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7846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7846A
KR20080067846A KR1020070005272A KR20070005272A KR20080067846A KR 20080067846 A KR20080067846 A KR 20080067846A KR 1020070005272 A KR1020070005272 A KR 1020070005272A KR 20070005272 A KR20070005272 A KR 20070005272A KR 20080067846 A KR20080067846 A KR 20080067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printed circuit
backlight unit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정
문원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5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7846A/ko
Publication of KR20080067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8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02F2201/465Snap -f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 간의 간극을 고정 및 지지하고 구동 IC와 샤시와의 간격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광원이 구비된 백라이트 유닛과, 백라이트 유닛과 연접되어 그로부터 빛을 공급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과, 패널로부터 연장되며, 구동 IC가 실장된 다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으로 연결된 인쇄 회로 기판이 포함되는 회로부와, 회로부의 다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 간의 간극에 삽입되어 다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지지 및 고정하는 다수의 지지체 및 지지체가 밀착 결합되고, 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이 수납되는 샤시를 포함하여, 패널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 개수에 무관하게 어느 형상에나 적용될 수 있으므로, 획일화된 백라이트 유닛의 몰드 프레임과 샤시를 사용하여 이의 추가적인 제작에 필요한 금형 및 시간 등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샤시와 연성 인쇄 회로 기판과의 간격을 확보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구동 IC를 보호하여 최종 제품의 내충격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백라이트 유닛 및 샤시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소스 IC, 탄성부재, 액정 표시 장치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도 1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나타낸 부분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와 이의 비교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탄성부재의 각 태양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지지체, 200...패널,
230...구동 IC, 240...연성 인쇄 회로 기판,
250...간극, 300...백라이트 유닛,
400...샤시.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 간의 간극을 고정 및 지지하고 구동 IC와 샤시와의 간격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 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표시 장치(FPD; Flat Panel Display)는 데스크탑 컴퓨터의 모니터 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 PDA 등의 휴대용 컴퓨터나 휴대 전화 단말기 등의 소형 경량화된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표시 장치로,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표시 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표시 장치(FED; Field Emission Display) 등이 있다.
특히, 액정 표시 장치는 소형화, 경량화 및 저전력 소비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어서 기존의 브라운관(CRT; Cathode Ray Tube)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 수단으로서 점차 주목받아 왔고, 현재는 평판 표시 장치를 필요로 하는 소형 및 중대형 제품으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에는 액정 표시 패널과, 액정 표시 패널에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구비되고, 이 액정 표시 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은 샤시에 수납된다. 이때, 액정 표시 패널에서 구동 IC가 실장된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통하여 연장형성된 인쇄 회로 기판은 백라이트 유닛의 배면으로 굴곡 부착된다.
이 구동 IC가 실장된 각각의 연성 인쇄회로 기판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백라이트 유닛에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 사이의 간극을 고정 및 지지하도록 연장형성된 몰드가 구비되어 있다.
액정 표시 장치 종류의 다변화에 따라 패널에 구비되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의 개수는 가변되고, 그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에 형성된 몰드의 개수나 위치, 형상 등이 가변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백라이트 유닛의 몰드를 적용되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에 따라 신규 제작하여야 하고, 이 몰드에 부합하여 샤시 또한 새로이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발명으로, 패널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의 개수에 무관하게 어느 형상에나 적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광원이 구비된 백라이트 유닛과, 백라이트 유닛과 연접되어 그로부터 빛을 공급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과, 패널로부터 연장되며, 구동 IC가 실장된 다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으로 연결된 인쇄 회로 기판이 포함되는 회로부와, 회로부의 다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 간의 간극에 삽입되어 다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지지 및 고정하는 다수의 지지체 및 지지체가 밀착 결합되고, 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이 수납되는 샤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체는 탄성부재이고, 샤시에는 요홈이 형성되고, 탄성부재는 요홈에 압입합치(press-fit)된다.
이때, 탄성부재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와, 몸체의 일면으로부터 제1단차를 이루어 연장되는 돌기로 구성될 수 있고, 돌기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 교하는 좌우방향 중 적어도 1 방향이상에 제2단차를 가지고 연장되는 연장부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부에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탄성부재의 제1단차는 샤시의 요홈과 부합하여 당접되며, 제2단차는 구동 IC를 회피하여 연성 인쇄 회로 기판과 당접되고, 연장부는 샤시의 요홈에 수납된다.
어느 경우에나, 지지체는 적어도 4 개 이상 구비되고, 백라이트 유닛과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널의 인쇄 회로 기판은, 패널의 백라이트 유닛과 연접된 면의 타 면으로부터 연장된 다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이 굴곡되어 백라이트 유닛의 배면과 접촉되며, 인쇄 회로 기판과 백라이트 유닛의 배면 간에 접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와 이의 비교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광원이 구비된 백라이트 유닛(300)과, 백라이트 유닛(300)에 연접되어 그로부터 빛을 공급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200)과, 패널(200)로부터 연장되며, 구동 IC(230)가 실장된 다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으로 연결된 인쇄 회로 기판(260)이 포함되는 회로부와, 이 회로부의 다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 간의 간극(250)에 삽입되어 다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을 지지 및 고정하는 다수의 지지체(100) 및 지지체(100)가 밀착 결합되고, 패널(200) 및 백라이트 유닛(300)이 수납되는 샤시(400)를 포함한다.
패널(200)은 컬러 필터(Color Filter; CF) 기판(210)과, 컬러 필터 기판(210)의 일면에 위치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rm Transistor; TFT) 기판(220)을 포함하며, 컬러 필터 기판(210)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220)은 그 사이에 액정이 개재된 상태로 합착된다.
컬러 필터 기판(210)에는 일면에 컬러 필터가 형성되고, 컬러 필터 상부에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또는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 등의 투명한 도전체로 이루어진 공통 전극이 도포되어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220)은 매트릭스 형태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며,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소스 단자 및 게이트 단자에는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에 각각 연결되고, 드레인 단자에는 화소 전극이 접속된다.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220)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220)으로부터 구동 IC(230)가 실장된 다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으로 연장된 인쇄 회로 기판(260; Printed Circuit Board, PCB)이 구성된다.
구동 IC(230)는 패널(200)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인 데이터 신호, 게이트 구동 신호, 그리고 이들 신호들을 적절한 시기에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타이밍 신호들을 발생시키고, 게이트 구동 신호 및 데이터 구동 신호를 패널(200)의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각각 인가한다.
구동 IC(230)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220)의 일측에 실장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다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220)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 형성된 인쇄 회로 기판(260)을 통해 들어온 아날로그 타입의 외부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IC(23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인쇄 회로 기판(260) 상에는 다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은 가요성이고, 요구되는 액정 표시 장치의 특성 등에 따라 그 개수가 가변된다. 따라서,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간의 간극(250)의 위치 및 개수 또한 가변된다.
다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은 요구되는 액정 표시 장치의 특성 등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220)의 일측과 그에 인접하는 타 일측에 형성되어질 수도 있다.
상기 패널(200)에는, 더 상세하게는 컬러 필터 기판(210)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220)이 합착된 패널(200)에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220)의 컬러 필터 기판(210)과 합착되는 면의 배면에는, 빛을 공급해주기 위하여 백라이트 유닛(300)이 배치된다.
백라이트 유닛(300)은 후술된 상세 구성을 가진다.
패널(200)은 백라이트 유닛(300)과 함께 샤시(400) 내에 수납되며, 다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은 패널(200)의 백라이트 유닛(300)과 연접되는 면의 배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백라이트 유닛(300)의 패널(200)과 연접되는 면의 배면으로 굴곡 구성되고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에 부착된 인쇄 회로 기판(260)은 백라이트 유닛(300)의 배면에 배치된다.
이때, 인쇄 회로 기판(260)은 백라이트 유닛(300)의 배면에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부재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다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은 그 간극(250) 간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00)에 의하여 지지 및 고정된다.
이 탄성부재(100)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지압에 의하여 수축이 가능한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100)는 다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의 간극(250)에 배치됨과 동시에 'ㄷ'형으로 형성된 샤시(400)의 내측면에 수납되는 구성을 가진다. 탄성부재(100)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샤시(400) 내측면으로의 수납은 수작업 등으로 간단히 압입합치(press-fit)될 수 있다.
샤시(400) 내측면에 수납된 탄성부재(100)는 수납된 면에 대하여 타면으로 백라이트 유닛(300) 또는 패널(200)과 접촉한다. 탄성부재(100)가 백라이트 유닛(300)에 접촉되는 것에 의하여 백라이트 유닛(300)과 샤시(400) 간의 간격은 탄성부재(100)로 완전히 충진되고, 이러한 구조로서 샤시(400) 내에서 백라이트 유닛(300)과 구동 IC(230)가 실장된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이 고정 지지되므로 결합된 후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도 2의 비교예와 대비하여 보면, 비교예에서는 백라이트 유닛(300)에 별도로 형성된 몰드 연장부(390)가 다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의 간극(250) 간에 배치되며,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의 개수가 가변될 시 몰드 연장부(390)의 개수와 위치가 적합한 별도의 몰드를 제작하여야 한다.
이에 반하여 도 2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의 개수가 가변되더라도 별도의 몰드를 제작할 필요없이, 필요한 탄성부재(100) 만을 더 추가하여주고 위치를 변화시켜 주기만 하면 된다.
또한, 탄성부재(100)로 인하여 샤시(400)와 백라이트 유닛(300) 간의 간격을 확보할 수 있고 탄성의 재질로 인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을 비롯한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백라이트 유닛(300)과 샤시(400)와의 간격이 완전히 충진될 수 있으므로 액정 표시 장치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간극(250)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00)의 개수는 요구되는 액정 표시 장치의 특성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안정된 결합력을 제공하고 효율적인 충격 저감을 위하여, 일련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이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220)의 일변에 대해 적어도 4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탄성부재(100)의 각 태양을 도 3a 내지 도 3c에 사시도로서 도시하였다.
도 3a를 참조하면, 탄성부재(100)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일면으로부터 단차를 이루어 연장되는 돌기(120)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질 경우, 도 2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00)는 샤시(400)의 'ㄷ'형 내측면에 수납될 시에 돌기(120)가 샤시(100)와 접 촉하여, 샤시(400) 내부에 수납되는 강성 부재, 즉 백라이트 유닛(300) 등과 샤시(400)와의 충돌을 방지하므로, 최종 제품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킨다.
도 3b에서의 탄성부재(100)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110)의 일면으로부터 단차를 이루어 연장되는 돌기(120)와 돌기(120)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몸체(110)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111)를 가진다.
이 연장부(111) 또한, 돌기(120)가 연장된 방향으로의 단차에 대하여 배면으로의 단차를 형성하며, 돌기(120)가 이루는 단차에 대해 좌우로 직교하는 단차를 가진다.
도 3b와 같은 구성에서는, 탄성부재(100)가 구동 IC(230)가 실장된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 간의 간극(250) 사이에 삽입될 시에,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의 면에 연장부(111)가 당접되어,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의 고정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고 샤시(400)의 'ㄷ'형 내측면에 수납되는 탄성부재(100)의 체적이 도 3a의 구성에서보다 더욱 증가하여 내충격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100)의 연장부(111)는 구동 IC(230)를 간섭하지 않도록 형성되며, 이 연장부(111)는 돌기(120)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3c에서의 탄성부재(100)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110)의 일면으로부터 단차를 이루어 연장되는 돌기(120)와 돌기(120)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몸체(110)로부터 연장되는 제1연장부(112) 및 제2연장부(113)를 가지고, 제1연장부(112) 및 제2연장부(113) 간에는 홈(114)이 형성된다.
도 3c에 도시된 구성은 사실상 도 3b의 구성에서 연장부(111)에 홈(114)이 형성된 형태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탄성부재(100)가 구동 IC(230)가 실장된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 간의 간극(250) 사이에 삽입될 시에,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의 면에 제1연장부(112) 및 제2연장부(113)가 당접되어,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의 고정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고 샤시(400)의 'ㄷ'형 내측면에 수납되는 탄성부재(100)의 체적이 도 3a의 구성에서보다 더욱 증가하여 내충격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에 실장된 구동 IC(230)는 탄성부재(100)와 간섭되지 않도록, 다시 말하면, 탄성부재(100)의 제1연장부(112) 및 제2연장부(113)가 구동 IC(230)를 회피하도록, 홈(114)의 형성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연장부(112) 및 제2연장부(113)는 도 2의 연장부(111) 보다 더욱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도 역시, 제1연장부(112) 및 제2연장부(113)가 돌기(1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탄성부재(100)는 간극(250)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더 정확하게는 일련의 간극(250)이 배열된 방향으로 단차를 이루어 연장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경우 탄성부재(100)는 간극(250)에 대하여 일방향으로의 삽입만 가능하며, 샤시(400) 수납시에 접촉면적이 더 증가하므로 더욱 안정된 수납이 가능하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로서, 액정 표시 장치가 노트북에 적용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백라이트 유닛(300)은 광원부와, 광원부와 결합되는 도광판(360)과, 도광판(360)의 하부에 마련된 반사판(370)과, 도광판(360)의 상부에 마련된 프리즘 시트(310) 및 확산 시트(320)와 몰드 프레임(380)을 포함한다.
광원부는 도광판(360)의 측면에 설치되며, 발광 소자(350)와, 발광 소자(350)가 실장된 기판(340)을 포함하며, 기판(340)을 지지하는 지지대(330)가 더 구비된다.
발광 소자(350)는 측광형 소자로서 도광판(360)의 측면을 향해 광을 출사한다. 또한, 기판(340)은 휘어짐이 우수한 연성 기판으로서, 내부에 회로(미도시)가 형성되어 이 회로를 통해 발광 소자(350)에 외부 전원을 공급한다.
도광판(360)은 광원부의 일측과 결합되며, 장방형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도광판(360)은 점광원 또는 선광원 형태의 광학 분포를 갖는 빛을 면광원 형태의 광학 분포를 갖는 빛으로 변경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반사판(370)은 도광판(360)의 하부에 마련되며, 도광판(360)의 하부로 출사되는 일부 빛을 백라이트 유닛(300)의 출광면으로 반사시켜 광효율을 높여주고, 입사광 전체의 반사량을 조절하여 출광면 전체가 균일한 휘도 분포를 가지도록 한다.
다수의 광학 시트는 확산 시트(320) 및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 시트(310)로 구성되며, 도광판(360)의 상부에 배치되어 도광판(360)에서 출사된 광의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몰드 프레임(380)은 사각틀로 형성되고, 프리즘 시트(310) 및 확산 시트(320)와 기판(340)에 실장된 발광 소자(350)와 도광판(360) 및 반사시트(370)를 수납하여 백라이트 유닛(300)을 구성하며, 몰드 프레임(300)의 일측에 패널(200)이 안착된다. 이때, 몰드 프레임(300)의 타측, 즉 패널(200)이 안착된 일측에 대한 배면에는 패널(200)에 연결된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이 굴곡되면서 그 일면에 형성된 인쇄 회로 기판(260)이 부착된다.
샤시(400)와 패널(200)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300)의 구성은 제1베젤(500) 및 제2베젤(600)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수납된다. 제1베젤(500) 및 제2베젤(600)은 각각 평판형의 베이스와 그 외연에서 수직연장된 측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런 구조로서 제1베젤(500) 및 제2베젤(600)의 결합 시 소정의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이에 패널(200) 및 백라이트 유닛(300) 그리고 샤시(400)가 수납될 수 있다.
이때, 백라이트 유닛(300)과 제2베젤(600)의 사이에 샤시(400)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다른 샤시의 구성이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하여, 패널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 개수에 무관하게 어느 형상에나 적용될 수 있으므로, 획일화된 백라 이트 유닛의 몰드 프레임과 샤시를 사용하여 이의 추가적인 제작에 필요한 금형 및 시간 등을 절감할 수 있으며, 샤시와 연성 인쇄 회로 기판과의 간격을 확보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구동 IC를 보호하여 최종 제품의 내충격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백라이트 유닛 및 샤시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3)

  1. 광원이 구비된 백라이트 유닛;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연접되어 그로부터 빛을 공급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
    상기 패널로부터 연장되며, 구동 IC가 실장된 다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으로 연결된 인쇄 회로 기판이 포함되는 회로부;
    상기 회로부의 상기 다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 간의 간극에 삽입되어 상기 다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지지 및 고정하는 다수의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가 밀착 결합되고, 상기 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수납되는 샤시;
    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에는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요홈에 압입합치(press-fi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 의 일면으로부터 제1단차를 이루어 연장되는 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돌기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좌우방향 중 적어도 1 방향이상에 제2단차를 가지고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제1단차는 상기 샤시의 요홈과 부합하여 당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차는 상기 구동 IC를 회피하여 상기 연성 인쇄 회로 기판과 당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샤시의 요홈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적어도 4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패널의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연접된 면의 타 면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다수의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이 굴곡되어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배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배면 간에 접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70005272A 2007-01-17 2007-01-17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678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272A KR20080067846A (ko) 2007-01-17 2007-01-17 액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272A KR20080067846A (ko) 2007-01-17 2007-01-17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846A true KR20080067846A (ko) 2008-07-22

Family

ID=39821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272A KR20080067846A (ko) 2007-01-17 2007-01-17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784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8007B2 (en) 2011-12-16 2014-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s, and display and electronic systems including the display devices
KR20180119728A (ko) * 2017-04-25 2018-1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306779B2 (en) 2015-10-08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support frame and storage device having the same
KR20190139441A (ko) * 2018-06-08 2019-12-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합보조부재를 갖는 표시장치
CN116149093A (zh) * 2023-04-23 2023-05-23 深圳赛仕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防碎tft显示面板承载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8007B2 (en) 2011-12-16 2014-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s, and display and electronic systems including the display devices
US10306779B2 (en) 2015-10-08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support frame and storage device having the same
KR20180119728A (ko) * 2017-04-25 2018-1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90139441A (ko) * 2018-06-08 2019-12-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합보조부재를 갖는 표시장치
CN116149093A (zh) * 2023-04-23 2023-05-23 深圳赛仕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防碎tft显示面板承载装置
CN116149093B (zh) * 2023-04-23 2023-07-07 深圳赛仕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防碎tft显示面板承载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129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006168B2 (en)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having fixing groove and fixing member to secure display module
JP4391493B2 (ja) 携帯用表示装置
US777782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719658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1174149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4504945B2 (ja) 携帯用表示装置
US803129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tablet computer having a chassis fastening member that receives a printed circuit board
KR20080067846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0947429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00580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279175B1 (ko) 액정표시모듈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0745351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080067845A (ko) 표시 장치
KR2008006073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821054B1 (ko)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
KR100754143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0784043B1 (ko) 평판표시장치
KR20080058796A (ko) 수납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20070051981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KR20080043051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0793533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0754132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100786472B1 (ko)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19657B1 (ko) 휴대용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