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154B1 - 당구공의 당점 및 운동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당구공의 당점 및 운동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154B1
KR102607154B1 KR1020230019355A KR20230019355A KR102607154B1 KR 102607154 B1 KR102607154 B1 KR 102607154B1 KR 1020230019355 A KR1020230019355 A KR 1020230019355A KR 20230019355 A KR20230019355 A KR 20230019355A KR 102607154 B1 KR102607154 B1 KR 102607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iard ball
ball body
momentum
point
billi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9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준
김영권
Original Assignee
고재준
김영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준, 김영권 filed Critical 고재준
Priority to KR1020230019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7Counting, e.g. counting periodical movements, revolutions or cycles, or including further data processing to determine distances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2Billiard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구공의 당점 및 운동량 측정장치는, 구형의 당구공 본체(10a); 상기 당구공 본체(10a)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들로 구성되고, 플레이어가 큐(cue)로 타격함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플레이어가 타격한 당구공 본체(10a)의 실제 당점과 당구공 본체(10a)의 회전 및 직선운동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100); 상기 당구공 본체(10a)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당점 위치와 당구공 본체(10a)의 직선운동과 회전 운동량을 계산하는 제어부(110); 상기 당구공 본체(10a) 내부에 구비되고, 무선 충전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부(120); 상기 당구공 본체(10a)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10)에서 계산한 당구공 본체(10a)의 직선운동과 회전 운동량 결과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130); 및 상기 당구공 본체(10a)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통신부(130)와 무선통신하며, 센서부(100)와 제어부(110)로부터 측정된 당구공 본체(10a)의 당점, 회전 및 직선운동의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당구공의 당점 및 운동량 측정장치 {Apparatus for measuring stroke point and momentum of billiard ball}
본 발명은 당구공의 당점 및 운동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당구 동호인 또는 당구 선수들이 연습이나 경기를 진행하거나 당구 경기를 중계할 때, 플레이어가 당구공을 타격한 실제 당점과 당구공의 회전 및 직선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해 줄 수 있는 당구공의 당점 및 운동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당구는 많은 사람들이 쉽게 접하고 즐길 수 있는 대중적인 스포츠로, 특히 우리나라에는 2만개가 넘는 당구장과 3000개가 넘는 당구 동호회, 그리고 세계 최초 PBA 프로리그 창설 등으로 볼 때 매우 활성화되어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현직에서 은퇴하는 실버 세대가 점점 늘어나고, 이들이 대부분이 청년시절 당구를 접하고 즐겼던 세대이므로, 당구 관련 사업은 매우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현실을 들여다보면, 낙후된 시설, 시대에 뒤떨어진 매장 운영 방식, 첨단 기술과 동 떨어진 교습방식이 주를 이루는 등 여러 문제점 등을 내포하고 있기도 하다.
한편, 당구에는 4구, 3쿠션, 포켓볼 등 여러 종류의 게임 방식이 있는데, 각 게임의 룰(rule)은 달라도 당구 기술의 기본 중의 기본은 플레이어가 당구 큐를 이용하여 당구공을 원하는 방식으로 정확히 타격하는 스트로크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당구 스트로크의 3요소라 하면 두께, 속도, 당점, 이 세 가지를 뜻한다. 여기서 두께란, 수구와 1적구의 충돌 단면적을 의미하며, 속도는 큐 스트로크의 속도이다. 당점이란 당구공이 큐에 의해 타격되는 당구공 표면의 어떤 지점을 의미하는데, 통상 큐 끝의 팁 두께를 기준삼아 0팁, 1팁, 2팁, 3팁 등으로 명칭하며, 0팁인 당구공 정 중앙으로부터, 1시 방향 1팁, 2시 방향 2팁, 3시 방향 3팁 등으로 표시한다. 당점은 큐에 의해 타격된 당구공의 초기 회전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 팁의 숫자가 커질수록 당구공의 회전이 증가한다고 볼 수 있으나, 이는 매우 정성적인 표시이기도 하거니와 플레이어가 의도하고 노린 당점과 실제 타격된 당점의 차이가 항상 있을 수밖에 없고 플레이어는 이를 알 수가 없으므로 당구를 어렵게 만드는 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야구경기에서는 투수가 던진 야구공의 속력과 회전수 등을 스피드건이나 초고속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TV 중계화면이나 야구장 전광판에 표시하여 시청자나 관중들의 흥미를 더해주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야구공 내부에 센서를 장착하여 야구공의 회전수 및 속력뿐만 아니라 비행궤적까지도 표시해주는 이른바 스마트 야구공도 등장하였으나, 당구경기에서는 아직 이러한 기술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여 당구공의 실제 당점이나 당구공의 속력 및 회전수 등을 정량적으로 확인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한국 특허공개 제1998-0087657호 (1998.12.05. 공개)
한국 특허공개 제2022-0028446호 (2022.03.08.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당구 동호인 또는 당구 선수들이 연습이나 경기를 진행하거나 당구 경기를 중계할 때, 플레이어가 당구공을 타격한 실제 당점과 당구공의 회전 및 직선운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해 줄 수 있는 당구공의 당점 및 운동량 측정장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당구공의 당점 및 운동량 측정장치는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형의 당구공 본체(10a); 상기 당구공 본체(10a)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들로 구성되고, 플레이어가 큐(cue)로 타격함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플레이어가 타격한 당구공 본체(10a)의 실제 당점과 당구공 본체(10a)의 회전 및 직선운동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100); 상기 당구공 본체(10a)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당점 위치와 당구공 본체(10a)의 직선운동과 회전 운동량을 계산하는 제어부(110); 상기 당구공 본체(10a) 내부에 구비되고, 무선 충전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부(120); 상기 당구공 본체(10a)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10)에서 계산한 당구공 본체(10a)의 직선운동과 회전 운동량 결과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130); 및 상기 당구공 본체(10a)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통신부(130)와 무선통신하며, 센서부(100)와 제어부(110)로부터 측정된 당구공 본체(10a)의 당점, 회전 및 직선운동의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센서부는, 당구공 본체(10a)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무게중심을 감싼 정사면체의 각 꼭지점에 배치되는 제1 관성센서(101), 제2 관성센서(102), 제3 관성센서(103) 및 제4 관성센서(104); 및 상기 당구공 본체(10a)의 무게중심에 배치되는 레벨센서(1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4 관성센서는 플레이어가 큐로 당구공 본체를 타격 시 충격파 신호가 도달하는 시각인 t1, t2, t3, t4(301 내지 304)를 도달하는 순서대로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t1, t2, t3, t4(301 내지 304)를 전달받아 충격파가 도달된 시각의 시간간격인 Δt1, Δt2, Δt3, Δt4를 계산한 후 상기 계산된 Δt1, Δt2, Δt3, Δt4를 삼각측량법에 대입함으로써 당점의 위치를 도출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동안 제1 내지 제4 관성센서들(101)(102)(103)(104)에 의해 충격량 값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전원부의 전원을 차단(OFF)하여 소비전력이 최소화되는 슬립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관성센서들(101)(102)(103)(104)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량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트리거 레벨(trigger level, 310)을 상회하는 경우 전원부를 온(ON)시켜 활성화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레벨센서(105)는 당구공 본체(10a)의 무게중심에 배치되어 당구공(10)이 정지한 상태에서 기울기 레벨값을 제어부(110)로 전달하고, 제어부(110)는 상기 전달된 기울기 레벨값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4 관성센서들(101)(102)(103)(104)의 기준 위치값을 도출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4 관성센서들(101)(102)(103)(104)은 3축 가속도 센서, 3축 자이로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내지 제4 관성센서(101 내지 104)에서 전달받은 가속도 데이터를 시간에 따른 적분을 시행하여 당구공(10)의 속력으로 환산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관성센서(101 내지 104)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각속도 측정값으로부터 당구공(10)의 회전수와 회전축 정보를 도출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130)는 소비전력이 최소화되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방식이나 Wi-Fi(Wireless Fidelity)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외부 단말부와 무선통신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130)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당점, 당구공의 속력, 당구공의 회전수를 포함한 당구공의 운동량 정보를 인터넷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인터넷 서버는 다시 상기 당점, 당구공의 속력, 당구공의 회전수를 포함한 당구공의 운동량 정보를 당구 경기 TV 중계화면이나 경기장 전광판에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당구공의 당점 및 운동량 측정장치는, 당구 동호인 또는 당구 선수들이 연습이나 경기를 진행할 때 플레이어가 당초 타격하고자 의도한 당점과 실제로 당구공이 타격된 당점 간의 차이를 바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스트로크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야구 중계에서 투수가 던진 공의 속력과 회전수(rpm)를 중계 화면에 표시하여 시청자들이나 해설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줄 수 있는 것처럼 당구 경기를 직접 하거나 당구 경기를 중계할 때 플레이어가 타격한 당구공의 속력과 회전수 등을 외부 단말이나 TV중계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경기에 재미를 배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구공의 당점 및 운동량 측정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당구공 본체 내부의 부품 배치도
도 3은 도 1의 당구공 타격 시 제1 내지 제4 관성센서들의 출력 데이터 예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내지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구공의 구성 및 작동 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구공의 당점 및 운동량 측정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당구공 본체 내부의 부품 배치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당구공 타격 시 제1 내지 제4 관성센서들의 출력 데이터 예시도이다.
본 발명 측정장치에 따른 당구공(10)은 당구공 본체(10a) 내부에, 당점과 당구공의 운동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100)와,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당점 위치와 당구공 본체(10a)의 직선운동과 회전 운동량을 계산하는 제어부(110)와, 결과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130)와,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부(120)를 포함한다.
한편, 당구공 본체(10a) 외부에는 상기 통신부(130)와 무선통신하며, 센서부(100)와 제어부(110)로부터 측정된 당구공 본체(10a의 회전 및 직선운동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표시하는 외부 단말부(140)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센서부(100)는 제1 관성센서(101), 제2 관성센서(102), 제3 관성센서(103), 제4 관성센서(104) 및 레벨센서(10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관성센서들(101)(102)(103)(104)은 3축 가속도 센서와 3축 자이로 센서를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관성센서들(101)(102)(103)(104)은 도 2의 예시처럼 당구공(10)의 중심을 무게중심으로 하는 정사면체의 꼭지점에 위치하여 당구공 본체(10a)의 표면을 정사면체 각각의 면에 해당하는 4개의 분면으로 나누어 센싱(sensing)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벨센서(105)는 도 2의 예시처럼 당구공(10)의 중심에 위치하여 당구공이 정지되어있을 때 기울기 레벨값을 제어부로 전달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관성센서들(101)(102)(103)(104)의 기준 위치값을 알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당구 큐(cue, 미도시)로 당구공을 타격하였을 때 발생하는 충격은 당구공 본체(10a)의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충격파 형태로 전달되고, 이때 상기 충격파는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상술한 바와 같이 당구공 본체(10a) 내부에 배치된 4개의 제1 내지 제4 관성센서들(101)(102)(103)(104)에게서 t1, t2, t3, t4 시각(301 내지 304)에 각각 감지된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 트리거 레벨(trigger level, 310) 이상의 충격일 때만 당구공(10)이 타격되었다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110)가 인지하도록 하여 큐에 의한 타격과 일반적인 작은 충격(예, 공끼리 부딪히거나 쿠션에 부딪히는 경우)을 구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4 관성센서들(101)(102)(103)(104)에 의해 측정된 충격량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트리거 레벨을 상회하는 경우 제1 내지 제4 관성센서들(101)(102)(103)(104) 각각에 충격파가 도달된 시각의 시간간격인 Δt1, Δt2, Δt3를 측정하면 일반적인 삼각측량법으로 당점을 쉽게 알아낼 수 있다.
참조로, 상술한 방법은 예컨대 지구 내부에 지진이 발생하고 세 지점에 위치한 지진관측소의 측정정보를 이용하여 삼각측량법으로 진원지를 파악하는 방법과 유사한 원리로 수행된다.
이러한 삼각측량법은 측량 구역을 삼각형으로 분할하여 각 지점의 수평위치를 결정하는 측량법의 하나로서, 하나의 점과 두 기준점이 주어졌으면, 그 점과 두 기준점이 이루는 삼각형에서 밑변과 다른 두 변이 이루는 각을 각각 측정하고, 그 변의 길이를 측정한 뒤, 사인 법칙 등을 이용하여 일련의 계산을 수행함으로써, 그 점에 대해 좌표와 거리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도 3의 경우처럼 제1 관성센서(101)에 제일 먼저 충격파 신호가 도착한 후, 연달아 제2, 제3, 제4 관성센서(102)(103)(104)의 순서로 도착하였다면 당점은 제1, 제2, 제3 관성센서(101)(102)(103)가 위치하는 정사면체 분면에 위치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확인된 Δt1, Δt2, Δt3 정보를 삼각측량법에 대입함으로써 정확한 당점의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만약 t1, t2, t3(301)(302)(303)가 같은 시각으로 서로 일치했다면 당점의 위치는 제1, 제2, 제3 관성센서(101)(102)(103)가 위치하는 정사면체 분면의 정중앙에 위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당구공 본체(10a)가 완벽한 구(毬)의 형태를 갖기 때문에 정지 시 특정 방향으로 진행하지 않고 임의의 방향으로 진행 및 정지하게 되므로 당구공(10)이 정지한 상태에서 당구공 본체(10a)가 바닥과 닿는 면은 항상 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벨센서(105)의 기울기 정보로부터 정지한 당구공(10)의 바닥면이 당구공 본체(10a) 표면의 어떤 점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당구공(10)이 타격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회전 및 직선운동할 때 상기 4개의 관성센서, 즉 제1 내지 제4 관성센서(101 내지 104)를 구성하는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내지 제4 관성센서(101 내지 104)에서 전달받은 가속도 데이터를 시간에 따른 적분을 시행하여 당구공(10)의 속력으로 환산하고, 또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자이로센서의 각속도 측정값으로부터 당구공(10)의 회전수와 회전축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라 전원부(120)는 최소 4시간 이상 연속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배터리는 무선 충전(wireless charging)을 통해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120)는 당구공(10)에 일정 시간동안 움직임이 없을 시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OFF)하고 소비전력이 최소화되는 슬립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대기 상태인 슬립모드에서는 상기 4개의 관성센서들(101 내지 104) 중 최소 1개만 가동하여 강한 충격을 감지되면 전체 당구공(10)이 활성화되면서 전원이 켜지도록(ON)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30)는 소비전력이 최소화되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방식이나 기타 Wi-Fi(Wireless Fidelity) 등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단말부(200)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단말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당구 경기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방식의 무선 점수판 표시장치나, 경기장 전광판 등도 활용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통신부(130)는 Wi-Fi 접속을 통하여 당구공(10)은 당점, 당구공의 속력, 당구공의 회전수 등의 정보를 인터넷 클라우드 서버(미도시)로 전송하고, 상기 인터넷 클라우드 서버는 다시 상기 정보를 당구 경기 TV 중계화면이나 경기장 전광판 등에 표시되도록 송출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당구공(10)을 통하여 당구 연습이나 경기에서 플레이어가 당구공을 실제 타격한 정확한 당점 위치와 타격된 당구공의 속력, 회전수 등의 회전 및 직선운동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단지 앞서 기술된 일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된 것은 아니며, 장치의 세부 구성이나 개수 및 배치 구조를 변경할 때에도 동일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구성의 부가 및 삭제, 변형이 가능한 것임을 명시하는 바이다.
10 : 당구공
10a: 당구공 본체
100: 센서부
101 : 제1 관성센서
102 : 제2 관성센서
103 : 제3 관성센서
104 : 제4 관성센서
105 : 레벨센서
110: 제어부
120: 전원부
130: 통신부
200: 외부 단말부
300: 당구공 타격 시 4개의 관성센서에서 측정된 충격파 예시도
301: 제1 관성센서에서 측정된 충격파
302: 제2 관성센서에서 측정된 충격파
303: 제3 관성센서에서 측정된 충격파
304: 제4 관성센서에서 측정된 충격파
310: 타격 감지용 기준 트리거 레벨

Claims (9)

  1. 구형의 당구공 본체(10a);
    상기 당구공 본체(10a)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들로 구성되고, 플레이어가 큐(cue)로 타격함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플레이어가 타격한 당구공 본체(10a)의 실제 당점과 당구공 본체(10a)의 회전 및 직선운동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100);
    상기 당구공 본체(10a)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10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당점 위치와 당구공 본체(10a)의 직선운동과 회전 운동량을 계산하는 제어부(110);
    상기 당구공 본체(10a) 내부에 구비되고, 무선 충전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부(120);
    상기 당구공 본체(10a)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10)에서 계산한 당구공 본체(10a)의 직선운동과 회전 운동량 결과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부(130); 및
    상기 당구공 본체(10a)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통신부(130)와 무선통신하며, 센서부(100)와 제어부(110)로부터 측정된 당구공 본체(10a)의 당점, 회전 및 직선운동의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 단말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당구공 본체(10a)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무게중심을 감싼 정사면체의 각 꼭지점에 배치되는 제1 관성센서(101), 제2 관성센서(102), 제3 관성센서(103) 및 제4 관성센서(104); 및
    상기 당구공 본체(10a)의 무게중심에 배치되는 레벨센서(105);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 관성센서는 플레이어가 큐로 당구공 본체를 타격 시 충격파 신호가 도달하는 시각인 t1, t2, t3, t4(301 내지 304)를 도달하는 순서대로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t1, t2, t3, t4(301 내지 304)를 전달받아 충격파가 도달된 시각의 시간간격인 Δt1, Δt2, Δt3, Δt4를 계산한 후 상기 계산된 Δt1, Δt2, Δt3, Δt4를 삼각측량법에 대입함으로써 당점의 위치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공의 당점 및 운동량 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동안 제1 내지 제4 관성센서들(101)(102)(103)(104)에 의해 충격량 값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전원부의 전원을 차단(OFF)하여 소비전력이 최소화되는 슬립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관성센서들(101)(102)(103)(104)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량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트리거 레벨(trigger level, 310)을 상회하는 경우 전원부를 온(ON)시켜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공의 당점 및 운동량 측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센서(105)는 당구공 본체(10a)의 무게중심에 배치되어 당구공(10)이 정지한 상태에서 기울기 레벨값을 제어부(110)로 전달하고, 제어부(110)는 상기 전달된 기울기 레벨값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4 관성센서들(101)(102)(103)(104)의 기준 위치값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공의 당점 및 운동량 측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관성센서들(101)(102)(103)(104)은 3축 가속도 센서, 3축 자이로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공의 당점 및 운동량 측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내지 제4 관성센서(101 내지 104)에서 전달받은 가속도 데이터를 시간에 따른 적분을 시행하여 당구공(10)의 속력으로 환산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관성센서(101 내지 104)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각속도 측정값으로부터 당구공(10)의 회전수와 회전축 정보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공의 당점 및 운동량 측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130)는 소비전력이 최소화되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방식이나 Wi-Fi(Wireless Fidelity)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외부 단말부와 무선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공의 당점 및 운동량 측정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130)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당점, 당구공의 속력, 당구공의 회전수를 포함한 당구공의 운동량 정보를 인터넷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인터넷 서버는 다시 상기 당점, 당구공의 속력, 당구공의 회전수를 포함한 당구공의 운동량 정보를 당구 경기 TV 중계화면이나 경기장 전광판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공의 당점 및 운동량 측정장치.
KR1020230019355A 2023-02-14 2023-02-14 당구공의 당점 및 운동량 측정장치 KR102607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355A KR102607154B1 (ko) 2023-02-14 2023-02-14 당구공의 당점 및 운동량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355A KR102607154B1 (ko) 2023-02-14 2023-02-14 당구공의 당점 및 운동량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7154B1 true KR102607154B1 (ko) 2023-12-01

Family

ID=89124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355A KR102607154B1 (ko) 2023-02-14 2023-02-14 당구공의 당점 및 운동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15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7657A (ko) 1998-09-07 1998-12-05 남철 교습용 당구 시스템 및 방법
CN207898892U (zh) * 2017-11-23 2018-09-25 深圳市格维科技有限公司 一种可侦测自身运动特性的球
JP2021168848A (ja) * 2020-04-17 2021-10-2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ボールの挙動の解析装置
KR20220028446A (ko) 2020-08-28 2022-03-08 (주) 정상라이다 당구 게임 장치
KR20230017375A (ko) * 2021-07-27 2023-02-06 한다위 이러닝 스마트 당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7657A (ko) 1998-09-07 1998-12-05 남철 교습용 당구 시스템 및 방법
CN207898892U (zh) * 2017-11-23 2018-09-25 深圳市格维科技有限公司 一种可侦测自身运动特性的球
JP2021168848A (ja) * 2020-04-17 2021-10-2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ボールの挙動の解析装置
KR20220028446A (ko) 2020-08-28 2022-03-08 (주) 정상라이다 당구 게임 장치
KR20230017375A (ko) * 2021-07-27 2023-02-06 한다위 이러닝 스마트 당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6767B2 (en) Mixed reality sport simulation and training system
ES2321339T3 (es) Dispositivo y metodo para la medicion de un afuerza de lanzamiento ejercida sobre un aparato de juego movil.
CN105224070B (zh) 体育活动平视显示器系统和方法
JP6311090B2 (ja) ボールゲーム装置
US20220370893A1 (en) Motion mirroring system that incorporates virtual environment constraints
US20060189386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outdoor computer gaming
US20190126120A1 (en) Tennis training device using virtual targets
US86006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lotting a user's position on a display
CN112203729B (zh) 沉浸式和反应式游戏比赛靶场、系统和过程
KR102344429B1 (ko) 2-환경 게임 플레이 시스템
KR101790747B1 (ko) 스크린 배드민턴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KR100761789B1 (ko) 골프 퍼팅 시뮬레이터용 센싱 장치와 이 장치를 이용한골프 퍼팅 시뮬레이터
KR102607154B1 (ko) 당구공의 당점 및 운동량 측정장치
KR20020092266A (ko) 하이브리드 골프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US20210008430A1 (en) Trajectory assistance systems and methods thereof
KR20230058331A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포터블 가상 골프 시스템
KR20220099919A (ko) 골프장 내 골퍼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09271B1 (ko) 가상 현실 게임용 스마트 스틱 및 단말기
JP7232435B2 (ja) 競技用ボールの移動軌跡出力システム
TWM507287U (zh) 棒球
KR101914452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가상현실 당구 게임 장치
KR101818224B1 (ko) 스크린을 이용한 그라운드 골프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KR102043559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가상 골프 플레이 시스템
CN101542294B (zh) 用于确定下落的高尔夫球的发射位置的方法和系统
TWM524739U (zh) 結合揮棒練習及跑步練習之模擬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