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705B1 - 제품 분류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제품 분류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705B1
KR102607705B1 KR1020220061746A KR20220061746A KR102607705B1 KR 102607705 B1 KR102607705 B1 KR 102607705B1 KR 1020220061746 A KR1020220061746 A KR 1020220061746A KR 20220061746 A KR20220061746 A KR 20220061746A KR 102607705 B1 KR102607705 B1 KR 102607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oving
unit
pair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62180A (ko
Inventor
신영모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스
신영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스, 신영모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스
Priority to KR1020220061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705B1/ko
Publication of KR20230162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7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05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individual load carriers which are movab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3/08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using arrangements of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8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 B65G47/71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the articles being discharged or distributed to several distinct separate conveyors or to a broader conveyor 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체결되며, 제품이 안착되어 안착된 제품을 소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복수의 무빙 유닛; 및 상기 무빙 플레이트의 하부에 형성되어 일렬로 이동하는 상기 무빙 플레이트를 적어도 둘 이상의 경로로 분배시키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품 분류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품 분류 이송 장치 {Product sorting conveying device}
본 발명은 제품 분류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렬로 공급되는 제품을 2열 이상의 다중 경로로 분배하여 이송하는 제품 분류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류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는 물류창고나 택배회사 및 다양한 물류를 다루는 현장 등에서 상기 물류를 연속적으로 이송 및 운반하도록 하는 띠 모양의 운반장치로서, 상기 컨베이어 장치로는 벨트식이나 체인식 및 로울러식 등이 있다.
즉, 상기 물류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는 여러 종류의 물류가 쌓여있는 곳에서 상기 물류를 종류에 따라 분류하여 다른 장소에 보관 및 원하는 장소로 보내거나 또는, 입고된 물류를 출고하기 전까지 일정시간 동안 일정장소에 쌓아놓기 위하여 상기의 물류를 이송 및 운반하게 된다.
상기의 물류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는 원하는 장소로 물류를 이송 및 운반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물류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컨베이어 장치는 운전된다.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운전에 의해 벨트 및 로울러, 체인 등과 같은 이송대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일측에 위치한 작업자는 상기 회전하는 이송대의 상면에 물류를 올려놓는다.
그러면, 상기의 물류는 회전하는 이송대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타측에 위치한 작업자 측으로 이송 및 운반된다.
그러나, 이러한 물류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는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일측부터 타측, 다시말해 컨베이어 장치의 시작지점부터 끝 지점까지 일 방향으로만 회전되면서 물류를 이송함에 따라 상기 동일한 종류의 물류만을 골라서 이송하거나 또는, 상기 다양한 종류의 물류를 컨베이어 장치의 끝 지점에서 종류별로 작업자가 일일이 분류작업을 하므로 인해 상기 물류 분류작업에 따른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류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끝 지점에서 작업자가 일일이 물류의 종류별로 분류작업을 행함에 따라 상기 물류의 효율적인 분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정확하지 못한 분류 작업으로 비효율적인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따라, 물류의 투입시간 및 이송시간, 물류의 분류시간이 많이 걸리는 등 작업 시간이 길어지고, 상기 물류의 분류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또한 물론 물류 분류 작업에 따른 생산 인력이 증가함에 따라 물류를 분류하는 작업에 따른 작업비용 및 관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물류 분류작업하는 작업장의 작업 환경이 복잡하고 불안전한 문제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7806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공급되는 제품을 2열 이상의 다중 경로로 분배하여 이송하는 제품 분류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분류 이송 장치는, 이송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체결되며, 제품이 안착되어 안착된 제품을 소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복수의 무빙 유닛; 및 상기 무빙 플레이트의 하부에 형성되어 일렬로 이동하는 상기 무빙 플레이트를 적어도 둘 이상의 경로로 분배시키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된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헤드 스프로킷;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로킷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테일 스프로킷;
상기 헤드 스프로킷과 상기 테일 스프로킷 사이에 체결되어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순환체인; 및
한 쌍의 상기 하우징 각각에 형성된 한 쌍의 상기 순환체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순환체인을 따라 는 복수의 가이드 샤프트;를 포함한다.
상기 무빙 유닛은,
상기 가이드 샤프트에 관통 체결되는 무빙 블록;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체결되어 제품이 안착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일단은 상기 무빙 블록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체결되는 무빙 가이드 핀;을 포함하고,
상기 무빙 블록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가이드 샤프트에 관통 체결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단면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무빙 가이드 핀이 체결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가이드 샤프트 하부 전단에 설치되며, 하나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샤프트 하부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로부터 분기되는 적어도 두 개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하나의 가이드 레일을 통해 일렬로 이송되는 상기 무빙 유닛을 상기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레일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방향으로 밀어내는 분류기;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기는,
상기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구동 유닛; 및
상기 구동 유닛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을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 블록;을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하나의 경로를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제품을 세 경로로 자동 분할하여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을 투입하는 투입시간과 제품의 이송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자동화된 분류 작업으로 인해 제품 분류작업에 따른 작업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분류 이송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품 분류 이송 장치의 개략적인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품 분류 이송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품 분류 이송 장치의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품 분류 이송 장치의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 및 내지 8은 순환체인의 세부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1은 무빙 유닛의 세부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가이드 유닛의 세부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분류 이송 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 분류 이송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 분류 이송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 분류 이송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 분류 이송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 분류 이송 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분류 이송 장치(1)는 일렬로 공급되는 제품을 2열 이상의 다중 경로로 분배하여 이송하는 컨베이어 장치로, 이송 컨베이어(100), 무빙 유닛(200) 및 가이드 플레이트(300)를 포함한다.
이송 컨베이어(10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체인이 순환 회전되는 체인 컨베이어의 형태일 수 있다. 즉, 이송 컨베이어(100)는 한 쌍의 체인에 의해 형성된 무한궤도를 순환 회전하면서 제품을 소정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무빙 유닛(200)은 복수 개로 마련되어 이송 컨베이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체결되며, 상부면에 제품이 안착되어 안착된 제품을 소정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가이드 유닛(300)은 무빙 유닛의 하부에 형성되어, 일렬로 이동하는 상기 무빙 유닛(200)를 적어도 둘 이상의 경로로 분배시키는 구조체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품 분류 이송 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컨베이어(100)의 이송면을 형성하는 가이드 샤프트(150)를 따라 복수의 무빙 유닛(200)이 연속적으로 설치되며, 무빙 유닛(200)에 제품을 안착시켜 제품을 이송시킨다.
이때, 무빙 유닛(200)은 제품이 투입되는 부분에서는 일렬로 정렬된 상태로 이동되다가, 가이드 플레이트(300)에 의해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경로로 분할 이송됨으로써, 무빙 유닛(200)에 적재되어 있는 제품을 서로 다른 경로로 분할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는 가이드 플레이트에 두 개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일렬로 이송되는 제품을 두 방향, 다시 말해 2열로 분류하여 이송시키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에 세 개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일렬로 이송되는 제품을 세 방향으로 분류하여 이송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가이드 플레이트에 네 개 이상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제품 분류 이송 장치는 일렬로 이송되는 제품을 4열 이상으로 분류하여 이송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분류 이송 장치(1)의 상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컨베이어(100)는 한 쌍의 하우징(110), 한 쌍의 헤드 스프로킷(120), 한 쌍의 테일 스프로킷(130), 한 쌍의 순환체인(140) 및 복수의 가이드 샤프트(150)로 구성된다.
하우징(110)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ㄷ자 형상의 부재로, 지지 레그(L)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지지된다.
헤드 스프로킷(120)은 한 쌍의 하우징(110)의 일단(예컨대 전단)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하우징(110)의 일측에 설치된 모터(M)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톱니바퀴 형상의 체인 기어이다. 한 쌍의 헤드 스프로킷(120)은 구동축(G)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한다.
테일 스프로킷(130)은 헤드 스프로킷(12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하우징(110)의 타단(예컨대 후단)에 설치된다. 테일 스프로킷(130)은 순환체인(140)을 통해 헤드 스프로킷(120)에 연결되며, 헤드 스프로킷(120)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통해 회전한다.
순환체인(140)은 헤드 스프로킷(120)과 테일 스프로킷(130) 사이에 체결되어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체인 구조체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 체인(140a)이 연속적으로 결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헤드 스프로킷(120)과 테일 스프로킷(130) 사이에는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면에 체인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며, 순환체인(140)은 양 쪽 끝부분은 각각 헤드 스프로킷(120)과 테일 스프로킷(130)에 결합되면서 중간 부분은 체인 가이드 레일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이러한 순환체인(140)을 구성하는 단위 체인(140a)의 세부 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의 (a)는 단위 체인(140a)의 정면도, 도 7의 (b)는 단위 체인(140a)의 평면도, 도 7의 (c)는 단위 체인(140a)의 저면도, 도 7의 (d)는 단위 체인(140a)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체인(140a)은 본체부(141), 상부 돌출부(142) 및 하부 돌출부(143)로 구성된다.
본체부(141)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판형 부재로, 전단부 일측에는 수평 돌출부(1411)가 형성되고, 후단부 일측에는 이웃하는 단위 체인(140a)에 형성된 수평 돌출부(1411)가 삽입되기 위한 오목 홈부(1412)가 형성된다.
이때, 수평 돌출부(1411)의 하부면에는 후술하는 하부 돌출부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재(1413)이 형성이 형성되며, 체결부재에는 핀공이 형성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본체부(141)의 전체적인 형상은 도 8에 도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41a)는 전단부에는 복수의 수평 돌출부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복수의 수평 돌출부가 끼움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오목 홈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 돌출부(142)는 본체부(141)의 상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부재로, 후술하는 한 쌍의 가이드 가이드 샤프트(150)가 체결되기 위한 한 쌍의 체결공(142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하우징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단위 체인(140a)은 두 개의 가이드 샤프트(150)가 체결될 수 있다.
하부 돌출부(143)는 본체부(141)의 하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며, 서로 하나의 본체부(141)에는 한 쌍의 하부 돌출부(143)가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하부 돌출부(143)의 측면부에는 가이드 날개(1431)이 형성되어 헤드 스프로킷(120)과 테일 스프로킷(130) 형성된 체인 가이드 레일에 끼움 체결되어 체인 가이드 레일을 따라 단위 체인(140a)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하부 돌출부(143)에는 핀공이 형성되어 체결핀(미도시)이 한 쌍의 하부 돌출부(143) 사이에 체결되며, 이때 한 쌍의 하부 돌출부(143) 사이에 체결부재(1413)가 삽입되어 체결부재(1413)가 체결핀(미도시)을 통해 한 쌍의 하부 돌출부(143)에 고정됨으로써 복수의 단위 체인(140a)이 연속적으로 체결되어 체인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또한, 복수의 단위 체인(140a)이 연속적으로 체결된 순환 체인(140)은 헤드 스프로킷(120)의 회전 과정에서 표면에 형성된 톱니에 체결핀이 걸려 맞물리게 순환 체인(140)이 됨으로써 스프로킷 견인에 의해 순환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샤프트(150)는 한 쌍의 상기 하우징(110) 각각에 형성된 한 쌍의 상기 순환체인(14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순환체인(140)을 따라 순환 이동하는 봉형 부재이다.
무빙 유닛(200)은 가이드 샤프트(150)에 체결되어 한 쌍의 상기 순환체인(140) 사이에 연결된 가이드 샤프트(150)을 따라 순환 이동하는 부재이다.
도 9는 이러한 무빙 유닛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 유닛(300)은 가이드 샤프트(150)에 관통 체결되는 무빙 블록(210), 무빙 블록(210)의 상부에 체결되어 제품이 안착되는 판 형상의 상부 플레이트(220) 및 일단은 상기 무빙 블록에 체결되고, 타단은 후술하는 가이드 유닛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체결되는 무빙 가이드 핀(230)으로 구성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무빙 블록(21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 블록(210)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가이드 샤프트에 관통 체결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무빙 블록(210)의 하부면은 돌출되어 단면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돌출된 부분의 하부면에는 무빙 가이드 핀(230)이 체결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무빙 유닛(300)은 무빙 가이드 핀(230)이 후술하는 가이드 유닛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체결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가이드 레일의 경로가 변경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 블록(210)이 가이드 샤프트(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체결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6은 이러한 무빙 유닛(200)을 복수의 경로로 분배하는 가이드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가이드 유닛(300)은 이송 컨베이어(100)의 가이드 샤프트(150)로 구성되는 타원형 궤도의 이송 궤도 내부에 설치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10),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20), 분류기(330), 하부 이송 플레이트(340) 및 연결 플레이트(350)로 구성된다.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10)는 가이드 샤프트(150) 하부 전단에 설치되며, 하나의 가이드 레일(R1)이 형성된 판형 부재이다.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20)는 가이드 샤프트(150) 하부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단일 가이드 레일로부터 분기되기 위한 복수의 분기 가이드 레일(R2, R3, R4)이 형성된 판형 부재이다.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20)는 일측에 홈부(321)가 형성되며, 이 홈부(321)에 유도 플레이트(322)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도 플레이트(322)의 일측에는 돌출부(323a. 323b)가 형성되며, 이 돌출부는 내측면이 서로 마주보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돌출부(323a. 323b)는 단면이 직각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10)가 형성된 방향으로부터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20)가 형성된 방향으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가이드 샤프트(150)를 따라 연속적으로 체결되는 무빙 유닛(200)은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10) 및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20)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무빙 가이드 핀(230)이 체결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무빙 유닛(200)은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10) 단일 가이드 레일(R1)을 따라 일렬로 이동하다가, 후술하는 분류기(330)에 의해 이동 방향이 유지되거나 가이드 샤프트(150)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20)에 형성된 세 개의 가이드 레일(R2, R3, R4)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유도 플레이트(322)의 형태적 특징으로 인하여 무빙 유닛(200)은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20)에 형성된 세 개의 분기 가이드 레일(R2, R3, R4) 중 어느 하나로 정확하게 이동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이러한 분류기(33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분류기(330)는 상기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31),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31)의 양 측면에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커버 하우징(332), 각각의 커버 하우징(332)에 설치되는 구동 유닛(333) 및 상기 구동 유닛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을 슬라이딩 이동하는 ㄴ자 형상의 가이드 블록(334)로 구성된다.
즉, 분류기(330)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10)와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2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10)에 형성된 단일 가이드 레일(R1)을 따라 이동하는 무빙 유닛(200)을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20)에 형성된 복수의 분기 가이드 레일(R2, R3, R4) 중 어느 하나의 분기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방향 쪽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한다.
구체적으로, 분류기(330)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구동 유닛(333)을 이용하여 한 쌍의 가이드 블록(334)를 밀어내거나 당김으로써,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하나의 가이드 레일을 통해 일렬로 이송되는 무빙 유닛(200)을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20)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레일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 유닛(333)은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전기(전동) 실린더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모터, 구동축 등과 같이 물체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주지의 다양한 장치들로도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10)와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20)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어 분류기(330)가 형성된 위치에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분류기(330)는 무빙 유닛을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분류기(330)는 제품의 특징에 따라 한 쌍의 가이드 블록(334)의 동작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품을 좌측에 형성된 제1 분기 가이드 레일(R2)로 이송시키고자 할 때, 분류기(330)는 이송될 제품의 무게가 미리 설정된 기준 무게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에 위치한 한 쌍의 가이드 블록(334a, 334b) 모두를 내측 방향으로 밀어내어 한 쌍의 가이드 블록(334a, 334b)이 무빙 유닛(200)의 하단에 형성된 무빙 가이드 핀(230)에 접촉되도록 제어한다. 이 상태에서,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류기(330)는 한 쌍의 가이드 블록(334a, 334b)을 미리 정해진 이동 거리만큼 좌측으로 이동시켜 무빙 유닛(200)을 제1 분기 가이드 레일(R2)이 형성된 방향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분류기(330)는 이송하고자 하는 제품이 비교적 가벼운 경우, 한 쌍의 가이드 블록(334a, 334b)을 이용하여 무빙 유닛(200)을 이동시킴으로써 무빙 블록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하여 이송 과정에서 제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제품을 좌측에 형성된 제1 분기 가이드 레일(R2)로 이송시키고자 할 때, 분류기(330)는 이송될 제품의 무게가 미리 설정된 기준 무게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에 형성된 제2 가이드 블록(334b)만 내측 방향으로 밀어내고, 좌측에 형성된 제1 가이드 블록(334a)는 초기 위치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이 상태에서,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류기(330)는 무빙 가이드 핀(230)에 접촉된 제2 가이드 블록(334b)을 미리 정해진 이동 거리만큼 좌측으로 이동시켜 무빙 유닛(200)을 제1 분기 가이드 레일(R2)이 형성된 방향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분류기(330)는 이송하고자 하는 제품이 비교적 무거운 경우 이송 과정에서 이탈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하나의 가이드 블록을 이용해서 무빙 블록(200)의 이동 경로를 제어하더라도 안전하게 제품을 이송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분류기(330)는 제품의 파손 위험도, 크기, 형상, 바코드 정보 등과 같은 제품의 다른 특징에 따라서도 한 쌍의 가이드 블록(334)의 동작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분류기(330)는 무빙 블록(200)을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20)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2 분기 가이드 레일(R3)이 형성된 방향으로 이송시키기고자 하는 경우, 한 쌍의 가이드 블록(334a, 334b)을 초기 위치로 고정시킴으로써,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단일 가이드 레일(R1)을 따라 이동되던 무빙 블록(200)이 직진 방향을 따라 제2 분기 가이드 레일(R3)쪽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분류기(330)는 소정 시간 간격마다 미리 정해진 패턴으로 구동 유닛을 구동시켜 세 개의 경로로 무빙 블록(200)을 순차적으로 배분할 수도 있다.
하부 이송 플레이트(340)는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10) 및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20)의 하부에 설치되는 판형 부재이다.
하부 이송 플레이트(340)는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20)를 통과한 후 복수의 경로로 분할되어 이송되는 무빙 블록(200)을 다시 일렬로 정렬시키켜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10)로 공급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이송 플레이트(340)는 삼각형 또는 플라스크 형상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양 측면으로 이동된 무빙 블록(200)이 가이드 홈의 가장자리 면을 따라 중앙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연결 플레이트(350)는 하부 이송 플레이트(340)의 일단과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10)를 연결시키고, 하부 이송 플레이트(340)의 타단과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20)를 연결시키는 반원형 부재이다.
이러한 연결 플레이트(350)는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20)에 형성된 양 쪽의 가이드 레일(R2, R4)이 형성된 부분과,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10)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R1)이 형성된 부분에 설치되며, 총 3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350)의 내측면에는 베어링 홈이 형성되며, 이 베어링 홈은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20) 또는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20)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 끝단과 연결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된 무빙 블록이 하부 이송 플레이트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품 분류 이송 장치(1)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순환체인(140) 사이에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샤프트(150)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무빙 유닛(200)이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10) 단일 가이드 레일(R1)을 따라 일렬로 이동되도록 하다가, 분류기(330)를 통해 가이드 샤프트(150)의 중앙,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320)에 형성된 세 개의 가이드 레일(R2, R3, R4)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하나의 경로를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제품을 세 경로로 자동 분할하여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제품 분류 이송 장치
100: 이송 컨베이어
110: 하우징
120: 헤드 스프로킷
130: 테일 스프로킷
140: 순환체인
150: 가이드 샤프트
200: 무빙 유닛
300: 가이드 유닛
310: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
320: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
330: 분류기
340: 하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
350: 연결 플레이트

Claims (2)

  1. 이송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체결되며, 제품이 안착되어 안착된 제품을 소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복수의 무빙 유닛; 및
    상기 무빙 유닛의 하부에 형성되어 일렬로 이동하는 상기 무빙 유닛을 적어도 둘 이상의 경로로 분배시키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제품 분류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된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헤드 스프로킷;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 스프로킷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테일 스프로킷;
    상기 헤드 스프로킷과 상기 테일 스프로킷 사이에 체결되어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순환체인; 및
    한 쌍의 상기 하우징 각각에 형성된 한 쌍의 상기 순환체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순환체인을 따라 순환 이동하는 복수의 가이드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체인은, 복수의 단위 체인이 연속적으로 결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위 체인은,
    전단부 일측에는 수평 돌출부가 형성되고, 후단부 일측에는 이웃하는 다른 단위 체인에 형성된 수평 돌출부가 삽입되기 위한 오목 홈부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상부 돌출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하부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돌출부의 하부면에는 체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돌출부는, 한 쌍의 가이드 샤프트가 체결되기 위한 한 쌍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돌출부의 측면부에는 가이드 날개가 형성되어 헤드 스프로킷과 테일 스프로킷 사이에 형성된 체인 가이드 레일에 끼움 체결되고,
    한 쌍의 하부 돌출부 사이에는 체결핀이 체결되며,
    상기 순환체인은,
    제1 단위 체인에 형성된 한 쌍의 하부 돌출부 사이에 제2 단위 체인에 형성된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체결핀을 통해 고정됨으로써 복수의 단위 체인이 연속적으로 체결되어 체인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무빙 유닛은,
    상기 가이드 샤프트에 관통 체결되는 무빙 블록;
    상기 무빙 블록의 상부에 체결되어 제품이 안착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일단은 상기 무빙 블록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 유닛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에 체결되는 무빙 가이드 핀;을 포함하고,
    상기 무빙 블록은,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가이드 샤프트에 관통 체결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단면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무빙 가이드 핀이 체결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가이드 샤프트 하부 전단에 설치되며, 하나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샤프트 하부 후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로부터 분기되는 적어도 두 개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하나의 가이드 레일을 통해 일렬로 이송되는 상기 무빙 유닛을 상기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레일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방향으로 밀어내는 분류기;를 포함하고,
    상기 분류기는,
    상기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 측면에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구동 유닛; 및 상기 구동 유닛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을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며,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무빙 가이드 핀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상기 가이드 블록을 밀어내거나 당김으로써 상기 제1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하나의 가이드 레일을 통해 일렬로 이송되는 무빙 유닛을 상기 제2 상부 이송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셋 이상의 가이드 레일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분류 이송 장치.
  2. 삭제
KR1020220061746A 2022-05-20 2022-05-20 제품 분류 이송 장치 KR102607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746A KR102607705B1 (ko) 2022-05-20 2022-05-20 제품 분류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746A KR102607705B1 (ko) 2022-05-20 2022-05-20 제품 분류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180A KR20230162180A (ko) 2023-11-28
KR102607705B1 true KR102607705B1 (ko) 2023-11-29

Family

ID=88957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746A KR102607705B1 (ko) 2022-05-20 2022-05-20 제품 분류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70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800085A (nl) * 1988-01-15 1989-08-01 Speciaalmachinefabriek Van Uit Inrichting voor het geselecteerd over een aantal banen verdelen van in een rij aangevoerde flessen.
KR20100078064A (ko) 2008-12-30 2010-07-08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물류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의 양방향 분류장치
KR102078380B1 (ko) * 2018-04-16 2020-04-07 주식회사 화인매카트로닉스 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180A (ko) 202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779B1 (ko) 벨트 컨베이어 분류기
EP1367009B1 (en) Singulating conveyor
EP1962717B1 (en) Conveyor switch
KR930009154B1 (ko) 자체구동 운반대를 갖춘 물품분류장치
US6854584B2 (en) Linear belt sorter and methods of using linear belt sorter
US5217103A (en) Conveyor
KR101930107B1 (ko) 가로 구동식 롤러 벨트 및 컨베이어
US20100078297A1 (en) Transverse belt
US4293064A (en) Roll conveyor
US1931454A (en) Conveying mechanism
EP0425021A1 (en) Conveyor
US4142625A (en) Holding conveyor system
US20220081222A1 (en) Conveying device
US3826351A (en) Tray conveyor
KR102113531B1 (ko) 초고속 대량 물류처리 시스템
KR102607705B1 (ko) 제품 분류 이송 장치
JP7004286B2 (ja) 移載装置
EP0463027B1 (en) Product control apparatus
US6318543B1 (en) Product transport system
KR20170124263A (ko) 체인 컨베이어 어셈블리
US866337A (en) Conveying apparatus.
SE9502238D0 (sv) Transportsystem, innefattande lastbärare och transportör
US20240327133A1 (en) Deflecting device for an elongate item
KR20050083012A (ko) 컨베이어식 분류장치
JP2014101223A (ja) 物品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