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352B1 - 고강도·저소음 및 배수성 기능을 갖는 개질된 아스콘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강도·저소음 및 배수성 기능을 갖는 개질된 아스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352B1
KR102608352B1 KR1020230134929A KR20230134929A KR102608352B1 KR 102608352 B1 KR102608352 B1 KR 102608352B1 KR 1020230134929 A KR1020230134929 A KR 1020230134929A KR 20230134929 A KR20230134929 A KR 20230134929A KR 102608352 B1 KR102608352 B1 KR 102608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yrene
parts
block copolymer
copolym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4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수
Original Assignee
진산아스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산아스콘(주) filed Critical 진산아스콘(주)
Priority to KR1020230134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3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3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76Polystyr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22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11Polyalk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82Segregation-preventing agents; Sedimentation-prevent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4Flow impr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0Surface-active agents, dispersants
    • C04B2103/408Dispers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241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284Materials permeable to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5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road constr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52Sound-insulating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강도·저소음 및 배수성 기능을 갖는 개질된 아스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저온균열, 소성변형 등이 일어나기 쉬운 일반적인 배수성 아스콘 콘크리트의 단점을 보완하여 교통소음의 저감과 함께 도로의 투·배수 기능을 향상시키고, 아스콘 포장의 강도 증가에 의한 내구성을 향상시켜 안전성의 확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강도·저소음 및 배수성 기능을 갖는 개질된 아스콘 조성물{Modified asphalt composition with high strength, low noise and drainage function}
본 발명은 고강도·저소음 및 배수성 기능을 갖는 개질된 아스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교통소음의 저감과 함께 도로의 투·배수 기능을 향상시키고, 아스콘 또는 아스팔트 포장의 강도 증가에 의한 내구성을 향상시켜 안전성의 확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저소음 및 배수성 기능을 갖는 개질된 아스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국민생활과 국가 경제활동을 지지하는데 가장 밀접하고 중요한 사회간접 자본시설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그동안 우리나라는 포장도로의 구조가 우천시에 노면에 떨어지는 빗물이 도로의 표층면으로 거의 침투되지 않고 노면에 빗물이 고여 주행시 주행차량에 의한 물보라로 인해 시야가 좁아지고, 타이어와 노면의 마찰로 인한 수막현상으로 인한 미끄럼 저항성이 떨어져 차량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일반적인 포장도로는 2~3년이 경과한 후에 균열이 집중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포장도로의 보수 또는 재포장으로 인한 포장비용의 손실이 크고, 재포장의 시공에 따른 교통 흐름의 방해 요인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방안으로 고강도의 아스콘 콘크리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특허문헌 1의 저소음 배수성의 개질 아스콘 제조방법과 특허문헌 2의 아스콘용 개질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및 저소음 아스콘 조성물 및 특허문헌 3의 저소음형 PCM 개질 신재 아스콘 조성물과 같이 주로 소음 감소에 중점을 둔 특허들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저소음 뿐만 아니라 아스콘의 강도 향상 및 배수성의 기능을 동시에 향상시킨 개질된 아스콘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91764호(2023.01.19. 등록) 저소음 배수성의 개질 아스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86361호(2023.01.04. 등록)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개질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및 저소음 아스콘 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36156호(2022.08.22. 등록) 저소음형 PCM 개질 신재 아스콘 조성물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은 교통소음의 저감과 함께 도로의 투·배수 기능을 향상시키고, 아스콘 포장의 강도 증가에 의한 내구성을 향상시켜 안전성의 확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저소음 및 배수성 기능을 갖는 개질된 아스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멘트 100 중량부; 개질제 4~16 중량부; 접착증진제 2~6 중량부; 박리방지제 1~2 중량부; 강도보강제 0.3~2.0 중량부; 및 소음감소제 0.3~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저소음 및 배수성 기능을 갖는 개질된 아스콘 조성물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개질제는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분산제 15~20 중량부, 유동화제 0.5~1.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수지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블록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블록공중합체 수지,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 블록 공중합체 수지 또는 스티렌-부타디엔(SB) 블록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증진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상기 소음감소제는 활성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과제 해결 수단을 갖는 본 발명은 저온균열, 소성변형 등이 일어나기 쉬운 일반적인 배수성 아스콘 콘크리트의 단점을 보완하여 교통소음의 저감과 함께 도로의 투·배수 기능을 향상시키고, 아스콘 포장의 강도 증가에 의한 내구성을 향상시켜 안전성의 확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강도·저소음 및 배수성 기능을 갖는 개질 아스콘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저소음 및 배수성 기능을 갖는 개질된 아스콘 조성물(이하, '개질된 아스콘 조성물'이라 한다.)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개질된 아스콘트 조성물은 시멘트 100 중량부; 개질제 4~16 중량부; 접착증진제 2~6 중량부; 박리방지제 1~5 중량부; 강도보강제 0.3~2.0 중량부; 및 소음감소제 0.3~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개질제는 60℃에서 점도가 200,000 포이즈 이상이 되도록 중량평균 분자량이 70,000∼110,00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시멘트의 유동성을 향상시켜 포장도로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개질제는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4~16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수지의 성상이 상기에서 한정한 조건 미만이 될 경우 60℃에서 점도가 저하되어 아스콘 포장시 점성이 높아 끈적임이 많아지고 골재 혼합물과 화학적 결합력이 떨어져 내구성 유지에 어려움이 우려되며,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수지의 성상이 상기에서 한정한 조건을 초과할 경우 60℃에서 점도가 증가되어 아스콘 포장시 도리어 골재 혼합물과 화학적 결합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개질제는 구체적으로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분산제 15~20 중량부, 유동화제 0.5~1.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수지는 구체적으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블록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블록공중합체 수지,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 블록 공중합체 수지 또는 스티렌-부타디엔(SB) 블록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수지는 골재 혼합물과 시멘트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골재 혼합물의 이탈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공중합체의 스티렌 함량은 25~35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공중합체의 형태는 블록 또는 분기된 것 중에서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접착증진제는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수지와 분산제 등의 밀착성을 증진시켜 개질제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혼합량은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4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증진제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조건 미만이 될 경우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수지와 분산제 등의 밀착성이 떨어져 개질제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접착증진제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조건을 초과할 경우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수지와 분산제 등의 밀착성은 좋아지지만 그에 따른 효과가 미약하다.
그리고 상기 접착증진제는 구체적으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분산제는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수지의 저장안정성, 분산성 등을 향상시켜 상용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혼합량은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2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산제의 첨가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조건 미만이 될 경우 상기 수지의 분산성이 저하되어 개질제의 저장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분산제의 첨가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조건을 초과할 경우 상기 수지의 높은 분산성으로 인해 도리어 개질제의 점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산제는 구체적으로 파라핀계 프로세스오일, 나프탄계 프로세스오일, 아로마틱계 프로세스오일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유동화제는 고강도 개질된 아스콘의 유동성을 향상시켜 타설시 시공성, 부착성 등이 우수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혼합량은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1.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동화제의 첨가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조건 미만이 될 경우 유동화제의 혼합량 저하로 고강도 개질된 아스콘의 유동성 개선에 어려움이 우려되고, 유동화제의 첨가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조건을 초과할 경우 고강도 개질된 아스콘의 유동성 개선으로 타설시 시공성, 부착성 등은 우수하지만 그에 따른 효과가 미약하다.
그리고 상기 유동화제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0~15,000 범위인 실란 화합물 또는 실록산 올리고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실란 화합물로는 퍼플루오로알킬시실란 또는 테트라알콕시실란을 사용할 수 있고, 실록산 올리고머로는 트리알콕시실란, 테트라알콕시실란, 디알콕시실란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박리방지제는 외부로부터 아스콘 포장 내부에 스며드는 수분에 의한 아스콘과 골재와의 박리를 방지하기 위한 작용을 하는 첨가제로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방지제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 미만이 될 경우에는 아스콘 포장 내부에 스며드는 수분에 의한 시멘트와 골재와의 박리를 제대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개질된 아스콘의 다른 특성들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박리방지제는 구체적으로 소석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도보강제는 아스콘과 골재와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도로포장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첨가제로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2.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도보강제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 미만이 될 경우에는 아스콘과 골재와의 접착력이 제대로 향상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개질된 아스콘의 다른 특성들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강도보강제는 구체적으로 리그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리그닌은 침엽수나 활엽수 등의 목질부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성분 중에서 p-coumaryl alcohol(H), coniferyl alcohol(G)과 sinapyl alcohol(S)이라는 전구물질들이 β-O-4 또는 탄소-탄소 결합에 의해서 복잡한 3차원 구조의 지용성 페놀고분자로서, 아스콘과 골재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소음감소제는 많은 기공에 의해 표면적이 넓어 소음의 흡음성이 강한 다공성 소재로서, 노면에서 발생하는 교통소음을 흡음하는 작용을 하는 첨가제로서,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1.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음감소제의 혼합량이 상기에서 한정한 범위 미만이 될 경우에는 노면에서 발생하는 교통소음의 흡음 작용이 저하할 우려가 있고, 기에서 한정한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개질된 아스콘의 노면 강도 등과 같은 기계적 물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소음감소제는 구체적으로 활성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증점제, 동결방지제, 산화방지제, 자외선차단제 등과 같은 다양한 첨가제를 추가할 수 있으며, 이들의 함량은 실험에 따라 적절한 물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저소음 및 배수성 기능을 갖는 개질된 아스콘 조성물은 저온균열, 소성변형 등이 일어나기 쉬운 일반적인 배수성 아스콘 콘크리트의 단점을 보완하여 교통소음의 저감과 함께 도로의 투·배수 기능을 향상시키고, 아스콘 포장의 강도 증가에 의한 내구성을 향상시켜 안전성의 확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저소음 및 배수성 기능을 갖는 개질된 아스콘 조성물을 아래의 실시 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상기 본 발명은 실시 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개질된 아스콘 조성물의 제조
고강도·저소음 및 배수성 기능을 갖는 개질된 아스콘 조성물은 아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2. 표층용 공시체의 제조
아래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골재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강도·저소음 및 배수성 기능을 갖는 개질 아스콘 조성물을 사용하여 165±3℃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타설한 후 다짐하여 제조된 표층용 공시체를 제조하였다.
3. 물성 평가
상기 표층용 공시체인 실시예 4 내지 6 및 비교예 4 내지 6에 대한 물성시험은 국토교통부의 배수성 아스콘콘크리트 포장 생산 및 시공 지침(2020.08.)에 따라 물성시험을 하였고, 표층용 공시체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물성시험의 측정결과는 아래 [표 3]의 내용과 같다.
항목 기준값 실시예 비교예
4 5 6 4 5 6
마샬다짐횟수(회) 양면 각 50 50 50 50 50 50 50
안정도(N))1) 5,000 이상 6,127 6,163 6,211 5,721 5,743 5,752
흐름손실률(%)2) 0.3 이하 0.10 0.12 0.11 0.21 0.23 0.24
공극률(%)3) 16 이상 21.8 21.7 21.8 21.7 21.8 21.9
칸탄브로손실률(%)4) 20 이하 13.2 13.1 13.1 18.2 17.9 18.3
동적 안정도(회/mm)5) 3,000 이상 3,923 3,952 3,976 3,112 3,145 3,134
실내투수계수(cm/sec)6) 0.05 이상 0.10 0.11 0.10 0.07 0.08 0.07
1) 한국아스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의 단체규격인 SPS-KAI0002-F2349-5687(가열아스콘트 혼합물, 2018년 1월 30일 개정)의 규격에 의함.
2) 흐름손실률은 KS F 2489에 섬유질이 혼합되지 않은 아스콘은 팬(pan)을 이용한 방법으로, 섬유질이 혼합된 아스콘 혼합물은 유리비커를 이용한 방법에 따라 시험함.
3) KS F 2496, KS F 2366 및 KS F 2364의 방법에 의함.
4) KS F 2492의 방법에 따라 공시체를 60℃에서 수침 후 완전 건조시켜 20℃에서 시험함.
5) KS F 2742의 방법에 의함.
6) KS F 2494의 방법에 의함,
상기 [표 3]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표층용 공시체인 실시예 4 내지 6 및 비교예 4 내지 6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아래 [표 3]의 내용과 같이 실시예 4 내지 6은 모두 기준값을 만족하고 있으며, 실시예 4 내지 6이 비교예 4 내지 6과는 달리 박리방지제 및 강도보강제를 첨가함에 따라 실시예 4 내지 6이 비교예 4 내지 6에 비해 중요 물성인 안정도 및 동적 안정도의 물성이 우수한 것으로 추정된다.
4. 소음 평가
상기 [표 2]의 실시예 4 내지 6 및 비교예 4 내지 6의 표층용 공시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내의 바닥면에 두께 60mm의 배수성 아스콘 포장체(가로 × 세로 : 100cm × 100cm)를 시공한 다음 질량 500g인 해머를 40mm 높이에서 자유낙하시키고, 마이크로폰의 높이는 바닥으로부터 1.2m, 벽면 등으로부터 0.75m 떨어진 지점에서 경량충격음을 측정한 결과는 아래 [표 4]의 내용과 같다.
실시예(dB) 비교예(dB)
4 5 6 4 5 6
48.4 47.8 47.2 50.3 50.7 51.2
상기 [표 4]에 의하면, 실시예 4 내지 6이 비교예 4 내지 6에 비해 발생하는 소음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실시예 4 내지 6의 소음감소제인 활성탄이 해머의 충격음을 흡수함에 따라 소음이 감소된 것으로 추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저소음 및 배수성 기능을 갖는 개질된 아스콘 조성물은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그 물성의 우수성이 입증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아스콘 100 중량부;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산제 15~20 중량부, 유동화제 0.5~1.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한 개질제 4~16 중량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에서 1종 또는 2종을 선택하는 접착증진제 2~6 중량부;
    박리방지제인 소석회 1~2 중량부;
    강도보강제인 니그린 0.3~2.0 중량부; 및
    소음감소제인 활성탄 0.3~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스티렌 함량은 25~35몰%이며, 상기 개질제는 60℃에서 점도가 200,000 포이즈이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70,000~110,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증가에 의한 내구성 향상 및 안전성의 확보가 가능한 고강도·저소음 및 배수성 기능을 갖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수지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블록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블록공중합체 수지,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 블록 공중합체 수지 또는 스티렌-부타디엔(SB) 블록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저소음 및 배수성 기능을 갖는 개질된 아스콘 조성물.
  4. 삭제
  5. 삭제
KR1020230134929A 2023-10-11 2023-10-11 고강도·저소음 및 배수성 기능을 갖는 개질된 아스콘 조성물 KR102608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4929A KR102608352B1 (ko) 2023-10-11 2023-10-11 고강도·저소음 및 배수성 기능을 갖는 개질된 아스콘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4929A KR102608352B1 (ko) 2023-10-11 2023-10-11 고강도·저소음 및 배수성 기능을 갖는 개질된 아스콘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352B1 true KR102608352B1 (ko) 2023-11-30

Family

ID=88968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4929A KR102608352B1 (ko) 2023-10-11 2023-10-11 고강도·저소음 및 배수성 기능을 갖는 개질된 아스콘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35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9219A (ja) * 1994-10-11 1996-04-30 Asahi Chem Ind Co Ltd 水添重合体
JP2011246648A (ja) * 2010-05-28 2011-12-08 Asahi Kasei Chemicals Corp アスファルト改質用ブロック共重合体及びアスファルト組成物
KR20180016502A (ko) * 2015-07-16 2018-02-14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부분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점접착 조성물, 점접착성 테이프, 라벨,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및 포장용 바인더 조성물
CN110872447A (zh) * 2018-08-30 2020-03-10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净化汽车尾气的高粘沥青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436156B1 (ko) 2021-07-28 2022-08-29 중앙아스콘(주) 저소음형 pcm 개질 신재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KR102486361B1 (ko) 2022-05-18 2023-01-10 청호이앤씨(주)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개질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및 저소음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KR102491764B1 (ko) 2021-11-19 2023-01-27 김규태 저소음 배수성의 개질 아스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9219A (ja) * 1994-10-11 1996-04-30 Asahi Chem Ind Co Ltd 水添重合体
JP2011246648A (ja) * 2010-05-28 2011-12-08 Asahi Kasei Chemicals Corp アスファルト改質用ブロック共重合体及びアスファルト組成物
KR20180016502A (ko) * 2015-07-16 2018-02-14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부분 수소 첨가 블록 공중합체, 점접착 조성물, 점접착성 테이프, 라벨,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및 포장용 바인더 조성물
CN110872447A (zh) * 2018-08-30 2020-03-10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净化汽车尾气的高粘沥青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436156B1 (ko) 2021-07-28 2022-08-29 중앙아스콘(주) 저소음형 pcm 개질 신재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KR102491764B1 (ko) 2021-11-19 2023-01-27 김규태 저소음 배수성의 개질 아스콘 제조방법
KR102486361B1 (ko) 2022-05-18 2023-01-10 청호이앤씨(주)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개질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및 저소음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8489B1 (ko) 보수성 기층을 갖는 배수성·저소음 합성 도로포장 시공방법
KR101773927B1 (ko) 고등급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72896B1 (ko) 친환경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CN101775223B (zh) 高温重载道路排水性沥青混合料的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9650781B (zh) 一种中低温温拌高摩阻薄层罩面沥青混合料及其制备方法
KR100840708B1 (ko) 내유동 및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 제조를 위한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 및 그 아스팔트 혼합물
KR101961272B1 (ko) Sis, s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저소음 배수성 복층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46982B1 (ko) Sis, se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결빙방지용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33112B1 (ko) 배수성이 원활한 저소음용 아스팔트 혼합물
KR100715623B1 (ko)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과 그 제조방법
KR101954243B1 (ko) Sis, s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Aman et al. Effects of anti-stripping additives on moisture sensitivity of warm porous asphalt mixtures
KR102119742B1 (ko) Sis, se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저소음 배수성 복층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88825B1 (ko)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si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교면포장용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08352B1 (ko) 고강도·저소음 및 배수성 기능을 갖는 개질된 아스콘 조성물
Aman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anti-stripping additives in porous asphalt mixtures
KR101124584B1 (ko) 배수성 아스팔트 조성물을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EP1291391B1 (en) Bitumen aggregate and method for producing road structural layer
KR100887295B1 (ko) 컬러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KR100471989B1 (ko) 반강성과 보수성을 갖는 도로포장방법 및 도로포장재
KR100780177B1 (ko) 고점도 고내구성 개질 아스팔트용 개질제 및 이를 이용한 개질 아스팔트
KR100432485B1 (ko) 배수성 아스팔트의 제조방법
KR102119771B1 (ko) Sis, se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저소음 배수성 중온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20005B1 (ko) 투수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41150B1 (ko)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 혼합물용 아스팔트 바인더, 그 제조방법 및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 혼합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