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315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315B1
KR102612315B1 KR1020220162668A KR20220162668A KR102612315B1 KR 102612315 B1 KR102612315 B1 KR 102612315B1 KR 1020220162668 A KR1020220162668 A KR 1020220162668A KR 20220162668 A KR20220162668 A KR 20220162668A KR 102612315 B1 KR102612315 B1 KR 102612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flexible circuit
adhesive layer
display device
circui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2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3336A (ko
Inventor
이철세
박규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62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315B1/ko
Publication of KR20220163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3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5Assembling pro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431Details of mounted components
    • H05K2201/10439Position of a single component
    • H05K2201/105Mechanically attached to another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가 사이에 배치되도록 서로 마주하며, 복수의 상기 화소에 신호를 제공하는 도전 패드를 포함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측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도전 패드, 복수의 상기 도전 패드와 연결된 연성 회로 필름,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측면에서 상기 연성 회로 필름 상에 배치된 보호 필름,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측면에서 상기 보호 필름 상에 배치된 샤시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등과 같은 표시 장치가 활발히 개발 중이다.
이 중에서도 액정 표시 장치는 나란히 배치된 두 기판 사이로 액정층을 개재하여 합착시킨 액정 패널을 구비하여 액정 패널 내의 전기장으로 액정층 내의 액정 분자의 배열방향을 변화시켜 투과율 차이를 구현한다.
액정 패널의 일측에는 백라이트 유닛이 배치되어 액정 패널에 광을 제공한다. 제공된 광은 두 기판 사이 배치된 각각의 화소들의 투과율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게 원하는 화상으로 시인된다.
한편, 최근 표시 장치는 박형과, 경량화되는 경향을 가지며, 또한 표시장치의 베젤도 그 폭이 감소하고 있다. 베젤의 폭이 좁아지면, 디자인 면에서 우수할 뿐만 아니라, 수개의 표시 패널을 사용하여 대형 표시 장치를 제조할 때, 인접한 표시 패널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인 표시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비표시부에 위치하는 배선, 구동회로 등으로 인하여 얇은 베젤을 가진 표시장치를 구현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나아가, 얇은 베젤을 가진 표시장치를 구현하더라도, 얇은 베젤로 인하여 비표시부에 위치하는 배선, 구동회로 등의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불량이 발생하였을 경우 재조립 등이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얇은 베젤을 구현하면서도, 비표시부에 위치하는 배선, 구동회로 등의 내구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얇은 베젤을 구현하면서도, 불량이 발생하였을 경우 재조립이 용이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가 사이에 배치되도록 서로 마주하며, 복수의 상기 화소에 신호를 제공하는 도전 패드를 포함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측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도전 패드, 복수의 상기 도전 패드와 연결된 연성 회로 필름,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측면에서 상기 연성 회로 필름 상에 배치된 보호 필름,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측면에서 상기 보호 필름 상에 배치된 샤시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전 패드는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연성 회로 필름 및 상기 보호 필름은 제1 접착층에 의하여 접착되고, 상기 보호 필름 및 상기 샤시 부재는 제2 접착층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착층의 접착력은 상기 제2 접착층의 접착력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착층의 접착력은 1500gf/c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착층은 빛을 투과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착층은 점착제 도포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접착층은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연성 회로 필름이 배치되지 않은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측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성 회로 필름과 상기 복수의 도전 패드는 이방성 도전 필름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측면과 접하도록 배치된 상기 제1 접착층의 두께는 상기 연성 회로 필름, 상기 도전 패드 및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의 두께의 합보다 두꺼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이 형성하는 다수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판과 마주하는 상기 제2 기판의 일면상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성 회로 필름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제3 접착층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접착층은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제1 기판과 마주하는 상기 제2 기판의 일면상에 배치된 제4 접착층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도전 패드는 상기 연성 회로 필름으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복수의 상기 화소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가 사이에 배치되도록 서로 마주하며, 복수의 상기 화소에 신호를 제공하는 도전 패드를 포함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마주하는 상기 제2 기판의 일면상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측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도전 패드, 복수의 상기 도전 패드와 연결된 연성 회로 필름을 포함하되, 상기 연성 회로 필름과 상기 복수의 도전 패드는 이방성 도전 필름에 의해 접착되고, 상기 연성 회로 필름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접착층에 의하여 접착된다.
또한, 상기 접착층은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연성 회로 필름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두께 방향을 따라 측정된 상기 접착층의 길이는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두께의 합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측면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측면을 오버랩하는 보호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얇은 베젤을 구현하면서도 비표시부에 위치하는 배선, 구동회로 등의 내구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얇은 베젤을 구현하면서도 불량이 발생하였을 경우 재조립이 용이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Ⅰ-Ⅰ’로 도시된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를 제2 기판의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재조립을 위하여 샤시 부재가 일부 탈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도 1의 A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Ⅱ-Ⅱ’로 도시된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도 1의 A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의 사시도이다.
도 10는 도 9의 Ⅲ-Ⅲ’로 도시된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표시 장치를 제2 기판의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B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Ⅴ-Ⅴ’로 도시된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표시 장치를 제2 기판의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도 12의 B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Ⅵ-Ⅵ’로 도시된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도 12의 B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Ⅶ-Ⅶ’로 도시된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표시 장치를 제2 기판의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도 2의 Ⅰ-Ⅰ’로 도시된 선에 대응되는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예 따른 표시 장치의 도 7의 Ⅱ-Ⅱ’로 도시된 선에 대응되는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도 9의 Ⅲ-Ⅲ’로 도시된 선에 대응되는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각각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제2 기판의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Ⅰ-Ⅰ'로 도시된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를 제2 기판의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기판(110), 제2 기판(120), 백라이트 유닛(200), 도전 패드(310), 연성 회로 필름(330), 보호 필름(410) 및 샤시 부재(510)를 포함한다.
제2 기판(120)은 제1 기판(110)과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 사이의 공간에는 액정 분자(미도시)가 주입되어 액정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은 투명 절연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은 유리 기판, 석영 기판, 투명 수지 기판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은 일 방향을 따라 커브드될 수도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은 가요성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은 롤링, 폴딩, 벤딩 등으로 변형이 가능할 수도 있다.
제1 기판(110)과 마주하는 방향의 제2 기판(120)의 일면은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P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PX)가 구획됨으로써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이 실제로 표시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비표시 영역(PA)은 표시 영역(DA) 이외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이 중첩되는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는 직교하는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을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소(PX)는 레드 컬러, 그린 컬러 및 블루 컬러를 각각 표시하는 제1 내지 제3 화소(미도시)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화소(PX)는 옐로우 컬러, 시안 컬러 및 마젠타 컬러를 각각 표시하는 화소(PX)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화이트를 표시하는 화소(PX)를 포함할 수도 있다.
화소(PX)는 독립적인 계조의 제어가 가능하고 특정 색을 표시하는 기본 단위일 수 있다. 각각의 화소(PX)는 제1 기판(110)의 하부로부터 입사된 광이 제2 기판(120)의 상부로 투과되는 광량을 조절함으로써 계조의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PA)에는 화소(PX)의 구동을 위한 각종 구성 요소, 예를 들어 도전 패드(310), 연성 회로 필름(330), 보호 필름(410) 및 샤시 부재(510)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구동 집적회로(340), 인쇄 회로 기판(350)등이 실장될 수도 있으나, 이들은 별도의 모듈로 형성될 수도 있는 바,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비표시 영역(P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형태를 갖되, 제2 기판(120)의 일면 상의 영역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즉, 비표시 영역(PA)은 제2 기판(120) 상에서 표시 영역(DA) 이외의 영역뿐만 아니라, 제2 기판(120)의 상면을 바라보는 평면 시점에서 제2 기판(120)의 외부로 돌출된 구성들, 예를 들면 도전 패드(310), 연성 회로 필름(330), 보호 필름(410), 샤시 부재(510) 등의 구성이 배치된 영역도 포함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200)은 제1 기판(110)과 대향하는 제2 기판(120)의 일면 상에, 즉, 제2 기판(120)의 제3 방향(dr3)의 반대 방향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3 방향(dr3)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방향에 해당한다.
백라이트 유닛(200)은 반사판(미도시), 다수의 램프(미도시), 확산판(미도시) 및 다수의 광학시트(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반사판 상에 다수의 상기 램프가 나란하게 배열하며, 상기 램프의 상부로 상기 확산판과 다수의 상기 광학시트가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구성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기로 하며, 백라이트 유닛(200)의 외면의 모양에 대하여만 도시하기로 한다.
백라이트 유닛(200)은 제1 기판(110)이 배치된 방향, 즉 제3 방향(dr3)을 향하여 광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백라이트 유닛(200)으로부터 광을 제공받은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은 광량을 조절하여 제2 기판(120)의 상부로 투과시킬 수 있다. 투과된 광은 사용자에게 화상으로 시인될 수 있다.
도전 패드(310)는 화소(PX)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 내부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도전 패드(310)는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에 배치된 화소(PX) 및 화소(PX)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구성 요소가 필요로 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전 패드(310)는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의 일측면 상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할 경우, 도전 패드(310)는 보호 부재에 의하여 커버되므로 외부에서 시인되지는 않으나, 도 2를 참조할 경우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의 일측면 상에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도전 패드(310)의 구체적인 모양, 개수 및 배열은 도 2에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로 하는 신호의 개수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나아가, 도전 패드(310)는 제1 기판(110)의 측면 및 제2 기판(120)의 측면에 걸쳐 배치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만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전 패드(310)는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 신호 라인(미도시)을 오버랩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라인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 라인은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에 배치된 화소(PX) 또는 화소(PX)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구성 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도전 패드(310)를 통하여 제공받은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전 패드(310)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Au), 은(Ag) 및 구리(Cu)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성 회로 필름(330)은 복수의 도전 패드(310)를 오버랩하도록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연성 회로 필름(330)은 신호가 이동하기 위한 각종 신호 라인(미도시)을 포함하고 있으며, 연성 회로 필름(330)에 배치된 상기 신호 라인은 도전 패드(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성 회로 필름(330)은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의 측면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될 수 있으며, 개수는 구동 칩(미도시)의 개수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연성 회로 필름(330)은 도전 패드(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백라이트 유닛(200)의 측면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성 회로 필름(330)은 이방성 도전 필름(320)에 의하여 도전 패드(310)와 접착되며, 동시에 도전 패드(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방성 도전 필름(320)은 폴리머(321)와 폴리머(321) 내에 함유된 도전성 입자(3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전성 입자(322)가 도전 패드(310) 및 연성 회로 필름(330) 사이에 배치되어 도전성 입자(322)를 통해 도전 패드(310)와 연성 회로 필름(330) 사이에 전기가 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방성 도전 필름(320)은 양면으로 접착력을 가져, 도전 필름과 연성 회로 필름(330)이 접착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방성 도전 필름(320)의 접착력은 대략 100gf/cm 이상 1000gf/cm 이하일 수 있다.
한편, 이방성 도전 필름(320)은 연성 회로 필름(330)에 의하여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연성 회로 필름(330)은 이방성 도전 필름(320)을 오버랩하기에 충분한 너비 및 폭을 가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연성 회로 필름(330)이 차지하는 면적은 이방성 도전 필름(320)이 차지하는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전 패드(310) 및 연성 회로 필름(330)이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의 제2 방향(dr2)의 반대 방향에 배치된 일측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복수의 측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연성 회로 필름(330)은 백라이트 유닛(200)의 하부로 구부러지도록 연장되며, 백라이트 유닛(200)의 하부에서 구동 집적회로(340)를 실장할 수 있다. 나아가, 연성 회로 필름(330)은 인쇄 회로 기판(350)과 연결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350)으로부터 입력된 화소(PX)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신호는 연성 회로 필름(330)을 통하여 구동 집적회로(340)에서 변환되어 다시 연성 회로 필름(330)을 통하여 도전 패드(310)를 거쳐 화소(PX)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성 회로 필름(330)은 백라이트 유닛(200)의 하부를 향하여 구부러지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모양을 유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연성 회로 필름(330)은 구부러지지 않고 제3 방향(dr3)의 반대 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보호 필름(410)은 복수의 연성 회로 필름(330)을 오버랩하도록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보호 필름(410)은 후술할 샤시 부재(510)가 잘못된 위치에 부착되었을 경우, 샤시 부재(510)를 떼어내 재조립되는 과정에서 연성 회로 필름(330)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호 필름(410)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연성 회로 필름(330)과 도전 패드(310)를 연결하는 이방성 도전 필름(320)을 충분히 오버랩 할 수 있는 정도의 너비, 즉, 이방성 도전 필름(320)을 충분히 오버랩 할 수 있을 정도로 제3 방향(dr3)을 따라 연장된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 필름(410)이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된 길이는, 이방성 도전 필름(320)이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같거나 길 수 있다. 나아가, 보호 필름(410)이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된 길이는, 제1 기판(110)의 하부면으로부터 제2 기판(120)의 상부면까지의 거리와 같거나 길 수 있다.
보호 필름(410)은 폴리에틸렌에테르프탈라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브,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또는 폴리이미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 필름(410)은 제1 접착층(420)에 의하여 연성 회로 기판과 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접착층(420)은 연성 회로 기판과 보호 필름(410)을 접착시킬 뿐만 아니라, 연성 회로 기판과 도전 패드(310)가 배치되지 않은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의 측면 상의 일부 영역에 대하여는, 보호 필름(410)과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 사이의 공간을 메울 정도로 충분히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착층(420)은 연성 회로 필름(330), 도전 패드(310),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들 간의 접착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며 외부 충격 또는 압력으로부터 이를 보호할 수 있다.
제1 접착층(420)은 점착제가 충분한 두께로 도포된 후에 경화되는 과정을 거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접착층(420)의 "충분한 두께"라 함은 연성 회로 필름(330)의 두께(dt3), 도전 패드(310)의 두께(dt1) 및 이방성 도전 필름(320)의 두께(dt2)의 총 합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성 회로 필름(330)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단차를 효과적으로 메울 수 있다.
제1 접착층(420)의 접착력은 1500gf/cm 이상일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할 제2 접착층(520)의 접착력보다 높은 수치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제1 접착층(420)의 접착력 수치는 예시적인 것이며, 제품 설계 단계에서의 최적화 결과에 따라 구체적인 수치는 변동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제1 접착층(420)의 접착력에 의하여 샤시 부재(510)의 재조립 시에 연성 회로 필름(330)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제1 접착층(420)은 광을 차단하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착층(420)은 검정색으로 형성되어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연성 회로 필름(330), 이방성 도전 필름(320) 및 도전 패드(310)로 인하여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의 측면상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단차를 통하여 광이 투과되어 빛샘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제1 접착층(420)이 광을 차단하는 성질을 갖는 경우 이러한 빛샘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샤시 부재(51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제1 기판(110), 제2 기판(120) 및 백라이트 유닛(2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기판(110), 제2 기판(120) 및 백라이트 유닛(200)의 측면 및 하부면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샤시 부재(510)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을 견뎌내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샤시 부재(510)는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의 측면,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 필름(410)의 외측면 및 백라이트 모듈의 하부면과 접촉하여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과 백라이트 모듈이 서로 고정되도록 지지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샤시 부재(510)는 제1 기판(110), 제2 기판(120) 및 백라이트 유닛(200)의 일측 측면 및 하부면만을 감싸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샤시 부재(510)는 제1 기판(110), 제2 기판(120) 및 백라이트 유닛(200)의 모든 측면 및 하부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의 측면 및 하부면만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샤시 부재(510)는 제2 접착층(520)에 의하여 보호 필름(410)과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접착층(520)은 제1 접착층(420)과는 달리 양면에 접착력을 갖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제2 접착층(520)이 양면 테이프일 경우, 점착제의 도포에 의한 형성과는 달리, 경화되는 과정을 거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접착층(520)이 양면 테이프로 형성되는 경우, 표시 장치의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는 아니하고, 제1 접착층(420)과 같이 점착제가 충분한 두께로 도포된 후에 경화되는 과정을 거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착층(520)의 접착력은 1500gf/cm 이하일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1 접착층(420)의 접착력인 1500gf/cm 보다 낮은 수치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제2 접착층(520)의 접착력 수치는 예시적인 것이며, 제품 설계 단계에서의 최적화 결과에 따라 구체적인 수치는 변동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구체적인 수치가 변동되는 경우에도, 제2 접착층(520)의 접착력은 제1 접착층(420)의 접착력보다 약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2 접착층(520)의 접착력이 제1 접착층(420)의 접착력보다 약하게 유지되는 경우, 샤시 부재(510)의 부착까지 완료된 표시 장치에 불량이 있어 샤시 부재(510)를 탈착시킨 후 재조립함에 있어, 샤시 부재(510)의 탈착이 용이할 수 있다. 즉, 샤시 보호 필름(410)을 고정하고 있는 제1 접착층(420)의 접착력은 샤시 부재(510)를 고정하고 있는 제2 접착층(520)의 접착력보다 강하므로, 샤시 부재(510)에 힘을 가하여 탈착시키는 경우 보호 필름(410)은 탈착되지 않고 샤시 부재(510)만 탈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5가 참조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재조립을 위하여 샤시 부재가 일부 탈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샤시 부재(510)를 제2 기판(120)이 배치된 방향의 반대 방향, 즉, 제2 방향(dr2)의 반대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 탈착시키는 경우, 보호 필름(410)은 제1 접착층(420)에 의하여 제1 기판(110)에 여전히 고정되어 있으나, 샤시 부재(510)는 제2 접착층(520)이 배치된 선을 따라 보호 필름(410)으로부터 탈착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접착층(520)의 접착력이 제1 접착층(420)의 접착력보다 약한 특성에 기인한 결과이며, 이를 통하여 샤시 부재(510)의 재조립을 위한 탈착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Ⅱ-Ⅱ'로 도시된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배치된 도전 패드(310)가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 사이에 배치된 구성들과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관하여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 사이에 배치된 도전 라인(111), 연결 절연부(112), 실링 부재(113), 상부 도전층(121), 절연층(122) 및 도전 패드(310)를 포함한다.
도전 라인(111)은 도전 패드(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종 신호를 주고받는다. 도전 라인(111)은 각각의 화소(PX)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신호들을 제공받아, 이를 표시 영역(DA) 내부에 배치된 화소(PX)로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전 라인(111)은 각각의 화소(PX)의 계조 정보를 담은 데이터 신호(미도시)를 전달하는 데이터 라인(미도시)일 수 있으며, 게이트 라인(미도시)일 수도 있다.
도전 라인(111)은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기판(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사이에 별도의 절연 물질층 또는 버퍼층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전 라인(111)은 전도성을 가지며 도전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전 라인(111)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LiF/Ca, LiF/Al, Mo, Ti 또는 이들의 화합물이나 혼합물(예를 들어, Ag와 Mg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 물질은, 예를 들어, 그 밖의 도전성을 갖는 도전성 폴리머, 투명 금속 산화물, 그래핀, 금속 나노 와이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 패드(310)는 수평 패드부(3101) 및 수직 패드부(3102)를 포함한다.
수평 패드부(3101)은 도전 라인(111)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과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수평 패드부(3101)는 상부에 배치되는 절연층(122)에 의하여 상부 도전층(121)과 절연될 수 있다.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수평 패드부(3101) 사이 공간 및 수평 패드부의 내측(즉, 실링 부재(113)이 배치된 방향)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연결 절연부(112)에 의하여 수평 패드부(3101)끼리 절연될 수 있다. 수직 패드부(3102)는 수평 패드부(3101)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의 외측 측면에 배치된다. 즉,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과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의 측면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직 패드부(3102)는 전술한 이방성 도전 필름(320)을 통하여 연성 회로 필름(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수평 패드부(3101)와 수직 패드부(3102)로 구성된 도전 패드(310)는 전도성을 가지며, 도전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도전 물질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LiF/Ca, LiF/Al, Mo, Ti 또는 이들의 화합물이나 혼합물(예를 들어, Ag와 Mg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 물질은, 예를 들어, 그 밖의 도전성을 갖는 도전성 폴리머, 투명 금속 산화물, 그래핀, 금속 나노 와이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 패드(310)는 도전 라인(111)과는 달리 수평 패드부(3101)와 수직 패드부(3102)가 각각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직 패드부(3102)는,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 사이에 수평 패드부(3101)가 먼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도전 물질이 프린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 패드부(3101)와 수직 패드부(3102)는 서로 다른 상기 도전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는 아니하고, 수평 패드부(3101)와 수직 패드부(310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동일한 상기 도전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연결 절연부(1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수평 패드부(3101) 사이 및 수평 패드부(3101)의 내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수평 패드부(3101)가 서로 절연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 절연부(112)는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 절연부(112)는 각각의 수평 패드부(3101) 사이의 공간을 메워, 표시 장치 외부의 이물질이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의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도 있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수평 패드부(3101)는 생략될 수도 있다.
실링 부재(113)는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실링 부재(113)는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실링 부재(113)는 접착성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실링 부재(113)에 의하여 둘러싸인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 사이의 공간에는 액정층(LCL)이 개재될 수 있으며, 실링 부재(113)는 액정층(LCL)을 구성하는 구성 물질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부 도전층(121)은 제2 기판(120)의 하면에 배치된다. 예시적으로, 상부 도전층(121)은 제2 기판(120)의 하면의 전면(全面)에 형성되는 공통 전극 일 수 있다. 상부 도전층(121)은, 예를 들면, 광학적으로 얇은(optically thin) Li, Ca, LiF/Ca, LiF/Al, Al, Mg, BaF, Ba, Ag 또는 이들의 화합물이나 혼합물(예를 들어, Ag와 Mg의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투명 금속 산화물,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Mo, T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도전층(121)의 일부는 절연층(122) 및 제2 기판(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도전층(121)의 일부는 절연층(122)을 사이에 두고 수평 패드부(3101)와 대향할 수 있다. 즉, 절연층(122)의 일부는, 예를 들면, 수평 패드부(3101) 및 상부 도전층(121) 사이에 개재되고, 수평 패드부(3101) 및 상부 도전층(121)을 서로 절연시킬 수 있다. 절연층(122)은 유기막 및/또는 무기막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다만, 몇몇 실시예에서, 수평 패드부(3101) 및 상부 도전층(121)이 서로 절연되기에 충분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경우, 절연층(132)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도 1의 A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Ⅲ-Ⅲ'로 도시된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제3 접착층(710)을 더 포함한다는 차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3 접착층(710)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이외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에 대하여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을 준용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기판(110), 제2 기판(120), 백라이트 유닛(200), 도전 패드(310), 연성 회로 필름(330), 보호 필름(410) 및 샤시 부재(510)를 포함한다.
다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는 달리, 연성 회로 필름(330)은 이방성 도전 필름(320)을 통하여 도전 패드(310)와 연결될 뿐만 아니라, 제3 접착층(710)에 의하여 백라이트 유닛(200)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접착층(710)은 양면에 접착력을 갖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제3 접착층(710)이 양면 테이프일 경우, 점착제의 도포에 의한 형성과는 달리, 경화되는 과정을 거치지 않아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은 전술한 제2 접착층(520)과 동일하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제3 접착층(710)은 점착제가 충분한 두께로 도포된 후에 경화되는 과정을 거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3 접착층(710)에 의하여 연성 회로 필름(330)과 백라이트 유닛(200)이 고정되는 경우, 표시 장치의 전체적인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샤시에 의하여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과 백라이트 유닛(200)이 고정될 뿐만 아니라, 연성 회로 필름(330)에 의하여도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과 백라이트 유닛(200)이 고정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도 1의 A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의 사시도이고, 도 10는 도 9의 Ⅳ-Ⅳ'로 도시된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표시 장치를 제2 기판의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제3 접착층(710)을 더 포함하는 반면, 제1 접착층(420), 제2 접착층(520), 보호 필름(410) 및 샤시 부재(510)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차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접착층(420), 제2 접착층(520), 제3 접착층(710), 보호 필름(410) 및 샤시 부재(510)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이외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에 대하여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을 준용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기판(110), 제2 기판(120), 백라이트 유닛(200), 도전 패드(310), 연성 회로 필름(330)을 포함한다.
다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는 달리, 연성 회로 필름(330)은 이방성 도전 필름(320)을 통하여 도전 패드(310)와 연결될 뿐만 아니라, 제3 접착층(710)에 의하여 백라이트 유닛(200)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접착층(710)은 양면에 접착력을 갖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음은 도 7 및 도 8에 대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과 백라이트 유닛(200)의 고정이 연성 회로 필름(330)에 의하여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은 이방성 도전 필름(320)을 통하여 연성 회로 필름(330)과 접착되고, 백라이트 유닛(200)은 제3 접착제를 통하여 연성 회로 필름(330)과 접착된다.
구체적으로, 도전 패드(310)는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의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성 회로 필름(330)은 제1 기판(110), 제2 기판(120) 및 백라이트 유닛(200)이 서로 인접하는 영역에서 구부러질 필요 없이 제1 기판(110), 제2 기판(120) 및 백라이트 유닛(200)의 측면을 따라 평탄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연성 회로 필름(330)은 제1 기판(110), 제2 기판(120) 및 백라이트 유닛(200)과 단단하게 접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최소한의 비표시 영역(PA)만을 포함하는 얇은 베젤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제1 방향(dr1) 또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비표시 영역(PA)과는 달리 제3 접착제는 제3 방향(dr3)을 따라 연장되어 백라이트 유닛(200)의 측면에서 연성 회로 필름(330)과 백라이트 유닛(200)이 단단하게 고정될 만큼의 충분한 접착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제3 접착층(710)이 백라이트 유닛(200)의 측면에 접착된 영역의 제3 방향(dr3)을 따라 측정된 길이(dt4)가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의 두께의 합의 길이(dt5)보다 긴 경우에는 연성 회로 필름(330)과 백라이트 유닛(200)이 단단하게 고정될 만큼의 충분한 접착 면적으로 볼 수 있다.
이에, 제3 접착층(710)의 추가에 의하여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과 백라이트 유닛(200)을 연성 회로 필름(330)만으로도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1 접착층(420), 보호 필름(410), 제2 접착층(520) 및 샤시 부재(510)에 대응하는 두께만큼 비표시 영역(PA)의 두께를 좁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보다 얇은 베젤을 갖는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몇몇 실시예에서 연성 회로 필름(330)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외부의 이물질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연성 회로 필름(330)의 외측으로 유색의 보호 테이프가 붙여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성 회로 필름(33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검정색 테이프가 제1 기판(110), 제2 기판(120)의 측면 및 백라이트 유닛(200)을 둘러싸도록 붙여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B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Ⅴ-Ⅴ'로 도시된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표시 장치를 제2 기판의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제1 기판(110a)의 측면 일부가 제2 기판(120a)에 의하여 오버랩되지 않고 상부를 향하여 노출된다는 차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기판(110a)과 제2 기판(120a)의 크기 차이에 따른 구조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이외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기로 한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기판(110a), 제2 기판(120a), 백라이트 유닛(200a), 도전 패드(310a), 연성 회로 필름(330a), 보호 필름(410a) 및 샤시 부재(510a)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기판(110a)은 제2 기판(120a)에 의하여 전부 오버랩되지 않고, 측면 일부가 제2 방향(dr2)을 향하여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판(120a)에 의하여 오버랩되지 않은 제1 기판(110a)의 측면 영역에는 도전 패드(310a)가 제3 방향(dr3)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200a)은 제1 기판(110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외의 제1 기판(110a), 제2 기판(120a) 및 백라이트 유닛(200a)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1 기판(도 1 내지 도 4의 110), 제2 기판(도 1 내지 도 4의 120) 및 백라이트 유닛(도 1 내지 도 4의 200)에 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전 패드(310a)는 이방성 도전 필름(320a)을 통하여 연성 회로 필름(33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전 패드(310a)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제1 기판(110a)의 상부면을 향하여, 즉, 제3 방향(dr3)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배치되므로, 연성 회로 필름(330a)은 직각에 가깝게 굽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110a)의 측면과 연성 회로 필름(330a) 사이에는 제1 점착제(420a)가 추가로 도포될 수 있다. 이외의 도전 패드(310a), 이방성 도전 필름(320a) 및 연성 회로 필름(330a)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도전 패드(도 1 내지 도 4의 310), 이방성 도전 필름(도 1 내지 도 4의 320) 및 연성 회로 필름(도 1 내지 도 4의 330)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기판(110a)의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 즉, 제1 기판(110a)의 제2 방향(dr2)의 반대 방향으로의 측면 상에는 보호 필름(410a)이 배치된다. 즉, 보호 필름(410a)은 제1 기판(110a)의 외측면 방향으로 연성 회로 필름(330a) 상에 배치된다. 보호 필름(410a)은 제1 점착제(420a)에 의하여 연성 회로 필름(330a) 상에 고정되며, 제1 점착제(420a)는 연성 회로 필름(330a)을 제1 기판(110a)의 측면 상에서 오버랩하며, 연성 회로 필름(330a) 사이의 간격을 메우도록 도포될 수 있다. 이외의 보호 필름(410a) 및 제1 점착제(420a)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보호 필름(도 1 내지 도 4의 410) 및 제1 점착제(도 1 내지 도 4의 420)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보호 필름(410a) 상에는 샤시 부재(510a)가 배치되며, 샤시 부재(510a)는 제2 점착제(520a)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외의 샤시 부재(510a) 및 제2 점착제(520a)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샤시 부재(도 1 내지 도 4의 510) 및 제2 점착제(도 1 내지 도 4의 520)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제1 기판(110a)이 제2 기판(120a)에 의하여 완전히 오버랩되지 않고, 연성 회로 필름(330a)이 굽어지도록 배치된다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동일하게 얻어낼 수 있다.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도 12의 B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Ⅵ-Ⅵ'로 도시된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제3 접착층(710a)을 더 포함한다는 차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3 접착층(710a)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이외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에 대하여는,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을 준용하기로 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기판(110a), 제2 기판(120a), 백라이트 유닛(200a), 도전 패드(310a), 연성 회로 필름(330a), 보호 필름(410a) 및 샤시 부재(510a)를 포함한다.
다만,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는 달리, 연성 회로 필름(330a)은 이방성 도전 필름(320a)을 통하여 도전 패드(310a)와 연결될 뿐만 아니라, 제3 접착층(710a)에 의하여 백라이트 유닛(200a)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3 접착층(710a)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3 접착층(도 7 및 도 8의 710)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그 효과 또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제3 접착층(710a)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도 12의 B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Ⅶ-Ⅶ'로 도시된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표시 장치를 제2 기판의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제3 접착층(720a)을 더 포함하는 반면, 제1 접착층(420a), 제2 접착층(520a), 보호 필름(410a) 및 샤시 부재(510a)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차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접착층(420a), 제2 접착층(520a), 제3 접착층(720a) 및 샤시 부재(510a)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이외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에 대하여는,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을 준용하기로 한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기판(110a), 제2 기판(120a), 백라이트 유닛(200a), 도전 패드(310a) 및 연성 회로 필름(330a)을 포함한다.
다만,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는 달리, 연성 회로 필름(330a)은 이방성 도전 필름(320a)을 통하여 도전 패드(310a)와 연결될 뿐만 아니라, 제3 접착층(720a)에 의하여 백라이트 유닛(200a)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제3 접착층(720a)은 백라이트 유닛(200a)의 측면에 부착될 뿐만 아니라, 제1 기판(110a)의 측면 일부에도 부착될 수 있다. 이에, 연성 회로 필름(330a)과 제1 기판(110a)이 고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기판(110a)과 백라이트 유닛(200a)은 연성 회로 필름(330a)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접착층(720a)은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제1 기판(110a)이 제2 기판(120a)에 의하여 완전히 오버랩되지 않고, 연성 회로 필름(330a)이 굽어지도록 배치된다 하더라도,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동일하게 얻어낼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도 2의 Ⅰ-Ⅰ'로 도시된 선에 대응되는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예 따른 표시 장치의 도 7의 Ⅲ-Ⅲ'로 도시된 선에 대응되는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도 9의 Ⅳ-Ⅳ'로 도시된 선에 대응되는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들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제4 접착층(810)을 더 포함한다는 차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4 접착층(810)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이외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들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에 대하여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을 준용하기로 한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들은 각각 제4 접착층(810)을 더 포함한다. 제4 접착층(810)은 제1 기판(110)이 배치된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의 제2 기판(120)의 일면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비표시 영역(PA)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접착층(810)은 제2 기판(120)과 백라이트 모듈을 접착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4 접착층(810)은 점착제의 도포 후 경화를 거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양면 테이프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샤시 부재(510)에 의하여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과 백라이트 유닛(200)이 고정될 뿐만 아니라, 제4 접착층(810)에 의하여도 고정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샤시 부재(510)에 의한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과 백라이트 유닛(200)의 고정과, 연성 회로 필름(330)에 의한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과 백라이트 유닛(200)의 고정, 및 제4 접착층(810)에 의한 고정이 모두 수행되는 바, 내구성이 가장 우수할 수 있다.
나아가,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연성 회로 필름(330)에 의하여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과 백라이트 유닛(200)이 고정될 뿐만 아니라, 제4 접착층(810)에 의하여도 고정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각각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제2 기판의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들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의 측면 중, 상대적으로 다수의 측면에서 연성 회로 필름(330)이 형성된다는 차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연성 회로 필름(330)이 배치된 영역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이외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들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에 대하여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을 준용하기로 한다.
먼저, 도 24를 참조하면, 도전 패드(310), 연성 회로 필름(330), 보호 필름(410) 및 샤시 부재(510)는 제2 기판(120)의 제2 방향(dr2) 및 제2 방향(dr2)의 반대 방향의 측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전 패드(310), 연성 회로 필름(330), 보호 필름(410) 및 샤시 부재(510)는 제2 기판(120)의 제1 방향(dr1) 및 제1 방향(dr1)의 반대 방향 측면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5를 참조하면, 도전 패드(310), 연성 회로 필름(330), 보호 필름(410) 및 샤시 부재(510)는 제2 기판(120)의 제2 방향(dr2) 일측 및 제1 방향(dr1)의 반대 방향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전 패드(310), 연성 회로 필름(330), 보호 필름(410) 및 샤시 부재(510)는 제2 기판(120)의 제2 방향(dr2)의 반대 방향 일측 및 제1 방향(dr1)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6을 참조하면, 도전 패드(310), 연성 회로 필름(330), 보호 필름(410) 및 샤시 부재(510)는 제2 기판(120)의 모든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전 패드(310), 연성 회로 필름(330), 보호 필름(410) 및 샤시 부재(510)는 제2 기판(120)의 하나의 측면, 두개의 측면 나아가 모든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배치되는 형태에는 제한 없이 자유로운 설계가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도 21 내지 도 26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발명의 사상들은, 도 12 내지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구조, 즉, 제1 기판이 제2 기판보다 더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110a: 제1 기판
120, 120a: 제2 기판
200, 200a: 백라이트 유닛
310, 310a: 도전 패드
320, 320a: 이방성 도전 필름
330, 330a: 연성 회로 필름
410, 410a: 보호 필름
420, 420a: 제1 접착층
510, 510a: 샤시 부재
520, 520a: 제2 접착층
710, 710a, 720a: 제3 접착층

Claims (7)

  1. 복수의 화소가 사이에 배치되도록 서로 마주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측면 및 상기 제2 기판의 측면 상에 위치하고 복수의 상기 화소에 신호를 제공하는 도전 패드;
    상기 제1 기판과 마주하는 상기 제2 기판의 일면상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
    복수의 상기 도전 패드와 연결된 연성 회로 필름; 및
    상기 제1 기판의 측면 및 상기 제2 기판의 측면에서 상기 연성 회로 필름 상에 배치된 샤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성 회로 필름과 상기 도전 패드는 이방성 도전 필름에 의해 접착되고,
    상기 연성 회로 필름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접착층에 의하여 접착되고,
    상기 연성 회로 필름은 상기 샤시 부재와 상기 백라이트 유닛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연성 회로 필름은 상시 샤시 부재와 비접촉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제2 기판을 향하는 제1면,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 및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에 위치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기 측면과 접촉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기 제1면 및 상기 제2면과 비접촉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양면 테이프인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연성 회로 필름에 의하여 고정된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두께 방향을 따라 측정된 상기 접착층의 길이는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두께의 합의 길이보다 긴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측면,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측면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상기 측면과 오버랩하는 보호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일면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기 도전 패드와 중첩하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측면 및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측면에서 상기 연성 회로 필름과 상기 샤시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성 회로 필름 및 상기 보호 필름은 제1 접착층에 의하여 접착되고,
    상기 보호 필름 및 상기 샤시 부재는 제2 접착층에 의하여 접착되고,
    상기 제1 접착층의 접착력은 상기 제2 접착층의 접착력보다 큰 표시 장치.
KR1020220162668A 2017-04-25 2022-11-29 표시 장치 KR102612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2668A KR102612315B1 (ko) 2017-04-25 2022-11-29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815A KR102473541B1 (ko) 2017-04-25 2017-04-25 표시 장치
KR1020220162668A KR102612315B1 (ko) 2017-04-25 2022-11-29 표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815A Division KR102473541B1 (ko) 2017-04-25 2017-04-25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336A KR20220163336A (ko) 2022-12-09
KR102612315B1 true KR102612315B1 (ko) 2023-12-11

Family

ID=638543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815A KR102473541B1 (ko) 2017-04-25 2017-04-25 표시 장치
KR1020220162668A KR102612315B1 (ko) 2017-04-25 2022-11-29 표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815A KR102473541B1 (ko) 2017-04-25 2017-04-25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78901B2 (ko)
KR (2) KR1024735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8701B2 (en) 2016-11-18 2021-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ous silicon composite cluster structur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arbon composite using the same, and electrode, lithium battery, and device each including the same
KR102413716B1 (ko) 2017-09-25 2022-06-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KR102578423B1 (ko) * 2018-07-03 2023-09-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패널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497285B1 (ko) * 2018-07-03 2023-0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만입된 형상의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047879A (ko) 2018-10-25 2020-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공성 실리콘 함유 복합체, 이를 이용한 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한 전극, 리튬 전지 및 전자소자
KR102605376B1 (ko) 2018-12-31 2023-1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7360268B2 (ja) * 2019-08-01 2023-10-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20210017519A (ko) * 2019-08-08 202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27667A (ko) 2019-08-30 2021-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673409B (zh) * 2019-09-11 2020-11-2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模组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9984A (en) * 1988-03-15 1991-07-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271577B (en) 2004-11-23 2007-01-2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and backlight unit and frame structure thereof
KR101266703B1 (ko) * 2006-06-14 2013-05-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353486B1 (ko) * 2006-08-29 2014-0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 장치
KR20080067846A (ko) * 2007-01-17 2008-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1286980B1 (ko) 2008-09-23 2013-07-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328783B1 (ko) * 2009-05-26 2013-1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10099865A (ko) * 2010-03-03 2011-09-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910841B1 (ko) * 2012-03-27 2018-10-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83691B1 (ko) * 2012-10-10 2016-01-08 제일모직주식회사 이방 전도성 접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방 전도성 필름
KR102060652B1 (ko) * 2013-05-20 2019-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659B1 (ko) * 2013-06-03 2019-09-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102050449B1 (ko) 2013-07-23 2019-1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더리스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
KR102230752B1 (ko) * 2013-12-20 2021-03-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238920B1 (ko) 2014-12-03 2021-04-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2278871B1 (ko) * 2015-03-24 2021-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17804B1 (ko) * 2015-07-01 2022-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87880B1 (ko) 2015-07-03 2022-04-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4632B1 (ko) 2015-07-17 2021-09-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54928B1 (ko) * 2015-08-31 2022-0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용 측면 커버 필름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728A (ko) 2018-11-05
US20180307084A1 (en) 2018-10-25
US10578901B2 (en) 2020-03-03
KR20220163336A (ko) 2022-12-09
KR102473541B1 (ko)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2315B1 (ko) 표시 장치
JP7034235B2 (ja) 表示装置、ガラス基板および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US11500423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913018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90624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79011B1 (ko) 표시 장치
US8362483B2 (en)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and flat pane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US20140085585A1 (en) Display panel having larger display are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53875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20140078701A1 (en) Display device and cover member
KR2015000425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05568A (ko) 표시 장치
US9582042B2 (en) Dam memb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180157110A1 (en) Display device
KR101667055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11545A (ko) 표시 장치
KR102227163B1 (ko) 표시 장치
KR20170071057A (ko) 광 제어 장치, 및 그를 포함한 투명표시장치
US11656505B2 (en) Display device
KR102370716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7855242A (zh) 显示装置
KR20170038548A (ko) 기능성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