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088B1 - 센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센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088B1
KR102276088B1 KR1020190154906A KR20190154906A KR102276088B1 KR 102276088 B1 KR102276088 B1 KR 102276088B1 KR 1020190154906 A KR1020190154906 A KR 1020190154906A KR 20190154906 A KR20190154906 A KR 20190154906A KR 102276088 B1 KR102276088 B1 KR 102276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housing
air
communication pa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9131A (ko
Inventor
서동진
오용주
김민석
이정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로
Priority to KR1020190154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088B1/ko
Publication of KR20210069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2Indicating value of two or more variables simultaneous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15/06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by collecting particles on a suppo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공기가 유동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연통부, 연통부를 포함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전원부,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되 전원부와 이격되어 공기의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센서부는 연통부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공기의 상태를 보다 면밀하게 측정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센서 어셈블리{SENSOR ASSEMBLY}
본 발명은 소형화된 센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센서는 열, 빛, 온도, 압력, 소리 등의 물리적인 양이나 그 변화를 감지하여 알려주는 부품이나 기구를 의미한다. 센서의 종류에는 감지 대상이 되는 물리적인 양에 의해 온도 센서, 압력 센서, 유량 센서, 자기 센서, 광 센서, 음향 센서, 미각 센서, 후각 센서 등이 있다.
상술한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은 한 군데에 모여 각기 다른 물리적인 양을 검지할 수 있다. 특히, 근래에는 실내의 공기 질이 주요 관심 대상인데, 이 경우 다양한 센서가 실내에 구비되어 공기의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실내에는 공기에 구비되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검지하는 PM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실내를 유동하는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검지하는 온습도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증기압이 높아 실내로 쉽게 증발되는 액체 또는 기체상 유기화합물을 검지하는 VOC센서와, 실내를 유동하는 공기에서 CO2를 검지하는 CO2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센서들을 한 군데 모아 실내의 공기질을 검지하기 위해 복수 개의 센서들의 배치가 문제된다. 복수 개의 센서들이 예컨대 하나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경우, 공기가 하우징 외부에서 내부로 원활하게 연통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더불어, 복수 개의 센서들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어하는 전장부가 구비되는 경우, 전장부의 발열에 의해 센서가 검지하는 공기질의 상태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문서에 의해 게시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실내에 복수 개의 센서들이 구비되는 경우에도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공기질을 측정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는 일면에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공기가 유출입 가능한 제1연통부와, 상기 일면과 인접한 타면에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공기가 유출입 가능한 제2연통부가 구비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제1연통부와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와 상기 제1연통부 사이에 위치하여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제1연통부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의 제1상태를 검지하는 제1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연통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통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2연통부로 안내하거나, 상기 제2연통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연통부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가이드부는 공기의 제2상태를 검지하는 제2센서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2연통부는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서 상기 가이드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되 일측이 개구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전장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전원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전장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의 제1정보를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디스플레이와 인접하게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전장프레임 사이에서 공기의 제2정보를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공기가 유출입 가능한 제1연통부, 상기 제1연통부와 이격되되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공기가 유출입 가능한 제2연통부 및 상기 제1연통부와 상기 제2연통부를 연결하여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채널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연통부와 상기 제2연통부 사이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전원부와 상기 제1연통부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의 제1상태를 검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전원부와 상기 제2연통부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의 제2상태를 검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부와 상기 제1센서가 이격된 거리는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1연통부가 이격된 거리보다 크고, 상기 전원부와 상기 제2센서가 이격된 거리는 상기 제2센서와 상기 제2연통부가 이격된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1연통부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의 제3상태를 검지하는 제3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센서는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검지하는 온습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센서가 하우징 내에 밀집되어 구비되는 경우라도 실내를 유동하는 공기의 공기질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발열하더라도 복수 개의 센서가 검지하는 공기질의 오차가 최소화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전장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전장부의 분해 사시도를 상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장부를 정면, 측면, 상면에서 바라본 평면도가 도시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전장부와 센서부의 조립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종래의 도면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는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 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의 배면 사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대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이며, 전면(110)과 상면(120)과 측면(130, 140)과 배면(150)과 하면(160)을 포함한다.
측면(130, 140)은 제1측면(130)과 제1측면과(130)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1측면과 바라보게 구비되는 제2측면(140)을 포함한다. 제1측면(130)과 제2측면(140)에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즉, 제1측면(130)의 일부에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공기가 유동 가능한 제1연통부(131)가 형성되며, 제2측면(140)의 일 부에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공기가 유동 가능한 제2연통부(141)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연통부(131)와 제2연통부(141)를 통해서 공기가 하우징(100)의 내부와 외부를 유동할 수 있다.
제1측면(130)와 제2측면(140) 사이에서 제1측면(130)과 제2측면(140)을 연결하는 상면(120)과 전면(110)과 배면(150)과 하면(16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채널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채널부는 제1측면(130)의 일측과 제2측면(140)의 일측을 연결하는 전면(110)과 전면(110)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제1측면(130)과 제2측면(140)을 연결하는 배면(150)을 포함하며, 제1측면(130)의 타측과 제2측면(140)의 타측을 연결하는 상면(120)과 상면(120)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제1측면(130)과 제2측면(140)을 연결하는 하면(160)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측면(130)에 형성된 제1연통부(131)와 제2측면(141)에 형성된 제2연통부(141)에 의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동한 공기는 채널부를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전면(110)과 상면(120)은 검지된 공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일 수 있다. 전면(110)은 검지된 공기의 제1정보(217)를 표시하는 제1표시부(110)일 수 있으며, 상면(120)은 검지된 공기의 제2정보(121)를 표시하는 제2표시부(120)일 수 있다. 제1표시부(110)와 제2표시부(120)는 후술하는 전장부(200)에 의해 공기의 정보(121, 217)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장부(200)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전장부의 분해 사시도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전장부의 분해 사시도를 상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장부를 정면, 측면, 상면에서 바라본 평면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장부(2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하우징(100)에서 배면(150)이 개구되어 전장부(200)가 수용된 모습이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상면(120)이나 전면(110)이 개구되어 전장부(200)가 수용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배면(150)이 개구되어 전장부(200)가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한다.
전장부(200)는 일측이 개구되어 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전장프레임(240)을 포함한다. 전장프레임(240)은 하면(160)과 대향하는 제1전장프레임(241), 전면(110)과 대향하는 제2전장프레임(243) 및 상면(120)과 대향하는 제3전장프레임(245)을 포함한다.
제1전장프레임(241)과 제3전장프레임(245)은 서로 대향되되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2전장프레임(243)은 제1전장프레임(241)의 일측과 제3전장프레임(245)의 일측을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제1전장프레임(241)의 일측과 제2전장프레임(243)의 일측은 전면(110)에 인접한 부분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장프레임(240)은 배면(150)을 바라보는 일측이 개구되어 수용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전면(110)과 제2전장프레임(243) 사이에는 제1디스플레이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전면(110)은 제1디스플레이부(210)에 의해 공기의 제1정보(217)를 표시하는 제1표시부(110)일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부(210)에 의해 표시되는 제1정보(217)는 색깔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디스플레이부(210)는 RGB PCB(211)와, RGB 가이드(213)와, RGB 필름(215)를 포함할 수 있다.
RGB PCB(211)는 LED를 포함하며 빛을 발산시키고, RGB 가이드(213)와 RGB 필름(215)은 RGB PCB(211)에서 발산된 빛을 가이드하여 제1표시부(110)에 투영할 수 있다. 따라서, RGB PCB(211)는 제2전장프레임(243)에 접촉하여 구비되고, RGB 가이드(213)는 RGB PCB(211)에서 제2전장프레임(243)과 멀어지는 방향에 결합되고, RGB 필름(215)은 RGB 가이드(213)에서 제2전장프레임(243)과 멀어지는 방향에 결합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2전장프레임(243)에서 제1표시부(110)를 향해 순차적으로 RGB PCB(211)와 RGB 가이드(213)와 RGB 필름(215)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면(120)과 제3전장프레임(245) 사이에는 제2디스플레이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면(120)은 제2디스플레이부(220)에 의해 공기의 제2정보(121)를 표시하는 제2표시부(120)일 수 있다.
제2디스플레이부(220)은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디스플레이부(220)는 터치PCB(221)와 라이트가이드(223)과 터치필름(225)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PCB(221)에는 터치센서와 LED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이 감지되면 입력된 정보에 따라 LED가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이 경우, 라이트가이드(223)와 터치필름(225)은 터치PCB(221)의 LED에서 발산된 빛을 제2표시부(120)에 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제3전장프레임(245)에서 제2표시부(120)를 향하는 방향에 터치PCB(221)와 라이트가이드(223)와 터치필름(225)이 순차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정보(217)와 제2정보(121)는 서로 상이하나 연관된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제2정보(121)는 검지 대상이 되는 공기의 성분일 수 있으며, 제1정보(217)는 제2정보(121)에 의해 선택된 정보에 대한 물리적인 양일 수 있다.
예컨대, 제2정보(121)는 공기의 성분 중 CO2, VOC, 온도, 습도, PM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제2정보(121)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제2표시부(120)는 선택된 공기의 성분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표시부(110)는 선택된 공기의 성분에 대한 물리적인 양인 제1정보(217)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정보(217)는 기설정된 값에 의해 제1정보(217)의 색을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정보(217)가 기설정된 제1의 값보다 큰 경우, 빨간색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제1정보(217)가 기설정된 제1의 값과 기설정된 제2의 값 사이에 있는 경우 주황색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제1정보가(217) 기설정된 제2의 값보다 작은 경우 파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표시부(120)에 표시하고 싶은 공기의 성분을 선택하면, 제2표시부(120)는 선택된 공기의 성분인 공기의 제2정보(121)를 표시하고, 제1표시부(110)은 선택된 공기의 성분의 물리적인 양을 표시하되 색깔로써 선택된 공기의 성분의 상대적인 농도를 표시할 수 있다. 즉, 공기의 제1정보(217)는 공기의 성분에 대한 물리적인 양뿐 아니라 색깔도 포함할 수 있다.
전장프레임(240)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S)에는 메인PCB(230)가 위치할 수 있다. 메인PCB(230)는 후술하는 센서부(30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센서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PCB(300)에는 통신모듈이 내재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셈블리 외의 구성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메인PCB(230)는 배면(150)을 관통하는 USB(P)가 삽입되는 전원단자(23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면(150)에는 USB(P)가 관통되는 삽입홀(157)이 형성될 수 있다.
전장부(200)는 상술한 제1디스플레이부(210)와 제2디스플레이부(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231)는 메인PCB(230)와 이격되어 전장프레임(240)의 수용공간(S)에 위치할 수 있으며, 메인PCB(230)와 연결되어 제1디스플레이부(210)와 제2디스플레이부(220)와 후술하는 센서부(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메인PCB(230)와 전원부(231)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USB(P)가 메인PCB(230)에 결합하여 전원을 공급하면, 메인PCB(230)는 전원부(231)에 전원을 전달하여 전원부(231)를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연통부(131)와 제2연통부(141)를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후술하는 센서부(300)에 의해 공기의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센서부(300)에 의해 검지된 공기의 정보는 메인PCB(230)에 의해 제1디스플레이부(210)과 제2디스플레이부(220)로 전달 될 수 있으며, 제1디스플레이부(210)와 제2디스플레이부(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제1표시부(110)에 제1정보(217)를 표시하고, 제2표시부(120)에 제2정보(121)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6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공기의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부(3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전장부와 센서부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공기의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부(300)는 공기의 제1상태를 검지하는 제1센서(310)와 공기의 제2상태를 검지하는 제2센서(320)와 공기의 제3상태를 검지하는 제3센서(330)와 공기의 제4상태를 검지하는 제4센서(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310)와 제2센서(320)는 전장부(200)와 제1연통부(131) 사이에 위치하여 공기의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더불어, 제1센서(310)와 제2센서(320)는 전장부(300)와 이격되게 구비되되 제1연통부(131)와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센서(310)와 제2센서(320)는 전장부(200)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해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다.
제3센서(330)와 제4센서(340)는 전장부(300)와 제2연통부(141) 사이에 위치하여 공기의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더불어, 제3센서(330)와 제4센서(340)는 전장부(200)와 이격되게 구비되되 제2연통부(141)와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센서 내지 제4센서(310, 320, 330, 340)은 전장부(300)와 이격되어 전장부(200)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도, 제1측면(130)과 제2측면(140)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공기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복수개의 센서가 전장부(200)에 의한 영향을 보다 적게 받기 위해서, 배면(150)에는 제3연통부(151)와 제4연통부(153)가 형성될 수 있다.
제3연통부(151)는 배면(150)에 위치하되, 제1센서(310) 또는 제2센서(320) 중 적어도 하나를 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홀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연통부(151)에 의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하우징(100)의 외부로 공기가 유출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1센서(310)와 제2센서(320) 중 적어도 하나는 제1연통부(131)에 대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연통부(131)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제1센서(310) 또는 제2센서(320)에 의해 유동하는 경로가 변경되어 제3연통부(151)로 안내되거나, 제3연통부(151)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제1센서(310) 또는 제2센서(320)에 의해 유동하는 경로가 변경되어 제1연통부(131)로 안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제1센서(310)와 제2센서(320)는 가이드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센서(320)가 가이드부(320)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센서부(300)는 제2센서(320)가 가이드부(320)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제2센서(320)를 하우징(100)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제2센서지지부(3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센서지지부(351)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고정되되, 전면(110)에서 배면(150)을 향해 연장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센서지지부(351)는 하면(160)에 고정되되 하면(160)에서 상면(120)을 향해 돌출되고, 제1측면(130)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센서지지부(351a)와 상면(120)에 고정되되 상면(120)에서 하면(160)을 향해 돌출되고, 제1측면(130)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센서지지부(351b)를 포함하여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센서(320)는 전면(110)에서 배면(150)을 향해 결합되어 제1연통부(131)에서 유입된 공기를 제3연통부(151)로 안내하거나, 제3연통부(151)에서 유입된 공기를 제1연통부(131)로 안내하는 가이드부(320)일 수 있다.
또한, 제2센서(320)는 제2센서지지부(351)에 의해 상면(120)과 이격되고, 하면(160)과 이격되어 하우징(10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센서지지부(351)는 전면(120)과 이격되되 상면(120) 또는 하면(160)으로부터 돌출되어 배면(15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센서(320)와 하우징(100) 내부 사이 공간을 통해 유동한 공기는 전장부(200)로 유동하여 전장부(20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제1센서(310)는 제2센서(320)와 제1연통부(131) 사이에 위치하여 공기의 제1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즉, 제1센서(310)와 제1연통부(131)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제2센서(320)와 제1연통부(131)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1센서(310)는 제2센서보다 전장부(200)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정보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일 수 있으며, 이에 제1센서(310)는 온습도 센서일 수 있다.
배면(150)에는 제3센서(330)를 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4연통부(153)가 구비될 수 있다. 제4연통부(153)는 복수개의 홀로 이루어져 제4연통부(153)를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제4연통부(153)를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 공기가 하우징(10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제4센서(340)는 제4연통부(153)에 결합될 수 있다. 제4센서(340)를 제4연통부(153)에 결합시키기 위해, 배면(150)에는 제4센서 결합부(154)가 구비될 수 있다. 제4센서 결합부(154)는 제4연통부(153)의 둘레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되 전면(110)을 향해 연장될 수 있으며, 제4센서(340)와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제4센서(340)는 제4센서 결합부(154)에 결합되어 제4연통부(153)와 대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3센서(330)는 제4센서(340)보다 제2연통부(141)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연통부(141)와 제4센서(340) 사이에는 제3센서(330)가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제2연통부(14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효율적으로 검지하기 위해, 제3센서(330)는 전면(110)과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3센서(330)가 전면(110)과 이격된 거리는 제3센서(330)가 배면(150)과 이격된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다만, 제2연통부(141)에서 유입된 공기는 제3센서(330)를 거치지 않고 제4센서(340)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센서(330)가 전면(110)과 인접하게 구비되면 제2연통부(141)에서 유입된 공기를 제3센서(330)와 제4센서(340)가 효율적으로 검지 가능하나, 제2연통부(141)에서 제4센서(340)와 인접한 측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바로 제4센서(340)를 거쳐 제4연통부(153)로 유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센서부(300)는 유로형성부(350)를 더 포함하여, 제2연통부(141)에서 유입된 공기가 제3센서(330)를 거쳐 제4센서(340)로 유동하게 할 수 있다. 유로형성부(350)는 배면(350)에서 전면(110)을 향해 연장되되, 제4센서 결합부(154)가 배면(150)에서 전면(110)을 향해 연장된 길이보다 크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유로형성부(350)는 제4연통부(153)보다 제2연통부(141)와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연통부(141)와 제4연통부(153) 사이에는 유로형성부(35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로형성부(350)는 제4센서(340)와 제2연통부(141) 사이에 구비되어 제2연통부(141)에서 유입된 공기를 제4센서(340)로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연통부(141)에서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제3센서(330)를 거쳐 제4센서(340)로 유동할 수 있으며, 제2연통부(141)에서 유입된 공기의 다른 일부는 유로형성부(350)에 의해 유동이 변경되어 제3센서(330)를 거쳐 제4센서(340)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연통부(141)에서 유입된 공기 중 또 다른 일부는 제3센서(330)와 제4센서(340)를 거치지 않고 전장부(200)로 유동하여 전장부(20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제2연통부(141)에서 유입된 공기의 일부가 전장부(200)로 유동하여 전장부(200)를 냉각시키도록, 센서부(300)는 제3센서지지부(3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센서지지부(355)는 상술한 제2센서지지부(351)과 유사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3센서(33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제3센서지지부(355)는 하면(160)에서 상면(120)을 향해 돌출되되, 전면(110)에서 배면(150)을 향해 연장되어 제3센서(330)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3센서(330)는 제2연통부(141)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제2연통부(141)에서 유입된 공기를 제4연통부(153)로 안내할 수 있다. 즉, 제3센서(330)는 제2연통부(141)에서 유입된 공기의 유동 경로를 변경시켜 제4연통부(153)로 안내하는 가이드부(330)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3센서지지부(355)는 전면(11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2연통부(141)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전장부(200)로 유동하여 전장부(20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연통부(141)과 전장부(200) 사이에 구비되는 제3센서(330)와 제4센서(340)는 전장부(200)의 열에 의한 영향을 보다 적게 받아 공기의 상태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은 유로형성부(350)에 결합되어 배면(150)과 배면(150)을 제외한 하우징(100)을 결합시키는 하우징결합부(1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결합부(159)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연통부(131, 141)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하우징결합부(159)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유로형성부(350)와 상면(120) 사이에 구비되는 하우징결합부(159a)와 유로형성부(350)와 하면(160) 사이에 구비되는 하우징결합부(159b)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결합부(159)는 제3센서(330)보다 제2연통부(141)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제2연통부(151)에서 유입된 공기를 제3센서(330)로 안내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하우징결합부(159)는 제1센서(310)보다 제1연통부(131)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제1연통부(141)에서 유입된 공기를 제1센서(310)로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르면, 하우징(100) 내부에 복수개의 센서(310, 320, 330, 340)를 구비하되 전장부(200)와 이격시켜 전장부(20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차단시킨다. 또한, 제2센서(320)와 제3센서(330)는 전면(11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2센서(320)와 제3센서(330)를 거치지 않은 공기는 전장부(200)로 유동하여 전장부(200)를 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제2센서(320)와 제3센서(330)와 제4센서(340)는 PM센서, CO2센서, VOC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센서(310)는 전장부(200)에서 제2센서 내지 제4센서(320, 330, 340)보다 하우징(100)의 외부에 가장 인접하게 구비되므로 온습도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3연통부(151)에서 공기가 유입되어 제1연통부(131)로 유출될 수 있으며, 제4연통부(153)에서 공기가 유입되어 제4연통부(153)로 유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하우징 : 100 전면 : 110
상면 : 120 제1정보 : 121
제1측면 : 130 제1연통부 : 131
제2측면 : 140 제2연통부 : 141
배면 : 150 제3연통부 : 151
제4연통부 : 153 전원버튼 : 155
삽입홀 : 157 결합부 : 159
하면 : 160 전장부 : 200
제1디스플레이부 : 210 RGB PCB : 211
RGB 가이드 : 213 RGB 필름 : 215
제2디스플레이부 : 220 터치 PCB : 221
라이트 가이드 : 223 터치 필름 : 225
메인PCB : 230 전장프레임 : 240
제1전장프레임 : 241 제2전장프레임 : 243
제3전장프레임 : 245 센서부 : 300
제1센서 : 310 제2센서 : 320
제3센서 : 330 제4센서 : 340
센서지지부 : 350 제2센서지지부 : 351
제3센서지지부 : 355 수용공간 : S

Claims (7)

  1.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장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 연통부;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연통부와 함께 상기 하우징의 일측 공간을 관통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3 연통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연통부에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연통부 또는 제3 연통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연통부와 상기 제3 연통부에 의해 형성된 유로상에 구비되어 공기의 상태를 검지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전장부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면으로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제1전장프레임, 제2전장프레임 및 제3전장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의 배면을 바라보는 일측이 개구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전장프레임; 및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전장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센서가 수용되는 공간을 상기 전원부가 위치하는 공간과 구획함으로써, 상기 전원부가 전원을 공급하면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상기 제1 센서의 검지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센서와 독립적으로 공기의 상태를 검지하는 제2센서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2 연통부;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연통부와 함께 상기 하우징의 타측 공간을 관통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4 연통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연통부와 상기 제4 연통부에 의해 형성된 유로상에 구비되는 제3 센서와 제4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센서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2 연통부에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연통부 또는 제4 연통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전장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의 제1정보를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디스플레이와 인접하게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전장프레임 사이에서 공기의 제2정보를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어셈블리.
  7. 삭제
KR1020190154906A 2019-11-27 2019-11-27 센서 어셈블리 KR102276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906A KR102276088B1 (ko) 2019-11-27 2019-11-27 센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906A KR102276088B1 (ko) 2019-11-27 2019-11-27 센서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131A KR20210069131A (ko) 2021-06-11
KR102276088B1 true KR102276088B1 (ko) 2021-07-13

Family

ID=76376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906A KR102276088B1 (ko) 2019-11-27 2019-11-27 센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08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770B1 (ko) * 2019-01-24 2019-08-27 주식회사 아이자랩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561B1 (ko) * 2014-11-25 2016-08-10 김영웅 공기질 측정장치의 케이스
KR101799951B1 (ko) * 2015-12-24 2017-11-22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센서들의 배치를 최적화한 공기 청정기
KR102614489B1 (ko) * 2016-12-01 2023-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먼지 측정 장치
KR20190063205A (ko) * 2017-11-29 2019-06-07 최병윤 공기질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770B1 (ko) * 2019-01-24 2019-08-27 주식회사 아이자랩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131A (ko)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6472B2 (en) Signaling lamp monitor
US7691056B2 (en) Endoscope apparatus
US7059184B2 (en) Split-flow-type flow sensor device
US20050218351A1 (en) Meter capable of measuring ambient dust concentration
KR102276088B1 (ko) 센서 어셈블리
US11330090B2 (en) Bracket, input/output assembly and terminal
CN102507490B (zh) 气体侦测器
KR101947598B1 (ko) 휴대용 가스 검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검출 시스템
CN109196313B (zh) 流量计、流量计盒和相关方法
CN217586904U (zh) 光学气体传感器
CN211551544U (zh) 一种触摸电路板及应用其的灯具
CN208140529U (zh) 一种粉尘传感器
US8297746B2 (en) Ink cartridge accommodating device
TWI683094B (zh) 感測器
WO2024093662A1 (zh) 气体检测装置
KR102321511B1 (ko) 교체식으로 유지 보수가 가능한 파티클 계수 장치
KR102589104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220777406U (zh) 电子雾化装置
CN218470474U (zh) 一种便携式臭氧和pm2.5测试仪
JP4254923B2 (ja) 流量検出装置および流量制御装置
CN112595362B (zh) 环境探测装置
CN217466864U (zh) 气味检测模组及食物制冷设备
KR102652549B1 (ko) 비접촉식 적외선 체온계
CN217637461U (zh) 环境检测装置
CN207439440U (zh) 脏堵传感器及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