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364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364B1
KR102611364B1 KR1020210115106A KR20210115106A KR102611364B1 KR 102611364 B1 KR102611364 B1 KR 102611364B1 KR 1020210115106 A KR1020210115106 A KR 1020210115106A KR 20210115106 A KR20210115106 A KR 20210115106A KR 102611364 B1 KR102611364 B1 KR 102611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upport surface
auxiliary
ball support
ball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1730A (ko
Inventor
박재만
강병우
임수철
이중석
이재혁
안병기
김유창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7/467,951 priority Critical patent/US11570345B2/en
Priority to CN202111119069.2A priority patent/CN114326007A/zh
Priority to CN202122324382.1U priority patent/CN216351706U/zh
Publication of KR20220041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체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구동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과 상기 구동체의 외부면에는 상기 볼 베어링이 지지되는 제1 볼 지지면과 제2 볼 지지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볼 지지면과 상기 제2 볼 지지면이 형성하는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간격은 상기 광축 방향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차이가 있는 카메라 모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가 기본적으로 채용되고 있으며, 모바일 단말용 카메라에는 자동 초점 기능, 손떨림 보정 기능 및 줌 기능 등을 부가되고 있다.
한편, 자동 초점(AF)을 맞추기 위한 Z축 구동 방식으로 볼 타입 액츄에이터(Ball Type Actuator)를 사용하고 있으며, 복수개의 주 볼 베어링과 복수개의 보조 볼 베어링으로 구동체와 하우징을 지지하고 있다.
그런데, 구동체를 지지하는 주 볼 베어링과 보조 볼 베어링이 작동에 따라 지지하는 주 볼 베어링과 보조 볼 베어링이 바뀜에 따라 구동체에 틸트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구동체에 틸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체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구동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과 상기 구동체의 외부면에는 상기 볼 베어링이 지지되는 제1 볼 지지면과 제2 볼 지지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볼 지지면과 상기 제2 볼 지지면이 형성하는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간격은 상기 광축 방향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차이가 있다.
구동체에 틸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구동체 및 볼 베어링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볼 구름부의 평면도와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4는 하우징과 구동체의 축력 작용점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볼 구름부의 제1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는 볼 구름부의 제2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볼 구름부의 제3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볼 구름부의 제4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볼 구름부의 제5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볼 구름부의 제6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볼 구름부의 제7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볼 구름부의 제8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볼 구름부의 제9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볼 구름부의 제10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볼 구름부의 제11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6은 볼 구름부의 제12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7은 볼 구름부의 제13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8은 볼 구름부의 제14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9는 볼 구름부의 제15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0은 주 볼 구름부와 보조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의 경사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1은 주 볼 구름부와 보조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의 경사 및 단차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2는 보조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1)는 카메라 모듈(100)이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1)에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 모듈(100)이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100)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렌즈의 광축이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 방향[Z축 방향,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Front Surface)에서 후면(Rear Surface)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AF, Zoom 및 OIS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렌즈는 광축 방향인 Z축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구동체 및 볼 베어링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볼 구름부의 평면도와 횡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 도 1 참조)은 하우징(120), 구동체(140) 및 볼 베어링(1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구동체(14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가진다. 한편, 하우징(12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0)과 구동체(140)는 볼 베어링(160)이 설치되는 볼 구름부(180)를 형성한다. 볼 구름부(18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일예로서, 하우징(120)의 일면에는 구동체(140)의 승강을 위한 AF용 코일(122)이 구비될 수 있다.
구동체(140)는 하우징(12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렌즈 홀더(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도록 중공을 가진다. 한편, 구동체(140)에는 AF용 코일(122)에 대향 배치되는 AF용 마그넷(142)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AF용 코일(122)과 AF용 마그넷(142)의 상호 작용에 의해 구동체(140)가 하우징(120)으로부터 승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렌즈 홀더에는 복수개의 렌즈(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렌즈는 구동체(140)의 상,하 방향, 즉 도 1의 Z축 방향으로 적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볼 베어링(160)은 복수개가 볼 구름부(180)에 지지된다. 그리고, 볼 베어링(160)은 하우징(120)과 구동체(140) 사이에 배치되어 구동체(14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예로서, 볼 베어링(160)은 하우징(120)과 구동체(140)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주 볼 베어링(162)과, 주 볼 베어링(162)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보조 볼 베어링(164)를 구비할 수 있다. 주 볼 베어링(162)은 AF용 코일(122)과 AF용 마그넷(142)의 일측면에 광축 방향으로 AF용 코일(122)과 AF용 마그넷(142)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보조 볼 베어링(164)은 AF용 코일(122)과 AF용 마그넷(142)의 타측면에 광축 방향으로 AF용 코일(122)과 AF용 마그넷(142)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일예로서, 주 볼 베어링(162)과 보조 볼 베어링(164)은 각각 2개의 제1 볼 베어링(162a,164a)과, 제1 볼 베어링(162a,164a)보다 크기가 작은 2개의 제2 볼 베어링(162b,164b)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볼 베어링(162b,164b)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제2 볼 베어링(162b,164b)의 개수도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볼 구름부(180)는 하우징(120)의 내부면과 구동체(140)의 외부면에 의해 형성된다. 일예로서, 볼 구름부(180)는 주 볼 베어링(1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182)와, 보조 볼 베어링(1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184)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180)는 하우징(1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185)과, 제1 볼 지지면(1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1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186)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주 볼 구름부(182)와 보조 볼 구름부(184)는 제1 볼 지지면(185)과 제2 볼 지지면(186)에 의해 형성된다.
일예로서, 제1 볼 지지면(185)과 제2 볼 지지면(186)이 형성하는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간격은 광축 방향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해, 보조 볼 구름부(184)의 제2 볼 지지면(186)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제1 볼 지지면(185)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볼 구름부(1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1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촉 회피부(190)가 형성된다. 그리고, 접촉 회피부(190)는 경사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볼 베어링(164) 중 하나의 제1 볼 베어링(164a)은 보조 볼 구름부(184)의 제1 볼 지지면(185)에서는 2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184)의 제2 볼 지지면(186)에서는 1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84)의 제1 볼 지지면(185)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지고, 보조 볼 구름부(184)의 제2 볼 지지면(1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182)도 제1 볼 지지면(185)과 제2 볼 지지면(1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182)의 제1 볼 지지면(185)과 제2 볼 지지면(1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162)은 주 볼 구름부(1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이와 같이, 제1,2 볼 지지면(185,186)에 지지되는 볼 베어링(160)을 의도적으로 정해줄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100)의 자세차에 따른 구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2 볼 지지면(185,186)에 접촉되는 볼 베어링(160)이 카메라 모듈(100)의 자세차에 따라 바뀌지 않을 수 있으므로 구동체(140)에 발생되는 틸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과 구동체의 축력 작용점은 1번, 2번 3번 볼 베어링의 지지 삼각형 내 위치하여 구동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3번 볼 대신 4번 볼 베어링이 하우징과 구동체에 닿게 될 경우 일부 작용점이 볼 지지 삼각형을 벗어나게 되고 지지되는 볼 베어링이 바뀜에 따라 구동체 틸트가 발생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접촉 회피부(190)가 보조 볼 구름부(184)에 구비되므로 카메라 모듈(100)의 자세와 관계없이 하우징(120)과 구동체(140)의 축력 작용점은 1번, 2번 3번 볼 베어링(160)의 지지 삼각형 내 위치하여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도면은 볼 구름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볼 구름부의 평면도와 볼 구름부의 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여 볼 구름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볼 구름부의 제1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볼 구름부(280)는 주 볼 베어링(2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282)와, 보조 볼 베어링(2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2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2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2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2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290)는 경사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280)는 하우징(2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285)과, 제1 볼 지지면(2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2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2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284)의 제1 볼 지지면(285)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보조 볼 구름부(284)의 제2 볼 지지면(286)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보조 볼 구름부(284)의 제2 볼 지지면(286)도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보조 볼 구름부(284)의 제1 볼 지지면(285)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보조 볼 베어링(264) 중 하나는 보조 볼 구름부(284)의 제1 볼 지지면(285)에서는 2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284)의 제2 볼 지지면(286)에서는 1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284)의 제1 볼 지지면(2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지고, 보조 볼 구름부(284)의 제2 볼 지지면(2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282)도 제1 볼 지지면(285)과 제2 볼 지지면(2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282)의 제1 볼 지지면(285)과 제2 볼 지지면(2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262)은 주 볼 구름부(2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이와 같이, 제1,2 볼 지지면(285,286)에 지지되는 볼 베어링(260)을 의도적으로 정해줄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100, 도 1 참조)의 자세차에 따른 구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볼 구름부(280)에 접촉되는 볼 베어링(260)이 카메라 모듈(100)의 자세차에 따라 바뀌지 않을 수 있으므로 구동체(240)에 발생되는 틸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볼 구름부의 제2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볼 구름부(380)는 주 볼 베어링(3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382)와, 보조 볼 베어링(3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3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3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3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3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390)는 단차면과 경사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380)는 하우징(3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385)과, 제1 볼 지지면(3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3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3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384)의 제1 볼 지지면(385)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타단부에서 보조 볼 구름부(384)의 제2 볼 지지면(386)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고, 보조 볼 구름부(384)의 제2 볼 지지면(386)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보조 볼 구름부(384)의 제1 볼 지지면(385)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364)은 보조 볼 구름부(384)의 제1 볼 지지면(385)에서는 2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384)의 제2 볼 지지면(386)에서는 1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384)의 제1 볼 지지면(3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지고, 보조 볼 구름부(384)의 제2 볼 지지면(3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382)도 제1 볼 지지면(385)과 제2 볼 지지면(3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382)의 제1 볼 지지면(385)과 제2 볼 지지면(3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362)은 주 볼 구름부(3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이와 같이, 제1,2 볼 지지면(385,386)에 지지되는 볼 베어링(360)을 의도적으로 정해줄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100, 도 1 참조)의 자세차에 따른 구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볼 구름부(380)에 접촉되는 볼 베어링(360)이 카메라 모듈(100)의 자세차에 따라 바뀌지 않을 수 있으므로 구동체(340)에 발생되는 틸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볼 구름부의 제3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볼 구름부(480)는 주 볼 베어링(4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482)와, 보조 볼 베어링(4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4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4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4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4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490)는 경사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480)는 하우징(4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485)과, 제1 볼 지지면(4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4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4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484)의 제1 볼 지지면(485)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보조 볼 구름부(484)의 제2 볼 지지면(486)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464)은 보조 볼 구름부(484)의 제1 볼 지지면(485)에서는 2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484)의 제2 볼 지지면(486)에서는 1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484)의 제1 볼 지지면(4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지고, 보조 볼 구름부(484)의 제2 볼 지지면(4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482)도 제1 볼 지지면(485)과 제2 볼 지지면(4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482)의 제1 볼 지지면(485)과 제2 볼 지지면(4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462)은 주 볼 구름부(4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도 8은 볼 구름부의 제4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볼 구름부(580)는 주 볼 베어링(5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582)와, 보조 볼 베어링(5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5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5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5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5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590)는 단차면과 경사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580)는 하우징(5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585)과, 제1 볼 지지면(5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5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5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584)의 제1 볼 지지면(585)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보조 볼 구름부(584)의 제2 볼 지지면(586)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보조 볼 구름부(584)의 제2 볼 지지면(586)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타단부에서 보조 볼 구름부(584)의 제1 볼 지지면(585)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564)은 보조 볼 구름부(584)의 제1 볼 지지면(585)에서는 2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584)의 제2 볼 지지면(586)에서는 1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584)의 제1 볼 지지면(5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지고, 보조 볼 구름부(584)의 제2 볼 지지면(5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582)도 제1 볼 지지면(585)과 제2 볼 지지면(5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582)의 제1 볼 지지면(585)과 제2 볼 지지면(5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562)은 주 볼 구름부(5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도 9는 볼 구름부의 제5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볼 구름부(680)는 주 볼 베어링(6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682)와, 보조 볼 베어링(6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6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6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6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6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690)는 단차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680)는 하우징(6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685)과, 제1 볼 지지면(6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6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6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684)의 제1 볼 지지면(685)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타단부에서 보조 볼 구름부(684)의 제2 볼 지지면(686)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664)은 보조 볼 구름부(684)의 제1 볼 지지면(685)에서는 2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684)의 제2 볼 지지면(686)에서는 1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684)의 제1 볼 지지면(685)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지고, 보조 볼 구름부(684)의 제2 볼 지지면(6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682)도 제1 볼 지지면(685)과 제2 볼 지지면(6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682)의 제1 볼 지지면(685)과 제2 볼 지지면(6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662)은 주 볼 구름부(6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도 10은 볼 구름부의 제6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볼 구름부(780)는 주 볼 베어링(7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782)와, 보조 볼 베어링(764)이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7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7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7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7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790)는 단차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780)는 하우징(7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785)과, 제1 볼 지지면(7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7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7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784)의 제1 볼 지지면(785)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타단부에서 보조 볼 구름부(784)의 제2 볼 지지면(786)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고, 보조 볼 구름부(784)의 제2 볼 지지면(786)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타단부에서 보조 볼 구름부(784)의 제1 볼 지지면(785)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764)은 보조 볼 구름부(784)의 제1 볼 지지면(785)에서는 2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784)의 제2 볼 지지면(786)에서는 1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784)의 제1 볼 지지면(785)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지고, 보조 볼 구름부(784)의 제2 볼 지지면(7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782)도 제1 볼 지지면(785)과 제2 볼 지지면(7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782)의 제1 볼 지지면(785)과 제2 볼 지지면(7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762)은 주 볼 구름부(7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도 11은 볼 구름부의 제7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볼 구름부(880)는 주 볼 베어링(8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882)와, 보조 볼 베어링(8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8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8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8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8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890)는 단차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880)는 하우징(8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885)과, 제1 볼 지지면(8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8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8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884)의 제2 볼 지지면(886)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타단부에서 보조 볼 구름부(884)의 제1 볼 지지면(885)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864)은 보조 볼 구름부(884)의 제1 볼 지지면(885)에서는 2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884)의 제2 볼 지지면(886)에서는 1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884)의 제1 볼 지지면(885)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지고, 보조 볼 구름부(884)의 제2 볼 지지면(8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882)도 제1 볼 지지면(885)과 제2 볼 지지면(8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882)의 제1 볼 지지면(885)과 제2 볼 지지면(8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862)은 주 볼 구름부(8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도 12는 볼 구름부의 제8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볼 구름부(980)는 주 볼 베어링(9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982)와, 보조 볼 베어링(9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9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9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9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9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990)는 경사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980)는 하우징(9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985)과, 제1 볼 지지면(9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9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9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984)의 제2 볼 지지면(986)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보조 볼 구름부(984)의 제1 볼 지지면(985)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964)은 보조 볼 구름부(984)의 제1 볼 지지면(985)에서는 1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984)의 제2 볼 지지면(986)에서는 2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984)의 제1 볼 지지면(9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보조 볼 구름부(984)의 제2 볼 지지면(9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982)도 제1 볼 지지면(985)과 제2 볼 지지면(9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982)의 제1 볼 지지면(985)과 제2 볼 지지면(9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962)은 주 볼 구름부(9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도 13은 볼 구름부의 제9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볼 구름부(1080)는 주 볼 베어링(10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1082)와, 보조 볼 베어링(10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10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10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10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10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1090)는 경사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1080)는 하우징(10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1085)과, 제1 볼 지지면(10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10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10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084)의 제1 볼 지지면(1085)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보조 볼 구름부(1084)의 제2 볼 지지면(1086)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보조 볼 구름부(1084)의 제2 볼 지지면(1086)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보조 볼 구름부(1084)의 제1 볼 지지면(1085)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1064)은 보조 볼 구름부(1084)의 제1 볼 지지면(1085)에서는 1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1084)의 제2 볼 지지면(1086)에서는 2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084)의 제1 볼 지지면(10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보조 볼 구름부(1084)의 제2 볼 지지면(10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1082)도 제1 볼 지지면(1085)과 제2 볼 지지면(10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1082)의 제1 볼 지지면(1085)과 제2 볼 지지면(10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1062)은 주 볼 구름부(10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도 14는 볼 구름부의 제10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볼 구름부(1180)는 주 볼 베어링(11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1182)와, 보조 볼 베어링(11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11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11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11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11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1190)는 단차면과 경사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1180)는 하우징(11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1185)과, 제1 볼 지지면(11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11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11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184)의 제1 볼 지지면(1185)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타단부에서 보조 볼 구름부(1184)의 제2 볼 지지면(1186)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고, 보조 볼 구름부(1184)의 제2 볼 지지면(1186)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보조 볼 구름부(1184)의 제1 볼 지지면(1185)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1164)은 보조 볼 구름부(1184)의 제1 볼 지지면(1185)에서는 1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1184)의 제2 볼 지지면(1186)에서는 2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184)의 제1 볼 지지면(11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보조 볼 구름부(1184)의 제2 볼 지지면(11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1182)도 제1 볼 지지면(1185)과 제2 볼 지지면(11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1182)의 제1 볼 지지면(1185)과 제2 볼 지지면(11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1162)은 주 볼 구름부(11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도 15는 볼 구름부의 제11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볼 구름부(1280)는 주 볼 베어링(12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1282)와, 보조 볼 베어링(12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12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12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12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12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1290)는 경사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1280)는 하우징(1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1285)과, 제1 볼 지지면(12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1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12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284)의 제1 볼 지지면(1285)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보조 볼 구름부(1284)의 제2 볼 지지면(1286)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1264)은 보조 볼 구름부(1284)의 제1 볼 지지면(1285)에서는 1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1284)의 제2 볼 지지면(1286)에서는 2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284)의 제1 볼 지지면(12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보조 볼 구름부(1284)의 제2 볼 지지면(12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1282)도 제1 볼 지지면(1285)과 제2 볼 지지면(12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1282)의 제1 볼 지지면(1285)과 제2 볼 지지면(12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1262)은 주 볼 구름부(12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도 16은 볼 구름부의 제12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볼 구름부(1380)는 주 볼 베어링(13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1382)와, 보조 볼 베어링(13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13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13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13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접촉 회피부(13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1390)는 단차면과 경사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1380)는 하우징(13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1385)과, 제1 볼 지지면(13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13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13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384)의 제1 볼 지지면(1385)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보조 볼 구름부(1384)의 제2 볼 지지면(1386)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보조 볼 구름부(1384)의 제2 볼 지지면(1386)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타단부에서 보조 볼 구름부(1384)의 제1 볼 지지면(1385)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1364)은 보조 볼 구름부(1384)의 제1 볼 지지면(1385)에서는 1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1384)의 제2 볼 지지면(1386)에서는 2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384)의 제1 볼 지지면(13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보조 볼 구름부(1384)의 제2 볼 지지면(13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1382)도 제1 볼 지지면(1385)과 제2 볼 지지면(13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1382)의 제1 볼 지지면(1385)과 제2 볼 지지면(13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1362)은 주 볼 구름부(13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도 17은 볼 구름부의 제13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7을를 참조하면, 볼 구름부(1480)는 주 볼 베어링(14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1482)와, 보조 볼 베어링(14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14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14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14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14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1490)는 단차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1480)는 하우징(14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1485)과, 제1 볼 지지면(14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14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14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484)의 제1 볼 지지면(1485)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타단부에서 보조 볼 구름부(1484)의 제2 볼 지지면(1486)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1464)은 보조 볼 구름부(1484)의 제1 볼 지지면(1485)에서는 1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1484)의 제2 볼 지지면(1486)에서는 2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484)의 제1 볼 지지면(14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보조 볼 구름부(1484)의 제2 볼 지지면(14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1482)도 제1 볼 지지면(1485)과 제2 볼 지지면(14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1482)의 제1 볼 지지면(1485)과 제2 볼 지지면(14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1462)은 주 볼 구름부(14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도 18은 볼 구름부의 제14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볼 구름부(1580)는 주 볼 베어링(15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1582)와, 보조 볼 베어링(15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15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15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15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15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1590)는 단차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1580)는 하우징(15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1585)과, 제1 볼 지지면(15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15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15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584)의 제1 볼 지지면(1585)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타단부에서 보조 볼 구름부(1584)의 제2 볼 지지면(1586)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고, 보조 볼 구름부(1584)의 제2 볼 지지면(1586)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타단부에서 보조 볼 구름부(1584)의 제1 볼 지지면(1585)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1564)은 보조 볼 구름부(1584)의 제1 볼 지지면(1585)에서는 1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1584)의 제2 볼 지지면(1586)에서는 2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584)의 제1 볼 지지면(15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보조 볼 구름부(1584)의 제2 볼 지지면(15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1582)도 제1 볼 지지면(1585)과 제2 볼 지지면(15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1582)의 제1 볼 지지면(1585)과 제2 볼 지지면(15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1562)은 주 볼 구름부(15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도 19은 볼 구름부의 제15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볼 구름부(1680)는 주 볼 베어링(1662)이 설치되는 주 볼 구름부(1682)와, 보조 볼 베어링(1664)가 설치되는 보조 볼 구름부(168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볼 구름부(1680)에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1660)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간격이 넓은 접촉 회피부(1690)가 형성된다. 접촉 회피부(1690)는 단차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볼 구름부(1680)는 하우징(1620)에 구비되는 제1 볼 지지면(1685)과, 제1 볼 지지면(1685)에 대향 배치되며 구동체(1640)에 구비되는 제2 볼 지지면(1686)을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684)의 제2 볼 지지면(1686)은 광축 방향(즉, Z축 방향)으로 일단부보다 타단부에서 보조 볼 구름부(1684)의 제1 볼 지지면(1685)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된다. 일예로서, 보조 볼 베어링(1664)은 보조 볼 구름부(1684)의 제1 볼 지지면(1085)에서는 1점에서 접촉하고 보조 볼 구름부(1684)의 제2 볼 지지면(1686)에서는 2점에서 접촉한다. 일예로서, 보조 볼 구름부(1684)의 제1 볼 지지면(16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보조 볼 구름부(1684)의 제2 볼 지지면(16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주 볼 구름부(1682)도 제1 볼 지지면(1685)과 제2 볼 지지면(1686)을 구비하며, 주 볼 구름부(1682)의 제1 볼 지지면(1685)과 제2 볼 지지면(1686)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진다. 이에 따라, 주 볼 베어링(1662)은 주 볼 구름부(1682)에 4점에서 접촉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주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과 제2 볼 지지면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지면서 보조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지고, 보조 볼 구름부의 제2 볼 지지면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는 경우 또는 주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과 제2 볼 지지면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지면서 보조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보조 볼 구름부의 제2 볼 지지면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주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과 제2 볼 지지면 중 어느 하나의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고, 보조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과 제2 볼 지지면의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사이각이 90도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볼 구름부를 형성하는 주 구름부와 보조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의 경사 및 단차의 측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은 주 볼 구름부와 보조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의 경사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먼저 주 볼 구름부(1782)를 형성하는 제1 볼 지지면(17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보조 볼 구름부(1784)를 형성하는 제1 볼 지지면(1785)은 종단면이 'ㅡ'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주 볼 구름부와 보조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의 경사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먼저 기준면인 하우징(1720)의 바닥면이 측정기에 안착되면 하우징(1720)의 바닥면을 원점으로 설정한다. 이때, 원점은 주 볼 구름부(1782)의 제1 볼 지지면(1785)에 대한 원점과, 보조 볼 구름부(1784)의 제1 볼 지지면(1785)에 대한 원점을 각각 설정한다.
주 볼 구름부(1782)의 제1 지지면(1785)에 대한 경사각을 측정하기 위하여 먼저 주 볼 베어링(1762)이 제1 지지면(1785)에 접촉되는 점을 연결한 두 개의 제1 접촉선(L1)을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한다. 그리고, 제1 접촉선(L1)을 따라 광축인 Z축 방향으로 0.1 mm의 간격으로 원점으로부터의 Z축 방향으로의 길이를 측정한다. 그리고, 원점과 각 측정 지점까지의 좌표를 이용하여 경사각을 계산한다. 다시 말해, 종단면이 '∧' 형상인 두 마주보는 면의 수직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때, 경사가 0인 경우 제1 지지면(1785)의 두 면은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측정된 주 볼 구름부(1782)의 제1 지지면(1785)의 경사각은 ±8.0′이내일 수 있다. 이때, 1°는 60′이다.
다음으로, 보조 볼 구름부(1784)의 제1 지지면(1785)에 대한 경사각을 측정하기 위하여 보조 볼 베어링(1764)이 제1 지지면(1785)에 접촉되는 점을 연결한 하나의 제2 접촉선(L2)을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한다. 그리고, 제2 접촉선(L2)을 따라 광축인 Z축 방향으로 0.1 mm의 간격으로 원점으로부터의 Z축 방향으로의 길이를 측정한다. 그리고, 원점과 각 측정 지점까지의 좌표를 이용하여 경사각을 계산한다. 다시 말해, 종단면이 'ㅡ' 형상인 제1 지지면(1785)의 수직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때, 경사가 0인 경우 제1 지지면(1785)은 바닥며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측정된 보조 볼 구름부(1784)의 제1 지지면(1785)의 경사각은 -8.0′~ -23′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 방향은 볼 베어링과 접촉되지 않는 방향인 볼 베어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21은 주 볼 구름부와 보조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의 경사 및 단차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22는 보조 볼 구름부의 제1 볼 지지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먼저 주 볼 구름부(1882)를 형성하는 제1 볼 지지면(1885)는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보조 볼 구름부(1884)를 형성하는 제1 볼 지지면(1885)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주 볼 구름부(1882)의 제1 볼 지지면(1885)의 경사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먼저 기준면인 하우징(1820)의 바닥면이 측정기에 안착되면 하우징(1820)의 바닥면을 원점으로 설정한다. 이때, 원점은 주 볼 구름부(1882)의 제1 볼 지지면(1885)에 대한 원점과, 보조 볼 구름부(1884)의 제1 볼 지지면(1885)에 대한 원점을 각각 설정한다.
주 볼 구름부(1882)의 제1 지지면(1885)에 대한 경사각을 측정하기 위하여 먼저 주 볼 베어링(1862)이 제1 지지면(1885)에 접촉되는 점을 연결한 두 개의 제1 접촉선(L1)을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한다. 그리고, 제1 접촉선(L1)을 따라 광축인 Z축 방향으로 0.1 mm의 간격으로 원점으로부터의 Z축 방향으로의 길이를 측정한다. 그리고, 원점과 각 측정 지점까지의 좌표를 이용하여 경사각을 계산한다. 다시 말해, 종단면이 '∧' 형상인 두 마주보는 면의 수직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때, 경사가 0인 경우 제1 지지면(1885)의 두 면은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측정된 주 볼 구름부(1882)의 제1 지지면(1885)의 경사각은 ±8.0′이내일 수 있다. 이때, 1°는 60′이다.
그리고, 보조 볼 구름부(1884)의 제1 볼 지지면(1885)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차면의 단차(d1)를 측정하기 위하여 보조 볼 베어링(1864)이 제1 지지면(1885)에 접촉되는 점을 연결한 2개의 제2 접촉선(L2)을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한다. 그리고, 제2 접촉선(L2)을 따라 광축인 Z축 방향으로 0.1 mm의 간격으로 원점으로부터의 Z축 방향으로의 길이를 측정한다. 그리고, 원점과 각 측정 지점까지의 좌표를 이용하여 단차를 계산한다. 이와 같이, 측정된 단차면의 단차(d1)는 0.01 mm ~ 0.02 mm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볼 구름부의 제1 실시예 및 변형 실시예들에서 볼 지지면(즉, 제1 볼 지지면 및/또는 제2 볼 지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 볼 지지면의 경사각은 -8.0′~ -23′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한 볼 구름부의 제1 실시예 및 변형 실시예들에서 볼 지지면(즉, 제1 볼 지지면 및/또는 제2 볼 지지면)이 단차지게 형성되는 경우 볼 지지면의 단차면의 단차는 0.01 mm ~ 0.02 mm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볼 구름부의 제1 실시예 및 변형 실시예들에서 볼 지지면(즉, 제1 볼 지지면 및/또는 제2 볼 지지면)이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경우 볼 지지면의 경사각은 ±8.0′이내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카메라 모듈
120 : 하우징
140 : 구동체
160 : 볼 베이렁
180 : 볼 구름부
190 : 접촉 회피부

Claims (25)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체;
    상기 하우징과 상기 구동체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볼 베어링;
    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과 상기 구동체의 외부면에는 상기 볼 베어링이 지지되는 제1 볼 지지면과 제2 볼 지지면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볼 지지면과 상기 제2 볼 지지면이 형성하는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간격은 상기 광축 방향 일단부와 타단부에서 차이가 있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 지지면은 상기 광축 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 지지면의 경사각은 0′내지 +8.0′이내인 카메라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 지지면은 상기 광축 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 지지면의 경사각은 -8.0′ 내지 0′이내인 카메라 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 지지면은 광축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 지지면의 단차면 간의 단차는 0.01 mm ~ 0.02 mm 사이의 값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 지지면은 상기 광축 방향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 지지면의 경사각은 -8.0′내지 0′이내인 카메라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 지지면은 광축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 지지면의 단차면 간의 단차는 0.01 mm ~ 0.02 mm 사이의 값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 지지면은 광축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볼 지지면의 단차면 간의 단차는 0.01 mm ~ 0.02 mm 사이의 값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 지지면은 광축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 지지면의 단차면 간의 단차는 0.01 mm ~ 0.02 mm 사이의 값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 지지면은 광축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볼 지지면의 단차면 간의 단차는 0.01 mm ~ 0.02 mm 사이의 값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볼 베어링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구동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주 볼 베어링과, 상기 주 볼 베어링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보조 볼 베어링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볼 지지면과 상기 제2 볼 지지면은 각각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주 볼 베어링이 지지되는 주 볼 구름부와, 상기 보조 볼 베어링이 지지되는 보조 볼 구름부를 형성하는 카메라 모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볼 베어링은 복수개가 구비되며 적어도 2개의 상기 보조 볼 베어링이 상기 제1 볼 지지면과 상기 제2 볼 지지면에 3점 접촉하는 카메라 모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보조 볼 베어링은 상기 제1 볼 지지면에 1점에서 접촉하고, 상기 제2 볼 지지면에는 2점에서 접촉하는 카메라 모듈.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보조 볼 베어링은 상기 제1 볼 지지면에 2점에서 접촉하고, 상기 제2 볼 지지면에는 1점에서 접촉하는 카메라 모듈.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주 볼 베어링은 복수개가 구비되며 적어도 2개의 상기 주 볼 베어링이 상기 제1 볼 지지면과 상기 제2 볼 지지면에 4점 접촉하는 카메라 모듈.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주 볼 구름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볼 지지면과 상기 제2 볼 지지면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상기 주 볼 구름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볼 지지면과 상기 제2 볼 지지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광축 방향에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볼 지지면의 경사각은 -8.0′ 내지 0′ 이내이고, 상기 제2볼 지지면의 경사각은 0′ 내지 +8.0′이내인 카메라 모듈.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볼 구름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볼 지지면 또는 상기 제2 볼 지지면은 종단면이 'ㅡ' 형상을 가지며, 상기 광축과 수직하게 상기 볼 베어링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 상기 제1볼 지지면 또는 상기 제2볼 지지면 사이의 경사각은 8.0′~ 23′사이의 값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볼 구름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볼 지지면은 종단면이 '∧'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보조 볼 구름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볼 지지면이 단차지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보조 볼 구름부를 형성하는 상기 제1 볼 지지면의 단차면 간의 단차는 0.01 mm ~ 0.02 mm 사이의 값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KR1020210115106A 2020-09-25 2021-08-30 카메라 모듈 KR102611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467,951 US11570345B2 (en) 2020-09-25 2021-09-07 Camera module
CN202111119069.2A CN114326007A (zh) 2020-09-25 2021-09-24 相机模块
CN202122324382.1U CN216351706U (zh) 2020-09-25 2021-09-24 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398 2020-09-25
KR20200124398 2020-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730A KR20220041730A (ko) 2022-04-01
KR102611364B1 true KR102611364B1 (ko) 2023-12-08

Family

ID=81183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106A KR102611364B1 (ko) 2020-09-25 2021-08-30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3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83582A (ja) 2015-10-26 2017-05-18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17173757A (ja) 2016-03-25 2017-09-28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22047712A (ja) 2020-09-14 2022-03-25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光学モジュール保持機構,光学ユニット及び携帯型情報端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818B1 (ko) * 2014-04-25 2016-06-01 (주)하이소닉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의 렌즈 이송장치
KR102584980B1 (ko) * 2018-07-09 2023-10-0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83582A (ja) 2015-10-26 2017-05-18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17173757A (ja) 2016-03-25 2017-09-28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22047712A (ja) 2020-09-14 2022-03-25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光学モジュール保持機構,光学ユニット及び携帯型情報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730A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8346B2 (en) Optical mechanism
CN108353115B (zh) 具有包括反射小平面的光束偏转设备的多孔径成像设备
CN113875224B (zh) 摄像装置模块
EP2860962A1 (en)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EP4007259A1 (en) Camera actuator
US10101594B2 (en) Optical image stabilization structure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102174152B1 (ko) 카메라 모듈
US9411077B2 (en) Lenticular lens sheet,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200097252A (ko) 광학 어셈블리, 카메라 모듈과 카메라 모듈을 갖는 인텔리전트 설비
WO2021032019A1 (zh) 光学图像稳定器、光学图像稳定器系统及控制方法
KR102611364B1 (ko) 카메라 모듈
KR102584980B1 (ko) 카메라 모듈
KR20120106559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렌즈 구동 장치의 제조 방법
US12032279B2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US11570334B2 (en) Lens driving device
US20150346587A1 (en) Camera module
CN216351706U (zh) 相机模块
KR20200005879A (ko) 카메라 모듈
KR102642902B1 (ko) 카메라 모듈
CN110161604B (zh) 反射棱镜及测量用靶
KR102372640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20220131672A (ko) 카메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14303359A (zh) 相机致动器、包括该相机致动器的相机模块和相机设备
KR20220019491A (ko) 카메라 액추에이터의 중간 가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액추에이터
CN113267865B (zh) 镜筒及镜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