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872Y1 - 안경다리가 없는 보조안경을 가진 부착연결식 안경조립체 - Google Patents

안경다리가 없는 보조안경을 가진 부착연결식 안경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872Y1
KR200308872Y1 KR20-2003-0000757U KR20030000757U KR200308872Y1 KR 200308872 Y1 KR200308872 Y1 KR 200308872Y1 KR 20030000757 U KR20030000757 U KR 20030000757U KR 200308872 Y1 KR200308872 Y1 KR 2003088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glasses
eyeglass
sides
lock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7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쳉 혼-밍
Original Assignee
쳉 혼-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쳉 혼-밍 filed Critical 쳉 혼-밍
Priority to KR20-2003-00007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8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8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8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다리가 없는 보조안경을 가진 부착연결식 안경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독립적인 주안경과 주안경의 안경테 앞에 부착될 수 있는 안경다리가 없는 보조안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특징으로서, 주안경의 브리지는 종방향의 폭이 있고, 안쪽면에는 하나의 중간 로크 조인트 돌출부가 있으며, 상기 돌출부 양쪽에는 자석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안경의 브리지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부착연결편과, 그 양단에 앞쪽으로 두 안경테의 안쪽 변두리까지 연장된 연결부이 있다. 부착연결편의 바깥면에는 중간 로크 조인트 골부가 있으며, 골부의 양쪽에는 자석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은 주안경의 브리지의 두 상변에 장착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로크 조인트 돌출부와 로크 조인트 골부가 서로 로크 조인트하며, 로크 조인트부 양쪽의 자석은 로크 조인트 골부 양쪽의 자석과 대응되게 흡착되어 안경다리가 없는 보조안경이 주안경에 확실하게 부착연결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다.

Description

안경다리가 없는 보조안경을 가진 부착연결식 안경조립체{Eyeglasses Assembly with a Temple-less Auxiliary Eyeglasses}
본 고안은 안경다리가 없는 보조안경이 부착연결되는 안경조립체의 개량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경다리가 없는 썬글라스가 별도의 안경에 확실히 흡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분해조립식 안경조립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통 사람들이 널리 사용하는 안경으로는 시력을 교정시키거나 색다른 면모를 나타내게 하는데 사용되는 일반 안경 외에, 태양광선을 막아주는 썬글라스(Sunglass)가 있다. 썬글라스에는 독립적인 썬글라스도 있지만, 착용을 간단화하기 위해, 일반 안경에 부착연결할 수 있는, 안경다리가 없는 썬글라스렌즈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형식의 썬글라스는, 안경다리가 없는 썬글라스렌즈를 자석을 이용하여 일반 안경에 부착연결하여 썬글라스로 사용하는 것이다.
도1과 도2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을 설명한다.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하나의 독립적인 주(主)안경(1)과 안경다리가 없는 보조안경으로 구성된 안경조립체이다. 주안경(1)은 내부에 한 쌍의 렌즈(11)가 있는 안경테(1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안경테(12)의 중간에 배치된 브리지(Bridge, 13) 및 각 안경테(12) 바깥쪽의 힌지부(121)에 축 결합된 안경다리(14), 안경테(12) 바깥쪽의 힌지부(121)의 구부러진 부분의 안쪽에는 자석(122)이 설치되어 있다. 보조안경(2)에는, 내부에 썬글라스렌즈(21)를 포함한 한 쌍의 안경테(22), 및 제1, 제2 안경테(22)의 중간에 배치된 브리지(Bridge, 23)가 설치되어 있다. 각 안경테(22)의 바깥쪽에는 각각 커넥션암(Connection Arm, 221)이 연장되어 있다. 보조안경(2)의 커넥션암(221)위에는 위에서 기술한 주안경의 자석(122)에 대응하는 자석(222)이 있다. 브리지(23)에 의해 브리지(13) 위에 장착된다. 주안경의 자석(122)과 보조안경의 자석(222) 사이의 상호 흡착으로 보조안경(2)이 안경테(12) 앞에 부착연결되며, 보조안경의 제1 및 제2 안경테(22)와 주안경의 제1 및 제2 안경테(12)는 잘 맞추어져 썬글라스 기능을 갖는 분해조립식 안경조립체를 형성한다. 상기 보조안경(2)을 없애면 일반안경으로 회복된다.
위에서 기술한 종래의 안경조립체는 주안경 자석(122)과 보조안경 자석(222) 사이의 상호 흡착력과 보조안경의 브리지(23)에 의해 주안경의 브리지(13)에 장착된다. 종래의 안경조립체는 썬글라스렌즈를 일반 안경위에 부착하는 기능을 갖고 있긴 하지만, 보조안경테(22)의 바깥쪽으로 연장된 커넥션암(221)으로 인해 주안경의 안경테(12)가 본래 가지고 있는 설계 특성을 상실시키는 결함을 지니고 있었다. 더욱이, 주안경 안경테(12)의 힌지부(121) 및 브리지(13)는 모두 일반 안경구조에서의 중점부위이다. 보조안경의 커넥션암(221)이 주안경테(12)의 힌지부(121) 위에 겹쳐서 조립됨으로써, 주안경태(12)의 힌지부(121) 본래의 설계특성을 덮어서 가리게 된다. 그리고, 커넥션암(221)이 연장된 끝부분이 무게를 증가시키므로, 안경을 낄 때 불편함이 가중된다. 이 밖에, 도3과 같이 주안경의 안경다리(14)가 펼쳐질 때, 주안경(1)의 프레임이 밖으로 굽어서 약간 확장되는 문제점이 있다(도4의 가상선 참조). 이에 따라, 보조안경(2)의 프레임이 앞으로 밀려서 주안경(1)의 프레임과 틈새가 생기게 되어, 보조안경이 탈락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안의 목적은 안경다리가 없는 썬글라스가 별도의 안경에 확실히 흡착하여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주안경테의 본래의 설계특성을 상실시키지 않는 분해조립식 안경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분해조립식 안경조립체의 주(主)안경과 안경다리가 없는 보조(補助)안경의 분해도이다.
도2는, 도1에서의 보조안경이 주안경에 부착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조립도이다.
도3은, 도2의 보조안경이 외력을 받아 편차가 발생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4는, 도3의 주안경의 안경테가 밖으로 열리면서 확장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주안경과 안경다리가 없는 보조안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안경이 주안경에 부착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안경이 주안경에 부착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8은, 도7에서 A-A 단면선에 따라 바라본 단면도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종래기술:
1... 주안경 11... 렌즈
12... 주안경테 121... 힌지부
122... 주안경 자석 13... 브리지
14... 안경다리 2... 보조안경
21... 썬글라스렌즈 22... 보조안경테
221... 커넥션암(Connection Arm) 222... 보조안경 자석
23... 보조안경 브리지(bridge)
본 고안의 구성:
3... 주안경 31... 렌즈
32... 주안경테 321... 힌지부
33... 주안경 브리지(Bridge) 331... 안쪽면
332... 돌출부 333... 주안경 자석
34... 안경다리 4... 보조안경
41... 썬글라스렌즈 42... 보조안경테
43... 보조안경 브리지(Bridge) 431... 부착연결편
432... 연결부 433... 바깥면
434... 골부(Valley) 435... 보조안경 자석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과 관련하여 채용된 기술수단 및 구조적 특징에 따라 달성될 수 있는 효과와 목적을 아래와 같이 상세히 서술한다.
도5, 도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독립적인 주안경(3)과 주안경(3)의 안경테 앞에 흡착되어 연접할 수 있는 안경다리가 없는 보조안경(4)으로 구성된다. 그 중 주안경(3)은 내부에 한 쌍의 렌즈(31)가 있는 안경테(32), 안경테(32)의 중간에 배치된 브리지(33), 및 제1, 제2 안경테(32)의 바깥 끝에 피봇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안경다리(34)를 포함한다. 여기에, 보조안경(4)이 주안경의 안경테(32) 앞에 배치되어 분해조립식 썬글라스를 형성한다. 그 중에는 내부에 한 쌍의 썬글라스렌즈(41)가 포함된 안경테(42) 및 안경테(42)의 중간에 배치된 브리지(43)가 포함된다.
본 고안은 보조안경(4)과 주안경(3) 사이의 부착연결구조를 개선한 것이다. 그 특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브리지(33)는 적당한 종방향의 폭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얼굴에 가까운 안쪽면(331)에는 중간 로크 조인트부 및 돌출부(332) 양쪽의 적당한 위치에 자석(333)이 구비되어 있다. 브리지(43)는 제1 및 제2 안경테(42)의 중간 뒤쪽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부착연결편(431), 및 부착연결편(431) 위의 양쪽 끝으로부터 앞쪽으로 제1 및 제2 안경테(42) 안쪽 변두리로 연장된 연결부(432)를 포함한다. 부착연결편(431)은 적당한 종방향의 폭을 가진다. 그리고, 얼굴로부터 멀리 떨어진 바깥면(433) 위에는 중간 로크 조인트 골부(Valley, 434), 및 골부(434) 양쪽의 적당한 위치에 배치된 자석(435)이 있다. 연결부(432)는 약간 굽어 있으며, 브리지(33)를 횡단할 수 있는 횡방향 폭의 길이가 있어 브리지(33)의 양쪽 상단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로크 조인트 골부(434)와 로크 조인트 돌출부(332)는 서로 로크 조인트할 수 있다. 그리고, 로크 조인트 골부(434) 양쪽의 자석(435)은 로크 조인트 돌출부(332) 양쪽의 자석(333)과 대응되게 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조립상태는 도6과 도8에 나타낸 바와 같다. 보조안경(4)의 연결부(432)은 브리지(33) 양쪽의 상단에 장착될 수 있다. 부착연결편(431)은 브리지(33) 뒤쪽으로부터 도입되어 앞으로 향한다. 그 위의 골부(434)와 브리지(33) 위의 돌출부(332)가 서로 로크 조인트하며, 골부(434) 양쪽의 자석(435)은 돌출부(332) 양쪽의 자석(333)과 대응되게 부착된다. 부착연결편(431)의 바깥면(433)은 브리지(33)의 안쪽면(331)과 안정되게 흡착 결합되며, 보조안경(4)의 안경테(42)가 온전하게 안경테(32) 앞에 부착되어 조립형태를 형성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보조안경 브리지(43)의 부착연결편(431)의 종방향의 폭은 브리지(33)의 종방향의 폭보다 크지 않은 것을 구체적인 실시예로 한다. 보조안경(4)의 안경테 42가 주안경테 32 앞에 부착된 후, 부착연결편(431)은 브리지(33)의 안쪽에 은폐된다. 따라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안경 브리지가 본래 가지고 있는 설계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 연결부(432)은 금속으로 된 가는 선으로 브리지(33) 위에 장착되어 단지 가느다란 선으로만 나타나므로, 주안경 브리지(33)의 본래 설계특성에 대한 영향이 최대로 저하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돌출부(332)와 골부(434)는 각각 대응되게 로크 조인트될 수 있는 볼록부(Convex)와 오목부(Concave)를 형성한다. 보조안경 브리지(43)과 주안경 브리지(33) 사이는 자력으로 흡착될 뿐만 아니라 볼록부(Convex)와 오목부(Concave)의 끼움작용을 통해 위치고정 효과가 제고된다. 그 밖에, 다른 실시예로서, 돌출부(332)와 골부(434)는 서로 대응되게 로크 조인트하는 오목부(Concave)와 볼록부(Convex)로 각각 치환될 수 있으며, 볼록부가 용이하게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볼록부(332)에는 경사면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라 형성된 썬글라스기능을 구비한 분해조립식 안경조립체에 따르면, 안경테(42)의 바깥쪽으로 연장된 커넥션암이 없어 주안경 안경테의 힌지부(321)가 본래 가지고 있는 설계특성을 상실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브리지(43)의 구성에 의해 주안경 브리지(33)의 본래 설계특성에 대한 영향을 최대로 저하시킨다. 그리고, 안경이 받는 측방향 힘 및 상,하 진동 외력의 영향이 효과적으로 감소되어, 보조안경(4)이 안경테(32) 앞에 안정되게 부착연결된다. 또, 브리지(43)의 구조는 굴곡이 많은 가공을 거치지 않고 형성되므로 제조할 때 번거롭지 않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종래에 널리 사용되는 안경다리가 없는 보조안경을 가진 부착연결식 안경조립체에 비해 효과가 크게 증진된다.

Claims (3)

  1. 안경다리가 없는 보조안경을 가진 부착연결식 안경조립체에 있어서,
    1개의 독립적인 주(主)안경과, 주안경 안경테 앞에 흡착연결될 수 있는 1개의 안경다리가 없는 보조안경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안경에는 2개의 안경테 중간에 배치된 브리지(Bridge)가 설치되어 있고,
    보조안경에는 2개의 안경테 중간에 상기 브리지에 연접되는 브리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브리지의 얼굴에 가까운 부위의 안쪽면에는 1개의 중간 로크 조인트 돌출부와, 돌출부 양쪽에 위치한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브리지에는, 2개의 안경테 중간에서 약간 뒤쪽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부착연결편과, 부착연결편 상단 양쪽 끝에서 앞쪽으로 제1 및 제2 안경테 안쪽변두리로 연장된 연결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은 브리지 양쪽의 상단에 장착될 수 있도록 길이를 가지고 있고,
    상기 부착연결편에서 얼굴과 멀리 떨어진 바깥면에는 1개의 중간 로크 조인트 골부, 및 골부 양쪽에 위치한 자석이 있어,
    상기 골부와 브리지의 로크 조인트 돌출부가 서로 로크 조인트하고, 골부 양쪽의 자석은 브리지 로크 조인트 돌출부 양쪽의 자석과 대응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가 없는 보조안경을 가진 부착연결식 안경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는 보조안경의 브리지와 결합하기 위한 종방향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가 없는 보조안경을 가진 부착연결식 안경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안경 브리지의 부착연결편의 종방향의 폭은 브리지의 종방향의 폭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가 없는 보조안경을 가진 부착연결식 안경조립체.
KR20-2003-0000757U 2003-01-10 2003-01-10 안경다리가 없는 보조안경을 가진 부착연결식 안경조립체 KR2003088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757U KR200308872Y1 (ko) 2003-01-10 2003-01-10 안경다리가 없는 보조안경을 가진 부착연결식 안경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757U KR200308872Y1 (ko) 2003-01-10 2003-01-10 안경다리가 없는 보조안경을 가진 부착연결식 안경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872Y1 true KR200308872Y1 (ko) 2003-03-28

Family

ID=4933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757U KR200308872Y1 (ko) 2003-01-10 2003-01-10 안경다리가 없는 보조안경을 가진 부착연결식 안경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8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6257A (ko) 자석 클립 메카니즘을 가진 안경용의 추축 회전 가능한보조 렌즈 프레임 및, 주 렌즈 프레임
JP2002014303A5 (ko)
KR20110086212A (ko) 조립이 용이한 안경테
JP3110736B1 (ja) リムレス眼鏡フレームおよびリムレス眼鏡
KR100931791B1 (ko) 안경용 힌지구조
US7144108B2 (en) Spectacles and sunshade clip assembly using magnets
US5896186A (en) Eyeglass assembly having pivotable receiving means
KR200308872Y1 (ko) 안경다리가 없는 보조안경을 가진 부착연결식 안경조립체
US6848784B1 (en) Eyeglass device having primary and auxiliary spectacle frames
KR102346852B1 (ko) 선글라스 탈착 취부형 안경
JP3071524U (ja) 鼻当てパッド
EP0973056A1 (en) Spectacle frames with hinge formed of metal wire and spectacles comprising said frames
US20060244896A1 (en) Spectacles and sunshade clip assembly using ornamental coupling structure
KR200307409Y1 (ko) 안경에 보조안경의 결합구조
KR200450246Y1 (ko) 림락과 힌지기능을 가진 안경테 고정수단
KR200385176Y1 (ko) 무테안경
CN216160930U (zh) 一种镜片及无框眼镜
JP5190533B2 (ja) 眼鏡フレーム
CN215769231U (zh) 镜腿自动开启式眼镜
CN208399836U (zh) 双层磁吸眼镜
JPH0143693Y2 (ko)
KR101941402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JPH0224099Y2 (ko)
KR0112473Y1 (ko) 레저용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구조
KR200244159Y1 (ko) 안경과 클립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