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547B1 - 자전거 보관대 - Google Patents

자전거 보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547B1
KR100971547B1 KR1020090040161A KR20090040161A KR100971547B1 KR 100971547 B1 KR100971547 B1 KR 100971547B1 KR 1020090040161 A KR1020090040161 A KR 1020090040161A KR 20090040161 A KR20090040161 A KR 20090040161A KR 100971547 B1 KR100971547 B1 KR 100971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bicycle
wheel
fixing member
driv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3775A (ko
Inventor
김용진
Original Assignee
김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진 filed Critical 김용진
Priority to KR1020090040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547B1/ko
Publication of KR20090053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12Hanging-up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4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forked supports of brackets for holding a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14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preventing wheel rotation
    • B62H5/141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preventing wheel rotation by means of sliding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05Garages for vehicles on two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 E04H6/06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ith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2Automatically operated car-parks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보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쉽고 간단하게 자전거를 수직으로 세워서 보관할 수 있는 자전거 보관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전거 보관대에 있어서, 자전거의 바퀴가 안착되고, 승강 동작에 따라 바퀴를 감싸 고정하거나 풀어주는 리프트와; 리프트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 및 리프트를 승강시키는 리프트승강수단; 을 포함하는 자전거 보관대를 제공한다.
자전거 보관대, 리프트, 가이드돌기, 와이어, 롤러, 가이드프레임, 리프트승강수단, 바퀴

Description

자전거 보관대{STORAGE APPARATUS FOR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 보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쉽고 간단하게 자전거를 수직으로 세워서 보관할 수 있는 자전거 보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생활 스포츠에 사용하는 운동기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심지의 근거리 교통에도 매우 유익하게 사용하고 있는 교통수단이다.
특히 교통체증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른 공해 방지에 효과적이어서 선진국에서는 자전거의 이용을 적극 활성화시키고 도심에는 자전거 전용도로를 만들어 환경 보호, 교통체증의 해소, 국민 건강에 매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출퇴근시 가까운 거리의 지하철역까지는 자전거를 타고 지하철로 환승하거나, 주부들이 시장을 볼 경우나 간단한 민원을 위하여 관공서를 찾는 경우 등 자전거가 널리 사용되면서 아파트단지나 유통상가, 관공서 및 역세권 등에는 필수적으로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대를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통상 도로변이나 지하철역의 일측에 설치되는 자전거 보관대에 자전거를 보관한다 하더라도 자전거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도난의 우려가 있고, 도로상의 차량통행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해와 오염된 먼지로 인해 매우 쉽게 오염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도시 미관을 해쳐 시민들에게 불쾌감을 주고 있다.
게다가 자전거 보관대에 자전거를 평면적으로 보관할 경우 자전거 보관대의 점유면적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받은 대한민국 특허 제10-0814220호 "자전거 보관대" 에는 개별적인 캐비넷형의 보관대를 구성하고, 자전거의 손잡이(핸들)를 걸어서 승강시켜 보관대 내부 상단에 세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자전거 보관대"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었으나, 사용자가 직접 거치대에 자전거의 손잡이를 걸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전거 보관대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쉽고 간단하게 자전거를 수직으로 세워서 보관할 수 있는 자전거 보관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전거 보관대에 있어서, 자전거의 바퀴가 안착되고, 승강 동작에 따라 바퀴를 감싸 고정하거나 풀어주는 리프트와; 리프트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 및 리프트를 승강시키는 리프트승강수단; 을 포함하는 자전거 보관대를 제공한다.
리프트는, 상승시 바퀴를 고정하고, 하강시 일정 위치에 도달하면 바퀴를 풀어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프레임에는 롤러통공이 형성되고, 리프트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본체와; 한쪽은 리프트승강수단에 연결되고, 다른 쪽은 본체에 연결되어 리프트승강수단의 구동에 따라 본체를 승강시키는 와이어와; 한 쌍의 제1 고정부재로 이루어지고, 제1 고정부재 사이에 자전거의 바퀴가 안착되며, 가이드돌기에 장착되어 제1 고정부재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이동되는 제1 고정구; 및 제1 고정부재에 장착되어 승강동작에 따라 롤러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거나 가이드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여 제1 고정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롤러; 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구의 하부측에는 고정구가 안착되도록 한 쌍의 안착부재로 이루어지는 안착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에는 제1 고정부재의 동작에 따라 상호 간격이 조절되도록 보조고정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리프트는, 상부방향을 향하여 점차 상호 간격이 멀어지도록 한 쌍의 장공이 형성되는 몸체와; 장공에 배치되는 한 쌍의 구동핀과; 한쪽은 리프트승강수단에 연결되고, 다른 쪽은 구동핀에 연결되어 리프트승강수단의 구동에 따라 구동핀을 승강시켜 몸체를 승강시키는 와이어; 및 한 쌍의 제2 고정부재로 이루어져 몸체에 힌지 결합되고, 제2 고정부재 사이에 자전거의 바퀴가 안착되며, 구동핀의 승강에 따라 구동핀이 제2 고정부재에 접하여 밀거나 떨어지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바퀴를 감싸 고정하거나 풀어주는 제2 고정구; 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 사이에는 탄성체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보관대에 의하면, 쉽고 간단하게 자전거를 수직으로 세워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보관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전거 보관대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프트를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보관대는 크게 리프트(200)와 가이드프레임(300) 및 리프트승강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여기에서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전거 보관대의 외형을 이루며, 내측에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 즉 리프트(200)와 가이드프레임(300) 및 리프트승강수단(400)이 내부에 마련되는 보관부스(1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관부스(100)는 합성수지, 금속, 나무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외면에 광고를 비롯한 글자나 문양, 그림 등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설치 장소 등에 따라 다수의 보관부스(100)를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단측에 이동바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관부스(100)에는 자전거가 투입될 수 있도록 한쪽 면이 개방된 투입구(104)가 형성되는데, 투입구(104)에는 자전거의 안전한 보관을 위해 잠금이 가능한 도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가 형성되는 경우 유리나 아크릴 등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창을 구비하여 외부에서 보관부스(10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보관부스(100)에는 자전거 보관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승강버튼(102)이 마련되는데, 이외에도 도어의 개폐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나 보관부 스(100) 내에 자전거가 보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램프, 스피커 등이 마련된 제어패널(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관부스(100) 내에는 투입되는 자전거의 바퀴가 리프트(200)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바퀴위치맞춤구(110)가 형성된다. 이러한 바퀴위치맞춤구(110)에는 자전거의 투입을 감지, 예를 들어 자전거 바퀴의 접촉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트(200)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요소로써, 리프트(200)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3 실시예로 구분된다. 리프트(200)는 자전거의 바퀴가 안착되어 승강되고, 승강 동작에 따라 바퀴를 감싸 고정하거나 풀어주도록 동작된다. 즉, 리프트(200)는 상승시 바퀴를 고정하고, 하강시 일정 위치에 도달하면 바퀴를 풀어주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리프트(2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리프트(200)로써, 본체(210)와 와이어(220), 제1 고정구(230) 및 롤러(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210)에는 보관부스(100)의 바닥 또는 지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가이드돌기(212)가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돌기(212)는 본체(210)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보관부스(100)의 바닥 또는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두 개의 홈이 형성됨으로써 그 사이에 가이드돌기(212)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체(210)의 양측에는 하기에 서술하는 가이드프레임(300)에 결합되어 승강되도록 가이드홈(214)이 형성된다.
와이어(220)는 한쪽이 리프트승강수단(400)에 연결되고, 다른 쪽은 본 체(210)에 연결되어 리프트승강수단(400)의 구동에 따라 본체(210)를 승강시키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와이어(220)는 리프트승강수단(400)과 본체(210)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도르레를 통해 실질적으로는 하나의 와이어(220)가 사용되나, 겉보기에는 한 쌍의 와이어(220)가 보관부스(100)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게 된다.
제1 고정구(230)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제1 고정부재(23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고정부재(232)는 본체(210)의 가이드돌기(21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호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제1 고정부재(232) 사이에 자전거의 바퀴가 안착된다. 이때, 각각의 제1 고정부재(232) 사이에 안착된 자전거 바퀴의 고정력을 보조할 수 있도록 보조고정부재(23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고정부재(234)는 제1 고정부재(232)의 동작에 따라 상호 간격이 조절되어 제1 고정부재(232) 사이에 안착된 자전거 바퀴의 내측(바퀴살이 위치한 부분)에서 고정됨으로써 자전거 바퀴의 고정력을 보조하게 된다.
한편, 제1 고정구(230)의 하부측에는 제1 고정구(2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안착부재로 이루어진 안착구(250)가 형성된다. 안착구(250)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상측 일부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1 고정부재(232)에는 이러한 안착구(250)에 안착될 수 있도록 경사진 안착구(250)의 형상에 대응되는 안착홈(232a)이 형성된다.
롤러(240)는 각각의 제1 고정부재(232)에 장착되어 리프트(200)의 승강시 하기에 서술하는 가이드프레임(300)에 접하여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프레 임(300)의 하부측에는 롤러통공(310)이 형성되어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롤러(240)가 롤러통공(310)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면 제1 고정부재(232)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고, 리프트(200)의 상승시 롤러통공(310)에 삽입되어 있던 롤러(240)가 가이드프레임(3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1 고정부재(23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보관장치의 리프트(200)는 가이드프레임(300)에 의해 가이드되어 승강된다.
가이드프레임(300)은 한 쌍이 상호 소정 간격 떨어져 보관부스(100)의 바닥 또는 지면으로부터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측에 롤러통공(310)이 형성된다. 이러한 롤러통공(310)을 통해 전술한 롤러(240)가 외부로 노출되게 되는데, 리프트(200)의 승강시 롤러(240)가 쉽게 가이드프레임(300)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롤러통공(310)의 한쪽 면은 내측 상부방향을 향해 사선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프레임(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본체(210)가 결합되어 승강되도록 본체(210)의 가이드홈(214)에 삽입되는 가이드턱(320)이 형성된다.
또한 리프트승강수단(400)은 전원을 공급받아 리프트(200)를 승강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리프트승강수단(400)의 내부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에 형성되어 와이어(220)가 권취되는 드럼이 배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보관대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보관대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거의 유사하나, 리프트(200)를 승강시키는 와이어(220)와, 와이어(220)가 연결되는 본체(210), 그리고 리프트승강수단(400)이 다르게 구성된다.
즉, 제2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와이어(220)는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와이어(220)보다 직경이 크며, 외주면을 따라 스크류홈(2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양측 말단은 베어링(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와이어(2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210)는 와이어(220)가 관통하게 되는데, 내부가 스크류홈(222)에 대응되어 결합된다.
한편, 리프트승강수단(400)은 와이어(22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모터의 회전축과 와이어의 중심축이 교차하는 교차축 기어, 예를 들어 베벨기어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리프트승강수단(400)의 구동에 따라 와이어(220)가 회전되고, 와이어(220)의 회전방향에 따라 본체(210), 즉 리프트(200)가 스크류홈(222)을 타고 승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리프트승강수단(400)은 이외에도 래크와 피니언을 이용한 기어방식을 이용하거나 또는 체인과 스프로킷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보관대에서 사용되는 리프트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보관대에서 사용되는 리프트(200)는 몸체(260)와 구동핀(270), 와이어(280) 및 제2 고정구(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260)에는 상부방향을 향하여 점차 상호 간격이 멀어지도록 한 쌍의 장공(260a, 262a)이 형성된다. 이때, 장공(260a, 262a)은 몸체(260)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장공(260a)과, 몸체(260)에 결합되며 제1 장공(260a)에 대응되도록 한 쌍의 제2 장공(262a)이 형성된 구동판재(262)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동핀(270)은 장공(260a, 262a), 즉 제1 장공(260a)과 제2 장공(262a)을 통해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장공(260a, 262a)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와이어(280)는 한쪽이 리프트승강수단(400)에 연결되고, 다른 쪽은 핀승강부재(282)에 연결되어 리프트승강수단(400)의 구동에 따라 구동핀(270)과 몸체(260)를 승강시키게 된다. 즉, 상승시에는 핀승강부재(282)가 상승하면서 이에 접하고 있는 구동핀(270)을 상승시키고, 구동핀(270)이 장공(260a, 262a)의 끝단, 즉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는 위치에 이르게 되면 몸체(260)를 상승시켜 결국 리프트(200)를 상승시키게 된다. 그리고 하강시에는 먼저 몸체(260)를 하강시키고 몸체(260)가 하강하다가 일정 위치, 즉 더 이상 하강하지 않는 위치에 이르게 되면 구동핀(270)을 하강시키게 된다.
제2 고정구(290)는 전술한 제1 고정구(230)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써, 한 쌍의 제2 고정부재(292)로 이루어져 몸체(260)에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제2 고정부재(292) 사이에는 자전거의 바퀴가 안착되며, 구동핀(270)의 승강에 따라 구동핀(270)이 제2 고정부재(292)에 접하여 밀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바퀴를 감싸 고정하게 되고, 구동핀(270)이 제2 고정부재(292)로부터 떨어지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바퀴를 풀어주게 된다. 이러한 제2 고정부재(292) 사이에는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되어 탄성을 갖는 탄성체(294)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보관대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보관대에서 사용되는 리프트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보관대에 자전거를 보관하기 위하여 자전거의 앞바퀴(W)를 바퀴위치맞춤구(110)에 안착시키고 밀어 넣어 제1 고정부재(232)의 사이, 즉 리프트(200)에 삽입하게 된다.
이후, 보관부스(100)에 마련된 승강버튼(102)을 누르게 되면 리프트승강수단(400)의 모터가 구동되어 와이어(220)를 감아 올리게 된다. 그에 따라 리프트(200)가 가이드프레임(300)을 따라 상승하면서 롤러통공(310)에 삽입되어 있던 롤러(240) 또한 상측으로 이동하여 가이드프레임(30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 고정부재(232) 또한 가이드돌기(21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호 간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이동하게 되어 제1 고정부재(232) 사이에 위치된 자전거의 앞바퀴(W)를 가압하면서 감싸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계속해서 리프트(200)가 상승하여 앞바퀴(W)를 들어올리면서 자전거를 보관부스(100) 내로 끌어들여 결국 자전거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 즉 자전거 보관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리프트승강수단(400)은 사용자가 자전거를 뒤에서 잡고 있거나, 옷 등이 자전거에 걸려 끌려 들어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천천히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바퀴위치맞춤구(110)에는 자전거 바퀴(W)의 접촉을 감지하여 자전거의 투입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바퀴(W)가 바퀴위치맞춤구(110)에 안착되어 감지센서를 누르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자전거가 안착되었음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리프트승강수단(400)의 구동에 따라 리프트(200)가 상승하고, 자전거가 보관부스(100) 내로 끌려들어가면서 뒷바퀴(W)가 감지센서와 접촉하거나, 접촉한 후 더 끌려들어가 감지센서와 떨어지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리프트승강수단(400)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반대로 자전거 보관대에 보관되어 있는 자전거를 찾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면상 도 7 다음에 도 6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보관부스(100)에 마련된 승강버튼(102)을 누르게 되면 리프트승강수단(400)의 모터가 역구동되어 와이어(220)가 풀리게 되어 리프트(200)가 가이드프레임(300)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리프트(200)의 하강에 따라 뒷바퀴가 바퀴위치맞춤구(110)를 통해 먼저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고, 가이드프레임(300)의 내측에 접하여 이동하던 롤러(240)가 일정 위치, 즉 가이드프레임(300)에 형성되어 있는 롤러통공(310)과 만나게 되면 롤러통공(310)에 삽입되도록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1 고정구(230)가 제1 고정부재(232)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홈(232a)을 통해 안착구(250)에 안착되게 되는데, 상측이 경사진 안착구(250)의 형상에 따라 각각의 제1 고정부재(232)가 점차 상호 간격이 멀어지도록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롤러(240)가 롤러통공(310)에 삽입된다. 또한, 자전거의 보관시 제1 고정부재(232)로 가압하여 감싸진 앞바퀴(W)에 축적되어 있던 탄성력 또한 제1 고정부재(232)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고정부재(232)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동작되는 위치는 자전거의 하강 구동이 거의 마무리되는 단계이며, 제1 고정부재(232) 사이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여 보관부스(100)에서 자전거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게 된다.
한편, 바퀴위치맞춤구(110)에 자전거 투입감지용 센서가 배치된 경우 뒷바퀴가 먼저 접촉하고 나서 떨어진 후 앞바퀴(W)가 접촉되거나, 앞바퀴(W)가 접촉하고 떨어지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리프트승강수단(400)의 구동을 정지시켜 자전거의 인출 구동을 완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보관대에서 사용되는 리프트의 사용상태도이다. 여기서,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된 구성 요소들을 거의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나, 가이드프레임(300)에 형성되어 있는 롤러통공(310)의 경우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실시예의 본체(210)에 대응되는 제3 실시예의 몸체(260)에도 가이드프레임(300)에 접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별도의 롤러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보관대에 자전거를 보관하는 동작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 즉, 사용자가 자전거의 앞바퀴(W)를 바퀴위치맞춤구(110)에 안착시키고 밀어 넣어 리프트(200), 즉 제2 고정부재(292)의 사이에 마련된 탄성체(294)에 삽입하게 된다.
이후, 보관부스(100)에 마련된 승강버튼(102)을 누르게 되면 리프트승강수단(400)의 모터가 구동되어 와이어(280)를 감아 올려 핀승강부재(282)가 상승하면서 구동핀(270)을 상승시키게 된다. 장공(260a, 262a)은 상부방향을 향하여 점차 상호 간격이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승하는 구동핀(270)은 점차 제2 고정구(290)를 향하여 이동하다가 제2 고정부재(292)에 접한 상태로 계속 상승하여 제2 고정부재(292)를 밀게 된다.
따라서, 제2 고정부재(292)는 앞바퀴(W)를 잡을 수 있도록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탄성체(294) 사이에 위치된 앞바퀴(W)가 고정된다. 구동핀(270)이 장공(260a, 262a)의 끝단에 도달하게 되면 구동핀(270)을 상승시키던 힘이 몸체(260)에 전달됨으로써 결국 리프트(200)가 상승하게 되어 앞바퀴(W)를 들어올리면서 자전거를 수직으로 세워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구동핀(270)은 장공(260a, 262a)의 끝단에 도달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자전거를 보관하고 있는 동안 앞바퀴(W)를 고정하고 있게 된다.
그리고, 자전거 보관대에 보관되어 있는 자전거를 찾고자 하는 경우(도 8 다음에 도 7의 순서) 사용자가 보관부스(100)에 마련된 승강버튼(102)을 누르게 되면 리프트승강수단(400)의 모터가 역구동되어 와이어(280)가 풀리게 되어 리프트(200)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리프트(200)에는 자전거가 매달려 있는 상태이므로 자전거의 무게에 의해 구동핀(270)이 하강하는 것이 아니라 몸체(260), 즉 리프트(200)가 하강하게 되며 일정 위치, 즉 뒷바퀴가 외부로 빠져나가고 앞바퀴(W)까지 보관부스의 바닥이나 지면에 닿게 되면 리프트(200)가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되므로 구동핀(270)이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핀(270)이 제2 고정부재(292)로부터 떨어지게 되므로 제2 고정부재(292)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고정하고 있던 앞바퀴(W)를 풀어주게 된다. 여기서, 제2 고정부재(292)가 앞바퀴(W)를 풀어주게 되는 힘은 제2 고정부재(292)로 가압하여 감싸진 앞바퀴(W)와 탄성체(294)에 축적되어 있던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고정부재(292) 사이에 위치된 앞바퀴(W)가 풀어짐으로써 보관부스(100)에서 자전거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자전거 보관대에 도어가 없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어가 배치되는 경우 비밀번호를 제어패널을 통해 입력하여 도어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자전거 보관대를 사용하는 경우 현재 비어있는 보관대가 어디에 있는지를 확인하기가 어렵고, 사용자가 자신의 자전거를 어느 보관대에 보관하였는지 잊어버릴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이에, 각각의 자전거 보관대를 제어하는 제어패널을 별도로 두고 자전거가 보관되어 있는지의 여부 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한 사용자의 자전거의 보관위치를 알릴 수 있도록 자전거 보관대에 표시램프나 스피커 등과 같은 알림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보관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전거 보관대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프트를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보관대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보관대에서 사용되는 리프트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보관대에서 사용되는 리프트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 보관대에서 사용되는 리프트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보관부스 102: 승강버튼
104: 투입구 110: 바퀴위치맞춤구
200: 리프트 210: 본체
212: 가이드돌기 214: 가이드홈
220, 280: 와이어 222: 스크류홈
230: 제1 고정구 232; 제1 고정부재
232a: 안착홈 234: 보조고정부재
240: 롤러 250: 안착구
260: 몸체 260a: 제1 장공
262: 구동판재 262a: 제2 장공
270: 구동핀 282: 핀승강부재
290: 제2 고정구 292: 제2 고정부재
294: 탄성체 300: 가이드프레임
310: 롤러통공 320: 가이드턱
400: 리프트승강수단 W: 자전거 앞바퀴

Claims (8)

  1. 자전거 보관대에 있어서,
    자전거의 바퀴가 안착되고, 승강 동작에 따라 상기 바퀴를 감싸 고정하거나 풀어주는 리프트와;
    상기 바퀴가 상기 리프트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리프트와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바퀴위치맞춤구와;
    상기 리프트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리프트를 승강시키는 리프트승강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프레임에는 롤러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리프트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본체와;
    한쪽은 상기 리프트승강수단에 연결되고, 다른 쪽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리프트승강수단의 구동에 따라 상기 본체를 승강시키는 와이어와;
    한 쌍의 제1 고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고정부재 사이에 자전거의 바퀴가 안착되며, 상기 가이드돌기에 장착되어 상기 제1 고정부재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이동되는 제1 고정구; 및
    상기 제1 고정부재에 장착되어 승강동작에 따라 상기 롤러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거나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구의 하부측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 고정구가 안착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게 상측 일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승강시 상기 경사면을 따라 승강되어 상기 제1 고정부재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한 쌍의 안착부재로 이루어지는 안착구;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는,
    상승시 상기 바퀴를 고정하고,
    하강시 일정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바퀴를 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에는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동작에 따라 상호 간격이 조절되도록 보조고정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4. 자전거 보관대에 있어서,
    자전거의 바퀴가 안착되고, 승강 동작에 따라 상기 바퀴를 감싸 고정하거나 풀어주는 리프트와;
    상기 바퀴가 상기 리프트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리프트와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바퀴위치맞춤구와;
    상기 리프트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리프트를 승강시키는 리프트승강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리프트는,
    상부방향을 향하여 점차 상호 간격이 멀어지도록 한 쌍의 장공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장공에 배치되는 한 쌍의 구동핀과;
    한쪽은 상기 리프트승강수단에 연결되고, 다른 쪽은 상기 구동핀에 연결되어 상기 리프트승강수단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구동핀을 승강시켜 상기 몸체를 승강시키는 와이어; 및
    한 쌍의 제2 고정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 사이에 자전거의 바퀴가 안착되며, 상기 구동핀의 승강에 따라 상기 구동핀이 상기 제2 고정부재에 접하여 밀거나 떨어지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바퀴를 감싸 고정하거나 풀어주는 제2 고정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재 사이에는 탄성체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6. 자전거 보관대에 있어서,
    자전거의 바퀴가 안착되고, 승강 동작에 따라 상승시 상기 바퀴를 고정하고,
    하강시 일정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바퀴를 풀어주는 리프트와;
    상기 바퀴가 상기 리프트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리프트와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바퀴위치맞춤구와;
    상기 리프트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리프트를 승강시키는 리프트승강수단; 을 포함하는 자전거 보관대.
    상기 리프트는,
    상부방향을 향하여 점차 상호 간격이 멀어지도록 한 쌍의 장공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장공에 배치되는 한 쌍의 구동핀과;
    한쪽은 상기 리프트승강수단에 연결되고, 다른 쪽은 상기 구동핀에 연결되어 상기 리프트승강수단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구동핀을 승강시켜 상기 몸체를 승강시키는 와이어; 및
    한 쌍의 제2 고정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 사이에 자전거의 바퀴가 안착되며, 상기 구동핀의 승강에 따라 상기 구동핀이 상기 제2 고정부재에 접하여 밀거나 떨어지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바퀴를 감싸 고정하거나 풀어주는 제2 고정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재 사이에는 탄성체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보관대.
  8. 삭제
KR1020090040161A 2009-05-08 2009-05-08 자전거 보관대 KR100971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161A KR100971547B1 (ko) 2009-05-08 2009-05-08 자전거 보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161A KR100971547B1 (ko) 2009-05-08 2009-05-08 자전거 보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775A KR20090053775A (ko) 2009-05-27
KR100971547B1 true KR100971547B1 (ko) 2010-07-21

Family

ID=40861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161A KR100971547B1 (ko) 2009-05-08 2009-05-08 자전거 보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5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156B1 (ko) 2014-01-20 2014-03-19 권영종 층고 확장 이동식 자동화 자전거 보관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805B1 (ko) * 2009-07-22 2010-05-28 제너럴로터(주)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자전거 수직보관대
KR200476501Y1 (ko) * 2009-09-11 2015-03-05 김영훈 수직 밀폐형 자전거 보관대
CN108297977A (zh) * 2018-03-13 2018-07-20 金华职业技术学院 一种助力式自行车垂直停放器
AT523759B1 (de) * 2020-03-25 2022-04-15 Friedrich Tanja Fahrradlift
CN111691719A (zh) * 2020-06-29 2020-09-22 湖北新慧铭重工有限公司 一种升降花坛和智能停车系统
WO2023152461A1 (en) * 2022-02-11 2023-08-17 Okafor Chukwudi Docking module for two wheeled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468A (ja) * 1999-03-10 2000-09-19 Yokohama Tokushu Senpaku Kk 施錠手段を具えた自転車縦置駐車装置及び施錠システム
KR100859924B1 (ko) 2007-03-23 2008-09-23 권혁숙 옥내용 자전거 보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5468A (ja) * 1999-03-10 2000-09-19 Yokohama Tokushu Senpaku Kk 施錠手段を具えた自転車縦置駐車装置及び施錠システム
KR100859924B1 (ko) 2007-03-23 2008-09-23 권혁숙 옥내용 자전거 보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156B1 (ko) 2014-01-20 2014-03-19 권영종 층고 확장 이동식 자동화 자전거 보관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775A (ko)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547B1 (ko) 자전거 보관대
JP5823570B2 (ja) 非常脱出装置
CN105347143B (zh) 一种无导轨液压升降平台及升降方法
KR102077249B1 (ko) 강당무대용 이동식 휠체어리프트
JP4046418B2 (ja) ディスプレイを内蔵する机
WO2011039893A1 (ja) 地下式自転車駐輪設備
KR101062489B1 (ko) 자전거 리프트 장치
JP2008063791A (ja) 機械式自転車駐輪設備
CN108979225B (zh) 双层停车装置
JP5483596B2 (ja) エレベータの二輪車揚重装置
KR100338788B1 (ko) 휠체어 리프트 장치
TWM477459U (zh) 階梯升降機
JP2019034704A (ja) 二輪車駐車装置
JP4639358B1 (ja) 引き戸用手摺、引き戸装置
JP2008254605A (ja) 駐輪装置
JP5351671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6045502B2 (ja) 垂直階段
JP2017164305A (ja) 車椅子用階段昇降装置
KR20110019005A (ko) 자전거 보관대
JP2009243223A (ja) 地下式自転車駐輪設備
JP3344549B2 (ja) 立体駐輪設備
JP2015037463A (ja) 段差解消用リフト
JP4086971B2 (ja) ディスプレイを内蔵する机
CN216235531U (zh) 一种人货梯自动门
JP6255674B2 (ja) 収納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