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926B1 -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926B1
KR102606926B1 KR1020210136548A KR20210136548A KR102606926B1 KR 102606926 B1 KR102606926 B1 KR 102606926B1 KR 1020210136548 A KR1020210136548 A KR 1020210136548A KR 20210136548 A KR20210136548 A KR 20210136548A KR 102606926 B1 KR102606926 B1 KR 102606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wire
pipe
wedge member
back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3238A (ko
Inventor
임성문
Original Assignee
임성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문 filed Critical 임성문
Priority to KR1020210136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926B1/ko
Publication of KR20230053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9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교량, 도로 및 건물 등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붕괴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구조물의 인장력을 강화하기 위해 인장재로 사용되는 와이어(wire)를 팽팽하게 당겨 긴장시키는 와이어 인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파이프의 후방 내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되는 단턱;과. 상기 내부파이프 후방의 내부로 내입되어 상기 단턱에 의지하여 위치가 고정되되, 내주면에는 등각 간격으로 형성되는 둘 이상의 구속홈이 형성되는 링 형상의 구속링체;와, 일단은 상기 구속홈에 내입 결속되고 타단은 상기 내부파이프의 안쪽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구속홈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내입 결속되는 구 형상의 결속구;와, 상기 웨지부재의 외주면에 등각 간격으로 상기 웨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내부에는 상기 결속구가 내입 결속되어 전·후방으로 이송되는 상기 웨지부재가 상기 결속구에 결속되어 상기 내부파이프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전·후방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결속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구조물에 내장된 와이어를 인장하는 과정에서 와이어의 풀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속링체의 결속구가 구 형상으로 구현되고, 그 결속구가 내입 결속되는 결속로가 반구 형상의 홈으로 구현되어 결속구와 결속로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결속구와 결속로에 높은 압력 형성시 압력이 한 곳으로 집중되지 않고 넓게 분산 해소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압력에 의한 결속구나 웨지부재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가 인장되는 과정에서 웨지부재가 이송되면 결속구가 회전되면서 결속구에 형성되는 높은 압력을 결속구 전체에서 보상 해소되도록 유도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결속구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우수한 구조적인 안전성 및 사용수명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결속로가 웨지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특성상, 통상의 가공장치를 통해 웨지부재의 표면에 결속로를 용이하게 가공 형성할 수 있어 제품의 제작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Wire tensioning device with excellent safety}
본 발명은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에 내장된 와이어를 인장하는 과정에서 와이어의 풀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속링체의 결속구가 구 형상으로 구현되고, 그 결속구가 내입 결속되는 결속로가 반구 형상의 홈으로 구현되어 결속구와 결속로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결속구와 결속로에 높은 압력 형성시 압력이 한 곳으로 집중되지 않고 넓게 분산 해소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압력에 의한 결속구나 웨지부재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가 인장되는 과정에서 웨지부재가 이송되면 결속구가 회전되면서 결속구에 형성되는 높은 압력을 결속구 전체에서 보상 해소되도록 유도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결속구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우수한 구조적인 안전성 및 사용수명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도로 및 건물 등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붕괴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구조물의 인장력을 강화하기 위한 인장재로 통상 와이어(wire)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구조물의 인장재로 사용되는 와이어가 인장력을 갖도록 팽팽하게 잡아 당기는 장치로 유압으로 작동되는 와이어 인장장치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와이어 인장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살펴보면, 내부가 관통된 내부파이프와, 외주면의 일단에는 기름이 유통되는 제1유통구가 형성되고 외주면의 타단에는 기름이 유통되는 제2유통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내부파이프가 내장되되, 유통구를 통해서 유입된 기름이 유통되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내주면이 상기 내부파이프의 외주면과 이격되는 외부파이프와, 상기 내부파이프와 외부파이프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외부파이프에 형성된 유통구를 통해서 유입되는 기름의 압력에 의해서 전·후방으로 이송되는 이송파이프와, 상기 내부파이프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이송파이프와 결합되어 상기 이송파이프와 함께 전·후방으로 이송되되, 후방 이송시 내부에 내장되는 웨지를 통해 와이어를 물고 후방으로 당기는 파이프 형상의 웨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와이어 인장장치는 상기 웨지에 물려 이송되는 와이어는 유압의 힘으로 강력하게 물려 이송되는데, 이때 여러 가닥의 강선이 꼬여서 만들어지는 와이어가 강력하게 당겨지는 유압의 힘으로 인해 풀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즉, 강력하게 당겨지는 힘으로 인해 와이어가 풀어지려는 힘이 작용하고, 이로 인해 와이어를 물은 상기 웨지를 결속(압착)하는 웨지부재가 회전되면서 와이어가 풀어져 인장재로 사용되는 와이어의 내구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와이어의 풀림을 방지하는 와이어 인장장치의 웨지조립체(등록번호:10-1372699호)"를 개발 제안하였다.
이러한 상기 "와이어의 풀림을 방지하는 와이어 인장장치의 웨지조립체(등록번호:10-1372699호)"는 인장되는 와이어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웨지부재의 외주면에 키홈을 형성하고, 그 키홈에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키를 배치한 후, 그 고정키를 결속 안내하는 안내 홈을 상기 내부파이프의 내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상기 웨지부재에 형성되는 고정키가 상기 내부파이프의 안내 홈에 내입 결속되어 상기 웨지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인장되는 와이어의 풀림을 방지하였다.
하지만, 상기 "와이어의 풀림을 방지하는 와이어 인장장치의 웨지조립체(등록번호:10-1372699호)"는 인장되는 와이어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키와 안내 홈에 매우 높은 압력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압력을 해소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없어 높은 압력에 의해 상기 고정키가 손상 또는 변형되거나 상기 안내 홈의 표면이 마모되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고정키와 안내 홈에 형성되는 높은 압력이 항상 상기 고정키와 안내 홈의 일면에 집중되는 구조적인 특성상, 더욱 쉽게 상기 고정키와 안내 홈이 변형 또는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안내 홈은 상기 내부파이프의 내주면에 형성되는데, 통상의 가공장치를 통해 가공이 다소 불편하여 제품을 제작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어 제품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2699호 (2014.03.04)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구조물에 내장된 와이어를 인장하는 과정에서 와이어의 풀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속링체의 결속구가 구 형상으로 구현되고, 그 결속구가 내입 결속되는 결속로가 반구 형상의 홈으로 구현되어 결속구와 결속로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결속구와 결속로에 높은 압력 형성시 압력이 한 곳으로 집중되지 않고 넓게 분산 해소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압력에 의한 결속구나 웨지부재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가 인장되는 과정에서 웨지부재가 이송되면 결속구가 회전되면서 결속구에 형성되는 높은 압력을 결속구 전체에서 보상 해소되도록 유도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결속구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우수한 구조적인 안전성 및 사용수명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결속로가 웨지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특성상, 통상의 가공장치를 통해 웨지부재의 표면에 결속로를 용이하게 가공 형성할 수 있어 제품의 제작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는 교량, 도로 및 건물 등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붕괴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구조물의 인장력을 강화하기 위해 인장재로 사용되는 와이어(wire)를 팽팽하게 당겨 긴장시키는 것으로,
내부가 관통된 내부파이프와, 외주면의 일단에는 기름이 유통되는 제1유통구가 형성되고 외주면의 타단에는 기름이 유통되는 제2유통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내부파이프가 내장되되, 유통구를 통해서 유입된 기름이 유통되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내주면이 상기 내부파이프의 외주면과 이격되는 외부파이프와, 상기 내부파이프와 외부파이프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외부파이프에 형성된 유통구를 통해서 유입되는 기름의 압력에 의해서 전·후방으로 이송되는 이송파이프와, 상기 내부파이프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이송파이프와 결합되어 상기 이송파이프와 함께 전·후방으로 이송되되, 후방 이송시 내부에 내장되는 웨지를 통해 와이어를 물고 후방으로 당기는 파이프 형상의 웨지부재를 포함하는 와이어 인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파이프의 후방 내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되는 단턱;과, 상기 내부파이프 후방의 내부로 내입되어 상기 단턱에 의지하여 위치가 고정되되, 내주면에는 등각 간격으로 형성되는 둘 이상의 구속홈이 형성되는 링 형상의 구속링체;와, 일단은 상기 구속홈에 내입 결속되고 타단은 상기 내부파이프의 안쪽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구속홈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내입 결속되는 구 형상의 결속구;와, 상기 웨지부재의 외주면에 등각 간격으로 상기 웨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내부에는 상기 결속구가 내입 결속되어 전·후방으로 이송되는 상기 웨지부재가 상기 결속구에 결속되어 상기 내부파이프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전·후방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결속로;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구의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되게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 강화공과, 상기 결속구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수평되게 관통 형성되되 상기 수직 강화공과 간섭되지 않도록 직교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 강화공과, 상기 수직 및 수평 강화공으로 내입 고정되어 상기 결속구의 강도를 강화시키는 강화봉으로 구성되는 결속구 강화부재;와, 상기 결속로의 내부에 상기 결속로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강화 내입홈과, 상기 강화 내입홈에 내입 고정되어 상기 결속로의 강도를 강화시키는 강화편으로 구성되는 결속로 강화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에 의하면, 구조물에 내장된 와이어를 인장하는 과정에서 와이어의 풀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속링체의 결속구가 구 형상으로 구현되고, 그 결속구가 내입 결속되는 결속로가 반구 형상의 홈으로 구현되어 결속구와 결속로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결속구와 결속로에 높은 압력 형성시 압력이 한 곳으로 집중되지 않고 넓게 분산 해소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압력에 의한 결속구나 웨지부재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가 인장되는 과정에서 웨지부재가 이송되면 결속구가 회전되면서 결속구에 형성되는 높은 압력을 결속구 전체에서 보상 해소되도록 유도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결속구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우수한 구조적인 안전성 및 사용수명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결속로가 웨지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특성상, 통상의 가공장치를 통해 웨지부재의 표면에 결속로를 용이하게 가공 형성할 수 있어 제품의 제작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의 분리 사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의 A-A 단면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의 분리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100)는 교량, 도로 및 건물 등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붕괴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구조물의 인장력을 강화하기 위해 인장재로 사용되는 와이어(wire)를 팽팽하게 당겨 긴장시키는 것으로,
내부가 관통된 내부파이프(1)와, 외주면의 일단에는 기름이 유통되는 제1유통구(2a)가 형성되고 외주면의 타단에는 기름이 유통되는 제2유통구(2b)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내부파이프(1)가 내장되되, 유통구(2a,2b)를 통해서 유입된 기름이 유통되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내주면이 상기 내부파이프(1)의 외주면과 이격되는 외부파이프(2)와, 상기 내부파이프(1)와 외부파이프(2)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외부파이프(2)에 형성된 유통구(2a,2b)를 통해서 유입되는 기름의 압력에 의해서 전·후방으로 이송되는 이송파이프(3)와, 상기 내부파이프(1)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이송파이프(3)와 결합되어 상기 이송파이프(3)와 함께 전·후방으로 이송되되, 후방 이송시 내부에 내장되는 웨지(4a)를 통해 와이어를 물고 후방으로 당기는 파이프 형상의 웨지부재(4)를 포함하는 와이어 인장장치에 있어서,
단턱(10)과, 구속링체(20)와, 결속구(30)와, 결속로(40)를 더 포함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턱(10)은 상기 내부파이프(1)의 후방 내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단턱(10)은 상기 내부파이프(1)의 후방으로 내입되는 후설될 상기 구속링체(20)를 지지 고정하여 상기 구속링체(20)가 상기 내부파이프(1)에 견고히 위치 고정되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단턱(10)에 의지하여 고정되는 상기 구속링체(20)는 통상의 용접방식을 통해 상기 내부파이프(1)와 결합되어 매우 견고하기 위치 고정되도록 함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속링체(2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파이프(1) 후방의 내부로 내입되어 상기 단턱(10)에 의지하여 위치가 고정되되, 내주면에는 등각 간격으로 형성되는 둘 이상의 구속홈(21)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구속링체(20)는 상기 단턱(10)에 의지하여 상기 내부파이프(1) 상에 견고히 위치 고정되어 상기 구속홈(21)에 내입 결속되는 후설될 상기 결속구(30)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속링체(20)의 구속홈(21)에 의지하여 견고히 위치 고정되는 상기 결속구(30)에 의해 상기 이송파이프(3)와 함께 전·후방으로 이송되는 상기 웨지부재(4)의 좌우 회전이 안정적으로 방지되도록 유도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100)의 구속링체(20)의 구속홈(21)은 90°간격으로 4개를 구성하여 상기 구속홈(21)에 내입되는 4개의 상기 결속구(30)를 통해 상기 웨지부재(4)의 좌우 회전이 안정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나, 이러한 개수로 한정하여 구현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구(30)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구속홈(21)에 내입 결속되고 타단은 상기 내부파이프(1)의 안쪽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구속홈(21)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내입 결속되도록 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구(30)는 상기 구속링체(20)의 구속홈(21)에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웨지부재(4)의 외주에 길게 형성되는 후설될 상기 결속로(40)에 내입 결속되어 전후 방으로 이송되는 상기 웨지부재(4)가 상기 결속구(30)의 견고한 구속에 의해 좌우 회전되지 않으면서 이송되도록 안내한다.
여기서, 상기 웨지부재(4)가 전·후방으로 이송되면 상기 결속구(30)가 상기 결속로(40)를 타고 회전되므로 상기 웨지부재(4)의 이송(이동)으로 인한 상기 결속구(30)와 상기 결속로(40) 표면의 마찰력이 최소화되어 마찰에 의한 상기 결속구(30) 또는 상기 결속로(40)의 변형 및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여 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로(40)는 상기 웨지부재(4)의 외주면에 등각 간격으로 상기 웨지부재(4)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내부에는 상기 결속구(30)가 내입 결속되어 전·후방으로 이송되는 상기 웨지부재(4)가 상기 결속구(30)에 결속되어 상기 내부파이프(1)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전·후방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도록 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지부재(4)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결속로(40)에 상기 결속구(30)가 내입 결속됨으로 인해 상기 웨지부재(4)가 전·후방으로 이송시, 4개의 상기 결속구(30)에 의해 견고히 지지 결속되어 좌우 방향으로 비틀어지지 않고(회전되지 않고) 전·후방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웨지부재(4)가 후방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웨지부재(4)의 웨지(4a)가 와이어를 물고 후방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꼬여진 와이어가 풀어지려는 힘이 작용하여 상기 웨지(4a)와 함께 상기 웨지부재(4)가 와이어가 풀어지려는 방향으로 회전되려는 것을 상기 결속구(30)의 지지를 통해 방해하여 와이어가 풀림이 방지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인장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와이어를 인장하는 과정에서 와이어가 풀어져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와이어가 내장되는 구조물의 우수한 내구성 및 인장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로(40)의 내부는 반구 형상으로 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속구(30)와의 넓은 접촉면적을 갖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웨지(4a)가 와이어를 결속하여 후방으로 인장하는 과정에서 와이어가 풀어지려는 힘이 강하게 작용하고, 그 힘을 상기 결속구(30)가 상기 결속로(40)를 견고히 구속 지지하는 방식으로 해소하는데, 이때 상기 결속구(30)와 밀착되는 상기 결속로(40)의 표면에는 강한 압력이 작용하고, 그 강한 압력은 상기 결속구(30)나 상기 결속로(40)가 형성되는 상기 웨지부재(4) 표면의 변형 및 손상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로(40)는 반구 형상의 홈으로 형성하여 상기 결속구(30)와 상기 결속로(40) 표면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함으로, 상기 결속구(30)와 접촉되는 상기 결속로(40) 표면에 발생하는 강한 압력이 한 곳으로 집중되지 않고 넓게 분산 해소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압력에 의한 상기 결속구(30) 또는 웨지부재(4)의 변형 및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이 강화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속구(30)와 결속로(40)의 넓은 접촉면적으로 인해 상기 결속로에 접촉되는 상기 결속구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는 마찰력을 확보할 수 있어, 상기 웨지부재(4)가 이송시 상기 결속로(40)에 접촉되는 상기 결속구(30)의 원활한 회전되면서 상기 결속구(30)에 발생하는 높은 압력을 상기 결속구(30) 전체에서 골고루 보상하도록 유도하여 압력으로 인한 상기 결속구(30)의 변형 및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구(30)의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되게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 강화공(51a)과, 상기 결속구(3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수평되게 관통 형성되되 상기 수직 강화공(51a)과 간섭되지 않도록 직교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 강화공(51b)과, 상기 수직 및 수평 강화공(51a,51b)으로 내입 고정되어 상기 결속구(30)의 강도를 강화시키는 강화봉(51c)으로 구성되는 결속구 강화부재(51);와,
상기 결속로(40)의 내부에 상기 결속로(4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강화 내입홈(52a)과, 상기 강화 내입홈(52a)에 내입 고정되어 상기 결속로(40)의 강도를 강화시키는 강화편(52b)으로 구성되는 결속로 강화부재(5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와이어를 인장하는 과정에서 높은 압력이 직접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결속구(30)와 결속로(40) 상에 각각 상기 결속구 및 결속로 강화부재(51,52)를 형성하여 상기 결속구(30)와 결속로(40)의 강도 및 내구성을 증대시킴으로, 높은 압력으로 인한 상기 결속구(30)와 결속로(40)의 변형 및 손상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 강화부재(51)의 강화봉(51c)이나 상기 결속로 강화부재(52)의 강화편(52b)은 열처리되거나 우수한 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100)는 구조물에 내장된 와이어를 인장하는 과정에서 와이어의 풀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구속링체(20)의 상기 결속구(30)가 구 형상으로 구현되고, 그 결속구(30)가 내입 결속되는 상기 결속로(40)가 반구 형상의 홈으로 구현되어 상기 결속구(30)와 결속로(40)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상기 결속구(30)와 결속로(40)에 높은 압력 형성시 압력이 한 곳으로 집중되지 않고 넓게 분산 해소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압력에 의한 상기 결속구(30)나 웨지부재(4)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가 인장되는 과정에서 웨지부재(4)가 이송되면 상기 결속구(30)가 회전되면서 상기 결속구(30)에 형성되는 높은 압력을 상기 결속구(30) 전체에서 보상 해소되도록 유도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결속구(30)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장치의 우수한 구조적인 안전성 및 사용수명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상기 결속로(40)가 웨지부재(4)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특성상, 통상의 가공장치를 통해 웨지부재(4)의 표면에 상기 결속로(40)를 용이하게 가공 형성할 수 있어 제품의 제작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구조물의 와이어를 안정적으로 인장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에 내장되어 인장재로 사용되는 와이어를 팽팽하게 당기기 위해서 장치의 내부로 와이어를 관통 배치시킨 후, 외부파이프(2)의 제1유통구(2a)로 기름을 유입하면, 유입된 기름의 유압으로 인해 이송파이프(3)가 후방으로 이송되고, 이송되는 상기 이송파이프(3)와 결합되는 웨지부재(4)가 동시에 후방으로 이송된다.
이때, 후방으로 이송되는 상기 웨지부재(4)에 내장되는 웨지(4a)에 의해 와이어가 견고히 압착 결속되어 상기 웨지부재(4)와 함께 와이어가 후방으로 이송되면서 와이어가 점차 팽팽해진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와이어를 인장하는 과정에서 와이어를 구성하는 여러 가닥의 강선이 풀어지려는 힘으로 인해 상기 웨지부재(4)가 회전되려고 하는데, 상기 웨지부재(4)의 결속로(40)에 내입 결속되는 구속링체(20)의 결속구(30)가 상기 웨지부재(4)의 회전을 방해하여 인장되는 과정에서 와이어가 풀리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구조물의 인장재로 사용되는 와이어의 내구성은 물론이며, 구조물의 안정적인 인장력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파이프(3)의 후방 이송이 완료되면 상기 외부파이프(2)의 제2유통구(2b)로 기름을 유입하고, 그 유입된 기름의 유압으로 인해 상기 이송파이프(3)와 상기 웨지부재(4)가 전방으로 이송하여 와이어를 다시 인장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여기서, 상기 웨지부재(4)와 함께 전방으로 이송되는 상기 웨지(4a)는 와이어의 압착 결속이 해제된 상태이므로 상기 이송파이프(3)와 함께 상기 웨지부재(4)는 안정적으로 전방 이송된다.
즉, 본 발명의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구조물에 내장되는 와이어를 팽팽하게 당기는 인장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내부파이프 2. 외부파이프
2a. 제1유통구 2b. 제2유통구
3. 이송파이프 4. 웨지부재
4a. 웨지
10. 단턱 20. 구속링체
21. 구속홈 30. 결속구
40. 결속로 51. 결속구 강화부재
51a. 수직 강화공 51b. 수평 강화공
51c. 강화봉 52. 결속로 강화부재
52a. 강화 내입홈 52b. 강화편
100.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

Claims (3)

  1. 교량, 도로 및 건물 등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붕괴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구조물의 인장력을 강화하기 위해 인장재로 사용되는 와이어(wire)를 팽팽하게 당겨 긴장시키는 것으로,
    내부가 관통된 내부파이프(1)와, 외주면의 일단에는 기름이 유통되는 제1유통구(2a)가 형성되고 외주면의 타단에는 기름이 유통되는 제2유통구(2b)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내부파이프(1)가 내장되되, 유통구(2a,2b)를 통해서 유입된 기름이 유통되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내주면이 상기 내부파이프(1)의 외주면과 이격되는 외부파이프(2)와, 상기 내부파이프(1)와 외부파이프(2)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외부파이프(2)에 형성된 유통구(2a,2b)를 통해서 유입되는 기름의 압력에 의해서 전·후방으로 이송되는 이송파이프(3)와, 상기 내부파이프(1)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기 이송파이프(3)와 결합되어 상기 이송파이프(3)와 함께 전·후방으로 이송되되, 후방 이송시 내부에 내장되는 웨지(4a)를 통해 와이어를 물고 후방으로 당기는 파이프 형상의 웨지부재(4)를 포함하는 와이어 인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파이프(1)의 후방 내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되는 단턱(10);
    상기 내부파이프(1) 후방의 내부로 내입되어 상기 단턱(10)에 의지하여 위치가 고정되되, 내주면에는 등각 간격으로 형성되는 둘 이상의 구속홈(21)이 형성되는 링 형상의 구속링체(20);
    일단은 상기 구속홈(21)에 내입 결속되고 타단은 상기 내부파이프(1)의 안쪽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구속홈(21)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내입 결속되는 구 형상의 결속구(30); 및
    상기 웨지부재(4)의 외주면에 등각 간격으로 상기 웨지부재(4)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내부에는 상기 결속구(30)가 내입 결속되어 전·후방으로 이송되는 상기 웨지부재(4)가 상기 결속구(30)에 결속되어 상기 내부파이프(1)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전·후방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결속로(40);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구(30)의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되게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 강화공(51a)과, 상기 결속구(3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수평되게 관통 형성되되 상기 수직 강화공(51a)과 간섭되지 않도록 직교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 강화공(51b)과, 상기 수직 및 수평 강화공(51a,51b)으로 내입 고정되어 상기 결속구(30)의 강도를 강화시키는 강화봉(51c)으로 구성되는 결속구 강화부재(51);와, 상기 결속로(40)의 내부에 상기 결속로(4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강화 내입홈(52a)과, 상기 강화 내입홈(52a)에 내입 고정되어 상기 결속로(40)의 강도를 강화시키는 강화편(52b)으로 구성되는 결속로 강화부재(5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136548A 2021-10-14 2021-10-14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 KR102606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548A KR102606926B1 (ko) 2021-10-14 2021-10-14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548A KR102606926B1 (ko) 2021-10-14 2021-10-14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238A KR20230053238A (ko) 2023-04-21
KR102606926B1 true KR102606926B1 (ko) 2023-11-24

Family

ID=86098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548A KR102606926B1 (ko) 2021-10-14 2021-10-14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92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7822Y2 (ja) * 1992-09-10 1998-08-06 エスエム工業株式会社 スクリーン巻取り装置
KR101372699B1 (ko) * 2011-05-04 2014-03-18 임이수 와이어의 풀림을 방지하는 와이어 인장장치의 웨지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238A (ko) 202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7648B2 (en) Method for repairing drainage pipe
US20170096793A1 (en) Construction machine having synthetic rope arrangement
US4093292A (en) Sling and its method of manufacture
KR20140056009A (ko) 링 고정 타입 철근 커플러
KR102606926B1 (ko) 안전성이 우수한 와이어 인장장치
US20080142627A1 (en) Pail-Pack for Welding Wire
KR101350909B1 (ko) 장척물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 드럼
KR20110106642A (ko) 제거식 유턴 앵커용 내하체
JP5999547B2 (ja) 継手部構造
JP6661495B2 (ja)
JP5559092B2 (ja) 電柱間架設線の張替え工法及び係る工法に用いる張替え工具
KR102051471B1 (ko) 파일 연결용 안전 서포트 장치를 이용한 파일 연결 방법
WO2012146886A1 (en) A winch drum
US11619048B1 (en) Non-slip reinforcing bar coupler
US11834854B2 (en) Transport anchor having a fibre-plastic composite material pressure element
EP2434058B1 (en) Tension dispersion-type complex anchor body with a removable tension memb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KR101590383B1 (ko) 와이어로프슬링 제조 방법
KR100495768B1 (ko) 직조원단 권취용 지관
JP6919526B2 (ja) 機械式継手付き鋼管の回転接合用治具
KR100447967B1 (ko) 앵커공법용 인장부재 해체장치
JP5999546B2 (ja) 継手部構造
JP6251120B2 (ja) 管接続方法
CN215906752U (zh) 一种伸缩式定位圈灌注桩钢筋笼
AU7612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rock anchor
US7690409B2 (en) Connecting and guide element for a tire ch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