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206B1 - 주행 제어 기능을 갖는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주행 제어 기능을 갖는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206B1
KR102613206B1 KR1020220190234A KR20220190234A KR102613206B1 KR 102613206 B1 KR102613206 B1 KR 102613206B1 KR 1020220190234 A KR1020220190234 A KR 1020220190234A KR 20220190234 A KR20220190234 A KR 20220190234A KR 102613206 B1 KR102613206 B1 KR 102613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bar
work vehicle
bumper frame
collis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90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진만
장영윤
장세윤
Original Assignee
장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진만 filed Critical 장진만
Priority to KR1020220190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2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4Bumper guards
    • B60R19/46Bumper guards spring- or pivotally-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19/48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obstacle sensors of electric or electron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 제어 기능을 갖는 작업 차량에 관한 것으로, 양측에 크롤러가 구비돼 있는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운전석이 있는 차체 바디가 구성되는 작업 차량으로서, 작업 차량이 진행하는 측의 차체 바디에는 범퍼프레임이 각각 구비되고, 범퍼프레임에는 충돌을 감지하여 작업 차량의 주행을 정지시키는 충돌 감지수단이 구비되는 작업 차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주행 제어 기능을 갖는 작업 차량{Driving control function with working vehicles}
본 발명은 주행 제어 기능을 갖는 작업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 이동되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 차량에 충돌이 발생될 시 작업 차량의 주행 상태를 정지시킬 수 있는 주행 제어 기능을 갖는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현재 농업은 농업 인구의 감소 및 고령화, 농업경영비 상승 등으로 농업 여건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며, 농업 작업은 노동 집약적이며 파종, 정식, 제초, 농약살포 등 여러 가지 작업이 많아 기계화의 효율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우리나라는 농가 인구의 고령화 현상이 점점 두드러져 65세 이상의 고령 농업 인구는 2017년도에는 42.5%로 증가되었고, 농업 노동의 여성화 현상도 늘어나면서 65세 이상의 여성 고령의 농업 인구는 전 농동 인구 대비 2017년 52.4%에 달한다.
일반적인 여성 농업인은 농기계 운전비율이 31.8% 수준이며, 다룰 수 있는 농기계의 종류도 평균 1.95종으로 적은데, 이는 기존의 농기계가 대부분 대형이고 남성의 체형에 맞추어 개발되어 여성의 체형에 맞지 않고 운전 조작이 불편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농기계의 일례로서, 도 1에서는 일반적인 트랙터를 농기계의 일례로 예시하였다.
종래의 트랙터(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 상부에 엔진이 장치되고 메인 프레임 하부에 바퀴(2)가 엔진에 의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장치되며, 엔진의 출력축에 구동되는 변속기가 메인 프레임 후단부에 장치되어 변속기의 하부에 로터리(12)가 회전구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로터리(12)와 변속기 상부 및 후부를 덮는 흙받이 커버(10)가 메인 프레임 후단부에 구비됨에 있어 흙받이 커버(10)의 상단 골격 후부에 장축 형태의 제2 프레임(20)의 선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 프레임(20)의 후단부에 의자(21)가 구비되고, 제2 프레임(20)의 중간부에 보조축(23)의 상단부가 결합되며, 보조축(23) 하단부에 보조바퀴(13)가 구비되어 있다.
하지만, 도 1에 개시된 트랙터(A)와 같은 농기계는 대형이면서 고중량이기 때문에, 고령의 노인이나 부녀자가 조작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고, 이로 인한 운전 미숙으로 인해 충돌 사고를 빈번하게 유발될 뿐 아니라 더 나아가서는 농기계에 의한 충돌 사고가 인사 사고 즉 사망 사고로도 이어질 수 있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136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행 이동되면서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 차량의 진행 방향 측으로 범퍼를 구성하고, 범퍼에 의한 충돌이 감지되면 작업 차량의 주행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주행 제어 기능을 갖는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행 제어 기능을 갖는 작업 차량은, 양측에 크롤러가 구비돼 있는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운전석이 있는 차체 바디가 구성되는 작업 차량으로서, 작업 차량이 진행하는 측의 차체 바디에는 범퍼프레임이 각각 구비되고, 범퍼프레임에는 충돌을 감지하여 작업 차량의 주행을 정지시키는 충돌 감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충돌 감지수단은 범퍼프레임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차체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드바; 로드바에 구비되어 범퍼프레임과 함께 이동된 로드바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차체 바디에 구비되어 범퍼프레임과 함께 이동되는 로드바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여, 감지부에서 로드바의 이동이 감지되면 작업 차량의 주행을 정지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감지부는 근접센서 또는 리미트스위치로 구비되고, 로드바에는 근접센서 또는 리미트스위치에 의해 검출되는 감지판이 고정되게 구비되어, 감지판이 로드바와 같이 이동됨에 따라 근접센서 또는 리미트스위치에서는 검출된 감지신호를 출력하여 작업 차량의 주행을 정지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차체 바디에는 감지부가 고정되는 마운팅브라켓이 구비되고, 마운팅브라켓에는 로드바의 이동을 안내하는 부싱관이 구비되어, 범퍼프레임과 함께 이동되는 로드바가 직선 이동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주행 제어 기능을 갖는 작업 차량에 따르면, 작업 현장에서 주행 이동되면서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 차량의 진행 방향 측으로 범퍼가 구성되고, 이 범퍼에서 충돌이 감지되면 작업 차량의 주행을 정지시키게 됨으로써 작업 차량의 충돌로 인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농기계의 일례로서, 일반적인 트랙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 제어 기능을 갖는 작업 차량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리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충돌 감지수단의 분리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 감지수단의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롤러에 구성되는 장력조절수단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절수단의 분리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조절수단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 제어 기능을 갖는 작업 차량 및 이에 구성되는 충돌 감지수단 및 장력조절수단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행 제어 기능을 갖는 작업 차량(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20) 양측에는 작업 차량(100)을 주행 이동시키는 크롤러(150)가 구비되고,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상면에는 차체 바디(11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베이스플레이트(120)는 작업 차량(100)이 전진 이동되는 전방 측은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양측부에는 크롤러(150)의 설치를 위한 다수의 프레임이 돌출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차체 바디(110)에는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는 운전석(130)이 마련돼 있고, 운전석(130)에는 조정간 이외에도 작업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터치패널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터치패널은 운전석(130)에서 제자리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운전석(130)의 상부에는 운전석(130)을 덮어 가리는 루프패널(140)이 구비되고, 루프패널(140)의 각 코너부에는 서포트프레임(141)이 구비되어 루프패널(140)을 지지하게 되며, 루프패널(140)의 상면에는 GPS 수신기 및 라이더센서(미도시)가 부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루프패널(140)을 지지하는 서포트프레임(141)은 차체 바디(110)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구비되는 바, 서포트프레임(141)은 그 하부가 차체 바디(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됨으로써 차체 바디(110)의 상부로 돌출된 서포트프레임(14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차체 바디(110)에는 작업 차량(10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유닛(미도시)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 차량(100)의 진행 방향 측 즉 차체 바디(110)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의 범퍼프레임(250)이 구비되고, 범퍼프레임(250)과 차체 바디(110) 사이에는 범퍼프레임(250)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충돌이 감지되면 작업 차량(100)의 주행을 강제로 정지시키는 충돌 감지수단(200)이 구비된다.
범퍼프레임(250)은 작업 차량(100)의 전,후방에서 각각 충돌 감지수단(200)에 의해 작업 차량(100)과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고, 작업 차량(100)의 전면과 후면을 충분히 감싸 커버할 수 있는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작업 차량(100)의 전방과 후방에는 충돌 감지수단(200)이 각각 구비되는 바, 전방의 충돌 감지수단(200)은 전방의 범퍼프레임(250)과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전단부를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후방의 충돌 감지수단(200)은 작업 차량(100)의 후면에 구비된 후방프레임(170)과 후방의 범퍼프레임(250)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나, 이에 국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작업 차량(10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되는 충돌 감지수단(200)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작업 차량(100)의 전방에 구비된 범퍼프레임(250)과 충돌 감지수단(200)을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충돌 감지수단(2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부가 범퍼프레임(250)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반대편의 타단부가 차체 바디(11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드바(240)와, 로드바(240)에 구비되어 범퍼프레임(250)과 함께 이동된 로드바(24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41)와, 차체 바디(110)에 구비되어 범퍼프레임(250)과 함께 이동되는 로드바(240)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여, 감지부에서 로드바(240)의 이동이 감지되면 작업 차량(100)의 주행을 강제 정지시키도록 구비된다.
먼저, 작업 차량(100)의 차체 바디(110)와 마주하는 범퍼프레임(250)의 일면에는 복수의 고정브라켓(250a)이 돌출되게 구비되고, 복수의 고정브라켓(250a)에는 후술될 고정핀(243)이 관통되어 로드바(240)에 결합됨으로써 로드바(240)를 범퍼프레임(250)에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범퍼프레임(250)의 양 고정브라켓(250a) 사이로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는 로드바(240)의 선단부에는 고정핀(243)이 관통 결합되고, 고정핀(243) 후방의 로드바(240)에는 탄성부재(241)가 끼워져 구비되며, 탄성부재(241)와 고정핀(243) 사이의 로드바(240)에는 고정와셔(242)가 끼워져 탄성부재(241)에 의해 탄력 지지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때, 탄성부재(241)는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고, 고정와셔(242)는 범퍼프레임(250)의 양 고정브라켓(250a) 사이의 간격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구비된다.
이로써, 탄성부재(241)에 의해 탄력 지지된 고정와셔(242)는 그 전면에 범퍼프레임(250)의 양 고정브라켓(250a)이 접하여 구비된 상태이므로 범퍼프레임(250)이 차체 바디(110) 측으로 밀려 들어오면 로드바(240)는 양 고정브라켓(250a)과 고정와셔(242)에 의해 범퍼프레임(250)과 같이 차체 바디(110) 측으로 이동돼 오면서 후술될 마운팅브라켓(210)과의 사이에서 탄성부재(241)를 압축시키게 된다.
그리고, 로드바(240)의 말단부에는 후술될 감지부에 의해 그 위치가 감지되는 감지판(244)이 결합 고정되어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로드바(240)에 대응한 차체 바디(110) 즉 베이스플레이트(120) 및 후방프레임(170)에는 각각 마운팅브라켓(210)이 고정되어 구비되고, 마운팅브라켓(210)에는 로드바(240)가 관통 결합되어 로드바(240)의 이동을 안내하는 부싱관(230)이 구비되며, 부싱관(230)의 상부 또는 하부의 마운팅브라켓(210)에는 로드바(240)의 이동시 감지판(244)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고정되게 구비된다.
부싱관(230)은 원통의 중공관으로서, 마운팅브라켓(210)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된다. 이와 같은 부싱관(230)에는 로드바(240)의 말단부가 관통 결합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로써, 부싱관(230)은 범퍼프레임(250)과 같이 이동되는 로드바(240)가 직선 이동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범퍼프레임(250)의 어느 방향으로 충돌이 작용하더라도 범퍼프레임(250) 및 로드바(240)는 부싱관(230)에 의해 항상 직선 이동되므로 충돌 감지수단(200)에서 충돌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감지부는 근접센서 또는 리미트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감지부가 근접센서(220)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이 구비된 근접센서(220)에는 로드바(240)의 감지판(244)이 접촉된 상태로 구비돼 있다가 범퍼프레임(250)에 충돌이 발생되면, 범퍼프레임(250)과 로드바(240)가 함께 차체 바디(110) 측으로 밀려 이동되고, 이에 따라 근접센서(220)에 접촉돼 있던 로드바(240)의 감지판(244)이 근접센서(220)로부터 이격되어 멀어짐에 따라 근접센서(220)는 이의 감지신호를 컨트롤유닛으로 출력하게 되며, 컨트롤유닛에서는 이의 감지신호를 충돌 신호로 판단하여 작업 차량(100)의 주행을 강제 정지시키는 제어 모드가 작동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 제어 기능을 갖는 작업 차량의 작동을 설명한다.
주행 이동되던 작업 차량(100)의 범퍼프레임(250)에 충돌이 발생되면, 범퍼프레임(250)은 도 5에서와 같이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 차체 바디(110) 측으로 밀려 들어와 이동된다.
이에, 범퍼프레임(250)에 결합 고정된 로드바(240)가 범퍼프레임(250)과 함께 차체 바디(110) 측으로 이동되면서 로드바(240)에 끼워져 있는 탄성부재(241)를 압축시키며 완충되고, 로드바(240) 말단부의 감지판(244)은 근접센서(220)에 접촉돼 있다가 분리되면서 멀리 이동되어 이격된다.
이로써, 근접센서(220)는 이의 감지신호를 컨트롤유닛으로 출력하고, 컨트롤유닛에서는 근접센서(220)와 감지판(244)의 비접촉에 의한 감지신호를 충돌 신호로 판단하여 작업 차량(100)의 주행을 제어하여 강제 정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작업 차량(100)의 충돌 사고로부터 운전자나 작업자 등과 같은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함은 물론 충돌시 충돌 감지수단(200)의 완충 작용으로 인해 충돌 대상물의 손상이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범퍼프레임(250)이 충돌 대상물로부터 분리되어 벗어나면, 압축돼 있던 탄성부재(241)가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차체 바디(110) 측으로 이동돼 있던 로드바(240)를 외측으로 밀어 이동시키고, 로드바(240)의 이동에 의해 범퍼프레임(250)이 로드바(240)와 함께 외측으로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되며, 로드바(240)의 감지판(244)은 다시 근접센서(220)에 밀착되어 접촉된 상태로 구비됨으로써 충돌 감지수단(200)을 충돌 전과 같은 상태로 되돌릴 수 있게 된다.
한편,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양측에는 크롤러(150)가 구비되는 바, 이 크롤러(150)는 베이스플레이트(120)에서 양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고정프레임(151)과, 다수의 고정프레임(151)에 직교되게 설치되는 평행한 복수의 마운팅프레임(152)을 기초로 하여 설치된다.
즉, 크롤러(15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마운팅프레임(152) 사이에서 마운팅프레임(152)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다수의 하부롤러(155)가 구비되고, 하부롤러(155) 상부의 마운팅프레임(152)에는 상부롤러(154)가 힌지 결합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부롤러(154)의 전,후 측에는 각각 구동륜(153)과 아이들롤러(165)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는 바, 구동륜(153)은 후술될 무한궤도(156)와 결합되어 무한궤도(156)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프로킷휠로 구비되고, 아이들롤러(165)와 상부롤러(154) 및 하부롤러(155)는 무한궤도(156)의 내주면에 접한 상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동륜(153) 및 아이들롤러(165), 상부롤러(154), 하부롤러(155)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감싸는 폐곡선의 무한궤도(156)가 구비되는 바, 무한궤도(156)의 내측 상면에는 구동륜(153), 아이들롤러(165), 상부롤러(154)가 내접되어 구비되고, 무한궤도(156)의 내측 하면에는 다수의 하부롤러(155)가 내접되어 구비된다.
이로써, 무한궤도(156)는 이에 내접되는 구동륜(153)과 여러 롤러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서 폐곡선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고, 구동륜(153)에 의해 직접 회전되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하부롤러(155) 중 이웃하는 일부의 양 하부롤러(155)가 이퀄라이저(157)로 연결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이퀄라이저(157)는 그 중앙부가 마운팅프레임(152)에 힌지 결합되고, 양측부에는 하부롤러(155)가 각각 힌지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로써, 이퀄라이저(157)에 힌지 결합된 양측의 하부롤러(155)는 마운팅프레임(152)에 구속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크롤러(150)의 구동시 마운팅프레임(152)에 힌지 결합된 하부롤러(155)가 둔턱을 넘을 때에는 크롤러(150) 전체가 둔턱의 높이에 의해 기울어진 상태로 둔턱을 넘어가게 되고, 이퀄라이저(157)에 힌지 결합된 양측의 하부롤러(155)가 둔턱을 넘을 때에는 둔턱을 지나는 하부롤러(155)에 의해 이퀄라이저(157)가 이의 힌지(157a)를 축으로 시소와 같이 회전되면서 수평하게 위치됐던 양 하부롤러(155)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크롤러(150)는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로 둔턱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시소와 같이 회전되는 이퀄라이저(157)는 이에 구비된 양 하부롤러(155)만을 기울였다가 수평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서스펜션과 같은 작동을 함으로써 고르지 못한 노면을 부드럽게 주행하여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크롤러(150)에는 무한궤도(156)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수단(160)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력조절수단(16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20)에서 돌출된 고정프레임(151) 상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중공의 고정관(161)과, 고정관(161)의 일단부에 삽입되어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선단부에는 무한궤도(156)의 내주면에 접하는 아이들롤러(16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돼 있는 이동관(163)과, 이동관(163) 반대편의 고정관(161)에 나사 체결되어 이동관(163)을 무한궤도(156)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조절볼트(162)를 포함한다.
이때, 조절볼트(162)는 고정관(161)의 일측면에 형성된 나사구(161a)에 체결되어 결합되는 바, 고정관(161) 외측의 조절볼트(162)에는 로크너트(162a)가 체결되어 구비되고, 이 로크너트(162a)가 고정관(161)의 외측면에 접함에 따라 고정관(161)으로 삽입되는 조절볼트(162)를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관(161)과 이동관(163)은 중공의 다각관 즉 중공의 사각관으로 형성되어 형상 맞춤으로 상호 결합됨으로써 이동관(163)이 고정관(161)에서 출입될 시 이동관(163)의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동관(163)의 선단부에는 나란한 복수의 힌지아암(164)이 돌출 형성되고, 양 힌지아암(164) 사이에는 아이들롤러(165)가 힌지 결합되어 구비된다.
게다가, 이동관(163)의 내부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167)와, 사각 단면의 가압블록(166)이 삽입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된 가압블록(166)은 조절볼트(162)의 단부에 접하여 구비됨으로써 조절볼트(162)를 고정관(161)에 체결하여 고정관(161) 내로 삽입시키면, 가압블록(166)이 이동관(163) 내로 더 삽입되면서 탄성부재(167)를 압축시키게 되고, 이에 탄성부재(167)가 완전히 압축되면 이동관(163)이 고정관(161)에서 인출되면서 아이들롤러(165)가 무한궤도(156)의 내주면을 외측 방향으로 가압 지지하게 됨으로써 무한궤도(156)의 장력은 긴장된 상태로 조절된다.
반대로, 조절볼트(162)를 고정관(161)에서 풀어내면, 이동관(163) 내에서 압축돼 있던 탄성부재(167)가 인장되면서 가압블록(166)을 조절볼트(162) 측으로 밀어내 이동시키고, 이에 탄성부재(167)의 탄성력이 느슨해짐에 따라 긴장돼 있던 무한궤도(156)의 장력은 느슨하게 완화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작업 차량 110 : 차체 바디
120 : 베이스플레이트 130 : 운전석
140 : 루프패널 141 : 서포트프레임
150 : 크롤러 151 : 고정프레임
152 : 마운팅프레임 153 : 구동륜
154 : 상부롤러 155 : 하부롤러
156 : 무한궤도 157 : 이퀄라이저
157a : 힌지 160 : 장력조절수단
161 : 고정관 161a : 나사구
162 : 조절볼트 162a : 로크너트
163 : 이동관 164 : 힌지아암
165 : 아이들롤러 166 : 가압블록
167 : 탄성부재 170 : 후방프레임
200 : 충돌 감지수단 210 : 마운팅브라켓
220 : 근접센서 230 : 부싱관
240 : 로드바 241 : 탄성부재
242 : 고정와셔 243 : 고정핀
244 : 감지판 250 : 범퍼프레임
250a : 고정브라켓

Claims (4)

  1. 양측에 크롤러가 구비돼 있는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운전석이 있는 차체 바디및 작업 차량이 진행하는 측의 차체 바디에는 범퍼프레임이 각각 구비되고, 범퍼프레임에는 충돌을 감지하여 작업 차량의 주행을 정지시키는 충돌 감지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작업 차량으로서,
    충돌 감지수단은 범퍼프레임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차체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드바;
    로드바에 구비되어 범퍼프레임과 함께 이동된 로드바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차체 바디에 구비되어 범퍼프레임과 함께 이동되는 로드바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여,
    감지부에서 로드바의 이동이 감지되면 작업 차량의 주행을 정지시키도록 구비되되,
    감지부는 근접센서 또는 리미트스위치로 구비되고, 로드바에는 근접센서 또는 리미트스위치에 의해 검출되는 감지판이 고정되게 구비되어, 감지판이 로드바와 같이 이동됨에 따라 근접센서 또는 리미트스위치에서는 검출된 감지신호를 출력하여 작업 차량의 주행을 정지시키는 작업 차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차체 바디에는 감지부가 고정되는 마운팅브라켓이 구비되고, 마운팅브라켓에는 로드바의 이동을 안내하는 부싱관이 구비되어, 범퍼프레임과 함께 이동되는 로드바가 직선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작업 차량.
  3. 청구항 1에 있어서,
    작업 차량의 차체 바디와 마주하는 범퍼프레임의 일면에는 복수의 고정브라켓이 돌출되게 구비되고, 복수의 고정브라켓에는 고정핀이 관통되어 로드바에 결합됨으로써 로드바를 범퍼프레임에 결합 고정시키되,
    범퍼프레임의 양 고정브라켓 사이로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는 로드바의 선단부에는 고정핀이 관통 결합되고, 고정핀 후방의 로드바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끼워져 구비되며, 탄성부재와 고정핀 사이의 로드바에는 고정와셔가 끼워져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된 상태로 구비되는 작업 차량.
  4. 청구항 1에 있어서,
    크롤러는 무한궤도의 내측 상면에 접하여 무한궤도를 회전시키는 구동륜과, 차체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무한궤도의 양 코너부에서 방향 전환되는 무한궤도에 내접되는 하부롤러를 포함하고,
    양 코너부의 하부롤러 사이에는 그 중앙부가 차체 바디에 힌지 결합되는 한편 양측부에는 또 다른 하부롤러가 각각 힌지 결합되는 이퀄라이저가 구비되어,
    이퀄라이저가 힌지를 축으로 회전됨에 따라 이퀄라이저 양측의 하부롤러는 노면의 굴곡을 따라 기울어지게 구비되는 작업 차량.
KR1020220190234A 2022-12-30 2022-12-30 주행 제어 기능을 갖는 작업 차량 KR102613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90234A KR102613206B1 (ko) 2022-12-30 2022-12-30 주행 제어 기능을 갖는 작업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90234A KR102613206B1 (ko) 2022-12-30 2022-12-30 주행 제어 기능을 갖는 작업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3206B1 true KR102613206B1 (ko) 2023-12-12

Family

ID=89159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90234A KR102613206B1 (ko) 2022-12-30 2022-12-30 주행 제어 기능을 갖는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20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072U (ja) * 1992-07-17 1994-02-08 藤井電工株式会社 走行中の異常感知センサーを備えた単軌条運搬機
JPH07257299A (ja) * 1994-03-24 1995-10-09 Mutoh Ind Ltd 走行ロボットの衝突緩衝機構
JPH106890A (ja) * 1996-06-19 1998-01-13 Hitachi Ltd 自動走行機械のバンパー
KR200371368Y1 (ko) 2004-06-11 2004-12-29 윤수호 경운기 보조장치
KR101028040B1 (ko) * 2009-07-15 2011-04-13 이범 자동차 범퍼의 충격완화장치
JP2019206248A (ja) * 2018-05-29 2019-12-05 株式会社ササキコーポレーション 自走式追随車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072U (ja) * 1992-07-17 1994-02-08 藤井電工株式会社 走行中の異常感知センサーを備えた単軌条運搬機
JPH07257299A (ja) * 1994-03-24 1995-10-09 Mutoh Ind Ltd 走行ロボットの衝突緩衝機構
JPH106890A (ja) * 1996-06-19 1998-01-13 Hitachi Ltd 自動走行機械のバンパー
KR200371368Y1 (ko) 2004-06-11 2004-12-29 윤수호 경운기 보조장치
KR101028040B1 (ko) * 2009-07-15 2011-04-13 이범 자동차 범퍼의 충격완화장치
JP2019206248A (ja) * 2018-05-29 2019-12-05 株式会社ササキコーポレーション 自走式追随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87194C (en) Safety guard
US4372569A (en) Single wheel trailer support
EP0343547A1 (en) Boom support device for mounting on an agricultural vehicle
US20120248799A1 (en) Cantilevered, Vehicle Side Mount Safety Guard
US10118585B2 (en) Vehicle safety guard
US5388849A (en) Compact weight transfer device for tractor trailer vehicles
US6158775A (en) Mud flap lifting system
US9676367B2 (en) Telescoping vehicle safety guard
JPS5815267Y2 (ja) 落下物に対する防護構造
CA3001904C (en) Telescoping vehicle safety guard
US2316397A (en) Adjustable draft connection unit for implements
KR102613206B1 (ko) 주행 제어 기능을 갖는 작업 차량
CA3044413A1 (en) Vehicle frontal safety guard
US6394475B1 (en) Trailer guard
JP2001010424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EP0850820A1 (en) A unit for supporting the front mudguard of an agricultural tractor
EP3921270B1 (de) Sicherheits-schaltanordnung mit spannelement
JP4747786B2 (ja) トラクタのクローラ走行装置
AU2019202833A1 (en) A roll-over protection apparatus
CN215752270U (zh) 用于重载agv的保险杠
JP2551299Y2 (ja) コンバインの走行装置
KR100658803B1 (ko) 유압변속기 조작부
JPS624045Y2 (ko)
JPS5936971Y2 (ja) トラクタ
US4173370A (en) Mine vehicle with swivel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