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803B1 - 베이스 메이크업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베이스 메이크업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803B1
KR102609803B1 KR1020200141697A KR20200141697A KR102609803B1 KR 102609803 B1 KR102609803 B1 KR 102609803B1 KR 1020200141697 A KR1020200141697 A KR 1020200141697A KR 20200141697 A KR20200141697 A KR 20200141697A KR 102609803 B1 KR102609803 B1 KR 102609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smetic composition
gloss
composition
emulsified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6979A (ko
Inventor
박희진
권성호
박명삼
주영아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1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8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56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8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6Interference pigments, e.g. Iridescent, Pearles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메이크업용 유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 수상부, 및 진주광택안료를 포함하며, 상기 유상부는 페닐계 실리콘 오일, 피막형성제, 오일점증제, 및 유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페닐계 실리콘 오일은, 이중 페닐기 오일을 포함하여, 비교적 적은 진주광택안료의 함량에도 높은 광택감을 부여하고 오랜 시간 광택을 유지할 수 있는 베이스 메이크업용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베이스 메이크업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for Base make-u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베이스 메이크업용 유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피부 표면을 정돈하기 위해 도포하는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비비, 컨실러 등의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에 포함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톤을 보정하고 피부결을 정돈하기 위해 사용되는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는 은은한 광택을 내기 위해 색소와 함께 진주광택안료를 포함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한국 공개문헌 제10-2017-0025385호에서도 진주광택안료를 포함하며, 이러한 진주광택안료의 광택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진주광택안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도포 초반에는 일정 수준의 광택감을 나타내지만 시간이 경과하면 원래의 빛을 잃어 지속적인 광택 효과를 주지 못하며, 다소 거친 사용감을 준다.
이에, 진주광택안료의 함량을 줄이면서도 높은 광택감을 부여하고 그 지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메이크업 베이스 제품이 요구된다.
KR 10-2017-0025385A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교적 적은 진주광택안료의 함량에도 높은 광택감을 부여하고 오랜 시간 광택을 유지할 수 있는 베이스 메이크업용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상부, 수상부, 및 진주광택안료를 포함하며, 상기 유상부는 페닐계 실리콘 오일, 피막형성제, 오일점증제, 및 유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페닐계 실리콘 오일은, 이중 페닐기 오일을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페닐계 실리콘 오일은, 상기 이중 페닐기 오일 외에 다중 페닐기 오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다중 페닐기 오일은, 상기 이중 페닐기 오일:다중 페닐기 오일 = 5:1 중량비 이하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피막형성제는 아크릴레이트계 피막형성제 및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는 MQ레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 및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는 1:1 내지 5: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진주광택안료는 0.5 내지 3 중량%, 상기 페닐계 실리콘 오일은 1 내지 10 중량%, 및 상기 피막형성제는 1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상부, 수상부, 및 진주광택안료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에탄올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에탄올 1 내지 10 중량%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비비, 또는 컨실러로 제조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a) 페닐계 실리콘 오일, 피막형성제, 오일점증제,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유상부에 진주광택안료를 분산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를 통해 제조된 조성물에, 수상부를 투입하여 유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c) 단계를 통해 제조된 조성물에 에탄올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이스 메이크업용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진주광택안료의 함량이 비교적 적어 사용감이 우수하면서도, 높은 광택감을 부여하고 오랜 시간 광택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 조성물(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의 광택력 및 광택 지속력을 평가한 것으로, 도포 직후(도 1(a)), 도포 후 1시간 경과(도 1(b)), 도포 후 2시간 경과(도 1(c)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 조성물(실시예 1, 3 및 비교예 2, 3, 4)의 광택력 및 광택 지속력을 평가한 것으로, 도포 직후(도 2(a)), 도포 후 1시간 경과(도 2(b)), 도포 후 3시간 경과(도 2(c)), 도포 후 5 시간 경과(도 2(d))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 조성물(실시예 1, 4 및 비교예 5)의 광택력 및 광택 지속력을 평가한 것으로, 도포 직후(도 3(a)), 도포 후 1시간 경과(도 3(b)), 도포 후 3시간 경과(도 3(c)), 도포 후 5 시간 경과(도 3(d))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 조성물(실시예 1, 2, 5)의 광택력 및 광택 지속력을 평가한 것으로, 도포 직후(도 4(a)), 도포 후 1시간 경과(도 4(b)), 도포 후 3시간 경과(도 4(c)), 도포 후 5 시간 경과(도 4(d))를 촬영한 사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기술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유상부, 수상부, 및 진주광택안료를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상부에 피막형성제, 페닐계 실리콘 오일, 오일점증제,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베이스 메이크업용 유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이중 페닐기(Diphenyl group)를 포함하는 실리콘 오일을 포함함으로써, 조성물의 광택 지속력을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진주광택안료는 흔히 '펄(pearl)'이라고 부르는 광택 안료로, 베이스 메이크업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서 광택 효과를 표현하려 할 때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것이다. 페닐계 실리콘 오일은 하나 이상의 페닐 치환기를 갖는 실리콘 오일을 의미하며, 굴절률이 높아 광택감이 높은 편이고 진주광택안료와 함께 사용 시 진주광택안료의 광택을 지속시키는 효과를 줄 수 있다.
상기 페닐계 실리콘 오일은, 상기 이중 페닐기 오일 외에 다중 페닐(Polyphenyl group)를 포함하는 실리콘 오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중 페닐기 오일은 2개의 페닐기가 치환된 실리콘 오일로 본 발명에서 다이페닐실록시페닐트라이메티콘(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다중 페닐기 오일은 다수의 페닐기가 치환된 실리콘 오일로 본 발명에서 폴리페닐실세스퀴옥세인(Polyphenylsilsesquioxan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구체예에 따른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다중 페닐기 오일이 이중 페닐기 오일:다중 페닐기 오일 = 5:1 중량비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중 페닐기 오일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도포 직후 광택이 낮고, 이중 페닐기 오일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광택 지속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이중 페닐기 오일은 다중 페닐기 오일보다 과량 포함되는 것이 도포 시 광택도가 높아 보이는 측면에서 바림직하다.
피막형성제는 피부 표면에 피막을 만드는 성분으로서, 용어 “필름 형성제”와 상호교환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화장료의 지속력을 높이고자 할 때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피막형성제는 아크릴레이트계, 실리콘계, 프로필렌계 등의 피막형성제를 사용하여 폴리머 막을 형성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서 피막형성제는 아크릴레이트계 피막형성제 및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를 혼합 사용하는 것이 광택 지속력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피막형성제로 아크릴레이트/폴리트라이메틸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Polytrimethylsiloxymethacrylate Copolymer), 아크릴레이트/다이메티콘코폴리머(Acrylate/Dimethicone Copolymer),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는 MQ 레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일 예로서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T레진을 사용할 경우 제형 입자 간의 결합력이 필요 이상으로 커지면서 반사된 빛이 두께에 가려지고 상대적으로 광택 정도가 줄어들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피막형성제 및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를 1:1 내지 5: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이중 아크릴레이트계 피막형성제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광택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아크릴레이트계 피막형성제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도포 시 마무리감이 뻣뻣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 수상부, 및 진주광택안료를 포함하며, 일 구체예에 따른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유상부 36 내지 46 중량%, 수상부 40 내지 55 중량%, 진주광택안료0.5 내지 3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상부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페닐계 실리콘 오일을 1 내지 10 중량%, 및 상기 피막형성제를 1 내지 1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진주광택안료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광택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될 경우 사용감이 거칠어 좋지 못하다. 또한, 페닐계 실리콘 오일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광택 지속력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며,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될 경우 과도한 유분감이 문제가 될 수 있다. 피막형성제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광택 지속력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고 피부 밀착력이 떨어지며,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될 경우 끈적임이 심하고 마무리감이 뻣뻣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유상부, 수상부, 및 진주광택안료를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유화 화장료 조성물에 에탄올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탄올을 첨가함으로써, 제형의 발림성을 향상시키고 시원하고 산뜻한 마무리감 제공하며, 피막형성 보조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하고 광택 지속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 조성물에서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상기 에탄올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고, 4 내지 6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탄올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광택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될 경우 도포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피부에 건조감을 주어 문제가 된다.
다만, 상기 에탄올은 조성물의 유화가 완전히 진행된 후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탄올의 경우 유화를 깰 염려가 있으며 휘발성이 높아 고온에서 투입하면 원료의 손실이 일어나기 때문에 광택 효과가 줄어들 염려가 있으므로, 유화 후 후첨하는 방식이 제형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상부에는 페닐계 실리콘 오일, 피막형성제, 오일점증제, 및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오일점증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켜 유화 조성물이 유상부 및 수상부로 상분리되지 않고 안정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화장품 제조 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오일점증제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Dextrin Fatty acid ester), 스테아로릴 이눌린(Stearoyl Inulin),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및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Glyceryl fatty acid est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일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점증제의 양이 지나치게 많아 점도가 높고 끈적임이 발생하여 사용감이 좋지 않으며,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고온 안정성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유상부에 포함되어 수상부와의 계면 장력을 낮추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화장품 제조 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화제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iloxane), 글리콜 스테아레이트(Glycol Stearate),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Sorbitan Sesquioleate), 글리세릴 올레이트(Glyceryl Oleate),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Glycol Distearate),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Propylene Glycol Monostearate),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PEG-10 디메치콘(PEG-10 Dimethicone), 라우릴피이지-10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에틸다이메티콘(Lauryl PEG-10 Tris(Trimethylsiloxy)silylethyl Dimethicone),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Cetyl PEG/PPG-10/1 Dimethicone), 세테아레스-12(CETEARETH-12), 스테아릴젖산나트륨(Sodium Stearoyl Lactylate),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Potassium Cetyl Phosphate),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 소르비탄 올리베이트(Sorbitan Olivate), 이눌린라우릴 카바메이트(Inulin Lauryl Carbamate), 레시틴(Lecithin), 아라키딜 글루코시드(Arachidyl Glucoside), 올리브유 PEG-8 에스테르류(Olive Oil PEG-8 Esters) 및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Sucrose Fatty Acid Est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유화제를 1 내지 5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유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반대로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제형의 점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고 제형 안정성을 해치는 문제를 초래한다.
한편, 본 발명 조성물의 수상부에는 정제수, 보습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습제는 주로 다가알코올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로서 카프릴릴 글리콜(caprylyl glycol), 펜틸렌 글리콜(pentylene glycol), 프로필렌 글리콜 (prop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e),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glyceryl caprylate), 부틸렌 글리콜 (butylene glycol), 1,2-헥산디올(1,2-hexanediol) 및 메틸프로판디올(methylpropanediol), 스쿠알란(Squala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른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보습제를 5 중량% 내지 15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습제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 보습의 기능이 저하되며, 반대로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끈적거림이 발생하여 조성물의 점도 및 성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서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비비, 컨실러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당업자의 입장에서 본 발명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이 예상된 첨가에 의해 실질적인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추가 성분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에 통상 사용되는 추가 성분, 예컨대 색소, 향료, 충전제, 보존제, 방부제, 중성화제, 자외선 차단제, 감미료, 비타민, 자유-라디칼 스케빈저, 금속 이온 봉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통상적 미용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상부, 수상부, 진주광택안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상부, 수상부, 진주광택안료를 혼합하여 유화한 뒤, 에탄올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a) 페닐계 실리콘 오일, 피막형성제, 오일점증제,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유상부에 진주광택안료를 분산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를 통해 제조된 조성물에, 수상부를 투입하여 유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를 통해 제조된 조성물에 에탄올을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a) 내지 (c) 단계의 혼합물 제조한 뒤 에탄올을 첨가하기 전, 고온에서 용융시킨 상기 혼합물을 냉각하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가적으로 에탄올을 첨가함으로써, 제형의 발림성을 향상시키고 시원하고 산뜻한 마무리감 제공하며, 피막형성 보조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하고 광택 지속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에탄올은 조성물의 유화가 완전히 진행된 후, 즉 (c) 단계 이후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탄올의 경우 유화를 깰 염려가 있으며 휘발성이 높아 고온에서 투입하면 원료의 손실이 일어나기 때문에 광택 효과가 줄어들 염려가 있으므로, 유화 후 후첨하는 방식이 제형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혼합물을 냉각한 후 에탄올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페닐계 실리콘 오일, 피막형성제, 오일점증제, 유화제, 및 보습제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피막 형성제 유무에 따른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및 평가(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1)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이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성분 함량은 중량%이다).
먼저,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상부의 물질을 70℃에서 용융하며 혼합하고 디스퍼(disper)를 이용하여 2500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렇게 혼합된 유상부에 색소를 포함하는 분체 및 진주광택안료를 2500rpm으로 1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 다음, 혼합된 물질에 하기 표 1에 기재된 수상부의 물질을 투입한 후 3500rpm으로 1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여 유화시켰다. 실시예 1의 경우, 이후 30℃로 냉각 한 다음 에탄올을 첨가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유상부 1 다이페닐실록시페닐트라이메티콘 5.0 5.0 5.0
2 폴리페닐실세스퀴옥세인 1.0 1.0 1.0
3 아크릴레이트/폴리트라이메틸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2.5 2.5 0
4 아크릴레이트/다이메티콘코폴리머 0.5 0.5 0
5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3.0 3.0 0
6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 3.0 3.0 3.0
7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 0.8 0.8 0.8
8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12.0 12.0 12.0
9 아이소도데케인 2.0 2.0 2.0
10 카프릴릴메티콘 3.0 3.0 3.0
11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2.0 2.0 2.0
12 라우릴피이지-10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에틸다이메티콘 1.0 1.0 1.0
13 피이지-9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1.0 1.0 1.0
수상부 14 정제수 35.17 40.17 46.17
15 부틸렌글라이콜 6.0 6.0 6.0
16 글리세린 4.0 4.0 4.0
17 펜틸렌글라이콜 2.0 2.0 2.0
18 마그네슘설페이트 0.70 0.70 0.70
19 트라이소듐에틸렌다이아민다이석시네이트 0.03 0.03 0.03
20 진주광택안료 1.0 1.0 1.0
21 색소파우더 9.30 9.30 9.30
22 에탄올 5.0 0 0
100 100 100
(2)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조성물의 광택력 및 광택 지속력 평가
상기 표 1에 따라 제조한 조성물의 광택력 및 광택 지속력을 평가하였다. 도 1(a)는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팔에 도포한 직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b)는 그 이후 1시간이 경과된 후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1(c)는 도포 후 2시간이 경과된 후를 촬영한 사진이다.
또한, 하기 표 2는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의 광택감에 대해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이다. 구체적으로, 5명에게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 후 손목 안쪽 피부에 도포시 반짝이는 정도를 비교 평가하도록 하였다. 가장 평가가 좋은 점수를 10, 좋지 않은 점수를 0으로 하여 평균을 내는 점수법으로 평가하였다. 하기 표 2에 광택감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광택감 8.00 6.60 4.20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경우 도포 직후의 광택은 물론이고, 도포 후 2시간이 경과되기까지 광택이 잘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피막형성제(원료 3, 4, 5) 및 에탄올(원료 22)을 모두 첨가하여 제조된 실시예 1의 경우 광택력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 모두 동일한 양의 진주광택안료를 함유하였으나, 피막형성제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해 실시예의 경우가 광택력 및 광택 지속력이 훨씬 우수하여, 동일한 진주광택안료 함량에도 우수한 광택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광택감이 실시예 1>실시예 2>비교예 1 순이며, 실시예 1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2. 페닐계 오일의 종류 및 함량에 따른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및 평가(실시예 3 및 비교예 2, 3, 4)
(1) 실시예 3 및 비교예 2, 3, 4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3과 같이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성분 함량은 중량%이다). 페닐계 오일(원료 1, 2)의 종류 및 함량을 달리하여 실시예 3 및 비교예 2, 3, 4를 추가적으로 제조하였으며, 상기 표 1에 사용한 파우더(원료 21)와 그 종류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제조 방법은 상술한 실시예 1의 제조 방법과 같다.
성분(중량%) 실시예 1 실시예 3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유상부 1 다이페닐실록시페닐트라이메티콘 5.0 6.0 3.0 1.0 0
2 폴리페닐실세스퀴옥세인 1.0 0 3.0 5.0 6.0
3 아크릴레이트/폴리트라이메틸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2.5 2.5 2.5 2.5 2.5
4 아크릴레이트/다이메티콘코폴리머 0.5 0.5 0.5 0.5 0.5
5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3.0 3.0 3.0 3.0 3.0
6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 3.0 3.0 3.0 3.0 3.0
7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 0.8 0.8 0.8 0.8 0.8
8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12.0 12.0 12.0 12.0 12.0
9 아이소도데케인 2.0 2.0 2.0 2.0 2.0
10 카프릴릴메티콘 3.0 3.0 3.0 3.0 3.0
11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2.0 2.0 2.0 2.0 2.0
12 라우릴피이지-10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에틸다이메티콘 1.0 1.0 1.0 1.0 1.0
13 피이지-9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1.0 1.0 1.0 1.0 1.0
수상부 14 정제수 35.17 35.17 35.17 35.17 35.17
15 부틸렌글라이콜 6.0 6.0 6.0 6.0 6.0
16 글리세린 4.0 4.0 4.0 4.0 4.0
17 펜틸렌글라이콜 2.0 2.0 2.0 2.0 2.0
18 마그네슘설페이트 0.70 0.70 0.70 0.70 0.70
19 트라이소듐에틸렌다이아민다이석시네이트 0.03 0.03 0.03 0.03 0.03
20 진주광택안료 1.0 1.0 1.0 1.0 1.0
21 색소파우더 9.30 9.30 9.30 9.30 9.30
22 에탄올 5.0 5.0 5.0 5.0 5.0
100 100 100 100 100
(2) 실시예 1, 3 및 비교예 2, 3, 4 조성물의 광택력 및 광택 지속력 평가
상기 표 3에 따라 제조한 조성물의 광택력 및 광택 지속력을 평가하였다. 도 2(a)는 상기 실시예 1, 3 및 비교예 2, 3, 4의 조성물을 팔에 도포한 직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2(b)는 도포 후 1시간이 경과된 후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2(c)는 도포 후 3시간이 경과된 후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2(d)는 도포 후 5시간이 경과된 후를 촬영한 사진이다.
또한, 하기 표 4는 실시예 1, 3 및 비교예 2, 3, 4의 조성물의 광택감에 대해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이다. 구체적으로, 5명에게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 후 손목 안쪽 피부에 도포 직후, 1시간 경과 후, 3시간 경과 후, 5시간 경과 후에 반짝이는 정도를 비교 평가하도록 하였다. 가장 평가가 좋은 점수를 10, 좋지 않은 점수를 0으로 하여 평균을 내는 점수법으로 평가하였다. 하기 표 4에 광택감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광택감(직후) 8.20 7.20 6.80 6.20 5.20
광택감(1시간) 6.20 6.60 7.20 5.20 4.20
광택감(3시간) 6.80 6.80 5.20 5.00 4.00
광택감(5시간) 5.20 5.00 4.60 4.40 2.80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경우 도포 직후의 광택은 물론이고, 도포 후 5시간이 경과되기까지 광택이 잘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이중페닐기 오일(원료 1)과 다중페닐기 오일(원료 2)의 함량비가 5:1인 실시예 1의 경우 광택 지속력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 모두 동일한 양의 진주광택안료를 함유하였으나, 실시예의 경우가 광택력 및 광택 지속력이 훨씬 우수하여, 동일한 진주광택안료 함량에도 우수한 광택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조성물은 비교예 조성물에 비해 광택감 및 광택지속력이 우수하며, 실시예 3보다 실시예 1의 광택감 및 광택지속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3. 피막형성제의 종류에 따른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및 평가(실시예 4 및 비교예 5)
(1) 실시예 4 및 비교예 5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5와 같이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성분 함량은 중량%이다). 피막형성제(원료 3, 4, 5, 6)의 종류를 달리하여 실시예 4 및 비교예 5를 추가적으로 제조하였으며, 상기 표 1에 사용한 파우더(원료 22)와는 그 종류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제조 방법은 상술한 실시예 1의 제조 방법과 같다.
성분(중량%) 실시예 1 실시예 4 비교예 5
유상부 1 다이페닐실록시페닐트라이메티콘 5.0 5.0 5.0
2 폴리페닐실세스퀴옥세인 1.0 1.0 1.0
3 아크릴레이트/폴리트라이메틸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2.5 2.5 5.0
4 아크릴레이트/다이메티콘코폴리머 0.5 0.5 1.0
5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3.0 0 0
6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0 3.0 0
7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 3.0 3.0 3.0
8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 0.8 0.8 0.8
9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12.0 12.0 12.0
10 아이소도데케인 2.0 2.0 2.0
11 카프릴릴메티콘 3.0 3.0 3.0
12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2.0 2.0 2.0
13 라우릴피이지-10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에틸다이메티콘 1.0 1.0 1.0
14 피이지-9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1.0 1.0 1.0
수상부 15 정제수 35.17 35.17 35.17
16 부틸렌글라이콜 6.0 6.0 6.0
17 글리세린 4.0 4.0 4.0
18 펜틸렌글라이콜 2.0 2.0 2.0
19 마그네슘설페이트 0.70 0.70 0.70
20 트라이소듐에틸렌다이아민다이석시네이트 0.03 0.03 0.03
21 진주광택안료 1.0 1.0 1.0
22 색소파우더 9.30 9.30 9.30
23 에탄올 5.0 5.0 5.0
100 100 100
(2) 실시예 1, 4 및 비교예 5조성물의 광택력 및 광택 지속력 평가
상기 표 5에 따라 제조한 조성물의 광택력 및 광택 지속력을 평가하였다. 도 3(a)는 상기 실시예 1, 4 및 비교예 5의 조성물을 팔에 도포한 직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3(b)는 도포 후 1시간이 경과된 후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3(c)는 도포 후 3시간이 경과된 후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3(d)는 도포 후 5시간이 경과된 후를 촬영한 사진이다.
또한, 하기 표 6은 실시예 1, 4 및 비교예 5 조성물의 광택감에 대해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이다. 구체적으로, 5명에게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 후 손목 안쪽 피부에 도포 직후, 1시간 경과 후, 3시간 경과 후, 5시간 경과 후에 반짝이는 정도를 비교 평가하도록 하였다. 가장 평가가 좋은 점수를 10, 좋지 않은 점수를 0으로 하여 평균을 내는 점수법으로 평가하였다. 하기 표 6에 광택감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4 비교예5
광택감(직후) 8.20 7.40 5.00
광택감(1시간) 5.20 4.80 4.60
광택감(3시간) 4.80 4.60 4.20
광택감(5시간) 4.00 3.60 3.20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경우 도포 직후의 광택은 물론이고, 도포 후 5시간이 경과되기까지 광택이 잘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아크릴레이트계 피막형성제(원료 3, 4)와 MQ레진계 피막형성제(원료 5)를 함께 사용한 실시예 1의 경우 광택 지속력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크릴레이트계 피막형성제와 T레진계 피막형성제를 함유하는 실시예 4의 경우에도, 실시예 1보다는 그 효과가 떨어지나 광택 지속력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 모두 동일한 양의 진주광택안료를 함유하였으나, 아크릴레이트계 피막형성제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5에 비해 실시예의 경우가 광택력 및 광택 지속력이 훨씬 우수하여, 동일한 진주광택안료 함량에도 우수한 광택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조성물은 비교예 조성물에 비해 광택감 및 광택지속력이 우수하며, 실시예 4보다 실시예 1의 광택감 및 광택지속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4. 에탄올의 함량에 따른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및 평가(실시예 5)
(1) 실시예 5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7과 같이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성분 함량은 중량%이다). 에탄올(원료 22)의 함량을 달리하여 실시예 5를 추가적으로 제조하였으며, 에탄올을 5 중량% 함유한 실시예 1과 에탄올을 함유하지 않은 실시예 2와 함께 비교하였다. 상기 표 1에 사용한 파우더(원료 21)와 그 종류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제조 방법은 상술한 실시예 1의 제조 방법과 같다.
성분(중량%) 실시예 1 실시예 5 실시예 2
유상부 1 다이페닐실록시페닐트라이메티콘 5.0 5.0 5.0
2 폴리페닐실세스퀴옥세인 1.0 1.0 1.0
3 아크릴레이트/폴리트라이메틸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2.5 2.5 2.5
4 아크릴레이트/다이메티콘코폴리머 0.5 0.5 0.5
5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3.0 3.0 3.0
6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 3.0 3.0 3.0
7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 0.8 0.8 0.8
8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12.0 12.0 12.0
9 아이소도데케인 2.0 2.0 2.0
10 카프릴릴메티콘 3.0 3.0 3.0
11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2.0 2.0 2.0
12 라우릴피이지-10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에틸다이메티콘 1.0 1.0 1.0
13 피이지-9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1.0 1.0 1.0
수상부 14 정제수 35.17 37.17 40.17
15 부틸렌글라이콜 6.0 6.0 6.0
16 글리세린 4.0 4.0 4.0
17 펜틸렌글라이콜 2.0 2.0 2.0
18 마그네슘설페이트 0.70 0.70 0.70
19 트라이소듐에틸렌다이아민다이석시네이트 0.03 0.03 0.03
20 진주광택안료 1.0 1.0 1.0
21 색소파우더 9.30 9.30 9.30
22 에탄올 5.0 3.0 0
100 100 100
(2) 실시예 1, 2, 5 조성물의 광택력 및 광택 지속력 평가
상기 표 7에 따라 제조한 조성물의 광택력 및 광택 지속력을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은 에탄올의 함량이 5 중량%, 실시예 2는 3 중량%, 실시예 5는 에탄올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이다. 도 4(a)는 상기 실시예 1, 2, 5의 조성물을 팔에 도포한 직후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4(b)는 도포 후 1시간이 경과된 후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4(c)는 도포 후 3시간이 경과된 후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4(d)는 도포 후 5시간이 경과된 후를 촬영한 사진이다.
또한, 하기 표 8은 실시예 1, 4 및 비교예 5 조성물의 광택감에 대해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이다. 구체적으로, 5명에게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 후 손목 안쪽 피부에 도포 직후, 1시간 경과 후, 3시간 경과 후, 5시간 경과 후에 반짝이는 정도를 비교 평가하도록 하였다. 가장 평가가 좋은 점수를 10, 좋지 않은 점수를 0으로 하여 평균을 내는 점수법으로 평가하였다. 하기 표 8에 광택감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5 실시예2
광택감(직후) 8.00 7.20 6.60
광택감(1시간) 7.40 6.80 5.80
광택감(3시간) 6.80 6.60 5.20
광택감(5시간) 6.60 5.80 4.80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경우 도포 직후의 광택 및 도포 후 5시간이 경과되기까지 광택이 잘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에탄올의 함량이 5 중량%로 가장 높은 실시예 1의 경우 광택 지속력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에탄올의 함량이 높을수록 광택감 및 광택 지속력이 높게 나타나, 실시예 1이 실시예 2 및 5에 비해 광택감 및 광택 지속력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1)

  1. 유상부, 수상부, 진주광택안료 및 에탄올을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페닐계 실리콘 오일, 피막형성제, 오일점증제, 및 유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페닐계 실리콘 오일은, 이중 페닐기 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에탄올은 상기 조성물의 유화 후에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닐계 실리콘 오일은, 상기 이중 페닐기 오일 외에 다중 페닐기 오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다중 페닐기 오일은, 상기 이중 페닐기 오일:다중 페닐기 오일 = 5:1 중량비 이하로 포함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형성제는 아크릴레이트계 피막형성제 및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를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는 MQ레진인, 유화 화장료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피막형성제 및 실리콘계 피막형성제는 1:1 내지 5: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진주광택안료는 0.5 내지 3 중량%, 상기 페닐계 실리콘 오일은 1 내지 10 중량%, 및 상기 피막형성제는 1 내지 1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에탄올 1 내지 10 중량%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비비, 또는 컨실러로 제조되는 것인, 유화 화장료 조성물.
  10. 유화 화장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페닐계 실리콘 오일, 피막형성제, 오일점증제,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유상부에 진주광택안료를 분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를 통해 제조된 조성물에, 수상부를 투입하여 유화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를 통해 제조된 조성물에 에탄올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의 제조 방법.
  11. 삭제
KR1020200141697A 2020-10-29 2020-10-29 베이스 메이크업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609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697A KR102609803B1 (ko) 2020-10-29 2020-10-29 베이스 메이크업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697A KR102609803B1 (ko) 2020-10-29 2020-10-29 베이스 메이크업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979A KR20220056979A (ko) 2022-05-09
KR102609803B1 true KR102609803B1 (ko) 2023-12-05

Family

ID=81581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697A KR102609803B1 (ko) 2020-10-29 2020-10-29 베이스 메이크업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8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0011A1 (en) 2003-03-13 2004-09-16 Wacker Chemical Corporation Cosmetic formulation comprising alkyl phenyl silsesquioxane resins
JP2018070516A (ja) 2016-10-31 2018-05-10 花王株式会社 油中水型乳化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2191B1 (fr) * 1999-04-16 2004-04-30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l'association d'un ester particulier et d'un compose silicone
KR101738363B1 (ko) 2015-08-28 2017-05-25 (주)젠텍 광학적 효과에 의한 색채 효과를 나타내는 안정한 고광택 유색진주광택안료의 표면처리 방법 및 화장료 조성물
FR3060385B1 (fr) * 2016-12-21 2020-01-03 L'oreal Composition comprenant de l’eau, une resine siliconee, une huile siliconee non volatile et procede la mettant en oeuvre
FR3062301B1 (fr) * 2017-02-02 2020-03-13 Chanel Parfums Beaute Emulsion cosmetique eau-dans-huile solide
US10881601B2 (en) * 2017-09-29 2021-01-05 L'oreal Cosmetic compositions capable of forming a multilayer structure after application to a keratinous material
KR102253136B1 (ko) * 2018-11-01 2021-05-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윤기 지속형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0011A1 (en) 2003-03-13 2004-09-16 Wacker Chemical Corporation Cosmetic formulation comprising alkyl phenyl silsesquioxane resins
JP2018070516A (ja) 2016-10-31 2018-05-10 花王株式会社 油中水型乳化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979A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322B1 (ko) 유중수형 에멀젼 액상루즈 조성물
US10632057B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eyes
KR102032115B1 (ko) 매트 타입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N112969506B (zh) 多层型彩妆保护化妆料
TW202034893A (zh) 防曬化妝料
CN113679622A (zh) 一种立体烤粉哑光腮红及其制备方法
CA2256836A1 (fr) Composition de soin des levres contenant de l'acide acexamique, ses utilisations
JP2002302418A (ja) 油中水型エマルション及びそれを含む組成物並びにその化粧品用、製薬用または衛生用の使用
KR101450387B1 (ko) 내열성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609803B1 (ko) 베이스 메이크업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625672B1 (ko)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3538B1 (ko) 광택감과 색 묻어남 정도가 개선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N112807234A (zh) 具有流动性以及稳定性的油包水型化妆料组合物
KR20140078149A (ko) 투명한 외관을 가지며 모공 및 주름을 커버할 수 있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506618B1 (ko)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327220B1 (ko) 유동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606776B1 (ko) 유성 고체형태 화장료
KR20180121037A (ko)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104768B1 (ko)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2035A (ko)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3474B1 (ko) 탁도가 감소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FR3014314A1 (fr) Compositions comprenant un polymere filmogene lipophile et une quantite elevee de mono-alcool
KR101985171B1 (ko) 친수성 겔화제 및 폴리올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0528785B1 (ko) 왁스-프리 실리콘중수 유화형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KR100372773B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