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869B1 - 고전압 커넥터 차폐 구조 - Google Patents

고전압 커넥터 차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869B1
KR102607869B1 KR1020230075697A KR20230075697A KR102607869B1 KR 102607869 B1 KR102607869 B1 KR 102607869B1 KR 1020230075697 A KR1020230075697 A KR 1020230075697A KR 20230075697 A KR20230075697 A KR 20230075697A KR 102607869 B1 KR102607869 B1 KR 102607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plate
cover
shielding
fastening
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5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1848A (ko
Inventor
김진영
장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30075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869B1/ko
Publication of KR20230091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괄차폐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고, 차폐선을 사용함에 따른 품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고전압 커넥터 차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와이어링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링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차폐판;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판은, 상기 와이어링의 일측을 감싸는 제1차폐판 및 타측을 감싸는 제2차폐판을 포함하여 상기 제1차폐판 및 제2차폐판이 반체로서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차폐판의 외측면에 조립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제1커버 및 제2커버가 반체로서 결합하여 상기 차폐판을 감싸되, 상기 제1차폐판 및 제2차폐판의 양 측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연장면 및 제2연장면과, 상기 제1연장면 및 제2연장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커버 및 제2커버에 각각 삽입되는 제1커버조립면 및 제2커버조립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전압 커넥터 차폐 구조 {Shielding structure of high voltage connector}
본 발명은 고전압 커넥터로부터 전자기파가 누출되어 주변 부품에 노이즈를 야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링 전체를 한꺼번에 일괄차폐하는 고전압 커넥터 차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친환경차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대됨에 따라 고전압 와이어링 관련 기술도 국내 및 해외에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전기차에는 고전압 전용 커넥터가 사용 되며 구조에 따라 와이어링 전체를 한꺼번에 차폐하는 일괄차폐 또는 와이어 별로 각각 차폐하는 개별차폐로 구분하여 적용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일괄차폐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이를 참조하면 일괄차폐는 도체 전선에 절연체를 감은 와이어링(2)을 감싸는 차폐선(3)을 배치하고 차폐선(3) 외측에 콜게이트 등의 외장재(5)를 씌우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종래 차폐 구조의 일괄차폐 작업 순서도이며 이를 참조하여 일괄차폐 방식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커넥터(1)에 와이어링(2)을 삽입하여 장착하고, 차폐선 삽입 설비(3a)에 차폐선(3)을 끼워 내부 공간을 확보한 후, 와이어링(2)을 차폐선(3) 내로 통과시킨다. 이후 커넥터(1)의 하우징 외측에 차폐선(3)을 감싸도록 이어클램프(4)를 체결하고, 차폐선(3)을 역방향으로 꺾어 정리한다. 그 후 외장재(5)를 삽입하고, 노출된 차폐선(3) 외측으로 그로멧(6)을 장착한 후 스트랩으로 감고 테이핑(7)을 한다.
이러한 순서로 작업되는 일괄차폐 구조는, 차폐선 삽입 설비가 필요하고 작업성 편차가 크다는 문제가 있으며, 작업공정이 복잡하고 원가와 중량이 과다한 문제가 있고, 일괄차폐 방식의 작업성 문제는 친환경차의 고질적인 이슈로 취급되고 있다.
또한 본 방식에 의할 경우 외부 충격에 약하고, 커넥터 결합 시 쉴드케이스와 다이캐스팅 하우징에 흠집이 발생하며, 커넥터 내부에 금속가루가 발생되어 아크 발생 우려가 있다는 품질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일괄차폐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원가 및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고전압 커넥터 차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폐선을 사용함에 따른 품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고전압 커넥터 차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고전압 커넥터 차폐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와이어링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링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차폐판;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판은, 상기 와이어링의 일측을 감싸는 제1차폐판 및 타측을 감싸는 제2차폐판을 포함하여 상기 제1차폐판 및 제2차폐판이 반체로서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차폐판의 외측면에 조립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제1커버 및 제2커버가 반체로서 결합하여 상기 차폐판을 감싸되, 상기 제1차폐판 및 제2차폐판의 양 측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연장면 및 제2연장면과, 상기 제1연장면 및 제2연장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커버 및 제2커버에 각각 삽입되는 제1커버조립면 및 제2커버조립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커버의 양 단의 외측면에는 체결란스가 형성되고, 상기 제2커버의 양 단의 외측면에는 상기 체결란스가 삽입되는 란스체결부가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란스는 일단이 고정단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란스체결부에 탄성변형되며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란스는 상기 란스체결부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면에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란스체결부는 내측면에 상기 체결란스가 탄성회복됨에 따라 상기 체결돌기가 걸리는 체결홈이 요입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차폐판을 포함하는 구조에 따르면, 종래 편조선 또는 차폐선을 사용할 때 와이어링 삽입 설비가 필요하였던 것과 달리 제1 및 제2차폐판을 와이어링 외측에서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매우 간편하며 중량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폐 성능을 가지는 차폐 튜브 및 이에 차폐판이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차폐튜브와 차폐판 간의 차폐 라인이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더불어 차폐판에 형성되는 요입면 구조에 의해 커버 및 커넥터와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불어 커넥터의 쉴드케이스와 차폐선의 차폐라인이 정확하게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차폐판의 제1연장면 및 제2연장면의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되며, 커버에 형성된 제1 및 제2수밀부 구조에 의해 커버 외측에서 이물질이나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일괄차폐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차폐 구조의 일괄차폐 작업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 고전압 커넥터 차폐 구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차폐가 연결되는 라인 및 연결 지점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A-A’를 따라 절단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7은 도 5의 차폐 연결 지점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
도 8은 제1차폐판 및 제2차폐판의 세부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사시도,
도 9는 제1차폐판과 제1커버 및 제2차폐판과 제2커버의 결합 관계를 확대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사시도,
도 11은 제1차폐판과 커넥터의 쉴드케이스의 차폐 연결 구조를 확대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제2커버와 차폐 튜브를 연결하는 튜브결합부를 상세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을 이용한 차폐 작업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일괄차폐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차폐 구조의 일괄차폐 작업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 고전압 커넥터 차폐 구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차폐가 연결되는 라인 및 연결 지점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A-A’를 따라 절단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7은 도 5의 차폐 연결 지점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 도 8은 제1차폐판 및 제2차폐판의 세부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사시도, 도 9는 제1차폐판과 제1커버 및 제2차폐판과 제2커버의 결합 관계를 확대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사시도, 도 11은 제1차폐판과 커넥터의 쉴드케이스의 차폐 연결 구조를 확대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제2커버와 차폐 튜브를 연결하는 튜브결합부를 상세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을 이용한 차폐 작업 순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커넥터(1)와, 커넥터(1)에 삽입되는 와이어링(2)과, 와이어링(2)을 감사는 차폐 튜브(50)와, 와이어링(2)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차폐판과, 차폐판을 감싸도록 조립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커넥터(1) 및 와이어링(2)은 일반적인 고전압 커넥터(1)와 와이어링(2)의 구성과 같다.
차폐 튜브(50)는 콜게이트와 같이 산(51)과 골(52)이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형상이며, 산(51)과 골(52)이 나사산과 같은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차폐 튜브(50)는 차폐 성능을 가지는 연질 플라스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나일론 등 전기파 및 자기파를 차폐하는 EMI 소재가 있다.
차폐판은 제1차폐판(60)과 제2차폐판(70)을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관 현상으로 형성된다. 제1차폐판(60) 및 제2차폐판(70)은 반체로서 와이어링(2)의 외측에서 일측 및 타측을 각각 감싸도록 형성된다. 차폐판의 일단은 커넥터(1) 내부에 설치된 쉴드케이스(11)와 접하며, 타단은 차폐 튜브(50)와 접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쉴드케이스(11)는 사각관체 등으로 형성되어 커넥터(1) 내부에 커넥터(1)의 둘레방향으로 배치되며, 커넥터(1) 내측의 전자기파를 차폐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쉴드케이스(11), 차폐판, 차폐 튜브(50)로 차폐 라인이 연결되어 커넥터(1) 및 와이어링(2)으로부터 전자기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연결접점(A)에서 차폐튜브와 차폐판이 연결되며, 제2연결접점(B)지점에서 차폐판과 커넥터(1)의 쉴드케이스(11)가 연결된다. 도 5의 A-A' 단면도인 도 6과 도 7에 차폐 연결 구조가 더욱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제1연결접점(A)은 차폐 튜브(50)에 형성된 골(52)에 차폐판 내측에 형성된 주름(62)이 맞물리고, 차폐판에 형성된 절곡면(63)에 의해 스프링 구조를 가져 차폐판이 차폐 튜브(50)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의 이너하우징(12) 외측에 쉴드케이스(11)가 배치되며, 쉴드케이스(11)는 커넥터(1)의 아우터하우징(13) 외측으로 더욱 돌출된다. 따라서 차폐판과 면접할 수 있는 면적을 갖는다. 이부분에 차폐판의 요입면(65)이 스프링 구조를 통해 밀착되어 제2연결접점(B)이 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차폐판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1차폐판(60) 및 제2차폐판(70)은 각각 차폐체(61)로 형성되며, 타단 내측에는 상술한 차폐 튜브(50) 외주면에 접할 수 있도록 주름(62)이 형성된 절곡면(63)이 형성되어 있다. 절곡면(63)은 도 8의 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체(61)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면(63)이 연장형성되며, 절곡면(63) 상에 주름(62)이 형성되어 차폐 튜브(50)의 골(52)과 맞물리며, 절곡면(63)의 단부에는 절곡면(63)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스토퍼(64)가 연장형성된다. 스토퍼(64)는 차폐 튜브(5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구성이다. 차폐 튜브(50)는 제1차폐판(60)과제2차폐판(70)이 와이어링(2)을 감싸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와이어링(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차폐판(60) 및 제2차폐판(70) 사이로 삽입된다. 차폐 튜브(50)는 연질 플라스틱으로 형성됨에 따라 탄성변형되며 주름(62)을 넘으며, 스토퍼(64)에 의해 삽입이 제한된다. 또한 차폐 튜브(50)의 재질 및 차폐판의 절곡면(63) 및 주름(62) 구조에 의해 차폐 튜브(50)와 차폐판이 밀접하게 면접될 수 있다.
또한 제1차폐판(60)과 제2차폐판(70)의 일단에는 복수의 슬롯(66) 및 슬롯(66) 사이에 요입면(6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8의 Ⅱ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하면, 슬롯(66)에 의해 요입면(65)은 차폐판의 내외측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는 자유단이 형성된다. 요입면(65)은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커넥터(1)에 조립 시 쉴드케이스(11)에 접하는 오목면과, 요입면(65)의 일단에 위치하며 오목면으로부터 커넥터(1)의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지면(67)을 포함한다. 더불어 오목면에는 쉴드케이스(11)를 향하는 방향으로 굽어지게 성형된 굽힘부(65a)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면을 이용한 커버와의 조립 관계는 이하에서 커버를 설명한 후에 다시 설명한다.
또한 도 8의 Ⅲ을 참조하면, 제1차폐판(60)과 제2차폐판(70)의 양 측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제1연장면(68)과 제2연장면(78)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1연장면(68) 및 제2연장면(78)의 양 단부로부터 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1커버조립면(69) 및 제2커버조립면(79)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조립 시, 제1연장면(68)과 제2연장면(78)은 맞닿으며, 제1커버조립면(69)과 제2커버조립면(79)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연장면(68)과 제2연장면(78)의 길이는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는 차폐판 외측을 감싸며 고정하고, 차폐 튜브(50), 차폐판 및 쉴드케이스(11)의 차폐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6 이하에 세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커버는 제1커버(80) 및 제2커버(90)가 반체로서 조립되어 하나의 관 형상을 이루고, 내측면이 차폐판에 맞닿으며 차폐판을 고정시킨다. 제1커버(80) 및 제2커버(90)는 각각 제1차폐판(60) 및 제2차폐판(70)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고, 양 측단이 서로 맞닿도록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커버(80)의 양 측단에는 상술한 제1커버조립면(69)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조립홈(89)이 요입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커버조립면(69)을 제1조립홈(89)에 끼워넣음으로서 제1차폐판(60)과 제1커버(80)가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제1조립홈(89)의 일부를 형성하며 조립될 시 제2연장면(78)에 맞닿도록 형성하는 턱 형상의 제1수밀부(8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수밀부(85)와 턱을 이루도록 돌출형성되는 제2수밀부(8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양 단의 외측면에는 제2커버(90)와의 조립을 위한 체결 란스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란스(83)에는 체결돌기(84)가 형성되어 체결 후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커버(90)의 양 측단에는 상술한 제2커버조립면(79)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2조립홈(99)이 요입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2조립홈(99)은 제2수밀부(86)도 함께 삽입될 수 있도록 요입되는 폭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양 단의 외측면에는 체결란스(83)가 수축되어 삽입될 수 있는 란스체결부(93)가 형성되며, 란스체결부(93)의 내측면에는 체결란스(83)가 복원되면서 체결돌기(84)가 걸릴 수 있는 체결홈(9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의 방향을 기준으로, 제1차폐판(60)과 제2차폐판(70), 제1커버(80)와 제2커버(90)가 조립되면, 제2수밀부(86)가 외측에서 측방향으로 수분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수밀부(85)가 제2수밀부(86)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수분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커버(80) 및 제2커버(90)에는 상술한 요입면(65)에 대응되며 요입면(65)에 삽입되어 이를 가압하는 가압돌기(82)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가압돌기(82)의 일측에는 차폐판의 지지면(67)이 삽입될 수 있는 지지홈(82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홈(82a)의 폭은 지지면(67)보다 크게 형성되며, 지지홈(82a)의 최 내측에는 지지면의 단부(67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1과 같이 커버와 차폐판을 조립한 상태에서 차폐판의 요입면(65)을 커넥터(1)의 쉴드케이스(11) 외측면에 맞닿도록 배치하여 가압하면, 가압돌기(82)가 요입면(65)을 누르고, 요입면(65)에 형성된 굽힘부(65a)가 쉴드케이스(11)에 의해 지지되면서 펴지면서 지지면(67)이 지지면(67)으로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나서 제1커버(80)와 제2커버(90)가 체결란스(83)에 의해 체결되면 차폐판의 요입면(65)과 쉴드케이스(11)가 면접한 상태를 유지하며 차폐 라인이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제1커버(80) 또는 제2커버(90)에는 차폐 튜브(50)의 단부와 결합될 수 있는 튜브결합부(1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2커버(90)에 튜브결합부(10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그 예로 도시하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하부에 위치된 제2커버(90)에 튜브결합부(100)가 형성되며, 튜브결합부(100)는 제2커버(90)와 연장된 면을 이루며 차폐 튜브(50)의 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결합부(102)와, 제1결합부(102)와 힌지(103)결합되는 제2결합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2결합부(101)에는 결합란스(105)가 형성되고, 제1결합부(102)에는 란스결합부(106)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란스(105)와 란스결합부(106)는 상술한 체결란스(83)와 란스체결부(93)와 동일한 원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결합부(102) 및 제2결합부(101)의 내측면에는 차폐튜브의 산(51)과 골(52) 형상에 대응되는 결합돌기(104)가 나사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폐 튜브(50)를 차폐판 내측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제1결합부(102)와 제2결합부(101)를 조립하면, 결합돌기(104)가 차폐 튜브(50)에 고정되면서 차폐튜브가 이탈되지 않는 구조이다.
도 1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a)와 같이 제1차폐판(60)과 제1커버(80)를 조립하고, 제2차폐판(70)과 제2커버(90)를 조립한다. 이때 차폐판 양 측단에 형성된 연장면과 커버조립면이 커버 양측단에 조립된다. 그리고 (b)와 같이 차폐판 내측에 와이어링(2)이 체결된 커넥터(1)를 배치한다. 이 때, 차폐판의 요입면(65)이 쉴드케이스(11)와 면접하도록 배치되며 쉴드케이스(11)와 차폐판 간 차폐 라인이 연결된다. 그리고 (c)와 같이 와이어링(2) 외주에 차폐튜브를 끼우고, 차폐튜브의 일단을 차폐판 내측으로 삽입한다. 차폐튜브는 차폐판에 형성된 스토퍼(64)에 닿을 때까지 삽입될 수 있고, 이 때 차폐판과 차폐튜브 간 차폐 라인이 연결된다. 그리고 (d)와 같이 튜브결합부(100)를 체결하면 (e)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른 조립 작업은 종래 차폐선 삽입 설비를 이용하고 테이핑 하여야 했던 조립 작업에 의해 현저히 공정이 간소화된 것이며, 따라서 작업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폐선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다이캐스팅된 부분에 흠집이나 금속 가루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내구성 또한 향상된다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각 구성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일부 구성을 임의로 조합하여 도출될 수 있는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커넥터 2 와이어링
11 쉴드케이스 12 이너하우징
13 아우터하우징 50 차폐 튜브
51 산 52 골
60 제1차폐판 61 차폐체
62 주름 63 절곡면
64 스토퍼 65 요입면
65a 굽힘부 66 슬롯
67 지지면 67a 지지면의 단부
68 제1연장면 69 제1커버조립면
70 제2차폐판 78 제2연장면
79 제2커버조립면 80 제1커버
81 제1커버체 82 가압돌기
82a 지지홈 83 체결란스
84 체결돌기 85 제1수밀부
86 제2수밀부 89 제1조립홈
90 제2커버 93 란스체결부
94 체결홈 99 제2조립홈
100 튜브결합부 101 제2결합부
102 제1결합부 103 힌지
104 결합돌기 105 결합란스
106 란스결합부

Claims (4)

  1. 와이어링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링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차폐판;
    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판은, 상기 와이어링의 일측을 감싸는 제1차폐판 및 타측을 감싸는 제2차폐판을 포함하여 상기 제1차폐판 및 제2차폐판이 반체로서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차폐판의 외측면에 조립되는 커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제1커버 및 제2커버가 반체로서 결합하여 상기 차폐판을 감싸되,
    상기 제1차폐판 및 제2차폐판의 양 측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연장면 및 제2연장면과, 상기 제1연장면 및 제2연장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커버 및 제2커버에 각각 삽입되는 제1커버조립면 및 제2커버조립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커버의 양 단의 외측면에는 체결란스가 형성되고,
    상기 제2커버의 양 단의 외측면에는 상기 체결란스가 탄성변형되며 삽입되는 란스체결부가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체결란스는 일단이 고정단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란스체결부에 삽입되며 상기 란스체결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체결란스의 타단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체결란스는 탄성변형되며 일단을 중심으로 힌지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차폐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란스는 상기 란스체결부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면에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란스체결부는 내측면에 상기 체결란스가 탄성회복됨에 따라 상기 체결돌기가 걸리는 체결홈이 요입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커넥터 차폐 구조.
KR1020230075697A 2020-12-15 2023-06-13 고전압 커넥터 차폐 구조 KR102607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697A KR102607869B1 (ko) 2020-12-15 2023-06-13 고전압 커넥터 차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017A KR102550197B1 (ko) 2020-12-15 2020-12-15 고전압 커넥터 차폐 구조
KR1020230075697A KR102607869B1 (ko) 2020-12-15 2023-06-13 고전압 커넥터 차폐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017A Division KR102550197B1 (ko) 2020-12-15 2020-12-15 고전압 커넥터 차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848A KR20230091848A (ko) 2023-06-23
KR102607869B1 true KR102607869B1 (ko) 2023-11-29

Family

ID=822163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017A KR102550197B1 (ko) 2020-12-15 2020-12-15 고전압 커넥터 차폐 구조
KR1020230075697A KR102607869B1 (ko) 2020-12-15 2023-06-13 고전압 커넥터 차폐 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017A KR102550197B1 (ko) 2020-12-15 2020-12-15 고전압 커넥터 차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5019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3894B2 (ja) * 1993-10-25 1998-03-30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ーのリアホルダカバー
KR20080000850U (ko) * 2006-10-30 2008-05-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의 보호커버
KR20090022954A (ko) * 2007-08-31 2009-03-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의 리어커버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0197B1 (ko) 2023-06-30
KR20220085172A (ko) 2022-06-22
KR20230091848A (ko)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8699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connecting twisted pair cable to the electrical connector
JP3786594B2 (ja) 電磁波シールド編組
US7491071B2 (en) Shield end processing structure
US6781059B2 (en) Shielded wire
US6669511B1 (en) Structure for connecting shielded cable to shield connector
US7534138B1 (en) Electrical cable shielding terminal
US20070123105A1 (en) Connector fixing structure
US10522951B2 (en) Cable connector
US10804665B2 (en) Terminal crimping method and terminal crimping structure
JP2008509536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JP4270782B2 (ja) 同軸ケーブル用シールド端子
KR101446540B1 (ko) 고전압 차폐 커넥터 및 고전압 차폐 커넥터의 조립 방법
JP2017055570A (ja) 導電路とシールド部材とのズレ防止構造、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110518431A (zh) 端子压接方法及端子压接结构
JP6119673B2 (ja) コネクタ
KR102607869B1 (ko) 고전압 커넥터 차폐 구조
US7044795B2 (en) Miniature,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with strain relief
CN109644583B (zh) 电磁屏蔽部件及导电路径
JP7164568B2 (ja) コネクタ
KR102499819B1 (ko) 커넥터
JP5086046B2 (ja) シールド部材
JP2019003727A (ja) シールドシェル、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KR102648083B1 (ko) 고전압 커넥터용 와이어 압착장치
KR20210078321A (ko) 커넥터
JP7159933B2 (ja) ワイヤ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