된다.
안경프레임은 소재에 따라서 금속프레임, 플라스틱프레임, 콤비네이션프레임 등이 있다. 금속프레임은 주요 소재인 합금에 금, 백금을 도금하거나 티탄, 니켈크롬, 스테인리스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경도 및 강도가 높은 이점이 있으나 플라스틱프레임에 비해 무겁고 가공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플라스틱프레임은 열가소성 수지인 셀룰로이드나 아세테이트 및 에폭시 수지 등을 금형을 이용해 사출 성형하여 제조하며 금속프레임에 비해 경량이면서 가공성이 우수하고 디자인의 다양화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콤비네이션프레임은 이종 재질을 혼합하여 장점을 극대화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안경프레임은 렌즈프레임 및 안경다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렌즈프레임은 렌즈가 조립되는 양측 림과, 림 사이를 연결하면서 사용자의 콧 등을 지지하는 노즈패드를 장착하는 브릿지와, 림의 양측에서 안경다리를 결합하도록 구비하는 엔드피스로 이루어지는바, 엔드피스에는 안경다리가 절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안경프레임에서 힌지는 엔드피스와 안경다리 사이를 연결하면서 렌즈 후방으로 안경다리를 절첩하는 구성으로써 안경다리의 작동을 담당하는 주요부라 할 수 있다. 안경 힌지는 안경다리의 종류, 디자인, 및 작동 방식 등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 및 형태로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는바, 종래 공지된 기술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안경 힌지의 구조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일례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201647 호에는 안경테 및 렌즈와 연결되는 양측의 숫힌지와 암힌지의 결합부를 절첩 구조로 형성함에 있어, 숫힌지의 결합부위 일면 중앙을 돌출시켜 끼움돌출부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여 암힌지의 결합부위에는 체결홈을 형성하여 상호 끼워맞춤되게 한 상태에서 이들의 결합부를 종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진 힌지핀체결공에 힌지핀으로서 절첩가능토록 체결하는 안경 힌지 체결구조를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201649 호에는 암경첩부재와 수경첩부재을 얇은 스테인레스 판재로 프레스 성형하되, 암경첩부재는 중앙부에 수직절곡면을 가지고, 수직절곡면 양측 상부에 각각 구멍 또는 나사구멍를 가진 원형의 브라켓을 형성하여, 수직절곡면를 기준으로 브라켓을 90°로 절곡형성시키고, 프레스 성형된 수경첩부재은 대칭 연결된 원형의 제1삽입편 및 제2삽입편에 각각 구멍을 형성하여 연결부위를 절첩하고, 외측면 끝단부를 90°로 외향절곡시켜 수직절곡편을 형성하는 안경 경첩을 구성한다.
또 다른 예로서, 한국공개실용신안 제 20 - 2011 - 0008302 호에는 반원형으로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암경첩돌기 사이에 작동홈을 형성하고 암경첩돌기의 중심을 관통하는 핀공을 형성하는 암경첩과, 상,하 양측에 작동홈을 형성하고 중앙에 핀공을 가진 반원형의 숫경첩돌기를 형성하는 숫경첩을 마련하여 암,수경첩돌기를 각각 대향하는 암,수경첩 작동홈 내측으로 투입하여 핀공의 중심을 일치시키고 회동핀을 압입하여 결합하는 안경용 조립식경첩을 구성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201647 호 (2000.11.01)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201649 호 (2000.11.01) 한국공개실용신안 제 20 - 2011 - 0008302 호 (2011.08.25) 한국공개실용신안 제 20 - 2011 - 0003676 호 (2011.04.14)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안경용 힌지는 일반적으로 안경프레임의 엔드피스와 안경다리 각각의 단부에 핀홀을 형성하는 암힌지 및 숫힌지 구조를 형성하여 결합하고 핀공에 힌지핀을 체결하여 절첩 구조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종래의 안경프레임에 적용되는 암힌지 및 숫힌지 구조는 핀홀을 중심으로 상호 지그재그 방식으로 형성된 경첩돌기를 결합하는 일반적인 경첩 구조에 해당하는바, 다양한 디자인이 적용 가능한 안경프레임 및 안경다리에 비해 안경용 힌지는 대부분 이와 같은 동일한 형태의 경첩 구조를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안경다리의 절첩 작동성을 제어하기 어려워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안경용 힌지는 힌지에 의한 회동 축심을 엔드피스 및 안경다리의 내측에 형성하여야 하는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안경다리를 접은 상태에서 엔드피스 및 안경다리의 단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작동 상태를 도출하여 외관이 수려하지 못하고 작동 과정에서 양측 단부 사이에 머리카락이나 손가락이 끼이는 등의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안경프레임의 렌즈림 양측에 선단을 결합하여 후방으로 연장 구비하고 후단에는 고정체결부(111)를 하향 절곡하여 형성하는 고정몸체(110)와,
양측 안경다리의 선단에서 일체로 형성하여 전방으로 연장 구비하고 선단에는 작동체결부(121)를 하향 절곡하여 형성하는 작동몸체(120)와,
상기 고정몸체(110) 및 작동몸체(120)의 사이에서 박스 형상으로 구비하여 상호 연결하되, 상기 고정몸체(110)는 고정하고 작동몸체(120)는 제한된 각도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하는 힌지박스부(130)와,
상기 힌지박스부(130)에 내장하고 중심부에는 체결고정홈(141)을 요입 형성하여 상기 고정체결부(111)를 결합하도록 구비하는 제1내장몸체(140)와,
상기 힌지박스부(130)에 내장하고 중심부에는 체결작동홈(151)을 요입 형성하여 상기 작동체결부(121)를 결합하도록 구비하는 제2내장몸체(15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작동성 및 사용성을 제공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안경프레임과 안경다리 사이를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안경용 힌지를 통상의 암, 수 경첩 형태와 차별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해 안경다리의 절첩부의 외관을 보다 수려하게 마감하여 안경프레임의 측면 디자인을 더욱 다양화, 고급화할 수 있으며 머리카락이나 손가락의 끼임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는 물론, 종래 기술과 같이 경첩 부위의 힌지핀이 유실되거나 안경프레임으로부터 안경다리가 분리되는 등의 고질적인 문제를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경다리를 절첩 또는 전개 시 종래 기술과 같은 경첩 구조와 같이 힌지핀에 의해 안경다리의 회동이 과도하게 타이트하거나 루즈하여 힘없이 떨어지는 작동감을 배제하고 최대 120도 범위 내에서 어떠한 각도로 전개하더라도 안정적으로 부드러운 작동성을 보장하여 사용성이 편리한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 평면도(a) 및 측면도(b).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a) 및 측면(b)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 평면도(a) 및 측면도(b),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a) 및 측면(b)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는 안경프레임과 안경다리 사이를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 어셈블리의 구조를 종래의 암, 수 경첩 구조와 차별하여 작동성 및 사용성이 편리한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는 안경프레임에 구비하는 고정몸체(110)와, 안경다리에 구비하는 작동몸체(120)와, 그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박스부(130)와, 힌지박스부(130)에 장착하는 제1내장몸체(140) 및 제2내장몸체(15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고정몸체(110)는 안경프레임의 렌즈림 양측에 선단을 결합하여 후방으로 연장 구비하고 후단에는 고정체결부(111)를 하향 절곡하여 형성한다.
상기 고정몸체(110)는 한 쌍을 구비하여 안경프레임의 양측 렌즈림의 양 단부에 일체로 결합한다.
상기 고정몸체(110)는 금속재로 이루어져 금속재 안경프레임과 일체로 형성하거나 플라스틱재 안경프레임에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구비한다.
상기 고정몸체(110)는 안경프레임에 결합하는 선단에서 후단에 마련되는 고정체결부(111)를 향해 대략 '─┐' 형상으로 형성하여 구비한다.
상기 고정체결부(111)는 선단 수평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하여 일정 길이로 형성한다. 고정체결부(111)는 원형 핀 형상으로 구비하되 외주면에는 스크류를 형성하여 후술하게 될 제1내장몸체(140)의 체결고정홈(141)에 고정 체결되도록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몸체(110)는 후술하게 될 힌지박스부(1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작동몸체(120)는 양측 안경다리의 선단에서 일체로 형성하여 전방으로 연장 구비하고 선단에는 작동체결부(121)를 하향 절곡하여 형성한다.
상기 작동몸체(120)는 한 쌍을 구비하여 양측 안경다리의 선단에 일체로 구비한다.
상기 작동몸체(120)는 금속재로 이루어져 금속재 안경다리와 일체로 형성하거나 플라스틱재 안경다리에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구비한다.
상기 작동몸체(120)는 선단에 마련되는 작동체결부(121)에서 안경다리에 결합하는 후단을 향해 대략 '┌─' 형상으로 형성하여 구비한다.
상기 작동체결부(121)는 후단 수평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하여 일정 길이로 형성한다. 작동체결부(121)는 원형 핀 형상으로 구비하되 외주면에는 스크류를 형성하여 후술하게 될 제2내장몸체(150)의 체결작동홈(151)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하여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작동몸체(120)는 후술하게될 힌지박스부(130)에 힌지 작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박스부(130)는 상기 고정몸체(110) 및 작동몸체(120)의 사이에서 박스 형상으로 구비하여 상호 연결하되, 상기 고정몸체(110)는 고정하고 작동몸체(120)는 제한된 각도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한다.
상기 힌지박스부(130)는 한 쌍을 구비하여 안경프레임의 양측에서 안경다리 사이를 연결하는 부위에 장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힌지박스부(13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장방형 박스 형상의 몸체를 마련하여 선측에는 상기 고정몸체(110)를, 후측에는 상기 작동몸체(120)를 장착하기 위한 구조를 형성하며, 제1내장부(131)와, 고정부(132)와, 제2내장부(133)와, 제1작동부(134) 및 제2작동부(135)를 포함한다.
상기 제1내장부(131)는 힌지박스부(130)의 상면 전측에서 상하로 형성하고 후술하게 될 제1내장몸체(140)를 장착하여 수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내장부(131)는 상기 고정몸체(110)를 체결하도록 마련되는 하기 제1내장몸체(140)를 힌지박스부(130)에 장착하기 위해 형성하며, 안경프레임 측에 인접하는 힌지박스부(130)의 전측에 형성한다.
상기 제1내장부(131)는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는 하기 제1내장몸체(140)의 외형에 상응하는 내형을 형성하여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호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132)는 상기 제1내장부(131)의 상단에서 전측 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고정몸체(110)의 양 측면을 밀착 고정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132)는 상기 제1내장부(131)의 상단 개구의 양측에서 상향 돌출하여 형성하되, 상기 고정몸체(110)의 수평부가 위치하는 개구의 전측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하여 고정몸체(110)의 수평부가 고정부(132)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제1내장부(131)에는 고정몸체(110)를 체결고정홈(141)에 결합하는 제1내장몸체(140)가 장착되는바, 상기 고정부(132)는 제1내장부(131)의 상부에서 고정체결부(111)로부터 절곡되어 힌지박스부(130)의 전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몸체(110)의 수평부를 양측에서 밀착하여 고정하도록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132)의 좌, 우 간격은 상기 고정몸체(110)의 수평부의 직경, 또는 하기 제1내장몸체(140)의 체결고정홈(141)의 직경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구비한다.
상기 제2내장부(133)는 힌지박스부(130)의 상면 후측에서 상하로 형성하고 후술하게 될 제2내장몸체(150)를 장착하여 수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내장부(133)는 상기 작동몸체(120)를 체결하도록 마련되는 하기 제2내장몸체(150)를 힌지박스부(130)에 장착하기 위해 형성하며, 안경다리 측에 인접하는 힌지박스부(130)의 후측에 형성한다.
상기 제2내장부(133)는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는 하기 제2내장몸체(150)의 외형에 상응하는 내형을 형성하여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호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작동부(134) 및 제2작동부(135)는 안경다리에 구비하는 상기 작동몸체(120)를 제한된 각도 내에서 전개 및 절첩 가능하도록 작동하기 위한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제1작동부(134)는 상기 제2내장부(133)의 상단에서 후측 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작동몸체(120)의 일 측면이 선택적으로 당접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작동부(134)는 상기 제2내장부(133)의 상단 개구의 일측, 즉 안경다리를 전개한 상태에서 힌지박스부(130)의 내, 외측 중 외측에 해당하는 개구의 일측에서 후측 방향으로 상향 돌출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2작동부(135)는 상기 제2내장부(133)의 상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작동몸체(120)의 타 측면이 선택적으로 당접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작동부(135)는 상기 제2내장부(133)의 상단 개구의 타측, 즉 안경다리를 절첩한 상태에서 안경프레임과 평행하는 개구의 타측에서 힌지박스부(130)의 내측 방향으로 상향 돌출하여 형성한다.
즉, 상기 제1작동부(134)는 힌지박스부(130)의 상단에서 전개된 안경다리에 평행하는 선상에서 상향 돌출하여 형성하고, 상기 제2작동부(135)는 힌지박스부(130)의 상단에서 절첩된 안경다리에 평행하는 선상에서 상향 돌출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안경다리의 전개시에는 상기 작동몸체(120)의 일 측면이 상기 제1작동부(134)에 당접하여 전개 범위가 제한되며, 안경다리의 절첩시에는 상기 작동몸체(120)의 타 측면이 상기 제2작동부(135)에 당접하여 전개 범위가 제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작동부(134) 및 제2작동부(135)는 상호 100 ~ 120도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하여 상기 작동몸체(120)가 최대 120도 범위에서 회동 각도를 제한하도록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제1작동부(134)에 의해 상기 작동몸체(120)의 작동체결부(121)가 제2내장몸체(150)의 체결작동홈(151)으로부터 완전히 체결 해제되어 안경다리가 분리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작동부(135)는 상기 제2내장부(133)의 상단으로부터 굴곡면을 형성하여 상기 작동몸체(120)의 타 측면이 원만한 형태로 당접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내장몸체(140)는 상기 힌지박스부(130)에 내장하고 중심부에는 체결고정홈(141)을 요입 형성하여 상기 고정체결부(111)를 결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내장몸체(140)는 상기 힌지박스부(130)의 전측에 형성하는 제1내장부(131)에 장착하여 상기 고정몸체(110)와 힌지박스부(130) 간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내장몸체(140)는 플라스틱재로 형성하며 상기 제1내장부(131)의 내형에 상응하는 외형을 형성하여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호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내장몸체(140)에 형성하는 체결고정홈(141)은 원형 핀 형상으로 구비하는 상기 고정체결부(111)를 수용하도록 형성하되 내주면에는 스크류를 형성하여 고정체결부(111)가 고정 체결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내장몸체(150)는 상기 힌지박스부(130)에 내장하고 중심부에는 체결작동홈(151)을 요입 형성하여 상기 작동체결부(121)를 결합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내장몸체(150)는 상기 힌지박스부(130)의 후측에 형성하는 제2내장부(133)에 장착하여 상기 작동몸체(120)와 힌지박스부(130) 간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내장몸체(150)는 플라스틱재로 형성하며 상기 제2내장부(133)의 내형에 상응하는 외형을 형성하여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호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내장몸체(150)에 형성하는 체결작동홈(151)은 원형 핀 형상으로 구비하는 상기 작동체결부(121)를 수용하도록 형성하되 내주면에는 스크류를 형성하여 작동체결부(121)가 안경다리의 전개 또는 절첩시 스크류를 따라서 정, 역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힌지박스부(130)에는 상기 제2내장몸체(150)가 내장된 일측 외부에서 펀칭 또는 압입에 의해 코깅고정부(136)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코깅고정부(136)는 힌지박스부(130)의 내측면 후측, 즉 상기 제2내장부(133)가 형성되는 위치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압입 형성하여 상기 제2내장부(133)와, 제2내장부(133)에 장착되는 상기 제2내장몸체(150)를 상호 고정하도록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작동몸체(120)가 제2내장몸체(150)를 기점으로 회동시에도 힌지박스부(130)와 제2내장몸체(150) 사이에는 견고하고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는 안경프레임의 렌즈림 양측에 고정몸체(110)를 구비하고, 양측 안경다리 각각의 선단에 작동몸체(120)를 구비하여 힌지박스부(130)로 연결한다. 힌지박스부(130)에는 제1내장몸체(140) 및 제2내장몸체(150)를 장착하여 고정몸체(110)를 고정, 작동몸체(120)는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상기 고정몸체(110)는 선단이 안경프레임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체결부(111)를 제1내장몸체(140)의 체결고정홈(141)에 체결하여 고정하고, 제1내장몸체(140)는 힌지박스부(130)의 제1내장부(131)에 장착되는바, 고정몸체(110)의 수평부의 양 측면이 힌지박스에 마련되는 고정부(132)에 의해 밀착 고정된다. 따라서, 안경다리를 작동 시에도 고정몸체(110)는 힌지박스부(130)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작동몸체(120)는 후단이 안경다리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작동체결부(121)를 제2내장몸체(150)의 체결작동홈(151)에 체결하고, 제2내장몸체(150)는 힌지박스부(130)의 제2내장부(133)에 장착되며, 코깅고정부(136)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작동몸체(120)는 안경다리의 전개시 작동체결부(121)가 스크류를 따라서 정방향 회전하고 절첩시 역방향 회전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작동몸체(120)의 수평부는 안경다리 및 작동몸체(120)가 전개 시 힌지박스부(130)의 제1작동부(134)에 일 측면이 당접하여 회동 각도가 제한되며, 안경다리 및 작동몸체(120)가 절첩 시 힌지박스부(130)의 제2작동부(135)에 타 측면에 당접하여 절첩 각도가 제한된다. 상기 제1작동부(134)와 제2작동부(135)는 상호 100 ~ 120도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하므로 안경다리 및 작동몸체(120)는 상기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이 이루어지며, 제1작동부(134)에 의해 상기 작동몸체(120)의 작동체결부(121)가 제2내장몸체(150)의 체결작동홈(151)으로부터 완전히 체결 해제되어 안경다리가 분리되는 문제를 방지한다.
상기 제2내장몸체(15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힌지박스부(130)의 제2내장부(133)에 견고하게 장착되는바, 안경다리의 회동 시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작동몸체(120)의 작동체결부(121)와 스크류를 따라 회전 시 보다 부드러운 작동성을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안경다리를 절첩 또는 전개 시 종래 기술과 같은 경첩 구조와 같이 힌지핀에 의해 안경다리의 회동이 과도하게 타이트하거나 루즈하여 힘없이 떨어지는 작동감을 배제하고 최대 120도 범위에서 어떠한 각도로 전개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원하는 작동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는 안경프레임과 안경다리 사이를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안경용 힌지를 종래 기술과 같은 통상의 암, 수 경첩을 탑재하는 구조와 차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해 안경다리의 절첩부의 외관을 보다 수려하게 마감하여 안경프레임의 측면 디자인을 더욱 다양화, 고급화할 수 있으며 머리카락이나 손가락의 끼임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안경다리를 절첩 또는 전개 시 원하는 각도로 안정적이고 부드러운 작동성을 보장하여 사용성이 탁월하고, 더불어 종래 기술과 같이 경첩 부위의 힌지핀이 유실되거나 안경다리가 분리되는 등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배제하는 등의 다양한 이점이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110: 고정몸체
111: 고정체결부
120: 작동몸체
121: 작동체결부
130: 힌지박스부
131: 제1내장부
132: 고정부
133: 제2내장부
134: 제1작동부
135: 제2작동부
136: 코깅고정부
140: 제1내장몸체
141: 체결고정홈
150: 제2내장몸체
151: 체결작동홈

Claims (3)

  1. 안경프레임의 렌즈림 양측에 선단을 결합하여 후방으로 연장 구비하고 후단에는 고정체결부(111)를 하향 절곡하여 형성하는 고정몸체(110)와,
    양측 안경다리의 선단에서 일체로 형성하여 전방으로 연장 구비하고 선단에는 작동체결부(121)를 하향 절곡하여 형성하는 작동몸체(120)와,
    상기 고정몸체(110) 및 작동몸체(120)의 사이에서 박스 형상으로 구비하여 상호 연결하되, 상기 고정몸체(110)는 고정하고 작동몸체(120)는 제한된 각도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하는 힌지박스부(130)와,
    상기 힌지박스부(130)에 내장하고 중심부에는 체결고정홈(141)을 요입 형성하여 상기 고정체결부(111)를 결합하는 제1내장몸체(140)와,
    상기 힌지박스부(130)에 내장하고 중심부에는 체결작동홈(151)을 요입 형성하여 상기 작동체결부(121)를 결합하는 제2내장몸체(150)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박스부(130)는,
    상면 전측에서 상하로 형성하고 상기 제1내장몸체(140)를 장착하여 수용하는 제1내장부(131)와,
    제1내장부(131)의 상단에서 전측 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고정몸체(110)의 양 측면을 밀착 고정하는 고정부(132)와,
    상면 후측에서 상하로 형성하고 상기 제2내장몸체(150)를 장착하여 수용하는 제2내장부(133)와,
    제2내장부(133)의 상단에서 후측 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작동몸체(120)의 일 측면이 선택적으로 당접하도록 구비하는 제1작동부(134)와,
    제2내장부(133)의 상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작동몸체(120)의 타 측면이 선택적으로 당접하도록 구비하는 제2작동부(135)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작동부(134)와 제2작동부(135)는 상호 100 ~ 120도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하여 상기 작동몸체(120)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제2작동부(135)는 상기 제2내장부(133)의 상단으로부터 굴곡면을 형성하여 상기 작동몸체(120)의 타 측면이 원만한 형태로 당접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박스부(130)에는,
    제2내장몸체(150)가 내장된 일측 외부에서 펀칭 또는 압입에 의해 힌지박스부(130)의 제2내장부(133)와 제2내장몸체(150)의 일측면을 압입하여 상호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구비하는 코깅고정부(1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
KR1020210140821A 2021-10-21 2021-10-21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 KR102615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821A KR102615229B1 (ko) 2021-10-21 2021-10-21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821A KR102615229B1 (ko) 2021-10-21 2021-10-21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957A KR20230056957A (ko) 2023-04-28
KR102615229B1 true KR102615229B1 (ko) 2023-12-15

Family

ID=86143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821A KR102615229B1 (ko) 2021-10-21 2021-10-21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229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61093A1 (de) * 1998-08-05 2000-02-24 Markus Temming Brille
KR200201647Y1 (ko) 2000-02-01 2000-11-01 김형식 안경 힌지 체결구조
KR20010094277A (ko) 2000-04-06 2001-10-31 서재문 안경 경첩
KR20110003676U (ko) 2009-10-08 2011-04-14 이상탁 결합볼트 풀림방지용 안경경첩
KR20110008302U (ko) 2010-02-19 2011-08-25 이상탁 안경용 조립식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957A (ko) 202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0988B2 (en) Eyeglass earstem with enhanced performance
US9081211B2 (en) Magnetic hinge
JP2828916B2 (ja) ケース入り折畳み眼鏡
KR102615229B1 (ko)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
CN209962033U (zh) 弹性铰链及具有该弹性铰链的眼镜
KR102204946B1 (ko) 안경용 힌지
EP1008888A1 (en) Foldable spectacles
JPH1039261A (ja) ヒンジレス眼鏡テンプルの折り畳み機構
KR200450246Y1 (ko) 림락과 힌지기능을 가진 안경테 고정수단
EP0973056A1 (en) Spectacle frames with hinge formed of metal wire and spectacles comprising said frames
US10962801B2 (en) Screwless hinge for a pair of eyeglasses
CN207232558U (zh) 一种眼镜铰链结构及应用的眼镜
JP3003386U (ja) 眼 鏡
KR102455587B1 (ko) 안경 다리 어셈블리
CN215769231U (zh) 镜腿自动开启式眼镜
JP5190533B2 (ja) 眼鏡フレーム
JP3526842B2 (ja) 眼鏡の連結機構
KR200490801Y1 (ko) 안경다리와 장석의 결합구조체
KR20100009301U (ko) 폴리아미드소재의 안경테
KR200406829Y1 (ko) 탄발력을 이용한 합성수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JP2001305489A (ja) 眼鏡のノーズパッド並びに眼鏡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81671Y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안경과 선셰이드클립
KR200347246Y1 (ko) 안경과 보조안경의 연결장치
KR20220087063A (ko) 템플의 회전과 접힘이 간결하게 작동되는 안경테용 힌지 및 그 힌지가 적용된 안경테
KR200222157Y1 (ko) 무테안경의 렌즈와 다리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