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9441A - 접합보조부재를 갖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접합보조부재를 갖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9441A
KR20190139441A KR1020180065889A KR20180065889A KR20190139441A KR 20190139441 A KR20190139441 A KR 20190139441A KR 1020180065889 A KR1020180065889 A KR 1020180065889A KR 20180065889 A KR20180065889 A KR 20180065889A KR 20190139441 A KR20190139441 A KR 20190139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auxiliary member
display panel
circuit board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8611B1 (ko
Inventor
김재호
이지혜
이호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5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611B1/ko
Publication of KR20190139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05K1/0281Reinforcement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연성회로기판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영역과 복수의 제1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배치되지 않은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표시패널, 복수의 제1 영역 각각에 배치되고, 표시패널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복수의 구동회로 칩 및 복수의 제2 영역 각각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2 영역의 높이를 조절하는 복수의 접합보조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연성회로기판이 배치되지 않은 제2 영역에 접합보조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소자와의 높이 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표시장치의 외관 표면이 울퉁불퉁해지는 울리불리 현상을 저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접합보조부재를 갖는 표시장치{DISPLAY DEVICE HAVING JOINTING AUXILIARY MEMB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장치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합보조부재를 갖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및 저소비 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표시장치(Display Device)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의 예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습윤 표시장치(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EWD)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들은 복수의 발광 소자가 배열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을 수납하기 위한 백 커버(back cover) 및 표시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이때, 인쇄회로기판은 표시패널의 소자, 예를 들어,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FPC)을 통해 표시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성회로기판은 표시패널의 어느 하나의 측면 가장자리에 배치된 복수의 패드와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연성회로기판은 표시패널의 측면 가장자리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패드와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연성회로기판과 어느 하나의 연성회로기판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연성회로기판 사이의 이격 영역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격 영역에는 표시패널을 수납하기 위한 백 커버와의 접착을 위한 접착층이 배치된다.
그러나, 연성회로기판이 배치된 영역과 연성회로기판 간 이격 영역 사이에는 연성회로기판이 배치된 영역에 배치된 소자에 의해 높이 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표시패널의 외관은 물론 표시패널과 접착되는 백 커버의 외관 표면이 울퉁불퉁해지는 울리불리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장치의 표면에 발생하는 울리불리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접합보조부재를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베젤 영역의 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연성회로기판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영역과 복수의 제1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배치되지 않은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표시패널, 복수의 제1 영역 각각에 배치되고, 표시패널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복수의 구동회로 칩 및 복수의 제2 영역 각각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2 영역의 높이를 조절하는 복수의 접합보조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연성회로기판이 배치되지 않은 제2 영역에 접합보조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소자와의 높이 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표시장치의 외관 표면이 울퉁불퉁해지는 울리불리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연성회로기판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이완 동작과 수축 동작을 수행하는 접합보조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연성회로기판이 배치되는 영역과의 높이 차를 최소화시켜 표시장치의 외관 표면에 발생하는 울리불리 현상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연성회로기판을 구부리지 않고 표시패널에 배치함으로써 표시장치의 베젤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필름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비필름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보조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보조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보조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보조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보조부재의 탄성 구동부의 형상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보조부재의 이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보조부재의 수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10), 연성회로기판(120), 인쇄회로기판(130), 접합보조부재(140) 및 백 커버(150)를 포함한다.
표시패널(110)은 제1 기판(111) 및 제1 기판(111)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기판(112)을 포함한다. 제1 기판(111)과 제2 기판(112) 사이에는 발광 소자가 배치된다.
표시패널(1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A/A)과 표시 영역(A/A)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한다.
표시패널(110)의 표시 영역(A/A)에는 복수의 게이트 배선(미도시) 및 복수의 데이터 배선(미도시)이 배치되고, 복수의 게이트 배선 및 복수의 데이터 배선을 통해 전달된 게이트 신호 및 데이터 신호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복수의 화소(P)를 포함한다.
표시패널(110)의 비표시 영역(N/A)에는 표시 영역(A/A)에 배치된 게이트 배선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회로(미도시)와 표시 영역(A/A)에 배치된 데이터 배선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회로(미도시)가 배치된다.
게이트 구동회로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칩 온 글래스(COG) 또는 칩 온 필름(COF) 방식으로 표시패널(11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표시패널(110)에 직접 형성되는 GIP(Gate In Panel)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회로는 집적화되어 연성회로기판(120)의 베이스 필름 상에 구동회로 칩(121)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데이터 구동회로는 칩 온 필름(COF)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구동회로가 칩 온 필름 방식으로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FPC, 120)은 인쇄회로기판(13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표시패널(110)에 전달한다. 즉, 연성회로기판(120)은 표시패널(110)과 인쇄회로기판(130) 사이에 배치되어 표시패널(110)과 인쇄회로기판(1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연성회로기판(120)은 표시패널(110)의 비표시 영역(N/A)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복수의 본딩패드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 배치된다.
복수의 연성회로기판(120) 각각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와 같이 연성회로기판(120)이 배치된 표시패널(110)의 영역을 제1 영역, 즉, 필름 영역(FA)이라 할 수 있고, 연성회로기판(120) 간의 이격 영역, 즉 필름 영역(FA)과 인접한 필름 영역(FA) 사이에서 연성회로기판(120)이 배치되지 않은 표시패널(110)의 영역을 제2 영역, 즉, 비필름 영역(NFA)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비필름 영역(NFA)에는 어떠한 구동 소자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이기 때문에 필름 영역(FA)에 배치되는 소자, 예를 들어 구동회로 칩(122) 등과 같은 소자로 인해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는 높이 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높이 차로 인해 표시패널(110)의 외관 및 표시패널(110)과 접착되는 백 커버(150)의 외관이 울퉁불퉁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패널(110) 또는 백 커버(150)의 외관이 울퉁불퉁해지는 울리불리 현상이 나타나면 표시장치의 디자인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10) 또는 백 커버(150)의 외관이 울퉁불퉁해지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2 영역, 즉, 비필름 영역(NFA)에 배치된 접합보조부재(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접합보조부재(140)는 필름 영역(FA)에서 연성회로기판(120)에 포함된 구동회로 칩이 위치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겠지만 접합보조부재(140)는 구동회로 칩 또는 인쇄회로기판(130)이 배치되는 표시패널(110)의 배면, 보다 상세하게는, 제2 기판(112)의 배면에 배치된다. 비필름 영역(NFA)에 배치되는 접합보조부재(140)는 스프링(spring)과 같은 역할을 하여 필름 영역(FA)에 배치된 소자와의 높이 차가 최소화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합보조부재(1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 도 5a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인쇄회로기판(130)은 표시패널(110)과 백 커버(150) 사이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인쇄회로기판(130)은 표시패널(110)의 제2 기판(112)의 배면에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130)은 표시패널(110)의 게이트 구동회로 및 연성회로기판(120)에 배치된 데이터 구동회로, 즉, 구동회로 칩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게이트 제어신호, 데이터 제어신호 및 전원신호를 생성하여 연성회로기판(120)으로 출력한다.
백 커버(Back Cover, 150)는 인쇄회로기판(130)이 배치된 제2 기판(112)의 배면 상에 배치된다. 백 커버(150)는 제2 기판(112)과 접착 물질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이때, 접착 물질은 표시패널(110)의 비필름 영역(NFA)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 또는 본딩(bonding)에 의해 접착될 수 있는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110)은 유기발광 표시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액정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전계방출 표시패널(field emission display panel) 및 전기 습윤 표시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 등의 다양한 표시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110)이 유기발광 표시패널인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필름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비필름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10) 및 표시패널(110)과 결합되는 백 커버(150)를 포함한다.
표시패널(110)은 제1 기판(111), 유기발광소자(101), 보호층(102), 접착층(103) 및 제2 기판(112)을 포함한다.
제1 기판(111)은 글라스와 같은 투명한 리지드(rigid)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투명한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기판(111)의 표시 영역(A/A)에는 단위 화소별로 형성된 유기발광소자(101)가 배치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기판(111)과 유기발광소자(101) 사이에는 유기발광소자(101)의 구동을 위한 스위치 트랜지스터, 구동 트랜지스터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가 배치된다.
유기발광소자(101)는 단위 화소별로 배치된 구동 트랜지스터(미도시)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는 제1 전극과 제1 전극과 대응되는 제2 전극 및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된 발광층을 포함한다. 제1 전극은 투명한 전극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전극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발광층은 유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101)는 제1 전극에서 정공(hole)을 발광층으로 주입시키고, 제2 전극에서 전자(electron)를 발광층으로 주입시키면 발광층에서는 정공과 전자가 결합하게 되고, 이 결합에 의해 여기자(exciton)가 형성되면서 발광한다.
유기발광소자(101) 상면 및 측면에는 유기발광소자(101)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102)이 배치되고, 보호층(102) 상면 및 측면에는 제1 기판(111)과 제2 기판(112)을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층(103)이 배치된다. 이때, 접착층(103)은 유기발광소자(101)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수분을 흡수하는 수분 흡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103) 상에는 제1 기판(111)과 대향된 제2 기판(112)이 배치된다. 제2 기판(112)은 인캡슐레이션 플레이트(Encapsulation Plate)로서, 일 예로, 글라스(Glass), 메탈 호일(Metal Foil) 및 플라스틱 필름(Plastic Film) 등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인캡슐레이션 플레이트(Encapsulation Plate)는 봉지기판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제2 기판(112) 상에는 백 커버(Back Cover, 150)가 배치된다.
백 커버(150)는 표시패널(110)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제2 기판(112)의 배면과 접착층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유기발광소자(101)가 보호층(102)과 접착층(103) 등에 의해 봉지되는 구조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기판(111)과 제2 기판(112)의 외곽에 실런트(Sealant) 등의 접착제가 도포되는 봉지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패널(110)의 일측에는 필름 영역(FA)과 비필름 영역(NFA)이 배치된다. 필름 영역(FA)은 연성회로기판(120)이 배치된 영역이고, 비필름 영역(NFA)은 연성회로기판(120)과 연성회로기판(120) 사이의 이격 영역, 즉 연성회로기판(120)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이다. 이러한 표시패널(110)의 필름 영역(FA)과 비필름 영역(NFA)에는 본딩패드(104), 연성회로기판(120), 인쇄회로기판(130) 및 접합보조부재(140)가 배치된다.
본딩패드(104)는 표시패널(110)의 필름영역(FA)에 배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패널(110)의 비표시 영역(N/A) 중 제1 기판(111)의 일측 가장자리에 복수 개가 배치된다. 여기서, 표시패널(110)의 일측 가장자리는 일반적으로 제1 기판(111)이 제2 기판(112)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데, 이에 따라 제1 기판(111)에서 제2 기판(112)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이 존재하게 되고, 가장 자리는 중첩되지 않는 영역 중 가장 외곽 영역을 말한다. 본딩패드(104)는 표시 영역(A/A)에 배치된 데이터 배선 또는 게이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성회로기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표시패널(110)은 본딩패드(104)를 통해 연성회로기판(12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인쇄회로기판(13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121) 및 구동회로 칩(12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21)은 폴리이미드(polyimide) 수지 또는 에폭시계 수지 또는 공지의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질 수 있다.
구동회로 칩(122)은 표시패널(110)에 게이트 배선 또는 데이터 배선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구동회로 칩(122)과 표시패널(110) 사이에는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는 완충부재(105)가 배치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120)은 인쇄회로기판(130)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 또는 제어신호를 표시패널(110)에 전달한다. 즉, 연성회로기판(120)은 표시패널(110)과 인쇄회로기판(130) 사이에 배치되어 표시패널(110)과 인쇄회로기판(1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보다 상세하게, 연성회로기판(120)은 예를 들어, 작은 도전성 입자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필름인 이방성 도전필름을 표시패널(110)의 일측 가장자리 및 인쇄회로기판(130)에 부착한 후 열압착하여 표시패널(110) 및 인쇄회로기판(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120)의 베이스 필름(121)은 제1 면과 제1 면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2 면을 갖는다. 연성회로기판(120)의 제1 면의 일측은 제1 기판(111)의 전면에 배치된 본딩패드(104)와 연결되고, 제1 면의 타측은 표시패널(110)의 제2 기판(112)의 배면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130)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회로기판(120)은 종래와는 다르게 구부러짐 없이 제1 기판(111)으로부터 제1 기판(111)이 제2 기판(112)과 중첩되지 않은 영역을 거쳐 제2 기판(112)의 배면의 일부 영역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연성회로기판(120)이 종래와는 다른 역방향으로 본딩패드(104) 및 인쇄회로기판(130)과 연결됨으로써 연성회로기판(120)이 구부러질 필요가 없으므로 연성회로기판(120)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표시장치(100)의 베젤 영역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30)은 제1 기판(111)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기판(112)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30)이 배치된 제2 기판(112)의 배면 상에는 백 커버(150)가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130)과 백 커버(150)는 접착층(135), 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 또는 본딩에 의해 접착될 수 있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한편, 표시패널(110)의 비필름영역(NFA)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보조부재(140)가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접합보조부재(140)는 비필름영역(NFA) 중 제2 기판(112)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인 표시장치는 필름 영역(FA)에는 연성회로기판이 배치되고 비필름 영역(NFA)에는 백 커버(150)와의 접착을 위한 양면 테이프가 배치되었다. 그러나, 필름 영역(FA)에는 연성회로기판에 부착된 구동회로 칩 등으로 인한 높이를 갖는 반면 비필름 영역(NFA)은 양면 테이프만 부착되기 때문에 연성회로기판에 부착된 구동회로 칩 등의 소자에 의해 필름 영역(FA)과 비필름 영역(NFA)은 높이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의 필름 영역(FA)과 비필름 영역(NFA) 간 높이 차는 표시장치의 심미감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초래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비필름 영역(NFA)에 접합보조부재(140)를 배치함으로써, 필름 영역(FA)의 높이와 비필름 영역(NFA) 간 높이 차가 최소화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접합보조부재(140)는 탄성 구동부를 구비하여 필름영역(FA)에 배치된 소자들, 예를 들어 구동회로 칩과의 높이 차가 없도록 비필름영역(NFA)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접합보조부재(140)의 일면은 백 커버(150)와 접착되는 제1 접착층(145a)과 접착되고, 접합보조부재(140)의 타면은 제2 기판(112)의 배면과 접착되는 제2 접착층(145b)과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접착층(145a) 및 제2 접착층(145b)은 양면 테이프 또는 양면 테이프 외 본딩(bonding)되는 접착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접합보조부재(140)에 대해서는 다음 도 5a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보조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보조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보조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보조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보조부재의 탄성 구동부의 형상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보조부재의 이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보조부재의 수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합보조부재(140)는 표시패널(110)의 제2 기판(112)과 백 커버(15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접착층(145a) 및 제2 접착층(145b)에 의해 고정된다.
접합보조부재(140)는 제1 보조부재(141)와 제2 보조부재(142)를 포함하고 제1 보조부재(141)와 제2 보조부재(142)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제1 보조부재(141)와 제2 보조부재(142)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제1 보조부재(141)와 제2 보조부재(142)는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제1 보조부재(141)와 제2 보조부재(142)는 접착물질에 의해 접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보조부재(141)와 제2 보조부재(142) 각각은 탄성을 갖는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니켈 합금 및 구리 합금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도 5a 및 도 6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보조부재(140)에 대해 살펴보면, 제1 보조부재(141)는 제1 베이스부(1411), 제1 탄성 구동부(1412), 제1 접합부(1413), 제1 유동 스토퍼(1414) 및 제2 유동 스토퍼(14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411)는 평평한 면으로, 백 커버(150)와의 접착을 위한 제1 접착층(145a)과 부착되는 면이다. 이에 따라, 제1 보조부재(141)는 제1 접착층(145a)에 의해 백 커버(15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탄성 구동부(1412)는 수축 또는 이완을 하는 역할, 즉 일종의 스프링 역할을 하며, 제2 기판(112)과 백 커버(150) 사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탄성 구동부(1412)는 제1 베이스부(1411)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제1 경사각(θ1)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탄성 구동부(1412)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411)로부터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구부러져 이완 또는 수축 동작을 할 수 있는 굽힘 형태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 구동부(1412)는 수축 및 이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복수의 스텝(step)을 이루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 구동부(1412)가 컬링(curing) 형태를 가져 수축과 이완이 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1 탄성 구동부(1412)의 형태가 스텝 또는 컬링 형태를 갖는 구조에 제한되지 않고,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메가(Ω)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접합부(1413)는 제1 탄성 구동부(141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1 베이스부(1411)와 평형을 이룬다. 제1 접합부(1413)는 제2 보조부재(142)의 제2 접합부와 접착물질에 의해 접착되어 제1 보조부재(141)와 제2 보조부재(142)를 결합시킨다.
제1 유동 스토퍼(1414) 및 제2 유동 스토퍼(1415)는 제2 보조부재(142)에 배치되는 제3 유동 스토퍼 및 제4 유동 스토퍼와 각각 결합되어 제1 보조부재(141)와 제2 보조부재(142) 간 수축과 이완 동작 시 높이 조절을 제한(limit)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유동 스토퍼(1414) 및 제2 유동 스토퍼(1415) 각각은 제1 베이스부(1411)의 중앙 영역의 양측에 배치된다. 제1 유동 스토퍼(1414) 및 제2 유동 스토퍼(1415) 각각은 제1 베이스부(1411)로부터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면서 꺾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제1 유동 스토퍼(1414) 및 제2 유동 스토퍼(1415) 각각은 제1 베이스부(1411)로부터 연장되어 'ㄴ'자 또는 'ㄱ'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동 스토퍼(1414) 및 제2 유동 스토퍼(1415) 각각이 제1 베이스부(1411)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은 제1 탄성 구동부(1412)의 연장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제1 유동 스토퍼(1414) 및 제2 유동 스토퍼(1415)가 제1 베이스부(1411)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다면 제1 탄성 구동부(1412)도 제1 베이스부(1411)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보조부재(142) 또한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되며, 제2 베이스부(1421), 제2 탄성 구동부(1422), 제2 접합부(1423), 제3 유동 스토퍼(1424) 및 제4 유동 스토퍼(14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1421)는 평평한 면으로, 표시패널(110)의 제2 기판(112)과의 접착을 위한 제2 접착층(145b)과 부착되는 면이다. 이에 따라, 제2 보조부재(142)는 제2 접착층(145b)에 의해 제2 기판(112)에 고정된다.
제2 탄성 구동부(1422)는 수축 또는 이완을 하는 역할, 즉 일종의 스프링 역할을 하며, 제2 기판(112)과 백 커버(150) 사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탄성 구동부(1422)는 제2 베이스부(1421)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제1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2 탄성 구동부(1422)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베이스부(1421)로부터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구부러져 이완 또는 수축 동작을 할 수 있는 굽힘 형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탄성 구동부(1422)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 또는 이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복수의 스텝(step)을 이루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 구동부(1412)가 컬링(curing) 형태를 가져 수축과 이완이 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2 탄성 구동부(1422)의 형태가 스텝 또는 컬링 형태를 갖는 구조에 제한되지 않고,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메가(Ω)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제2 보조부재(142)는 제1 보조부재(141)와 결합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제2 탄성 구동부(1422)의 경우 예를 들어, 제1 보조부재(141)의 제1 탄성 구동부(1412)가 제1 베이스부(1411)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사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었다면, 제2 탄성 구동부(1422)는 제2 베이스부(1421)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사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합부(1423)는 제2 탄성 구동부(142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 베이스부(1421)와 평형을 이룬다. 제2 접합부(1423)는 제1 보조부재(141)의 제1 접합부(1413)와 접착물질에 의해 접착되어 제1 보조부재(141)와 제2 보조부재(142)를 결합시킨다. 이때, 제2 접합부(1423)는 제1 접합부(1413)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3 유동 스토퍼(1424) 및 제4 유동 스토퍼(1425)는 제1 보조부재(141)에 배치되는 제1 유동 스토퍼(1414) 및 제2 유동 스토퍼(1415)와 각각 결합되어 제1 보조부재(141)와 제2 보조부재(142) 간 수축과 이완 동작 시 높이 조절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제3 유동 스토퍼(1424) 및 제4 유동 스토퍼(1425) 각각은 제2 베이스부(1421)의 중앙 영역의 양측에 배치된다. 제3 유동 스토퍼(1424) 및 제4 유동 스토퍼(1425) 각각은 제2 베이스부(1421)로부터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면서 꺾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제1 유동 스토퍼(1414) 및 제2 유동 스토퍼(1415) 각각은 베이스부(1411)부로부터 연장되어 'ㄴ'자 또는 'ㄱ'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유동 스토퍼(1424)는 제1 유동 스토퍼(1414)와 결합되도록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4 유동 스토퍼(1425)는 제2 유동 스토퍼(1415)와 결합되도록 대향하여 배치된다. 다시 말해, 제3 유동 스토퍼(1424) 및 제4 유동 스토퍼(1425)는 제1 보조부재(141)의 제1 유동 스토퍼(1414) 및 제2 유동 스토퍼(1415)가 하부 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었다면 이와 반대로 상부 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보조 부재(141)와 제2 보조부재(142)가 결합되면 제3 유동 스토퍼(1424)는 제1 유동 스토퍼(1414) 상에 배치되고, 제4 유동 스토퍼(1425)는 제2 유동 스토퍼(141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6a를 참조하면, 제1 보조부재(141)와 제2 보조부재(142)는 제2 갭(Gap, G2)을 이루어 결합될 수 있다. 제2 갭(G2)은 제1 유동 스토퍼(1414)와 제3 유동 스토퍼(1424) 및 제2 유동 스토퍼(1415)와 제4 유동 스토퍼(1425) 사이의 간격인 제1 갭(G1)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보조부재(140)를 이루는 제1 보조부재(141)와 제2 보조부재(142)는 제1 탄성 구동부(1412) 및 제2 탄성 구동부(1422)의 수축 또는 이완 동작에 의해 제1 갭(G1)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제1 유동 스토퍼(1414)와 제3 유동 스토퍼(1424) 및 제2 유동 스토퍼(1415)와 제4 유동 스토퍼(1425) 사이의 간격인 제1 갭(G1)은 백 커버(150)의 측면 높이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보조 부재(141)와 제2 보조부재(142)는 이완 동작에 의해 제2 갭(G2)이 넓어지는 경우 백 커버(150)의 측면 높이보다 표시패널(110)의 높이가 높아지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제1 탄성 구동부(1412) 및 제2 탄성 구동부(1422)의 이완 또는 수축 동작에 의한 제1 갭(G1)은, 예를 들어, 0.1mm 이상 0.5mm 이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보조부재(140')는 도 5b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조부재(141)의 제1 접합부(1413)와 제2 보조부재(142)의 제2 접합부(1423)가 일 실시예의 경우와는 다르게 제2 접합부(1423)가 제1 접합부(1413)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보조부재의 동작을 다음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10)의 필름 영역(FA)에 배치된 소자의 높이가 높은 경우 접합보조부재(140)는 필름 영역(FA)에 배치된 소자와의 높이 차가 최소화되도록 이완 동작을 한다. 이에 따라, 접합보조부재(140)를 이루는 제1 보조부재(141) 및 제2 보조부재(142) 사이의 간격인 제2 갭(G2')은 제1 탄성 구동부(1412) 및 제2 탄성 구동부(1422)의 이완 동작에 의해 그 간격이 보다 넓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완 동작에 의해 접합보조부재(140)의 제1 탄성 구동부(1412)와 제1 베이스부(1411) 및 제2 탄성구동부(1422)와 제2 베이스부(1421)와 이루는 제2 경사각(θ2)은 제1 경사각(θ1)보다 큰 값일 수 있다.
또한, 제1 보조부재(141)의 제1 유동 스토퍼(1414)와 제2 보조부재(142)의 제3 유동 스토퍼(1424)의 간격 및 제1 보조 부재(141)의 제2 유동 스토퍼(1415)와 제2 보조부재(142)의 제4 유동 스토퍼(1425)의 간격인 제1 갭(G1')은 보다 좁아질 수 있다.
한편, 도 8b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10)의 필름 영역(FA)에 배치된 소자의 높이가 낮은 경우 접합보조부재(140)를 이루는 제1 보조부재(141) 및 제2 보조부재(142) 사이의 간격인 제2 갭(G2'')은 제1 탄성 구동부(1412) 및 제2 탄성구동부(1422)의 수축 동작에 의해 그 간격이 보다 좁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축 동작에 의해 접합보조부재(140)의 제1 탄성구동부(1412)와 제1 베이스부(1411) 및 제2 탄성구동부(1422)와 제2 베이스부(1421)와 이루는 제3 경사각(θ3)은 제1 경사각(θ1)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또한, 제1 보조부재(141)의 제1 유동 스토퍼(1414)와 제2 보조부재(142)의 제3 유동 스토퍼(1424)의 간격 및 제1 보조부재(141)의 제2 유동 스토퍼(1415)와 제2 보조부재(142)의 제4 유동 스토퍼(1425)의 간격인 제1 갭(G1'')은 보다 넓어질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종합하여 살펴본 결과, 제1 갭(G1)과 제2 갭(G2)은 반비례 관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보조부재(140)는 표시패널(110)의 비필름 영역(NFA)에 배치되어 필름 영역(FA)에 배치된 소자와의 높이 차가 최소화되도록 조절함으로써 표시패널(110) 또는 백 커버(150) 표면에 발생되는 외관의 울리불리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접합보조부재를 갖는 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연성회로기판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영역과 복수의 제1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배치되지 않은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표시패널, 복수의 제1 영역 각각에 배치되고, 표시패널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복수의 구동회로 칩 및 복수의 제2 영역 각각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2 영역의 높이를 조절하는 복수의 접합보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을 수납하는 백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접합보조부재는 표시패널과 백 커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접합보조부재 각각은 탄성을 갖는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접합보조부재 각각은 제1 보조 부재 및 제1 보조 부재와 대향하여 결합되는 제2 보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보조 부재는 양면 테이프 또는 본딩되는 접착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제1 접착층에 의해 백 커버에 고정되고, 제2 보조 부재는 양면 테이프 또는 본딩되는 접착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제2 접착층에 의해 표시 패널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보조 부재 및 제2 보조 부재 각각은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고 베이스부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제1 경사각을 이루도록 배치된 탄성 구동부, 탄성 구동부로부터 연장되고 베이스부와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 접합부, 베이스부의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양측 영역에 배치되고 베이스부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꺾임 형상을 갖는 유동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보조 부재 및 제2 보조 부재 각각에 구비된 탄성 구동부는 이완 동작 및 수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탄성 구동부가 이완 동작 시 갖는 경사각은 제1 경사각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탄성 구동부가 수축 동작 시 갖는 경사각은 제1 경사각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보조 부재와 제2 보조 부재는 각각에 배치된 접합부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보조 부재에 구비된 유동 스토퍼와 제2 보조 부재에 구비된 유동 스토퍼 사이의 간격은 백 커버의 측면이 갖는 높이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탄성 구동부가 이완 동작 시 표시패널이 백 커버의 측면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제1 보조 부재에 구비된 유동 스토퍼와 제2 보조 부재에 구비된 유동 스토퍼 사이의 간격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보조 부재의 베이스부와 제2 보조 부재의 베이스부 사이의 간격과 제1 보조 부재의 유동 스토퍼와 제2 보조 부재의 유동 스토퍼 사이의 간격은 반비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패널은 표시 영역에 배치된 발광 소자와 비표시 영역에 배치된 본딩 패드를 포함하는 제1 기판 및 제1 기판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장치는 제2 기판의 배면에 배치되고, 발광 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 신호를 연성회로기판에 전달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영역에 배치된 연성회로기판의 일측은 제1 기판에 배치된 본딩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성회로기판의 타측은 제2 기판의 배면에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연성회로기판은 역본딩 방식으로 본딩 패드와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접합보조부재는 제2 기판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장치
110: 표시패널
111: 제1 기판
112: 제2 기판
120: 연성회로기판
130: 인쇄회로기판
140: 접합보조부재
141: 제1 보조부재
1411: 제1 베이스부
1412: 제1 탄성 구동부
1413: 제1 접합부
1414: 제1 유동 스토퍼
1415: 제2 유동 스토퍼
142: 제2 보조부재
1421: 제2 베이스부
1422: 제2 탄성 구동부
1423: 제2 접합부
1424: 제3 유동 스토퍼
1425: 제4 유동 스토퍼
A/A: 표시 영역
N/A: 비표시 영역
FA: 필름 영역
NFA: 비필름 영역

Claims (17)

  1. 복수의 연성회로기판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영역과 상기 복수의 제1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배치되지 않은 복수의 제2 영역을 갖는 표시패널;
    상기 복수의 제1 영역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복수의 구동회로 칩; 및
    상기 복수의 제2 영역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영역의 높이를 조절하는 복수의 접합보조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합보조부재 각각은 탄성을 갖는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을 수납하는 백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접합보조부재는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백 커버 사이에 배치된,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합보조부재 각각은 제1 보조 부재 및 상기 제1 보조 부재와 대향하여 결합되는 제2 보조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부재는 제1 접착층에 의해 상기 백 커버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보조 부재는 제2 접착층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은 양면 테이프 또는 상기 양면 테이프 외 본딩되는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부재 및 상기 제2 보조 부재 각각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제1 경사각을 이루도록 배치된 탄성 구동부;
    상기 탄성 구동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 접합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중앙 영역을 기준으로 양측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어 꺾임 형상을 갖는 유동 스토퍼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구동부는 이완 동작 및 수축 동작을 수행하는,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구동부가 이완 동작 시 갖는 경사각은 상기 제1 경사각보다 큰 값을 갖는, 표시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구동부가 수축 동작 시 갖는 경사각은 상기 제1 경사각보다 작은 값을 갖는, 표시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부재와 상기 제2 보조 부재는 각각에 배치된 접합부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결합되는, 표시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부재에 구비된 상기 유동 스토퍼와 상기 제2 보조 부재에 구비된 상기 유동 스토퍼 사이의 간격은 상기 백 커버의 측면이 갖는 높이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구동부가 이완 동작 시 상기 표시패널이 상기 백 커버의 측면으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보조 부재에 구비된 상기 유동 스토퍼와 상기 제2 보조 부재에 구비된 상기 유동 스토퍼 사이의 간격이 설정되는, 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부재의 베이스부와 상기 제2 보조 부재의 베이스부 사이의 간격과 상기 제1 보조 부재의 유동 스토퍼와 상기 제2 보조 부재의 유동 스토퍼 사이의 간격은 반비례 관계를 갖는, 표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표시 영역에 배치된 발광 소자와 비표시 영역에 배치된 본딩 패드를 포함하는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 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 신호를 상기 연성회로기판에 전달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일측은 상기 제1 기판에 배치된 본딩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타측은 상기 제2 기판의 배면에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역본딩 방식으로 상기 본딩 패드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표시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보조부재는 상기 제2 기판의 배면에 배치된, 표시장치.
KR1020180065889A 2018-06-08 2018-06-08 접합보조부재를 갖는 표시장치 KR102648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889A KR102648611B1 (ko) 2018-06-08 2018-06-08 접합보조부재를 갖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889A KR102648611B1 (ko) 2018-06-08 2018-06-08 접합보조부재를 갖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441A true KR20190139441A (ko) 2019-12-18
KR102648611B1 KR102648611B1 (ko) 2024-03-15

Family

ID=69052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889A KR102648611B1 (ko) 2018-06-08 2018-06-08 접합보조부재를 갖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6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0514B2 (en) 2020-05-21 2022-11-01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7846A (ko) * 2007-01-17 2008-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30013457A (ko) * 2011-07-28 2013-0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US20140239317A1 (en) * 2013-02-27 2014-08-28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150022150A (ko) * 2013-08-22 2015-03-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인쇄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KR20150072534A (ko) * 2013-12-19 2015-06-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93174A (ko) * 2015-01-28 2016-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7846A (ko) * 2007-01-17 2008-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30013457A (ko) * 2011-07-28 2013-0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US20140239317A1 (en) * 2013-02-27 2014-08-28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150022150A (ko) * 2013-08-22 2015-03-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인쇄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KR20150072534A (ko) * 2013-12-19 2015-06-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93174A (ko) * 2015-01-28 2016-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0514B2 (en) 2020-05-21 2022-11-01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611B1 (ko) 202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0281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285835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0967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5654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43176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400871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736930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95847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9572248B2 (en) Display device
KR20180077409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20210337672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KR20140108826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424558B2 (en) Display apparatus with a data driving chip and a gate driving chip disposed on a same side of a display panel
KR20160118416A (ko) 표시 장치
US20080123335A1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and display having the same
KR102648611B1 (ko) 접합보조부재를 갖는 표시장치
US8797492B2 (en) Flexible circuit board
US20200192141A1 (en) Display Device
KR102551260B1 (ko) 표시 장치
KR20140116693A (ko) 연성 인쇄회로기판
US20230253409A1 (en) Display panel, tile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3280539A (ja) 有機el表示装置
US20230209754A1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US20230199990A1 (en) Display panel
US20150055077A1 (en) Tape package and display panel modul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