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070B1 -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 - Google Patents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070B1
KR102608070B1 KR1020230058378A KR20230058378A KR102608070B1 KR 102608070 B1 KR102608070 B1 KR 102608070B1 KR 1020230058378 A KR1020230058378 A KR 1020230058378A KR 20230058378 A KR20230058378 A KR 20230058378A KR 102608070 B1 KR102608070 B1 KR 102608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re
shutter
evacua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8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충섭
Original Assignee
(주)에스디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디엠 filed Critical (주)에스디엠
Priority to KR1020230058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0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6Sh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에 관한 것으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복도나 도로를 차단하는 셔터를 내화성이 우수하고,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으며, 차열기능을 갖는 실리카 섬유로 형성함으로써, 화재가 발생된 공간의 열기가 전도되어 화재가 발생 되지 않은 공간에 불이 옮겨 붙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화염이 강하더라도 타거나 구멍이 발생되지 않아 불길 및 화재시 발생되는 유독가스가 셔터를 통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통로를 차단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셔터부를 포함하는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로서, 상기 셔터부는 파이버 소재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FIRE SHUTTER THAT ENABLE RAPID EVACUATION}
본 발명은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복도나 도로를 차단하는 셔터를 내화성이 우수하고,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는 실리카 섬유로 형성함으로써, 화재가 발생된 공간의 열기가 전도되어 화재가 발생 되지 않은 공간에 불이 옮겨 붙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화염이 강하더라도 타거나 구멍이 발생되지 않아 불길 및 화재시 발생되는 유독가스가 셔터를 통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화재 발생시 발화지점을 신속히 봉쇄함으로써 화재가 주위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 시에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건축법 및 소방법 소정의 규정에 정한 바에 따라,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이러한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는 상하로 연결되는 길쭉한 판상의 슬랫과, 상기 슬랫을 상하로 승강 이동시킬 수 있도록 건물 의 측벽에 매설하는 가이드레일, 그리고 건물의 천정에 설치되며 슬랫을 승강시키는 구동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셔터박스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는 메인플레이트에 의하여 봉쇄되는 특정공간 내부로 외부사람이 진입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과 더불어, 화재 발생시 외부공기가 발화지역으로 유입되어 피해지역을 확산시키게 되는 것을 차단하여 조기 진화가 가능토록 함은 물론, 화염 및 유독가스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여러 가지의 기능을 만족시킬 수 있어야만 한다
이러한 종래의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는 최근에 화염의 근접 등으로 인한 고열을 차단할 수 있는 차열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를 개발하고 있으나 화재의 고열이나 풍열이 외부로 전도되어 화재를 확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94223호
본 발명은,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복도나 도로를 차단하는 셔터를 내화성이 우수하고,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으며, 차열기능을 갖는 실리카 섬유로 형성함으로써, 화재가 발생된 공간의 고열이나 풍열이 전도되어 화재가 발생 되지 않은 공간에 불이 옮겨 붙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화염이 강하더라도 타거나 구멍이 발생되지 않아 불길 및 화재시 발생되는 유독가스가 셔터를 통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셔터를 냉각수 및 냉각코일로 냉각시켜 온도를 낮춤에 따라, 셔터가 최고점까지 가열되는 시간을 지연시킴에 따라, 화재가 발생된 공간의 열기가 전도되어 화재가 발생 되지 않은 공간에 불이 옮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셔터에 사람이나 물건을 통과시킬 수 있는 대피홀을 형성하고, 대피홀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처 대피하지 못한 대피자가 화재가 발생한 장소에 갇히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대피홀을 통해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장소로 대피한 다음에는 대피홀을 폐쇄시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셔터의 상측과 하측에 대피홀을 분산시켜 여러명의 대피자가 서로 기다리거나 겹치지 아니하고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일정높이의 디딤부를 제공하여 키가 작은 대피자가가 셔터의 높은 곳에 위치된 대피홀을 용이하게 넘어가 대피하도록 할 수 있는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딤부는 평상시 복도의 벽체에 매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만 자동으로 복도에 인출되도록 할 수 잇는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도의 바닥면에 대피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차부 및 물건을 탑재할 수 있는 탑재부를 마련하여 노인이나 장애인 등과 거동이 불편한 대피자나, 이동속도가 느린 어린 아이들을 해당 보호자가 신속하게 대피시키도록 할 수 있는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는, 화재발생시 통로를 차단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셔터부를 포함하는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로서, 상기 셔터부는 실리카 섬유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로의 양측에 배치된 벽체의 끝단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셔터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며, 상기 셔터부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부; 및 상기 셔터부를 상기 가이드레일부 상에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작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내부에는 상기 셔터부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작동부는, 상기 셔터부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승강가이드홀 상에서 승강되는 승강체; 상기 승강체에 체결되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스크류부; 및 상기 승강스크류부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셔터부의 하측에는 사람 또는 물건을 통과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피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셔터부의 상측에는 사람 또는 물건을 통과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 대피홀이 형성되되, 상기 부가 대피홀은 상기 대피홀과 상,하 방향으로 대각선상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셔터부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고, 일측에 주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를 각각 노출시키도록 복수개의 절개영역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탱크부; 상기 대피홀 및 부가 대피홀을 각각 공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어느 하나의 탱크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면에 복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하 방향으로 회동될 시 경사면을 제공하며, 파이버 소재로 형성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의 일면에 매립되는 제1 자석부; 상기 셔터부의 일면에 매립되며 상기 제1 자석부가 부착되는 제2 자석부; 저면에 상기 고정홈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가 하 방향으로 회동될 시 상기 개폐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경사면을 제공하며, 파이버 소재로 형성되는 대피가이드; 화재발생시 상기 탱크부의 내부의 저장공간에 냉각수를 충진하는 냉각수 공급부; 상기 탱크부에 각각 설치되며, 화재발생시 작동하여 상기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코일부; 상기 셔터부의 전측과 후측 방향에서 상기 벽체의 내부에 각각 매립되며, 대피자가 상기 부가 대피홀을 통해 대피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계단이 형성된 디딤부; 상기 셔터부의 전측과 후측 방향에서 상기 벽체의 내부에 각각 매립되며, 화재발생시 상기 디딤부를 탱크부의 전측과 후측으로 각각 노출시키는 푸쉬실린더; 및 상기 셔터부의 전측과 후측에서 각각 설치되는 이동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가이드부는, 실내 바닥면에 매립되며 직사각형 틀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가이드; 상기 회전가이드의 내부공간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양측면에 상기 회전가이드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회전축이 형성된 회전롤러; 상기 회전롤러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며, 대피자가 탑승하는 복수개의 탑차부; 상기 탑차부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충격흡수용 범퍼부; 상기 탑차부의 양측면에 설치되며 대피자가 한쪽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지지바; 상기 탑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탑재부; 상기 탑재부의 내부에 탑재되며, 대피자가 소지한 물건을 수납하도록 마련되고, 상측에 한 쌍의 손잡이가 형성된 수납부; 및 상기 탑재부의 바닥면에 매립되며, 상기 수납부를 상승시켜 탑재부의 상측으로 돌출시키는 상승실린더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복도나 도로를 차단하는 셔터를 내화성이 우수하고,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으며, 차열기능을 갖는 실리카 섬유로 형성함으로써, 화재가 발생된 공간의 고열이나 풍열이 전도되어 화재가 발생 되지 않은 공간에 불이 옮겨 붙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화염이 강하더라도 타거나 구멍이 발생되지 않아 불길 및 화재시 발생되는 유독가스가 셔터를 통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셔터를 냉각수 및 냉각코일로 냉각시켜 온도를 낮춤에 따라, 셔터가 최고점까지 가열되는 시간을 지연시킴에 따라, 화재가 발생된 공간의 열기가 전도되어 화재가 발생 되지 않은 공간에 불이 옮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셔터에 사람이나 물건을 통과시킬 수 있는 대피홀을 형성하고, 대피홀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처 대피하지 못한 대피자가 화재가 발생한 장소에 갇히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대피홀을 통해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장소로 대피한 다음에는 대피홀을 폐쇄시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셔터의 상측과 하측에 대피홀을 분산시켜 여러명의 대피자가 서로 기다리거나 겹치지 아니하고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일정높이의 디딤부를 제공하여 키가 작은 대피자가가 셔터의 높은 곳에 위치된 대피홀을 용이하게 넘어가 대피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딤부는 평상시 복도의 벽체에 매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만 자동으로 복도에 인출되도록 할 수 잇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복도의 바닥면에 대피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차부 및 물건을 탑재할 수 있는 탑재부를 마련하여 노인이나 장애인 등과 거동이 불편한 대피자나, 이동속도가 느린 어린 아이들을 해당 보호자가 신속하게 대피시키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에 적용된 셔터부 및 탱크부들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에 적용된 셔터부와, 탱크부와, 개폐부와, 자석부와, 냉각수 공급부와, 대피가이드 및 개재부를 도시한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에 적용된 탱크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에 적용된 개폐부 및 대피가이드의 사용 예를 도시한 일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에 적용된 셔터부와, 가이드레일부와, 탱크부 및 디딤부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에 적용된 디딤부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일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에 적용된 디딤부 및 푸쉬실린더를 도시한 일측면도.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에 적용된 셔터부와, 가이드레일부와, 탱크부 및 이동가이드부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에 적용된 이동가이드부의 구성을 도시한 일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에 적용된 이동가이드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에 적용된 수납부 및 상승실린더의 관계를 도시한 일측면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에 적용된 셔터부 및 탱크부들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에 적용된 셔터부와, 탱크부와, 개폐부와, 자석부와, 냉각수 공급부와, 대피가이드 및 개재부를 도시한 일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에 적용된 탱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에 적용된 개폐부 및 대피가이드의 사용 예를 도시한 일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에 적용된 셔터부와, 가이드레일부와, 탱크부 및 디딤부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에 적용된 디딤부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일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에 적용된 디딤부 및 푸쉬실린더를 도시한 일측면도이고,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에 적용된 셔터부와, 가이드레일부와, 탱크부 및 이동가이드부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에 적용된 이동가이드부의 구성을 도시한 일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에 적용된 이동가이드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에 적용된 수납부 및 상승실린더의 관계를 도시한 일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1)는, 역사 내 보도, 학교, 백화점, 지하도, 지하상가 등과 같은 다양한 건축물의 실내 통로에 설치되며, 화재가 발생할 시 통로를 차단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1)는 셔터부(10)와, 가이드레일부(20)와, 승강작동부(30)와, 개폐부(50)와, 제1 자석부(60)와, 제2 자석부(70)와, 대피가이드(80)와, 탱크부(40)와, 냉각수 공급부(90)와, 냉각코일부(100)와, 디딤부(110)와, 푸쉬실린더(120) 및 이동가이드부(13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셔터부(10)는 다수개로 적용되어 건축물의 실내 통로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셔터부(10)의 간격은 통상의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1)와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셔터부(10)는 화재가 발생할 시 후술되는 승강작동부(30)에 의해 하강되어 통로를 차단함으로써, 화재의 확산을 차단한다. 결국, 셔터부(10)는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방지한다.
이때, 셔터부(10)는 고온에서 사용이 가능한 알루미나, 산화지르코늄, 탄화규소, 타이타늄산칼륨 등의 글래스 파이버(Glass Fiber) 재질 또는 실리카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셔터부(10)는 글래스 파이버 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1260도씨의 온도까지 견디는 세라믹 파이버(Ceramic Fiber) 또는 약 100도씨의 온도까지 견디는 규산칼슘판(Calcium Silicate)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1)는 셔터부(10)를 내화성이 우수하고,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는 파이버 소재 또는 실리카 섬유로 형성함으로써, 화재가 발생된 공간의 열기가 셔터부(10)를 통해 전도되어 화재가 발생 되지 않은 공간에 불이 옮겨 붙지 않도록 하므로 불길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셔터부는 내화성이 부족하여 화염이 강할 경우 타거나 구멍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1)의 셔터부(10)는 파이버 소재 또는 실리카 섬유로 형성되어 내화성이 우수함에 따라, 화염이 강하더라도 타거나 구멍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불길 및 화재시 발생되는 유독가스가 셔터부(10)를 통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부(20)는 화재발생시 셔터부(10)가 하강되어 통로의 일정영역을 차단하도록 가이드하는 구성이다.
가이드레일부(20)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통로의 양측에 배치된 벽체(W)의 끝단에 배치되어 서로 대향된다.
가이드레일부(20)는 서로 마주하는 면이 개방되고, 그 내부에 셔터부(10)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홀(20a)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레일부(20)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전술한 셔터부(10)가 배치된다.
승강작동부(30)는 셔터부(10)를 가이드레일부(20) 상에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성이다.
승강작동부(30)는 셔터부(1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승강가이드홀(20a) 상에서 승강되는 승강체(31)와, 승강체(31)에 체결되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체(3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스크류부(32) 및 승강스크류부(3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3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모터(33)가 승강스크류부(32)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승강체(31)가 승강스크류부(32)의 나선을 따라 하강되어 셔터부(10)가 통로를 차단하게 되고, 모터(33)가 승강스크류부(3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승강체(31)가 승강스크류부(32)의 나선을 따라 상승되어 셔터부(10)가 통로를 개방할 수 있다.
일 예로, 모터(33)는 가이드레일부(2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실내 바닥면에 안착될 수 있다. 모터(33)는 이와 같은 상태에서 그 축이 승강스크류부(32)의 저면에 결합되어, 승강스크류부(32)를 직접 회전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모터(33)의 축에는 승강스크류부(32)에 치합되는 기어(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모터(33)는 도 2와 달리 가이드레일부(2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실내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기어(미도시)를 회전시켜 승강스크류부(32)에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실내 바닥면에는 승강스크류부(32)의 제자리 회전을 가이드하는 베어링(미도시) 또는 베어링 하우징(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작동부(30)는 공지의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1)의 구성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모터(33)는 실내의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와 연동하여 작동될 수 있다.
일 예로, 감지센서는 화재를 감지할 시,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하고, 제어부는 모터(33)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모터(33)는 셔터부(10)가 하강되도록 승강스크류부(32)를 회전시키게 되며, 결국 셔터부(10)가 점진적으로 하강되어 통로를 폐쇄하게 된다.
한편, 셔터부(10)가 하강되어 통로를 차단시키게 되면 화재의 확산은 방지할 수 있지만 미처 대피하지 못한 대피자는 화재가 발생한 지역에 갇혀 대피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1)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셔터부(10)에는 사람 또는 물건을 통과시키는 복수개의 대피홀(10a)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대피홀(10a)은 대피자가 쉽게 대피할 수 있도록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1)의 상측보다는 하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대피홀(10a)은 여러명의 대피자가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셔터부(10)의 수평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셔터부(10)의 상측에는 다수의 대피자나 물건을 추가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부가 대피홀(10a)이 형성된다.
부가 대피홀(10a)은 대피홀(10a)과 상,하 방향으로 대각선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대피홀(10a)을 통해 대피하는 대피자와 부가 대피홀(10a)을 통해 대피하는 다른 대피자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 대피홀(10a)은 여러명의 대피자가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셔터부(10)의 수평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때, 대피자는 후술되는 대피가이드(80)를 이용하여 부가 대피홀(10a)을 통해 대피하게 된다.
이러한 대피홀(10a) 및 부가 대피홀(10a)은 개폐부(50)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된다.
개폐부(50)는 대피자가 대피홀(10a) 및 부가 대피홀(10a)을 통해 대피할 시, 대피홀(10a) 및 부가 대피홀(10a)을 개방하고, 대피가 완료된 후에는 대피홀(10a) 및 부가 대피홀(10a)을 폐쇄한다.
이를 위해 개폐부(50)는 후술되는 탱크부(40) 중 셔터부(10)의 후면 즉, B영역 방향에 설치되는 탱크부(40)의 절개영역(40c)과 대피홀(10a) 또는 부가 대피홀(10a)에 각각 공동으로 수용된다.
그리고, 개폐부(50)의 하측면은 셔터부(10)의 후면에 결합된 탱크부(40)에 힌지(H)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개폐부(50)는 하 방향으로 회동되면 대피홀(10a) 및 부가 대피홀(10a)을 개방한다.
그리고, 개폐부(50)가 상 방향으로 회동되면 대피홀(10a) 및 부가 대피홀(10a)에 수용되어, 대피홀(10a) 및 부가 대피홀(10a)을 폐쇄한다.
이때, 개폐부(50)는 그 상면이 셔터부(10)의 천장면(10c,10d)과 각각 이격되는 높이를 갖도록 제작된다. 따라서, 개폐부(50)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과정에서 천장면(10c,10d)에 접촉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개폐부(50)와 천장면(10c,10d)의 사이 공간에는 파이버 소재로 형성되는 개재부(140)가 개재된다.
개재부(140)로 인해 개폐부(50)와 천장면(10c,10d)의 사이 공간을 통해 화염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A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대피자는 개재부(140)를 B 구역 방향으로 밀어 바닥으로 떨어뜨린 다음, 개폐부(50)를 B 구역으로 미는 방식으로 회동시켜 대피홀(10a) 및 부가 대피홀(10a)을 개방시킨 다음, 대피홀(10a)이나 부가 대피홀(10a)을 통해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방향으로 대피하면 된다.
이때, 대피자는 대피하기 전에 개폐부(50)를 상 방향으로 회동시켜 탱크부(40)의 절개영역(40c)과, 대피홀(10a) 또는 부가 대피홀(10a)에 공동을 수용시킨 다음, 다시 개폐부(50)와 천장면(10c,10d)의 사이 공간에 개재부(140)를 개재한 후 대피함으로써, 절개영역(40c)과 대피홀(10a) 또는 절개영역(40c)과 부가 대피홀(10a)을 통해 화재가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개폐부(50)는 화재 확산을 방지하면서 고열에 견딜 수 있도록 셔터부(10)와 동일한 파이버 소재로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개폐부(50)의 상면에는 탱크부(4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편(51)이 형성되고, 돌출편(51)의 상면에는 대피가이드(80)와 결합을 위한 복수개의 고정홈(51a)이 형성된다.
제1 자석부(60) 및 제2 자석부(70)는 개폐부(50)가 대피홀(10a) 및 부가 대피홀(10a)을 각각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된다.
제1 자석부(60)는 개폐부(50)의 상면에 매립된다.
그리고, 제2 자석부(70)는 대피홀(10a)의 천장면(10c) 및 부가 대피홀(10a)의 천장면(10d)에 각각 매립되며, 제1 자석부(60)와 반대 극성을 갖도록 형된다.
따라서, 개폐부(50)로 대피홀(10a) 및 부가 대피홀(10a)을 폐쇄하면 제1 자석부(60)와 제2 자석부(70)는 개재부(140)에 의해 이격되더라도 서로 당기는 인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개폐부(50)가 대피홀(10a) 및 부가 대피홀(10a)을 안정적으로 폐쇄하게 되며, 개폐부(50)가 대피자의 인위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1)에서 제1 자석부(60) 및 제2 자석부(70)는 생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개재부(140)의 상면과 저면 내부에는 제1 자석부(60) 및 제2 자석부(70)와 자력으로 부착되는 자석(미도시)이 각각 매립될 수도 있다.
자석이 제1 자석부(60) 및 제2 자석부(70)에 각각 부착됨으로 인해, 개폐부(50)가 대피홀(10a) 및 부가 대피홀(10b)을 각각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개폐부(50)에 대피가이드(80)가 결합될 시, 대피가이드(80)는 대피를 돕는 경사면을 제공하게 된다.
대피가이드(80)는 저면에 고정홈(51a)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돌기(81)가 형성된다.
대피가이드(80)는 고정돌기(81)를 통해 개폐부(50)의 상면에 결합된다.
고정돌기(81)와 고정홈(51a)에는 서로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될 수 있다.
대피가이드(80)는 개폐부(50)가 상 방향으로 회동되어 대피홀(10a) 및 부가 대피홀(10a)을 폐쇄한 상태에서는 셔터부(10)의 후면에 결합된 탱크부(40)에 밀착된다.
이때, 대피가이드(80)를 통해서도 화염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대피가이드(80)는 개폐부(50)가 하 방향으로 회동될 시 그 하단이 바닥면에 지지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대피가이드(80)는 개폐부(5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경사면을 제공한다.
즉, 개폐부(50)의 경사면과 대피가이드(80)의 경사면은 미끄럼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일 예로, 대피자는 개폐부(50)의 경사면과 대피가이드(80)의 경사면을 순차적으로 타고 기어 내려가 실내 바닥면까지 신속하게 도달한 후, 화재지점의 반대방향으로 대피하면 된다.
이때, 개폐부(50)의 경사면에서 대피가이드(80)의 경사면으로 옮겨 가는 과정에서는, 사용자는 자신에 무릅이나 허벅지를 개폐부(50)의 지지면(51b)에 접촉시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대피가이드(80)의 경사면으로 옮겨 가면 된다.
다른 일 예로, 개폐부(50)의 경사면과 대피가이드(80)의 경사면은 대피자의 소지품을 실내 바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대피자가 소지품을 개폐부(50)의 경사면에 올려 놓으면, 소지품이 개폐부(50)의 경사면과 대피가이드(80)의 경사면을 순차적으로 타고 내려가 실내 바닥면으로 낙하된다.
이 경우, 대피자는 양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개폐부(50)의 경사면과 대피가이드(80)의 경사면을 타고 기어내려가면 된다.
나아가, 개폐부(50)의 경사면과 대피가이드(80)의 경사면에는 복수개의 파지바(미도시)가 일정간격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파지바가 적용되는 경우, 대피자는 소지품을 멀리 던져 실내 바닥면에 낙하시킨 후, 개폐부(50)의 경사면과 대피가이드(80)의 경사면을 타고 기어내려가는 과정에서 파지바를 순차적으로 집어가면서 내려가면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1)에서 대피가이드(80)는 대피에 방해가 된다면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편(51)도 생략된다.
이상 설명한, 대피가이드부(80)는 화재 확산을 방지하면서 고열에 견딜 수 있도록 셔터부(10)와 동일한 파이버 소재로 형성된다.
한편, 도 4의 B 영역에서 화재가 발생할 시, 부가 대피홀(10a)을 개폐하는 개폐부(50)에 결합된 대피가이드(80)는 분리하여, 부가 대피홀(10a)을 개폐하는 개폐부(50)를 탱크부(40)에 밀착시킨 다음, 디딤부(110)를 이용하여 부가 대피홀(10a)을 통해 대피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대피가이드(80)는 화재 확산을 방지하면서 고열에 견딜 수 있도록 셔터부(10) 및 개폐부(50)와 동일한 파이버 소재로 형성된다.
디딤부(110)는 셔터부(10)의 전측과 후측 방향에서 실내 벽체(W)의 내부에 각각 매립된다.
디딤부(110)는 화재발생시 푸쉬실린더(120)에 의해 벽체(W)의 외부로 돌출된다.
디딤부(110)에는 대피자가 대피홀(10a)에 비해 높은 위치에 배치된 부가 대피홀(10a)을 통해 대피하도록 대피할 수 있도록 단차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계단(111)이 형성된다.
푸쉬실린더(120)는 셔터부(10)의 전측과 후측 방향에서 벽체(W)의 내부에 각각 매립된다.
푸쉬실린더(120)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푸쉬실린더(120)의 피스톤은 디딤부(110)의 측면과 단순 접촉된다.
푸쉬실린더(120)는 화재발생시 제어부에 의해 작동한다.
즉, 화재발생시 푸쉬실린더(120)에 유압이 주입되어, 피스톤이 전진하면서 디딤부(110)를 푸쉬하여 탱크부(40)의 전측과 후측으로 각각 노출시킨다.
따라서, 대피자는 탱크부(40)의 전측이나 후측으로 노출된 디딤부(110)를 부가 대피홀(10a)로 이동시킨 다음, 개폐부(50)를 밀거나 당겨서 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부가 대피홀(10a)을 개방시킨 다음,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방향으로 대피하면 된다.
이때, A 영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개폐부(50) 및 대피가이드(80)가 화재가 발생한 영역의 반대 영역으로 경사면을 형성하게 됨으로, 대피자가 셔터부(10)의 높은 위치에서 바닥까지 신속하고 안전하게 내려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탱크부(40)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셔터부(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된다.
탱크부(40)는 일측에 주입구(40a)가 형성되며, 내부에 냉각수가 저장되는 저장공간(40b)이 형성된다.
이때, 탱크부(40)에는 대피홀(10a), 부가 대피홀(10a), 개폐부(50)를 노출시키도록 복수개의 절개영역(40c)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탱크부(40)는 파이버 소재나 튜브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냉각수 공급부(90)는 화재발생시 탱크부(40)의 내부의 저장공간(40b)에 냉각수를 충진한다.
냉각수 공급부(90)는 실내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수 공급부(90)는 펌프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펌프는 냉각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저장탱크는 실내 통로에 배치되거나 또는, 실내 벽체(W)에 매립될 수 있다.
즉, 감지센서가 화재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면, 제어부는 전술한 모터(33)와 냉각수 공급부(90)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냉각수 공급부(90)는 펌핑작동에 의해 저장탱크 내의 냉각수를 탱크부(40)의 저장공간(40b)에 공급한다.
냉각수가 탱크부(40)에 공급하면 셔터부(10)의 온도를 낮춤에 따라, 셔터부(10)가 불에 타는 것을 방지하면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셔터부(10)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결국 화재의 확산을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냉각코일부(100)는 각각의 탱크부(40) 내면이나 외면에 설치되거나 또는, 셔터부(10)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냉각코일부(100)는 화재발생시 제어부에 의해 작동하여 냉각수를 냉각시킨다.
즉, 냉각코일부(100)로 인해 냉각수가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셔터부(10)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낮출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동가이드부(130)는 노인이나 장애인 등과 거동이 불편한 대피자나, 이동속도가 느린 어린 아이들을 해당 보호자가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동가이드부(130)는 셔터부(10)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가이드(131)와, 회전롤러(132)와, 탑차부(133)와, 충격흡수용 범퍼부(134)와, 지지바(135)와, 탑재부(136)와, 수납부(137) 및 상승실린더(138)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가이드(131)는 직사각형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회전가이드(131)는 실내 바닥면에 매립된다.
회전가이드(131)는 실내 바닥면의 대피 경로를 따라 설치된다.
회전롤러(132)는 회전가이드(131)의 내부공간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양측면에 회전가이드(131)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회전축(1321)이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롤러(132)는 회전가이드(131)의 내부공간에서 후술되는 탑차부(133)와의 마찰에 의해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회전롤러(132)의 상측 부분이 수용되는 빈 공간이 형성된 사각박스 형태의 덮개(미도시)로 평상시 통행하는 사람이 회전롤러(132)를 밟고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재가 발생할 경우, 관리자나 대피자가 덮개를 제거하면 된다.
탑차부(133)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탑차부(133)에는 노인, 장애인, 어린이와 같이 이동속도가 느린 대피자를 탑승시키면 된다.
그리고, 노인, 장애인, 어린이의 보호자가 탑차부(133)를 밀어서 함께 대피하면 된다.
이때, 탑차부(133)는 저면에 회전롤러(132)의 상면에 안착되는 바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바퀴는 탑차부(133)를 이동시킬 경우, 회전롤러(13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탑차부(133)를 빠른 속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바퀴는 생략될 수도 있다.
바퀴가 생략되는 경우 탑차부(133)의 저면이 회전롤러(13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탑차부(133)는 여러명의 대피자를 이동시키도록 다수개로 적용될 수 있다.
충격흡수용 범퍼부(134)는 탑차부(133)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된다.
*충격흡수용 범퍼부(134)는 다른 탑차부(133)의 충격흡수용 범퍼부(134)와 충돌할 시 충격을 흡수하고. 대피자와 충돌할 시 부상을 방지하도록 고무, 실리콘과 같이 충격흡수력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바(135)는 탑차부(133)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다.
노인, 장애인, 어린이의 보호자는 어느 하나의 지지바(135)에 한쪽 발을 올려놓는 형태로 탑승한 다음, 다른 한쪽 발로는 바닥을 일정거리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밀어가면서 탑차부(133)를 이동시키면 된다.
이러한 지지바(135)로 인해 보호자가 회전롤러(132)를 밟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어, 보호자가 회전롤러(132)에 의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탑재부(136)는 탑차부(133)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다.
도면에는 탑재부(136)가 하나로 적용되며, 탑차부(133)의 측면에 설치된 예를 도시하였다.
탑재부(136)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된다.
수납부(137)는 탑재부(136)의 내부공간에 탑재되며, 대피자가 소지한 물건을 수납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수납부(137)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된다.
수납부(137)의 빈 공간에는 백화점이나 상가에서 구매한 물건이나 귀중품을 탑재하면 된다.
수납부(137)는 고무, 합성수지, 천, 부직포, 비닐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납부(137)의 상측에는 한 쌍의 손잡이가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가이드(131)의 끝부분까지 이동한 다음에는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로 다음 장소로 대피하면 된다.
탑재부(136)에 물건이나 귀중품을 탑재하면 양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탑차부(133)를 대피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수납부(137)는 가방이나 봉지 기능을 하는 것으로, 수납부(137)에 여러 개의 물건이나 귀중품을 수납하면 되고, 회전가이드(131)의 끝부분에서 노인, 장애인, 어린이를 탑차부(133)에서 내리게 한 다음, 수납부(137)를 들고 다음 장소로 대피하면 되는 것이다.
상승실린더(138)는 탑재부(136)에서 수납부(137)를 용이하게 인출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승실린더(138)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상승실린더(138)는 탑재부(136)의 바닥면에 매립되며, 피스톤만 탑재부(136)의 바닥면으로 노출된다.
상승실린더(138)의 피스톤은 수납부(137)의 저면에 결합된다.
이때, 탑차부(133)나 탑재부(136)에는 상승실린더(138)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탱크와, 상승실린더(138)에 유압을 공급하는 공급버튼 및 상승실린더(138)에 공급된 유압을 회수하는 회수버튼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대피자가 공급버튼을 누르면 상승실린더(138)의 피스톤이 수납부(137)를 탑재부(136)의 상면 개방된 부분까지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수납부(137)를 탑재부(136)의 상면 개방된 부분까지 상승시켜 탑재부(136)의 상측으로 돌출시키면 대피자가 수납부(137)를 용이하게 가져갈 수 있다.
이러한 수납부(137) 및 상승실린더(138)는 탑재부(136)에도 적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탑차부(133) 및 수납부(137)는 각각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사람과 물건을 옮기는 카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 10 : 셔터부
10a : 대피홀 10b : 부가 대피홀
10c,10d : 천장면 20 : 가이드레일부
20a : 승강가이드홀 30 : 승강작동부
31 : 승강체 32 : 승강스크류부
33 : 모터 40 : 탱크부
40a : 주입구 40b : 저장공간
40c : 절개영역 50 : 개폐부
51 : 돌출편 51a : 고정홈
60 : 제1 자석부 70 : 제2 자석부
80 : 대피가이드 81 : 고정돌기
90 : 냉각수 공급부 100 : 냉각코일부
110 : 디딤부 111 : 계단
120 : 푸쉬실린더 130 : 이동가이드부
131 : 회전가이드 132 : 회전롤러
1321 : 회전축 133 : 탑차부
134 : 충격흡수용 범퍼부 135 : 지지바
136 : 탑재부 137 : 수납부
138 : 상승실린더

Claims (2)

  1. 화재발생시 통로를 차단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는 셔터부를 포함하는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로서,
    상기 통로의 양측에 배치된 벽체의 끝단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셔터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며, 상기 셔터부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부; 및
    상기 셔터부를 상기 가이드레일부 상에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내부에는 상기 셔터부의 상승 또는 하강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승강작동부는,
    상기 셔터부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승강가이드홀 상에서 승강되는 승강체;
    상기 승강체에 체결되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스크류부; 및
    상기 승강스크류부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부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고, 일측에 주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탱크부;
    대피홀 및 부가 대피홀을 각각 공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어느 하나의 탱크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면에 복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하 방향으로 회동될 시 경사면을 제공하며, 파이버 소재로 형성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의 일면에 매립되는 제1 자석부;
    상기 셔터부의 일면에 매립되며 상기 제1 자석부가 부착되는 제2 자석부;
    저면에 상기 고정홈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가 하 방향으로 회동될 시 상기 개폐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경사면을 제공하며, 파이버 소재로 형성되는 대피가이드;
    화재발생시 상기 탱크부의 내부의 저장공간에 냉각수를 충진하는 냉각수 공급부;
    상기 탱크부에 각각 설치되며, 화재발생시 작동하여 상기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코일부;
    상기 셔터부의 전측과 후측 방향에서 상기 벽체의 내부에 각각 매립되며, 대피자가 상기 부가 대피홀을 통해 대피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계단이 형성된 디딤부;
    상기 셔터부의 전측과 후측 방향에서 상기 벽체의 내부에 각각 매립되며, 화재발생시 상기 디딤부를 탱크부의 전측과 후측으로 각각 노출시키는 푸쉬실린더; 및
    상기 셔터부의 전측과 후측에서 각각 설치되는 이동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이드부는,
    실내 바닥면에 매립되며 직사각형 틀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가이드;
    상기 회전가이드의 내부공간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양측면에 상기 회전가이드의 내벽면에 설치되는 회전축이 형성된 회전롤러;
    상기 회전롤러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며, 대피자가 탑승하는 복수개의 탑차부;
    상기 탑차부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충격흡수용 범퍼부;
    상기 탑차부의 양측면에 설치되며 대피자가 한쪽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지지바;
    상기 탑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탑재부;
    상기 탑재부의 내부에 탑재되며, 대피자가 소지한 물건을 수납하도록 마련되고, 상측에 한 쌍의 손잡이가 형성된 수납부; 및
    상기 탑재부의 바닥면에 매립되며, 상기 수납부를 상승시켜 탑재부의 상측으로 돌출시키는 상승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납부는, 고무, 합성수지, 천, 부직포, 비닐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
  2. 삭제
KR1020230058378A 2022-09-25 2023-05-04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 KR102608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8378A KR102608070B1 (ko) 2022-09-25 2023-05-04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246A KR102550243B1 (ko) 2022-09-25 2022-09-25 방화셔터
KR1020230058378A KR102608070B1 (ko) 2022-09-25 2023-05-04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246A Division KR102550243B1 (ko) 2022-09-25 2022-09-25 방화셔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070B1 true KR102608070B1 (ko) 2023-11-30

Family

ID=8695957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246A KR102550243B1 (ko) 2022-09-25 2022-09-25 방화셔터
KR1020230058378A KR102608070B1 (ko) 2022-09-25 2023-05-04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246A KR102550243B1 (ko) 2022-09-25 2022-09-25 방화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502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223B1 (ko) 2019-01-18 2019-07-01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차열 성능을 강화한 방화셔터 시스템
KR102298491B1 (ko) * 2021-02-05 2021-09-07 주식회사 신일이앤씨 안전 방화셔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223B1 (ko) 2019-01-18 2019-07-01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차열 성능을 강화한 방화셔터 시스템
KR102298491B1 (ko) * 2021-02-05 2021-09-07 주식회사 신일이앤씨 안전 방화셔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0243B1 (ko) 202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8856A (en) Spiral slide fire escape
ES2332466T3 (es) Guardapies plegable autobloqueante para cabina de ascensor.
ES2602208T3 (es) Barrera contra incendios o humos
US20080053750A1 (en) Transport equipment
US20200254287A1 (en) Escape system
KR101615728B1 (ko)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2005216B1 (ko) 고층 건물 화재 피난장치
KR102077249B1 (ko)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
KR102608070B1 (ko) 신속한 대피가 가능한 방화셔터
US20080184631A1 (en) Extendible Building Structure
KR101840434B1 (ko) 화재 대피용 난간
KR100971547B1 (ko) 자전거 보관대
KR102189888B1 (ko) 포대 할강 방식의 대피장치
US5392877A (en) Emergency escape system for multistory buildings
KR101922174B1 (ko) 전개형 화재 대피 장치
JP6101411B1 (ja) 昇降装置付き乗物
KR102298491B1 (ko) 안전 방화셔터
US4024928A (en) Fire escape installation
KR101195437B1 (ko)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CN109939370B (zh) 高层建筑逃生平台
KR102104204B1 (ko) 긴급 대피용 안전고
KR102037262B1 (ko)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KR20130024575A (ko) 탈출구를 가지는 방화문
KR101790693B1 (ko) 화재발생시 이웃 두 세대가 공동으로 대피할 수 있는 건축물의 소방용 피난실
JP2016199944A (ja) 防火区画形成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