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173B1 - 서비스 유형 및 기능별 플랫폼 모듈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서비스 유형 및 기능별 플랫폼 모듈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173B1
KR102605173B1 KR1020220149056A KR20220149056A KR102605173B1 KR 102605173 B1 KR102605173 B1 KR 102605173B1 KR 1020220149056 A KR1020220149056 A KR 1020220149056A KR 20220149056 A KR20220149056 A KR 20220149056A KR 102605173 B1 KR102605173 B1 KR 102605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form
service
sliding block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9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희
Original Assignee
신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희 filed Critical 신경희
Priority to KR1020220149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1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서비스가 가능한 플랫폼을 용이하게 구축하고, 각각의 서비스별 니즈에 따라 마케팅 및 서비스 운영을 할 수 있는 플랫폼 및 설계서 모듈화 기반 신규 서비스 확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현한 서비스 유형 및 기능별 플랫폼 모듈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모듈화된 플랫폼을 이용하여 온라인 웹 서비스 또는 온라인 모바일 서비스 구축하고자 하는 의뢰 업체에 설치되며, 의뢰 업체의 온라인 웹 서비스 또는 온라인 모바일 서비스 구축을 담당하는 서비스 구축 담당자로부터 온라인 웹 서비스 또는 온라인 모바일 서비스 구축을 위한 플랫폼의 제공을 요청 받는 플랫폼 요청부; 및 온라인 웹 서비스 또는 온라인 모바일 서비스 구축을 위한 플랫폼을 온라인 서비스의 유형 및 기능 별로 모듈화하여 저장해 두며, 상기 플랫폼 요청부로부터 요청되는 온라인 서비스에 대응하는 유형 및 기능에 대응하는 플랫폼을 탐색 후 상기 플랫폼 요청부로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비스 유형 및 기능별 플랫폼 모듈화 시스템{Platform modularization system by service type and function}
본 발명은 서비스 유형 및 기능별 플랫폼 모듈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서비스가 가능한 플랫폼을 용이하게 구축하고, 각각의 서비스별 니즈에 따라 마케팅 및 서비스 운영을 할 수 있는 플랫폼 및 설계서 모듈화 기반 신규 서비스 확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현한 서비스 유형 및 기능별 플랫폼 모듈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 및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방송, 영화 뿐만 아니라 인터넷 및 개인 미디어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 오디오/비디오 중심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보급 및 수요가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나아가 방송 및 영화를 통하여 입체감을 제공하는 실감미디어에 대한 소비자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HD (High Definition)급, UHDTV (Ultra High Definition)급 이상의 고화질 컨텐츠, AR (augmented reality), VR (virtual reality) 등의 실감나는 컨텐츠를 즐기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한편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사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온라인 쇼핑몰 사업 시장이 매우 빠른 속도로 커지는 상황이다.
이러한 온라인 쇼핑몰 등의 경우, 온라인 서비스 구축에 많은 비용이 발생되어 이러한 온라인 서비스 구축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324302호 (2021.11.11. 공고)
본 발명의 일측면은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서비스가 가능한 플랫폼을 용이하게 구축하고, 각각의 서비스별 니즈에 따라 마케팅 및 서비스 운영을 할 수 있는 플랫폼 및 설계서 모듈화 기반 신규 서비스 확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현한 서비스 유형 및 기능별 플랫폼 모듈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유형 및 기능별 플랫폼 모듈화 시스템은, 모듈화된 플랫폼을 이용하여 온라인 웹 서비스 또는 온라인 모바일 서비스 구축하고자 하는 의뢰 업체에 설치되며, 의뢰 업체의 온라인 웹 서비스 또는 온라인 모바일 서비스 구축을 담당하는 서비스 구축 담당자로부터 온라인 웹 서비스 또는 온라인 모바일 서비스 구축을 위한 플랫폼의 제공을 요청 받는 플랫폼 요청부; 및 온라인 웹 서비스 또는 온라인 모바일 서비스 구축을 위한 플랫폼을 온라인 서비스의 유형 및 기능 별로 모듈화하여 저장해 두며, 상기 플랫폼 요청부로부터 요청되는 온라인 서비스에 대응하는 유형 및 기능에 대응하는 플랫폼을 탐색 후 상기 플랫폼 요청부로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랫폼 요청부는, 상기 플랫폼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플랫폼을 이용하여 온라인 웹 서비스 또는 온라인 모바일 서비스를 구축하며, 구축된 온라인 웹 서비스 또는 온라인 모바일 서비스를 출력하여 서비스 구축 담당자로부터 상기 플랫폼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플랫폼에 대한 컨펌 여부를 입력받거나, 출력하여 서비스 구축 담당자로부터 수정 사항을 입력받아 이를 상기 플랫폼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랫폼 요청부는, 서비스 구축 담당자가 착석하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스크; 상기 하나 이상의 데스크의 각 전단 테두리와 대향하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데스크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연장 형성되는 레일 프레임; 및 상기 데스크에서 업무 중인 서비스 구축 담당자에게 화면을 출력하여 보여줄 수 있도록 상기 레일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레일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형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형 모니터는, 서비스 구축 담당자에게 화면을 출력하여 보여주기 위한 모니터 본체; 및 상기 모니터 본체의 후단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모니터 본체를 상기 레일 프레임에 거치하며, 상기 레일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모니터 본체를 이동시켜 주는 슬라이딩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는, 상기 레일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의 후단에 배치되는 제1 슬라이딩 블록; 후단이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회동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의 전단에 배치되는 제2 슬라이딩 블록;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후단에서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의 후단을 따라 설치되는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주는 구동 기어;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 상부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전단 상측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지지휠;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 하부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전단 하측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2 지지휠;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 일측과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후단 일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 사이를 지지하는 제1 블록 지지부; 및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 타측과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후단 타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 사이를 지지하는 제2 블록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블록 지지부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후단을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 상기 상단 지지부와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에 안착되는 하단 지지부;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지지부; 및 상부가 상기 회전 지지부에 나사 결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하단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지지부를 지지하는 중단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지지부는,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측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상단 지지부를 지지하는 회전형 지지 원통;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이 상기 상단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회전 체결홈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회전 체결 돌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나사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지지부의 상부 일측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1 회전형 완충부; 및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지지부의 상부 타측에 안착되어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와 함께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2 회전형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단 지지부는,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중단 지지 기둥; 상기 제1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상단 지지부로부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이 회전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외측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나사산;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완충부 배치홈; 상기 제2 회전형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완충부 배치홈; 및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하부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단 지지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 블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면서 상기 안착 블록의 상부에 형성되는 기둥 안착홈;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이 삽입되고 남아 있는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기둥 안착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을 지지하는 지지 유체; 상기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가 안착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는 수직 이동 가이드홈; 및 상기 안착 블록의 하부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지지 유체를 공급받거나 공급받았던 상기 지지 유체를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으로 배출시켜 주면서 상기 중단 지지 기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보조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완충부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 블록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지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기둥 안착홈을 따라 수직 하강되는 상기 중단 지지 기둥에 의해 압축되는 상기 지지 유체를 전달받아 상측으로부터 수용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지지 유체가 수용되는 상부 공간과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공간으로 구획시키면서 상기 이너 하우징의 중단에 설치되는 지지 파티션; 및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파티션의 하측을 지지하는 파티션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는,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에 배치되는 곡선형 하부 블록;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곡선형 하부 블록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기둥 안착홈을 따라 하강되는 상기 안착 블록에 의해 압축되는 상기 지지 유체를 전달받는 곡선형 실린더;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곡선형 실린더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전단을 지지하며, 상기 곡선형 실린더로 상기 지지 유체가 전달됨에 따라 상기 곡선형 실린더로부터 노출되면서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전단을 밀어 상기 중단 지지 기둥으로부터 상승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을 회전시켜 주는 곡선형 피스톤; 및 상기 곡선형 하부 블록의 후단과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곡선형 하부 블록의 후단을 지지하는 진동 완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단 지지부는, 상기 지지 원통의 회전 시 마찰력을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하측을 따라 다수 개의 회전 유도 구체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서비스가 가능한 플랫폼을 용이하게 구축하고, 각각의 서비스별 니즈에 따라 마케팅 및 서비스 운영을 할 수 있는 플랫폼 및 설계서 모듈화 기반 신규 서비스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유형 및 기능별 플랫폼 모듈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플랫폼 요청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이동형 모니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슬라이딩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블록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의 회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5의 중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5의 하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유형 및 기능별 플랫폼 모듈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유형 및 기능별 플랫폼 모듈화 시스템(10)은, 플랫폼 요청부(100) 및 플랫폼 제공 서버(200)를 포함한다.
플랫폼 요청부(100)는, 모듈화된 플랫폼(예를 들어, 회원가입, 로그인, 약관 관리, 포인트 / 멤버십, 쿠폰 / 스탬프, 커머스 기능 - 상품관리 / 매장관리 / 온라인 주문 / 픽업 주문 / 정산, 구독서비스, PUSH 발송, 어드민, 통계관리 등 기존 개발한 기능별 시나리오의 기능 단위별 모듈화 등)을 이용하여 온라인 웹 서비스 또는 온라인 모바일 서비스(예를 들어, LG ThinQ Store, LG SmartWorld, LG화학 전기차 배터리 관리 플랫폼, LG WebOS Auto 클라우드 서비스, KT CLiP, CJ ONE, KT 지역화폐, 흥국화재, 파리바게뜨 앱, 카카오톡 주문, 코딩교육 플랫폼, 한화손해보험 다이렉트, 신용평가 서비스 등) 구축하고자 하는 의뢰 업체에 설치되며, 의뢰 업체의 온라인 웹 서비스 또는 온라인 모바일 서비스 구축을 담당하는 서비스 구축 담당자로부터 온라인 웹 서비스 또는 온라인 모바일 서비스 구축을 위한 플랫폼의 제공을 요청 받아 플랫폼 제공 서버(20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 요청부(100)는, 플랫폼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플랫폼을 이용하여 온라인 웹 서비스 또는 온라인 모바일 서비스를 구축하며, 구축된 온라인 웹 서비스 또는 온라인 모바일 서비스를 출력하여 서비스 구축 담당자로부터 플랫폼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플랫폼에 대한 컨펌 여부를 입력받거나, 출력하여 서비스 구축 담당자로부터 수정 사항을 입력받아 이를 플랫폼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플랫폼 제공 서버(200)는, 온라인 웹 서비스 또는 온라인 모바일 서비스 구축을 위한 플랫폼을 온라인 서비스의 유형 및 기능 별로 모듈화하여 저장해 두며, 플랫폼 요청부(100)로부터 요청되는 온라인 서비스에 대응하는 유형 및 기능에 대응하는 플랫폼을 탐색 후 플랫폼 요청부(100)로 제공한다.
현재 업계에서, 시나리오 단위로는 모듈화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유형 및 기능별 플랫폼 모듈화 시스템(10)을 통해 각 기업 및 서비스에 최적화된 기능 단위의 시나리오 모듈화를 통해 기존 서비스 업계 대상으로 인건비 및 기간 절감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기존 프로젝트 비용 기준 시나리오 기획이 1.5억인 경우 0.3억 수준으로 비용 절감 가능하므로 예측 수요는 연간 10억 이상으로 예상됨).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유형 및 기능별 플랫폼 모듈화 시스템(10)은,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서비스가 가능한 플랫폼을 용이하게 구축하고, 각각의 서비스별 니즈에 따라 마케팅 및 서비스 운영을 할 수 있는 플랫폼 및 설계서 모듈화 기반 신규 서비스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플랫폼 요청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랫폼 요청부(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스크(110), 레일 프레임(12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형 모니터(130)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스크(110)는, 서비스 구축 담당자가 착석하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레일 프레임(120)은, 하나 이상의 데스크(110)의 각 전단 테두리와 대향하면서 하나 이상의 데스크(11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연장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형 모니터(130)는, 데스크(110)에서 업무 중인 서비스 구축 담당자에게 화면을 출력하여 보여줄 수 있도록 레일 프레임(120)에 연결 설치되며, 레일 프레임(1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플랫폼 요청부(100)는, 협업을 하여 온라인 서비스를 개발하는 온라인 서비스의 서비스 구축 담당자들이 하나의 시스템을 통해 손쉽게 협업을 수행하도록 보조함으로써, 온라인 서비스의 제작 편의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이동형 모니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형 모니터(130)는, 모니터 본체(131) 및 슬라이딩 구동부(132)를 포함한다.
모니터 본체(131)는, 슬라이딩 구동부(132)에 의해 거치 및 슬라이딩 이동되며, 서비스 구축 담당자에게 화면을 출력하여 보여준다.
슬라이딩 구동부(132)는, 모니터 본체(131)의 후단 상측에 설치되며, 레일 프레임(120)에 연결 설치되어 모니터 본체(131)를 레일 프레임(120)에 거치하며, 레일 프레임(120)을 따라 이동하면서 모니터 본체(131)를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구동부(132)는, 제1 슬라이딩 블록(1321), 제2 슬라이딩 블록(1322), 구동 기어(1323), 한 쌍의 제1 지지휠(1324), 한 쌍의 제2 지지휠(1325), 제1 블록 지지부(1326) 및 제2 블록 지지부(13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블록(1321)은, 레일 프레임(120)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21)의 후단에 배치된다.
제2 슬라이딩 블록(1322)은, 후단이 제1 슬라이딩 블록(1321)의 전단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회동축(H)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의 전단에 배치된다.
구동 기어(1323)는, 제1 슬라이딩 블록(1321)의 후단에서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슬라이딩홈(121)의 후단을 따라 설치되는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스텝 모터 등의 구동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슬라이딩홈(121)을 따라 제1 슬라이딩 블록(1321)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준다.
한 쌍의 제1 지지휠(1324)은, 제2 슬라이딩 블록(1322)의 전단 상부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홈(121)의 전단 상측에 각각 안착되어 제2 슬라이딩 블록(1322)의 전단을 지지한다.
한 쌍의 제2 지지휠(1325)은, 제2 슬라이딩 블록(1322)의 전단 하부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홈(121)의 전단 하측에 각각 안착되어 제2 슬라이딩 블록(1322)의 전단을 지지한다.
제1 블록 지지부(1326)는, 제1 슬라이딩 블록(1321)의 전단 일측과 제2 슬라이딩 블록(1322)의 후단 일측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슬라이딩 블록(1321)과 제2 슬라이딩 블록(1322) 사이를 지지한다.
제2 블록 지지부(1327)는, 제1 슬라이딩 블록(1321)의 전단 타측과 제2 슬라이딩 블록(1322)의 후단 타측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슬라이딩 블록(1321)과 제2 슬라이딩 블록(1322) 사이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형 모니터(130)는, 모니터 본체(131)의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모니터 본체(131)의 이동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소음 또는 진동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장치의 내구성 역시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제1 블록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블록 지지부(500)는, 상단 지지부(510), 하단 지지부(520), 회전 지지부(530) 및 중단 지지부(5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블록 지지부(1327)는, 후술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블록 지지부(50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블록 지지부(500)의 상단 지지부(510), 하단 지지부(520), 회전 지지부(530) 및 중단 지지부(540)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블록 지지부(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지지부(510)와 하단 지지부(520)가 전후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과 같이 뉘인 형태로 설치될 것이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단 지지부(510)가 상측에 위치하고 하단 지지부(520)가 하측에 위치하는 것과 같이 수직 방향으로 직립된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단 지지부(510)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 지지부(53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회전 지지부(530)에 의해 지지되어 제2 슬라이딩 블록(1322)의 후단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단 지지부(5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회전 시 마찰력을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하측을 따라 다수 개의 회전 유도 구체(512)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될 수 있다.
하단 지지부(520)는, 상측에 설치되는 중단 지지부(540)에 의해 상단 지지부(510)와 이격 설치되며, 제1 슬라이딩 블록(1321)의 전단에 안착되어 지지한다.
회전 지지부(530)는, 중단 지지부(54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단 지지부(510)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단 지지부(510)를 지지한다.
중단 지지부(540)는, 상부가 회전 지지부(530)에 나사 결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하단 지지부(5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 지지부(530)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블록 지지부(500)는, 고정 설치되는 상단 지지부(510)와 하단 지지부(520)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지지부(530)와 상하 방향으로 노출과 삽입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중단 지지부(540)의 회전 또는 수직 이동 과정에서 상단 지지부(510)와 하단 지지부(520)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의 회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회전 지지부(530)는, 회전형 지지 원통(531), 회전 체결 돌기(532), 제1 나사산(533), 제1 회전형 완충부(534) 및 제2 회전형 완충부(535)를 포함한다.
회전형 지지 원통(531)은, 내주면을 따라 제1 나사산(533)을 형성하면서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 지지부(510)의 하측에 밀착 배치되어 상단 지지부(510)를 지지하며, 상측을 따라 회전 체결 돌기(532)가 형성된다.
회전 체결 돌기(532)는,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상단 지지부(510)에 회전 가능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단 지지부(510)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회전 체결홈(51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제1 나사산(533)은,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 수직 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에 의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제2 나사산(54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제1 회전형 완충부(534)는,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중단 지지부(54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완충부 배치홈(543)에 안착되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즉, 상단 지지부(51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하방 압력을 받음에 따라 제1 나사산(533)과 제2 나사산(542) 간의 결합에 의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회전하면서 중단 지지부(540)의 상부가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것이다.
이때, 제1 회전형 완충부(534)와 제2 회전형 완충부(535)는,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동시에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회전형 완충부(534)는, 곡선형 하부 블록(5341), 곡선형 실린더(5342), 곡선형 피스톤(5343) 및 진동 완충 스프링(5344)을 포함할 수 있다.
곡선형 하부 블록(5341)은,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제2 회전형 완충부(535)와 대향하면서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1 완충부 배치홈(543)에 배치되며, 전단 하측에 곡선형 실린더(5342)가 설치된다.
곡선형 실린더(5342)는,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곡선형 하부 블록(5341)의 전단에 설치되며,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기둥 안착홈(522)을 따라 하강되는 안착 블록(521)에 의해 압축되는 지지 유체(523)를 전달받아 내측에 설치되는 곡선형 피스톤(5343)을 내측으로부터 노출시켜 준다.
곡선형 피스톤(5343)은,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곡선형 실린더(5342)에 연결 설치되어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전단을 지지하며, 곡선형 실린더(5342)로 지지 유체(523)가 전달됨에 따라 곡선형 실린더(5342)로부터 노출되면서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전단을 밀어 중단 지지 기둥(541)으로부터 상승되는 방향으로 회전형 지지 원통(531)을 회전시켜 준다.
진동 완충 스프링(5344)은, 곡선형 하부 블록(5341)의 후단과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곡선형 하부 블록(5341)의 후단을 지지한다.
제2 회전형 완충부(535)는, 제1 회전형 완충부(534)와 대향하면서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타측에 설치되어 중단 지지부(540)의 상부 타측에 안착되어 제1 회전형 완충부(534)와 함께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여기서, 제2 회전형 완충부(535)는, 상술한 제1 회전형 완충부(534)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회전형 완충부(534)의 곡선형 하부 블록(5341), 곡선형 실린더(5342), 곡선형 피스톤(5343) 및 진동 완충 스프링(5344)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회전 지지부(530)는, 상단 지지부(510)와 중단 지지부(540) 사이에서 각각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회전 운동으로 변형시켜 주는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단 지지부(51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9는 도 5의 중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중단 지지부(540)는, 중단 지지 기둥(541), 제2 나사산(542), 제1 완충부 배치홈(543), 제2 완충부 배치홈(544) 및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545)를 포함한다.
중단 지지 기둥(541)은,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기둥 안착홈(522)에 안착되어 지지 유체(523)에 의해 지지되며, 제2 나사산(542), 제1 완충부 배치홈(543), 제2 완충부 배치홈(544) 및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545)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제2 나사산(54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나사산(53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동시에 상단 지지부(510)로부터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됨에 따라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회전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부 외측을 따라 형성된다.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은, 제1 회전형 완충부(534)가 배치될 수 있도록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부 일측에서 곡선형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2 완충부 배치홈(544)은, 제2 회전형 완충부(535)가 배치될 수 있도록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부 타측에서 곡선형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545)는,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중단 지지 기둥(541)의 하부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중단 지지부(540)는, 회전 지지부(530)와 하단 지지부(520)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 지지부(530)를 지지하는 동시에, 회전 지지부(53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기둥 안착홈(522)에서 지지 유체(523)를 가압하면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도 5의 하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하단 지지부(520)는, 안착 블록(521), 기둥 안착홈(522), 지지 유체(523), 수직 이동 가이드홈(524) 및 보조 완충부(525)를 포함한다.
안착 블록(521)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기둥 안착홈(522), 지지 유체(523), 수직 이동 가이드홈(524) 및 보조 완충부(525)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기둥 안착홈(522)은, 중단 지지 기둥(541)이 안착될 수 있도록 중단 지지 기둥(541)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면서 안착 블록(521)의 상부에 형성되고, 중단 지지 기둥(541)이 삽입되고 남아 있는 하측 공간에 지지 유체(523)가 수용된다.
이때, 지지 유체(523)는, 중단 지지 기둥(541)에 의해 밀폐되는 기둥 안착홈(522)의 하단에 수용되는 것이며, 중단 지지 기둥(541)의 기둥 안착홈(522)에서의 상하 이동에 상관 없이 기둥 안착홈(522)으로부터 유출되지 아니하여야 할 것이다.
지지 유체(523)는, 물 또는 오일 등과 같이 그 형상의 변형이 가능하고 유동성을 가지고 있는 물체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중단 지지 기둥(541)이 삽입되고 남아 있는 기둥 안착홈(522)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기둥 안착홈(522)에 삽입되어 있는 중단 지지 기둥(541)을 지지한다.
수직 이동 가이드홈(524)은,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545)가 안착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기둥 안착홈(522)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된다.
보조 완충부(525)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 블록(521)의 하부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기둥 안착홈(522)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지지 유체(523)를 공급받거나 공급받았던 지지 유체(523)를 기둥 안착홈(522)의 하부 공간으로 배출시켜 주면서 중단 지지 기둥(54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완충부(525)는, 이너 하우징(5251), 지지 파티션(5252) 및 파티션 지지 스프링(52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하우징(5251)은,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안착 블록(521)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 지지부(53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기둥 안착홈(522)을 따라 수직 하강되는 중단 지지 기둥(541)에 의해 압축되는 지지 유체(523)를 기둥 안착홈(522)으로부터 전달받아 상측으로부터 수용한다.
여기서, 기둥 안착홈(522)과 이너 하우징(5251) 사이에는, 지지 유체(523)의 이동을 중계하기 위한 유체 이동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 파티션(5252)은, 이너 하우징(5251)의 내부 공간을 지지 유체(523)가 수용되는 상부 공간과 파티션 지지 스프링(5253)이 설치되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공간으로 구획시키면서 이너 하우징(5251)의 중단에 설치된다.
파티션 지지 스프링(5253)은, 이너 하우징(5251)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지지 파티션(5252)의 하측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단 지지부(520)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단 지지부(540)를 지지하는 동시에, 중단 지지부(540)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중단 지지부(540)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 시 압축되는 지지 유체(523)의 배출 또는 유입 과정에서 진동 또는 충격 등의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서비스 유형 및 기능별 플랫폼 모듈화 시스템
100: 플랫폼 요청부
200: 플랫폼 제공 서버

Claims (10)

  1. 모듈화된 플랫폼을 이용하여 온라인 웹 서비스 또는 온라인 모바일 서비스 구축하고자 하는 의뢰 업체에 설치되며, 의뢰 업체의 온라인 웹 서비스 또는 온라인 모바일 서비스 구축을 담당하는 서비스 구축 담당자로부터 온라인 웹 서비스 또는 온라인 모바일 서비스 구축을 위한 플랫폼의 제공을 요청 받는 플랫폼 요청부; 및
    온라인 웹 서비스 또는 온라인 모바일 서비스 구축을 위한 플랫폼을 온라인 서비스의 유형 및 기능 별로 모듈화하여 저장해 두며, 상기 플랫폼 요청부로부터 요청되는 온라인 서비스에 대응하는 유형 및 기능에 대응하는 플랫폼을 탐색 후 상기 플랫폼 요청부로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요청부는,
    서비스 구축 담당자가 착석하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스크;
    상기 하나 이상의 데스크의 각 전단 테두리와 대향하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데스크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연장 형성되는 레일 프레임; 및
    상기 데스크에서 업무 중인 서비스 구축 담당자에게 화면을 출력하여 보여줄 수 있도록 상기 레일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레일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형 모니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형 모니터는,
    서비스 구축 담당자에게 화면을 출력하여 보여주기 위한 모니터 본체; 및
    상기 모니터 본체의 후단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모니터 본체를 상기 레일 프레임에 거치하며, 상기 레일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모니터 본체를 이동시켜 주는 슬라이딩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는,
    상기 레일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의 후단에 배치되는 제1 슬라이딩 블록;
    후단이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회동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의 전단에 배치되는 제2 슬라이딩 블록;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후단에서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의 후단을 따라 설치되는 렉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주는 구동 기어;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 상부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전단 상측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지지휠;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 하부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전단 하측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2 지지휠;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 일측과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후단 일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 사이를 지지하는 제1 블록 지지부; 및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 타측과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후단 타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 사이를 지지하는 제2 블록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록 지지부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의 후단을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
    상기 상단 지지부와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의 전단에 안착되는 하단 지지부;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지지부; 및
    상부가 상기 회전 지지부에 나사 결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하단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지지부를 지지하는 중단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지지부는,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측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상단 지지부를 지지하는 회전형 지지 원통;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이 상기 상단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회전 체결홈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회전 체결 돌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나사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지지부의 상부 일측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1 회전형 완충부; 및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지지부의 상부 타측에 안착되어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와 함께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2 회전형 완충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유형 및 기능별 플랫폼 모듈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 지지부는,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중단 지지 기둥;
    상기 제1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상단 지지부로부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이 회전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외측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나사산;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완충부 배치홈;
    상기 제2 회전형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완충부 배치홈; 및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하부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서비스 유형 및 기능별 플랫폼 모듈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지지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 블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면서 상기 안착 블록의 상부에 형성되는 기둥 안착홈;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이 삽입되고 남아 있는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기둥 안착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을 지지하는 지지 유체;
    상기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가 안착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는 수직 이동 가이드홈; 및
    상기 안착 블록의 하부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지지 유체를 공급받거나 공급받았던 상기 지지 유체를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으로 배출시켜 주면서 상기 중단 지지 기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보조 완충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유형 및 기능별 플랫폼 모듈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완충부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 블록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지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기둥 안착홈을 따라 수직 하강되는 상기 중단 지지 기둥에 의해 압축되는 상기 지지 유체를 전달받아 상측으로부터 수용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지지 유체가 수용되는 상부 공간과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공간으로 구획시키면서 상기 이너 하우징의 중단에 설치되는 지지 파티션; 및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파티션의 하측을 지지하는 파티션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서비스 유형 및 기능별 플랫폼 모듈화 시스템.
KR1020220149056A 2022-11-09 2022-11-09 서비스 유형 및 기능별 플랫폼 모듈화 시스템 KR102605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9056A KR102605173B1 (ko) 2022-11-09 2022-11-09 서비스 유형 및 기능별 플랫폼 모듈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9056A KR102605173B1 (ko) 2022-11-09 2022-11-09 서비스 유형 및 기능별 플랫폼 모듈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173B1 true KR102605173B1 (ko) 2023-11-22

Family

ID=88973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9056A KR102605173B1 (ko) 2022-11-09 2022-11-09 서비스 유형 및 기능별 플랫폼 모듈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17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570B1 (ko) * 2016-08-18 2017-04-18 주식회사 케이엔지니어링 랙-피니언 타입의 태양광 모듈의 각도 조절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315312B1 (ko) * 2021-03-10 2021-10-20 이대영 지리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324302B1 (ko) 2021-05-26 2021-11-11 (주)피삼십일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220000315A (ko) * 2020-06-25 2022-01-03 (주)세욱실업 내진형 다중 창호 시스템
KR20220000491A (ko) * 2020-06-26 2022-01-04 주식회사 티앤엠테크 모듈화된 인공지능 모델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220037839A (ko) * 2020-09-18 2022-03-25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마이크로서비스 기반의 자가성장형 소프트웨어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1553A (ko) * 2020-11-06 2022-05-13 주식회사 국민은행 영업점 창구 오피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570B1 (ko) * 2016-08-18 2017-04-18 주식회사 케이엔지니어링 랙-피니언 타입의 태양광 모듈의 각도 조절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220000315A (ko) * 2020-06-25 2022-01-03 (주)세욱실업 내진형 다중 창호 시스템
KR20220000491A (ko) * 2020-06-26 2022-01-04 주식회사 티앤엠테크 모듈화된 인공지능 모델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220037839A (ko) * 2020-09-18 2022-03-25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마이크로서비스 기반의 자가성장형 소프트웨어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1553A (ko) * 2020-11-06 2022-05-13 주식회사 국민은행 영업점 창구 오피스 시스템
KR102315312B1 (ko) * 2021-03-10 2021-10-20 이대영 지리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324302B1 (ko) 2021-05-26 2021-11-11 (주)피삼십일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92480C (zh) 显示器
CN100418392C (zh) 显示设备
KR102605173B1 (ko) 서비스 유형 및 기능별 플랫폼 모듈화 시스템
KR102153445B1 (ko)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EP2002549A2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revenue through the display of hyper-relevant advertising on moving objects
CN101289076A (zh) 车用屏幕装置
CN102196788A (zh) 视标显现装置、图像显示系统以及车载用显示装置
CN1641471A (zh) 图像显示装置
CN210223126U (zh) 一种基于教育培训的vr体验装置
CN101520879A (zh) 显示一体型图像形成装置
US20080284983A1 (en) Mobile Digital Media Display System
US9852650B2 (en) Simulation device
US20030222978A9 (en) Directional image display
CN201306381Y (zh) 转轴装置
CN102537605A (zh) 多功能液晶电视底座旋转机构
CN214377067U (zh) 一种基于教育培训的vr体验装置
CN211328179U (zh) 应用于全景影院的座椅摇摆装置和全景影院
KR102539945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유아용 영상 콘텐츠 선호도 조사 시스템
AU686947B2 (en) A compliant orthogonal motion base
CN112248902A (zh) 一种led显示屏灵活转换式广告宣传车
KR102461596B1 (ko) 대중음식점에 대형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광고 송출하는 비즈니스 모델
CN217133872U (zh) 一种轨道交通行车组织培训装置
CN219296789U (zh) 一种抖纸装置
KR20170002848U (ko) 빔프로젝터 및 특수필름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CN211929020U (zh) 一种用于数字博物馆的展品成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