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699B1 -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699B1
KR102613699B1 KR1020220074609A KR20220074609A KR102613699B1 KR 102613699 B1 KR102613699 B1 KR 102613699B1 KR 1020220074609 A KR1020220074609 A KR 1020220074609A KR 20220074609 A KR20220074609 A KR 20220074609A KR 102613699 B1 KR102613699 B1 KR 102613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room
mode
integrated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기
조형동
김혜연
슈미트 플로랑
이정호
강민우
임정훈
최영락
Original Assignee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4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36Ducting arrangements with ducts including air distributors, e.g. air collecting boxes with at least thre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는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장치 모듈과, 상기 환기장치 모듈을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방장치 모듈과, 상기 환기장치 모듈과 상기 냉방장치 모듈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송풍기를 구비하는 통합공조기; 상기 통합공조기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각 실로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 상기 분배기의 공기를 각 실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배기와 상기 각 실을 서로 연결하는 분기덕트; 상기 분배기에 구비되어 각 실로 연결되는 상기 분기덕트를 개폐하는 전동댐퍼; 각 실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통합센서; 및 상기 통합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토대로 상기 전동댐퍼의 개폐와 상기 송풍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 및 그의 제어 방법{INTEGRATED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NTILATION AND COOL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환기 및 냉방이 통합된 통합공기조화장비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댐퍼의 개방된 총 갯수에 따라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환기 및 냉방이 통합된 통합공기조화장비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빌딩, 도서관 등 대형 건물에는 냉방설비, 난방설비 및 환기설비 등이 구비된다.
특히 건축물 설비기준에 의하면 100가구 이상의 공동주택을 신축하는 경우 환기설비의 설치가 의무화되었다. 일반적으로 환기설비는 그 양단이 각각 건물의 내부 및 외부와 연결되는 덕트(duct)와 같은 구조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덕트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덕트와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배기덕트로 나누어져, 각각 건물 안팎의 공기를 유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실내를 냉방하기 위한 냉방설비는 일반적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 및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로 구분되고 실내의 공기를 응축기와 열교환하여 실내로 냉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실내를 환기를 위한 환기설비 및 실내를 냉방하기 위한 냉방설비가 별도로 구비되어 별도로 운영함에 따라 각 설비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가 과하게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내를 냉방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에 두고 사용하기 때문에 실내공간의 사용 효율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내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CO2, 미세먼지)에 대한 관리방안이 없었다.
이에 따라 환기 및 냉방이 통합된 통합공기조화장비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합공기조화장비에서 댐퍼의 개도에 따른 풍량이 조절되지 않아 송풍기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소음이 발생한다던지 덕트에 압력이 걸려 덕트 또는 댐퍼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10-2009-0022638호 (2009년03월04일)
본 발명은 환기 및 냉방을 통합하여 제어 가능한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기 및 냉방을 통합하여 제어할 때 개방되는 댐퍼의 총 갯수를 고려하여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실별로 목표 환경상태를 구현할 수 있는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는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장치 모듈과, 상기 환기장치 모듈을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방장치 모듈과, 상기 환기장치 모듈과 상기 냉방장치 모듈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송풍기를 구비하는 통합공조기; 상기 통합공조기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각 실로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 상기 분배기의 공기를 각 실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배기와 상기 각 실을 서로 연결하는 분기덕트; 상기 분배기에 구비되어 각 실로 연결되는 상기 분기덕트를 개폐하는 전동댐퍼; 각 실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통합센서; 및 상기 통합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토대로 상기 전동댐퍼의 개폐와 상기 송풍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기와 상기 각 실을 서로 연결하는 분기덕트는 적어도 2개 이상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송풍기를 선형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의 제어방법은 각 실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미세먼지를 측정하여 냉방모드, 환기모드 및 공기청정모드 중 각 실에 맞는 운전모드를 가동하는 단계; 상기 각 실의 운전모드를 분석하여 개방되는 댐퍼의 총 갯수를 판단하는 단계; 개방되는 댐퍼의 총 갯수에 맞게 환기장치 모듈과 냉방장치 모듈이 통합된 통합공조기에 구비된 송풍기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송풍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방모드, 상기 환기모드 및 상기 공기청정모드 중에서 상기 냉방모드가 가동되는 방이 있는지를 가장 먼저 판단하고, 상기 냉방모드가 가동되는 방이 있으면 상기 환기모드 및 상기 공기청정모드로 가동 중인 실의 댐퍼를 폐쇄하여 개방된 댐퍼의 총 갯수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방모드로 가동되는 방이 없으면 환기모드로 가동 중인 방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환기모드가 가동되는 방이 있으면 상기 공기청정모드가 가동 중인 실의 댐퍼를 폐쇄하여 환기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환기모드가 급속환기모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환기모드가 급속환기모드인 경우 상기 송풍기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송풍량을 350m3/h로 유지하고, 상기 환기모드가 급속환기모드가 아닌 경우 개방되는 댐퍼의 총 갯수가 3개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되는 댐퍼의 총 갯수가 3개 이상인 경우, 상기 송풍기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송풍량을 250m3/h로 유지하고, 상기 개방되는 댐퍼의 총 갯수가 3개 미만인 경우, 상기 송풍기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150m3/h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에 맞는 운전모드를 가동하는 단계는 각 실의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지,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설정농도보다 높은지,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가 설정농도보다 높은지, 미세먼지의 농도가 설정농도보다 높은지를 조합하여 그에 맞는 운전모드로 가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 및 그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환기 및 냉방을 통합하여 제어 가능하므로 각각의 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덕트의 개방량에 따라 송풍량을 조절함으로써 덕트 또는 댐퍼에 과압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장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별로 목표 환경상태를 구현할 수 있어 재실자에게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른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의 개념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에 구비되는 분배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른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에서 제어센서 및 제어부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른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를 구성하는 각 구성간의 관계를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른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른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에서 세대 단위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른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에서 각 실의 운전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차트.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른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의 개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 및 냉방 통합 공기조화시스템은 실외기실(10)에 구비되는 통합공조기(100); 상기 통합공조기(10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각 실로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200); 상기 분배기(200)의 공기를 각 실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배기(200)와 상기 각 실을 서로 연결하는 분기덕트(300)를 구비한다.
통합공조기(100)는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 기능과 외부의 공기를 냉각시켜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냉방 기능을 모두 구비한다. 이러한 통합공조기(100)가 실외기실(10)에 설치되어 환기 기능과 냉방 기능을 모두 행하므로 실내에 별도의 에어컨을 두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라 실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환기 기능과 냉방 기능을 모두 구현하기 위해 통합공조기(100)는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장치 모듈(110)과, 상기 환기장치 모듈(110)을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방장치 모듈(120)과, 상기 환기장치 모듈(110)과 상기 냉방장치 모듈(120)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송풍기(130)를 구비한다.
환기장치 모듈(110)은 실외공기를 실내로 도입하고,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환기장치 모듈(110)은 전열교환기(미도시) 등을 구비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와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를 서로 열교환시켬으로써 실내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환기장치 모듈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냉방장치 모듈(120)은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반적인 냉매사이클을 이용한 냉방장치가 사용된다. 즉 냉매관에 의해 연결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송풍기(130)는 상기 환기장치 모듈(110)과 상기 냉방장치 모듈(120)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송풍기(130)의 회전수는 서보모터 등에 의해 선형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풍기(130)의 회전수를 조절함으로써 송풍기(130)에 의해 송풍되는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에 구비되는 분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분배기(200)는 통합공조기(10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각 실로 분배하기 위한 장치이다.
분배기(2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210)를 구비한다. 케이스(210)의 일측은 통합공조기(100)에서 공기를 공급받는 공급덕트(220)와 연결되고, 케이스(210)의 타측은 통합공조기(100)에서 공급받은 공기를 각 실로 공급하는 분기덕트(30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분배기(200)와 상기 각 실을 서로 연결하는 분기덕트(300)는 적어도 2개 이상씩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기(200)에서 거실로 연결하는 분기덕트(300)의 갯수도 2개 이상, 분배기(200)에서 안방으로 연결하는 분기덕트(300)의 갯수도 2개 이상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분기덕트(300)에서 분배기(200)에 근접한 부분에는 각 실로 연결된 분기덕트(300)를 개폐하는 전동댐퍼(250)가 구비된다. 전동댐퍼(250)는 모터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가 이루어져, 분기덕트(300)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분기덕트(300)에 전동댐퍼(250)가 설치됨으로써 각 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늘리기 위해 거실로 연결된 2개의 분기덕트(300)를 모두 개방하고, 거실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일부 줄이기 위해 거실로 연결된 2개의 분기덕트(300) 중 1개는 개방하고, 1개는 폐쇄할 수 있다. 또는 거실로 연결된 2개의 분기덕트(300) 모두를 폐쇄하여 거실로 공기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각 실에는 각 실의 공기환경을 측정할 수 있는 통합센서가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에서 제어센서 및 제어부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는 각 실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통합센서(400); 및 상기 통합센서(400)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토대로 상기 전동댐퍼(250)의 개폐와 상기 송풍기(130)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500)를 구비한다.
통합센서(400)는 각 실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습도센서, 이산화탄소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농도센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휘발성유기화합물농도센서, 미세먼지를 측정할 수 있는 미세먼지센서 등이 하나의 모듈로 통합된 센서이다.
제어장치(500)는 통합센서(400)에서 측정된 각종 정보들을 받아 각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내보내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거실 등에 설치되는 월패드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를 구비하여, 다양한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방모드, 환기모드, 공기청정모드, 냉방과 외기도입이 동시에 되는 모드 등이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른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를 구성하는 각 구성간의 관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합센서(400)에서는 각 실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미세먼지 등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제어장치(500)로 전송한다.
제어장치(500)는 통합센서(400)에서 측정된 각종 정보들을 토대로 송풍기(130)를 제어하여 송풍량을 조절하고, 각 실과 연결되는 전동댐퍼(250)를 개폐하여 다양한 모드가 구현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및 냉방 통합 공기조화시스템에 대해 설명을 하였으며, 다음으로 환기 및 냉방 통합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른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른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의 제어방법은 각 실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미세먼지를 측정하여 냉방모드, 환기모드 및 공기청정모드 중 각 실에 맞는 운전모드를 가동하는 단계(S100); 상기 각 실의 운전모드를 분석하여 개방되는 댐퍼(250)의 총 갯수를 판단하는 단계(S200); 및 개방되는 댐퍼(250)의 총 갯수에 맞게 환기장치 모듈과 냉방장치 모듈이 통합된 통합공조기(100)에 구비된 송풍기(130)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송풍량을 조절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를 이용하면 각 실에 다양한 형태의 운전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운전모드를 제공할 때 1세대당 개방되는 댐퍼(250)의 총 갯수는 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개방되는 댐퍼(250)의 총 갯수가 달라짐에도 송풍기(130)에서 일정량의 풍량을 제공하게 되면 덕트(300)나 댐퍼(250)에 과압이 걸리게 되어 댐퍼(250) 등이 파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방되는 댐퍼(250)의 총 갯수에 맞게 환기장치 모듈과 냉방장치 모듈이 통합된 통합공조기(100)에 구비된 송풍기(130)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덕트(300)나 댐퍼(250)에 과압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를 구비한 세대단위의 제어방법 및 각 실의 운전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른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에서 세대 단위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냉방모드, 환기모드 및 공기청정모드 중에서 냉방모드가 가동되는 방이 있는지를 가장 먼저 판단한다(S410). 그리고, 냉방모드가 가동되는 방이 있으면 환기모드 또는 공기청정모드로 가동 중인 실의 댐퍼(250)를 폐쇄하여 개방된 댐퍼(250)의 총 갯수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개방된 댐퍼(250)의 갯수가 5개 이상이면, 송풍기(130)를 강(350m3/h)으로 회전시키고, 개방된 댐퍼(250)의 갯수가 4개 이상이면 중(350m3/h)으로 회전시키고, 개방된 댐퍼(250)의 갯수가 2개 또는 3개이면 약(350m3/h)으로 회전시키고, 개방된 댐퍼(250)의 갯수가 1개이면 저(100m3/h)으로 회전시킨다.
만약 냉방모드로 가동되는 방이 없으면 환기모드로 가동 중인 방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420). 이때 환기모드가 가동되는 방이 있으면 공기청정모드가 가동 중인 실의 댐퍼(250)를 폐쇄하여 환기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환기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환기모드가 급속환기모드인지를 판단한다(S430). 환기모드가 급속환기모드인 경우 상기 송풍기(130)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송풍기(130)를 강(350m3/h)으로 유지하고, 상기 환기모드가 급속환기모드가 아닌 경우 개방되는 댐퍼의 총 갯수가 3개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440).
이때 개방되는 댐퍼(250)의 총 갯수가 3개 이상인 경우, 송풍기(130)를 중(250m3/h)으로 회전시키고, 개방되는 댐퍼(250)의 총 갯수가 3개 미만인 경우, 송풍기(130)를 약(150m3/h)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각 실에서는 통합센서(400)에서 측정된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 미세먼지 등을 기반으로 그에 맞는 운전모드를 가동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 시예에 따른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에서 각 실의 운전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각 실에 맞는 운전모드를 가동하는 단계는 각 실의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지,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설정농도보다 높은지,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가 설정농도보다 높은지, 미세먼지의 농도가 설정농도보다 높은지를 조합하여 그에 맞는 운전모드로 가동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각 실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운전모드를 가동할 수 있으며, 각 운전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댐퍼의 갯수에 따라 송풍기의 송풍량을 조절함으로써 덕트 또는 댐퍼에 과압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장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통합공조기 200: 분배기
250: 댐퍼 300: 분기덕트
400: 통합센서 500: 제어장치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각 실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미세먼지를 측정하여 냉방모드, 환기모드 및 공기청정모드 중 각 실에 맞는 운전모드를 가동하는 단계;
    상기 각 실의 운전모드를 분석하여 개방되는 댐퍼의 총 갯수를 판단하는 단계; 및
    개방되는 댐퍼의 총 갯수에 맞게 환기장치 모듈과 냉방장치 모듈이 통합된 통합공조기에 구비된 송풍기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송풍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냉방모드, 상기 환기모드 및 상기 공기청정모드 중에서 상기 냉방모드가 가동되는 방이 있는지를 가장 먼저 판단하고,
    상기 냉방모드가 가동되는 방이 있으면 상기 환기모드 또는 상기 공기청정모드로 가동 중인 실의 댐퍼를 폐쇄하여 개방된 댐퍼의 총 갯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의 제어방법.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냉방모드로 가동되는 방이 없으면 환기모드로 가동 중인 방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환기모드가 가동되는 방이 있으면 상기 공기청정모드가 가동 중인 실의 댐퍼를 폐쇄하여 환기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의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환기모드가 급속환기모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환기모드가 급속환기모드인 경우 상기 송풍기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송풍량을 350m3/h로 유지하고,
    상기 환기모드가 급속환기모드가 아닌 경우 개방되는 댐퍼의 총 갯수가 3개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의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되는 댐퍼의 총 갯수가 3개 이상인 경우, 상기 송풍기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송풍량을 250m3/h로 유지하고,
    상기 개방되는 댐퍼의 총 갯수가 3개 미만인 경우, 상기 송풍기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150m3/h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의 제어방법.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실에 맞는 운전모드를 가동하는 단계는
    각 실의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지,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설정농도보다 높은지,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가 설정농도보다 높은지, 미세먼지의 농도가 설정농도보다 높은지를 조합하여 그에 맞는 운전모드로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의 제어방법.
KR1020220074609A 2022-06-20 2022-06-20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613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609A KR102613699B1 (ko) 2022-06-20 2022-06-20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609A KR102613699B1 (ko) 2022-06-20 2022-06-20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3699B1 true KR102613699B1 (ko) 2023-12-14

Family

ID=89166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609A KR102613699B1 (ko) 2022-06-20 2022-06-20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6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7643A (ko) * 2006-01-24 200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22638A (ko) 2007-08-31 2009-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KR20090002525U (ko) * 2007-09-10 2009-03-13 장용기 바닥 매입덕트형 축열식 환기장치
KR102249491B1 (ko) * 2020-04-09 2021-05-12 (주)유원기술 폐열 회수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2267172B1 (ko) * 2020-03-31 2021-06-22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각 실 통합 제어 공기 순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7643A (ko) * 2006-01-24 200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22638A (ko) 2007-08-31 2009-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KR20090002525U (ko) * 2007-09-10 2009-03-13 장용기 바닥 매입덕트형 축열식 환기장치
KR102267172B1 (ko) * 2020-03-31 2021-06-22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각 실 통합 제어 공기 순환 시스템 및 방법
KR102249491B1 (ko) * 2020-04-09 2021-05-12 (주)유원기술 폐열 회수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170B1 (ko) 공조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이용하는 급기 전환 컨트롤러, 공조 제어 방법
US9185829B2 (en) Air-conditioning system and air-conditioning method for server room management
KR20110048099A (ko)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70145160A1 (en) Closed air handling system with integrated damper for whole-building ventilation
KR101713546B1 (ko) 일체형 환기 및 냉난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 및 냉난방방법
JP4647503B2 (ja) 空調システム
JP2018155444A (ja) 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建物
KR100583004B1 (ko) 복합 공조 및 환기 시스템
WO2022024374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結露防止方法
KR102613699B1 (ko)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 및 그의 제어 방법
JP7170592B2 (ja) 換気システム
KR102608093B1 (ko) 실별 요구수준 반영이 가능한 환기 및 냉방 통합공기조화장비 및 그의 제어 방법
Lstiburek Residential ventilation and latent loads
JPH11173623A (ja) 住宅用換気システム装置
JP2004301375A (ja) 換気システム
JP7199051B2 (ja) 室内空調システム
KR20180035291A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1932468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522061B1 (ko) 공조 유닛
JPH08145432A (ja) 空気調和機
JP2006250386A (ja) 換気空調装置
JP2002257399A (ja) 空調システム
KR20230102807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613073B1 (ko) 탄소중립 형 ehp-erv 융복합 제어 시스템
KR20020020392A (ko) 고층 아파트의 수냉식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