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236B1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236B1
KR102605236B1 KR1020160078014A KR20160078014A KR102605236B1 KR 102605236 B1 KR102605236 B1 KR 102605236B1 KR 1020160078014 A KR1020160078014 A KR 1020160078014A KR 20160078014 A KR20160078014 A KR 20160078014A KR 102605236 B1 KR102605236 B1 KR 102605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area
light transmitting
lens uni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176A (ko
Inventor
장철호
Original Assignee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60078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236B1/ko
Priority to US16/095,050 priority patent/US10982815B2/en
Priority to PCT/KR2017/004275 priority patent/WO2017183938A1/ko
Priority to JP2018555214A priority patent/JP6956110B2/ja
Publication of KR20180000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5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specially adapted for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r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g. by adjustment of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Abstract

실시 예는, 본체; 상기 본체상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덮는 제1커버; 및 상기 본체와 결합하는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와 마주보는 투광부, 및 상기 투광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제1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광부는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 상에 배치되는 제1투광영역, 및 상기 제1투광영역과 제1렌즈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투광영역은 동일한 두께를 갖는 평탄영역이고, 상기 제1렌즈부의 두께는 상기 제1투광영역의 두께보다 두꺼운 조명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DEVICE}
실시 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 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 친화성의 장점을 가진다. 이에 따라, 기존의 광원을 발광 다이오드로 대체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발광 다이오드는 실내 및 실외에서 사용되는 각종 액정 표시 장치, 전광판, 가로등 등의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조명 장치는 발광 다이오드가 실장된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발광 다이오드의 직진성에 의해 상대적으로 중앙부와 가장자리는 주변보다 어두울 수 있다. 따라서, 휘도 균일도가 저하된다.
실시 예는 중앙부와 가장자리의 암부가 개선된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상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덮는 제1커버; 및 상기 본체와 결합하는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와 마주보는 투광부, 및 상기 투광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제1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부는 확산 기능을 갖는다.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는, 상기 기판의 중심을 둘러싸는 복수 개의 제1발광소자,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발광소자를 둘러싸는 복수 개의 제2발광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1렌즈부는 상기 투광부의 외측면에서 멀어질수록 두꺼워지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에서 멀어질수록 얇아지는 제2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경계선은 상기 제2발광소자의 상부면과 33도 내지 55도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제1렌즈부를 상기 기판에 고정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는 중앙에 형성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는 상기 투광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2렌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부는 상기 투광부의 내측면에서 멀어질수록 두꺼워지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에서 멀어질수록 얇아지는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경계선은 상기 제1발광소자의 상부면과 33도 내지 55도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제2렌즈부를 상기 기판에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의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제1경계지점의 두께와 상기 제2렌즈부의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제2경계지점의 두께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경계지점과 제2경계지점의 두께는 상기 투광부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제1경계지점과 상기 투광부의 두께비는 2:1 내지 3:1일 수 있다.
상기 제1경계지점과 상기 제2경계지점을 연장한 가상선은 상기 제2커버의 중심에서 교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상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덮는 제1커버; 및 상기 본체와 결합하는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와 마주보는 환형의 투광부, 상기 투광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제1렌즈부, 및 상기 투광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2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부와 제2렌즈부는, 상기 투광부에서 멀어질수록 두꺼워지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에서 멀어질수록 얇아지는 제2영역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르면, 중앙부와 가장자리의 휘도가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휘도 균일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기판에 배치된 발광소자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광균일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비교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광균일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C부분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6의 B부분 확대도이고,
도 10은 테두리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테두리부에 의해 광이 확산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조명장치에서 출사된 광의 강도를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발광사진이고,
도 14는 도 13의 휘도 그래프이고,
도 15는 일반적인 조명장치의 발광사진이고,
도 16은 도 15의 휘도 그래프이다.
본 실시 예들은 다른 형태로 변형되거나 여러 실시 예가 서로 조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각각의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정 실시 예에서 설명된 사항이 다른 실시 예에서 설명되어 있지 않더라도, 다른 실시 예에서 그 사항과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설명이 없는 한, 다른 실시 예에 관련된 설명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 예에서 구성 A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고 다른 실시 예에서 구성 B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였다면, 구성 A와 구성 B가 결합된 실시 예가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더라도 반대되거나 모순되는 설명이 없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기판에 배치된 발광소자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1)는 본체(10), 본체(10)상에 배치되는 기판(20), 기판(20)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30), 복수 개의 발광소자(30)를 덮는 제1커버(40), 및 본체(10)와 결합하는 제2커버(5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체(10)는 중앙부에 개구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1)에는 소켓(미도시)이 삽입될 수도 있다. 소켓은 조명장치에 전원을 제공함과 동시에 조명 장치를 천장 등에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체(10)는 소켓이 삽입되지 않는 구조일 수도 있다.
본체(10)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으며, 사출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일 수 있다. 본체(10)가 플라스틱 재질이면, 본체(10)가 금속 재질인 경우보다 무게가 더 가벼우며,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본체(10)의 재질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체(10)에는 광원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구동부의 장착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구동부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 변환 장치, 광원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칩, 광원을 보호하기 위한 ESD(Electro Static discharge) 보호 소자, 외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모듈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20)은 본체(10)상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20)은 인쇄 회로 기판 (Printed Circuit Board; PCB), 메탈 코어(Metal Core) PCB, 연성(Flexible) PCB, 세라믹 PCB 등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기판(20)은 광을 반사시키기 위해 은(Ag), 알루미늄(Ag) 등과 같이 광을 반사시키는 물질 등이 코팅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기판(20)은 타원형,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 예에서는 가장자리가 팔각형인 기판(20)을 도시하였다.
기판(20)은 실시 예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두 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된 구조일 수 있다. 기판(20)은 중앙에 홀(21)이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발광소자(30)는 기판(20) 상에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발광소자(30)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발광소자(30)는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거나, 자외선 광(Ultraviolet light)를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발광소자(30)는 수평형(Lateral Type), 수직형(Vertical Type), 또는 플립칩형(Flip-chip Type)일 수 있으나, 발광소자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도 3을 참고하면, 발광소자(30)는 기판(20)의 중심(C)을 둘러싸는 복수 개의 제1발광소자(31), 및 복수 개의 제1발광소자(31)를 둘러싸는 복수 개의 제2발광소자(3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발광소자(31)는 중심홀(21)과 제1가상원(C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발광소자(32)는 제2가상원(C2)과 기판(20)의 가장자리(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중심홀(21), 제1가상원(C1), 및 제2가상원(C2)의 중심은 기판(20)의 중심(C)과 일치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발광소자(31)는 기판(20)의 중심(C)을 기준으로 최내측의 발광소자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발광소자(32)는 기판(20)의 중심(C)을 기준으로 최외측 발광소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판의 중심(C)을 향하는 방향을 내측으로 정의하고, 기판의 중심(C)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외측으로 정의한다.
제3발광소자(33)는 제1가상원과 제2가상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상에서는 3개의 발광소자 라인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발광소자(30)의 배치 및 배치되는 라인의 개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의 발광소자(30)는 기판의 형상에 따라 8각형의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발광소자(30)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커버(40)는 기판(20)에 결합하여 복수 개의 발광소자(30)를 덮을 수 있다. 제1커버(40)는 광을 투과시키는 재질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제1커버(40)는 기판(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커버(40)는 발광소자(30)와 마주보는 투광부(41), 투광부(41)의 외측에 연결되는 제1렌즈부(43), 투광부(41)의 내측에 연결되는 제2렌즈부(42)를 포함한다. 투광부(41)는 중앙에 제1홀(46)이 형성된 환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커버(50)는 본체(10)와 결합하여 기판(20), 발광소자(30), 및 제1커버(40)를 수용할 수 있다. 제2커버(50)는 제1커버(40)를 통해 출사된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제2커버(50)는 조명장치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광균일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비교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광균일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발광소자(31)에서 방출된 광은 내측으로 확산되고 제2발광소자(32)에서 방출된 광은 외측으로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발광소자(31, 32, 33)가 배치된 영역을 포함한 전면(W)에 광이 출사되므로 중앙부와 가장자리의 휘도가 개선될 수 있다. 즉, 제1커버(40)의 테두리부는 확산 렌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커버(4)가 단순히 발광소자는 보호하는 기능만을 수행한다면 각 발광소자(30)가 배치된 영역(W)에만 광이 출사되어 중앙부와 가장자리는 암부(B)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C부분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6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제1커버(40)는 발광소자(30)와 마주보는 투광부(41), 투광부(41)의 내측면에 연결되는 제2렌즈부(42), 투광부(41)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제1렌즈부(43), 제1렌즈부(43)를 기판에 고정하는 제1고정부(45), 및 제2렌즈부(42)를 기판(20)에 고정하는 제2고정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투광부(41)는 중앙에 제1홀(46)이 형성된 환형 구조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투광부(41)는 전체적으로 돔(dome) 형상일 수도 있다. 이하에는 투광부(41)가 환형 구조인 것으로 설명한다.
제2렌즈부(42)는 제1발광소자(31)에서 방출되는 광을 내측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제2렌즈부(42)는 입사되는 광을 확산시킬 있도록 두께가 조절될 수 있다. 제2렌즈부(42)의 두께는 투광부(41)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렌즈부(42)는 확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부(42)는 확산 렌즈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렌즈부(42)에 확산 필름을 부착하거나 확산 입자를 분산시킬 수도 있다.
제1렌즈부(43)는 제2발광소자(32)에서 방출되는 광을 외측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렌즈부(43)는 두께를 조절하여 입사되는 광을 확산시킬 있다. 제1렌즈부(43)의 두께는 투광부(41)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렌즈부(43)는 확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부(43)는 확산 렌즈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렌즈부(43)에 확산 필름을 부착하거나 확산 입자를 분산시킬 수도 있다.
제2렌즈부(42)와 제1렌즈부(43)는 제3발광소자(33)의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일 수 있다. 즉, 제1렌즈부(43)와 제2렌즈부(42)는 동일한 형상의 렌즈일 수 있다. 그러나 제1렌즈부(43)와 제2렌즈부(42)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1렌즈부(43)와 제2렌즈부(42)가 확산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등기구의 중심과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암부를 제거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광원을 배치하여야 한다. 예시적으로 기판의 중심에 광원을 더 배치하여 등기구 중심에 발생한 암부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렌즈부(43)와 제2렌즈부(42)가 광을 확산시키므로 발광소자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도 8과 같이 가장자리의 휘도를 높이기 위해 제1렌즈부(43)의 형상만을 제어하고, 도 9와 같이 중앙부의 휘도를 높이기 위해 제2렌즈부(42)의 형상만을 제어하므로 커버 제작이 용이해진다. 즉, 발광소자의 개수가 많아져 커버가 커지는 경우에도 양 테두리부(42, 43)의 형상만을 고려하면 되므로 제작이 용이하다.
예시적으로 커버에 각 발광소자에 대응되는 렌즈를 형성하는 경우, 발광소자 상에 정확히 매칭되도록 렌즈를 형성해야 하므로 제작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도 10은 테두리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테두리부에 의해 광이 확산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조명장치에서 출사된 광의 강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2렌즈부(42)는 투광부(41)에서 멀어질수록 두꺼워지는 제1영역(42a) 및 제1영역(42a)에서 멀어질수록 얇아지는 제2영역(42b)을 포함할 수 있다. 투광부(41)와 제1영역(42a)의 경계는 제1발광소자(31)의 중심에서 수직한 방향인 광축(P1)일 수 있다.
투광부(41)는 일정한 두께(d1)를 갖고 평탄한 제1투광영역(41a), 및 제1투광영역(41a)과 제1영역(42a)을 연결하는 연결부(41b)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41b)의 두께는 제1투광영역(41a)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예시적으로 제2렌즈부(42)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렌즈부(42)는 제1렌즈부(43)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영역(42a)과 제2영역(42b)의 경계 지점의 두께(d2)는 투광부(41)의 두께(d1)보다 두꺼울 수 있다. 제1영역(42a)과 제2영역(42b)의 경계 지점과 투광부(41)의 두께비(d2:d1)는 2:1 내지 3:1일 수 있다.
테두리부의 두께는 제1영역(42a)과 제2영역(42b)의 경계 지점에서 가장 두꺼울 수 있다. 이때, 경계 지점을 연장한 가상선(S)은 제1발광소자(31)의 상부면과 33도 내지 55도의 각도(θ)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각도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조명장치의 중앙과 가장자리에 발생하는 암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확산 효과를 위해 태두리부의 외면에는 요철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부(44)는 나사 등에 의해 기판(20)에 결합됨으로써 제1커버(40)를 기판(20)에 고정할 수 있다. 내측 테부리부(42)와 제2고정부(44)의 경계의 두께(d3)는 제1투광영역(41a)의 두께(d1)보다 두꺼울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제1발광소자(31)에서 출사되는 빔의 패턴은 테두리부가 두꺼워지는 방향으로 35도 내지 55도를 최대 강도로 하는 빔 형상을 가지며, 최대 강도를 기준으로 점차 강도가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다.
즉, 제1발광소자(31)에서 방출된 광 중에서 상당 부분이 제2렌즈부(42)에 의해 커버의 내측으로 굴절 및/또는 확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6 및 도 10을 참고하면, 제1영역(42a)과 제2영역(42b)의 경계 지점을 연장한 가상선(S)은 제2커버(50)의 높이와 하기 관계식을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1]
0.8(2H/W) < tanθ < 1.2(2H/W)
여기서 θ는 가상선(S)이 발광소자의 상부면과 이루는 각도이고, H는 제2커버(50)의 높이이고, W는 제1발광소자들(31)의 중심 사이의 거리이다. 경계 지점을 연장한 가상선(S)은 기판과 제2커버(51)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축(OA)상에서 교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상선(S)은 제2커버(50)의 중심(51)에서 교차할 수 있다.
제1영역(42a)과 제2영역(42b)의 경계 지점을 연장한 가상선(S)의 각도(θ)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조명장치의 발광면에 전체적으로 광이 고르게 분포하여 광 균일도가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가상선(S)의 각도(θ)가 0.8(2H/W) 미만이거나 1.2(2H/W)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명장치의 중심부와 가장자리에 광을 충분히 확산시키지 못하여 휘선 또는 암부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발광사진이고, 도 14는 도 13의 휘도 그래프이고, 도 15는 일반적인 조명장치의 발광사진이고, 도 16은 도 15의 휘도 그래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발광소자(30)에서 출사된 광이 확산되어 중앙부와 가장자리의 휘도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중앙부(거리 0)의 휘도가 약 6000cd/m2로 주변과 크게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앙부의 암부가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일반적인 조명장치는 주변부의 휘도가 약 10000cd/m2인데 반해, 중앙부(거리 0)의 휘도는 약 4000cd/m2로 발광 정도가 크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앙부에 암부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1렌즈부(43)에 의해 가장자리의 휘도가 상승하고 제2렌즈부(42)에 의해 중심부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명장치의 전체적인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시 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의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본체
20: 기판
30: 발광소자
40: 제1커버
41: 투광부
42: 제2렌즈부
43: 제1렌즈부
50: 제2커버

Claims (15)

  1. 본체;
    상기 본체 상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를 덮는 제1커버; 및
    상기 본체와 결합하는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는,
    복수 개의 발광소자와 마주보는 투광부, 및 상기 투광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제1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광부는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 상에 배치되는 제1투광영역, 및 상기 제1투광영역과 제1렌즈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투광영역은 동일한 두께를 갖는 평탄영역이고,
    상기 제1렌즈부의 두께는 상기 제1투광영역의 두께보다 두꺼우며,
    상기 복수 개의 발광소자는,
    상기 기판의 중심을 둘러싸는 복수 개의 제1발광소자,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발광소자를 둘러싸고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부는,
    상기 투광부의 외측면에서 멀어질수록 두꺼워지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에서 멀어질수록 얇아지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경계선은 상기 복수 개의 제2발광소자 각각의 상부면과 33도 내지 55도의 각도를 갖는 조명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는 상기 투광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2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렌즈부는 상기 투광부에서 멀어질수록 두꺼워지는 제1영역 및 상기 제2렌즈부의 제1영역에서 멀어질수록 얇아지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렌즈부의 제1영역과 제2영역의 경계선은 상기 복수 개의 제1발광소자 각각의 상부면과 33도 내지 55도의 각도를 갖는 조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부의 제1영역과 제2영역 사이인 제1경계지점의 두께와, 상기 제2렌즈부의 제1영역과 제2영역 사이인 제2경계지점의 두께는 동일하고,
    상기 제1경계지점과 제2경계지점의 두께는 상기 투광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조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계지점과 상기 투광부의 두께비는 2:1 내지 3:1이고,
    상기 제2경계지점을 연장한 가상선은 상기 제2커버의 중심과 교차하는 조명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60078014A 2016-04-21 2016-06-22 조명장치 KR102605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014A KR102605236B1 (ko) 2016-06-22 2016-06-22 조명장치
US16/095,050 US10982815B2 (en) 2016-04-21 2017-04-21 Lighting device and LED circuit board with a center opening with a protrusion
PCT/KR2017/004275 WO2017183938A1 (ko) 2016-04-21 2017-04-21 조명 장치
JP2018555214A JP6956110B2 (ja) 2016-04-21 2017-04-21 照明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014A KR102605236B1 (ko) 2016-06-22 2016-06-22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176A KR20180000176A (ko) 2018-01-02
KR102605236B1 true KR102605236B1 (ko) 2023-11-29

Family

ID=61004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014A KR102605236B1 (ko) 2016-04-21 2016-06-22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2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5439A1 (ko) 2012-02-02 2013-08-08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히트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WO2014108093A1 (zh) 2013-01-10 2014-07-17 华为技术有限公司 深度图像的编解码方法和编解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347B1 (ko) * 2012-02-01 2019-06-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KR102070096B1 (ko) * 2013-06-27 2020-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원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5439A1 (ko) 2012-02-02 2013-08-08 주식회사 포스코엘이디 히트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WO2014108093A1 (zh) 2013-01-10 2014-07-17 华为技术有限公司 深度图像的编解码方法和编解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176A (ko) 201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7100B2 (en) Lighting device
JP5165489B2 (ja) 拡散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発光素子組立体
US9127824B2 (en) LED lamp
EP2655957B1 (en) Led light bulb with light scattering optics structure
JP5700288B2 (ja) 照明器具
JP2013030728A (ja) 光源モジュール
WO2013018902A1 (ja) 発光体を用いた面照明光源装置
US8890192B2 (en) Light emitting diode with sidewise light output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6278309A (ja) 照明装置
EP3242074A1 (en) Lamp unit and vehicle lamp device using same
CN106931319B (zh) 照明设备
US20090268459A1 (en) Light emitting diode lamp
KR20140129749A (ko) 광원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6956110B2 (ja) 照明装置
KR101894905B1 (ko) 조명 램프
JP2012175013A (ja) 発光装置および照明器具
KR20140095913A (ko) 발광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KR20150137959A (ko) 보조 광학 소자 및 광원 모듈
TWI422776B (zh) 發光裝置
JP3201365U (ja) 電球形ledランプ
KR102605236B1 (ko) 조명장치
JP6025050B2 (ja) 照明装置
TWI738393B (zh) 照明器具
TW201503426A (zh) 發光二極體模組
KR20170124271A (ko)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