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266B1 - 논 경작지를 이용한 미꾸리류의 생태양식방법 - Google Patents

논 경작지를 이용한 미꾸리류의 생태양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266B1
KR101322266B1 KR1020130046475A KR20130046475A KR101322266B1 KR 101322266 B1 KR101322266 B1 KR 101322266B1 KR 1020130046475 A KR1020130046475 A KR 1020130046475A KR 20130046475 A KR20130046475 A KR 20130046475A KR 101322266 B1 KR101322266 B1 KR 101322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able land
loach
land
farm
fert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6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구
한형균
이영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30046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인 논을 이용하여 벼농사를 지음과 동시에 미꾸리를 양식할 수 있는 논 경작지를 이용한 미꾸리류의 생태양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경작지에 이앙하는 모내기 단계, 경작지의 경작용수에 식물성 플랑크톤의 먹이가 되는 대체먹이를 살포하는 단계와, 대체먹이가 미리 살포된 경작지에 미꾸리 치어를 방양하는 단계와, 경작지에 방양된 미꾸리 치어에게 대체먹이를 주기적으로 주며 미꾸리 치어를 성장시키는 단계와, 일정의 크기로 양식된 미꾸리를 출어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논 경작지를 이용한 미꾸리류의 생태양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체먹이를 경작지에 투입하여 식물성 플랑크톤의 증식을 활성화시키고, 증식된 플랑크톤을 먹이로 하는 물벼룩, 실지렁이, 곤충의 유충 또는 장구벌레 등과 같은 수생곤충인 소동물의 생육과 번식을 활성화시켜, 미꾸리가 상기 소동물을 먹으로 성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양식장에서 자체적으로 번식하는 소동물을 미꾸리의 먹이로 직접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인공사료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그로서 사람이 섭취시 인체건강에 유익한 미꾸리를 대량으로 양식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논 경작지를 이용한 미꾸리류의 생태양식방법{Technology development of eco-culture by using paddy field in misgurnus anguillicaudatus}
본 발명은 일반적인 논을 이용하여 벼농사를 지음과 동시에 미꾸리를 양식할 수 있는 논 경작지를 이용한 미꾸리류의 생태양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논에 사료나 다른 인위적인 요소를 제공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벼와 미꾸리를 동시에 기를 수 있는 양식방법이고, 경작지에 이앙하는 모내기 단계, 경작지의 경작용수에 식물성 플랑크톤의 먹이가 되는 대체먹이를 살포하는 단계와, 대체먹이가 미리 살포된 경작지에 미꾸리 치어를 방양하는 단계와, 경작지에 방양된 미꾸리 치어에게 대체먹이를 주기적으로 주며 미꾸리 치어를 성장시키는 단계와, 일정의 크기로 양식된 미꾸리를 출어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논 경작지를 이용한 미꾸리류의 생태양식방법에 관한 분야이다.
미꾸라지류(Misgurnus sp.)는 미꾸리(Misgurnus anguillicaudatus)와 미꾸라지(Misgurnus mizolepis) 2종으로 구분되고, 미꾸리는 하천의 중·상류, 미꾸라지는 중·하류에 주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미꾸라지는 일명 추어(鰍魚)라고도 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대중적 기호식품으로 추어탕을 널리 즐겨왔고, 오늘날에는 식용, 낚시미끼 또는 모기유충 퇴치를 위한 천적생물 등으로 그 이용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미꾸리와 유사한 생육환경에서 서식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미꾸리는 미꾸리와 미꾸라지를 포함한 미꾸라지류 전체를 통칭하는 의미이다.
아울러 미꾸리는 논이나 얕은 저수지, 도랑에서 서식하는 소형 온수성 어류로써 부식질이 많은 진흙 바닥으로 물의 흐름이 적은 곳에 서식한다. 이는 퇴비나 논의 짚 따위에 미생물이나 소동물이 많고 웅덩이나 도랑에도 유기물이 부패해 발생하는 미생물이 많기 때문이다. 바닥진흙은 약산성으로 된 점토질이 좋으며 실지렁이가 많이 번식하는 개천 등에 큰 미꾸리가 있는 것은 먹이가 풍부하기 때문이다.
다음은 미꾸라지류 중, 미꾸라지의 양식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3996호는 미꾸라지 양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이 개구 되고, 내부가 중공된 용기와; 상기 용기 내부의 밑바닥으로부터 10~20cm 깊이로 적치된 찰흙; 상기 찰흙의 상단에 10~20cm 깊이로 적치된 톱밥; 상기 톱밥의 상단에 10~20cm 깊이로 적치된 소 대변; 상기 소 대변의 상단에 10~20 cm 깊이로 적치된 말 대변; 상기 말 대변의 상단에 1~5cm 깊이로 채워진 물; 상기 용기의 둘레 면에 장착되어 상기 용기에 포함된 수분을 적당한 시기에 배출할 수 있는 수분 배출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기 내부에 적치된 찰흙과 톱밥 그리고 소 대변 및 말 대변은 용기 내부에 삽입 전 양지에 널어 말려 수분을 제거하고, 체를 이용하여 곱게 가루 낸 것이고, 상기 용기의 상단에는 직경이 0.5~3cm인 숨구멍을 구비하면서, 상기 용기의 상단 개구를 평평하게 막을 수 있는 1차 비닐 덮개가 씌워지고, 상기 1차 비닐 덮개의 상단에는 직경이 0.5~3cm인 숨구멍을 구비하면서, 중앙이 볼록하게 솟아 있는 2차 비닐 덮개가 덮 씌워진 미꾸라지 양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성의 미꾸라지 양식 장치는 적당한 크기로 제작된 용기를 실내 또는 실외에 배치하여 미꾸라지의 생태 환경을 최적의 상태로 조성할 수 있고, 기존의 미꾸라지 사료 대신 축사에서 배출된 말 대변과 소 대변을 재활용하여 미꾸라지의 먹이를 대신할 수 있으며, 용기 내부에 꾸며진 미꾸라지의 생태 환경을 사람의 의도에 따라 자유자재로 변경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나, 미꾸라지의 활동성과 번식력을 다소 미흡하게 고려하여 생육환경을 조성해 주기 때문에 미꾸라지의 밀집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병균으로 인하여 미꾸라지가 집단 폐사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미꾸리 양식방법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이다. 즉, 종래 미꾸리 양식방법은 인공종묘된 미꾸리 치어 또는 자연에서 포획한 미꾸리 치어를 수조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물과 함께 수용시킨 후, 인공사료를 주며 일정 기간 양식하여 출어시키기 때문에, 일정의 내부공간에 대량 양식되는 미꾸리에게 지속적인 인공사료를 먹이로 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인공사료를 먹고 자란 미꾸리는 배설물이 나와 수질을 오염시키며, 각종 질병에 노출되었으며, 사료 및 에너지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양식장의 가두리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로 인하여 미꾸리가 쉽게 폐사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함과 동시에, 양식장을 해체할 때에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인한 폐기물이 대량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본 발명은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벼를 경작하고, 미꾸리를 양식할 수 있는 논 경작지를 이용한 미꾸리류의 생태양식방법에 있어서, 미꾸리 양식장의 경작지에 이앙하는 모내기 단계와; 모내기 단계 처리된 미꾸리 양식장에 요소비료, 유안비료 또는 유기질 복합비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대체먹이를 미꾸리 양식장의 경작지 1m2의 면적당 300~600g의 비율로 경작지에 살포하는 대체먹이 살포단계와; 상기 대체먹이 살포단계 처리된 미꾸리 양식장에 한 마리당의 평균무게가 1~7g인 미꾸리 치어를 경작지 1m2의 면적당 20~100마리의 개체수로 방양하는 치어방양단계와; 상기 치어방양단계 처리된 미꾸리 양식장의 수온이 40~45℃를 초과하지 않도록 유지하고, 7~13일 간격으로 경작지 1m2의 면적당 300~600g의 비율로 요소비료, 유안비료 또는 유기질 복합비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대체먹이를 주며 미꾸리를 키우는 성장단계와; 상기 성장단계 처리되어 키워진 미꾸리 한 마리당의 평균무게가 20~30g이 된 후 출어하는 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논 경작지를 이용한 미꾸리류의 생태양식방법을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논 경작지를 이용한 미꾸리류의 생태양식방법은 대체먹이를 경작지에 투입하여 식물성 플랑크톤의 증식을 활성화시키고, 증식된 플랑크톤을 먹이로 하는 물벼룩, 실지렁이, 곤충의 유충 또는 장구벌레 등과 같은 수생곤충인 소동물의 생육과 번식을 활성화시켜, 미꾸리가 상기 소동물을 먹으로 성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양식장에서 자체적으로 번식하는 소동물을 미꾸리의 먹이로 직접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인공사료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그로서 사람이 섭취시 인체건강에 유익한 미꾸리를 대량으로 양식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논을 이용한 자연상태에 가까운 미꾸리 양식장을 구축하여 인공 양식장 조성으로 인한 미꾸리 폐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논 경작지를 이용한 미꾸리류의 생태양식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미꾸리 양식장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미꾸리 양식장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미꾸리 양식장을 나타내는 부분 상세도.
도 5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미꾸리 양식장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미꾸리 양식장의 내부수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미꾸리 양식장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미꾸리 양식장의 지하수공급관을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미꾸리 양식장의 제작순서를 나타내는 블럭도.
본 발명은 일반적인 논을 이용하여 벼농사를 지음과 동시에 미꾸리를 양식할 수 있는 논 경작지를 이용한 미꾸리류의 생태양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벼를 경작하고, 미꾸리를 양식할 수 있는 논 경작지를 이용한 미꾸리류의 생태양식방법에 있어서, 미꾸리 양식장의 경작지(10)에 이앙하는 모내기 단계(S10)와; 모내기 단계(S10) 처리된 미꾸리 양식장에 요소비료, 유안비료 또는 유기질 복합비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대체먹이를 미꾸리 양식장의 경작지(10) 1m2의 면적당 300~600g의 비율로 경작지(10)에 살포하는 대체먹이 살포단계(S20)와; 상기 대체먹이 살포단계(S20) 처리된 미꾸리 양식장에 한 마리당의 평균무게가 1~7g인 미꾸리 치어를 경작지(10) 1m2의 면적당 20~100마리의 개체수로 방양하는 치어방양단계(S30)와; 상기 치어방양단계(S30) 처리된 미꾸리 양식장의 수온이 40~45℃를 초과하지 않도록 유지하고, 7~13일 간격으로 경작지(10) 1m2의 면적당 300~600g의 비율로 요소비료, 유안비료 또는 유기질 복합비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대체먹이를 주며 미꾸리를 키우는 성장단계(S40)와; 상기 성장단계(S40) 처리되어 키워진 미꾸리 한 마리당의 평균무게가 20~30g이 된 후 출어하는 출어단계(S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논 경작지를 이용한 미꾸리류의 생태양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4월~9월의 기간 동안에 벼를 경작하고, 벼가 경작되는 경작지(10)에 미꾸리를 양식할 수 있는 복합영농용 미꾸라지 양식장을 이용한 미꾸리의 양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봄에서 가을 사이에 벼를 경작함과 동시에 미꾸리를 양식할 수 있는 일반적인 복합영농용 양식장을 이용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미꾸리 양식장은 벼를 경작하고 미꾸리를 양식가능하도록 하는 경작지(10)와 경작지(10)를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경작지(10) 내부의 경작용수(100)의 공급ㆍ배출을 통제가능하도록 하는 논둑(20)을 필수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양식장이면 어떠한 구성을 하여도 무방하고, 보다 바람직한 미꾸리 양식장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하기에서 설명하겠다.
또한 모내기 단계(S10)는 미꾸리 양식장의 경작지(10)에 이앙하는 과정으로서, 미꾸리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벼농사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모를 경작지(10)에 심는 과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작지(10)는 벼를 경작하고, 미꾸리를 양식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일반적인 논의 형태와 같이 쟁기가 장착된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를 이용하여 간 후, 배토기를 이용하여 흙을 배토하고, 써레질하여 이앙할 수 있는 상태의 땅이다.
아울러 농기계를 이용하여 경작지(10)를 가는 과정은 농기계에 장착된 쟁기를 이용하여 경작지(10)에 해당하는 부분의 논을 일정 깊이로 갈아엎는 과정으로서, 일반적인 논갈이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된다. 또한 배토과정은 갈아진 경작지(10)에 일정량의 경작용수(100)를 공급한 후, 농기계에 장착된 배토기(로터리)를 이용하여 갈아진 흙을 고르고 판판하게 하는 과정으로서, 일반적인 배토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된다. 더불어 써레질 과정 역시 경작지(10)에 경작용수(100)를 일정량 공급하고, 배토기와 써레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방법으로 수행가능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내기 단계(S10)에서의 경작지(10) 조성은 경작지(10) 내에 미꾸리를 양식해야 하므로, 제초제, 방충제 또는 지력증진제와 같은 농약류를 사용하지 말아야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대체먹이 살포단계(S20)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먹이가 되는 무기염류와 수생 소동물의 먹이가 되는 유기질류를 미꾸리가 방양되기 이전에 살포하여, 방양되는 미꾸리의 먹이 개체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과정이다.
즉, 본 발명은 미꾸리 양식을 위하여, 미꾸리의 먹이가 될 수 있는 인공사료를 미꾸리에게 직접 주지아니하고, 자연상태의 미꾸리 먹이가 되는 물벼룩, 실지렁이, 곤충의 유충 또는 장구벌레 등의 수생곤충인 소동물을 경작지(10) 내의 경작용수(100)에 번식시켜, 미꾸리가 소동물을 먹으며 양식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소동물의 활발한 번식을 위하여 소동물의 먹이가 되는 식물성 플랑크톤[phytoplankton]을 증식시키는 방법을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식물성 플랑크톤은 미꾸리의 먹이를 직접공급하지 아니하고, 미꾸리의 먹이가 되는 소동물의 먹이를 육상식물처럼 햇빛과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광합성을 함으로서 산소를 방출하고, 질소나 인과 같은 무기영양염류를 동물이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바꾸는 능력이 있는데, 일조량, 기온 또는 무기영양염류의 양이 많을수록 증식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본 발명은 경작지(10)의 경작용수(100)에 포함되는 무기영양염류의 양을 인위적으로 늘려 식물성 플랑크톤의 증식을 활성화시키고, 식물성 플랑크톤을 먹고 사는 소동물의 개체수를 늘려 미꾸리의 먹이로 공급한다.
이때 대체먹이는 요소비료, 유안비료 또는 유기질 복합비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일정의 조성비로 혼합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다.
즉, 상기 요소비료는 암모니아에 이산화탄소를 가하고 고온ㆍ고압으로 처리하여 제조되는 질소질 비료로서, 경작지(10)에 이앙된 모의 생육을 도울 뿐만 아니라 식물성 플랑크톤에 질소를 공급하여 식물성 플랑크톤의 증식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유안비료는 황산과 암모니아를 반응시켜 만든 무색투명한 질소질 비료로서, 상기 요소비료와 동일하게 질소성분을 주되게 포함하고 있지만 황성분을 더 포함하여 경작용수(100) 내에 황성분의 무기영양염류를 더 포함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아울러 유기질 복합비료는 골분, 어분, 계분, 미강 또는 가축분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발효시킨 비료로서, 식물성 플랑크톤의 활성화를 위한 경작용수(100)의 부영양화를 촉진시키고, 소동물과 미꾸리의 직접적인 먹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대체먹이 살포단계(S20)는 대체먹이를 먹고 식물성 플랑크톤이 충분히 증식되고, 증식된 식물성 플랑크톤을 소동물이 먹은 후, 소동물의 개체수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치어방양단계(S30)의 10~20일 이전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대체먹이 살포단계(S20)는 치어방양단계(S30)를 기준하여, 10~20일 이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모내기 단계(S10) 직후 치어방양단계(S30)를 수행하려면, 대체먹이 살포단계(S20)를 모내기 단계(S10) 이전인 경작지를 만들 때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체먹이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대체먹이를 구성하는 상기 요소비료, 유안비료 또는 유기질 복합비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모내기 단계(S10) 처리된 미꾸리 양식장의 경작지(10) 1m2의 면적당 300~600g의 비율로 경작지(10)에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대체먹이의 살포량이 양식장 경작지(10) 1m2의 면적당 600g을 초과하면, 대체먹이의 양이 지나치게 많아 식물성 플랑크톤이 과다 증식되고, 그 결과 경작지(10) 내에 수용된 경작용수(100)에 공급되는 햇빛과 산소를 식물성 플랑크톤에 의하여 차단되어 양식장에 수용된 경작용수(100)가 썩을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이앙된 모가 죽을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고, 300g미만으로 살포되면, 식물성 플랑크톤의 증식이 미미해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일조량과 기온을 고려하여 상기 범위 내에서 대체먹이를 경작지(10)에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대체먹이가 요소비료 또는 유안비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이 혼합되어 구성되는 경우에는,모내기 단계(S10) 처리된 미꾸리 양식장의 경작지(10) 1m2의 면적당 1~10g의 비율로 경작지(10)에 살포하는 것이 요소비료 또는 유안비료에 의한 경작용수(100)의 급격한 산성화를 방지하여 치어방양단계(S30)에서 방양되는 미꾸리 치어의 폐사를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대체먹이가 유기질 복합비료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모내기 단계(S10) 처리된 미꾸리 양식장의 경작지(10) 1m2의 면적당 300~600g의 비율로 경작지(10)에 그대로 살포할 수 있다.
아울러 대체먹이를 구성하는 요소비료, 유안비료 및 유기질 복합비료의 혼합비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적적하게 조절가능하나, 유기질 복합비료 : 요소비료 : 유안비료의 혼합비가 100 : 0.3~2 : 0.3~2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요소비료가 유기질 복합비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0.3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요소비료에 의한 식물성 플랑크톤의 활성화를 위한 경작용수(100)의 부영양화를 촉진효과가 미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2중량부를 초과하면, 경작용수(100)에 질소 성분이 지나치게 다량 포함되어 양식장 내의 경작용수(100)가 썩을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 내의 혼합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안비료가 유기질 복합비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0.3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유안비료에 포함된 황성분의 조성이 미미해져 황성분에 의한 무기영양염류의 첨가 효과가 미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2중량부를 초과하면, 경작용수(100)에 황성분이 지나치게 다량 포함되어 토양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 내의 혼합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치어방양단계(S30)는 상기 대체먹이 살포단계(S20) 처리된 미꾸리 양식장에 한 마리당의 평균무게가 1~7g인 미꾸리 치어를 경작지(10) 1m2의 면적당 20~100마리의 개체수로 방양(放養)하는 과정으로서, 일반적인 미꾸리 치어 양식방법에 의하여 양식된 미꾸리 치어 또는 자연상태에서 포획된 미꾸리 치어를 본 발명에 의한 미꾸리 양식장에 투입하는 과정이다.
이때, 미꾸리 치어는 한 마리당의 평균무게가 1~7g인 것을 방양시킴으로써, 양식장 내에 활동 중인 미꾸리의 먹이인 물벼룩, 실지렁이, 곤충의 유충 또는 장구벌레 등을 잡아 먹을 수 있을 정도로 성장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방양되는 미꾸리 치어의 밀집도는 경작지(10) 1m2의 면적당 20~100마리의 개체수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미꾸리 치어의 개체수가 경작지(10) 1m2의 면적당 100마리를 초과하면, 미꾸리가 치어일 때는 문제없으나, 미꾸리 치어가 성장하여 산란하게 되면(대략 모내기 단계(S10)를 4월 중순에 하고 미꾸리 치어를 방양하면, 약 6~8월부터 성어가 되어 산란 가능해짐.), 산란된 미꾸리 치어에 의하여 양식장 내의 미꾸리 개체수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게 되어 경작지(10)에 대한 미꾸리의 밀집도가 지나치게 높아, 미꾸리의 성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20마리 미만이면, 미꾸리 개체수가 지나치게 적어 미꾸리 양식의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 내의 개체수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성장단계(S40)는 상기 치어방양단계(S30) 처리된 미꾸리 양식장의 수온이 40~45℃를 초과하지 않도록 유지하고, 7~13일 간격으로 경작지(10) 1m2의 면적당 300~600g의 비율로 요소비료, 유안비료 또는 유기질 복합비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대체먹이를 주며 미꾸리를 키우는 과정으로서, 한 마리당의 평균무게가 1~7g인 미꾸리 치어를 한 마리당 20~30g의 무게를 갖는 미꾸리 성어로 키우는 과정이고, 출어단계(S50)는 상기 성장단계(S40) 처리되어 키워진 미꾸리 한 마리당의 평균무게가 20~30g이 된 후 출어하는 과정이다.
구체적으로, 미꾸리는 4~9월 사이에 경작지(10)의 경작용수(100)가 약 15~39℃의 온도를 유지하면, 미꾸리 성어로 자란다. 이때, 미꾸리는 6~8월 정도에 산란을 시작하여 미꾸리 치어도 생산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치어방양단계(S30)에서 양식장에 투입된 미꾸리 치어는 성장단계(S40)에서 성장하여 미꾸리 성어가 될 뿐만 아니라, 미꾸리 치어를 번식하여 성장단계(S40)의 이후에 수행되는 출어단계(S50)(경작된 벼를 수확하는 시점과 대응하는 시점)에는 미꾸리 성어와 미꾸리 치어를 모두 출어가능하다.
이때, 출어단계(S50)에서의 한 마리당의 평균무게가 20~30g인 미꾸리 성어는 판매용으로 이용가능하고, 성장단계(S40)에서 산란되어 성장한 한 마리당의 평균무게가 1~7g인 미꾸리 치어는 별도의 양식시설에서 더 키운 후, 성어로 출어되거나, 이듬해 본 발명에 의한 미꾸리 양식장을 이용한 미꾸리 양식방법에 의하여 다시 양식가능하다.
더불어 미꾸리 양식장의 경작용수(100)의 수온이 약 40~45℃를 초과하면, 미꾸리가 지나치게 뜨거운 수온에 의하여 폐사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성장단계(S40)의 경작용수(100) 수온은 40~45℃를 초과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성장단계(S40)에서 양식장에 투입되는 대체먹이는 상기 대체먹이 살포단계(S20)에서 경작지(10)에 살포되는 대체먹이와 동일한 것을 이용하고, 경작지(10)에 투입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일정의 면적을 갖는 경작지(10)의 다수 곳에 대체먹이가 담겨진 망을 경작용수(100)에 담가 주는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성장단계(S40)에서의 대체먹이의 양은 대체먹이가 7~13일 간격을 기준하여, 경작지(10) 1m2의 면적당 300~600g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대체먹이의 양이 300g 미만이면, 식물성 플랑크톤의 증식속도가 미흡하여 소동물의 번식이 늦어지고, 그로 인하여 미꾸리의 먹이가 부족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대체먹이의 양이 600g을 초과하면, 식물성 플랑크톤의 증식이 지나치게 활성화되어 경작용수(100)의 녹조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대체먹이에 포함된 유기질 복합비료에 의하여 부영향화 현상이 지나치게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성장단계(S40) 처리 시의 일조량과 기온에 따라 상기 범위 내에서 대체먹이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체먹이가 요소비료와 유안비료만의 일정 혼합으로 이루어진 경우 또는 유기질 복합비료만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따라, 경작지(10) 1m2의 면적당 주어지는 대체먹이의 양은 상기 대체먹이 살포단계(S20)의 경우와 동일하게 처리가능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대체먹이 살포단계(S20)의 설명으로 대신하겠다.
상기 초반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미꾸리 양식장은 벼농사와 미꾸리 양식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미꾸리 양식장이면, 어떠한 구성을 하여도 무방하나, 본 발명에 의한 미꾸리 양식장은 벼를 경작하고, 미꾸리는 양식하는 경작지(10)와; 상기 경작지(10)의 사방을 둘러싸고, 일측에는 경작용수(100)를 경작지(10)로 공급하는 입수로(21)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경작지(10) 내의 경작용수(100)를 배수하는 배수로(22)가 설치되며, 경작지(10)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논둑(20)과; 상기 경작지(10)의 사방을 둘러싸는 형태로 경작지(10)와 논둑(20)의 사이에 설치되고, 30~100cm의 폭을 가지고 경작지(10)의 상부면에서 30~50cm의 깊이로 파여 설치되는 외부수로(30)와; 상기 경작지(10)의 내부에 30~100cm의 폭을 가지고 경작지(10)의 상부면에서 30~50cm의 깊이로 파여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내부수로(40)와; 상기 경작지(10)의 사방을 둘러싸는 형태로 논둑(20)과 외부수로(30)의 사이에 설치되되, 경작지(10)의 상부면에서 지상으로 90~170cm의 높이로 설치되는 지상차단막(50)과 경작지(10)의 상부면에서 지하로 60~90cm의 깊이로 설치되는 지하차단막(60)으로 구성되는 차단막과; 상기 지상차단막(50)과 체결되고, 논둑(20)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지상차단막(50)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경작지(10)는 벼를 경작하고, 미꾸리를 양식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일반적인 논의 형태와 같이 쟁기가 장착된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를 이용하여 간 후, 배토기를 이용하여 흙을 배토하고, 써레질하여 이앙할 수 있는 상태의 땅이다.
또한 논둑(20)은 상기 경작지(10)의 사방을 둘러싸고, 일측에는 경작용수(100)를 경작지(10)로 공급하는 입수로(21)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경작지(10) 내의 경작용수(100)를 배수하는 배수로(22)가 설치되며, 경작지(10)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구성으로서, 경작지(10)의 외부의 물이 경작지(10) 내로 유입되거나 경작지(10) 내부에 수용된 경작용수(100)가 경작지(1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아울러 논둑(20)은 경작지(10)의 사방을 둘러싸는 형태를 가지며 경작지(10)를 폐쇄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길이는 조성되는 경작지(10)의 사방을 둘러쌀 수 있을 정도를 갖고, 폭은 경작용수(100)의 유량에 의하여 논둑(20)이 무너지지 않고 작업자가 양식장을 관리하기 위하여 보행할 수 있을 정도의 다양한 폭을 가질 수 있으나 30~60cm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높이는 논둑(20)의 상부면이 경작지(10)의 상부면보다 30~40cm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논둑(20)의 일측에 설치되는 입수로(21)는 경작지(10) 내로 경작용수(100)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논둑(20)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논둑(2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고 경작용수(100)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조절수단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때, 유량조절수단은 경작용수(100)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면 일반적인 것을 이용가능하고, 유량조절수단의 유로를 통하여 경작지(10)로 유입되는 경작용수(100)와 함께 미꾸리를 포식하는 설치류 또는 수달 등의 포식자가 경작지(10)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로에 그물망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입수로(21)는 경작지(10)로의 경작용수(100) 공급을 빠르게 수행하기 위하여, 논둑(20)의 일측에 해당하는 다수의 부분에 다수 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경작지(10) 내의 경작용수(100)를 배수하는 배수로(22)는 입수로(21)와 반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논둑(20)의 타측 일부분을 절개하여 논둑(2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고 유량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배수로(22)가 설치되는 논둑(20)의 타측은 입수로(21)가 설치되는 논둑(20)의 일측보다 더 낮은 지평면을 갖는 부분이 되어야 할 것은 자명할 것이고, 배수로(22)는 경작지(10) 내의 경작용수(100)를 논둑(20)의 외부에 있는 대배수로(110)로 보다 빠르게 배수하기 위하여 논둑(20)의 타측에 해당하는 다수의 부분에 다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배수로(22)에 설치되는 유량조절수단에는 경작용수(100)의 배수시에 유량조절수단의 유로를 통하여 포식자가 경작지(10)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로에 그물망을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외부수로(30)는 도 2와 같이 상기 경작지(10)의 사방을 둘러싸는 형태로 경작지(10)와 논둑(20)의 사이에 설치되고, 30~100cm의 폭을 가지고 경작지(10)의 상부면에서 30~50cm의 깊이로 파여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미꾸리 양식 기간에는 미꾸리가 서식할 수 있는 서식지 역할을 하고, 출어시에는 경작지(10)에서 서식중인 미꾸리를 모으는 기능을 수행한다.
미꾸리는 논, 얕은 저수지 또는 도랑의 진흙 바닥으로 물의 흐름이 적은 곳에 서식하는 소형 온수성 어류로서, 수중 바닥을 기어다니며 소동물, 조류 또는 잡초의 종자 등과 같은 먹이를 먹고 사는 잡식성 어류이고, 수온이 약 10℃ 이상이 되면 먹이 활동이 시작되며, 수온이 약 30℃가 넘으면 반대로 식욕이 감퇴하여 대개 진흙 속에 몸을 감추는 특성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외부수로(30)는 도 3과 같이 경작지(10)의 상부면에서 30~50cm의 깊이로 파여 형성되기 때문에, 여름에 경작지(10)에 수용된 경작용수(100)의 수온에 비하여 외부수로(30)에 수용된 경작용수(100)의 수온이 더 낮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여, 여름에 경작지(10)의 수온이 약 30℃ 이상으로 상승하면 미꾸리가 경작지(10)에서 포식활동을 하며 서식하다가 외부수로(30)로 이동하여 포식활동을 하며 서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외부수로(30)의 깊이가 30cm미만이면 외부수로(30)의 깊이가 지나치게 낮아 외부수로(30)의 깊이를 이용한 수온하강 효과가 미미하여 미꾸리를 경작지(10)에서 외부수로(30)로 이동시키는 효과가 미약한 문제가 발생하고, 50cm를 초과하면 수온하강 효과는 우수해지나 경작지(10)로의 작업자의 출입이 불편하고, 미꾸리 출하시에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 내의 외부수로(30) 깊이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수로(30)의 폭이 30cm미만이면 외부수로(30)의 경작용수(100) 수용량이 적어져 외부수로(30)에 수용된 경작용수(100)의 수온하강 효과가 미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100cm를 초과하면, 경작지(10)로의 작업자의 출입과 벼 수확시의 농기계 출입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 내의 외부수로(30) 폭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경작지(10)의 상부면보다 깊게 파인 외부수로(30)는 상기의 효과 이외에도 성어가 된 미꾸리의 출하를 위한 포획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작업자가 미꾸리 포획을 위하여 양식장에 수용된 경작용수(100)를 경작지(10)의 상부면 이하가 되도록 배출시키면, 경작지(10)에서 서식하고 있던 미꾸리는 경작용수(100)의 흐름에 의한 이동성과 생존성 확보를 위한 이동성으로 인하여 외부수로(3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작업자는 외부수로(30)로 이동하여 밀집된 미꾸리를 그물 또는 통발과 같은 포획수단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다.
또한 내부수로(40)는 도 1과 같이 상기 경작지(10)의 내부에 30~100cm의 폭을 가지고 경작지(10)의 상부면에서 30~50cm의 깊이로 파여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외부수로(30)의 기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경작지(10) 내에 설치하는 구성이다.
즉, 경작지(10)는 일반적인 논의 경작지(10)와 같이 벼가 심어질 수 있도록 판판한 상태로 일정의 면적을 가진다. 또한 경작지(10) 내에서 서식하는 미꾸리는 경작지(10)의 어떠한 위치에도 서식 가능하기 때문에, 여름에는 경작지(10)의 중앙 쪽에 서식하는 미꾸리가 경작지(10)에 수용된 경작용수(100)의 상승된 수온을 피하여 외부수로(30)로 다소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본 발명에 의한 내부수로(40)는 경작지(10) 내부에 경작지(10)보다 깊은 깊이를 가지며 하나 이상 설치되어, 경작지(10)에서 서식하는 미꾸리가 상승된 수온을 피하여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내부수로(40)는 성어가 된 미꾸리를 출하하기 위하여 포획할 때, 경작용수(100)를 배수함으로써 미꾸리를 경작지(10)에서 내부수로(40)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여, 미꾸리 포획시에 경작지(10) 내에 미꾸리가 남아있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작업자가 경작지(10)에서 내부수로(40)로 이동한 미꾸리를 용이하게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경작지(10)의 내부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내부수로(40)는 외부수로(30)와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내부수로(40)의 깊이는 외부수로(30)의 깊이와 동일하게 30~50cm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외부수로(30)보다 얕은 깊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미꾸리 포획을 위한 경작용수(100) 배수시에 미꾸리가 경작지(10)에서 내부수로(40)로, 내부수로(40)에서 외부수로(30)로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더불어 경작지(10)의 내부에 구성되는 내부수로(40)는 도 6와 같이 대각형(a), 교차형(b), Y자형(c), 장평행형(d), 단평행형(e) 또는 격자형(f) 등의 형태로 구성하여, 경작용수(100)의 공급성과 배수성, 미꾸리의 포획 용이성 또는 벼농사의 생산성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도 7과 같이 경작용수(100)를 공급하는 입수로(21)가 위치되는 경작지(10)의 일측 일부분(B)은 내부수로(40)를 따라 이동하는 경작용수(100)의 유량을 빠르게 하여 경작지(10) 전체로의 경작용수(100) 공급성이 우수한 Y자형의 내부수로(40)를 구성하고(이때, 입수로(21)는 Y자형 내부수로(40)의 상부 양쪽에 위치된 상태임.), 경작지(10)의 중간 일부분(C)은 Y자형 내부수로(40)의 하부와 연통되는 내측 내부수로(40)를 갖는 격자형 내부수로(40)로 구성하여 벼농사의 생산성을 높이도록 구성하며, 경작지(10)의 타측 일부분(D)은 경작지(10)의 일측 일부분과 대칭되는 형태의 Y자형 내부수로(40)를 구성(이때, 배수로(22)는 Y자형 내부수로(40)의 상부 양쪽에 위치된 상태이고, Y자형의 하부는 격자형 내부수로(40)의 내측 내부수로(40)와 연통되는 상태임.)하여 경작용수(100)의 배수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복합영농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아울러 차단막은 경작지(10)의 사방을 둘러싸는 형태로 논둑(20)과 외부수로(30)의 사이에 설치되되, 경작지(10)의 상부면에서 지상으로 90~170cm의 높이로 설치되는 지상차단막(50)과 경작지(10)의 상부면에서 지하로 60~90cm의 깊이로 설치되는 지하차단막(6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상차단막(50)은 양식장 외부에서 경작지(10) 내부로의 설치류 또는 수달 등의 포식자의 출입을 차단하고, 지하차단막(60)은 외부수로(30)에서 논둑(20)의 지하로 미꾸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차단막은 일반적인 양식장의 그물형 차단망과 다르게 통기공이 구성되지 아니한 형태로 구성되어, 지상차단막(50)은 포식자가 이빨로 그물형 차단망을 끊을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지하차단막(60)은 미끄러운 점액이 표피에 분포된 미꾸리가 논둑(20)을 관통하지 원천적으로 관통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구체적으로, 지상차단막(50)과 지하차단막(60)은 일체의 차단막으로 구성되어 하부 일부분은 지하로 매설되고 상부 일부분은 지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차단막으로 구성되어 지하차단막(60)의 상부와 지상차단막(50)의 하부가 서로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이때, 지하차단막(60)의 상부와 지상차단막(50)의 하부 간의 체결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적절하게 구성가능하나, 체결과 분리가 용이할 수 있도록 벨크로를 지하차단막(60)의 상부와 지상차단막(50)의 하부에 각각 구비시켜 벨크로에 의한 체결력으로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지하차단막(60)은 지하에 매설되는 구성이므로 토양의 오염을 줄이기 위하여 1~3년 정도의 기간에 자연분해가능한 분해성 재질로 제조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지상차단막(50)은 경작지(10) 내로의 포식자 출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경작지(10)의 사방을 둘러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일정의 길이로 구성되고, 경작지(10)의 상부면에서 지상으로 90~170cm의 높이를 가져, 포식자가 지상차단막(50)의 상부로 넘어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상차단막(50)의 높이가 90cm미만이면, 일반적인 포식자가 지상차단막(50)을 쉽게 넘어들어올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고, 170cm를 초과하면, 지상차단막(50)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아 지상차단막(50)에 의하여 생기는 지나치게 큰 그늘에 의하여 벼농사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 내의 지상차단막(50) 높이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상차단막(50)은 논둑(20)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지상차단막(50)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70)에 체결되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지대(70)는 일반적인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의 것을 이용가능하다. 아울러 지지대(70)의 간격은 이용되는 지상차단막(50)의 무게, 길이 또는 바람의 정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가능하다.
아울러 지하차단막(60)은 경작지(10)의 상부면에서 지하로 60~90cm의 깊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매설 깊이가 60cm미만이면, 습성에 의하여 땅을 파고들어가는 미꾸리가 외부수로(30)에서 논둑(20)을 관통하여 양식장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90cm을 초과한 깊이로 매설되면, 지하차단막(60)의 매설작업이 어려워지고 양식장의 해체시에 지하차단막(60)을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 내의 매설 깊이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본 발명은 지하차단막(60)의 지하 쪽 말단 일부분을 경작지(10)의 중앙방향으로 꺾으며 매설하고, 지하차단막(60)의 지하 쪽 말단에는 지하차단막(60)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목재(61)와 체결되도록 구성하여, 지하차단막(60) 매설의 용이성과 매설된 지하차단막(60)의 견고성을 실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지하차단막(60)을 외부수로(30)와 논둑(20) 사이에 매설하는 방법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경작지(10)와 논둑(20)의 사이를 60~90cm의 깊이로 경작지(10)의 사방에 해당하는 부분을 파고, 지하차단막(60)의 일측 말단에 지하차단막(60)의 길이방향(논둑(20)의 길이방향과 동일함.)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목재(61)를 체결시켜, 목재(61)가 체결된 지하차단막(60)의 일측 말단을 지하 쪽 방향으로 인입시킨 후, 파낸 부분에 흙을 다시 채워넣어 처리할 수 있다.
이때, 목재(61)는 흙을 파낸 부분에 지하차단막(60)을 인입시켰을 때, 지하차단막(60)을 아래로 잡아당기는 추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여 흙을 파낸 부분에 채워넣을 때 지하차단막(60)이 구겨짐 없이 펼쳐진 상태로 매설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고, 지하차단막(60)이 매설된 이후에는 지상차단막(50)과 연결된 상태에서 지상차단막(50)에 가해질 수 있는 인발력(바람에 의한 흔들림에 의한 인발력 또는 지상차단막(50)을 지지대(70)에 고정시킬 때 발생할 수 있는 인발력)에 의하여 지하차단막(60)이 지상방향으로 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아울러 지하차단막(60)의 일측 말단에 체결된 목재(61)는 자연상태에서 썩을 수 있기 때문에, 양식장을 해체하더라고 자연환경을 손상시키지 않는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4~9월 중에 벼농사와 함께 양식되는 미꾸리의 생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경작지(10)에 수용된 경작용수(100)의 수온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외부수로(30)와 내부수로(40)에 복수 개의 지하수공급관(80)을 등간격으로 설치하고, 지하수공급관(80)을 통하여 양식장의 외부에 관정되어 공급되는 지하수를 경작지(10)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가능하다.
즉, 미꾸리는 수온이 약 30℃가 넘으면 식욕이 감퇴하고, 수온이 약 40~45℃ 를 초과하면 폐사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벼가 심어진 경작지(10)의 경작용수(100) 수온은 한여름에 약 40~45℃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지하수공급관(80)에서 공급되는 지하수(일반적으로 13~15℃의 수온을 가짐.)를 이용하여 경작지(10) 내부 경작용수(100)의 수온을 하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지하수공급관(80)을 등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하는 것은 경작지(10) 내의 수온을 빠른 시간 안에 하강시키기 위함이고, 어느 하나의 지하수공급관(80)(지하수공급관(80)의 배출구)과 인접된 지하수공급관(80)(지하수공급관(80)의 배출구) 간의 간격은 경작지(10)의 면적에 따라 당업자가 자유롭게 조절가능하다.
더불어 지하수공급관(80)을 통하여 양식장의 외부에서 공급되는 지하수는 양식장 관리자에 의하여 공급여부와 공급량을 조절될 수도 있고, 양식장에 설치된 수온감지센서에 의하여 수온정보 신호를 전달받은 마이컴에 의하여 수온을 분석하고, 분석된 수온정보가 한계수온(약 40~45℃) 이상으로 상승하면, 마이컴이 지하수 공급 펌프를 가동시켜 지하수공급관(80)을 통하여 경작지(10)에 지하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미꾸리 양식장을 제작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미꾸리 양식장 제작방법은 경작지(10)의 사방을 둘러싸는 형태로, 경작지(10)와 논둑(20) 사이를 경작지(10)의 상부면에서 지하방향으로 60~90cm 깊이로 파고, 차단막을 설치한 후, 지하차단막(60)을 매설하는 지하차단막 설치단계(S100)와; 농기계를 이용하여 경작지(10)를 간 후, 배토하면서 경작지(10)의 내부에 30~100cm의 폭과 경작지(10)의 상부면에서 30~50cm의 깊이를 가지는 내부수로(40)를 만드는 내부수로 설치단계(S200)와; 상기 내부수로 설치단계(S200) 처리된 경작지(10)와 논둑(20)의 사이에 30~100cm의 폭과 경작지(10)의 상부면에서 30~50cm의 깊이를 가지는 외부수로(30)를 경작지(10)의 사방을 둘러싸는 형태로 만드는 외부수로 설치단계(S300)와; 상기 외부수로 설치단계(S300) 처리된 경작지(10)를 농기계를 이용하여 써레질하며 내부수로(40)와 외부수로(30)의 형태를 다시 만드는 써레질 단계(S400)와; 상기 써레질 단계(S400) 처리된 경작지(10)의 사방에 위치된 논둑(20)과 외부수로(30) 사이에 지지대(70)를 등간격으로 설치하고, 지하차단막 설치단계(S100)에서 설치된 지하차단막(60)과 연계하여 지상차단막(50)을 경작지(10)의 상부면에서 지상으로 90~170cm의 높이로 설치하는 지상차단막 설치단계(S500);를 포함하여 제작된다.
즉, 지하차단막 설치단계(S100)는 경작지(10)의 사방을 둘러싸는 형태로, 경작지(10)와 논둑(20) 사이를 경작지(10)의 상부면에서 지하방향으로 60~90cm 깊이로 파고, 차단막을 설치한 후, 지하차단막(60)을 매설하는 과정으로서, 농기계 또는 굴삭기를 이용하여 경작지(10)의 사방을 둘러싸는 형태로 경작지(10)와 논둑(20) 사이를 판 후, 지하차단막(60)을 설치하여 경작지(10) 또는 외부ㆍ내부수로(40)를 조성하기 이전에 경작지(10)의 외측 사방에 지하차단막(60)을 설치하기 위한 과정이다.
즉, 경작지(10)를 조성한 이후에 지하차단막(60)을 설치하면, 지하차단막(60) 설치시에 이용되는 농기계 또는 굴삭기 등과 같은 장비에 의하여 판판해야 하는 경작지(10) 또는 외부ㆍ내부수로(40)가 망가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지하차단막(60) 설치 공정을 제일 먼저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지하차단막(60)이 지상차단막(50)과 일체의 차단막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지하차단막(60)을 땅을 파낸 부분에 인입시킨 후 파낸 흙을 다시 매설하는 과정, 하기 내부수로 설치단계(S200), 하기 외부수로 설치단계(S300) 또는 써레질 단계(S400)에서 지상차단막(50) 부분이 다양한 장비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지상차단막(50) 부분을 접어둔 상태로 작업할 할 수 있다.
더불어 지하차단막(60)의 구성 및 효과는 상기의 지하차단막(60)에 관한 설명으로 대신하겠다.
아울러 내부수로 설치단계(S200)는 농기계를 이용하여 경작지(10)를 간 후, 배토하면서 경작지(10)의 내부에 30~100cm의 폭과 경작지(10)의 상부면에서 30~50cm의 깊이를 가지는 내부수로(40)를 만드는 과정으로서,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대각형(a), 교차형(b), Y자형(c), 장평행형(d), 단평행형(e) 또는 격자형(f)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구성 구성가능하다.
즉, 농기계를 이용하여 경작지(10)를 가는 과정은 농기계에 장착된 쟁기를 이용하여 경작지(10)에 해당하는 부분의 논을 일정 깊이로 갈아엎는 과정으로서, 일반적인 논갈이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된다. 또한 배토과정은 갈아진 경작지(10)에 일정량의 경작용수(100)를 공급한 후, 농기계에 장착된 배토기(로터리)를 이용하여 갈아진 흙을 고르고 판판하게 하는 과정으로서, 일반적인 배토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된다.
아울러 30~100cm의 폭과 경작지(10)의 상부면에서 30~50cm의 깊이를 가지는 내부수로(40)를 만드는 과정은 배토작업의 후반부에 수행하는 과정으로서, 배토기의 어느 한쪽 이상의 측면에 고랑(내부수로(40)의 깊이)을 만들 수 있는 고랑형성장치(미도시)를 장착하여, 배토하며 내부수로(40)를 만든다. 이때, 내부수로(40)의 폭과 깊이는 상기에서 설명한 범위 내로 유지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외부수로 설치단계(S300)는 상기 내부수로 설치단계(S200) 처리된 경작지(10)와 논둑(20)의 사이에 30~100cm의 폭과 경작지(10)의 상부면에서 30~50cm의 깊이를 가지는 외부수로(30)를 경작지(10)의 사방을 둘러싸는 형태로 만드는 과정으로서, 상기 내부수로 설치단계(S200)에서 내부수로(40)를 만든 후, 고랑형성장치가 장착된 배토기를 구비하는 농기계를 이용하여 배토작업을 수행하며 경작지(10)와 논둑(20)의 사이에 외부수로(30)를 만드는 과정이다.
즉,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는, 외부수로 설치단계(S300)는 별도의 작업과정으로 분류되었지만, 현장작업 시에는 내부수로(40)를 만든 직후 동일한 장비를 이용하여 배토작업을 진행하며 고랑형성장치가 장착된 배토기를 구비하는 농기계로 내부수로(40)를 만드는 과정이다.
이때, 당업자는 내부수로 설치단계(S200)와 외부수로 설치단계(S300)의 순서를 바꾸어 수행가능하나, 외부수로(30)를 먼저 만들면, 내부수로(40) 설치과정 시에 이동하는 농기계로 인하여 먼저 만들어진 외부수로(30)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경작지(10)의 안쪽 부분에 위치되는 내부수로(40)부터 만들고, 경작지(10)의 바깥쪽 부분에 위치되는 외부수로(30)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외부수로(30)의 폭과 깊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외부수로(30)에 관한 설명으로 대신하겠다.
또한 써레질 단계(S400)는 상기 외부수로 설치단계(S300) 처리된 경작지(10)를 농기계를 이용하여 써레질하며 내부수로(40)와 외부수로(30)의 형태를 다시 만드는 과정으로서, 경작지(10)의 상부면을 더욱 판판하게 고르는 과정이다. 써레질 단계(S400) 역시 경작지(10)에 경작용수(100)를 일정량 공급하고, 배토기와 써레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방법으로 수행가능하다.
단, 본 발명은 경작지(10)의 내부에 내부수로(40)가 파여 지고, 경작지(10)의 외측에 외부수로(30)가 파여진 상태이므로, 써레질 시에 내부수로(40) 외부수로(30)에 흙이 최대한 덜 인입될 수 있도록 농기계를 운전해야 하고, 써레질 단계(S400)의 후반부에는 고랑형성용 관리기(농기계)를 이용하거나 수작업으로 내부수로(40)와 외부수로(30)에 인입된 흙을 다시 경작지(10)로 끌어올려 내부수로(40)와 외부수로(30)의 형태를 다시 만드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지상차단막 설치단계(S500)는 상기 써레질 단계(S400) 처리된 경작지(10)의 사방에 위치된 논둑(20)과 외부수로(30) 사이에 지지대(70)를 등간격으로 설치하고, 지하차단막 설치단계(S100)에서 설치된 지하차단막(60)과 연계하여 지상차단막(50)을 경작지(10)의 상부면에서 지상으로 90~170cm의 높이로 설치하는 과정으로서, 설치류 또는 수달 등의 포식자가 경작지(10)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막을 설치하는 과정이다.
이때, 지지대(70)는 지상차단막(50)이 고정체결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흔들리거나 뽑히지 않도록 논둑(20)에 일정 깊이 박아 세우고, 지상차단막(50)과 지지대(70)는 고정쇠 또는 철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체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하차단막(60)과 지상차단막(50)이 일체의 것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지상으로 노출된 지하차단막(60)을 펼쳐 지상차단막(50)으로 형성시킨 후 지지대(70)에 고정체결하고, 지하차단막(60)과 지상차단막(50)이 별도의 것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지하차단막(60)의 상부와 지상차단막(50)의 하부를 서로 고정체결시키며 지상차단막(50)을 지지대(70)에 고정체결시킨다.
아울러 지상차단막(50)의 설치 높이는 상기 지상차단막(50)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으로 대신하겠고,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지상에 설치되는 차단막의 높이를 더 높게 설정해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지상차단막(50)과 같이 통기공이 없는 차단막보다는 그물과 같은 보조차단망(90)을 지상차단막(50)의 상부와 연결하여 지지대(70)에 고정체결시킬 수도 있다. 이때, 보조차단망(90)은 다수의 통기공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경작지(10)에 드리우는 그늘의 면적을 줄일 수 있고, 바람에 의한 외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으며 포식자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경작지(10)의 지상 사방을 둘러싸는 지상차단막(50)의 일측에는 양식장 관리자가 양식장 내로 출입할 수 있도록 문을 설치해야함은 자명할 것이다.
다음은 미꾸리 양식장을 이용한 본 발명에 의한 미꾸리 양식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단, 실시예는 전라북도 남원시에 위치한 시험장에서 4월 15일에서 9월 15일까지 실시한 것이다.
Ⅰ. 미꾸리 양식장 제작
1. 지하차단막 설치단계
1,000m2의 넓이를 갖는 경작지의 사방을 둘러싸는 형태로, 경작지와 논둑 사이를 경작지의 상부면에서 지하방향으로 70cm 깊이로 파고, 일측 하단에 목재가 길이방향으로 체결된 차단막(논둑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고, 190cm의 폭을 가짐.)을 파낸 부분에 인입시킨 후, 파낸 흙을 다시 매설한다.
2. 내부수로 설치단계
쟁기가 장착된 트랙터를 이용하여 경작지를 간 후, 입수로를 통하여 경작용수를 경작지에 공급하고, 트랙터에 고랑형성장치가 구비된 배토기를 장착하여 경작지를 로터리(배토) 치면서 경작지의 내부에 60cm의 폭과 경작지의 상부면에서 40cm의 깊이를 가지는 내부수로를 격자형으로 만든다.
3. 외부수로 설치단계
상기 내부수로 설치단계에 이어, 트랙터를 이용하여 경작지와 논둑의 사이에 60cm의 폭과 경작지의 상부면에서 40cm의 깊이를 가지는 외부수로를 경작지의 사방을 둘러싸는 형태로 만든다.
4. 써레질 단계
상기 외부수로 설치단계 처리된 경작지를 트랙터를 이용하여 써레질하고, 경작지 내부에 만들어진 내부수로와 경작지와 논둑 사이에 만들어진 외부수로를 다시 정비한다.
5. 지상차단막 설치단계
상기 써레질 단계 처리된 경작지의 사방에 위치된 논둑과 외부수로 사이(경작지를 기준하여 지하차단막의 외측에 해당하는 논둑의 부분)에 지지대를 3m 간격으로 설치하고, 지하차단막 설치단계에서 설치된 지하차단막이 상단부분인 120cm를 지지대에 고정시켜 지상차단막을 설치완료하며, 자상차단막 일측 부분에 출입구를 만든다.
Ⅱ. 모내기 단계
상기 Ⅰ. 미꾸리 양식장 제작에서 만들어진 양식장의 경작지에 모내기를 한다.
Ⅲ. 대체먹이 살포단계
모내기 단계 처리된 미꾸리 양식장에 요소비료(삼성정밀화학, 요소(질소질)) 1kg, 유안비료((주)남해화학, 수퍼알알이) 1kg 및 유기질 복합비료(KG케미칼, 참사대) 400kg이 혼합된 대체먹이 중 400kg을 양식장의 경작지 1m2의 면적당 400g의 비율로 경작지에 고르게 살포한다.
Ⅳ. 치어방양단계
상기 대체먹이 살포단계 처리된 7일 이후, 양식장에 한 마리당의 평균무게가 3~4g인 미꾸리 치어를 경작지 1m2의 면적당 30마리의 개체수로 방양한다.
Ⅴ. 성장단계
상기 치어방양단계 처리된 양식장의 수온이 낮에 40~45℃를 초과하지 않도록 유지하고(수온이 40~45℃를 초과를 초과하면, 지하수를 경작지에 공급하여 수온을 하강시킴.), 10일 간격으로 경작지 1m2의 면적당 400g의 비율로 상기 Ⅲ. 대체먹이 살포단계와 동일한 조성으로 만들어진 대체먹이를 주며 미꾸리를 키운다.
Ⅵ. 출어단계
상기 성장단계 처리를 수행하며 정기적으로 미꾸리의 무게를 측정하고, 키워진 미꾸리 한 마리당의 평균무게가 25g이 되면, 내부수로와 외부수로에 다수 개의 통발을 설치하고, 양식장의 배수로를 열어 경작용수를 내부수로의 상단부분(경작지의 상부면)까지 서서히 뺀 후, 성어가 된 미꾸리를 포획한다. 이때, 평균무게가 25g의 미꾸리는 다시 미꾸리 양식장에 방양시키거나, 포획하여 별도의 양식장에 방양시킨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경작지 20 : 논둑
21 : 입수로 22 : 배수로
30 : 외부수로 40 : 내부수로
50 : 지상차단막 60 : 지하차단막
61 : 목재 70 : 지지대
80 : 지하수공급관 90 : 보조차단망
100 : 경작용수 110 : 대배수로
S10 : 모내기 단계 S20 : 대체먹이 살포단계
S30 : 치어방양단계 S40 : 성장단계
S50 : 출어단계
S100 : 지하차단막 설치단계 S200 : 내부수로 설치단계
S300 : 외부수로 설치단계 S400 : 써레질 단계
S500 : 지상차단막 설치단계

Claims (4)

  1. 삭제
  2. 벼를 경작하고, 미꾸리를 양식할 수 있는 논 경작지를 이용한 미꾸리류의 생태양식방법에 있어서,
    미꾸리 양식장의 경작지(10)에 이앙하는 모내기 단계(S10)와; 모내기 단계(S10) 처리된 미꾸리 양식장에 요소비료, 유안비료 또는 유기질 복합비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대체먹이를 미꾸리 양식장의 경작지(10) 1m2의 면적당 300~600g의 비율로 경작지(10)에 살포하는 대체먹이 살포단계(S20)와; 상기 대체먹이 살포단계(S20) 처리된 미꾸리 양식장에 한 마리당의 평균무게가 1~7g인 미꾸리 치어를 경작지(10) 1m2의 면적당 20~100마리의 개체수로 방양하는 치어방양단계(S30)와; 상기 치어방양단계(S30) 처리된 미꾸리 양식장의 수온이 40~45℃를 초과하지 않도록 유지하고, 7~13일 간격으로 경작지(10) 1m2의 면적당 300~600g의 비율로 요소비료, 유안비료 또는 유기질 복합비료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대체먹이를 주며 미꾸리를 키우는 성장단계(S40)와; 상기 성장단계(S40) 처리되어 키워진 미꾸리 한 마리당의 평균무게가 20~30g이 된 후 출어하는 출어단계(S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대체먹이는 유기질 복합비료 : 요소비료 : 유안비료의 혼합비가 100 : 0.3~2 : 0.3~2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유기질 복합비료는 골분, 어분, 계분, 미강 또는 가축분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 경작지를 이용한 미꾸리류의 생태양식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130046475A 2013-04-26 2013-04-26 논 경작지를 이용한 미꾸리류의 생태양식방법 KR101322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475A KR101322266B1 (ko) 2013-04-26 2013-04-26 논 경작지를 이용한 미꾸리류의 생태양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475A KR101322266B1 (ko) 2013-04-26 2013-04-26 논 경작지를 이용한 미꾸리류의 생태양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2266B1 true KR101322266B1 (ko) 2013-10-28

Family

ID=49639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6475A KR101322266B1 (ko) 2013-04-26 2013-04-26 논 경작지를 이용한 미꾸리류의 생태양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266B1 (ko)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2940A (zh) * 2014-02-20 2014-05-14 浙江海洋学院 一种循环混合型稻田养殖方法
CN103891659A (zh) * 2014-04-15 2014-07-02 嘉善县净水渔业种苗基地(普通合伙) 池塘鱼稻共生饲养塘鳢鱼的方法
CN104137750A (zh) * 2014-07-21 2014-11-12 安徽绿源渔业科技有限公司 一种稻茬麦泥鳅综合种养方法
CN104335937A (zh) * 2014-08-08 2015-02-11 襄阳远丰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台湾泥鳅的繁育方法
CN105064737A (zh) * 2015-08-28 2015-11-18 固镇县绿禾家庭农场 一种集稻鳅畜于一体的立体化养殖方法
CN105210937A (zh) * 2014-10-18 2016-01-06 颍上县永祥旱粮研究所 一种泥鳅生态养殖方法
CN105475197A (zh) * 2015-12-19 2016-04-13 太和县顺发养殖有限公司 一种泥鳅苗孵化培育方法
CN105532342A (zh) * 2015-12-31 2016-05-04 淮安市苏泽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稻田有机生态养殖系统
CN105594636A (zh) * 2015-12-19 2016-05-25 太和县顺发养殖有限公司 一种优质泥鳅高效的人工养殖方法
CN105613366A (zh) * 2015-12-19 2016-06-01 太和县顺发养殖有限公司 一种泥鳅高效催产方法
CN106172101A (zh) * 2016-07-10 2016-12-07 龙南源头活水生态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月鳢仿生态繁殖与健康高效养殖方法
CN108901951A (zh) * 2018-08-01 2018-11-30 四川省农业科学院水产研究所 一种中华沙鳅的养殖方法
CN110169381A (zh) * 2019-06-26 2019-08-27 广西维天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虾稻共作的生态养殖方法
KR20200069039A (ko) 2018-12-06 2020-06-16 유병화 틸라피아 논 생태 양식 시스템
CN111374071A (zh) * 2019-12-05 2020-07-07 孙景林 一种稻田养殖泥鳅的生态种养方法
KR20200123528A (ko) 2019-04-22 2020-10-30 김정대 미꾸라지치어 생산용 양식장
CN112450013A (zh) * 2020-10-23 2021-03-09 安徽公牛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稻虾、水稻、泥鳅生态种植田
KR102261998B1 (ko) 2020-12-29 2021-06-08 전라북도 남원시(남원시농업기술센터장) 엿기름 전분분해효소를 이용한 미꾸리류 무환수 양식방법
KR20210109957A (ko) 2020-02-28 2021-09-07 유병화 틸라피아 및 참게의 복합 논 생태 양식 시스템
CN115399269A (zh) * 2017-09-14 2022-11-29 上海惠兵渔业专业合作社 一种用于饲养南美白对虾的稻田改造方法、一种水稻和南美白对虾混合立体的养殖方法
KR102605358B1 (ko) 2022-12-14 2023-11-24 전라북도 남원시(남원시농업기술센터장)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
KR102632311B1 (ko) 2022-12-14 2024-02-05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남원시농업기술센터장) 양식 미꾸리류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인공저질 장치 및 이 인공 저질장치를 이용한 미꾸리류 양식수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5562A (ja) * 2003-08-22 2005-03-17 Mic:Kk ドジョウの養殖方法
KR20060091130A (ko) * 2005-02-14 2006-08-18 김현철 연못을 갖는 논구조
KR101212399B1 (ko) 2012-07-16 2012-12-13 전라남도 먹이사슬조성을 통한 휴경지 친환경 뱀장어 생태 양식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5562A (ja) * 2003-08-22 2005-03-17 Mic:Kk ドジョウの養殖方法
KR20060091130A (ko) * 2005-02-14 2006-08-18 김현철 연못을 갖는 논구조
KR101212399B1 (ko) 2012-07-16 2012-12-13 전라남도 먹이사슬조성을 통한 휴경지 친환경 뱀장어 생태 양식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강언종외 4명. 미꾸라지 양식. 수산기술지. 국립수산진흥원: 진해내수면연구소장. 2000.12., 39호, pp1~44.(발행) *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2940A (zh) * 2014-02-20 2014-05-14 浙江海洋学院 一种循环混合型稻田养殖方法
CN103891659A (zh) * 2014-04-15 2014-07-02 嘉善县净水渔业种苗基地(普通合伙) 池塘鱼稻共生饲养塘鳢鱼的方法
CN104137750A (zh) * 2014-07-21 2014-11-12 安徽绿源渔业科技有限公司 一种稻茬麦泥鳅综合种养方法
CN104335937A (zh) * 2014-08-08 2015-02-11 襄阳远丰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台湾泥鳅的繁育方法
CN105210937A (zh) * 2014-10-18 2016-01-06 颍上县永祥旱粮研究所 一种泥鳅生态养殖方法
CN105064737A (zh) * 2015-08-28 2015-11-18 固镇县绿禾家庭农场 一种集稻鳅畜于一体的立体化养殖方法
CN105475197A (zh) * 2015-12-19 2016-04-13 太和县顺发养殖有限公司 一种泥鳅苗孵化培育方法
CN105594636A (zh) * 2015-12-19 2016-05-25 太和县顺发养殖有限公司 一种优质泥鳅高效的人工养殖方法
CN105613366A (zh) * 2015-12-19 2016-06-01 太和县顺发养殖有限公司 一种泥鳅高效催产方法
CN105532342A (zh) * 2015-12-31 2016-05-04 淮安市苏泽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稻田有机生态养殖系统
CN106172101A (zh) * 2016-07-10 2016-12-07 龙南源头活水生态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月鳢仿生态繁殖与健康高效养殖方法
CN115399269A (zh) * 2017-09-14 2022-11-29 上海惠兵渔业专业合作社 一种用于饲养南美白对虾的稻田改造方法、一种水稻和南美白对虾混合立体的养殖方法
CN108901951A (zh) * 2018-08-01 2018-11-30 四川省农业科学院水产研究所 一种中华沙鳅的养殖方法
KR20200069039A (ko) 2018-12-06 2020-06-16 유병화 틸라피아 논 생태 양식 시스템
KR20200123528A (ko) 2019-04-22 2020-10-30 김정대 미꾸라지치어 생산용 양식장
CN110169381A (zh) * 2019-06-26 2019-08-27 广西维天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虾稻共作的生态养殖方法
CN111374071A (zh) * 2019-12-05 2020-07-07 孙景林 一种稻田养殖泥鳅的生态种养方法
KR20210109957A (ko) 2020-02-28 2021-09-07 유병화 틸라피아 및 참게의 복합 논 생태 양식 시스템
KR102407705B1 (ko) 2020-02-28 2022-06-10 유병화 틸라피아 및 참게의 복합 논 생태 양식 시스템
CN112450013A (zh) * 2020-10-23 2021-03-09 安徽公牛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稻虾、水稻、泥鳅生态种植田
KR102261998B1 (ko) 2020-12-29 2021-06-08 전라북도 남원시(남원시농업기술센터장) 엿기름 전분분해효소를 이용한 미꾸리류 무환수 양식방법
KR102605358B1 (ko) 2022-12-14 2023-11-24 전라북도 남원시(남원시농업기술센터장) 양식 미꾸리류 우성개체 선별출하 장치
KR102632311B1 (ko) 2022-12-14 2024-02-05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남원시농업기술센터장) 양식 미꾸리류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인공저질 장치 및 이 인공 저질장치를 이용한 미꾸리류 양식수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266B1 (ko) 논 경작지를 이용한 미꾸리류의 생태양식방법
CN109548600B (zh) 一种稻鳅蛙生态一体化种养方法
CN107278576A (zh) 一种多维生态稻田的种植养殖模式
CN210900695U (zh) 一种仙草、小龙虾、水稻共生养殖系统
CN105123220A (zh) 一种水稻稻鸭共作种植方法
KR102407705B1 (ko) 틸라피아 및 참게의 복합 논 생태 양식 시스템
CN102939920A (zh) 一种集约化扣蟹稻田养殖模式
KR101322277B1 (ko) 복합영농용 미꾸리 양식장
CN109673436A (zh) 一种绿色水稻种植与鱼混养方法
CN106342619A (zh) 一种稻田混养鲤鱼的生态养殖方法
CN103210811A (zh) 一种蛙稻的混合养殖培育方法
CN114931074A (zh) 补水管道及对应的养殖系统
CN102577800A (zh) 一种利用稻田养鳖防治水稻害虫的方法
CN110679416A (zh) 鳝蟾稻共生养殖方法
CN114532265A (zh) 一种稻虾繁养分离高效综合种养方法
CN112690184A (zh) 一种稻花鱼生态养殖方法及稻花鱼生态养殖稻田
CN112219660A (zh) 一种稻蟹生态种养方法
CN103875490A (zh) 稻鳅混养的方法
CN107466622A (zh) 一种莲田养鱼的养殖方法
CN111357712A (zh) 榕树堆肥养蛙装置
CN110800575A (zh) 一种稻田龙虾生态循环养殖方法
CN108541534A (zh) 一种田塘兼用水淹防治虫害的稻鲵生态种养方法
CN211746257U (zh) 一种稻田养殖泥鳅专用的防敌害系统
CN112314370A (zh) 一种稻鱼鳖生态种养方法
CN113229084A (zh) 一种稻鸭蛙绿肥共作的生态种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