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358B1 -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 - Google Patents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358B1
KR102605358B1 KR1020220175026A KR20220175026A KR102605358B1 KR 102605358 B1 KR102605358 B1 KR 102605358B1 KR 1020220175026 A KR1020220175026 A KR 1020220175026A KR 20220175026 A KR20220175026 A KR 20220175026A KR 102605358 B1 KR102605358 B1 KR 102605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ch
individuals
loaches
dominant
trap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5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균
서동혁
Original Assignee
전라북도 남원시(남원시농업기술센터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북도 남원시(남원시농업기술센터장) filed Critical 전라북도 남원시(남원시농업기술센터장)
Priority to KR1020220175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90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 A01K61/95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specially adapted for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는, 내부에 미꾸리 개체가 유인되어 포획되는 통발공간을 제공하며, 일측에 미꾸리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타측에 미꾸리 열성개체가 빠져나가는 유출구가 구성된 선별본체부;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어 미꾸리 개체가 상기 통발공간으로 진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진입부재; 상기 유출구에 설치되어 미꾸리 우성개체가 상기 통발공간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고 미꾸리 열성개체는 빠져나가도록 하는 선별기; 상기 선별본체부에 수직 상방향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통발공간에 포획된 미꾸리가 수면 위로 올라와 장호흡을 하는 호흡공간을 제공하는 호흡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Farmed Loach Dominant Individual Selection and Shipment Device}
본 발명은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꾸리류 실내양식 과정에서 먹이경쟁 우위를 점하여 성장이 타 개체보다 빠른 우성개체들을 선별 포획하여 조기에 출하해 소득화 가능 시기를 앞당기고 점차적으로 사육밀도를 줄여 열성개체의 성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꾸리류는 노지에 물을 가두어 양식하는 지수식양식으로 양식하는데 자연환경과 유사한 환경에서 성장하게 된다. 지수식양식은 물속에 다양한 수중식물들이 서식하므로 양식어류가 천적으로부터 위협을 느낄 경우 숨어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미꾸리류는 위험을 감지하면 땅속을 파고드는 습성이 있어 노지양식에서 사육어가 위기를 느끼면 땅속으로 파고들어가 몸을 숨기고 있다가 안정되면 다시 밖으로 이동하게 된다.
노지양식은 자연과 유사한 환경에서 양식할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잠자리유충, 수달, 새 등 다양한 천적을 막기가 쉽지 않아 생존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천적으로부터 양식어를 보호하기 위해 점차 실내 수조에서 미꾸리류를 양식하고자 하는 어가들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미꾸리류 수조양식은 국내 생산된 미꾸리류 치어를 수조에 입식하여 실내에서 양식하면 약 12개월 전후의 양식기간이 필요하다. 양식종료 후 일괄 출하하므로 양식기간 내에는 소득이 발생하지 않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미꾸리류는 타 어종에 비해 환경에 예민하고 밀식에 취약하기 때문에 이미 성장을 마친 우성개체들이 양식수조에 남아있게 되면 다양한 질병 노출로 주기적으로 폐사하여 생산성을 낮추게 된다.
아울러 미꾸리류를 고밀도로 사육하게 되면 일명 ‘층아리’라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사육어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성장하지 않고 먹이경쟁에 우위를 점한 우성개체만 성장하고 먹이경쟁에서 뒤쳐진 열성개체는 성장이 더디게 되어 사료효율이 좋지 않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2226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6199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미꾸리류 실내양식 수조에 넣어 타 개체보다 성장이 빠른 우성개체들을 선별 포획하도록 구성되어, 먹이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 우성개체들을 조기에 출하해 소득화 가능시기를 앞당길 수 있고 점차적으로 사육밀도를 줄여 열성개체의 먹이습득을 용이하게 하여 열성개체의 성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는, 내부에 미꾸리 개체가 유인되어 포획되는 통발공간을 제공하며, 일측에 미꾸리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타측에 미꾸리 열성개체가 빠져나가는 유출구가 구성된 선별본체부;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어 미꾸리 개체가 상기 통발공간으로 진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진입부재; 상기 유출구에 설치되어 미꾸리 우성개체가 상기 통발공간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고 미꾸리 열성개체는 빠져나가도록 하는 선별기; 상기 선별본체부에 수직 상방향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통발공간에 포획된 미꾸리가 수면 위로 올라와 장호흡을 하는 호흡공간을 제공하는 호흡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별본체부는, 전단이음부, 후단이음부, 상단이음부를 구비한 "T"형 이음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단이음부에 상기 호흡관이 접속설치되며, 상기 후단이음부의 단부에 상기 선별기가 고정설치되는 제1본체부와, 직선형 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단이음부에 수평되게 접속연결되며 전단부에 상기 진입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제1본체부의 내부 공간과 함께 상기 통발공간을 형성시키는 제2본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입부재는 나팔관형 그물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입구의 내부로 삽입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입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구의 단부에 고정결합되고 미꾸리가 들어오는 그물망 입구가 구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그물망 입구로부터 후류측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좁아지며 미꾸리가 상기 통발공간으로 들어가는 그물망 출구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별기는 양측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복수개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통발공간에서 미꾸리 열성개체는 외부로 빠져나가고 우성개체는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선별슬릿홀을 형성시키는 복수의 슬릿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슬릿부재 각각은 미꾸리가 상기 선별슬릿홀에 끼어 폐사하지 않도록 원형봉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품성있는 우성개체들을 우선 선별포획하여 양식 무리에서 제거하게 할 수 있고, 이에 열성개체들의 먹이 접근이 쉬워져 성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꾸리류의 폐사율을 낮추고, 판매시기를 앞당겨 조기 소득화가 가능하며, 열성개체의 성장률도 향상시켜 경제성 확보에 크게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여타의 어종과는 다르게 산소부족시 수면으로 올라와 장호흡하는 미꾸리류의 특성에 맞도록 미꾸리 우성개체를 선별하여 포획하는 과정에서 우성개체가 호흡관을 통해 수면으로 올라와 장호흡할 수 있게 하여 생존을 유지한 상태로 포획할 수 있도록 해주어 미꾸리의 손상없이 신선도를 유지한 미꾸리를 출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의 시제품사진이며,
도 4은 도 1에 도시된 선별기와 다른 형태의 선별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100)는 미꾸리를 실내에서 양식하는 미꾸리실내 양식수조에 넣어 우성개체들만을 선별포획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100)는 선별본체부(110), 진입부재(120), 선별기(130), 호흡관(1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선별본체부(110)는 수평되게 배치되며 소정길이를 갖는 좌우가 개방된 관체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미꾸리가 포획되는 통발공간(s)을 제공하며, 일측단에 미꾸리가 들어오는 유입구(110a)가 구성되고, 타측단에 미꾸리의 빠져나가는 유출구(110b)가 구성된다.
선별본체부(110)는 소정길이를 갖는 관체 형태로 이루어지기만 하면 되나, 본 실시 에서는 호흡관(140)과의 결합이 용이하면서 통발공간(s)의 충분한 용적확보를 위하여 제1본체부(111)와 제2본체부(115)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제1본체부(111)는 PVC 재질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정티 이음관과 같은 T형 이음관으로 구성되어 전단이음부(112), 후단이음부(113), 상단이음부(114)를 갖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후단이음부(113)의 후측부는 유출구(110b)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단이음부(114)에는 호흡관(140)이 끼움방식으로 접속연결되도록 구성되고, 후단이음부(113)의 후단에는 선별기(130)가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제2본체부(115)는 소정길이를 갖는 직선관 관체로 이루어지고 PVC 재질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단이임부(112)에 끼움방식으로 접속결합되도록 구성되어, 미꾸리의 충분한 포획용적을 마련하도록 제1본체부(111)의 내부공간과 함께 통발공간(S)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본체부(115)의 전측부는 유입구(110a)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이 전측부에는 진입부재(120)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1본체부(111), 제2본체부(115)를 구성하는 합성수지 파이프 구성들은 내경이 14~16cm의 내경의 것을 사용하며, 이에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이 수월할 수 있다. 다만, 제1본체부(111)와 제2본체부(115)의 내경은 목표하는 포획용량이나 미꾸리 양식수조의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진입부재(120)는 나팔관 형의 그물망으로 이루어지며, 전단측에 미꾸리가 들어오는 그물망 입구(121)가 구성되고, 후단측에 미꾸리가 통발공간(s)으로 들어가는 그물망 출구(122)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진입부재(120)는 그물망 입구(121)에 그물망 출구(122) 측으로 갈 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진입부재(120)는 그물망 입구(121)가 유입구(110a)의 둘레에 고정설치되며 유입구(110a)의 내부로 삽입된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미꾸리 개체가 통발공간(s)으로 진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미꾸리류는 벽 부위를 타고 전진하는 습성이 있으므로 통발공간(s)의 내부에 제2본체부(115)의 내주면을 타고 전진하는 경우 진입부재(120)가 유입구(110a)의 밖으로 빠져나오게 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진입부재(120)가 유입구(110a)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빠져나오지 않고도록 그물망 출구(122)측과 제2본체부(115)의 내주면을 연결하여 진입부재(1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이탈방지부끈(125)이 더 구성된다.
이탈방지끈(125)의 일측단은 그물망 출구(122)에 묶어 고정시킬 수 있고, 타측단은 제2본체부(115)의 내주면에 접착제 또는 진공흡착판(일명 "큐방" 이라고도 함)에 의해 부착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별기(130)는 본체부(110)의 유출구(110b) 단부에 고정설치되어 통발공간(s)에 포획된 미꾸리 중 우성개체는 유출구(110b)를 통해 밖으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고 열성개체는 유출구(110b)를 통해 빠져나도록 하여 통발공간(s)에 우성개체만이 남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 선별기(130)는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양측의 지지대(131)와, 이 양측의 지지대(131)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상하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어 복수의 선별슬릿홀(133a)을 형성시키는 복수의 슬릿부재(13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지지대(131)는 마주하는 내측면에 타공형성되어 슬릿부재(133)를 끼워 고정결합시키기 위한 끼움고정홈(132)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선별기(130)는 유출구(110b)를 막도록 유출구(110b)의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지지대(131)를 유출구(110b)의 단부에 타이나 접착제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시킬 수도 있고, 최상단 및 최하단의 슬릿부재(133)를 유출구(110b)의 단부에 타이나 접착제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시킬 수도 있다.
슬릿부재(133)의 간격 즉 슬릿부재(133) 사이에 형성되는 선별슬릿홀(133a)의 간격에 따라 통발공간(s)에 포획된 미꾸리 중 열성개체가 선별기(130)를 빠져나가고 우성개체는 선별기(130)를 빠져나가지 못하여 통발공간(s)에 포획된 상태로 남게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슬릿부재(133)는 미꾸리류가 끼어서 폐사하지 않도록 반드시 원형봉으로 구성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슬릿부재(133)의 사이 간격은 어류 출하 사이즈에 따라 조정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슬릿부재(133)들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여 균일한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선별기(130)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호흡관(130)은 선별본체부(110)에 수직 상방향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통발공간(s)과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호흡관(130)은 제1본체부(111의 상단이음부(114)에 끼움방식으로 접속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호흡관(130)은 본 발명의 선별출하장치는 양식수조에 상시 설치하여 미꾸리 우성개체를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 구성요로서, 장호흡을 하는 미꾸리류의 특성상 필수 구성요소이다.
미꾸리는 어류임에도 불구하고 산소가 부족할 경우, 수면으로 올라와 장호흡을 하는 특성이 있는데, 선별본체부(110) 전체가 물에 잠겨 있으면 산소부족으로 인해 미꾸리가 장호흡을 못하여 폐사하게 된다.
이에, 진입부재(120)를 통해 선별본체부(110) 내부의 통발공간(s)으로 들어오고 선별기(130)를 통해 유출구(110a)로 빠져 나가지 못하여 포획이 이루어진 미꾸리 우성개체는 선별본체부(110) 내의 통발공간(s)에 위치하게 되는데, 선별본체부(110)에서 미꾸리 우성개체를 빼내기 전까지는 호흡관(140)을 통해 수면위로 상승 및 하강을 지속하여 장호흡을 할 수 있어 생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호흡관(140)의 상단 개방구(141)를 통해 유인사료를 넣게 되면 사료 냄새가 선별본체부(110)의 내부로 퍼지게 되고, 이로 인해 유입구(110a) 주변으로 어류들이 모여들어 진입부재(120)를 통해 통발공간(s)으로 미꾸리 유인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유인사료는 기존에 섭취하던 사료를 사용해야 유인되기 쉬우며, 유인사료는 별도 제거할 필요 없이 통발공간(s)에 남아 미꾸리 우성개체의 먹이공급의 역활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의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100)를 미꾸리 실내 양식 수조에 넣어 두게 되면 진입부재(120)를 통해 통발공간(s)으로 미꾸리가 들어가고 선별기(130)를 통해 미꾸리 열성개체는 통발공간(s)에서 빠져나가고 미꾸리 우성개체만이 통발공간(s)에 온전히 포획될 수 있으며, 포획된 우성개체들은 호흡관(140)을 통해 주기적으로 장호흡을 진행할 수 있어 우성개체의 폐사없이 포획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100)를 양식 수조에 넣어 두어 우성개체를 포획한 후에는 양식수조에서 꺼내고 호흡관(140)을 아래로 뒤집어 호흡관(140)을 통해 포획된 미꾸리 우성개체를 통발공간(s)에서 빼내 출하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선별기(130)는 지지대(131)의 내측면에 끼움고정홈(132)이 구성되어 슬릿부재(133)의 측부에 끼움고정홈(132)에 끼움고정됨으로써 위치고정된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각 슬릿부재(133)의 간격 즉 선별슬릿홀(133a)의 간격 사이즈를 조절하기 어렵고 이에 따라 선별슬릿홀(133a)이 다르게 선별기(130)를 어려개 구비하여 어류 출하 사이즈에 따라 필요에 따라 선별기(130)를 유출구(110b) 교체 설치해야 하는 구성이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선별기(130)는 선별슬릿홀(133a)의 사이즈가 고정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선별기(130)는 어류 출하사이즈 따라 선별슬릿홀(133a)의 간격을 조정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지지대(131)의 내측면에는 슬릿부재(133)의 단부가 삽입되어 슬릿부재(133)를 전후 위치이동되게 하는 슬릿이동홈(133)들이 상하 이격되게 복수개가 구성된다.
복수의 슬릿이동홈(133)은 각각의 슬릿부재(133)들의 간격이 균등한 간격으로 좁아지거나 넓어지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슬릿이동홈(133)의 일측부에는 슬릿부재(133)들의 사이간격 즉 선별슬릿홀(133a)의 간격이 제1간격이 되게 하는 제1슬릿위치부(134a)가 구성되고, 타측부에는 슬릿부재(133)들의 사이 간격 즉 선별슬릿홀(133a)의 간격이 제2간격이 되게 하는 제2슬릿위치부(134b)가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도 4의 (a)와 같이 슬릿부재(133)들을 슬릿이동홈(133)의 제1슬릿위치부(134a)들로 위치이동시킨 경우, 선별슬릿홀(133a)들의 간격이 제1간격(h1)을 갖도록 조정되고, 도 4의 (b)와 같이 슬릿부재(133)들을 슬릿이동홈(133)의 제2슬릿위치부(134b)들로 위치이동시킨 경우, 선별슬릿홀(133a)들의 간격이 제1간격(h1) 보다 작은 제2간격(h2)을 갖도록 조정됨으로써, 미꾸리의 출하 목표 사이즈에 따라 슬릿부재(133)들의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각각의 슬릿부재(133)의 단부를 감싸도록 끼움방식으로 결합설치되고, 슬릿부재(133)의 단부가 슬릿이동홈(133)에 밀착되어 반고정상태로 위치고정시키는 고무링이나 실리콘링으로 이루어진 밀착부재(135)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슬릿부재(133)를 밀거나 당겨주는 외력에 의해서는 슬릿부재(133)가 슬릿이동홈(133)에서 이동이 이루어지고, 외력에 제거된 상태에서는 슬릿부재(133)가 밀착부재(135)에 의해 반고정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0...선별본체부
110a...유입구
110b...유출구
111...제1본체부
115...제2본체부
120...진입부재
121...그물망 입구
122...그물망 출구
130...선별기
131...지지대
133...슬릿부재
140...호흡관
145...유인사료

Claims (6)

  1. 내부에 미꾸리 개체가 유인되어 포획되는 통발공간을 제공하며, 일측에 미꾸리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타측에 미꾸리 열성개체가 빠져나가는 유출구가 구성된 선별본체부;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어 미꾸리 개체가 상기 통발공간으로 진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진입부재;
    상기 유출구에 설치되어 미꾸리 우성개체가 상기 통발공간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고 미꾸리 열성개체는 빠져나가도록 하는 선별기;
    상기 선별본체부에 수직 상방향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통발공간에 포획된 미꾸리가 수면 위로 올라와 장호흡을 하는 호흡공간을 제공하는 호흡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본체부는,
    전단이음부, 후단이음부, 상단이음부를 구비한 "T"형 이음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단이음부에 상기 호흡관이 접속설치되며, 상기 후단이음부의 단부에 상기 선별기가 고정설치되는 제1본체부와,
    직선형 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단이음부에 수평되게 접속연결되며 전단부에 상기 진입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제1본체부의 내부 공간과 함께 상기 통발공간을 형성시키는 제2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부재는 나팔관형 그물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입구의 내부로 삽입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유입구의 단부에 고정결합되고 미꾸리가 들어오는 그물망 입구가 구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그물망 입구로부터 후류측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좁아지며 미꾸리가 상기 통발공간으로 들어가는 그물망 출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기는
    양측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복수개가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통발공간에서 미꾸리 열성개체는 외부로 빠져나가고 우성개체는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선별슬릿홀을 형성시키는 복수의 슬릿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릿부재 각각은 미꾸리가 상기 선별슬릿홀에 끼어 폐사하지 않도록 원형봉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




KR1020220175026A 2022-12-14 2022-12-14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 KR102605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5026A KR102605358B1 (ko) 2022-12-14 2022-12-14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5026A KR102605358B1 (ko) 2022-12-14 2022-12-14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358B1 true KR102605358B1 (ko) 2023-11-24

Family

ID=88972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5026A KR102605358B1 (ko) 2022-12-14 2022-12-14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358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162U (ko) * 1990-06-07 1992-02-18
JP3399925B2 (ja) * 2000-12-11 2003-04-28 芳雄 藤田 魚類養殖法
JP2005027510A (ja) * 2003-07-07 2005-02-03 Nichimo Co Ltd 生簀内における魚体選別方法および魚体選別システム
KR100878839B1 (ko) * 2008-09-04 2009-01-14 대한민국 새우조망용 혼획저감장치
KR101322266B1 (ko) 2013-04-26 2013-10-28 대한민국 논 경작지를 이용한 미꾸리류의 생태양식방법
JP2017502700A (ja) * 2014-01-21 2017-01-26 シー ソウル エーエス 水塊から魚を引き上げ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180071554A (ko) * 2016-12-20 2018-06-2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
JP6734512B2 (ja) * 2016-04-02 2020-08-05 東北興商株式会社 動物捕獲装置
KR102261998B1 (ko) 2020-12-29 2021-06-08 전라북도 남원시(남원시농업기술센터장) 엿기름 전분분해효소를 이용한 미꾸리류 무환수 양식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9162U (ko) * 1990-06-07 1992-02-18
JP3399925B2 (ja) * 2000-12-11 2003-04-28 芳雄 藤田 魚類養殖法
JP2005027510A (ja) * 2003-07-07 2005-02-03 Nichimo Co Ltd 生簀内における魚体選別方法および魚体選別システム
KR100878839B1 (ko) * 2008-09-04 2009-01-14 대한민국 새우조망용 혼획저감장치
KR101322266B1 (ko) 2013-04-26 2013-10-28 대한민국 논 경작지를 이용한 미꾸리류의 생태양식방법
JP2017502700A (ja) * 2014-01-21 2017-01-26 シー ソウル エーエス 水塊から魚を引き上げ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6734512B2 (ja) * 2016-04-02 2020-08-05 東北興商株式会社 動物捕獲装置
KR20180071554A (ko) * 2016-12-20 2018-06-2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역통발형 치어 보호장치
KR102261998B1 (ko) 2020-12-29 2021-06-08 전라북도 남원시(남원시농업기술센터장) 엿기름 전분분해효소를 이용한 미꾸리류 무환수 양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ggleston et al. Shelter selection by spiny lobster under variable predation risk, social conditions, and shelter size
Keeley An experimental analysis of territory size in juvenile steelhead trout
KR101238101B1 (ko) 수생 동물용 성장 시스템
KR20130128073A (ko) 가두리방식의 해삼양식장치
CN103798188A (zh) 一种大鲵仿生态驯养繁殖方法
KR102605358B1 (ko)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
Radhakrishnan et al. Current status of freshwater cage aquaculture in India: towards blue revolution
CN210538213U (zh) 多层环套多梯度虾类养殖网箱
CN105454102B (zh) 一种河蟹成蟹养殖池塘同池异位混养甲鱼的系统
Braithwaite et al. The effects of early life experience on behavioural development in captive fish species
Mustapha Aquaculture and Fish Welfare: Are the Rights of Fish Compromised?/Akwakultura I Dobrostan Ryb: Czy Prawa Ryb Sa Szanowane?
JPH0775497B2 (ja) ドジョウの産卵育成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794269B1 (ko) 피조개부착치패 보호망 및 상기 보호망을 이용한 피조개치패 중간양성방법
JP2016174580A (ja) 畜養具
Wisenden et al. Brood size and the economy of brood defence: examining Lack's hypothesis in a biparental cichlid fish
JPS61185138A (ja) 共喰い防止養殖装置
CN110574717A (zh) 一种黄鳝的控制化养殖方法
Sunarma et al. Interpopulation crossbreeding of farmed and wild African catfish Clarias gariepinus (Burchell 1822) in Indonesia at the nursing stage
Kam et al. Maternal brood care of an arboreal breeder, Chirixalus eiffingeri (Anura: Rhacophoridae) from Taiwan
KR101583321B1 (ko) 양봉용 소초
CN112586418A (zh) 一种小龙虾养殖结构及养殖方法
KR101588084B1 (ko) 물의 순환이 양호한 두족류 양식장치
KR100764484B1 (ko) 패널식 전복 양성기
KR102632311B1 (ko) 양식 미꾸리류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인공저질 장치 및 이 인공 저질장치를 이용한 미꾸리류 양식수조
RU2316956C2 (ru) Способ воспроизводства и выращивания карпа в заморных озера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