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589B1 -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589B1
KR102605589B1 KR1020230071032A KR20230071032A KR102605589B1 KR 102605589 B1 KR102605589 B1 KR 102605589B1 KR 1020230071032 A KR1020230071032 A KR 1020230071032A KR 20230071032 A KR20230071032 A KR 20230071032A KR 102605589 B1 KR102605589 B1 KR 102605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file
score
vo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1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부한
Original Assignee
윤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부한 filed Critical 윤부한
Priority to KR1020230071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5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75Musical metadata derived from musical analysis or for use i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조성별 프로그램에 대한 절대음계 및 상기 절대음계 관련 음성 파일을 저장하는 음계음성 데이터베이스; 선택된 악곡에 대한 악보 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악보 파일의 정보를 추출하는 악보파일 파싱부; 및 상기 악보 파일의 정보로부터 선택된 악곡의 조성을 판단하고, 상기 음계음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악곡의 조성에 매칭되는 절대음계를 추출하고, 추출된 절대음계에 따른 음성 파일을 재생하는 연주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대음계에 따른 음성 파일은 해당 절대음계의 발음 및 음높이에 따라 발성된 인간의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성별 프로그램은 으뜸음이 달라지는 서로 다른 12개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악 교육 수준이 높지 않은 사용자가 쉽게 노래의 계명을 익힐 수 있도록 하여 음악 교육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복잡한 이조 시 변경되는 계명 또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음악 전문가에게도 높은 수준의 음악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Music Reproducing Method Using Musical Scale And Music 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악 재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IT 산업의 발달은 음악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데, 전자 피아노, 전자 악보, 파일 기반의 음원 등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이렇듯 IT와 음악의 만남은 대중들이 다양한 형태의 음악을 손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이 중 전자악보는 음악을 기보 형태로 표현하며 다양한 형식이 소개되어 왔다. 이러한 전자 악보 형식에는 지금까지 가장 많이 사용되어 온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파일 형식을 비롯하여 MusicXML, MML(Music Markup Language), NIFF(Notation Interchange File Format), SMDL(Standard Music Description Language), MNML(Musical Notation Markup Language), HTML(Music HTML), JScoreML, Xscore(eXtensible Score Language) 등 다양한 음악적 표현과 체계를 갖는 악보 형식이 있다.
그러나, 이들 악보 형식은 저마다 표기 형식이 다르고 사용 목적이나 음악적 표현 정도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악보를 다루고자 하는 사람을 중심으로 하지 않고 악보가 처리되는 기계가 중심이 된다거나 악보를 표기하는 기보법이나 분석, 검색 등에 있어 제약을 가지고 있거나, 응용성 및 확장성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등의 표준화된 전자 악보 형식이 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다양한 음악적 표현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음악에 대한 기보나 분석 및 검색 등 다양한 응용에 적용시키면서 확장성이 높은 전자악보의 필요성이 증대되었고, 인터넷 환경 하에서 보다 다양한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MusicXML이라고 하는 XML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악보 형식이 개발되었다.
MusicXML은 현재 전자악보의 표준으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음악 악보를 표준화된 전자적인 악보 형식으로 표현하는 일이 중요한 만큼 실 세계에 존재하는 수 많은 악보를 전자 악보로 표현했을 때, 이들 악보를 악보대로 실제 연주할 수 있도록 하고, 방대한 악보들 중에서 원하는 악보를 검색할 경우에 제목이나 작곡가 등의 단순한 키워드 정보에 의한 것이 아니라 실제 표현된 악보 내용을 기반으로 한 검색을 위한 악보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고 필요하다.
현재 음악 악보 표현에 있어 가장 표준에 가까운 전자악보 형식은 MusicXML이다. MusicXML은 대표적인 음악 악보 형식으로 지금까지 널리 사용되어 온 MIDI 형식이 풍부한 음악적 표현을 위해서는 제한적이라는 단점을 극복하여 다양한 악보 형식 표현에 용이하고, 또한 DTD가 모두에게 공개되어 있고 그 응용성과 확장성이 뛰어나기때문에 MIDI의 뒤를 잇는 악보 표준으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등 컴퓨팅 장치가 가정 및 교육 현장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현재 상황에서, 이러한 전자 악보를 어린이 등을 위한 음악 교육에 접목시키면 최소의 비용으로 큰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나, 아직 이와 관련한 효율적인 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20341호 (등록일자: 2019년09월04일)
본 발명의 목적은, 음악 교육 수준이 높지 않은 사용자가 쉽게 노래의 계명을 익힐 수 있도록 하여 음악 교육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복잡한 이조 시 변경되는 계명 또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음악 전문가에게도 높은 수준의 음악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조성별 프로그램에 대한 절대음계 및 상기 절대음계 관련 음성 파일을 저장하는 음계음성 데이터베이스, 선택된 악곡에 대한 악보 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악보 파일의 정보를 추출하는 악보파일 파싱부, 및 상기 악보파일의 정보로부터 선택된 악곡의 조성을 판단하고, 상기 음계음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악곡의 조성에 매칭되는 절대음계를 추출하고, 추출된 절대음계에 따른 음성 파일을 재생하는, 연주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대음계에 따른 음성 파일은 해당 절대음계의 발음 및 음높이에 따라 발성된 인간의 음성 데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성별 프로그램은 으뜸음이 달라지는 서로 다른 12개의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상기 연주 제어부는 상기 악보의 조성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해당 악곡이 포함하는 각 음에 대해, 선택된 프로그램이 포함하는 절대 음계에 대응하는 음성 파일을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대음계 관련 음성 파일은, 인간이 발성 가능한 최저 음역대부터 최고 음역대까지 각 조성별 절대음계를 해당 절대음계의 음높이에 맞도록 발성한 인간 음성의 녹음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주 제어부는 또한, 조바꿈 요청을 수신한 경우, 변경 요청된 조성에 따라 대응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절대음계를 변경하고, 변경된 절대음계에 따라 음성 파일을 재생한다.
상기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음악 파일을 포함하는 음악파일 데이터베이스, 추출된 악보 파일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악 파일 중 선택된 악곡 관련 음악 파일을 이용하여 연주를 수행하는 연주부, 및 상기 악보파일 파싱부가 추출한 악보 파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는, 선택된 악곡에 대한 악보 파일을 분석하여 악보 파일의 각 마디마다 선율을 추출하는 선율 분석부; 선택된 악곡에 대한 악보 파일을 분석하여 악보 파일의 각 마디마다 리듬을 추출하는 리듬 분석부; 선택된 악곡에 대한 악보 파일을 분석하여 악보 파일의 각 마디마다 화음을 추출하는 화음 분석부; 상기 선율 분석부와 화음 분석부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악보 파일의 각 마디마다 4개의 성부로 분리한 성부를 추출하는 성부 분석부; 상기 성부 분석부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와 화음분석부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4개의 성부를 각각 서로 다른 악보 상에 분리하여 기록하는 성부 분리부; 상기 성부 분석부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선율에 해당하는 4개의 성부를 4개의 성악파트에 편성하여 각각 서로 다른 악보 상에 분리하여 기록하는 성악 편성부; 상기 성부 분석부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선율을 제외한 화음에 해당하는 4개의 성부를 4개의 악기파트에 편성하여 각각 서로 다른 악보 상에 분리하여 기록하는 악기 편성부; 상기 성악 편성부와 악기 편성부를 하나의 합주곡 악보로 일체화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조성을 편곡하여 악보를 기록하는 편곡부; 및 상기 편곡부로부터 산출처리되어 기록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악보출력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조성별 프로그램에 대한 절대음계 및 상기 절대음계 관련 음성 파일을 저장하는 음성파일 저장단계; 선택된 악곡에 대한 악보 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악보 파일의 정보를 추출하는 악보파일 추출단계; 상기 악보 파일의 정보로부터 선택된 악곡의 조성을 판단하는 악곡조성 판단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성별 프로그램에 대한 절대음계 및 상기 절대음계 관련 음성 파일로부터 악곡의 조성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대음계를 추출하는 절대음계 추출단계; 및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절대음계에 따른 음성 파일을 재생하는 음성파일 재생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성악 파트를 구성하는 각 성부를 입력하여 성부 분석부에 저장하는 성악파트 입력단계; 사용자가 원하는 악기 파트를 구성하는 각 성부를 입력하여 성부 분석부에 저장하는 악기파트 입력단계; 선율 분석부, 리듬 분석부 및 화음 분석부를 이용하여 선택된 악곡에 대한 악보 파일을 분석하여 악보 파일의 각 마디마다 선율, 리듬 빛 화음을 추출하는 분석단계; 성악파트 입력단계 및 악기파트 입력단계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부 분석부와 성부 분리부를 운용하여 성악 파트와 악기 파트를 성악 편성부와 악기 편성부를 통해 편성하는 편성단계; 편곡부를 이용하여 성악 편성부와 악기 편성부를 하나의 합주곡 악보로 일체화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조성을 편곡하여 악보를 기록하는 편곡단계; 악보출력부를 이용하여 편곡부로부터 산출처리되어 기록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악보출력단계; 및 추출된 악보 파일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음악 파일 중 선택된 악곡 관련 음악 파일을 이용하여 음성과 악기를 소리를 재생하는 음성 및 악기 재생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에 따르면, 음악 교육 수준이 높지 않은 사용자가 쉽게 노래의 계명을 익힐 수 있도록 하여 음악 교육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복잡한 이조 시 변경되는 계명 또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음악 전문가에게도 높은 수준의 음악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에 따르면,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선율 분석부, 리듬 분석부, 화음 분석부, 성부 분석부, 성부 분리부, 성악 편성부, 악기 편성부, 편곡부 및 악보출력부를 구비함으로써, 선택된 악곡에 대한 악보 파일을 분석하여 편성하고자 하는 다수의 성악 파트 및 악기 파트에 적합한 성부를 편성하여 악보를 출력할 수 있어, 음악 교육 수준이 높지 않은 사용자가 원하는 악곡을 다수의 성악 파트 및 악기 파트에 부합하는 합주곡으로 편곡하여 활용할 수 있고, 음악 전문가에게도 높은 수준의 음악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의 사용자 화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의 사용자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의 사용자 화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의 사용자 화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의 사용자 화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계를 이용한 음성 재생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계음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파일의 정보를 표로 정리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재생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악 재생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는, 악보 상의 각 음에서, 각 음이 나타내는 계명 및 계명이 나타내는 음계 정보 또한 사람의 음성으로 표현한다. 본 명세서에서 음계는 악곡 전체 또는 한 부분에서 사용되는 음을 1옥타브 안에 계단 모양으로 정리한 음렬을 지칭하기도 하며 때에 따라 계명(階名)과 동일한 의미로도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음정"은 음계 내에서 기준음에 대한 상대적인 음의 높이를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의 사용자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악 재생 장치는, 다수의 곡에 대한 음악 파일을 보유하고 음악 파일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곡을 연주한다. 이때, 음악 파일에 대한 정보는 곡에 부여된 식별자(ID), 곡의 제목, 곡의 조성, 곡의 작곡자, 곡을 부른 가수 이름 등 곡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1의 사용자 화면에서 이와 같은 음악 파일에 대한 정보의 예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의 사용자 메뉴 영역(1100)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제공 화면은 기본적으로 재생 메뉴, 멈춤/중단 메뉴, 볼륨 조절 메뉴, 이퀄라이저 기능 등을 제공하며 곡 검색을 위한 검색 메뉴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메뉴는 뿐만 아니라 키 설정, 남여Key 설정, 템포 설정, 이조(조바꿈) 설정, 옥타브 설정 등을 위한 메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재생 장치는 또한 가사 노래 메뉴 또는 계명 노래 메뉴를 포함하여, 연주와 함께 가사로 노래하는 가사 노래 모드, 연주와 함께 계명으로 노래하는 계명 노래 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계명 노래 모드는 단순히 계명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수준을 벗어나 계명이 음정을 포함하여 발음되고 노래될 수 있도록 음악을 재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재생 장치는 또한, 이조(조바꿈)시 변경되는 계명(계이름)에 대한 발음의 변화 또한 반영하여 계명 노래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악 선생님이 계명으로 노래를 불러주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어 음악 교육 수준이 높지 않은 사용자가 쉽게 노래의 계명을 익힐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복잡한 이조 시 변경되는 계명 또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악 교육 수준이 높은 사용자에게도 유용한 음악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의 사용자 화면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2의 사용자 화면에서는 사용자 메뉴 영역(1100) 위에 위치하는 악보 표현 영역(1200)을 확인할 수 있다. 악보 표현 영역(1200)은 노래를 위한 악보와 반주를 위한 악보가 쌍으로 표현되어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가사 노래 모드와 함께 가사 표시가 선택된 경우 곡이 연주되는 상황에서 본 발명에 따라 표현되는 악보를 보여주고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양희은의 "한사람"이라는 곡에 대해 가사와 함께 악보가 표시되고 있고, 현재 노래가 진행 중인 소절이 다른 부분과 대비되는 색으로 하이라이트하여 표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의 사용자 화면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3의 실시예는 "가사 노래" 모드와 함께 "계명 표시"가 선택된 경우 곡이 연주되는 상황에서 본 발명에 따라 표현되는 악보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가사를 이용해 노래를 부르는 상황이 연주되지만,
악보 표현 영역(1200)의 노래 악보 상의 각 음표 아래에는 계명이 같이 표시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의 사용자 화면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4의 실시예는 "계명 노래" 모드로 전환된 상태의 사용자 화면을 보여준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들과는 달리 계명을 발음해 노래를 부르는 상황이 연주되고 악보 표현 영역(1200)의 노래 악보 상의 각 음표 아래에도 계명이 함께 표시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연주되는 "계명 노래"는 각 음에 대한 계명을 해당 음의 음정으로 발성한 인간의 음성을 녹음한 음성 파일의 집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음성 파일은 인간의 음성으로 계명을 발음하되, 각 발음은 음정, 즉 음의 높이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해당 노래에 맞도록 편집된 음성 파일의 집합에 포함된 각 음성 파일은 음의 길이에 따라 간격을 두어 재생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의 사용자 화면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5의 실시예는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계명 노래" 모드 상태이지만, 도 4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도 4의 실시예에서 이조, 즉 조바꿈이 일어난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즉,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다 장조의 노래에 대해 조바꿈이 일어나 "내림 라 장조"로 변환된 경우의 실시예를 도 5에서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사용자 화면에도 악보 표현 영역(1200)의 노래 악보 상의 각 음표 아래에는 계명이 함께 표시되고 있는데, 도 4의 경우는 "도 미 도 시 레 레"로 연속되는 음계가 도 5의 경우에는 "디 파 디 도 메 메"로 표기되어 있으며, 조성이 변화됨에 따라 절대 음계(계명)의 표기 방법 또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계를 이용한 음성 재생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 6를 통해 상술할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들은 물리적인 구분이 아니라 기능적인 구분에 의해서 정의되는 구성요소들로서 각각이 수행하는 기능들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및/또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및 프로세싱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의 기능이 하나의 구성요소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에서 구성요소에 부여되는 명칭은 각각의 구성요소를 물리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각각의 구성요소가 수행하는 대표적인 기능을 암시하기 위해서 부여된 것이며, 구성요소의 명칭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않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계를 이용한 음성 재생 장치는 연주 제어부(100), 음계음성 데이터베이스(200), 음악파일 데이터베이스(300), 사용자 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연주부(130), 및 악보 파일 파싱부(140)을 포함한다.
음악파일 데이터베이스(300)는 본 발명에 따른 악보 연주에 사용되는 다양한 음악 파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라는 용어는 관계형(relational), 객체지향형(objected-oriented) 데이터베이스와 같이 엄밀한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적 구성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파일 베이스(file-base) 형태의 간단한 정보 저장 구성요소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악 파일은 악보 파일 및 음원 파일을 포함하며, 음악 관련 다양한 종류의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악보 파일은 MIDI 파일, MusicXML, MML(Music Markup Language), NIFF(Notation
Interchange File Format), SMDL(Standard Music Description Language), MNML(Musical Notation Markup
Language), HTML(Music HTML), JScoreML, Xscore(eXtensible Score Language) 등 다양한 음악적 표현과 체계를 갖는 다양한 악보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원 파일은 MP3, FLAC, WAV(웨이브), DRM 등 다양한 형식의 음원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악보 파일 파싱부(140)는 악보 파일이 가진 다양한 형식을 분석하여 해당 파일이 가진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악보 중 MusicXML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MusicXML 전자악보는 그 자체로는 여러가지 종류의 태그(tag) 정보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XML 텍스트 데이터이다. 따라서 이것을 프로그램에 의해 연주할 수 있도록 하거나, 연주자 등 실제 사용자들이 알 수 있도록 오선지에 그려진 악보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XML 악보에 대한 분석을 통한 변환 과정이 필요하다.
악보 파일 파싱부(140)는 악보 분석을 위해 MusicXML 악보를 파싱(parsing)하여 각각의 태그 정보가 실제 악보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여부를 가려낸다. MusicXML 악보는 여러가지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구성 요소들은 머리(header)와 몸체(body)의 두 부분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이 때, 머리 부분에는 작품 제목, 작품 번호, 작곡자, 작사자, 파트 목록 등 악보에 대한 상위 정보들이 나타나게 되며, 몸체 부분에는 악보의 실질적인 내용이라 할 수 있는 조표, 박자, 빠르기표, 음표, 쉼표 등 악보상의 음악을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세부 정보들을 포함한다.
악보 파일 파싱부(140)는 MusicXML 악보 파싱(parsing)을 통해 태그 분석 정보를 분석한다. 이 때, 태그 분석은 악보의 헤더 정보 및 몸체 정보에 대한 사항을 포함한다. 이렇게 분석된 악보 정보는 연주 제어부(100)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악보를 실제 멜로디 정보를 이용하여 찾을 수 있는 내용 기반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연주 제어부(100)는 또한 태그 분석을 통해 분석된 정보를 악보 정보에 대한 좌표를 표현하기 위해 변환하여, 악보를 실제 화면에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120) 및 악보를 컴퓨터의 음원을 이용하여 실제 연주해 주는 연주부(130)로 제공한다.
연주부(130)는 추출된 악보 파일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적어도 하나의 음악 파일 중 선택된 악곡 관련 음악 파일을 이용하여 연주를 수행한다.
연주 제어부(100)는 악보 파일에 대한 정보로부터 선택된 악곡의 조성을 판단하고, 음계음성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악곡의 조성에 매칭되는 절대음계를 추출하고, 추출된 절대음계에 따른 음성 파일을 재생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연주 제어부(100)는 악보의 조성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해당 악곡이 포함하는 각 음에 대해, 선택된 프로그램이 포함하는 절대 음계에 대응하는 음성 파일을 순차적으로 재생한다.
연주 제어부(100)는 또한, 조바꿈 요청을 수신한 경우, 변경 요청된 조성에 따라 대응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관련 절대음계를 변경하고, 변경된 절대음계에 따라 음성 파일을 재생한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조성별 음계 체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음계음성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정의된다.
음계음성 데이터베이스(200)는 적어도 하나의 조성별 프로그램에 대한 절대음계 및 상기 절대음계 관련 음성 파일을 저장한다. 즉, 음계음성 데이터베이스(200)는 본 발명에 따른 음계를 이용한 음성 재생을 가능토록 하는 음계음성 데이터를, 예를 들어,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한다. 음계음성 데이터 테이블의 일 실시예는 도 7을 통해 자세히 확인할 수 있는데, 이후 도 7의 설명 시 더 자세히 살펴본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표현되는 곡 리스트, 악보 등을 확인하고 선곡, 키 설정, 이조 설정, 옥타브 설정, 등 다양한 연주 환경 설정에 사용할, 옵션 선택을 위한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널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휴대 가능한 사용자 단말 등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계음성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파일의 정보를 표로 정리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계음성 데이터베이스는 절대음계에 대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 개의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각 프로그램은 조성에 따라 정해지는데, 프로그램 1번은 C 메이저 키(다 장조), 프로그램 2번은 C# 키, 프로그램 3번은 D 키, 프로그램 4번은 D# 키, 프로그램 5번은 E 키, 프로그램 6번은 F 키, 프로그램 7번은 F# 키, 프로그램 8번은 G 키, 프로그램 9번은 G# 키, 프로그램 10번은 A 키, 프로그램 11번은 A# 키, 프로그램 12번은 B키에 대응된다.
여기서, 으뜸음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를 우리말로 하면 "다, 라, 마, 바, 사, 가, 나, 다"로 표현하고, 영어로 하면 "C, D, E, F, G, A, B, C"로 표현한다.
도 7에 도시된 테이블에 포함된 프로그램별 절대 음계 이름(계명)은 각 음계에 맞는 음성 발음 파일과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절대음계 관련 음성파일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발음(계명)과 음 높이의 목소리를 녹음하여 생성되며, 12개의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생성된다. 이때 녹음하는 음역은 실제 사람이 부를 수 있는 최저음부터 최고음까지 반복하여 녹음된다. 즉, 절대음계 관련 음성 파일은, 인간이 발성 가능한 최저 음역대부터 최고 음역대까지 각 조성별 절대음계를 해당 절대음계의 음높이에 맞도록 발성한 인간 음성의 녹음 데이터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음계를 이용하여 음악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악곡의 조성에 따라 프로그램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C 메이저 키(다장조)인 경우 프로그램 1번, C#키는 프로그램 2번, D키는 프로그램 3번 등의 순서로 선택하면 된다. 만약 단조의 악곡인 경우, 나란한 장조 악곡으로 생각하여 해당 장조를 기준으로 선택한다. 즉, 장조에서 단 3도를 내리면 단조가 되므로, 예를 들어 A 마이너 키(가단조)는 나란한 조인 C 메이저 키(다장조)로 생각하면 되고, 따라서 1번 프로그램을 선택한다.
조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악보 상의 절대 음계에 대응되어 녹음된 관련 음성 파일들을 재생한다. 예를 들어, D키(라 장조)인 악곡에 대해 악보 상에"D-E-F"가 차례로 표기된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번 프로그램의 "미"음성 파일 - "피"음성 파일 - "솔"음성 파일이 차례로 연주된다. 이때, 각 파일의 음성은 각 음계에 해당하는 발음뿐 아니라 해당 음계에 대응하는 음높이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음성 파일은 악보 상의 각 음표의 길이에 따라 간격을 두고, 즉, 박자에 맞게 재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선율 분석부, 리듬 분석부, 화음 분석부, 성부 분석부, 성부 분리부, 성악 편성부, 악기 편성부, 편곡부 및 악보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율분석부는 선택된 악곡에 대한 악보 파일을 분석하여 악보 파일의 각 마디마다 선율을 추출한다. 리듬분석부는 선택된 악곡에 대한 악보 파일을 분석하여 악보 파일의 각 마디마다 리듬을 추출한다. 화음 분석부는 선택된 악곡에 대한 악보 파일을 분석하여 악보 파일의 각 마디마다 화음을 추출한다. 성부 분석부는 선율 분석부와 화음 분석부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악보 파일의 각 마디마다 4개의 성부로 분리한 성부를 추출한다. 성부 분리부는 성부 분석부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와 화음분석부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4개의 성부를 각각 서로 다른 악보 상에 분리하여 기록한다. 성악 편성부는 성부 분석부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선율에 해당하는 4개의 성부를 4개의 성악파트에 편성하여 각각 서로 다른 악보 상에 분리하여 기록한다. 악기 편성부는 성부 분석부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선율을 제외한 화음에 해당하는 4개의 성부를 4개의 악기파트에 편성하여 각각 서로 다른 악보 상에 분리하여 기록한다. 편곡부는 성악 편성부와 악기 편성부를 하나의 합주곡 악보로 일체화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조성을 편곡하여 악보를 기록한다. 또한, 악보출력부는 편곡부로부터 산출처리되어 기록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재생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하의 실시예 설명에서 본 발명의 음악 재생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이 도 6을 통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음악 재생 장치의 대응되는 구성요소에서 수행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은 각 단계를 정의하는 기능 자체로서 한정되어야 한다. 즉, 각 단계를 수행하는 것으로 예시된 구성요소의 명칭에 의해서 각 단계의 수행주체가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은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음성파일 저장단계, 악보파일 추출단계, 악곡조성 판단단계, 절대음계 추출단계 및 음성파일 재생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성파일 저장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조성별 프로그램에 대한 절대음계 및 상기 절대음계 관련 음성 파일을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악보파일 추출단계는 선택된 악곡에 대한 악보 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악보 파일의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악곡조성 판단단계는 악보 파일의 정보로부터 선택된 악곡의 조성을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절대음계 추출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조성별 프로그램에 대한 절대음계 및 상기 절대음계 관련 음성 파일로부터 악곡의 조성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대음계를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음성파일 재생단계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절대음계에 따른 음성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재생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연주할 곡을 선택하면 선택된 곡에 대한 악보 파일을 분석한다(S810).
악보 파일에 대한 분석이 완료되면, 분석된 악보 및 음원 파일에 기초하여 음악을 연주하고(S820), 악보 및 가사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S830).
가사 노래가 연주되는 상황에서 계명 노래로 전환할 것을 요청하는 명령이 수신되면(S840), 본 발명에 따른 음계음성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계명으로 노래를 전환한다(S850). 계명 노래 연주 단계는 구체적으로, 악보의 조성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단계, 해당 악곡이 포함하는 각 음에 대해 선택된 프로그램이 포함하는 절대 음계에 대응하는 음성 파일을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계명 노래 모드로 연주되는 상황에서 가사 노래 요청이 수신되면(S860), 가사 노래 모드로 전환하여 악보 및 가사에 따라 노래를 연주한다(S870).
본 발명에 따른 가사 노래 모드 및 계명 노래 모드의 전환 절차(S840 내지 S870)는 곡이 종료될 때까지 대기 및 수행이 반복된다(S880).
한편, 도 8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재생 방법은 조바꿈 요청을 수신한 경우, 변경 요청된 조성에 따라 대응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절대음계를 변경하고, 변경된 절대음계에 따라 음성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독출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ROM, RAM, CD-ROM, DVD-ROM, 블루레이,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서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보 파일을 분석하는 과정(S810)은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성악파트 입력단계, 악기파트 입력단계, 분석단계, 편성단계, 편곡단계 및 악보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분석된 악보 및 음원 파일에 기초하여 음악을 연주하는 과정(S820)은 특정 과정을 수행하는 음성 및 악기 재생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성악파트 입력단계는 사용자가 원하는 성악 파트를 구성하는 각 성부를 입력하여 성부 분석부에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악기파트 입력단계는 사용자가 원하는 악기 파트를 구성하는 각 성부를 입력하여 성부 분석부에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분석단계는 선율 분석부, 리듬 분석부 및 화음 분석부를 이용하여 선택된 악곡에 대한 악보 파일을 분석하여 악보 파일의 각 마디마다 선율, 리듬 빛 화음을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편성단계는 성악파트 입력단계 및 악기파트 입력단계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부 분석부와 성부 분리부를 운용하여 성악 파트와 악기 파트를 성악 편성부와 악기 편성부를 통해 편성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편곡단계는 편곡부를 이용하여 성악 편성부와 악기 편성부를 하나의 합주곡 악보로 일체화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조성을 편곡하여 악보를 기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악보출력단계는 악보출력부를 이용하여 편곡부로부터 산출처리되어 기록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음성 및 악기 재생단계는 추출된 악보 파일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음악 파일 중 선택된 악곡 관련 음악 파일을 이용하여 음성과 악기를 소리를 재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에 따르면, 음악 교육 수준이 높지 않은 사용자가 쉽게 노래의 계명을 익힐 수 있도록 하여 음악 교육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복잡한 이조 시 변경되는 계명 또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음악 전문가에게도 높은 수준의 음악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에 따르면,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선율 분석부, 리듬 분석부, 화음 분석부, 성부 분석부, 성부 분리부, 성악 편성부, 악기 편성부, 편곡부 및 악보출력부를 구비함으로써, 선택된 악곡에 대한 악보 파일을 분석하여 편성하고자 하는 다수의 성악 파트 및 악기 파트에 적합한 성부를 편성하여 악보를 출력할 수 있어, 음악 교육 수준이 높지 않은 사용자가 원하는 악곡을 다수의 성악 파트 및 악기 파트에 부합하는 합주곡으로 편곡하여 활용할 수 있고, 음악 전문가에게도 높은 수준의 음악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연주 제어부
110: 사용자 입력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연주부
140: 악보파일 파싱부
200: 음계음성 데이터베이스
300: 음악 파일 데이터베이스

Claims (5)

  1. 적어도 하나의 조성별 프로그램에 대한 절대음계 및 상기 절대음계 관련 음성 파일을 저장하는 음계음성 데이터베이스;
    선택된 악곡에 대한 악보 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악보 파일의 정보를 추출하는 악보파일 파싱부; 및
    상기 악보 파일의 정보로부터 선택된 악곡의 조성을 판단하고, 상기 음계음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악곡의 조성에 매칭되는 절대음계를 추출하고, 추출된 절대음계에 따른 음성 파일을 재생하는 연주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절대음계에 따른 음성 파일은 해당 절대음계의 발음 및 음높이에 따라 발성된 인간의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성별 프로그램은 으뜸음이 달라지는 서로 다른 12개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음악 파일을 포함하는 음악파일 데이터베이스;
    추출된 악보 파일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악 파일 중 선택된 악곡 관련 음악 파일을 이용하여 연주를 수행하는 연주부; 및
    상기 악보파일 파싱부로부터 추출된 악보 파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고,
    선택된 악곡에 대한 악보 파일을 분석하여 악보 파일의 각 마디마다 선율을 추출하는 선율 분석부;
    선택된 악곡에 대한 악보 파일을 분석하여 악보 파일의 각 마디마다 리듬을 추출하는 리듬 분석부;
    선택된 악곡에 대한 악보 파일을 분석하여 악보 파일의 각 마디마다 화음을 추출하는 화음 분석부;
    상기 선율 분석부와 화음 분석부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악보 파일의 각 마디마다 4개의 성부로 분리한 성부를 추출하는 성부 분석부;
    상기 성부 분석부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와 화음분석부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4개의 성부를 각각 서로 다른 악보 상에 분리하여 기록하는 성부 분리부;
    상기 성부 분석부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선율에 해당하는 4개의 성부를 4개의 성악파트에 편성하여 각각 서로 다른 악보 상에 분리하여 기록하는 성악 편성부;
    상기 성부 분석부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선율을 제외한 화음에 해당하는 4개의 성부를 4개의 악기파트에 편성하여 각각 서로 다른 악보 상에 분리하여 기록하는 악기 편성부;
    상기 성악 편성부와 악기 편성부를 하나의 합주곡 악보로 일체화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조성을 편곡하여 악보를 기록하는 편곡부; 및
    상기 편곡부로부터 산출처리되어 기록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악보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따른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를 이용하는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조성별 프로그램에 대한 절대음계 및 상기 절대음계 관련 음성 파일을 저장하는 음성파일 저장단계;
    선택된 악곡에 대한 악보 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악보 파일의 정보를 추출하는 악보파일 추출단계;
    상기 악보 파일의 정보로부터 선택된 악곡의 조성을 판단하는 악곡조성 판단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성별 프로그램에 대한 절대음계 및 상기 절대음계 관련 음성 파일로부터 악곡의 조성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대음계를 추출하는 절대음계 추출단계; 및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절대음계에 따른 음성 파일을 재생하는 음성파일 재생단계;
    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성악 파트를 구성하는 각 성부를 입력하여 성부 분석부에 저장하는 성악파트 입력단계;
    사용자가 원하는 악기 파트를 구성하는 각 성부를 입력하여 성부 분석부에 저장하는 악기파트 입력단계;
    선율 분석부, 리듬 분석부 및 화음 분석부를 이용하여 선택된 악곡에 대한 악보 파일을 분석하여 악보 파일의 각 마디마다 선율, 리듬 빛 화음을 추출하는 분석단계;
    성악파트 입력단계 및 악기파트 입력단계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부 분석부와 성부 분리부를 운용하여 성악 파트와 악기 파트를 성악 편성부와 악기 편성부를 통해 편성하는 편성단계;
    편곡부를 이용하여 성악 편성부와 악기 편성부를 하나의 합주곡 악보로 일체화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조성을 편곡하여 악보를 기록하는 편곡단계;
    악보출력부를 이용하여 편곡부로부터 산출처리되어 기록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악보출력단계; 및
    추출된 악보 파일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음악 파일 중 선택된 악곡 관련 음악 파일을 이용하여 음성과 악기를 소리를 재생하는 음성 및 악기 재생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
  5. 삭제
KR1020230071032A 2023-06-01 2023-06-01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 KR102605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1032A KR102605589B1 (ko) 2023-06-01 2023-06-01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1032A KR102605589B1 (ko) 2023-06-01 2023-06-01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589B1 true KR102605589B1 (ko) 2023-11-22

Family

ID=88973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1032A KR102605589B1 (ko) 2023-06-01 2023-06-01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5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331B1 (ko) * 2014-04-29 2015-08-24 문한기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
KR102020341B1 (ko) 2015-11-18 2019-09-11 (주)주스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331B1 (ko) * 2014-04-29 2015-08-24 문한기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
KR102020341B1 (ko) 2015-11-18 2019-09-11 (주)주스 악보 구현 및 음원 재생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7539B2 (en) Autonomous music composition and performance system employing real-time analysis of a musical performance to automatically compose and perform music to accompany the musical performance
Downie Music information retrieval
Goto et al. Music interfaces based on automatic music signal analysis: new ways to create and listen to music
TW200921637A (en) Automatic accompaniment for vocal melodies
JP6794990B2 (ja) 楽曲検索方法および楽曲検索装置
Hu et al. A probabilistic model of melodic similarity
Birmingham et al. Query by humming with the vocalsearch system
JPH1115468A (ja) 楽曲検索方法、楽曲検索装置、楽曲検索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JPH09138691A (ja) 楽曲検索装置
CN113836344A (zh) 个性化歌曲文件生成方法和装置、音乐演唱设备
KR101546331B1 (ko)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
KR102605589B1 (ko) 음계를 이용한 음악 재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재생 장치
KR100702059B1 (ko) 고객 특성이 피드백 반영되는 질의 풀 기반의 유비쿼터스음악 정보 검색 시스템 및 방법
JP2003131674A (ja) 楽曲検索システム
Itou et al. A voice-to-MIDI system for singing melodies with lyrics
JPH08160975A (ja) カラオケ選曲装置
Margounakis et al. On digitising the Greek music tradition: simulation of the Cretan lyre for mobile devices
JP6076423B1 (ja) 音楽再生装置及び音楽再生方法
JPH06202621A (ja) 楽曲演奏情報を利用した楽曲検索装置
JPH1124685A (ja) カラオケ装置
Fremerey SyncPlayer–a Framework for Content-Based Music Navigation
JP6439239B2 (ja) 演奏データファイル検索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端末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Schuller et al. Multimodal music retrieval for large databases
Baggi et al. The New Standard IEEE 1599, Introduction and Examples.
JP2002341862A (ja) 対話式楽曲検索演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