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472B1 - 연료전지용 소결장치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용 소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472B1
KR102610472B1 KR1020180108134A KR20180108134A KR102610472B1 KR 102610472 B1 KR102610472 B1 KR 102610472B1 KR 1020180108134 A KR1020180108134 A KR 1020180108134A KR 20180108134 A KR20180108134 A KR 20180108134A KR 102610472 B1 KR102610472 B1 KR 102610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intered body
fuel cell
prevention layer
sinte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9738A (ko
Inventor
최정미
박은용
신동오
허연혁
박규리
김지연
윤종설
최광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108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472B1/ko
Publication of KR20200029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4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78Treatment steps after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or after shaping of the electrode being free-standing body
    • H01M4/8882Heat treatment, e.g. drying, baking
    • H01M4/8885Sintering or fi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F27B21/02Sintering grates or t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소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체와 소결체 사이 확산방지층을 더 포함시켜 소결체의 메탈 성분이 소결 온도에서 지지체로 확산(diffusion)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료전지용 소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전지용 소결장치{SINTERING APPARATUS FOR SOLID OXIDE FUEL CELL}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소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체와 소결체 사이 확산방지층을 더 포함시켜 소결체의 메탈 성분이 소결 온도에서 지지체로 확산(diffusion)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료전지용 소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라믹스를 소성할 때 소결체를 재치하기 위해 이용되는 소성용 기판이나 소성용 이렇게 화분, 소결체의 상면에 재치되어 소성 시의 누름돌로서 이용되는 웨이트부재 등의 소성용 부재로서 Al2O3, ZrO2, SiO2, MgO, BN, TiB2, AlN-BN, Si3N4 및 SiC 등으로 구성되는 세라믹 기판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소성용 부재에 있어서는 소성 중에 다량의 액상이 발생하는 세라믹스나 결합 금속을 함유하는 소결 합금 등의 소성에 이용하면, 소결체와 기판 사이에서 반응이 발생해 소결체의 소성용 기판과 접촉하는 재치면의 표면 상태가 악화되거나 소결체에 휨이 발생하거나 또는 소결체가 기판에 고착해 끝소결체의 취출을 할 수 없거나 소성용 부재의 수명이 짧아진다고 하는 결함이 있었다.
또한 초경합금이나 서멧등 소결 합금의 소성에는 일반적으로 흑연(흑연) 기판이 이용되고 있지만, 이 경우에도 소결체와 소결용 기판 사이에서 소결 시에 탈탄, 침탄 또는 반응에 의한 용착에 의해 소결체 재치면의 거침, 휨 발생, 소결체의 기판으로의 고착에 의한 소성 수율의 저하, 소성용 부재의 수명 저하 등의 같은 문제가 발생할 경우가 있었다.
이와 관련해서 소결체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연료전지용 소결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95223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결 시, 소결체 성분의 확산 또는 지지체와의 반응에 의해 소결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료전지용 소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소결장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 상에 위치되고,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확산방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체는, 다공성 세라믹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체는,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지르코늄(ZrO3) 및 산화세륨(CeO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체는, 10wt% 이하의 3주기 및 4주기 중 어느 하나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3주기 및 4주기 금속 산화물은, SiO2, Na2O 및 Fe2O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체는, 기공율이 10~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확산방지층은, 상측에 소결체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확산방지층은, 상기 소결체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확산방지층은, 니켈(Ni)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확산방지층은, 두께가 0.001~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결 시, 소결체 성분의 확산 또는 지지체와의 반응에 의해 소결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소결체의 물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소결체가 안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소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종래 연료전지용 소결장치에 의해 제조된 연료극의 SEM사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소결장치에 의해 제조된 연료극 SEM사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료전지용 소결장치>
소결체가 안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소결장치의 단면도이다.
소결장치는 지지체(10) 및 확산방지층(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10)는 소결체 및 확산방지층(2)을 지지해 주는 구성이다. 지지체(10)는 소결체의 소결 온도에서 견딜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체(10)는 세라믹 소재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세라믹은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지르코늄(ZrO3) 및 산화세륨(CeO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산화알루미늄은 알루미늄의 산화물로 화학적으로 안정적이고, 비정질 상태가 되기 쉽다. 그리고, 산화알루미늄은 알루미늄 원광석의 주성분으로써, 고온에 강하며 강도가 우수하다. 산화알루미늄은 금속 화합물과 반응성이 낮고, 특히, 주기율표의 제4족 내지 제6족의 금속 화합물과의 반응성이 가장 낮다. 따라서, 산화알루미늄과 제4족 내지 제6족 금속 화합물을 혼합한 소결체나, 산화알루미늄 지지체(10) 상에서 소결되는 제4족 내지 제6족 금속 화합물 소결체는 금속 성분의 결손이나 결정립의 탈락에 의한 치핑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지체(10)와 접촉하는 확산방지층(20)은 4족 내지 6족 금속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확산방지층(20)의 성분이 확산 및 결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산화지르코늄은 수산화 지르코늄을 가열하여 만든 누런빛을 띤 흰색이나 갈색의 물질로서, 물에 녹고 굴절률이 크며, 녹는점이 높고 내식성이 강하다. 또한, 산화지르코늄은 고강도를 가진 재료이므로 지지체(10)의 강도가 우수하게 발현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산화지르코늄은 낸식성, 방오, 방부 등의 역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산화세륨은 세슘산화물인 세리아(ceria)의 하나로, 입방정의 형석형 산화물이며 이온전도도가 매우 높고 또한 기게적 물성도 비교적 우수하므로, 유망한 물질로 주목 받고 있다. 산화세륨은 일산화탄소 또는 탄화수소 산화나 NOx의 환원 등에 관여하여 독성물질의 방출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는 산화세륨이 산소에 대한 우수한 버퍼(buffer)성을 가지고 있어 형석형의 격자구조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고 가역적인 산화나 탈산화에 대한 허용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리고, 산화세슘은 높은 온도에서 환원성 분위기에 노출되는 경우 환원될 수 있으며, Ce4 +이온은 Ce3 +이온으로 부분적으로 환원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체(10)는 다공성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체(10)는 10~30%의 기공율이 제공됨으로써, 지지체(10)의 내충격성이 높고 또한 통기성이 우수한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체(10)의 기공율이 10% 미만일 경우, 지지체(10)의 통기성이 감소되어 소결 중에 소결체의 표면 중앙부와 가장자리에서의 가스 분위기가 상이하여 소결체의 특성에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10)의 기공율이 30% 초과일 경우, 지지체(10)의 응집력이 감소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지지체(10)는 100wt% 전체중량 기준 10wt%이하의 3주기 및 4주기 중 어느 하나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3주기 및 4주기의 금속 산화물은 SiO2, Na2O 및 Fe2O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10)는 3주기 및 4주기의 금속 산화물을 10wt% 초과 포함할 경우, 확산방지층(20)의 금속 물질이 지지체(10)로 확산되거나, 지지체(10)와 확산방지층(20)이 반응하여 확산방지층(20)의 성분 변화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지르코늄(ZrO3) 및 산화세슘(CeO3) 이외의 소재 함유량은 그 양이 작을수록 소결체 및 확산방지층(20)의 성분변화가 일어나지 않아 소결체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확산방지층(20)은 지지체(10) 상에 위치되고,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확산방지층(20)은 지지체(10)와 대응되는 일면에 소결체가 안착될 수 있다. 확산방지층(20)은 소결체 소결 시, 소결체의 성분이 지지체(10)로 확산(diffusion)되거나, 소결체와 지지체(10)가 반응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임으로, 소결체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소결체가 연료전지의 연료극일 경우, 소결체는 니켈(Ni)을 포함할 수 있고, 연료극에 포함된 니켈이 지지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확산방지층(20)은 니켈을 포함하는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확산방지층(20)은 0.001~1㎜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두께가 0.001㎜ 미만일 경우, 소결체와 지지체(10)가 직접 적촉되는 부분이 발생하여 소결체와 지지체(10) 사이 부분적으로 확산반응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지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두께가 1㎜ 초과일 경우, 소결체와 지지체(10) 간의 열응력이 증가하여 소결체와 지지체(10) 간의 밀착력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비교예 >
알루미늄 지지체 상에 니켈 연료극을 안착시킨 후, 온도를 증가시켜 소결함으로써 연료극을 제조했다.
< 실시예 >
본 발명에 따른 소결장치의 확산방지층 일측에 니켈 연료극을 안착시킨 후, 온도를 증가시켜 소결함으로써 연료극을 제조했다.
<실험 결과>
Element 산소(O) 니켈(Ni) 세륨(Ce) 가돌리늄(Gd)
비교예(Atomic, %) 66.02 3.29 27.70 2.99
실시예(Atomic, %) 54.85 32.16 11.69 1.30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비교예는 산소, 세슘 및 가돌리늄은 실시예보다 더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비교예는 니켈의 함유량이 실시예와 약 10배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와 같이 지지체와 연료극(소결체)이 접촉한 상태로 소결이 이루어질 경우, 지지체를 형성하는 물질은 연료극으로 연료극을 형성하는 물질은 지지체로 확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예의 연료극에 니켈의 함류량은 낮고 지지체를 형성하는 물질은 세륨 및 가돌리늄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2(a)는 종래 연료전지용 소결장치에 의해 제조된 연료극의 SEM사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소결장치에 의해 제조된 연료극 SEM사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SEM사진 상으로도, 실시예의 연료극이 비교예의 연료극 보다 밀도가 높은 것을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지지체
20: 확산방지층

Claims (10)

  1. 다공성 세라믹 기판을 포함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 상에 위치되고,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확산방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확산방지층은 상측에 소결체가 안착되고,
    상기 소결체는 연료극이며,
    상기 확산방지층은 상기 소결체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인 연료전지용 소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지르코늄(ZrO3) 및 산화세륨(CeO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소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10wt% 이하의 3주기 및 4주기 중 어느 하나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소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3주기 및 4주기 금속 산화물은,
    SiO2, Na2O 및 Fe2O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소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기공율이 10~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소결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방지층은,
    니켈(Ni)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소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방지층은,
    두께가 0.00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소결장치.
KR1020180108134A 2018-09-11 2018-09-11 연료전지용 소결장치 KR102610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134A KR102610472B1 (ko) 2018-09-11 2018-09-11 연료전지용 소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134A KR102610472B1 (ko) 2018-09-11 2018-09-11 연료전지용 소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738A KR20200029738A (ko) 2020-03-19
KR102610472B1 true KR102610472B1 (ko) 2023-12-05

Family

ID=69957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134A KR102610472B1 (ko) 2018-09-11 2018-09-11 연료전지용 소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4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4716A (ja) 2006-09-28 2008-04-10 Kyocera Corp 燃料電池セルおよび燃料電池セルスタック、ならびに燃料電池
JP5089985B2 (ja) * 2004-09-13 2012-12-05 京セラ株式会社 固体電解質形燃料電池
JP2015032427A (ja) 2013-08-01 2015-02-16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及び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118B1 (ko) * 2012-08-22 2015-02-10 익스팬테크주식회사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95223B1 (ko) 2013-12-24 2016-02-19 주식회사 포스코 연료전지 소결방법
KR20160058275A (ko) * 2014-11-14 2016-05-25 한국기계연구원 금속지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9985B2 (ja) * 2004-09-13 2012-12-05 京セラ株式会社 固体電解質形燃料電池
JP2008084716A (ja) 2006-09-28 2008-04-10 Kyocera Corp 燃料電池セルおよび燃料電池セルスタック、ならびに燃料電池
JP2015032427A (ja) 2013-08-01 2015-02-16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及び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738A (ko)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7571B1 (ko) 세라믹스 부재 및 반도체 제조 장치용 부재
JP6585620B2 (ja) アルミナ焼結体及び光学素子用下地基板
EP2692703B1 (en) Molten glass holding refractory,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molten glass holding refracto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using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US20110003228A1 (en) Sealing arrangement for high-temperature fuel cell stack
JP2006327888A (ja) セラミックスと金属のろう付け構造体
US20050271891A1 (en) Metal-ceramic joined article and production method
KR102610472B1 (ko) 연료전지용 소결장치
Triantafyllou et al. Wetting and interactions of Ag–Cu–Ti and Ag–Cu–Ni alloys with ceramic and steel substrates for use as sealing materials in a DCFC stack
TWI388532B (zh) 電子構件燒成用夾具
US10000418B2 (en) Refractory product, use of zirconium dioxide, zirconium dioxide,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fractory product and a refractory product manufactured therewith
CN109321870A (zh) 一种复合型钼坩埚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5306631B2 (ja) 固体酸化物型燃料電池その他の高温用途向けのフェライト鋼
JP5465143B2 (ja) SiC焼成用道具材
JP6285318B2 (ja) 接合材およびその利用
Frandsen et al. Enhancing the robustness of brittle solid oxide cell stack components
JP5983525B2 (ja) 透光性金属酸化物焼結体の製造方法
TW201022614A (en) Setter for calcination
Naumenko et al. Effect of Zr addition on alumina scale formation during oxidation of high purity FeCrAlY-alloy
Chakraborty et al. Oxidation of Hf 2 SnC and Nb 2 SnC in Air in the 400–600° C Temperature Range
JP2008001558A (ja) 窒化アルミニウム成形体の焼成方法と焼成用治具
JP2003082402A (ja) 硬質焼結合金の焼結用セッター
KR101062442B1 (ko) 우수한 고온물성을 갖는 저온 소결 탄화규소 및 그 제조방법
Wenzel et al. Ceramic matrix composites based on Mg-PSZ with Cr–Ni-steel-additions with improved thermo-mechanical properties
JP2008069403A (ja) 耐熱合金の耐酸化被覆構造および被覆方法
CN116441527B (zh) 一种抗高温氧化的复合高熵合金粉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