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480B1 - 슈퍼 피니싱 장치 - Google Patents

슈퍼 피니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480B1
KR102613480B1 KR1020210147219A KR20210147219A KR102613480B1 KR 102613480 B1 KR102613480 B1 KR 102613480B1 KR 1020210147219 A KR1020210147219 A KR 1020210147219A KR 20210147219 A KR20210147219 A KR 20210147219A KR 102613480 B1 KR102613480 B1 KR 102613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processing
polishing film
tension
installa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7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2201A (ko
Inventor
이돈배
Original Assignee
일광금속 유한책임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광금속 유한책임회사 filed Critical 일광금속 유한책임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7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480B1/ko
Publication of KR20230062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superfinishing surfaces on work, i.e. by means of abrading blocks reciprocating with high frequ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04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plane surfaces
    • B24B21/12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plane surfaces involving a contact wheel or roller pressing the belt against the work
    • B24B21/14Contact wheels; Contact rollers; Belt supporting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18Accessories
    • B24B21/20Accessories for controlling or adjusting the tracking or the tension of the grinding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슈퍼 피니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공장치의 작업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의 일측에 결합되고 연마 필름을 회전 동작하는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접촉시켜 가공대상물의 표면을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범용 선반이나 CNC 등 가공장치에 쉽게 탈부착해서 가공대상물의 표면을 정밀하게 가공하며, 연마 필름을 쉽게 교체할 수 있고, 장력조절부를 이용해서 연마 필름의 장력을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가공대상물의 조도 및 외경에 대한 품질 조도를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슈퍼 피니싱 장치{SUPER FINISHIN APPARATUS}
본 발명은 슈퍼 피니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잡한 형상의 기계부품 등 연마가 곤란한 미세부분을 초정밀 마무리 가공하는 슈퍼 피니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볼스터드, 베어링 허브, 베어링 내외륜 등 곡면궤도를 가진 가공대상물의 경우, 구면 부위의 표면조도 및 진원도는 그 기능상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상기 볼스터드와 같이 곡면궤도를 가진 가공대상물들은 1차로 외형을 구면 형상으로 선삭 가공한 후, 표면조도 및 광택을 위하여 별도의 전조 공정을 두어 가공하거나, 또는 기존 자동 선반에서 1차 선삭 후에 슈퍼 피니싱 장치를 이용해서 구면의 표면부를 초정밀 가공한다.
그러나, 상기 전조 공정을 이용한 가공방법은 미성형 및 진원도의 불량이 다수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슈퍼 피니싱은 공작물의 표면에 입도가 고운 숫돌을 가벼운 압력으로 맞붙여 누르고 작은 진폭으로 진동시키면서, 공작물에는 회전 이송운동을 주어 공작물 표면을 다듬질하는 방법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공작물에 진동을 주거나 숫돌과 공작물 쌍방에 진동을 주기도 한다.
이러한 슈펴 피니싱은 방향성 없는 아름다운 면을 단시간에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슈퍼 피니싱 장치는 초기에 사용하던 숫돌의 입자 사이에 미세한 물질이 누적되면서 표면에 악영향을 주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롤에 감겨진 필름을 슈퍼 피니싱의 연마재로 이용하는 필름식 슈퍼 피니싱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필름식 슈퍼 피니싱 장치는 절삭유나 쿨런트의 종류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녹 발생의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물로 대체도 가능하며, 건식 작업도 가능하고, 고무부터 초고경도 세라믹 재질의 가공대상물에 이르기까지 활용범위가 넓은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각각 숫돌식 슈퍼 피니싱 장치과 필름식 슈퍼 피니싱 장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11-0120097호(2011년 11월 3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931817호(2018년 12월 17일 공고)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필름식 슈퍼 피니싱 장치는 공급 릴에서 회수 릴을 향해 연마 필름을 이송하는 방식으로 구성됨에 따라, 연마 필름의 교체가 어렵고, 연마 필름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워 피공물의 조도 및 외경에 대한 품질 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필름식 슈퍼 피니싱 장치는 범용 선반이나 CNC와 같은 가공장치에 장착하는 구조가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마 필름을 쉽게 교체할 수 있고, 연마 필름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해서 가공대상물의 조도 및 외경에 대한 품질 조도를 확보할 수 있는 슈퍼 피니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범용 선반이나 CNC 등 가공장치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슈퍼 피니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슈퍼 피니싱 장치는 가공장치의 작업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의 일측에 결합되고 연마 필름을 회전 동작하는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접촉시켜 가공대상물의 표면을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슈퍼 피니싱 장치에 의하면, 범용 선반이나 CNC 등 가공장치에 쉽게 탈부착해서 가공대상물의 표면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가공부에 마련된 복수의 지지롤러에 연마 필름을 설치함에 따라, 연마 필름을 쉽게 교체할 수 있고, 장력조절부를 이용해서 연마 필름의 장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가공대상물의 조도 및 외경에 대한 품질 조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공대상물의 변경시 변경된 가공대상물을 이용해서 연마 필름을 가압해서 일정 거리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이전 가공대상물의 가공에 이용된 이후 부분을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다음 가공대상물을 가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슈퍼 피니싱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슈퍼 피니싱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력조절부를 확대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슈퍼 피니싱 장치의 작동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슈퍼 피니싱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슈퍼 피니싱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슈퍼 피니싱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베이스(20)를 기준으로 가공대상물(11)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F)'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B)'이라 한다. 그리고 '좌측(L)', '우측(R)', '상방(U)' 및 '하방(D)'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상기한 전방과 후방을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슈퍼 피니싱 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장치의 작업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20), 베이스(20)의 상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블록(21), 고정블록(21)의 일측에 결합되고 연마 필름(13)을 가공대상물(11)의 표면에 접촉시켜 회전 동작하는 가공대상물(11)의 표면을 마무리 가공하는 가공부(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슈퍼 피니싱 장치(10)는 연마 필름(13)에 작용하는 장력을 조절하고, 조절된 장력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장력조절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공대상물(11)은 가공부(30)에 설치된 연마 필름(11)에 의해 표면이 가공된다.
이러한 가공대상물(11)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공장치(도면 미도시)에 마련된 회전모듈(12)에 장착되고, 회전모듈(12)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동작한다.
베이스(20)는 미리 설정된 두께를 갖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공장치의 작업대(도면 미도시)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20)의 크기는 작업대나 가공대상물(11)의 규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베이스(20)의 상면에는 고정블록(21)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이동공(2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공(22)은 전방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대략 'ㅗ'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이동공(22)은 서로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베이스(20)의 길이 방향, 즉 전후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3개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블록(21)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블록(21)의 하면에는 이동공(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부재(도면 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이동공(22)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단면이 대략 'ㅗ'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볼트 등을 체결해서 고정블록(21)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블록(21)은 하면에 결합된 이동부재가 베이스(20)에 형성된 이동공(22)에 삽입한 상태에서, 이동공(20)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해서 위치가 조절되고, 조절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베이스(20)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가공장치의 작업대 상에 이동공(22)을 형성해서 고정블록(21)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고정블록(21)의 전면에는 우측단에 가공부(30)가 결합되는 연결 플레이트(23)가 결합될 수 있다.
가공부(30)는 외면에 감긴 연마 필름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공부(30)에는 제1 내지 제3 지지롤러(31 내지 33)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롤러(31,32)는 각각 연결 플레이트(23)의 우측단에 결합되는 설치블록(34)의 상부 및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3 지지롤러(33)는 아래에서 설명할 장력조절부(40)에 마련되는 조절부재(4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연마 필름(13)은 미리 설정된 폭과 길이를 갖는 원 형상의 띠 형태로 마련되고, 제1 내지 제3 지지롤러(31 내지 33)의 외면에 순차적으로 감겨서 설치될 수 있다.
그래서 연마 필름(13)은 가공대상물(11)의 표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가공대상물(11)의 회전 동작에 의해 가공대상물(11)의 표면을 가공한다.
제1 내지 제3 지지롤러(31 내지 33)에는 각각 제1 내지 제3 지지롤러(31 내지 33)를 일측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일방향 클러치 유닛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일방향 클러치 유닛은 연마 필름(13)이 가공대상물(11)의 회전방향, 도 3에서 보았을 때 화살표 D1 방향에 따른 회전방향, 즉 도 3에서 보았을 때 화살표 D2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도록, 제1 내지 제3 지지롤러(31 내지 33)의 회전 방향에 따라 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즉, 연마 필름(13)은 각각 일방향 클러치 유닛이 설치된 제1 내지 제3 지지롤러(31 내지 33)에 감긴 상태에서 가공대상물(11)을 가공하는 도중에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연마 필름(13)은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면, 예컨대 연마하고자 하는 가공대상물(11)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D3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화살표 D2 방향의 역방향, 즉 화살표 D4 방향으로는 일정 거리만큼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공대상물(11)이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가공대상물을 이용해서 연마 필름을 가압하여 일정 거리만큼 회전시키고, 이전 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해 이용된 이후의 부분을 순차적으로 이용해서 다음 가공대상물을 가공할 수 있다.
장력조절부(40)는 제1 내지 제3 지지롤러(31 내지 33)에 감긴 연마 필름(13)의 장력을 조절하고, 균일한 장력이 일정하게 작용하도록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력조절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장력조절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블록(34)의 후측에 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부재(41), 조절부재(4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42), 설치블록(34)의 상단에 설치되는 고정부재(43) 및 양단이 고정부재(43)와 조절부재(41)에 각각 연결되어 조절부재(4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42)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대략 'U' 형상으로 형성되고, 설치블록(34)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조절부재(41)는 단면이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조절부재(41)의 대략 중앙부에는 지지부재(42)의 양측벽 사이를 관통해서 축(421)이 결합될 수 있다.
그래서 조절부재(41)는 축(42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부재(41)의 하단이 후측 상방을 향해 회전하면, 제3 지지롤러(33)가 제1 및 제2 지지롤러(31,32)와 멀어지도록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연마 필름(13)에 작용하는 장력이 커진다.
반면, 조절부재(41)의 하단이 전측 상방으로 향해 회전하면, 제3 지지롤러(33)가 제1 및 제2 지지롤러(31,32)와 가까워지도록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연마 필름(13)에 작용하는 장력이 작아진다.
고정부재(43)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대략 'L' 형상으로 형성되고, 설치블록(34)의 상단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43)의 상단과 조절부재(41)의 상단에는 각각 탄성부재(44)의 양단이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44)는 코일 스프링과 같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방향에 따라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44)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조절부재(41)는 연마필름(13)에 작용하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균일한 연마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43)에는 상단에서 하방을 향해 고정홈(431)이 형성되고, 고정홈(431)에는 연결부재(45)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재(45)는 탄성부재(44)의 전단에 후단이 연결되어 탄성부재(44)의 후단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절부재(41)의 상면에는 탄성부재(44)의 후단이 연결된 조절바(46)가 결합되는 조절공(41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절공(411)은 미리 설정된 간격마다 이격되어 복수, 예컨대 5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조절부재(41)가 복수의 조절공(411) 중에서 어느 하나에 결합되면, 해당 조절공(411)과 고정부재(43) 사이의 거리에 따라 탄성부재(44)의 탄성력은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44)에서 조절부재(41)에 제공되는 탄성력이 조절됨에 따라, 조절부재(41)의 회전각도도 조절될 수 있다.
즉, 조절부재(41)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조절공(411) 중에서 설치블록(34)의 전단측에 형성된 조절공(411)에 조절바(46)가 결합되면, 탄성부재(44)의 탄성력이 감소한다.
반면, 복수의 조절공(411) 중에서 설치블록(34)의 후단측에 형성된 조절공(411)에 조절바(46)가 결합되면, 탄성부재(44)의 탄성력이 증가한다.
한편, 조절부재(41)에는 조절부재(41)의 상단이 전방으로 회전할 수 있는 최대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볼트(47)가 관통 체결될 수 있다.
조절볼트(47)는 조절부재(41)의 상부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해서 체결되고, 조절볼트(47)의 전단은 설치블록(34)의 후면에 접촉될 수 있다.
그래서 조절볼트(47)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해서 전방으로 이동하면, 조절부재(41)의 상단이 전방으로 회전하는 최대 회전각도는 감소한다.
반면, 조절볼트(47)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해서 후방으로 이동하면, 조절부재(41)의 상단이 전방으로 회전하는 최대 회전각도는 감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범용 선반이나 CNC 등 가공장치에 쉽게 탈부착해서 가공대상물의 표면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공부에 마련된 복수의 지지롤러에 연마 필름을 설치함에 따라, 연마 필름을 쉽게 교체할 수 있고, 장력조절부를 이용해서 연마 필름의 장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가공대상물의 조도 및 외경에 대한 품질 조도를 확보할 수 있다.
다음,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슈퍼 피니싱 장치의 결합관계 및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슈퍼 피니싱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4와 도 5에는 각각 슈퍼 피니싱 장치의 작동시 우측과 좌측에서 본 동작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는 슈퍼 피니싱 장치를 이용해서 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대상물 변경시 동작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작업자는 가공장치(도면 미도시)의 작업대 상부에 베이스(20)를 고정하고, 베이스(20)에 고정블록(21)을 설치한다.
이때, 작업자는 고정블록(21)의 하면에 이동부재를 결합하고, 상기 이동부재를 베이스(20)의 상면에 형성된 이동공(22)에 삽입한 후, 고정블록(21)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해서 조절된 위치에 고정블록(21)을 고정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고정블록(21)에 결합된 연결 플레이트(23) 일단에 설치블록(34)을 결합하고, 가공부(30)와 장력조절부(40)를 조립한다.
이때, 연마 필름(13)은 가공부(30)에 마련된 제1 내지 제3 지지롤러(31 내지 33)에 감겨서 설치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장력조절부(40)의 탄성부재(44) 후단에 연결된 조절바(46)를 설치블록(34)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조절공(411) 중에서 어느 하나에 결합해서 탄성부재(44)의 탄성력을 조절한다.
이때, 장력조절부(40)의 조절부재(41)는 탄성부재(44)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에 따라 지지부재(42)의 양측벽을 관통해서 결합된 축(421)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여 제3 지지롤러(33)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연마 필름(13)은 제3 지지롤러(33)의 위치 변화에 따라 장력이 조절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슈퍼 피니싱 장치(10)의 조립이 완료되면, 가공대상물(11)은 연마 필름(13)에 접촉된 상태에서 가공장치의 회전모듈(12)에 의해 회전 동작한다.
이때, 연마 필름(13)은 각각 일방향 클러치 유닛이 설치된 제1 내지 제3 지지롤러(31 내지 33)에 감긴 상태에서 가공대상물(11)의 회전 동작과 무관하게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래서 가공대상물(11)의 표면은 연마 필름(13)에 의해 정밀 가공된다.
만약, 가공대상물(11)의 가공이 완료되면, 회전모듈(12)의 구동을 중지시킨 후, 가공하고자 하는 새로운 가공대상물(11)을 회전모듈(12)에 장착한다.
이때, 가공대상물(1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 필름(13)에 밀착되도록 화살표 D3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연마 필름(13)을 가압한다.
그러면, 연마 필름(13)은 화살표 D4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회전한다.
그래서 연마 필름(13)은 가공대상물(11)이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가공대상물에 의해 가압되어 일정 거리만큼 회전하고, 이전에 가공대상물을 가공하기 위해 이용된 이후의 부분을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다음 가공대상물을 가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공대상물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연마필름을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켜 지속적으로 새로운 부분을 이용해서 가공대상물을 연마할 수 있다.
실제 제품을 이용한 실험 결과, 본 발명은 연마 필름의 전체 회전시 약 100개 내지 130개의 가공대상물을 연마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연마필름 전체의 3회전이 완료되면, 즉 약 350개 정도의 가공대상물을 연마한 후에 연마 필름을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공대상물(11)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연마 필름(13)이 마모되거나 손상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 작업자는 회전모듈(12)의 구동을 중지시킨 후, 장력조절부(40)를 이용해서 연마 필름(13)의 장력을 감소시킨 상태에서 연마 필름(13)을 제거하고, 새로운 연마 필름(13)으로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범용 선반이나 CNC 등 가공장치에 쉽게 탈부착해서 가공대상물의 표면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공부에 마련된 복수의 지지롤러에 연마 필름을 설치함에 따라, 연마 필름을 쉽게 교체할 수 있고, 장력조절부를 이용해서 연마 필름의 장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가공대상물의 조도 및 외경에 대한 품질 조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범용 선반이나 CNC 등 가공장치에 쉽게 탈부착해서 가공대상물의 표면을 정밀하게 가공하며, 연마 필름을 쉽게 교체할 수 있고, 장력조절부를 이용해서 연마 필름의 장력을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가공대상물의 조도 및 외경에 대한 품질 조도를 확보하는 슈펴 피니싱 장치 기술에 적용된다.
10: 슈퍼 피니싱 장치
11: 가공대상물 12: 회전모듈
13: 연마 필름
20: 베이스 21: 고정블록
22: 이동공 23: 연결 플레이트
30: 가공부 31 내지 33: 제1 내지 제3 지지롤러
34: 설치블록
40: 장력조절부
41: 조절부재 411: 조절공
42: 지지부재 421: 축
43: 고정부재 431: 고정홈
44: 탄성부재 45: 연결부재
46: 조절바 47: 조절볼트

Claims (6)

  1. 가공장치의 작업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의 일측에 결합되고 연마 필름을 회전 동작하는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접촉시켜 가공대상물의 표면을 가공하는 가공부 및
    상기 연마 필름에 작용하는 장력을 조절하고, 조절된 장력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장력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공부는 연결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고정블록과 연결되는 설치블록,
    상기 설치블록에 상하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 지지롤러와
    상기 장력조절부의 조절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조절부재의 회전 동작에 의해 위치가 조절되는 제3 지지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지지롤러에는 각각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일방향 클러치 유닛이 마련되고,
    상기 연마 필름은 미리 설정된 폭과 길이를 갖는 원 형상의 띠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지지롤러에 감겨서 설치되며, 상기 제3 지지롤러의 위치에 따라 장력이 조절되며,
    상기 장력조절부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공부의 설치블록에 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부재,
    단면이 'U'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설치블록의 후면에 고정되어 상기 조절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설치블록의 상단에 설치되는 고정부재 및
    양단이 상기 고정부재와 조절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조절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의 중앙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벽 사이를 관통해서 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 피니싱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블록의 상단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연결된 조절바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재에는 상기 조절부재의 상단이 상기 설치블록을 향해 회전하는 최대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볼트가 관통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 피니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 필름은 가공대상물의 변경시 변경된 가공대상물에 의해 가압되면,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회전해서 이전 가공대상물의 가공에 이용된 이후 부분을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다음 가공대상물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 피니싱 장치.
  6.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이동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이동공에 결합되는 이동부재가 하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공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해서 조절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퍼 피니싱 장치.
KR1020210147219A 2021-10-29 2021-10-29 슈퍼 피니싱 장치 KR102613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219A KR102613480B1 (ko) 2021-10-29 2021-10-29 슈퍼 피니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219A KR102613480B1 (ko) 2021-10-29 2021-10-29 슈퍼 피니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201A KR20230062201A (ko) 2023-05-09
KR102613480B1 true KR102613480B1 (ko) 2023-12-14

Family

ID=86408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7219A KR102613480B1 (ko) 2021-10-29 2021-10-29 슈퍼 피니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4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8870B2 (ja) * 1991-07-31 2001-02-26 ファロス ブラター アーゲー 特に製紙機械用ロールの円柱状または球状の面を研磨するためのグラインダー
KR101409476B1 (ko) 2012-12-21 2014-06-18 주식회사 티지솔루션 기판의 모서리 연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7754A (ja) * 1989-03-10 1990-09-20 Hitachi Ltd レンズ研磨装置およびその研磨方法
JPH10315113A (ja) * 1997-05-15 1998-12-02 Matsuda Seisakusho:Kk 外周面研磨装置
KR100819178B1 (ko) * 2006-06-14 2008-04-04 주식회사 솔로몬메카닉스 내면수퍼피니싱장치 및 그 제어시스템
KR20110120097A (ko) 2010-04-28 2011-11-03 정영석 슈퍼피니싱 장치
JP5416755B2 (ja) 2011-12-08 2014-02-1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研磨装置、及びそれにより研磨された画像形成装置用の導電性ローラ
KR101795762B1 (ko) * 2015-07-14 2017-11-08 최규종 벨트구동식 판넬모서리연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8870B2 (ja) * 1991-07-31 2001-02-26 ファロス ブラター アーゲー 特に製紙機械用ロールの円柱状または球状の面を研磨するためのグラインダー
KR101409476B1 (ko) 2012-12-21 2014-06-18 주식회사 티지솔루션 기판의 모서리 연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201A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7804B2 (en) Pressing device for cutting means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finishing circumferential surfaces on cylindrical parts of a workpiece
US5664991A (en) Microfinishing and roller burnishing machine
KR102413618B1 (ko) 워크피스를 성형 및 마무리하는 방법
US5695391A (en) Super finishing machine
US8574036B2 (en) Machining station and apparatus for machining a workpiece
RU2676540C1 (ru) Люнет для дополнительной опоры центральных зон обрабатываемых изделий, в частности опорных участков коленчатых валов, а также шлифовальный станок с люнетом
KR102613480B1 (ko) 슈퍼 피니싱 장치
US3334447A (en) Sanding machine
US5272845A (en) Rotary surface finishing device
CN101687299A (zh) 研磨装置
US20180021916A1 (en) Surface finishing assembly
CN210024811U (zh) 砂带组抛光结构
KR102375422B1 (ko) 롤형 공작물의 연마장치
JP7021455B2 (ja) 加工装置
JP6866962B1 (ja) ガイドレール研削装置、ガイドレールの研削方法、およびガイドレール研削装置の調整方法
JP4701638B2 (ja) ラッピング加工装置
KR101005574B1 (ko) 내경 버니싱용 샌드페이퍼 제조장치
CN105163905A (zh) 用于带式精加工工件的装置
JP2006181697A (ja) 平面研磨装置及び平面研磨方法
US5928067A (en) Headbox apron finishing and lapping device
KR20160087211A (ko) 하이브리드 건식 및 습식 복합소재 연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건식 및 습식 복합소재 연마방법
KR102375419B1 (ko) 롤형 공작물의 슈퍼피니싱장치
KR200378324Y1 (ko) 연마기용 조정롤러
CN219444631U (zh) 一种轴承加工用打磨机构
JP2003089047A (ja) 曲面仕上げ加工方法および曲面仕上げ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