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111B1 - 휴대성이 우수하며 맥주 부산물을 이용한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휴대성이 우수하며 맥주 부산물을 이용한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111B1
KR102611111B1 KR1020210147130A KR20210147130A KR102611111B1 KR 102611111 B1 KR102611111 B1 KR 102611111B1 KR 1020210147130 A KR1020210147130 A KR 1020210147130A KR 20210147130 A KR20210147130 A KR 20210147130A KR 102611111 B1 KR102611111 B1 KR 102611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r
skin
products
hair
cleans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7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2150A (ko
Inventor
강병철
이설희
김예원
김서희
이가은
신다빈
이수진
손영웅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47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111B1/ko
Publication of KR20230062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 함량이 5중량% 미만인 맥주 부산물; 및 상기 맥주 부산물을 감싸 내부에 보관하기 위한 생분해성 포장재를 포함하는 휴대성이 우수하며 맥주 부산물을 이용한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종래 맥주 제조 과정에서 폐기되어, 다량의 폐기물로 이용되는 맥주 부산물을 이용하여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로 이용하는 것으로, 폐기물의 감소와 친환경 소재만을 이용한 세정제 조성물로, 휴대가 간편하고, 피부 세정 또는 모발 세정 용도로 이용할 수 있으며, 천연 소재를 활용하여 피부 자극이 없고, 피부 세정 효과가 우수하며, 샴푸로 사용 시에도 세정력이 우수하다.
또한, 맥주 부산물에 포함된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베타글루칸 등 좋은 성분을 이용하여 세정력을 높이고, 피부 또는 모발에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성이 우수하며 맥주 부산물을 이용한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Cleanser composition for skin or hair with excellent portability and using beer by-products}
본 발명은 휴대성이 우수하며 맥주 부산물을 이용한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맥주박은 맥주제조의 주원료인 맥 주보리를 발아시켜 당화시킨 후, 당화액을 분리한 후의 부산물로서, 보리낱알(barley grain)에 맥아를 첨가하여 맥아즙(wort)을 얻고, 이를 가공하여 맥주생산을 하고 남은 잔여물로서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맥주박은 저렴한 가격에 비하여 많은 양이 식이섬유와 필수아미노산을 함유하는 등의 영양적인 가치가 높아서, 식품뿐만 아니라 가축사료로 이용가치가 높다.
이러한 맥주박은 저렴한 가격에 비하여 많은 양의 식이섬유와 필수아미노산을 함유하는 등의 영양적인 가치가 높아서, 식품뿐만 아니라 가축 사료로 이용가치가 높다.
실제 맥주박을 첨가한 사료를 먹인 가축에서 우유 생산 량이 늘었다는 보고가 있으며, 쌀겨만을 먹인 생선에 비하여 맥주박을 첨가한 사료를 먹인 생선의 체중 증가량이 높다는 보고가 있다.
맥주박은 특히, 프로락틴(prolactin) 호르몬과 같은 최유성(lactogenic) 성장 호르몬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서, 예전부터 양과 소의 성장, 체중 증가 및 양질의 우유 생산을 위하여 사용되어 왔다.
또한, 식용에 관한 연구로 맥주박을 이용한 빵, 프레이크(flakes), 비스킷 등 제빵 산업에서 상업적인 가치가 연구되고 있으며, 실제 식품으로의 이용에는 빵과 쿠키에 맥주박을 첨가함으로서, 이전보다 더 좋은 맛을 보였고, 임상 실험 결과 체내의 지질 및 콜레스테롤 감소, 변비 개선 등의 효과를 나타냈다.
이처럼 맥주박은 고 식이섬유를 제공하는 원료로써 식이에 혼합하였을 때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식품 원료 로서 여러 분야로의 응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맥주박은 높은 수분 함량과 복잡한 성분 등의 이유로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미생물의 반응으로 급격히 상할 수 있기 때문에 폐기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국내에서는 상기 맥주박을 가축의 사료로 사용하거나, 맥주박을 폐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맥주박에 포함된 많은 성분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허 문헌 1) KR 10-1285057 B1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성이 우수하며 맥주 부산물을 이용한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맥주 제조 과정에서 폐기되어, 다량의 폐기물로 이용되는 맥주 부산물을 이용하여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로 이용하는 것으로, 폐기물의 감소와 친환경 소재만을 이용한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가 간편하고, 피부 세정 또는 모발 세정 용도로 이용할 수 있으며, 천연 소재를 활용하여 피부 자극이 없고, 피부 세정 효과가 우수하며, 샴푸로 사용 시에도 세정력이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맥주 부산물에 포함된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베타글루칸 등 좋은 성분을 이용하여 세정력을 높이고, 피부 또는 모발에 제공될 수 있는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성이 우수하며 맥주 부산물을 이용한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은 수분 함량이 5중량% 미만인 맥주 부산물; 및 상기 맥주 부산물을 감싸 내부에 보관하기 위한 생분해성 포장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맥주 부산물은 맥주발효 과정에서 발생하는 맥아 껍질(husk pericarp)과 씨껍질(seed coa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맥주 부산물은 수분 함량을 낮추기 위해, 데시케이터를 이용하여 30 내지 4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건조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포장재는 전분, 물, 식초 및 글리세린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포장재는 전분, 물, 식초 및 글리세린을 1:5:1:2 내지 3:11:1:6의 비율로 혼합하고, 60 내지 100℃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가열한 후, 15 내지 25℃에서 1일 내지 3일 동안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피부 세안제는 상기 휴대성이 우수하며 맥주 부산물을 이용한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샴푸는 상기 휴대성이 우수하며 맥주 부산물을 이용한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휴대성이 우수하며 맥주 부산물을 이용한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은 수분 함량이 5중량% 미만인 맥주 부산물; 및 상기 맥주 부산물을 감싸 내부에 보관하기 위한 생분해성 포장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맥주 부산물은 맥주 양조 부산물 중 85중량%를 차지하는 부산물로 유럽에서만 연간 약 340만톤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맥주박은 높은 수분 함량과 복잡한 성분 등의 이유로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미생물의 반응으로 급격히 상할 수 있기 때문에 폐기물로 인식되고 있다.
상기 맥주 부산물은 약 20%의 단백질과 70%의 섬유질을 포함하고 있어 상업적 용도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특히, 맥주 부산물은 항산화와 항암 기능을 하는 페놀화합물과 지방과 콜레스테롤 배출에 도움이 되는 섬유질이 풍부해 이런 성분을 활용하기 위해 최근에 주목을 받고 있다.
상기 맥주 부산물은 맥아 껍질(husk pericarp)과 씨껍질(seed coat)을 포함하며, 여기에는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지질, 단백질 등이 풍부하다.
특히, 단백질과 섬유질이 풍부한데, 일반적으로 15중량% 내지 25중량% 수준의 단백질 함량을 갖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풍부한 단백질은 호르데인(hordein)으로 약 43%를 차지하고 있으며, 글루테린(glutelin)이 21.5중량%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필수 아미노산(essetial amino acid)과 비필수 아미노산(nonessential amino acid)이 풍부하다.
최근 몇년 간 발아된 맥아로 만드는 음식(GBF; Germinated Barley Foodstuff)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고, 맥주 부산물이 글루타민이 풍부한 단백질과 식이섬유가 풍부한 제품을 얻기 위해 갈아서 체에 걸어서 사용했다고 한다.
또한, 맥주 부산물은 엽산(folic acid),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티아민(thiamine), 콜린(choline), 판테톤산(pantothenic acid), 리보플라빈(riboflavin), 피리독신(pyridoxine)과 같은 비타민이 풍부하다. 상기 비타민들은 광합성을 하는 식물들에게서만 합성되는 것으로 항산화 효과를 갖는 물질들이다.
 또한, 맥주 부산물에는 다량의 미네랄이 포함되어 있으며, 가장 많은 미네랄은 칼슘(3,600mg/kg), 마그네슘(1,900mg/kg), 인(6,000mg/kg), 소듐(137mg/kg) 등이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다.
이렇게 영양적으로 우수한 맥주 부산물이 매년 굉장히 많은 양이 나오고 있으며, 그 중 극소수만 가축 사료 등으로 활용되고 나머지는 그냥 버려지고 있다.
맥주 부산물이 많은 영양 성분을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활용되지 못하는 것은, 높은 수분 함량과 복잡한 성분 등의 이유이며, 미생물의 반응으로 급격히 상할 수 있기 때문에 폐기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로 상기 맥주 부산물을 이용하고자 한다.
상기 맥주 부산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백질, 섬유질이 풍부하고, 비타민 및 미네랄을 다수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좋은 성분을 이용하여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로 이용하는 경우, 높은 수준의 세정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피부 및 모발에 좋은 성분을 제공할 수 있어 피부 개선 효과 및 모발 개선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천연 성분을 이용하는 것으로, 피부 자극이 없어 다양한 사람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세정제 조성물로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맥주 부산물은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미생물의 반응에 의해 쉽게 부패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맥주 부산물의 수분 함량을 낮춰 장시간 유통 등에 의해 부패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수분 함량을 전체 중량 대비 5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도록 맥주 부산물을 건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체 중량 대비 수분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인 경우는 수분 함량이 적어 미생물의 번식에 의한 맥주 부산물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분 함량을 낮추기 위한 건조 공정은 데시케이터를 이용하여 30 내지 4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건조하는 것이다. 상기 건조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하는 것이며, 이후 이산화질소를 이용하여 과냉각 후 분말화한다.
상기 분말화된 맥주 부산물은 생분해성 포장재를 이용하여 감싸 휴대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분말화된 맥주 부산물은 피부 세정제 또는 모발 세정제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부 및 모발에 좋은 성분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분말화된 맥주 부산물은 그 자체만으로도 우수한 피부 세정 효과 및 모발 세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피부 세정 효과 및 모발 세정 효과를 높이기 위해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추출물은 동결 건조된 후 분말 형태로 소량 포함되며, 맥주 부산물과 혼합 사용에 의해 구성 성분 간의 상승 작용으로 보다 우수한 피부 세정 효과 및 모발 세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천연 추출물은 애기수영(Rumex acetosella L.) 추출물 및 두메부추 추출물이다.
상기 애기수영(Rumex acetosella L.)은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길가나 빈터에서 자란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벋으면서 번식하고,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가 20 내지 50cm이고 털 모양의 돌기가 있으며 모가 난 세로줄이 있고 자줏빛이 돌며 잎과 더불어 신맛이 난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뭉쳐나고 잎자루가 길며 창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 부분에 귀 같은 돌기가 좌우로 퍼진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뿌리에서 나온 잎과 모양이 같으나 크기가 작다. 꽃은 암수딴그루이고 5 내지 6월에 붉은빛이 도는 녹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수꽃은 지름이 3mm이고 꽃받침조각과 수술이 각각 6개이다. 암꽃은 수꽃보다 작고 꽃받침조각이 6개이며 암술이 1개이고 3개로 갈라진 암술대와 잘게 갈라진 암술머리가 있다. 열매는 수과이고 길이 2mm의 타원 모양이며 갈색이고 3개의 모가 난 줄이 있다.
상기 애기수영(Rumex acetosella L.)의 뿌리는 산모(酸模), 잎은 산모엽(酸模葉)이라하며 약용으로 사용된다. 뿌리에는 탄닌(tannin), 크리소파네인(chrysophanein) 및 히페린(hyperin)이 함유되어 있으며, 청열, 이뇨, 양열, 살충의 효능이 있으며, 열리, 임병, 소변불통, 노폐, 토혈, 악창 및 개선을 다스릴 수 있다.
상기 애기수영(Rumex acetosella L.)의 잎은 비텍신(vitexin), 히페린(hyperin), 비올라잔틴(violaxanthin) 및 비타민 C 63mg%, 탄닌(tannin) 17.3-36.7%가 함유되어 있고 경엽(莖葉)에는 수산칼슘, 주석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외용하면 창종, 창독을 해소하는 효능이 있으며 개선을 치료할 수 있다.
상기 두메부추(Allium senescens)는 흔히 알려진 부추와 마찬가지로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외떡잎식물로서 주로 울릉도 및 북부지방을 중심으로 분포한다. 비늘줄기는 달걀 모양의 타원형으로 외피가 얇은 막질이며 섬유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두메부추는 잎이 두껍고 육질이 풍부하여 수분과 정유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한방에서는 따뜻한 성질의 식물로 분류하여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식용뿐만 아니라 약용으로 해독과 소화불량에 두메부추를 활용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항산화물질로 알려진 폴리페놀(Polyphenol) 성분을 다량 함유한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현대인의 최대 관심사인 노화방지에 탁월한 효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상기 천연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하기와 같다.
구체적으로, 건조한 천연물을 분쇄하는 단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물을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시료를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재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물을 이용하여 침출시키는 단계; 및 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천연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천연 추출물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침출법 및 환류 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천연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들을 순차적으로 시료에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도 있다.
상기 환류 추출법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및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및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얻은 후에는 동결건조한다.
상기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은 수분 함량이 5중량% 미만인 맥주 부산물을 100%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맥주 부산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애기수영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및 두메부추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혼합하여 사용 시, 구성 성분 간의 상승 작용으로 인해 높은 피부 세정 효과 및 모발 세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포장재는 분말인 맥주 부산물을 감싸 내부에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생분해성 포장재는 전분, 물, 식초 및 글리세린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전분, 물, 식초 및 글리세린을 1:5:1:2 내지 3:11:1:6의 비율로 혼합하고, 60 내지 100℃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가열한 후, 15 내지 25℃에서 1일 내지 3일 동안 건조하여 제조한 것이다.
상기 전분, 물, 식초 및 글리세린은 2:8:1:4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고, 60 내지 80℃에서 40 내지 60분 동안 가열하여 점성이 높은 상태로 제조하고, 이를 15 내지 25℃의 상온에서 2일 동안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포장재는 물에 쉽게 녹아, 내부의 맥주 부산물을 세정제 조성물로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즉, 생분해성 포장재는 내부의 맥주 부산물을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물에 쉽게 분해되고, 전분, 물, 식초 및 글리세린은 맥주 부산물과 함께 피부 세정 또는 모발 세정 효과를 높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포장재는 내부에 1 내지 10g의 맥주 부산물을 담아 포장되는 것으로, 완전히 건조된 생분해성 포장재로 완전히 감싸게 포장한 후, 앞서 60 내지 80℃에서 40 내지 60분 동안 가열하여 점성이 높은 상태를 접착제처럼 발라 밀봉할 수 있다.
즉, 생분해성 포장재 자체는 완전히 건조된 상태로 포장 시, 완전히 밀봉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전분, 물, 식초 및 글리세린을 혼합하고 가열하여 점성이 높은 상태로 제조된 것을 접착제처럼 이용하여 접착이 필요한 부분에 발라 포장재를 완전히 밀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사진이다.
왼쪽 사진은 생분해성 포장재를 이용하여 밀봉하기 전의 모습이며, 오른쪽은 밀봉된 상태의 모습이다.
오른쪽과 같은 밀봉된 형태를 이용하여 피부 세정 또는 모발 세정에 이용하는 것으로, 물에 쉽게 생분해성 포장재가 녹아 내부의 분말이 세정제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포장재는 내부의 맥주 부산물과 마찬가지로 모두 친환경 소재만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맥주 제조 과정에서 폐기되어, 다량의 폐기물로 이용되는 맥주 부산물을 이용하여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로 이용하는 것으로, 폐기물의 감소와 친환경 소재만을 이용한 세정제 조성물로, 휴대가 간편하고, 피부 세정 또는 모발 세정 용도로 이용할 수 있으며, 천연 소재를 활용하여 피부 자극이 없고, 피부 세정 효과가 우수하며, 샴푸로 사용 시에도 세정력이 우수하다.
또한, 맥주 부산물에 포함된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베타글루칸 등 좋은 성분을 이용하여 세정력을 높이고, 피부 또는 모발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성이 우수하며 맥주 부산물을 이용한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세정 효과를 확인한 실험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샴푸로 이용 시, 모발 세정 효과를 확인한 실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천연 추출물의 제조
애기수영 어린순을 세척 및 건조하고, 분쇄한 뒤 추출 용매인 증류수를 1:10(w:v)의 비율로 가한 다음 완전히 침지 시킨 후, 80℃에서 환류시키면서 3시간씩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Whatman No. 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액은 동결 건조하고, 분말 시료로 제조하였다.
두메부추 추출물의 제조
상기 애기수영 추출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두메부추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맥주 부산물은 데시케이터에 넣고 30 내지 40℃에서 2시간 동안 건조시켜 건조하고, 이산화질소를 이용하여 과냉각 후 분말화하였다.
천연 추출물과의 혼합은 하기 표 1과 같은 방식으로 혼합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맥주 부산물 100 100 100 100 100 100
애기수영 - 5 - 0.5 3 10
두메부추 - - 5 0.5 3 10
(단위 중량부)제조예 3
생분해성 포장재의 제조
전분, 물, 식초 및 글리세린을 10:40:5:20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고, 60 내지 80℃에서 교반시키며 가열하였다. 점도가 높아져 진득한 상태로 변화되면, 15 내지 25℃에서 2일 동안 건조하여 생분해성 포장재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세정제 조성물을 5g씩 계량하고, 생분해성 포장재를 이용하여 밀봉하였다. 밀봉 시 접착 부분은 전분, 물, 식초 및 글리세린을 가열하여 제조한 진득한 상태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접착하였다.
실험예 1
피부 세정 효과 실험
피부 세정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피부에 립스틱을 도포하고, 실시예 1 내지 6의 세정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세정 효과를 실험하였다.
동등한 조건 하에서 세정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10초 동안 물로 세척하고, 이후, 생분해성 포장재로 감싼 세정제 조성물을 물에 녹인 후 립스틱이 도포된 부분을 30초 동안 닦아낸 후, 흐르는 물에 세정제 조성물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한 후, 립스틱의 제거 정도를 통해 세정 효과를 확인하였다.
세정 효과는 육안으로 립스틱이 존재하는 정도를 통해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피부 세정
도 2는 세정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으로, 실시예 1은 거의 립스틱이 제거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피부 세정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반복 실험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미세하게 립스틱이 남은 것을 육안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내지 4의 경우에는 실시예 1에 비해 세정 효과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실시예 5 및 6은 일정 함량 이상의 천연 추출물이 포함된 것으로, 생분해성 포장재로 감싼 세정제 조성물을 물에 녹인 후 립스틱이 도포된 부분을 닦아 내는 동안 이미 육안으로 립스틱이 모두 지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모발 세정 효과 실험
모발 세정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모발용 왁스를 바르고 여러 가닥의 가발을 비벼 꼬인 형태로 만든 후, 물로 1차 세척 후, 생분해성 포장재로 감싼 세정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세정한 후, 동일하게 드라이기를 이용하여 완전 건조시켜 모발 세정 효과를 확인하였다.
모발 세정 정도는 가발의 꼬임이 풀어지는 지 여부 및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었는지 여부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피부 세정
도 3은 모발 세정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 실험 결과 실시예 1 내지 4는 모발용 왁스는 완전히 제거된 상태로 확인되었으나, 모발의 꼬임이 완전히 풀어지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실시예 5 및 6은 왁스도 완전히 제거되고, 모발의 꼬임 또한 완전히 풀어진 상태로 우수한 모발 세정 효과를 나타냈다.
실험예 3
관능 평가
상기 실험예 1 및 2의 실험의 진행과 동시에 피부 보습 효과와 향 등을 통해 관능 평가를 동시에 진행하였다.
실험예 1에 참여한 1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피부 보습 효과, 피부 세정 효과 및 잔존하는 향 등을 종합하여 5점 만점의 평가를 요청하였으며, 실험예 2의 경우 가발에 잔존하는 향을 통해 12명의 학생에게 관능 평가를 요청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피부 관능 평가 4 3.5 3.5 3.5 4.5 2
모발 관능 평가 4 4 4 4 4 2
상기 실험 결과, 잔존하는 향으로만 평가되는 모발 관능 평가의 경우에는, 실시예 1 내지 5에서 유사한 평가 결과가 나타난 반면, 실시예 6의 경우에는 기호도가 낮은 냄새로 인해 낮은 평가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피부 관능 평가에서도 실시예 1 내지 5는 유사한 수준의 평가가 나타났나, 실시예 5에서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하고 잔존하는 향이 거의 없는 무(無)향의 세정제로 이용될 수 있다는 평가가 다수 존재하였다.
다만, 실시예 6은 미세하지만, 기호도가 낮은 냄새가 나서 기호도가 떨어지는 것을 평가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수분 함량이 5중량% 미만인 맥주 부산물;
    애기수영 추출물 및 두메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추출물; 및
    상기 맥주 부산물을 감싸 내부에 보관하기 위한 생분해성 포장재를 포함하는
    휴대성이 우수하며 맥주 부산물을 이용한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맥주 부산물은 맥주발효 과정에서 발생하는 맥아 껍질(husk pericarp)과 씨껍질(seed coat)을 포함하는
    휴대성이 우수하며 맥주 부산물을 이용한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맥주 부산물은 수분 함량을 낮추기 위해, 데시케이터를 이용하여 30 내지 4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건조하는 것인
    휴대성이 우수하며 맥주 부산물을 이용한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포장재는 전분, 물, 식초 및 글리세린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인
    휴대성이 우수하며 맥주 부산물을 이용한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포장재는 전분, 물, 식초 및 글리세린을 1:5:1:2 내지 3:11:1:6의 비율로 혼합하고, 60 내지 100℃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가열한 후, 15 내지 25℃에서 1일 내지 3일 동안 건조하여 제조한 것인
    휴대성이 우수하며 맥주 부산물을 이용한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휴대용 피부 세안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휴대용 샴푸.
KR1020210147130A 2021-10-29 2021-10-29 휴대성이 우수하며 맥주 부산물을 이용한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KR102611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130A KR102611111B1 (ko) 2021-10-29 2021-10-29 휴대성이 우수하며 맥주 부산물을 이용한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130A KR102611111B1 (ko) 2021-10-29 2021-10-29 휴대성이 우수하며 맥주 부산물을 이용한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150A KR20230062150A (ko) 2023-05-09
KR102611111B1 true KR102611111B1 (ko) 2023-12-06

Family

ID=86409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7130A KR102611111B1 (ko) 2021-10-29 2021-10-29 휴대성이 우수하며 맥주 부산물을 이용한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11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057B1 (ko) 2012-02-03 2013-07-10 정종엽 맥주 부산물을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및 그 비누
US10641307B2 (en) * 2017-02-20 2020-05-05 The Boeing Company Radiused lead-in for interference fit fasteners
KR20200110088A (ko) * 2019-03-15 2020-09-23 김민수 캡슐형 세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150A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lasubramanian et al. Postharvest processing and benefits of black pepper, coriander, cinnamon, fenugreek, and turmeric spices
CN105602715B (zh) 一种油茶籽冷榨制油工艺
Hegde Sesame
CN106804941A (zh) 一种用于改善生猪肉质的猪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757699B1 (ko) 황칠을 이용한 쌀국수 제조방법 및 쌀국수
KR20190014491A (ko) 천연성분을 이용한 모발자극 완화 조성물
KR102340831B1 (ko) 마를 함유한 칡 혼합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2611111B1 (ko) 휴대성이 우수하며 맥주 부산물을 이용한 피부 또는 모발용 세정제 조성물
CN107593990A (zh) 一种辣木红茶的制备方法
KR101911237B1 (ko) 백하수오를 이용한 건강 기정떡 및 그 제조방법
CN103947716A (zh) 一种葡萄籽蛋白米糕及其加工方法
KR102263365B1 (ko) 식물성 고기
CN103828895B (zh) 一种茶油米皮及加工方法
KR20190008739A (ko) 식품과 한약재를 이용한 경구용 환형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31907B1 (ko) 함초를 함유한 함초파우더 및 그 제조방법
KR101912064B1 (ko) 함초를 함유한 기능성 미용비누 및 그 제조방법
CN105341941A (zh) 一种开胃营养食品及其制作方法
KR20170011069A (ko) 시금치를 이용한 건강차 및 그 제조방법
CN101119642A (zh) 预防紫外线损伤的口服组合物
CN103829162B (zh) 一种谷油米皮及加工方法
KR102055940B1 (ko) 팥을 이용한 팩 조성물
CN103828897A (zh) 一种谷油米麸及加工方法
KR101926824B1 (ko) 품질이 향상된 단풍 떡 제조 방법
KR102547623B1 (ko) 메리골드 김부각 및 그 제조방법
KR102414113B1 (ko) 흰찹쌀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 트리트먼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