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364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11364B1 KR102611364B1 KR1020210115106A KR20210115106A KR102611364B1 KR 102611364 B1 KR102611364 B1 KR 102611364B1 KR 1020210115106 A KR1020210115106 A KR 1020210115106A KR 20210115106 A KR20210115106 A KR 20210115106A KR 102611364 B1 KR102611364 B1 KR 1026113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ll
- support surface
- auxiliary
- ball support
- ball roll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96 hollow spac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체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구동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과 상기 구동체의 외부면에는 상기 볼 베어링이 지지되는 제1 볼 지지면과 제2 볼 지지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볼 지지면과 상기 제2 볼 지지면이 형성하는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간격은 상기 광축 방향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차이가 있는 카메라 모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가 기본적으로 채용되고 있으며, 모바일 단말용 카메라에는 자동 초점 기능, 손떨림 보정 기능 및 줌 기능 등을 부가되고 있다.
한편, 자동 초점(AF)을 맞추기 위한 Z축 구동 방식으로 볼 타입 액츄에이터(Ball Type Actuator)를 사용하고 있으며, 복수개의 주 볼 베어링과 복수개의 보조 볼 베어링으로 구동체와 하우징을 지지하고 있다.
그런데, 구동체를 지지하는 주 볼 베어링과 보조 볼 베어링이 작동에 따라 지지하는 주 볼 베어링과 보조 볼 베어링이 바뀜에 따라 구동체에 틸트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구동체에 틸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체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구동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과 상기 구동체의 외부면에는 상기 볼 베어링이 지지되는 제1 볼 지지면과 제2 볼 지지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볼 지지면과 상기 제2 볼 지지면이 형성하는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간격은 상기 광축 방향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차이가 있다.
구동체에 틸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구동체 및 볼 베어링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볼 구름부의 평면도와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는 하우징과 구동체의 축력 작용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볼 구름부의 제1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는 볼 구름부의 제2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볼 구름부의 제3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볼 구름부의 제4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볼 구름부의 제5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볼 구름부의 제6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볼 구름부의 제7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볼 구름부의 제8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볼 구름부의 제9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볼 구름부의 제10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볼 구름부의 제11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6은 볼 구름부의 제12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7은 볼 구름부의 제13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8은 볼 구름부의 제14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9는 볼 구름부의 제15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0은 주 볼 구름부와 보조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의 경사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1은 주 볼 구름부와 보조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의 경사 및 단차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2는 보조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구동체 및 볼 베어링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볼 구름부의 평면도와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는 하우징과 구동체의 축력 작용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볼 구름부의 제1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는 볼 구름부의 제2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볼 구름부의 제3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볼 구름부의 제4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볼 구름부의 제5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볼 구름부의 제6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볼 구름부의 제7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볼 구름부의 제8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볼 구름부의 제9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볼 구름부의 제10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볼 구름부의 제11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6은 볼 구름부의 제12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7은 볼 구름부의 제13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8은 볼 구름부의 제14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9는 볼 구름부의 제15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0은 주 볼 구름부와 보조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의 경사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1은 주 볼 구름부와 보조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의 경사 및 단차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2는 보조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1)는 카메라 모듈(100)이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1)에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 모듈(100)이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100)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렌즈의 광축이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 방향[Z축 방향,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Front Surface)에서 후면(Rear Surface)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AF, Zoom 및 OIS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렌즈는 광축 방향인 Z축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구동체 및 볼 베어링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볼 구름부의 평면도와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 도 1 참조)은 하우징(120), 구동체(140) 및 볼 베어링(1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구동체(14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가진다. 한편, 하우징(12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0)과 구동체(140)는 볼 베어링(160)이 설치되는 볼 구름부(180)를 형성한다. 볼 구름부(18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일예로서, 하우징(120)의 일면에는 구동체(140)의 승강을 위한 AF용 코일(122)이 구비될 수 있다.
구동체(140)는 하우징(12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렌즈 홀더(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도록 중공을 가진다. 한편, 구동체(140)에는 AF용 코일(122)에 대향 배치되는 AF용 마그넷(142)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AF용 코일(122)과 AF용 마그넷(142)의 상호 작용에 의해 구동체(140)가 하우징(120)으로부터 승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렌즈 홀더에는 복수개의 렌즈(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렌즈는 구동체(140)의 상,하 방향, 즉 도 1의 Z축 방향으로 적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볼 베어링(160)은 복수개가 볼 구름부(180)에 지지된다. 그리고, 볼 베어링(160)은 하우징(120)과 구동체(140) 사이에 배치되어 구동체(14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예로서, 볼 베어링(160)은 하우징(120)과 구동체(140)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주 볼 베어링(162)과, 주 볼 베어링(162)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보조 볼 베어링(164)를 구비할 수 있다. 주 볼 베어링(162)은 AF용 코일(122)과 AF용 마그넷(142)의 일측면에 광축 방향으로 AF용 코일(122)과 AF용 마그넷(142)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보조 볼 베어링(164)은 AF용 코일(122)과 AF용 마그넷(142)의 타측면에 광축 방향으로 AF용 코일(122)과 AF용 마그넷(142)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일예로서, 주 볼 베어링(162)과 보조 볼 베어링(164)은 각각 2개의 제1 볼 베어링(162a,164a)과, 제1 볼 베어링(162a,164a)보다 크기가 작은 2개의 제2 볼 베어링(162b,164b)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볼 베어링(162b,164b)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제2 볼 베어링(162b,164b)의 개수도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볼 구름부(180)는 하우징(120)의 내부면과 구동체(140)의 외부면에 의해 형성된다. 일예로서, 볼 구름부(180)는 주 볼 베어링(1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182)와, 보조 볼 베어링(1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184)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180)는 하우징(1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185)과, 제1 볼 지지면(1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1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186)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주 볼 구름부(182)와 보조 볼 구름부(184)는 제1 볼 지지면(185)과 제2 볼 지지면(186)에 의해 형성된다.
일예로서, 제1 볼 지지면(185)과 제2 볼 지지면(186)이 형성하는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간격은 광축 방향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해, 보조 볼 구름부(184)의 제2 볼 지지면(186)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제1 볼 지지면(185)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볼 구름부(1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1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촉 회피부(190)가 형성된다. 그리고, 접촉 회피부(190)는 경사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볼 베어링(164) 중 하나의 제1 볼 베어링(164a)은 보조 볼 구름부(184)의 제1 볼 지지면(185)에서는 2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184)의 제2 볼 지지면(186)에서는 1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84)의 제1 볼 지지면(185)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지고, 보조 볼 구름부(184)의 제2 볼 지지면(1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182)도 제1 볼 지지면(185)과 제2 볼 지지면(1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182)의 제1 볼 지지면(185)과 제2 볼 지지면(1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162)은 주 볼 구름부(1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이와 같이, 제1,2 볼 지지면(185,186)에 지지되는 볼 베어링(160)을 의도적으로 정해줄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100)의 자세차에 따른 구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2 볼 지지면(185,186)에 접촉되는 볼 베어링(160)이 카메라 모듈(100)의 자세차에 따라 바뀌지 않을 수 있으므로 구동체(140)에 발생되는 틸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과 구동체의 축력 작용점은 1번, 2번 3번 볼 베어링의 지지 삼각형 내 위치하여 구동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3번 볼 대신 4번 볼 베어링이 하우징과 구동체에 닿게 될 경우 일부 작용점이 볼 지지 삼각형을 벗어나게 되고 지지되는 볼 베어링이 바뀜에 따라 구동체 틸트가 발생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접촉 회피부(190)가 보조 볼 구름부(184)에 구비되므로 카메라 모듈(100)의 자세와 관계없이 하우징(120)과 구동체(140)의 축력 작용점은 1번, 2번 3번 볼 베어링(160)의 지지 삼각형 내 위치하여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도면은 볼 구름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볼 구름부의 평면도와 볼 구름부의 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여 볼 구름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볼 구름부의 제1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볼 구름부(280)는 주 볼 베어링(2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282)와, 보조 볼 베어링(2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2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2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2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2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290)는 경사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280)는 하우징(2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285)과, 제1 볼 지지면(2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2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2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284)의 제1 볼 지지면(285)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보조 볼 구름부(284)의 제2 볼 지지면(286)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보조 볼 구름부(284)의 제2 볼 지지면(286)도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보조 볼 구름부(284)의 제1 볼 지지면(285)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보조 볼 베어링(264) 중 하나는 보조 볼 구름부(284)의 제1 볼 지지면(285)에서는 2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284)의 제2 볼 지지면(286)에서는 1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284)의 제1 볼 지지면(2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지고, 보조 볼 구름부(284)의 제2 볼 지지면(2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282)도 제1 볼 지지면(285)과 제2 볼 지지면(2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282)의 제1 볼 지지면(285)과 제2 볼 지지면(2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262)은 주 볼 구름부(2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이와 같이, 제1,2 볼 지지면(285,286)에 지지되는 볼 베어링(260)을 의도적으로 정해줄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100, 도 1 참조)의 자세차에 따른 구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볼 구름부(280)에 접촉되는 볼 베어링(260)이 카메라 모듈(100)의 자세차에 따라 바뀌지 않을 수 있으므로 구동체(240)에 발생되는 틸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볼 구름부의 제2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볼 구름부(380)는 주 볼 베어링(3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382)와, 보조 볼 베어링(3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3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3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3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3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390)는 단차면과 경사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380)는 하우징(3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385)과, 제1 볼 지지면(3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3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3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384)의 제1 볼 지지면(385)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타단부에서 보조 볼 구름부(384)의 제2 볼 지지면(386)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고, 보조 볼 구름부(384)의 제2 볼 지지면(386)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보조 볼 구름부(384)의 제1 볼 지지면(385)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364)은 보조 볼 구름부(384)의 제1 볼 지지면(385)에서는 2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384)의 제2 볼 지지면(386)에서는 1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384)의 제1 볼 지지면(3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지고, 보조 볼 구름부(384)의 제2 볼 지지면(3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382)도 제1 볼 지지면(385)과 제2 볼 지지면(3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382)의 제1 볼 지지면(385)과 제2 볼 지지면(3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362)은 주 볼 구름부(3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이와 같이, 제1,2 볼 지지면(385,386)에 지지되는 볼 베어링(360)을 의도적으로 정해줄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100, 도 1 참조)의 자세차에 따른 구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볼 구름부(380)에 접촉되는 볼 베어링(360)이 카메라 모듈(100)의 자세차에 따라 바뀌지 않을 수 있으므로 구동체(340)에 발생되는 틸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볼 구름부의 제3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볼 구름부(480)는 주 볼 베어링(4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482)와, 보조 볼 베어링(4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4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4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4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4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490)는 경사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480)는 하우징(4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485)과, 제1 볼 지지면(4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4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4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484)의 제1 볼 지지면(485)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보조 볼 구름부(484)의 제2 볼 지지면(486)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464)은 보조 볼 구름부(484)의 제1 볼 지지면(485)에서는 2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484)의 제2 볼 지지면(486)에서는 1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484)의 제1 볼 지지면(4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지고, 보조 볼 구름부(484)의 제2 볼 지지면(4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482)도 제1 볼 지지면(485)과 제2 볼 지지면(4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482)의 제1 볼 지지면(485)과 제2 볼 지지면(4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462)은 주 볼 구름부(4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도 8은 볼 구름부의 제4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볼 구름부(580)는 주 볼 베어링(5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582)와, 보조 볼 베어링(5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5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5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5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5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590)는 단차면과 경사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580)는 하우징(5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585)과, 제1 볼 지지면(5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5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5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584)의 제1 볼 지지면(585)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보조 볼 구름부(584)의 제2 볼 지지면(586)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보조 볼 구름부(584)의 제2 볼 지지면(586)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타단부에서 보조 볼 구름부(584)의 제1 볼 지지면(585)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564)은 보조 볼 구름부(584)의 제1 볼 지지면(585)에서는 2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584)의 제2 볼 지지면(586)에서는 1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584)의 제1 볼 지지면(5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지고, 보조 볼 구름부(584)의 제2 볼 지지면(5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582)도 제1 볼 지지면(585)과 제2 볼 지지면(5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582)의 제1 볼 지지면(585)과 제2 볼 지지면(5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562)은 주 볼 구름부(5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도 9는 볼 구름부의 제5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볼 구름부(680)는 주 볼 베어링(6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682)와, 보조 볼 베어링(6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6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6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6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6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690)는 단차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680)는 하우징(6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685)과, 제1 볼 지지면(6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6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6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684)의 제1 볼 지지면(685)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타단부에서 보조 볼 구름부(684)의 제2 볼 지지면(686)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664)은 보조 볼 구름부(684)의 제1 볼 지지면(685)에서는 2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684)의 제2 볼 지지면(686)에서는 1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684)의 제1 볼 지지면(685)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지고, 보조 볼 구름부(684)의 제2 볼 지지면(6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682)도 제1 볼 지지면(685)과 제2 볼 지지면(6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682)의 제1 볼 지지면(685)과 제2 볼 지지면(6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662)은 주 볼 구름부(6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도 10은 볼 구름부의 제6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볼 구름부(780)는 주 볼 베어링(7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782)와, 보조 볼 베어링(764)이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7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7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7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7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790)는 단차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780)는 하우징(7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785)과, 제1 볼 지지면(7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7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7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784)의 제1 볼 지지면(785)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타단부에서 보조 볼 구름부(784)의 제2 볼 지지면(786)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고, 보조 볼 구름부(784)의 제2 볼 지지면(786)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타단부에서 보조 볼 구름부(784)의 제1 볼 지지면(785)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764)은 보조 볼 구름부(784)의 제1 볼 지지면(785)에서는 2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784)의 제2 볼 지지면(786)에서는 1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784)의 제1 볼 지지면(785)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지고, 보조 볼 구름부(784)의 제2 볼 지지면(7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782)도 제1 볼 지지면(785)과 제2 볼 지지면(7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782)의 제1 볼 지지면(785)과 제2 볼 지지면(7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762)은 주 볼 구름부(7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도 11은 볼 구름부의 제7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볼 구름부(880)는 주 볼 베어링(8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882)와, 보조 볼 베어링(8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8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8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8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8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890)는 단차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880)는 하우징(8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885)과, 제1 볼 지지면(8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8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8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884)의 제2 볼 지지면(886)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타단부에서 보조 볼 구름부(884)의 제1 볼 지지면(885)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864)은 보조 볼 구름부(884)의 제1 볼 지지면(885)에서는 2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884)의 제2 볼 지지면(886)에서는 1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884)의 제1 볼 지지면(885)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지고, 보조 볼 구름부(884)의 제2 볼 지지면(8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882)도 제1 볼 지지면(885)과 제2 볼 지지면(8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882)의 제1 볼 지지면(885)과 제2 볼 지지면(8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862)은 주 볼 구름부(8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도 12는 볼 구름부의 제8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볼 구름부(980)는 주 볼 베어링(9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982)와, 보조 볼 베어링(9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9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9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9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9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990)는 경사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980)는 하우징(9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985)과, 제1 볼 지지면(9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9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9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984)의 제2 볼 지지면(986)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보조 볼 구름부(984)의 제1 볼 지지면(985)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964)은 보조 볼 구름부(984)의 제1 볼 지지면(985)에서는 1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984)의 제2 볼 지지면(986)에서는 2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984)의 제1 볼 지지면(9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보조 볼 구름부(984)의 제2 볼 지지면(9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982)도 제1 볼 지지면(985)과 제2 볼 지지면(9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982)의 제1 볼 지지면(985)과 제2 볼 지지면(9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962)은 주 볼 구름부(9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도 13은 볼 구름부의 제9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볼 구름부(1080)는 주 볼 베어링(10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1082)와, 보조 볼 베어링(10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10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10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10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10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1090)는 경사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1080)는 하우징(10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1085)과, 제1 볼 지지면(10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10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10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084)의 제1 볼 지지면(1085)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보조 볼 구름부(1084)의 제2 볼 지지면(1086)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보조 볼 구름부(1084)의 제2 볼 지지면(1086)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보조 볼 구름부(1084)의 제1 볼 지지면(1085)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1064)은 보조 볼 구름부(1084)의 제1 볼 지지면(1085)에서는 1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1084)의 제2 볼 지지면(1086)에서는 2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084)의 제1 볼 지지면(10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보조 볼 구름부(1084)의 제2 볼 지지면(10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1082)도 제1 볼 지지면(1085)과 제2 볼 지지면(10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1082)의 제1 볼 지지면(1085)과 제2 볼 지지면(10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1062)은 주 볼 구름부(10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도 14는 볼 구름부의 제10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볼 구름부(1180)는 주 볼 베어링(11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1182)와, 보조 볼 베어링(11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11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11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11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11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1190)는 단차면과 경사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1180)는 하우징(11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1185)과, 제1 볼 지지면(11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11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11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184)의 제1 볼 지지면(1185)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타단부에서 보조 볼 구름부(1184)의 제2 볼 지지면(1186)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고, 보조 볼 구름부(1184)의 제2 볼 지지면(1186)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보조 볼 구름부(1184)의 제1 볼 지지면(1185)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1164)은 보조 볼 구름부(1184)의 제1 볼 지지면(1185)에서는 1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1184)의 제2 볼 지지면(1186)에서는 2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184)의 제1 볼 지지면(11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보조 볼 구름부(1184)의 제2 볼 지지면(11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1182)도 제1 볼 지지면(1185)과 제2 볼 지지면(11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1182)의 제1 볼 지지면(1185)과 제2 볼 지지면(11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1162)은 주 볼 구름부(11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도 15는 볼 구름부의 제11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볼 구름부(1280)는 주 볼 베어링(12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1282)와, 보조 볼 베어링(12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12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12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12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12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1290)는 경사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1280)는 하우징(1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1285)과, 제1 볼 지지면(12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1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12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284)의 제1 볼 지지면(1285)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보조 볼 구름부(1284)의 제2 볼 지지면(1286)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1264)은 보조 볼 구름부(1284)의 제1 볼 지지면(1285)에서는 1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1284)의 제2 볼 지지면(1286)에서는 2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284)의 제1 볼 지지면(12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보조 볼 구름부(1284)의 제2 볼 지지면(12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1282)도 제1 볼 지지면(1285)과 제2 볼 지지면(12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1282)의 제1 볼 지지면(1285)과 제2 볼 지지면(12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1262)은 주 볼 구름부(12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도 16은 볼 구름부의 제12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볼 구름부(1380)는 주 볼 베어링(13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1382)와, 보조 볼 베어링(13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13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13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13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접촉 회피부(13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1390)는 단차면과 경사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1380)는 하우징(13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1385)과, 제1 볼 지지면(13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13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13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384)의 제1 볼 지지면(1385)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보조 볼 구름부(1384)의 제2 볼 지지면(1386)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보조 볼 구름부(1384)의 제2 볼 지지면(1386)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타단부에서 보조 볼 구름부(1384)의 제1 볼 지지면(1385)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1364)은 보조 볼 구름부(1384)의 제1 볼 지지면(1385)에서는 1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1384)의 제2 볼 지지면(1386)에서는 2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384)의 제1 볼 지지면(13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보조 볼 구름부(1384)의 제2 볼 지지면(13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1382)도 제1 볼 지지면(1385)과 제2 볼 지지면(13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1382)의 제1 볼 지지면(1385)과 제2 볼 지지면(13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1362)은 주 볼 구름부(13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도 17은 볼 구름부의 제13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7을를 참조하면, 볼 구름부(1480)는 주 볼 베어링(14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1482)와, 보조 볼 베어링(14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14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14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14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14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1490)는 단차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1480)는 하우징(14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1485)과, 제1 볼 지지면(14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14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14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484)의 제1 볼 지지면(1485)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타단부에서 보조 볼 구름부(1484)의 제2 볼 지지면(1486)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1464)은 보조 볼 구름부(1484)의 제1 볼 지지면(1485)에서는 1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1484)의 제2 볼 지지면(1486)에서는 2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484)의 제1 볼 지지면(14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보조 볼 구름부(1484)의 제2 볼 지지면(14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1482)도 제1 볼 지지면(1485)과 제2 볼 지지면(14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1482)의 제1 볼 지지면(1485)과 제2 볼 지지면(14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1462)은 주 볼 구름부(14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도 18은 볼 구름부의 제14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볼 구름부(1580)는 주 볼 베어링(15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1582)와, 보조 볼 베어링(15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15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15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15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15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1590)는 단차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1580)는 하우징(15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1585)과, 제1 볼 지지면(15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15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15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584)의 제1 볼 지지면(1585)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타단부에서 보조 볼 구름부(1584)의 제2 볼 지지면(1586)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고, 보조 볼 구름부(1584)의 제2 볼 지지면(1586)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타단부에서 보조 볼 구름부(1584)의 제1 볼 지지면(1585)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1564)은 보조 볼 구름부(1584)의 제1 볼 지지면(1585)에서는 1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1584)의 제2 볼 지지면(1586)에서는 2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584)의 제1 볼 지지면(15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보조 볼 구름부(1584)의 제2 볼 지지면(15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1582)도 제1 볼 지지면(1585)과 제2 볼 지지면(15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1582)의 제1 볼 지지면(1585)과 제2 볼 지지면(15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1562)은 주 볼 구름부(15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도 19은 볼 구름부의 제15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볼 구름부(1680)는 주 볼 베어링(16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1682)와, 보조 볼 베어링(16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16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16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16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16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1690)는 단차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1680)는 하우징(16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1685)과, 제1 볼 지지면(16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16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16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684)의 제2 볼 지지면(1686)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타단부에서 보조 볼 구름부(1684)의 제1 볼 지지면(1685)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1664)은 보조 볼 구름부(1684)의 제1 볼 지지면(1085)에서는 1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1684)의 제2 볼 지지면(1686)에서는 2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684)의 제1 볼 지지면(16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보조 볼 구름부(1684)의 제2 볼 지지면(16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1682)도 제1 볼 지지면(1685)과 제2 볼 지지면(16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1682)의 제1 볼 지지면(1685)과 제2 볼 지지면(16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1662)은 주 볼 구름부(16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주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과 제2 볼 지지면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지면서 보조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지고, 보조 볼 구름부의 제2 볼 지지면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는 경우 또는 주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과 제2 볼 지지면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지면서 보조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보조 볼 구름부의 제2 볼 지지면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주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과 제2 볼 지지면 중 어느 하나의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고, 보조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과 제2 볼 지지면의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볼 구름부를 형성하는 주 구름부와 보조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의 경사 및 단차의 측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은 주 볼 구름부와 보조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의 경사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먼저 주 볼 구름부(1782)를 형성하는 제1 볼 지지면(17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보조 볼 구름부(1784)를 형성하는 제1 볼 지지면(1785)은 종단면이 'ㅡ'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주 볼 구름부와 보조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의 경사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먼저 기준면인 하우징(1720)의 바닥면이 측정기에 안착되면 하우징(1720)의 바닥면을 원점으로 설정한다. 이때, 원점은 주 볼 구름부(1782)의 제1 볼 지지면(1785)에 대한 원점과, 보조 볼 구름부(1784)의 제1 볼 지지면(1785)에 대한 원점을 각각 설정한다.
주 볼 구름부(1782)의 제1 지지면(1785)에 대한 경사각을 측정하기 위하여 먼저 주 볼 베어링(1762)이 제1 지지면(1785)에 접촉되는 점을 연결한 두 개의 제1 접촉선(L1)을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한다. 그리고, 제1 접촉선(L1)을 따라 광축인 Z축 방향으로 0.1 mm의 간격으로 원점으로부터의 Z축 방향으로의 길이를 측정한다. 그리고, 원점과 각 측정 지점까지의 좌표를 이용하여 경사각을 계산한다. 다시 말해, 종단면이 '∧' 형상인 두 마주보는 면의 수직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때, 경사가 0인 경우 제1 지지면(1785)의 두 면은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측정된 주 볼 구름부(1782)의 제1 지지면(1785)의 경사각은 ±8.0′이내일 수 있다. 이때, 1°는 60′이다.
다음으로, 보조 볼 구름부(1784)의 제1 지지면(1785)에 대한 경사각을 측정하기 위하여 보조 볼 베어링(1764)이 제1 지지면(1785)에 접촉되는 점을 연결한 하나의 제2 접촉선(L2)을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한다. 그리고, 제2 접촉선(L2)을 따라 광축인 Z축 방향으로 0.1 mm의 간격으로 원점으로부터의 Z축 방향으로의 길이를 측정한다. 그리고, 원점과 각 측정 지점까지의 좌표를 이용하여 경사각을 계산한다. 다시 말해, 종단면이 'ㅡ' 형상인 제1 지지면(1785)의 수직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때, 경사가 0인 경우 제1 지지면(1785)은 바닥며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측정된 보조 볼 구름부(1784)의 제1 지지면(1785)의 경사각은 -8.0′~ -23′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 방향은 볼 베어링과 접촉되지 않는 방향인 볼 베어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21은 주 볼 구름부와 보조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의 경사 및 단차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22는 보조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먼저 주 볼 구름부(1882)를 형성하는 제1 볼 지지면(18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보조 볼 구름부(1884)를 형성하는 제1 볼 지지면(1885)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주 볼 구름부(1882)의 제1 볼 지지면(1885)의 경사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먼저 기준면인 하우징(1820)의 바닥면이 측정기에 안착되면 하우징(1820)의 바닥면을 원점으로 설정한다. 이때, 원점은 주 볼 구름부(1882)의 제1 볼 지지면(1885)에 대한 원점과, 보조 볼 구름부(1884)의 제1 볼 지지면(1885)에 대한 원점을 각각 설정한다.
주 볼 구름부(1882)의 제1 지지면(1885)에 대한 경사각을 측정하기 위하여 먼저 주 볼 베어링(1862)이 제1 지지면(1885)에 접촉되는 점을 연결한 두 개의 제1 접촉선(L1)을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한다. 그리고, 제1 접촉선(L1)을 따라 광축인 Z축 방향으로 0.1 mm의 간격으로 원점으로부터의 Z축 방향으로의 길이를 측정한다. 그리고, 원점과 각 측정 지점까지의 좌표를 이용하여 경사각을 계산한다. 다시 말해, 종단면이 '∧' 형상인 두 마주보는 면의 수직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때, 경사가 0인 경우 제1 지지면(1885)의 두 면은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측정된 주 볼 구름부(1882)의 제1 지지면(1885)의 경사각은 ±8.0′이내일 수 있다. 이때, 1°는 60′이다.
그리고, 보조 볼 구름부(1884)의 제1 볼 지지면(1885)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차면의 단차(d1)를 측정하기 위하여 보조 볼 베어링(1864)이 제1 지지면(1885)에 접촉되는 점을 연결한 2개의 제2 접촉선(L2)을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한다. 그리고, 제2 접촉선(L2)을 따라 광축인 Z축 방향으로 0.1 mm의 간격으로 원점으로부터의 Z축 방향으로의 길이를 측정한다. 그리고, 원점과 각 측정 지점까지의 좌표를 이용하여 단차를 계산한다. 이와 같이, 측정된 단차면의 단차(d1)는 0.01 mm ~ 0.02 mm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볼 구름부의 제1 실시예 및 변형 실시예들에서 볼 지지면(즉, 제1 볼 지지면 및/또는 제2 볼 지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 볼 지지면의 경사각은 -8.0′~ -23′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한 볼 구름부의 제1 실시예 및 변형 실시예들에서 볼 지지면(즉, 제1 볼 지지면 및/또는 제2 볼 지지면)이 단차지게 형성되는 경우 볼 지지면의 단차면의 단차는 0.01 mm ~ 0.02 mm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볼 구름부의 제1 실시예 및 변형 실시예들에서 볼 지지면(즉, 제1 볼 지지면 및/또는 제2 볼 지지면)이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경우 볼 지지면의 경사각은 ±8.0′이내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카메라 모듈
120 : 하우징
140 : 구동체
160 : 볼 베이렁
180 : 볼 구름부
190 : 접촉 회피부
120 : 하우징
140 : 구동체
160 : 볼 베이렁
180 : 볼 구름부
190 : 접촉 회피부
Claims (25)
-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체;
상기 하우징과 상기 구동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
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과 상기 구동체의 외부면에는 상기 볼 베어링이 지지되는 제1 볼 지지면과 제2 볼 지지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볼 지지면과 상기 제2 볼 지지면이 형성하는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간격은 상기 광축 방향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차이가 있는 카메라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 지지면은 상기 광축 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 지지면의 경사각은 0′내지 +8.0′이내인 카메라 모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 지지면은 상기 광축 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 지지면의 경사각은 -8.0′ 내지 0′이내인 카메라 모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 지지면은 광축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 지지면의 단차면 간의 단차는 0.01 mm ~ 0.02 mm 사이의 값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 지지면은 상기 광축 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 지지면의 경사각은 -8.0′내지 0′이내인 카메라 모듈.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 지지면은 광축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 지지면의 단차면 간의 단차는 0.01 mm ~ 0.02 mm 사이의 값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 지지면은 광축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 지지면의 단차면 간의 단차는 0.01 mm ~ 0.02 mm 사이의 값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 지지면은 광축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 지지면의 단차면 간의 단차는 0.01 mm ~ 0.02 mm 사이의 값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 지지면은 광축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 지지면의 단차면 간의 단차는 0.01 mm ~ 0.02 mm 사이의 값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볼 베어링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구동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주 볼 베어링과, 상기 주 볼 베어링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보조 볼 베어링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볼 지지면과 상기 제2 볼 지지면은 각각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주 볼 베어링이 지지되는 주 볼 구름부와, 상기 보조 볼 베어링이 지지되는 보조 볼 구름부를 형성하는 카메라 모듈.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볼 베어링은 복수개가 구비되며 적어도 2개의 상기 보조 볼 베어링이 상기 제1 볼 지지면과 상기 제2 볼 지지면에 3점 접촉하는 카메라 모듈.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보조 볼 베어링은 상기 제1 볼 지지면에 1점에서 접촉하고, 상기 제2 볼 지지면에는 2점에서 접촉하는 카메라 모듈.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보조 볼 베어링은 상기 제1 볼 지지면에 2점에서 접촉하고, 상기 제2 볼 지지면에는 1점에서 접촉하는 카메라 모듈.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주 볼 베어링은 복수개가 구비되며 적어도 2개의 상기 주 볼 베어링이 상기 제1 볼 지지면과 상기 제2 볼 지지면에 4점 접촉하는 카메라 모듈.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주 볼 구름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볼 지지면과 상기 제2 볼 지지면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상기 주 볼 구름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볼 지지면과 상기 제2 볼 지지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광축 방향에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볼 지지면의 경사각은 -8.0′ 내지 0′ 이내이고, 상기 제2볼 지지면의 경사각은 0′ 내지 +8.0′이내인 카메라 모듈.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볼 구름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볼 지지면 또는 상기 제2 볼 지지면은 종단면이 'ㅡ' 형상을 가지며, 상기 광축과 수직하게 상기 볼 베어링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 상기 제1볼 지지면 또는 상기 제2볼 지지면 사이의 경사각은 8.0′~ 23′사이의 값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볼 구름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볼 지지면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보조 볼 구름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볼 지지면이 단차지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보조 볼 구름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볼 지지면의 단차면 간의 단차는 0.01 mm ~ 0.02 mm 사이의 값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7/467,951 US11570345B2 (en) | 2020-09-25 | 2021-09-07 | Camera module |
CN202111119069.2A CN114326007A (zh) | 2020-09-25 | 2021-09-24 | 相机模块 |
CN202122324382.1U CN216351706U (zh) | 2020-09-25 | 2021-09-24 | 相机模块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4398 | 2020-09-25 | ||
KR20200124398 | 2020-09-2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1730A KR20220041730A (ko) | 2022-04-01 |
KR102611364B1 true KR102611364B1 (ko) | 2023-12-08 |
Family
ID=81183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5106A KR102611364B1 (ko) | 2020-09-25 | 2021-08-30 | 카메라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11364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083582A (ja) | 2015-10-26 | 2017-05-18 | Hoya株式会社 | 撮像装置 |
JP2017173757A (ja) | 2016-03-25 | 2017-09-28 | Hoya株式会社 | 撮像装置 |
JP2022047712A (ja) | 2020-09-14 | 2022-03-25 |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 光学モジュール保持機構,光学ユニット及び携帯型情報端末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5818B1 (ko) * | 2014-04-25 | 2016-06-01 | (주)하이소닉 |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 렌즈 이송장치 |
KR102584980B1 (ko) * | 2018-07-09 | 2023-10-05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
2021
- 2021-08-30 KR KR1020210115106A patent/KR10261136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083582A (ja) | 2015-10-26 | 2017-05-18 | Hoya株式会社 | 撮像装置 |
JP2017173757A (ja) | 2016-03-25 | 2017-09-28 | Hoya株式会社 | 撮像装置 |
JP2022047712A (ja) | 2020-09-14 | 2022-03-25 |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 光学モジュール保持機構,光学ユニット及び携帯型情報端末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1730A (ko) | 2022-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68346B2 (en) | Optical mechanism | |
CN108353115B (zh) | 具有包括反射小平面的光束偏转设备的多孔径成像设备 | |
CN113875224B (zh) | 摄像装置模块 | |
EP2860962A1 (en) |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EP4007259A1 (en) | Camera actuator | |
US10101594B2 (en) | Optical image stabilization structure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 |
KR102174152B1 (ko) | 카메라 모듈 | |
US9411077B2 (en) | Lenticular lens sheet,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20200097252A (ko) | 광학 어셈블리, 카메라 모듈과 카메라 모듈을 갖는 인텔리전트 설비 | |
WO2021032019A1 (zh) | 光学图像稳定器、光学图像稳定器系统及控制方法 | |
KR102611364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584980B1 (ko) | 카메라 모듈 | |
KR20120106559A (ko) | 렌즈 구동 장치 및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 | |
US12032279B2 (en) |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 |
US11570334B2 (en) | Lens driving device | |
US20150346587A1 (en) | Camera module | |
CN216351706U (zh) | 相机模块 | |
KR20200005879A (ko) | 카메라 모듈 | |
KR102642902B1 (ko) | 카메라 모듈 | |
CN110161604B (zh) | 反射棱镜及测量用靶 | |
KR102372640B1 (ko) |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 |
KR20220131672A (ko) | 카메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
CN114303359A (zh) | 相机致动器、包括该相机致动器的相机模块和相机设备 | |
KR20220019491A (ko) |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중간 가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액추에이터 | |
CN113267865B (zh) | 镜筒及镜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