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224B1 - 노출되지 않은 전극을 갖는 가스 방전 셀 내에서 추적 가스의 광학 검출 - Google Patents

노출되지 않은 전극을 갖는 가스 방전 셀 내에서 추적 가스의 광학 검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224B1
KR102612224B1 KR1020187012905A KR20187012905A KR102612224B1 KR 102612224 B1 KR102612224 B1 KR 102612224B1 KR 1020187012905 A KR1020187012905 A KR 1020187012905A KR 20187012905 A KR20187012905 A KR 20187012905A KR 102612224 B1 KR102612224 B1 KR 102612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discharge cell
paragraph
detection device
trace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2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0606A (ko
Inventor
블라디미르 슈발츠
보리스 체르노드브로드
Original Assignee
인피콘 홀딩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피콘 홀딩 아크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인피콘 홀딩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80070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2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103Atomic absorption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 G01M3/2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using mass spectrometer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 G01M3/2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2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6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electrically excited, e.g. electroluminescence
    • G01N21/67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electrically excited, e.g. electroluminescence using electric arcs or dischar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6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electrically excited, e.g. electroluminescence
    • G01N21/68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electrically excited, e.g. electroluminescence using high frequency electric f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02Arrangements for confining plasma by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rangements for heating plasma
    • H05H1/10Arrangements for confining plasma by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rangements for heating plasma using externally-applied magnetic fields only, e.g. Q-machines, Yin-Yang, base-bal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H05H1/2406Generating plasma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s, i.e. with a dielectric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H05H1/2406Generating plasma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s, i.e. with a dielectric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s
    • H05H1/2443Generating plasma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s, i.e. with a dielectric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s the plasma fluid flowing through a dielectric tube
    • H05H1/246Generating plasma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s, i.e. with a dielectric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s the plasma fluid flowing through a dielectric tube the plasma being activated using external electr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021/3125Measuring the absorption by excited molecu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추적 가스 감지 장치는 방전 공간(30)을 한정하는 셀 벽(14)을 구비한 가스 방전 셀(12), 방전 공간(30) 내로의 추적 가스 입구(16), 방전 셀 내로 방사선을 방출하기 위해 방전 셀의 제1 측면 상에 방사선 공급원(26)을 구비한 분광기 장치, 방전 공간(30)을 통해 방사선 공급원(26)에 의해 방사된 방사선을 검출하기 위해 제1 측면의 반대쪽 방전 셀의 제2 측면 상의 방사선 검출기(28) 및 방전 셀 내에서 플라스마를 생성하기 위해 방전 셀의 대향 측면 상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은 노출되지 않은 플라스마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출되지 않은 전극을 갖는 가스 방전 셀 내에서 추적 가스의 광학 검출
본 발명은 추적 가스의 광학 검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스 방전 셀 내에서 미량 가스와 추적 가스의 광학 검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전 셀은 가스 방출 공간을 둘러싸는 외부 셀 벽을 갖는다. 방전 셀은 추적 가스가 방전 공간 내로 유입되는 추적 가스 입구를 포함한다. 분광기 장치는 방전 셀 내에서 모든 형태의 방사선 흡수 또는 굴절률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방전 셀의 일 측면 상에, 가스 방전 공간 안으로 및 가스 방전 공간을 통해 방사선을 방출하기 위한 방사선 공급원이 위치한다. 상기 방전 셀의 반대쪽에는, 방사선이 방출 공간을 통해 이동했을 때 방사선 공급원으로부터 방사선을 검출하기 위한 방사선 검출기가 위치한다.
누출 탐지 및 미량 가스와 추적 가스 감지용 장치와 장비는 진공, 식품, 석유 화학, 의료, 제약, 원자력 또는 운송과 같은 다양한 산업의 기술적 요구 사항을 해결한다.
광 흡수 분광법의 원리를 이용하는 광 가스 센서는 공지되어 있다. 미리 선택된 파장의 레이저 빔은 버퍼 가스로 채워진 플라스마 셀 공간을 통해 전파된다. 레이저 빔은 단일 경로 빔 또는 다중 경로 빔일 수 있다. 버퍼 가스는 단일 성분 가스 또는 아르곤, 헬륨, 질소 등과 같은 복수 성분의 가스 혼합물일 수 있다. 광학 검출기는 미량/추적 가스 분자 및 그 농도 표시로 플라스마 셀 공간 내의 방사선과 가스의 상호 작용을 기록한다.
방전 셀은 가스 방출 공간을 둘러싸는 외부 셀 벽을 갖는다. 방전 셀은 추적 가스가 방전 공간 내로 유입되는 추적 가스 입구를 포함한다. 분광기 장치는 방전 셀 내에서 모든 형태의 방사선 흡수 또는 굴절률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방전 셀의 일 측면 상에, 가스 방전 공간 안으로 및 가스 방전 공간을 통해 방사선을 방출하기 위한 방사선 공급원이 위치한다. 상기 방전 셀의 반대쪽에는, 방사선이 방출 공간을 통해 이동했을 때 방사선 공급원으로부터 방사선을 검출하기 위한 방사선 검출기가 위치한다.
누출 탐지 및 미량 가스와 추적 가스 감지용 장치와 장비는 진공, 식품, 석유 화학, 의료, 제약, 원자력 또는 운송과 같은 다양한 산업의 기술적 요구 사항을 해결한다.
광 흡수 분광법의 원리를 이용하는 광 가스 센서는 공지되어 있다. 미리 선택된 파장의 레이저 빔은 버퍼 가스로 채워진 플라스마 셀 공간을 통해 전파된다. 레이저 빔은 단일 경로 빔 또는 다중 경로 빔일 수 있다. 버퍼 가스는 단일 성분 가스 또는 아르곤, 헬륨, 질소 등과 같은 복수 성분의 가스 혼합물일 수 있다. 광학 검출기는 미량/추적 가스 분자 및 그 농도 표시로 플라스마 셀 공간 내의 방사선과 가스의 상호 작용을 기록한다.
본 발명은 방전 셀 내에서 플라스마를 발생시키기 위해 노출되지 않은 플라스마 전극을 사용하는 아이디어에 기초한다. "노출되지 않은(unexposed)"이란 전극이 방전 셀 내의 가스 또는 가스 혼합물에 직접 노출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오히려, 상기 전극은 유리 또는 다른 유형의 유전체 장벽일 수 있는 전기 절연재와 같은 물질에 의해 가스 방전 공간으로부터 분리된다. 유도 결합, 마이크로파 또는 무선 주파수 또한 방전 셀 내의 가스로부터 전극을 분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유전체 장벽 방전 플라스마 셀은 복잡하지 않고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방전 셀의 추적 가스 입구는 각각의 추적 가스 또는 추적 가스 성분들에 대해 선택적인 가스 선택 막(membrane)을 포함할 수 있다. 막은 추적 가스의 유입 및/또는 유출을 제어할 수 있도록 열 활성화 섹션이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 활성화 섹션은 화학 기상 증착(CVD) 보로포스포실리케이트 글래스(BPSG)의 열적 재유동 막으로 평탄화 및/또는 캡핑된 열적으로 치밀화된 스핀온글래스(SOG) 절연체의 층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막은 열적으로 활성화되어 제어할 수 있는 가스의 유동을 촉진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은 가스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가스 선택 막으로 스핀온글래스(SOG) 웨이퍼를 사용함으로써 가스 공간 또는 가스 유동으로부터 가스 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스 공간은 정적이거나 동적일 수 있으며, 무한이거나(자유롭거나) 하우징 또는 파이프로 둘러싸여 캡슐화될 수 있다. 웨이퍼는 실리카 산화물 반도체일 수 있다. 막은 상기 및/또는 하기 설명에 따라 조정 및/또는 사용될 수 있다.
방사선 공급원은 레이저 다이오드, 방사선 방출 다이오드 또는 필요한 스펙트럼 범위의 방출 특성을 갖는 임의의 다른 방사선 공급원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전 셀 공간은 방전 공간을 한정하는 작은 내부 치수를 갖는다. 특히, 방사선 공급원으로부터 방전 공간을 통해 방사선 검출기로 이동하는 방사선 빔의 방향에 대해 측면 방향 면의 방전 공간 단면은 폭이 3mm 미만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방전 셀이 작은 방전 갭을 형성하도록 0. 3mm와 1mm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방전 셀은 버퍼 가스로 채워진 정적 셀일 수 있다. 또는, 방전 셀은 버퍼 가스 공급원에 연결된 버퍼 가스 입구 및 회전형 베인 펌프와 같은 펌프에 연결될 수 있는 버퍼 가스 출구를 갖는 유동 통과(flow-through) 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추적 가스는 여기 상태에서의 검출을 위해 더 높은 에너지 상태로 여기될 수 있다. 여기 상태는 준안정 상태가 아닐 수 있다. 추적 가스는 버퍼 가스 또는 플라스마 전자의 여기 상태와 상호 작용으로 여기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추적 가스 모니터, 추적 가스 누출 검출기 또는 추적 가스 누출 스니퍼로 사용될 수 있다.
플라스마 전자의 밀도는 셀 벽에 선택적으로 증착된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로부터 방출된 전자로 높아질 수 있다. 유전체는 높은 이차 전자 방출 속도 및/또는 외부에 배치된 소스로부터의 UV 방사선에 의해 생성된 광 전자로 특징되는 산화 마그네슘 또는 다른 유사한 물질일 수 있다.
감지 장치는 특히 헬륨, 수소 또는 네온의 누출 스니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방전 셀 내의 플라스마 가스 혼합물은 주변 헬륨 및 네온, 아르곤, 질소 또는 산소나 그들의 비례 혼합물로 구성 또는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헬륨, 수소, 네온, 질소 또는 산소 누출 검출기로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추적 가스는 정제된 혼합물이거나 대기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플라스마 가스 혼합물은 헬륨, 수소, 네온, 아르곤, 질소 또는 산소나 그들의 비례 혼합물과 같은 재충전이 가능하거나 압력이 유지되는 가스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광 방사선 공급원은 임계 플라스마 파라미터에 대한 방전 셀 내의 배경 가스 성분들의 영향(들)을 정량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전극 뒤에, 즉 방전 셀의 반대쪽에 적어도 하나의 자석이 셀 벽 상의 플라스마 전자의 손실을 최소화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위치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도 2는 제2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도 3은 제3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도 4는 제4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도 5는 제5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도 6은 제6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도 7A는 막 장치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도 7B는 막 장치에 대한 추가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도 7C는 막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도 8은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9는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가스 방전 셀(12)은 글래스 셀을 형성하는 글래스로 만들어진 셀 벽(14)을 갖는다. 추적 가스 입구(16)는 추적 가스 선택 막(19)이 수용되는 입구 하우징(18)을 구비한다. 추적 가스 입구(16)는 추적 프로브에 연결된 밸브(22)를 구비한 라인(20)에 추가로 연결된다. 라인(20)은 교정 목적을 위해 교정된 누출(leak)에 연결된 또 다른 밸브(24)에 연결된다.
분광기 장치는 레이저 다이오드 형태의 방사선 공급원(26)을 포함한다. 방사선 공급원(26)은 방전 셀(12)의 제1 단부에 위치한다. 제1 단부의 반대쪽인 제2 단부에는 방사선 검출기(광 셀)(28)가 위치한다. 방사선 공급원(26)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은 방전 셀로 들어가 셀 벽(14)으로 둘러싸인 방출 공간(30)을 통해 계속 이동하고, 반대쪽 단부에서 방전 셀을 떠나 방사선 검출기(28)에 도달하여 감지된다.
2개의 전극(32)은 방전 셀(12)의 대향하는 측면들 상에 추가로 위치한다. 글래스 셀 벽(14)은 전극(32)과 방전 공간(30)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전극은 방전 셀(12) 내의 가스에 노출되지 않는다.
전극(32)은 전압 발생기(34)에 의해 제공되는 킬로헤르츠 또는 MHz 범위의 주파수에서 AC 고전압을 공급받는다.
버퍼 가스 공급원(36)은 버퍼 입구 라인(40)과 버퍼 입구 밸브(43)를 경유하여 방전 셀(12)의 버퍼 가스 입구(38)에 연결된다. 버퍼 가스 입구(38)를 통해 방전 공간(30)으로 들어가는 버퍼 가스는 방전 셀(12)을 통해 유동하고 광 검출기(28)와 인접한 셀(12)의 단부에서 버퍼 가스 출구(42)를 통해 셀을 떠난다. 버퍼 가스 출구(42)로부터, 버퍼 가스는 버퍼 가스 출구 라인(44)과 버퍼 가스 출구 밸브(46)를 통해 가스를 버퍼 가스 공급원(36)으로부터 셀(12)을 통해 펌핑하는 회전형 베인 펌프(48)로 유도된다.
도 2의 실시예는 방전 셀에 버퍼 가스 입구와 버퍼 가스 출구가 없는 정적 셀이라는 점에서 도 1의 실시예와 다르다. 오히려, 버퍼 가스는 방전 공간(30) 내에 유지된다. 추적 가스 입구(16)의 하우징(18)은 진공 라인(50)과 밸브(52)를 경유하여 터보 펌프(44)와 다이아프램 펌프(46)로 구성된 펌프 장치에 연결된다.
도 3에 따른 실시예는 진공 라인(50)과 진공 밸브(52)가 도 2의 펌프 시스템보다는 다이어프램 펌프에만 연결된다는 점에서 도 2에 따른 실시예와 다르다. 또한, 가스 입구(16)의 하우징(18)은 제2 진공 라인(58)과 제2 진공 밸브(60)를 경유하여, 필터(64)를 경유하여 제2 진공 라인(58)과 제2 진공 밸브(60) 및 가스 입구의 하우징(18)을 통해 펌핑되는 펌핑 가스의 공급원(62)에 연결되고, 이어서 제1 진공 라인(50)과 제1 진공 밸브(52)를 경유하여 다이아프램 펌프(56)에 연결된다. 펌핑 가스는 가스 입구 하우징(18) 내의 막을 통과하도록 유도된다.
도 4의 실시예 또한 버퍼 가스 입구와 버퍼 가스 출구가 없는 정적 가스 방전 셀(12)을 구비한다. 전극(32)은 메가헤르츠 주파수 범위의 AC 전압을 전극(32)에 공급하는 무선 주파수 전력 발생기(6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가스 방전 셀(12)은 주변 헬륨 및 네온, 아르곤, 질소 또는 산소를 포함하는 버퍼 가스 혼합물을 함유한다. 여기 상태의 버퍼 가스 혼합물은 전극(32)을 경유하여 공급된 무선 주파수 전력으로부터 기인한다.
가스 방전 셀(12)의 가스 입구(16)는 그 외벽이 열 활성화 박편을 포함한 막(19)에 의해 형성되는 하우징(18)을 구비하며, 그 예는 도 7A, 도 7B 및 도 7C에서 더 상세히 도시한다. 유사한 막이 도 5와 도 6의 실시예에서도 사용된다. 하우징(18)은 수소 게터(64)를 더 포함한다.
도 5의 실시예는 가스 방전 셀(12)이 리필 밸브(67)를 경유하여 버퍼 가스 리필 용기(66)에 연결되는 버퍼 가스 입구(38)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4의 실시예와 다르다. 버퍼 가스 출구는 제공되지 않는다. 버퍼 가스는 헬륨, 수소, 네온, 아르곤, 질소 또는 산소일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와 또 다른 차이점은 막(19)을 포함한 가스 입구 하우징(18)의 일부가 누출 시험 중인 진공 챔버의 형태로 배기된 시험 대상(68)에 연결된다는 것이다. 시험 대상(68)의 외부는 새는 곳(70)을 통해 시험 대상(68) 내로 들어가는 추적 가스로 분무될 수 있다. 또는, 새는 곳(70)을 통해 들어가는 주변 가스는 추적 가스로 사용될 수 있다. 시험 대상(68) 내로 들어간 추적 가스는 막(19)과 추적 가스 입구(16)를 통해 가스 방전 셀(12)로 들어간다. 막(19)은 도 4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7A~7C에 더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열 활성화 박편을 구비한다.
도 6의 실시예는 가스 방전 셀(12)이 버퍼 가스 용기에 연결되는 버퍼 가스 입구(38)가 없다는 점에서 도 5의 실시예와 다르다. 오히려, 방전 셀(12)은 아르곤, 질소 또는 산소일 수 있는 버퍼 가스로 미리 채워지며, 방전 셀(12) 내에서 여기된다. 전극(32)은 또한 무선 주파수 전력 발생기(62)에 의해 공급된 메가헤르츠 범위의 무선 주파수 AC 전압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도 7A, 7B 및 7C는 각각 도 4, 5 및 6에 사용된 막(19)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각각은 열 활성화 박편을 구비한다. 도 7A에서, 두께가 30 ~ 200nm 범위에서 열적으로 치밀화된 스핀온글래스막(72)이 다공성 지지체(74) 상에 코팅된다. 도 7B에서, 추가적인 보로포스포실리케이트 유리 층(76)은 화학 기상 증착을 통해 스핀온글래스막(72) 상에 코팅된다.
도 7C의 실시예에서, 스핀온글래스막(72)과 그 막(72) 상부의 보로포스포실리케이트 글래스막(76)을 지지하는 다공성 지지 막(74)은 지지 구조체(78) 위에 코팅된다. 다공성 지지 막(74)은 기공 크기가 3 ~ 70nm 범위의 예컨대 주석과 백금이 도핑된 스핀온글래스막일 수 있다.
도 8은 도 1 방전 셀(12)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방전 셀(12)은 하나의 경로 셀로 배열된다. 즉, 단일 레이저 빔(80)이 셀을 통해 방사선 공급원(26)으로부터 광 검출기(28)로 유도된다. 전극의 길이는 50mm이며, 레이저 빔(80) 방향의 측면 방향 면 셀 단면의 외부 치수는 폭이 3mm, 높이가 2mm이다.
도 9는 방전 셀(12)이 10개의 경로 셀, 즉 10개의 레이저 빔(80)이 셀(12)을 통해 병렬로 유도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미러(82)는 방사선 빔(80)을 반사할 수 있다. 미러(82)는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광 검출기 반대쪽 셀 단부의 방사선 공급원으로 고려될 수 있다. 도 9에서 셀의 폭은 도 8의 3mm가 아닌 15mm이다.
도 10은 가스 방전 셀(12)이 셀(12)을 완전히 둘러싼 관형 전극(32)으로 둘러싸인 큐브로 형성되는 100개의 경로 셀을 도시한다. 가스 방출 공간(30)의 단면은 링 형상이다.

Claims (27)

  1. 추적 가스 감지 장치에 있어서,
    방전 공간(30)을 한정하는 셀 벽(14) 및 상기 방전 공간(30) 내로의 추적 가스 입구(16)를 구비하되, 상기 추적 가스입구에는 열적으로 치밀화된 스핀온글래스(SOG) 절연막을 포함하는 가스 선택 막(19)이 구비되는 가스 방전 셀(12),
    상기 방전 셀 내로 광을 방출하는 방출 셀의 제1 측면 상의 방사선 공급원(26) 및 상기 방전 공간(30)을 통해 상기 방사선 공급원(26)에 의해 방출된 방사선을 검출하는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쪽 상기 방전 셀의 제2 측면 상의 방사선 검출기(28)를 구비하는 분광기 장치 및
    상기 방전 셀 내에 플라스마를 발생하는 상기 방전 셀의 대향되는 측면 상의 전극(32)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32)은 노출되지 않은 플라스마 전극(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적 가스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절연재는 각 전극과 상기 가스 방전 공간(30)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적 가스 감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각 전극은 상기 전기 절연재에 의해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적 가스 감지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절연재는 상기 셀 벽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적 가스 감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방전 셀(12)은 유전체 장벽 방전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적 가스 감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32)은 AC 전원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적 가스 감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공간(30)은 버퍼 가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적 가스 감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가스는 아르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적 가스 감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방전 셀(12)은 버퍼 가스 입구(38)와 버퍼 가스 출구(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적 가스 감지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공간(30)은 단면 폭이 상기 방사선 공급원(26)으로부터 상기 방사선 검출기(28)로 이동하는 방사선의 방향에 대해 측면 방향 면이 1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적 가스 감지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온글래스 절연막은 화학 기상 증착(CVD) 보로포스포실리케이트 글래스(BPSG)의 열적 재유동 막으로 평탄화 또는 캡핑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적 가스 감지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방전 셀(12) 벽의 적어도 일부의 내면은 유전체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적 가스 감지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방전 셀(12)의 전자는 유도성 또는 마이크로파 소스와 같은 고주파 소스에 의해 여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적 가스 감지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방사선 공급원(26)은 플라스마 파라미터에 대한 배경 가스 성분의 영향을 정량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적 가스 감지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상기 셀 벽(14) 상의 플라스마 전자 손실을 최소화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가스 방전 공간(30)에 대향하는 각 전극 뒤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적 가스 감지 장치.
  16. 가스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가스 선택 막으로 스핀온글래스(SOG) 웨이퍼를 사용하여 가스로부터 가스 성분을 분리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SOG 웨이퍼는 실리카 산화물 반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는 열적으로 치밀화된 스핀온글래스 절연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187012905A 2015-10-16 2016-10-14 노출되지 않은 전극을 갖는 가스 방전 셀 내에서 추적 가스의 광학 검출 KR102612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84980P 2015-10-16 2015-10-16
US62/284,980 2015-10-16
PCT/EP2016/074743 WO2017064265A1 (en) 2015-10-16 2016-10-14 Optical detection of tracer gases in a gas discharge cell having unexposed electrod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606A KR20180070606A (ko) 2018-06-26
KR102612224B1 true KR102612224B1 (ko) 2023-12-08

Family

ID=57136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905A KR102612224B1 (ko) 2015-10-16 2016-10-14 노출되지 않은 전극을 갖는 가스 방전 셀 내에서 추적 가스의 광학 검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82237B2 (ko)
EP (1) EP3362780B1 (ko)
JP (1) JP6929277B2 (ko)
KR (1) KR102612224B1 (ko)
CN (1) CN108139322B (ko)
WO (1) WO20170642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9614B (zh) * 2019-04-28 2021-12-03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微波等离子体装置及等离子体激发方法
CN111397810A (zh) * 2020-04-28 2020-07-10 江苏神州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rps气体解离的漏气检测方法
CH718504A2 (de) * 2021-03-31 2022-10-14 Inficon ag Vakuumdurchführung, Elektrodenanordnung,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r stillen Plasmaentladung, Messgerät und Verfahren zu dessen Betrieb.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750B1 (ko) * 1993-09-30 2001-06-01 히가시 데쓰로 플라즈마처리의 종점검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21275A1 (de) * 1995-06-10 1996-12-12 Leybold Ag Gasdurchlaß mit selektiv wirkender Durchtrittsfläch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Durchtrittsfläche
US5656556A (en) * 1996-07-22 1997-08-12 Vanguard International Semiconductor Method for fabricating planarized borophosphosilicate glass films having low anneal temperatures
JP2001093059A (ja) 1999-09-16 2001-04-06 Applied Materials Inc ガス漏洩検知装置及び方法
CN100481308C (zh) * 2002-09-30 2009-04-22 东京毅力科创株式会社 采用具有等离子体处理系统的光学系统的装置和方法
US20080014653A1 (en) * 2006-07-13 2008-01-17 Elementum Labs, Inc. Spectral analysis system utilizing water vapor plasma
KR20090064693A (ko) * 2007-12-17 2009-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마이크로 가스 센서 및 그 제작 방법
KR20110103723A (ko) * 2010-03-15 2011-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정 모니터링 장치와, 이를 이용한 공정 모니터링 방법
US8361196B2 (en) 2010-04-09 2013-01-29 Inficon Gmbh Gas-selective membrane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US8881576B2 (en) 2010-04-09 2014-11-11 Inficon Gmbh Test device for performing leak detection at a plurality of test sites
US8756978B2 (en) * 2010-04-09 2014-06-24 Inficon Gmbh Leak detector with optical tracer gas detection
CN101865832A (zh) 2010-05-18 2010-10-20 中国地质大学(武汉) 基于介质阻挡放电低温原子化器的非色谱汞形态分析方法
US20110290006A1 (en) 2010-05-28 2011-12-01 Charles Perkins Leak test probe for use in industrial facilities
JP5557923B2 (ja) * 2010-10-21 2014-07-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ラズマ滅菌装置、プラズマ滅菌システムおよびプラズマ滅菌方法
US8970840B2 (en) * 2011-12-09 2015-03-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erosol analysis using optical spectroscopy
CN102519938B (zh) * 2011-12-13 2014-06-25 清华大学 一种基于介质阻挡放电的原子蒸气发生方法及装置
JP5948053B2 (ja) * 2011-12-26 2016-07-06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質量分析装置及び質量分析方法
US9091597B2 (en) * 2012-05-29 2015-07-2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Electrode-assisted microwave-induced plasma spectroscopy
FR2996000B1 (fr) * 2012-09-25 2014-10-17 Univ Claude Bernard Lyon Installation de mesures spectroscopiques a partir d'un plasma induit par laser
CN103149195A (zh) 2013-03-06 2013-06-12 河海大学 一种介质阻挡放电的光谱检测方法及装置
JP6088867B2 (ja) * 2013-03-15 2017-03-01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プラズマ処理装置及び分析装置
US9658106B2 (en) * 2014-05-05 2017-05-23 Tokyo Electron Limited Plasma processing apparatus and measurement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750B1 (ko) * 1993-09-30 2001-06-01 히가시 데쓰로 플라즈마처리의 종점검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606A (ko) 2018-06-26
US10782237B2 (en) 2020-09-22
WO2017064265A1 (en) 2017-04-20
EP3362780A1 (en) 2018-08-22
CN108139322B (zh) 2021-03-02
CN108139322A (zh) 2018-06-08
US20180313763A1 (en) 2018-11-01
JP2018536844A (ja) 2018-12-13
JP6929277B2 (ja) 2021-09-01
EP3362780B1 (en)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in et al. Ppb-level photoacoustic sensor system for saturation-free CO detection of SF6 decomposition by use of a 10 W fiber-amplified near-infrared diode laser
US8421470B2 (en) Discharge ionization current detector
KR102612224B1 (ko) 노출되지 않은 전극을 갖는 가스 방전 셀 내에서 추적 가스의 광학 검출
CN102956433B (zh) 质量分析装置及质量分析方法
US9791410B2 (en) Discharge ionization current detector
US8829913B2 (en) Discharge ionization current detector
JP5704065B2 (ja) 放電イオン化電流検出器
US20100327155A1 (en) Micro-plasma Illumination Device and Method
JP2012008066A (ja) 放電イオン化電流検出器
CN102859341B (zh) 可光学检测探漏气体的探漏器
US20100301870A1 (en) Flame ionization detector
Stefanović et al. Argon metastable dynamics and lifetimes in a direct current microdischarge
US9285344B2 (en) Discharge ionization current detector and gas chromatograph
JP2018536844A5 (ko)
Duluard et al. Influence of ambient air on the flowing afterglow of an atmospheric pressure Ar/O2 radiofrequency plasma
Aints et al. Absorption of photo‐ionizing radiation of corona discharges in air
Egashira et al. Optical absorption spectrum of the silver dimer ion: temperature dependence measured by photodissociation and photon-trap spectroscopy
FR2464472A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ioniser des especes chimiques, et detecteur pour identifier les especes ionisees
Chernyshov et al. Measurement of an ambient air leak by diode laser absorption spectroscopy
Lodygin et al. Dynamics of the Townsend discharge in argon
Wang et al. Determination of atomic hydrogen in non‐thermal hydrogen plasmas by means of molecular beam threshold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Yin et al. Research progress on photoacoustic SF
JP2022055645A (ja) 放電イオン化検出器およびガスクロマトグラフ分析装置
van Harskamp Poly-diagnostics on high-tech plasma sources
Spagnolo et al. Modulation cancellation method (MOCAM) in modulation spectrosco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