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619B1 -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 - Google Patents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619B1
KR102610619B1 KR1020230086454A KR20230086454A KR102610619B1 KR 102610619 B1 KR102610619 B1 KR 102610619B1 KR 1020230086454 A KR1020230086454 A KR 1020230086454A KR 20230086454 A KR20230086454 A KR 20230086454A KR 102610619 B1 KR102610619 B1 KR 102610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ound
speaker
sound
mid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6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윤성
Original Assignee
배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윤성 filed Critical 배윤성
Priority to KR1020230086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6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6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6Supports for loudspeaker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5Transducer mountings or cabinet supports enabling variable orientation of transducer of cabin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0~150Hz의 저주파 음향을 관객석을 향해 토출하는 저주파 음향스피커; 150Hz~5Khz 중주파 음향을 관객석을 향해 토출하는 중주파 음향스피커; 5~20KHz의 고주파 음향을 LED 스크린을 향해 토출하여 LED 스크린에 반사되는 고주파 음향을 관객석에 제공하는 고주파 음향스피커; 상기 저주파 음향스피커, 상기 중주파 음향스피커 또는 상기 고주파 음향스피커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구동부; 상기 저주파 음향스피커, 상기 중주파 음향스피커 또는 상기 고주파 음향스피커를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직구동부; 상기 관객석에 관객이 착석되는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착석감지센서; 상기 관객석에서 감지되는 음향을 측정하여 저주파 음향, 중주파 음향 또는 고주파 음향의 감지량을 전송하는 음향감지센서; 및 상기 저주파 음향스피커, 상기 중주파 음향스피커 또는 상기 고주파 음향스피커에서 송출되는 음량과, 상기 음향감지센서에서 측정되는 음량의 차이를 비교하여 최적의 음향이 감지되는 상기 관객석 범위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되는 최적의 음향이 감지되는 상기 객석과 관객이 주로 착석한 상기 객석의 위치가 설정치 이상 멀게 위치되면 상기 수평구동부 또는 상기 수직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저주파 음향스피커, 상기 중주파 음향스피커 또는 상기 고주파 음향스피커의 송출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 {Sound system for LED screening}
본 발명은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주파 스피커, 중주파 스피커 및 고주파 스피커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관람객의 위치에 따라 최적의 음향을 느낄 수 있는 위치를 관람객이 가장 많이 위치한 지점으로 조절할 수 있어 최적의 음향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린의 배면측에 배치된 스피커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이 스크린을 투과하여 스크린의 표시면측에서 청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 스피커 시스템이 있고, 이러한 스피커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크린은 투과형 스크린이라고 칭해진다.
투과형 스크린에는, 예를 들어 음향의 투과 구멍으로서 다수의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투과형 스크린이 사용된 스피커 시스템에 있어서는, 배면측에 배치된 스피커 장치로부터 출력된 음향이, 시청자에 있어서 마치 표시면에서 출력되는 것처럼 인식되므로 시청자에 있어서는, 표시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표시 위치와 음향의 출력 위치가 정합되어 위화감이 없는 쾌적한 시청 상태가 확보된다.
그런데 근년, 영상이나 화상은 액정 디스플레이나 발광 다이오드(LED)가 광원으로서 사용된 LED 디스플레이 등에 의해 표시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예를 들어 영화관 등의 극장에 있어서도 표시 장치로서, 이러한 디스플레이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들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음향의 투과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스피커 장치가 디스플레이의 외주보다 외측의 위치에 배치되고, 영상의 표시 위치와 음향의 출력 위치가 정합되지 않고 시청자에 있어서 쾌적한 시청 상태가 확보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피커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은,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을 투영한 투영면의 범위 외에 배치되어 실 음원으로서 기능하는 스피커 장치와, 스피커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반사하는 반사면을 갖고 투영면의 범위 내에 가상 음원을 음상 정위시키는 반사체를 구비하고, 반사체는 반사면의 적어도 일부가 타원 반사면으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06973호(2022년 08월 01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스피커 시스템 및 음향의 출력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은, 타원 방사면을 구비하는 반사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저주파 스피커, 중주파 스피커 및 고주파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음역의 스피커에 따라 최적의 음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할 수 없어 관람객의 위치에 따른 최적의 음향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저주파 스피커, 중주파 스피커 및 고주파 스피커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관람객의 위치에 따라 최적의 음향을 느낄 수 있는 위치를 관람객이 가장 많이 위치한 지점으로 조절할 수 있어 최적의 음향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30~150Hz의 저주파 음향을 관객석을 향해 토출하는 저주파 음향스피커; 150Hz~5Khz 중주파 음향을 관객석을 향해 토출하는 중주파 음향스피커; 5~20KHz의 고주파 음향을 LED 스크린을 향해 토출하여 LED 스크린에 반사되는 고주파 음향을 관객석에 제공하는 고주파 음향스피커; 상기 저주파 음향스피커, 상기 중주파 음향스피커 또는 상기 고주파 음향스피커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구동부; 상기 저주파 음향스피커, 상기 중주파 음향스피커 또는 상기 고주파 음향스피커를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직구동부; 상기 관객석에 관객이 착석되는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착석감지센서; 상기 관객석에서 감지되는 음향을 측정하여 저주파 음향, 중주파 음향 또는 고주파 음향의 감지량을 전송하는 음향감지센서; 및 상기 저주파 음향스피커, 상기 중주파 음향스피커 또는 상기 고주파 음향스피커에서 송출되는 음량과, 상기 음향감지센서에서 측정되는 음량의 차이를 비교하여 최적의 음향이 감지되는 상기 관객석 범위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되는 최적의 음향이 감지되는 상기 객석과 관객이 주로 착석한 상기 객석의 위치가 설정치 이상 멀게 위치되면 상기 수평구동부 또는 상기 수직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저주파 음향스피커, 상기 중주파 음향스피커 또는 상기 고주파 음향스피커의 송출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평구동부는, 상기 저주파 음향스피커, 상기 중주파 음향스피커 또는 상기 고주파 음향스피커가 지지되는 회전축에 설치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에 기어연결되는 주동기어가 출력축에 설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직구동부는, 상기 저주파 음향스피커, 상기 중주파 음향스피커 또는 상기 고주파 음향스피커가 안착되는 회전플레이트가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홈부를 이루고, 상기 저주파 음향스피커, 상기 중주파 음향스피커 또는 상기 고주파 음향스피커 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블록이 상기 홈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블록을 밀거나 당기는 구동실린더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은, 관람객이 착석한 좌석을 감지하는 착석감지센서와, 각각의 좌석에서 음향을 감지하여 최적의 음향이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음향감지센서가 구비되므로 상영관의 티켓이 매진되지 않아 상영관의 일부분에만 관람객이 착석한 상황에서는 관람객이 주로 착석된 좌석 측으로 저주파 음향, 중주파 음향 및 고주파 음향이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고, 관람객이 위치한 좌석으로 최적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어 관람객의 몰입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은, 스피커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구동부가 설치되고, 스피커를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직구동부가 구비되므로 관람객이 주로 착석되어 있는 위치가 감지되면 수평구동부 및 수직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저주파 음향스피커, 중주파 음향스피커 및 고주파 음향스피커의 방향을 조절하면서 관람객이 주로 착석된 위치에 최적의 음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의 수평구동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의 수직구동부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의 수직구동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의 수평구동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의 수직구동부가 도시된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의 수직구동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은, 30~150Hz의 저주파 음향을 관객석을 향해 토출하는 저주파 음향스피터(14)와, 150Hz~5Khz 중주파 음향을 관객석을 향해 토출하는 중주파 음향스피터(16)와, 5~20KHz의 고주파 음향을 LED 스크린을 향해 토출하여 LED 스크린에 반사되는 고주파 음향을 관객석에 제공하는 고주파 음향스피터(18)와, 저주파 음향스피터(14), 중주파 음향스피터(16) 또는 고주파 음향스피터(18)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구동부(50)와, 저주파 음향스피터(14), 중주파 음향스피터(16) 또는 고주파 음향스피터(18)를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직구동부(70)와, 관객석에 관객이 착석되는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착석감지센서(10)와, 관객석에서 감지되는 음향을 측정하여 저주파 음향, 중주파 음향 또는 고주파 음향의 감지량을 전송하는 음향감지센서(12)와, 저주파 음향스피터(14), 중주파 음향스피터(16) 또는 고주파 음향스피터(18)에서 송출되는 음량, 및 음향감지센서(12)에서 측정되는 음량의 차이를 비교하여 최적의 음향이 감지되는 관객석 범위를 판단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100)에서 판단되는 최적의 음향이 감지되는 객석과 관객이 주로 착석한 객석의 위치가 설정치 이상 멀게 위치되면 수평구동부(50) 또는 수직구동부(70)에 구동신호를 송신하여 저주파 음향스피터(14), 중주파 음향스피터(16) 또는 고주파 음향스피터(18)의 송출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수평구동부(50)는, 저주파 음향스피터(14), 중주파 음향스피터(16) 또는 고주파 음향스피터(18)가 지지되는 회전축(52)에 설치되는 종동기어(56)와, 종동기어(56)에 기어연결되는 주동기어(54)가 출력축에 설치되는 구동부(5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구동부(57)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감속하여 주동기어(54)를 통해 전달하는 감속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100)로부터 구동신호가 송신되면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고, 감속기를 통과하면서 감속된 동력이 주동기어(54) 및 종동기어(56)를 통해 회전축(52)에 전달되므로 회전축(52)에 의해 지지되는 저주파 음향스피터(14) 또는 중주파 음향스피터(16)가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고주파 음향스피터(18)는, 상영관의 천장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30)에 설치되고, 본 실시예의 지지대(30)에는 회전플레이트(51) 및 회전축(52)이 연결되어 고주파 음향스피터(18)도 저주파 음향스피터(14) 또는 중주파 음향스피터(16)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제어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고주파 음향스피터(18)는, 지지대(30)가 직접 고주파 음향스피터(18)에 연결되어 지지대(30)가 회전되면서 고주파 음향스피터(18)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수직구동부(70)는, 저주파 음향스피터(14), 중주파 음향스피터(16) 또는 고주파 음향스피터(18)가 안착되는 회전플레이트(51)가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홈부와, 저주파 음향스피터(14), 중주파 음향스피터(16) 또는 고주파 음향스피터(18) 저면에 형성되어 홈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블록(72)과, 가이드블록(72)을 밀거나 당기도록 설치되는 구동실린더(7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블록(72)에는 가이드홈부(76)가 형성되고, 홈부에는 가이드홈부(76)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레일(74)이 형성된다.
따라서 구동실린더(78)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 가이드블록(72)이 홈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스피커의 하단이 상측으로 들리면서 스피커의 음향 토출방향이 상측으로 틸트디고, 구동실린더(78)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면 가이드블록(72)이 역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스피크의 송출방향이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스피커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실린더(78)의 작동에 의해 스피커가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저주파 음향스피터(14), 중주파 음향스피터(16) 및 고주파 음향스피터(18)로부터 송출되는 음향이 관객이 주로 않은 객석에 최적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저주파 스피커, 중주파 스피커 및 고주파 스피커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관람객의 위치에 따라 최적의 음향을 느낄 수 있는 위치를 관람객이 가장 많이 위치한 지점으로 조절할 수 있어 최적의 음향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착석감지센서 12 : 음향감지센서
14 : 저주파 음향스피커 16 : 중주파 음향스피커
18 : 고주파 음향스피커 30 : 지지대
50 : 수평구동부 51 : 회전플레이트
52 : 회전축 54 : 주동기어
56 : 종동기어 57 : 구동부
58 : 모터 59 : 감속기
70 : 수직구동부 72 : 가이드블록
74 : 가이드레일 76 : 가이드홈부
78 : 구동실린더 100 : 제어부

Claims (3)

  1. 30~150Hz의 저주파 음향을 관객석을 향해 토출하는 저주파 음향스피커;
    150Hz~5Khz 중주파 음향을 관객석을 향해 토출하는 중주파 음향스피커;
    5~20KHz의 고주파 음향을 LED 스크린을 향해 토출하여 LED 스크린에 반사되는 고주파 음향을 관객석에 제공하는 고주파 음향스피커;
    상기 저주파 음향스피커, 상기 중주파 음향스피커 또는 상기 고주파 음향스피커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구동부;
    상기 저주파 음향스피커, 상기 중주파 음향스피커 또는 상기 고주파 음향스피커를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직구동부;
    상기 관객석에 관객이 착석되는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착석감지센서;
    상기 관객석에서 감지되는 음향을 측정하여 저주파 음향, 중주파 음향 또는 고주파 음향의 감지량을 전송하는 음향감지센서; 및
    상기 저주파 음향스피커, 상기 중주파 음향스피커 또는 상기 고주파 음향스피커에서 송출되는 음량과, 상기 음향감지센서에서 측정되는 음량의 차이를 비교하여 최적의 음향이 감지되는 상기 관객석 범위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되는 최적의 음향이 감지되는 상기 객석과 관객이 주로 착석한 상기 객석의 위치가 설정치 이상 멀게 위치되면 상기 수평구동부 또는 상기 수직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저주파 음향스피커, 상기 중주파 음향스피커 또는 상기 고주파 음향스피커의 송출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구동부는,
    상기 저주파 음향스피커, 상기 중주파 음향스피커 또는 상기 고주파 음향스피커가 지지되는 회전축에 설치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에 기어연결되는 주동기어가 출력축에 설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동부는,
    상기 저주파 음향스피커, 상기 중주파 음향스피커 또는 상기 고주파 음향스피커가 안착되는 회전플레이트가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홈부를 이루고, 상기 저주파 음향스피커, 상기 중주파 음향스피커 또는 상기 고주파 음향스피커 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블록이 상기 홈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블록을 밀거나 당기는 구동실린더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
KR1020230086454A 2023-07-04 2023-07-04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 KR102610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6454A KR102610619B1 (ko) 2023-07-04 2023-07-04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6454A KR102610619B1 (ko) 2023-07-04 2023-07-04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0619B1 true KR102610619B1 (ko) 2023-12-06

Family

ID=89163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6454A KR102610619B1 (ko) 2023-07-04 2023-07-04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6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665U (ko) * 2015-08-12 2017-02-22 김경호 청취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무대설치용 스피커장치
KR20180129474A (ko) * 2017-05-26 2018-12-05 송병준 공연장의 스피커 음향제어 시스템
KR20200107978A (ko) * 2017-12-15 2020-09-16 디티에스, 인코포레이티드 점유에 기초한 실내 음향의 자동 정정
KR20220006554A (ko) * 2019-05-08 2022-01-17 마이어 사운드 라보라토리즈 인코포레이티드 관객 공간에서 관객에게 전대역폭 사운드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665U (ko) * 2015-08-12 2017-02-22 김경호 청취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무대설치용 스피커장치
KR20180129474A (ko) * 2017-05-26 2018-12-05 송병준 공연장의 스피커 음향제어 시스템
KR20200107978A (ko) * 2017-12-15 2020-09-16 디티에스, 인코포레이티드 점유에 기초한 실내 음향의 자동 정정
KR20220006554A (ko) * 2019-05-08 2022-01-17 마이어 사운드 라보라토리즈 인코포레이티드 관객 공간에서 관객에게 전대역폭 사운드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7340B1 (ja) 映像表示システム
JP2620516B2 (ja) 透過型ディスプレイ装置
US20210001242A1 (en) Cinema Light Emitting Screen and Sound System
JP2006146139A (ja) 視角調節可能な液晶ディスプレイおよびその調節方法
JP2007531034A (ja) ペッパーのゴースト錯視のための投影装置及び方法
JP2007535215A (ja) 補助ビジュアル表示システム
US5004067A (en) Cinema sound system for unperforated screens
US20120128184A1 (en) Display apparatus and sound control method of the display apparatus
TW201715883A (zh) 影像投影裝置、舞臺裝置以及影像投影方法
US5582473A (en)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US10057551B2 (en) Wireless audio and video home theater ceiling projector system
US6633346B1 (en) Projection television
KR102610619B1 (ko) Led 상영관용 음향 시스템
WO2023179446A9 (zh) 显示设备
CN109270782B (zh) 用于激光投影的高性能屏幕
JP2008187441A (ja) テレビジョン装置
KR20030026338A (ko) 편광방향 조정수단 및 투과성 확산시스템을 포함하는투사장치
JP2664290B2 (ja) 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
US10553137B2 (en) Visual display having adjustable diffusion strength
JPH0673997U (ja) スピーカシステム
KR200279731Y1 (ko) 반사면을 이용한 영상물 시청장치
JPH05333436A (ja) 背面投写形表示装置のスクリーンとその装置の視角調整方法
KR20230086288A (ko) 휴대용 프로젝터 마운팅 브라켓
CN118112877A (zh) 一种投影屏幕及投影显示设备
JP2021033102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