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489B1 - 먼지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먼지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4489B1
KR102614489B1 KR1020160162516A KR20160162516A KR102614489B1 KR 102614489 B1 KR102614489 B1 KR 102614489B1 KR 1020160162516 A KR1020160162516 A KR 1020160162516A KR 20160162516 A KR20160162516 A KR 20160162516A KR 102614489 B1 KR102614489 B1 KR 102614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external
hole
fa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2628A (ko
Inventor
이강선
김태형
이승현
김미숙
김성혁
서혜경
김외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2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489B1/ko
Priority to EP17876169.8A priority patent/EP3550281A4/en
Priority to CN201780074506.9A priority patent/CN110036273A/zh
Priority to US16/464,235 priority patent/US11112343B2/en
Priority to PCT/KR2017/013004 priority patent/WO2018101653A1/ko
Publication of KR20180062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1/0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05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with fil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6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with provision for intake from several spaces
    • G01N15/07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01N2001/245F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01N2001/247Syrin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Abstract

두 공간의 먼지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되 노이즈 발생 여지를 최소화 하기 위해 먼지 센서, 상기 먼지 센서를 실장하고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두 지점에 각각 형성되어 외부와 상기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제1 외부 홀 및 제2 외부 홀, 상기 제1 외부 홀 및 제2 외부 홀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 방향으로 유량을 형성하도록 구동하는 제1 팬 및 제2 팬 및 상기 제1 팬 또는 상기 제2 팬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먼지 측정 장치{DUST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두 이상의 공간에 대한 먼지 농도 측정이 가능한 먼지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정 공기 중의 먼지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먼지 센서가 사용된다. 먼지의 양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 피측정 대상 공기가 먼지 센서를 지나도록 하게 해야 한다.
따라서 먼지 센서를 구비한 먼지 측정 장치는 먼지 센서로 외부 공기를 유입 또는 배출시키는 구조를 포함한다.
먼지 측정 장치의 공기 유입/배출 구조에 있어서 중요한 두 가지 구성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구성과 유입된 공기가 먼지 센서에 도달하거나 빠져나가게 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때 외부 공기의 먼지 상태를 명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외부 공기를 일정 유량 및 유속으로 유입시키는 장치를 필요로 하고, 의도하지 않은 영역의 공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할 것을 필요로 한다.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구성은 팬 또는 압축기가 대표적이다. 팬 또는 압축기는 먼지 측정 장치의 내부와 외부에 압력차를 발생시켜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배출 시킨다.
하나의 먼지 센서는 한 공간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는 것이 원칙이겠으나, 시간차를 두어 두 공간 이상의 영역에 대한 공기 상태를 측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두 공간 이상의 영역에 대한 공기 상태를 측정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두 공간의 공기 중 먼지 농도 측정을 필요로 하는 경우로서 자동차의 내기 및 외기의 먼지 농도차이를 알고 싶은 경우, 또는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공기 청정기로 들어가는 공기 및 공기 청정기에서부터 나오는 공기의 먼지 농도 차이를 알고 싶은 경우 등을 예로 들 수도 있다.
이렇게 물리적으로 떨어진 두 공간의 공기 상태, 즉 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각 외부 공간과 연결되는 각각의 먼지 측정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하나의 먼지 측정 장치로 두 공간의 공기 상태를 측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먼지 측정 장치를 설명한다.
이렇게 하나의 먼지 측정 장치를 통해 둘 이상의 공간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경우 고려해야 할 사항이 몇 가지가 있다.
첫째로 각 공간의 먼지 측정의 응답성이 좋아야 한다. 먼지 측정 응답성이 좋다고 하는 것은 각 공간의 먼지 측정을 원하는 경우 이를 즉시 파악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즉 제1 공간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던 도중 제2 공간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길 원하는 경우 이를 즉시 파악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응답성이 좋을수록 측정 값의 노이즈는 감소한다.
둘째로 공기가 흐르는 유로에 대한 실링 신뢰도이다. 팬이나 펌프를 통해 먼지 센서로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에 다른 공간의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노이즈가 발생하여 정확한 측정 값을 얻을 수 없으므로 해당 경로의 공간을 완벽하게 실링할 필요가 있다.
또는 먼지 측정 장치의 밀폐 또는 실링 상태의 정도에 따라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먼지 농도 측정 값에 차이 내지 노이즈를 가져올 수 있다.
셋째로 구조의 단순화이다. 먼지 측정 장치가 복잡하고 부피가 커지는 경우 여러 지점에 대한 실링을 해야 하므로 비용의 증가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구조를 단순하게 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두 공간의 먼지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발생하는 비용증가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먼지 센서, 상기 먼지 센서를 실장하고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두 지점에 각각 형성되어 외부와 상기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제1 외부 홀 및 제2 외부 홀, 상기 제1 외부 홀 및 제2 외부 홀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 방향으로 유량을 형성하도록 구동하는 제1 팬 및 제2 팬 및 상기 제1 팬 또는 상기 제2 팬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팬은 상기 제1 외부 홀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팬은 상기 제2 외부 홀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외부 홀은 외부 제1 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외부 홀은 외부 제2 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외부 제1 공간과 상기 외부 제2 공간은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먼지 센서는, 상기 먼지 센서를 관통하는 센싱 경로의 양측에 형성된 제1 내부 홀 및 제2 내부 홀 및 상기 센싱 경로상의 일 지점에 구비된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부 홀 및 상기 제1 외부 홀 사이의 밀폐된 경로를 형성하는 제1 벤트 브라켓 및 상기 제2 내부 홀 및 상기 제2 외부 홀 사이의 밀폐된 경로를 형성하는 제2 벤트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벤트 브라켓 및 제2 벤트 브라켓에 구비된 매쉬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팬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 실링 브라켓 및 상기 제2 팬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 실링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팬 및 제2 팬 각각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 상기 지지 브라켓에 형성된 결합 홀 및 상기 본체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 홀에 결합하는 돌출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브라켓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은 이격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구 및 출구를 갖는 먼지 센서, 상기 먼지 센서의 입구와 연결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벤츄리 관(Venturi tube), 상기 벤츄리 관의 일 지점에 형성되어 외부 제1 공간에서 상기 벤츄리 관으로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 튜브 홀, 상기 벤츄리 관의 다른 일 지점에 형성되어 외부 제2 공간에서 상기 벤츄리 관으로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 튜브 홀, 상기 외기 홀 또는 상기 내기 홀에 구비되어 상기 벤츄리 관에 유량을 형성하도록 구동되는 제3 팬 및 상기 벤츄리 관의 압력이 제1 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제3 팬을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4 팬을 실장하고 상기 제4 팬에 의해 형성된 유량을 갖는 공기가 유입되는 제1 입구, 제2 입구 및 상기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출구를 구비하는 제4 팬 실장부, 외부 제1 공간에 연결되는 입구 및 상기 제1 입구에 연결된 출구를 갖는 제1 먼지 센서 및 외부 제2 공간에 연결되는 입구 및 상기 제2 입구에 연결된 출구를 갖는 제2 먼지 센서를 포함하는 먼지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센싱 경로를 형성하는 먼지 센서, 상기 먼지 센서의 센싱 경로 양측에 형성된 제1 홀 및 제2 홀, 상기 제1 홀 또는 상기 제2 홀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된 양 방향 팬 및 상기 양 방향 팬이 선택적으로 유량의 방향을 갖도록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외부 제1 공간, 상기 먼지 센서, 상기 양 방향 팬 및 외부 제2 공간 순으로 공기의 흐름 경로를 형성하거나, 외부 제2 공간, 상기 먼지 센서, 상기 양 방향 팬 및 외부 제1 공간 순으로 공기의 흐름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측정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하나의 장치로 두 공간의 공기 중의 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먼지 농도 측정의 응답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먼지 농도 측정에 있어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적은 비용으로 높은 응답성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관심이 없는 공기 중의 다른 이물질을 제거하여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먼지 측정 장치의 일 실시 예를 간단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먼지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 예 1의 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제1 실시 예의 먼지 측정 장치의 구체적인 일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제1 실시 예의 먼지 측정 장치의 구체적인 일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먼지 센서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4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지지 브라켓의 결합 영역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지지 브라켓의 결합 영역에 대한 결합 정면도이다.
도 10은 실시 예 2의 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실시 예 3의 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실시 예 4의 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특정 공기 중의 먼지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먼지 센서가 사용된다. 먼지의 양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 피측정 대상 공기가 먼지 센서를 지나도록 하게 해야 한다.
따라서 먼지 센서를 구비한 먼지 측정 장치는 먼지 센서로 외부 공기를 유입 또는 배출시키는 구조를 포함한다.
먼지 측정 장치의 공기 유입/배출 구조에 있어서 중요한 두 가지 구성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구성과 유입된 공기가 먼지 센서에 도달하거나 빠져나가게 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때 외부 공기의 먼지 상태를 명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외부 공기를 일정 유량 및 유속으로 유입시키는 장치를 필요로 하고, 의도하지 않은 영역의 공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할 것을 필요로 한다.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구성은 팬 또는 압축기가 대표적이다. 팬 또는 압축기는 먼지 측정 장치의 내부와 외부에 압력차를 발생시켜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배출 시킨다.
하나의 먼지 센서는 한 공간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는 것이 원칙이겠으나, 시간차를 두어 두 공간 이상의 영역에 대한 공기 상태를 측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두 공간 이상의 영역에 대한 공기 상태를 측정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두 공간의 공기 중 먼지 농도 측정을 필요로 하는 경우로서 자동차의 내기 및 외기의 먼지 농도차이를 알고 싶은 경우, 또는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공기 청정기로 들어가는 공기 및 공기 청정기에서부터 나오는 공기의 먼지 농도 차이를 알고 싶은 경우 등을 예로 들 수도 있다.
이렇게 물리적으로 떨어진 두 공간의 공기 상태, 즉 먼지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각 외부 공간과 연결되는 각각의 먼지 측정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하나의 먼지 측정 장치로 두 공간의 공기 상태를 측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먼지 측정 장치를 설명한다.
이렇게 하나의 먼지 측정 장치를 통해 둘 이상의 공간의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경우 고려해야 할 사항이 몇 가지가 있다.
첫째로 각 공간의 먼지 측정의 응답성이 좋아야 한다. 먼지 측정 응답성이 좋다고 하는 것은 각 공간의 먼지 측정을 원하는 경우 이를 즉시 파악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즉 제1 공간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던 도중 제2 공간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길 원하는 경우 이를 즉시 파악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응답성이 좋을수록 측정 값의 노이즈는 감소한다.
둘째로 공기가 흐르는 유로에 대한 실링 신뢰도이다. 팬이나 펌프를 통해 먼지 센서로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에 다른 공간의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노이즈가 발생하여 정확한 측정 값을 얻을 수 없으므로 해당 경로의 공간을 완벽하게 실링할 필요가 있다.
또는 먼지 측정 장치의 밀폐 또는 실링 상태의 정도에 따라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먼지 농도 측정 값에 차이 내지 노이즈를 가져올 수 있다.
셋째로 구조의 단순화이다. 먼지 측정 장치가 복잡하고 부피가 커지는 경우 여러 지점에 대한 실링을 해야 하므로 비용의 증가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구조를 단순하게 하는 것이 적절하다.
도 1은 종래의 먼지 측정 장치(600)의 일 실시 예를 간단하게 나타낸 것이다.
두 공간의 먼지를 측정하기 위한 종래의 먼지 측정 장치(600)는 입구(611)와 출구(612)를 구비하는 먼지 센서(610) 및 제1 공간의 공기와 제2 공간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6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은 물리적으로 구획된 두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에 구비되는 먼지 측정 장치의 경우 제1 공간은 외기, 제2 공간은 내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은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솔레노이드 밸브(630)는 두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선택적으로 유입시킨다. 제1 공간의 먼지를 측정할 때는 제2 공간으로부터의 입구(632)를 차단하고, 제2 공간의 먼지를 측정할 때는 제1 공간으로부터의 입구(631)를 차단시킨다.
솔레노이드 밸브(630)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그 구조의 구비를 위한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먼지 측정 장치는 제1 공간 또는 제2 공간으로부터 먼지를 유입시키기 위한 힘을 발생시키기 위해 먼지 센서(610)의 출구(612) 쪽에 팬(640)을 구비한다. 팬(640)은 먼지 센서(610)의 입구(611)에서 출구(612) 방향으로 유량을 발생시킨다. 즉, 팬(640)은 먼지 센서(610)의 입구(611)와 출구(612) 중에서 출구(612) 쪽에서 입구(611) 쪽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차를 발생시킨다.
팬(Fan) 이외에도 펌프(Pump)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먼지 센서(610)의 출구(612) 쪽에 위치한 팬(640)이 생성한 압력차에 의해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의 공기는 먼지 센서(610)를 향해 유량을 형성하는데, 이때 의도하지 않은 다른 공간,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630)의 제1 공간 입구(631a) 및 제2 공간 입구(631b), 또는 먼지 센서(610)를 실장하고 있는 센서 실장부(620)의 입구(621) 또는 출구(622)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제1 공간 또는 제2 공간의 공기와 섞일 우려가 있다.
이는 공기 상태 측정 결과에 노이즈를 발생시킨다.
또, 솔레노이드 밸브(630)의 특성상 제1 공간 입구(631a) 및 제2 공간 입구(631b)를 선택적으로 개폐해야 하는데,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제1 공간의 먼지를 측정할 때 제2 공간으로부터의 유입 경로를 완전히 밀폐, 즉 실링시켜야 하며, 반대로 제2 공간의 먼지를 측정할 때 제1 공간으로부터의 유입 경로를 실링시켜야 한다.
이러한 실링 구조는 비용 증가를 초래하므로 실링을 요구하는 영역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실링 구조를 최소화 하고 간단한 구조를 구현하여 적은 비용으로 높은 정확도도를 갖는 먼지 측정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먼지 측정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먼지 측정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30), 출력부(140), 인터페이스부(150), 메모리(160), 제어부(170) 및 전원 공급부(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먼지 측정 장치(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먼지 측정 장치(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먼지 측정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먼지 측정 장치(100)와 다른 외부 단말기 사이, 또는 먼지 측정 장치(100)와 외부 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먼지 측정 장치(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무선 인터넷 모듈(111), 근거리 통신 모듈(112), 위치정보 모듈(1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2)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2)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먼지 측정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먼지 측정 장치(100)와 다른 먼지 측정 장치(100) 사이, 또는 먼지 측정 장치(100)와 다른 먼지 측정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외부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측정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이동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2)은, 먼지 측정 장치(100) 주변에, 상기 먼지 측정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상기 감지된 이동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측정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먼지 측정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2)을 통해 이동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먼지 측정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먼지 측정 장치(100)는 이동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처리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특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측정 장치(100)가 측정한 피부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이를 데이터 베이스화 하여 피부 상태 변화의 경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다시 피드백 하여 먼지 측정 장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측정 장치(100)에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 중, 먼지 측정 장치(100)에 구비된 NFC 모듈은 10cm 안팎의 거리에서 단말 간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NFC 모듈은 카드 모드, 리더 모드 및 P2P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NFC 모듈이 카드 모드로 운용되기 위해서, 먼지 측정 장치(100)는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보안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보안 모듈이란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예컨대,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SIM(Universal SIM)), Secure micro SD 및 스티커 등 물리적 매체일 수도 있고, 먼지 측정 장치에 임베디드되어 있는 논리적 매체(예컨대, embeded SE(Secure element))일 수도 있다. NFC 모듈과 보안 모듈 사이에는 SWP(Single Wire Protocol)에 기반한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NFC 모듈이 카드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먼지 측정 장치(100)는 전통적인 IC 카드처럼 저장하고 있는 카드 정보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NFC 모듈이 리더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먼지 측정 장치는 외부의 태그(Tag)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이때, 먼지 측정 장치가 태그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는 NFC 포럼에서 정하는 데이터 교환 포맷(NFC Data Exchange Format)으로 코딩될 수 있다. 아울러, NFC 포럼에서는 4개의 레코드 타입을 규정한다. 구체적으로, NFC 포럼에서는 스마트 포스터(Smart Poster), 텍스트(Text),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및 일반 제어(General Control) 등 4개의 RTD(Record Type Definition)를 규정한다.
NFC 모듈이 P2P(Peer-to-Peer)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먼지 측정 장치(100)는 다른 기기와 P2P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P2P 통신에는 LLCP(Logical Link Control Protocol) 가 적용될 수 있다. P2P 통신을 위해 먼지 측정 장치(100)와 다른 외부 단말기 사이에는 커넥션(connection)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생성되는 커넥션은 1개의 패킷을 교환하고 종료되는 비접속형 모드(connectionless mode)와 연속적으로 패킷을 교환하는 접속형 지향 모드(connection-oriented mode)로 구분될 수 있다. P2P 통신을 통해 데이터 및 블루투스, Wi-Fi 연결을 위한 셋업 파라미터 등이 교환될 수 있다. 다만, NFC 통신의 가용 거리는 짧으므로, P2P 모드는 크기가 작은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위치정보 모듈(113)은 먼지 측정 장치(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먼지 측정 장치(100)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먼지 측정 장치(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먼지 측정 장치(100)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먼지 측정 장치(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먼지 측정 장치(100)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먼지 측정 장치(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먼지 측정 장치(100)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2,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4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먼지 측정 장치(100)에 구비된 카메라(121)는 특히 부착된 피부 표면 상태를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1)가 구비된 경우 촬영된 피부 표면 상태를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확인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2)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2)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먼지 측정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2)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먼지 측정 장치(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싱부(130)는 먼지 측정 장치(100) 내 정보, 먼지 측정 장치(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30)는 근접센서(13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3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133, 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마이크로폰(microphone),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먼지 측정 장치(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먼지 측정 장치(100) 내 정보, 먼지 측정 장치(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7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먼지 측정 장치(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먼지 측정 장치(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근접 센서(13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3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먼지 측정 장치(100)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3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3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3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3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3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먼지 측정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4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먼지 측정 장치(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4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7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70) 자체일 수 있다.
출력부(14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41), 음향 출력부(142), 햅틱 모듈(143), 광 출력부(14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먼지 측정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2)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먼지 측정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1)는 먼지 측정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41)는 먼지 측정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먼지 측정 장치(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5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 측정 장치(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5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먼지 측정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60)는 먼지 측정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먼지 측정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먼지 측정 장치(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먼지 측정 장치(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먼지 측정 장치(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70)에 의하여 상기 먼지 측정 장치(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먼지 측정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2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먼지 측정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먼지 측정 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8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먼지 측정 장치(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측정 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먼지 측정 장치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 실시 예 1 -
두 공간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동일한 유로를 공유하되 독립적으로 팬을 구비하여 먼지 센서로 미는 방향의 유량의 형성시키는 먼지 측정 장치(200)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실시 예 1의 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먼지 센서(210)는 먼지 측정 장치(200)의 본체 하우징(220)에 실장될 수 있다. 본체 하우징(220)은 먼지 센서(210)를 실장함과 동시에 먼지 측정 장치(200) 전체의 유로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220)에는 제1 외부 홀(221a) 및 제2 외부 홀(221b)이 구비된다. 제1 외부 홀(221a) 및 제2 외부 홀(221b)은 본체 하우징(220)의 두 지점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제1 외부 홀(221a)은 먼지 센서(210)의 제1 내부 홀(211a)에, 제2 외부 홀(221b)은 먼지 센서(210)의 제2 내부 홀(211b)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외부 홀(221a)은 외부 제1 공간과 연결되고 제2 외부 홀(221b)은 외부 제2 공간과 연결된다. 이때 외부 제1 공간과 외부 제2 공간은 구획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팬(240a)은 제1 외부 홀(221a)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제2 팬(240b)은 제2 외부 홀(221b)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여기서 대응된다는 의미는, 제1 팬(240a)은 제1 외부 홀(221a)로부터 먼지 센서(210)로 공기 유량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며, 제2 팬(240b)은 제2 외부 홀(221b)로부터 먼지 센서(210)로 공기 유량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제1 팬(240a)은 제1 공간과 먼지 센서(210) 사이에 구비되어 제1 공간의 공기가 먼지 센서(210)로 흐르도록 압력차를 형성시키고, 제2 팬(240b)는 제2 공간과 먼지 센서(210) 사이에 구비되어 제2 공간의 공기가 먼지 센서(210)로 흐르도록 압력차를 형성시킬 수 있다. 즉, 각 팬(240)은 외부의 공기를 팬의 위치까지 끌어 당기고 끌어 당긴 외부 공기를 다시 먼지 센서로 밀어주는 방향으로 힘 작용을 할 수 있다.
먼지 센서(210)에 공기를 미는 형태의 힘을 발생시키는 팬(240) 배치는 실링 구조에 있어서 이점이 있다.
상술한 팬 배치 구조에서는 외부 공간에서부터 팬(240) 까지 공기를 당기는 지점까지의 실링만 고려하면 족하다.
예를 들어 외부 제1 공간으로부터 제1 팬(240a), 제1 외부 홀(221a) 및 먼지 센서(210)의 제1 내부 홀(211a) 방향으로 공기가 흐르는 경우, 외부 제1 공간으로부터 제1 팬(240a)까지만 다른 공간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실링 구조를 구현하면 족하다.
왜냐하면 그 이후의 영역, 즉 팬(240)이 끌어들인 공기를 다시 미는 힘이 작용하는 영역에 대해서는 피측정 공기(여기서는 외부 제1 공간의 공기)가 실링되지 못한 틈으로 새어 나갈지언정 외부 의도하지 않은 공기(외부 제2 공간의 공기 등)가 유입될 우려는 없기 때문이다.
이는 반대로 외부 제2 공간으로부터 제2 팬(240b), 제2 외부 홀(221b) 및 먼지 센서(210)의 제2 내부 홀(211b) 방향으로 유량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즉, 외부 제2 공간으로부터 제2 팬(240b)까지만 다른 공간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실링 구조를 구현하면 족하다.
이러한 이유에서 제1 팬(240a)은 제1 외부 홀(221a)의 외측에, 제2 팬(240b)은 제2 외부 홀(221b)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각 팬(240)이 외부 홀(221)의 내측에 구비되는 경우 외부 홀(221)에 대한 실링까지 구현해야 하기 때문이다.
먼지 측정 장치(200)의 제어부는 제1 팬(240a) 또는 제2 팬(240b)을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외부 제1 공간의 공기 또는 외부 제2 공간의 공기의 먼지 상태를 선택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외부 제1 공간의 공기 먼지 농도를 측정할 경우 제1 팬(240a)을 구동시키고 제2 팬(240b)을 구동시키지 않고, 외부 제2 공간의 공기 먼지 농도를 측정할 경우 제2 팬(240b)을 구동시키고 제1 팬(240a)을 구동시키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외부 제1 공간과 외부 제2 공간의 먼지 농도를 모두 측정 원하는 경우 제1 팬(240a) 및 제2 팬(240b)을 시간차를 두어 구동하고,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제어부는 구동된 팬(240)에 의해 발생한 유량에 대한 공기 중의 먼지 농도를 구분하여 측정할 필요가 있다. 즉, 먼지 센서(210)가 공기의 흐름 방향을 자체적으로 감지하는 것은 아니므로 제어부가 이를 구분하고 대응시켜야 한다. 공기의 흐름 방향의 변화로 인한 먼지 측정 결과의 변화가 확실할수록 제어부는 이를 구분하기 용이하다.
팬(240)의 크기와 회전 속도 등은 유량을 형성하는 경로의 크기 및 형상과 함께 공기 유량을 결정하는 요소가 될 수 있고, 이는 정확한 먼지 측정을 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즉, 정확한 먼지 측정을 위해 공기 유량을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
도 4 및 도 5는 제1 실시 예의 먼지 측정 장치(200)의 구체적인 일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먼지 측정 장치(200)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먼지 측정 장치(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체 하우징(220)은 특히 직육면체 등의 다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 하우징(220)은 서로 대면하는 두 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외부 홀(221a) 및 제2 외부 홀(221b)은 대면하는 두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부 홀(221a) 및 제2 외부 홀(221b)은 특히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최선의 형태는 제1 외부 홀(221a) 및 제2 외부 홀(221b)이 동일 선상에 구비되는 것이다.
제1 외부 홀(221a) 및 제2 외부 홀(221b)이 동일 선상에 구비되는 경우 공기 등의 유체가 제1 외부 홀(221a)에서 제2 외부 홀(221b)로, 제2 외부 홀(221b)에서 제1 외부 홀(221a)로 흐를 때 의도하지 않은 난류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이는 상술한 응답성이 좋아 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체 하우징(220)은 함몰 영역의 실장부를 형성하는 안착부(2201) 및 안착부(2201)를 덮는 캡(2202)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캡(2202)이 안착부(2201)를 덮는 경우 제1 외부 홀(221a) 및 제2 외부 홀(221b)을 제외한 영역은 밀폐된다. 여기서 밀폐된다는 의미는 완벽하게 실링되어 공기가 새어 나가거나 들어올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의도한 다른 영역에서의 유량을 크게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외부로부터 차단 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밀폐와 실링은 모두 물체와 같은 구성은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막혀 있으나, 밀폐는 공기나 먼지 등의 작은 입자가 출입할 수 있을 정도의 상태를, 실링은 이러한 공기나 먼지 등의 작은 입자가 출입할 수 없는 정도의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실링은 밀폐의 좀 더 한정된 개념이 될 수 있다.
먼지 센서(210)는 실장 보드(251)에 마운트 된 형태로 본체 하우징(220)에 실장될 수 있다. 실장 보드(251)는 메인 기판(252)과 직/간접 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먼지 센서(210) 또는 팬의 구동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도 메인 기판(252)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는 AP(Application Processor)의 형태의 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체 하우징(220)에는 전원 공급부 역할을 하는 배터리도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실장 보드(251) 및 메인 기판(252)은 본체 하우징(220)에 형성된 안착 가이드부(253)에 고정될 수 있다. 안착 가이드부(253)는 실장 보드(251) 또는 메인 기판(252)의 경계 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먼지 센서(21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지 센서(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학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유입되는 공기 중의 상대적인 먼지의 양을 광학적으로 센싱할 수 있다.
먼지 센서(210)는 공기 및 먼지가 관통하여 지나가는 센싱 경로(214)를 구비할 수 있다. 센싱 경로(214)의 입구 또는 출구가 되는 양측 홀이 상술한 제1 내부 홀(211a) 및 제2 내부 홀(211b)이 될 수 있다.
빛을 조사하여 먼지의 상대량을 측정하는 센싱부(213)는 제1 내부 홀(211a) 및 제2 내부 홀(211b)이 형성하는 센싱 경로(214) 상의 일 지점에 구비된다.
먼지 센서(210)의 센싱 경로에 대해 양 방향으로 공기가 흐르는 경우 제1 내부 홀(211a) 및 제2 내부 홀(211b) 각각은 입구 및 출구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게 된다.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제1 내부 홀(211a), 센싱부 및 제2 내부 홀(211b) 순으로 흐르며 제1 내부 홀(211a)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먼지 상태를 측정할 수도 있고, 반대로 제2 내부 홀(211b), 센싱부(213) 및 제1 내부 홀(211a) 순으로 흐르며 제2 내부 홀(211b)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먼지 상태를 측정할 수도 있다.
먼지 센서는 제3 내부 홀(217) 등 추가적인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제3 내부 홀(217)은 제1 내부 홀(211a) 및 제2 내부 홀(211b) 보다 넓은 개구부를 형성하여 센싱부(213)에 접근하기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 내부 홀(217)을 통해 센싱부(213)를 청소하여 인식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제3 내부 홀(217)은 개방된 상태로 본체 하우징(220)에 실장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노이즈 발생의 여지를 최소화 하기 위해 막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차단은 테이프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먼지 센서(210)의 먼지 농도 측정 정확도는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 및 유속, 나아가 상기 요소들의 안정도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먼지 농도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유입 공기의 유량 및 유속이 필요하고 이러한 적절한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을 요한다.
도 7은 도 4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편의상 도 4 및 5를 함께 참조한다.
벤트 브라켓(270)은 먼지 센서(210)에 구비된 내부 홀(211)과 본체 하우징(220)에 구비된 외부 홀(221)을 연결하여 공기가 흐르는 경로를 형성한다.
벤트 브라켓(270)은 제1 벤트 브라켓(270a) 및 제2 벤트 브라켓(27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벤트 브라켓(270a)은 제1 내부 홀(211a) 및 제1 외부 홀(221a) 사이의 경로를 형성하고, 제2 벤트 브라켓(270b)은 제2 내부 홀(211b) 및 제2 외부 홀(221b) 사이의 경로를 형성한다.
벤트 브라켓(270)은 외부 홀(221)로부터 내부 홀(211)로, 또는 내부 홀(211)로부터 외부 홀(221)로 공기가 흐르는 유량 및 유속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벤트 브라켓(270)은 외부 홀(221)과 내부 홀(211) 사이의 유체의 경로를 형성하여 본체 하우징(220)의 내부 공간 다른 영역으로 불필요하게 공기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또 벤트 브라켓(270)은 외부 홀(221)부터 내부 홀(211)까지의 유로인 벤트 홀(271)을 갖는다. 벤트 홀(271)은 특정 단면적 형상을 구비하여 유량 및 유속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벤트 브라켓(270)의 벤트 홀(271)이 외부 홀(221)에서 내부 홀(211)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경우 노즐(Nozzle)의 역할을 수행하고, 외부 홀(221)에서 내부 홀(211)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경우 디퓨저(Diffuser)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벤트 브라켓(270)의 벤트 홀(271) 형상은 외부 홀(221) 및 내부 홀(211)의 사이 유로의 형상 및 크기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외부 홀(221) 및 내부 홀(211)의 형상 및 크기를 결정하게 된다.
벤트 브라켓(270)은 필요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는 교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벤트 브라켓(270)은 메쉬 필터를 구비하여 필터링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쉬 필터는 피측정 대상이 아닌 다른 물질이 유입되어 장치의 손상을 가하거나 측정 결과에 노이즈를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쉬 필터는 동시에 공기 및 먼지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단면적에 영향을 미쳐 유량 및 유속에 또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벤트 브라켓(270)은 본체 하우징(220)의 외측에서 내부 홀(211) 방향으로 결합하여 내부 홀(211)에 고정될 수 있다.
벤트 브라켓(270)은 걸림부(272)를 구비하고, 본체 하우징(220)의 외측면, 특히 팬 안착부(290)에 벤트 브라켓(270)의 걸림부(272)에 대응하는 영역에 확장부(223)를 형성하여 벤트 브라켓(270)의 걸림부(272)가 고정될 수 있다. 양 구성의 고정은 끼워 맞춤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팬(240)은 외부 홀(221)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팬(240)은 외부 공간의 공기를 본체 하우징(220)의 내부 공간, 특히 벤트 브라켓(270) 및 먼지 센서(210)로의 센싱 경로(214)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외부 홀(221a)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1 팬(240a)이 구비되고, 제2 외부 홀(221b)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2 팬(240b)이 구비된다. 특히 제1 팬(240a)은 제1 외부 홀(221a)의 외부에, 제2 팬(240b)는 제2 외부 홀(221b)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팬(240)은 지지 브라켓(280)을 통해 본체 하우징(220)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 브라켓(280)은 제1 팬(240a) 및 제2 팬(240b) 각각의 회전축을 제공할 수 있다.
팬 안착부(290)는 지지 브라켓(280)을 고정시킨다. 팬 안착부(290)는 본체 하우징(220)의 외측면에 돌출된 외벽을 형성하여 내측 공간을 형성하고, 지지 브라켓(280)은 상기 내측 공간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실링 브라켓(260)은 팬(240) 및 지지 브라켓(280)이 외측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실링 브라켓(260)은 본체 하우징(220)의 팬 안착부(290)의 외벽 일단 외측면(29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팬 안착부(290)를 포함하는 본체 하우징(220)에 결합할 수 있다.
실링 브라켓(260)은 외부 공간으로부터 팬(240)까지 유로를 형성한다. 실링 브라켓(260)의 형상 및 크기는 먼지 센서(2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 및 유속에 영향을 미친다.
실링 브라켓(260) 내부 공간(262)의 공기는 팬(240)으로 유입되는데, 내부 공간은 불가피하게 팬(240) 또는 지지 브라켓(280)의 외측을 감쌀 만큼의 면적을 가질 수 밖에 없으며, 이는 공기의 유량 및 유속을 적절히 조절하는데 제약이 될 수 있다. 유입 홀(261)은 이러한 실링 브라켓(260)의 구조적인 제약을 극복시킨다.
유입 홀(261)은 실링 브라켓(260)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홀을 형성하여 외부 공간과 실링 브라켓(260)의 내부 공간(262)을 연결한다.
유입 홀(261)은 실링 브라켓(260)의 내부 공간(262)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즉, 작은 폭의 유입 홀(261)에서 큰 폭의 실링 브라켓(260) 내부 공간(262)으로 이어지는 형상은 유입되는 공기에 대해 디퓨저(Diffuser) 역할을 한다. 상기 디퓨저 형상은 팬(240)에 도달하는 공기의 유속을 느리게 만들 수 있다. 외부 공간의 기압 또는 유속은 먼지 측정 장치(100)에서 제어할 수 있는 요소가 아니며, 따라서 외부 공간의 기압 또는 유속으로 인해 먼지 센서(210)로 유입되는 유량 또는 유속이 의도하지 않게 변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저 형상은 이러한 변수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 한다.
특히, 유입 홀(261)로부터 실링 브라켓(260) 내부 공간(262)으로 급격히 증가하는 폭을 갖는 형상은 난류(Turbulence)를 발생시켜 외부 공간으로부터의 높은 유속 및 유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유입 홀(261)과 실링 브라켓(260) 내부 공간(262)의 폭은 유로의 방향에 수직한 일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상술한 폭의 개념은 단면적의 개념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즉, 유입 홀(261)과 실링 브라켓(260) 내부 공간(262) 각각의 폭의 관계에 관한 특징은 유로의 단면적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특징을 통해 외부 공간의 상태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벤트 홀(261) 및 벤트 브라켓(270)의 크기 및 형상, 나아가 팬(240)의 회전 속도 등을 제어하여 외부 공기를 적절한 유량 및 유속으로 유입시켜 먼지 센서(210)의 먼지 농도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유입 홀(261)은 돌출된 기둥 형상의 외측면을 가져 연결 튜브 등의 구성이 추가적으로 결합하여 유로가 연장되게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 예 1의 경우 팬(240)이 외부 공간의 공기를 먼지 센서(210)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므로 외부 공간에서 팬(240)까지 도달하는 유로 영역에 대한 실링만 고려하면 족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유입 홀(261)과 실링 브라켓(260) 사이의 틈에 대한 실링이 요구된다.
특히 유입 홀(261)과 실링 브라켓(260)이 일체형 사출되는 경우 유입 홀(261)과 실링 브라켓(260) 사이의 틈에 대한 실링 작업이 생략될 수 있다. 다만 실링 브라켓(260)의 유입 홀(261)이 피측정 대상의 공기가 있는 외부 공간에 그대로 노출되는 경우는 별도의 실링을 필요로 하지 않으나, 상술한 별도의 연결 튜브 등이 결합하여 간접적으로 외부 공간에 노출되는 경우 연결 튜브 등과 실링 브라켓(260) 사이의 틈에 실링이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팬(240)에서 발생하는 음압이 실링 브라켓(260)과 팬 안착부(290) 사이의 틈까지 영향을 미치는 경우 이 틈으로 다른 영역의 공기가 유입될 수도 있으므로 이 영역에 대한 실링 구현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지지 브라켓(280)의 결합 영역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지지 브라켓(280)의 결합 영역에 대한 결합 정면도이다.
팬(240)의 구동은 지지 브라켓(280)뿐만 아니라 지지 브라켓(280)이 고정된 본체 하우징(220) 전체에 진동이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첫째로, 먼지 측정 장치(100) 내에서 맞닿은 두 구성 중 적어도 일측이 완충 기능을 하는 물질을 갖거나 또는 맞닿는 두 구성 사이에 완충재가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트 브라켓(270)과 확장부(223) 사이에서도 팬(240)의 진동이 전달될 수 있으므로 벤트 브라켓(270)의 구성 물질이 완충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벤트 브라켓(270)은 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둘째로, 먼지 측정 장치(100) 내에서 맞닿은 두 구성의 맞닿는 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240)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지지 브라켓(280)의 진동이 본체 하우징(220)에 최소한으로 전달되기 위해 지지 브라켓(280)과 본체 하우징(220)의 접촉 영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지지 브라켓(280)에 결합 홀(281)을 형성하고, 본체 하우징(220)에 돌출 고정부(291)를 구비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지지 브라켓(280) 외측면 전체가 본체 하우징(220)에 접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면만 접하도록 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 고정부(291) 및 결합 홀(281)을 제외한 영역에 대해서 지지 브라켓(280) 및 본체 하우징(220)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지지 브라켓(280)과 본체 하우징(220)은 나사 결합을 통해 접촉할 수도 있다. 즉, 돌출 고정부(291) 및 결합 홀(281) 대신에 스크류 및 스크류 홀의 구비를 통해 결합할 수 있으며, 이는 돌출 고정부(291) 및 결합 홀(281)을 이용하여 결합한 경우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실시 예 2-
실시 예 2는 벤츄리 관을 이용하여 두 공간의 공기 및 먼지를 측정한다. 실시 예 1과 달리 실시 예 2는 제1 공간 또는 제2 공간 중 하나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고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의 혼합 공기 상태를 측정하여 그 차이를 통해 나머지 한 공간의 공기 상태를 측정한다.
도 10은 실시 예 2의 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특히 도 10는 실시 예 2 중 팬이 외부 제2 공간에서 유입되는 경로에 구비된 예를 도시한다. 다만, 경우에 따라 팬이 외부 제1 공간에서 유입되는 경로에 구비될 수도 있다.
벤츄리 관(330)은 먼지 센서(310)의 입구(311)에 연결된다. 벤츄리 관(330)에는 외부 제1 공간에서 벤츄리 관으로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 튜브 홀(331)을 포함할 수 있고, 외부 제2 공간에서 벤츄리 관으로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 튜브 홀(33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먼지 센서(310)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이상 실시 예 1에서의 먼지 센서(210)와 동일한 형태를 띤다. 다만 실시 예 2의 먼지 센서(310)는 양 방향 센싱이 아닌 일 방향에 대한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튜브 홀(331) 또는 제2 튜브 홀(332)을 통해 유입된 각 공기는 벤츄리 관(330)에서 섞이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섞인 두 공간의 공기는 벤츄리 관(330)의 출구(333)를 통해 나와 상술한 먼지 센서(310)의 입구로 유입될 수 있다.
먼지 센서(310)의 입구(311)로 유입된 공기는 먼지 센서의 출구로 빠져나가면서 공기 상태를 측정하게 된다.
벤츄리 관(330)은 압력이 높은 경우, 즉 유입되는 공기의 속력이 큰 경우 제1 튜브 홀(331) 및 제2 튜브 홀(332)을 통해 외부 제1 공간 및 외부 제2 공간의 공기를 모두 유입시킬 수 있다. 반면 압력이 낮은 경우, 즉 유입되는 공기의 속력이 작은 경우 제1 튜브 홀(331) 및 제2 튜브 홀(332) 중 일측 공간의 공기를 유입시킨다.
즉,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의 혼합 공기의 먼지 상태와 제1 공간 및 제2 공간 중 일측 공간의 공기의 먼지 상태를 비교하여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의 공기 상태를 모두 계산하게 된다.
제3 팬(340)은 제1 튜브 홀(331) 또는 제2 튜브 홀(332) 중 일측에 구비되어 벤츄리 관(330)에 유량을 형성하도록 한다. 제3 팬(340)은 벤츄리 관(330)의 압력이 낮은 경우, 즉 유입되는 공기의 속력이 작은 경우 제2 튜브 홀(332)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먼지 센서(310)로 미는 방향의 유량을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력이 낮은 상태를 전제로, 제3 팬(340)이 제1 튜브 홀(331)에 구비된 경우에는 제1 공간의 공기가 벤츄리 관(330) 및 먼지 센서(310)로 유입될 것이며, 제3 팬(340)이 제2 튜브 홀(332)에 구비된 경우에는 제2 공간의 공기가 벤츄리 관(330) 및 먼지 센서(310)로 유입될 것이다.
압력이 낮은 상태인지 높은 상태인지의 경계 값을 제1 압력이라 하면, 제어부는 압력이 제1 압력 이하인 경우 제3 팬(340)을 구동시키고, 제1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제3 팬(340)을 구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실시 예2도 실시 예 1과 마찬가지로 팬(340)을 통해 외부 공기를 먼지 센서(310)로 미는 방향의 압력을 생성하는 것이므로 외부 공간으로부터 제3 팬(340)으로 유입되기까지의 공기에만 다른 공간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실링하면 족하다.
- 실시 예 3 -
두 공간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먼지 측정 장치 중 하나로 두 개의 센서 및 하나의 팬을 구비한 먼지 측정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실시 예 3의 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1 먼지 센서(410a)는 외부 제1 공간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고, 제2 먼지 센서(410b)는 외부 제2 공간의 공기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먼지 센서(410a)의 출구 및 제2 먼지 센서(410b)의 출구는 모두 제4 팬(440)에 의해 유량을 형성한다.
제4 팬 실장부(430)는 유량을 형성하는 제4 팬(440)을 실장하고, 제4 팬(440)에 의해 형성된 유량을 갖는 공기가 유입되는 제1 입구(431a) 및 제2 입구(431b)를 구비한다. 제1 입구(431a)에는 제1 먼지 센서(410a)의 출구가 연결되고, 제2 입구(431b)에는 제2 먼지 센서(410b)의 출구가 연결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두 개의 센서(410a, 410b)를 사용하므로 제1 먼지 센서(410a) 및 제2 먼지 센서(410b)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측정 시간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먼지 센서(410a, 410b)까지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에 있어서 외부 제1 공간의 공기와 외부 제2 공간의 공기가 섞이지 않으므로 노이즈 발생 여지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제1 먼지 센서(410a)와 제2 먼지 센서(410b)는 하나의 기판(420)에 구비될 수 있다. 기판(420)에 실장된 제1 먼지 센서(410a) 및 제2 먼지 센서(410b)는 하나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하나의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 실시 예 4 -
실시 예 4는 양 방향에 대해 선택적으로 유량을 형성할 수 있는 양 방향 팬을 구비한 먼지 측정 장치(500)의 형태를 갖는다.
도 12는 실시 예 4의 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먼지 센서(510)는 상기 전체 공기의 흐름 경로 중 일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먼지 센서(510) 양 방향 측정이 가능하다. 먼지 센서(510)의 센싱 경로(511) 양측에는 제1 홀(512a) 및 제2 홀(512b)이 구비된다. 먼지 센서(510)의 센싱 경로(511) 일측 제1 홀(512a)은 센싱부를 기준으로 외부 제1 공간 쪽에 구비되고, 센싱 경로(511) 타측 제2 홀(512b)은 센싱부를 기준으로 외부 제2 공간 쪽에 위치한다.
양 방향 팬(540)은 제1 홀(512a) 또는 제2 홀(512b)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된다.
양 방향 팬(540)은 양 방향 팬 실장부(530)에 구비되고, 양 방향 팬 실장부(530)의 일측(531a)은 외부 제1 공간과 연결되고, 양 방향 팬 실장부(530)의 타측(531b)은 외부 제2 공간과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개념적으로 양 방향 팬(540)이 형성하는 유량의 일측은 외부 제1 공간과 연결되고, 타측은 외부 제2 공간과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도 12은 외부 제1 공간, 먼지 센서(510), 양 방향 팬(540) 및 외부 제2 공간 순으로 공기의 흐름경로를 형성하고 있으나, 외부 제2 공간, 먼지 센서(510), 양 방향 팬(540) 및 외부 제1 공간 순으로 공기의 흐름 경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외부 제1 공간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는 경우 외부 제1 공간으로부터 외부 제2 공간 방향으로 유량이 형성되도록 양 방향 팬(540)을 구동시키고 반대로 외부 제2 공간의 공기 상태를 측정하는 경우 외부 제2 공간으로부터 외부 제1 공간 방향으로 유량이 형성되도록 양 방향 팬(549)을 구동시킨다.
본 실시 예의 경우 하나의 먼지 센서와 하나의 팬으로 두 공간의 공기 상태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구조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먼지 센서(510)를 기준으로 했을 때 양 방향 팬은 공기를 빨아 들이거나 내뿜는 역할을 모두 수행한다. 따라서 상술한 이유에 근거하여 각 지점의 실링을 완벽하게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먼지 측정 장치 200: 제1 실시 예 먼지 측정 장치
210: 먼지 센서 211: 내부 홀
211a: 제1 내부 홀 211b: 제2 내부 홀
213: 센싱부 214: 센싱 경로
215: 실장 보드 216: 전원 공급 단자
217: 제3 내부 홀 220: 본체 하우징
2201: 안착부 2202: 캡
221: 외부 홀 221a: 제1 외부 홀
221b: 제2 외부 홀 223: 확장부
240: 팬 240a: 제1 팬
240b: 제2 팬 252: 메인 기판
253: 안착 가이드부 260: 실링 브라켓
260a: 제1 실링 브라켓 260b: 제2 실링 브라켓
261: 유입 홀 262: 실링 브라켓 내부 공간
270: 벤트 브라켓 270a: 제1 벤트 브라켓
270b: 제2 벤트 브라켓 271: 벤트 홀
272: 걸림부 280: 지지 브라켓
280a: 제1 지지 브라켓 280b: 제2 지지 브라켓
281: 결합 홀 290: 팬 안착부
291: 돌출 고정부 292: 팬 안착부 외벽 일단 외측면
300: 제2 실시 예 먼지 측정 장치 310: 먼지 센서
311: 먼지 센서 입구 330: 벤츄리 관
331: 제1 튜브 홀 332: 제2 튜브 홀
333: 벤츄리 관 출구 340: 제3 팬
400: 제3 실시 예 먼지 측정 장치 410a: 제1 먼지 센서
410b: 제2 먼지 센서 420: 기판
430: 제4 팬 실장부 431a: 제1 입구
431b: 제2 입구 440: 제4 팬
500: 제4 실시 예 먼지 측정 장치 510: 센싱부
511: 센싱 경로 512a: 센싱 경로 제1 홀
512b: 센싱 경로 제2 홀 530: 양 방향 팬 실장부
531a: 양 방향 팬 실장부 일측 531b: 양 방향 팬 실장부 타측
540: 양 방향 팬 610: 종래 먼지 센서
611: 종래 먼지 센서 입구 612: 종래 먼지 센서 출구
620: 종래 먼지 센서 실장부 621: 실장부 입구
622: 실장부 출구 630: 솔레노이드 밸브
631a: 제1 공간 입구 631b: 제2 공간 입구
640: 팬

Claims (10)

  1. 센싱 경로의 양측에 형성된 제1 내부 홀, 제2 내부 홀 및 상기 센싱 경로상의 일 지점에 구비된 센싱부를 포함하는 먼지 센서;
    상기 먼지 센서를 실장하고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두 지점에 각각 형성되어 외부와 상기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제1 외부 홀 및 제2 외부 홀;
    상기 제1 외부 홀 및 제2 외부 홀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 방향으로 유량을 형성하도록 구동하는 제1 팬 및 제2 팬;
    상기 제1 팬 또는 상기 제2 팬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1 내부 홀 및 상기 제1 외부 홀 사이의 밀폐된 경로를 형성하는 제1 벤트 브라켓;
    상기 제2 내부 홀 및 상기 제2 외부 홀 사이의 밀폐된 경로를 형성하는 제2 벤트 브라켓; 및
    상기 제1 벤트 브라켓 및 상기 제2 벤트 브라켓에 구비된 매쉬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측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팬은 상기 제1 외부 홀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 팬은 상기 제2 외부 홀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측정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부 홀은 외부 제1 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외부 홀은 외부 제2 공간과 연결되고,
    상기 외부 제1 공간과 상기 외부 제2 공간은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측정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팬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 실링 브라켓; 및
    상기 제2 팬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 실링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측정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팬 및 제2 팬 각각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
    상기 지지 브라켓에 형성된 결합 홀; 및
    상기 본체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 홀에 결합하는 돌출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브라켓 및 상기 본체 하우징은 이격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측정 장치.
  8. 입구 및 출구를 갖는 먼지 센서;
    상기 먼지 센서의 입구와 연결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벤츄리 관(Venturi tube);
    상기 벤츄리 관의 일 지점에 형성되어 외부 제1 공간에서 상기 벤츄리 관으로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 튜브 홀;
    상기 벤츄리 관의 다른 일 지점에 형성되어 외부 제2 공간에서 상기 벤츄리 관으로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 튜브 홀;
    상기 제1 튜브 홀에 구비되어 상기 벤츄리 관에 유량을 형성하도록 구동되는 제3 팬; 및
    상기 벤츄리 관의 압력이 제1 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제3 팬을 구동시켜 상기 제1 튜브 홀로 상기 제1 공간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먼지 측정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60162516A 2016-12-01 2016-12-01 먼지 측정 장치 KR102614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516A KR102614489B1 (ko) 2016-12-01 2016-12-01 먼지 측정 장치
EP17876169.8A EP3550281A4 (en) 2016-12-01 2017-11-16 DUST MEASURING DEVICE
CN201780074506.9A CN110036273A (zh) 2016-12-01 2017-11-16 灰尘测量设备
US16/464,235 US11112343B2 (en) 2016-12-01 2017-11-16 Dust measurement apparatus
PCT/KR2017/013004 WO2018101653A1 (ko) 2016-12-01 2017-11-16 먼지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516A KR102614489B1 (ko) 2016-12-01 2016-12-01 먼지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628A KR20180062628A (ko) 2018-06-11
KR102614489B1 true KR102614489B1 (ko) 2023-12-15

Family

ID=62241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516A KR102614489B1 (ko) 2016-12-01 2016-12-01 먼지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12343B2 (ko)
EP (1) EP3550281A4 (ko)
KR (1) KR102614489B1 (ko)
CN (1) CN110036273A (ko)
WO (1) WO20181016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858B1 (ko) 2018-12-07 2020-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질 감지기
KR102184545B1 (ko) * 2018-12-07 2020-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질 감지기
KR102196377B1 (ko) * 2019-03-14 2020-12-30 주식회사 메이킷올 기능 확장이 가능한 공기 정화 장치
CN111044423A (zh) * 2019-08-07 2020-04-21 山东诺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路面积尘负荷监测设备
KR102276088B1 (ko) * 2019-11-27 2021-07-13 주식회사 미로 센서 어셈블리
CN111307679A (zh) * 2020-03-10 2020-06-19 淮阴师范学院 一种书库环境检测仪
CN112748051B (zh) * 2020-12-23 2023-06-23 天津智易时代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负压型油烟探头及其检测方法
KR102478748B1 (ko) * 2021-02-08 2022-12-19 주식회사 씽크소프트 파티클 센싱 디바이스
CN113484198B (zh) * 2021-06-30 2022-12-23 重庆建安仪器有限责任公司 一种辐射烟云扩散预测系统及方法
CN114001992B (zh) * 2021-11-01 2024-04-19 上海励江机电设备安装有限公司 一种静电除尘器的除尘检测装置
KR20230126085A (ko) * 2022-02-22 2023-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3519A (ja) * 2009-01-30 2010-08-12 Isuzu Motors Ltd 車両の換気装置
US20160153884A1 (en) * 2014-12-02 2016-06-02 Tsi,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conducting particle monitoring using low cost particle sensor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9178A (en) 1990-05-14 1995-05-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Exhaust-gas analyzer
JPH05142109A (ja) * 1991-11-21 1993-06-08 Riken Keiki Co Ltd 多成分ガス検出装置
US5603746A (en) * 1995-10-31 1997-02-18 Bethlehem Ste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determine and control the carbon content of steel in a BOF vessel
US7049824B2 (en) * 2003-03-27 2006-05-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fferential particulate detection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DE10348565B4 (de) * 2003-10-20 2007-01-04 Wagner Alarm- Und Sicherungssystem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kennen und Lokalisieren eines Brandes
US7290400B2 (en) * 2004-09-01 2007-11-06 Behr Gmbh & Co. Kg Stationary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WO2009021123A1 (en) * 2007-08-07 2009-02-12 Tsi Incorporated A size segregated aerosol mass concentration measurement device
US8047055B2 (en) * 2007-08-08 2011-11-01 Tsi, Incorporated Size segregated aerosol mass concentration measurement with inlet conditioners and multiple detectors
US9459216B2 (en) * 2009-01-05 2016-10-04 En'urga, Inc. Method for characterizing flame and spray structures in windowless chambers
US20100172471A1 (en) * 2009-01-05 2010-07-08 Sivathanu Yudaya R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izing flame and spray structure in windowless chambers
AU2013332261A1 (en) * 2012-10-16 2015-04-16 Garrett Thermal Systems Limited Addressability in particle detection
CN104407112B (zh) 2013-04-17 2016-07-13 浙江索菱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汽车车内气体分析装置
EP3005330B1 (en) * 2013-06-03 2024-04-10 Garrett Thermal Systems Ltd Particle detec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s
CN203672855U (zh) 2013-10-15 2014-06-25 何艺 基于t型通道的便携式空气质量检测仪
AU2014336978B2 (en) * 2013-10-16 2019-07-11 Garrett Thermal Systems Limited Aspirated particle detection with various flow modifications
JP2015141045A (ja) 2014-01-27 2015-08-03 富士通株式会社 浮遊粒子状物質センサユニット
JP2017512309A (ja) * 2014-03-06 2017-05-18 エクストラリス・グローバルXtralis Global 吸引サンプリングシステムの改良
CN103954540B (zh) 2014-04-29 2016-01-06 江苏朗信电气有限公司 一种车载颗粒物浓度检测仪
JP6512872B2 (ja) * 2015-03-09 2019-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N105716914A (zh) 2016-01-30 2016-06-29 黑龙江省华裕检测技术有限公司 颗粒物采样器
CN105717014A (zh) 2016-04-22 2016-06-29 苏州翰霖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pm2.5检测模块
CN106123160B (zh) * 2016-06-08 2023-04-18 杭州龙碧科技有限公司 一种变风量新风设备
US10094776B2 (en) * 2016-07-18 2018-10-0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ust sensor with mass separation fluid channels and fan control
US10563886B2 (en) * 2017-06-20 2020-02-18 Grand Valley State University Air quality sensor and data acquisi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3519A (ja) * 2009-01-30 2010-08-12 Isuzu Motors Ltd 車両の換気装置
US20160153884A1 (en) * 2014-12-02 2016-06-02 Tsi,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conducting particle monitoring using low cost particle sens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1653A1 (ko) 2018-06-07
CN110036273A (zh) 2019-07-19
EP3550281A4 (en) 2020-11-18
US20190391061A1 (en) 2019-12-26
KR20180062628A (ko) 2018-06-11
EP3550281A1 (en) 2019-10-09
US11112343B2 (en)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4489B1 (ko) 먼지 측정 장치
CN106257909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240009999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에 대한 로컬라이제이션 및 콘텐츠 전달을 위한 비컨들
KR102609766B1 (ko) 피부 케어 기기
KR20190057636A (ko) 먼지 측정 장치
CN107272922B (zh) 由电磁感应操作实现的电子笔和包括该电子笔的电子装置
TW201635092A (zh) 顯示裝置、電子裝置、手部穿戴式裝置及控制系統
KR102318920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JP2017522633A (ja) 配達処理のための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20210034114A1 (en) Mobile terminal
US20200355925A1 (en) Rendering visual information regarding an apparatus
CN109478107A (zh) 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KR20200002822A (ko) 이동 단말기
US20210382543A1 (en) Drift Cancelation for Portable Object Detection and Tracking
KR20190100917A (ko) 이동 단말기
KR102586866B1 (ko) 헤드-웨어러블 장치를 사용하여 캡처된 신호들의 신호 대 잡음비를 개선하기 위한 동적 빔포밍
KR102540383B1 (ko) 공기 청정기의 필터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65840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80044551A (ko) 실내 공간에 필요한 전자 기기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80039497A (ko) 정수기의 필터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20210073194A (ko) 이물 대응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018594A (ko) 선풍기, 선풍기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들을 이용한 실내 온도 제어 시스템
KR101585245B1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미지 표시 장치
KR102597823B1 (ko) 먼지 측정 장치
KR20180044552A (ko) 실내 공간에 필요한 공기 조화기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