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120B1 - 작업성 및 효율성 개선을 위한 전자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작업성 및 효율성 개선을 위한 전자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120B1
KR102605120B1 KR1020210158112A KR20210158112A KR102605120B1 KR 102605120 B1 KR102605120 B1 KR 102605120B1 KR 1020210158112 A KR1020210158112 A KR 1020210158112A KR 20210158112 A KR20210158112 A KR 20210158112A KR 102605120 B1 KR102605120 B1 KR 102605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unit
electronic
electronic wast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2528A (ko
Inventor
박종헌
Original Assignee
박종헌
주식회사 태강리싸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헌, 주식회사 태강리싸이텍 filed Critical 박종헌
Priority to KR1020210158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120B1/ko
Publication of KR20230072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1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2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spiked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10Mills in which a friction block is towed along the surface of a cylindrical or annular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PCB)이나 전자부품의 전자스크랩 등을 포함하는 전자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인쇄회로기판(PCB) 및 전자스크랩을 포함하는 전자폐기물을 이송하는 폐기물 이송부, 상기 폐기물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전자폐기물을 분리 및 해체하는 폐기물 해체부, 상기 전자폐기물에 포함된 성분을 조사하고 전자폐기물의 폐기와 유가금속 회수 여부 및 폐기물의 재활용 가능 여부를 판별하는 정보 취득부, 상기 전자폐기물을 크기별과 형상별 및 성분별로 선별하는 폐기물 선별부, 상기 폐기물 선별부를 통해 선별된 전자폐기물을 파쇄하고 분리하는 폐기물 분리부, 및 상기 폐기물 분리부를 통해 분리된 전자폐기물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폐기물 회수부를 포함하는 전자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해체부는 인쇄회로기판(PCB) 및 전자스크랩을 포함하는 전자폐기물을 분리 및 해체하는 작업을 위한 작업대가 마련되며, 상기 작업대는 수평 배치되는 작업테이블과, 상기 작업테이블에 결합되는 높낮이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지면에 안착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측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하단부가 고정 결합된 채로 직립 설치되는 파이프 구조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에 위치되어 직립 설치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단부가 고정부재를 관통하여 베이스프레임 상에서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정역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샤프트;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에 위치된 채로 회전샤프트 상에 나사 결합되어 정역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昇降)하도록 지지 결합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에 하단부가 고정 결합된 채로 직립 설치 및 지지부재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입출(入出)하도록 구비되고 상면에 작업테이블이 고정 결합되는 파이프 구조의 높낮이조절부재; 상기 모터 측 정역회전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발판구동신호부;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작업테이블의 사이에 배치 및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내면에는 회전방지 및 직선 이동을 유도하도록 승강가이드를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승강부재에 대해 승강(昇降) 이동을 안정되게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성 및 효율성 개선을 위한 전자폐기물 재활용 시스템{ELECTRONIC WASTE RECYCLING SYSTEM FOR IMPROVING EFFICIENCY AND WORKABILITY}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PCB)이나 전자부품의 전자스크랩 등을 포함하는 전자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시 작업 편의성 및 용이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하고 분진 발생 및 비산을 방지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함은 물론 분진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전자폐기물의 분쇄 처리시 분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일정 크기의 분쇄물로 분쇄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성을 갖는 작업성 및 효율성 개선을 위한 전자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새로운 기능이 추가된 다양한 전자기기들의 개발로 디지털시대에 살고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빠르고 편리한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하지만 전자폐기물의 발생량 또한 급증하므로 인해 주변지역의 환경오염은 물론 미래의 삶을 파괴하는 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폐기물은 인쇄회로기판(PCB) 및 전자부품 등의 전자스크랩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생활가전이나 제조공정 등지에서 발생하는데, 재활용이 어렵고 공정이 까다롭다.
이와 같은 전자폐기물은 그 성분구성이 통상적으로 전체 구성 중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스터(Polyester) 및 폴리카네이트(Polycarbonate)로 되는 약 30%의 플라스틱성분과, 실리카, 알루미나, 알칼리-알카리토산화물 등 난용성 산화물이 약 40%정도의 분포로 포함되며, 기타 구리(Cu),철(Fe), 니켈(Ni), 주석(Sn), 납(Pb), 알루미늄(Al), 아연(Zn) 등과 같은 일반금속과 금(Au), 은(Ag), 파라디움(Pd) 등과 같은 귀금속 성분 약 30%가 혼재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전자스크랩 중 인쇄회로기판에는 그 표면에 프린트된 인쇄회로망, 에지컨넥터(edge connectors) 및 이에 배치된 집적회로인 IC, 트랜지스터 등의 반도체소자는 상기한 유가 귀금속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 상의 유가 귀금속의 형태는 Cu로 된 핀이나 단자, 박판에 코팅된 Au 및 Pb, Au bonding wires, Ni 또는 Fe에 코팅되는 Au 및 Ag 페이스트, 백금족 금속을 함유한 혼합금속 및 합금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비교적 많은 양의 유가금속이 포함되어 있다.
이처럼 인쇄회로기판 자체에 프린트된 유가금속의 인쇄회로망, 에지콘넥터와 인쇄회로기판상에 장착된 집적회로(IC), 트랜지스터 등과 같은 반도체소자 등의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전자스크랩을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분리하여 유가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종래의 유가금속 정련 전의 전처리 방법은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전자스크랩을 분리시키지 않고, 인쇄회로기판에 전자스크랩이 배치되어 장착된 상태인 채로 해머밀 등을 사용하여 인쇄회로기판과 전자스크랩을 동시에 절단한다.
그런 다음 1차 선별한 후, 다시 볼밀 등으로 인쇄회로기판의 유가금속이 포함된 플라스틱성분과 전자스크랩의 유가금속성분 등을 섞인 상태에서 같이 동시에 분쇄한다.
그 뒤 여러단계의 복잡한 선별공정을 거쳐 플라스틱성분과 유가금속성분을 구분하여 선별한 후, 선별된 유가금속성분을 다시 습식 또는 건식농축제련공정이나 전기화학공정 등의 정련공정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Au, Ag, Pd, Cu 등과 같은 귀금속 등의 유가금속을 분류, 회수하여 재활용하게 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처리방법은 절단 및 분쇄작업시 인쇄회로기판의 플라스틱성분을 절단, 분쇄하는 고비용의 다중 집진설비가 요구되는 설비상의 불리점과 동력이 커지는 운전상의 불이익이 나타나고 있어 처리비용이 비교적 고비용인 경제적인 부담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인쇄회로기판 자체를 전처리하는 과정에서 완전히 파쇄하고 분쇄하는 방법으로 처리함으로서 인쇄회로기판 자체의 재활용이나 분쇄한 플라스틱류의 회수가 어려워 인쇄회로기판의 재활용율이 저하되어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출원인은 국내등록특허 제10-1481372호를 제안 및 등록한 바 있으며, 기존 제안 특허에서 발생되는 불편사항 및 개선사항들의 해결책을 이하에서 새롭게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1372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자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시 작업 편의성 및 용이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한 작업성 및 효율성 개선을 위한 전자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자폐기물의 분쇄 처리시 분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일정 크기의 분쇄물로 분쇄할 수 있도록 한 작업성 및 효율성 개선을 위한 전자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자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시 분진 발생 및 비산을 방지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며, 분진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작업성 및 효율성 개선을 위한 전자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성 및 효율성 개선을 위한 전자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은, 인쇄회로기판(PCB) 및 전자스크랩을 포함하는 전자폐기물을 이송하는 폐기물 이송부, 상기 폐기물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전자폐기물을 분리 및 해체하는 폐기물 해체부, 상기 전자폐기물에 포함된 성분을 조사하고 전자폐기물의 폐기와 유가금속 회수 여부 및 폐기물의 재활용 가능 여부를 판별하는 정보 취득부, 상기 전자폐기물을 크기별과 형상별 및 성분별로 선별하는 폐기물 선별부, 상기 폐기물 선별부를 통해 선별된 전자폐기물을 파쇄하고 분리하는 폐기물 분리부, 및 상기 폐기물 분리부를 통해 분리된 전자폐기물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폐기물 회수부를 포함하는 전자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해체부는 인쇄회로기판(PCB) 및 전자스크랩을 포함하는 전자폐기물을 분리 및 해체하는 작업을 위한 작업대가 마련되며, 상기 작업대는 수평 배치되는 작업테이블과, 상기 작업테이블에 결합되는 높낮이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지면에 안착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측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하단부가 고정 결합된 채로 직립 설치되는 파이프 구조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에 위치되어 직립 설치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단부가 고정부재를 관통하여 베이스프레임 상에서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정역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샤프트;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에 위치된 채로 회전샤프트 상에 나사 결합되어 정역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昇降)하도록 지지 결합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에 하단부가 고정 결합된 채로 직립 설치 및 지지부재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입출(入出)하도록 구비되고 상면에 작업테이블이 고정 결합되는 파이프 구조의 높낮이조절부재; 상기 모터 측 정역회전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발판구동신호부;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작업테이블의 사이에 배치 및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내면에는 회전방지 및 직선 이동을 유도하도록 승강가이드를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승강부재에 대해 승강(昇降) 이동을 안정되게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폐기물 분리부는 폐기물 분쇄부를 포함하되, 상기 폐기물 분쇄부는, 상부투입구 및 하측방향으로 테이퍼지는 분쇄공간을 갖는 분쇄본체; 상기 분쇄본체의 분쇄공간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커터조립체; 상기 분쇄본체의 분쇄공간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커터조립체에 마주하여 적어도 1개 이상이 설치되는 고정커터; 상기 분쇄본체의 분쇄공간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 힌지 결합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투입구를 통해 분쇄공간 내로 투입되는 전자폐기물을 회전커터 측으로 강제 가압하여주는 회동가압푸셔;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커터조립체는,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도록 분쇄본체의 분쇄공간 하부에 위치하여 지지 결합되고 외주면에 헬리컬 기어타입의 요철부를 갖는 분쇄드럼; 상기 분쇄드럼의 요철부 측 요(凹)부 상에 체결되어 전자폐기물에 타격을 가하는 타격블럭; 상기 분쇄드럼의 요철부 측 요(凹)부 상에 체결하되 타격블럭과 교번되게 위치하도록 순차 배치되고 전자폐기물을 파쇄하는 분쇄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타격블럭과 분쇄블럭은 다수 개로 구비되고, 상단부가 분쇄드럼의 요철부 측 철(凸)부보다 돌출되게 장착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폐기물 해체부, 정보 취득부, 폐기물 선별부, 폐기물 분리부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분진흡입수단을 설치하되, 상기 분진흡입수단은,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분진흡입구 상에 분진흡입휀이 설치되는 분진흡입본체와, 상기 분진흡입휀의 후단에 설치되어 분진흡입본체의 내부로 흡입되는 분진을 흡착하여 제거하기 위한 분진흡착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진흡입본체의 내면과 분진흡입휀의 표면에는 각각 분진부착방지층을 갖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폴리비닐알코올, 퍼플루오르알콕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진흡착제거부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에 의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표면에 일정 두께로 코팅 형성되는 분진흡착제거층과, 상기 지지체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인가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진흡착제거층은 제올라이트, 퍼라이트, 활성탄 중에서 선택된 1종에 의한 분진흡착제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에 의한 바인더와, 나이트로메테인트리스프로판올, 스테아릴알콜, 디부틸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에 의한 개공제와,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폴리에틸렌, 실리콘,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아세틸렌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이 사용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시 작업 편의성 및 용이성을 높여줄 수 있고 분진 발생 및 비산을 방지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음은 물론 분진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전자폐기물의 분쇄 처리시 분쇄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 크기의 분쇄물로 분쇄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성 및 효율성 개선을 위한 전자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 정보 취득부를 나타낸 개략적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 폐기물 선별부 및 폐기물 분리부를 나타낸 개략적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 폐기물 회수부를 나타낸 개략적 블록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 작업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 분진흡입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 폐기물 분쇄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성 및 효율성 개선을 위한 전자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기물 이송부(100), 폐기물 해체부(200), 정보 취득부(300), 폐기물 선별부(400), 폐기물 분리부(500) 및 폐기물 회수부(6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폐기물 이송부(100)는 폐기물 처리장으로 입고된 전자통신장비, 전자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은 각종 전자기기를 폐기물 해체부(200)로 이송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상기 폐기물 이송부(100)는 폐기물 해체부(200), 정보 취득부(300), 폐기물 선별부(400), 폐기물 분리부(500) 및 폐기물 회수부(600)의 사이 사이에 배치되어 다음 단계로 대상물을 이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폐기물 해체부(200)는 폐기물 처리장으로 입고된 전자통신장비, 전자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은 각종 전자기기로부터 인쇄회로기판(PCB) 및 전자스크랩을 포함하는 전자폐기물을 분리 및 해체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폐기물 해체부(200)는 인쇄회로기판(PCB) 및 전자스크랩을 포함하는 전자폐기물을 분리 및 해체하는 작업을 위한 작업대(200A)가 마련된다.
상기 작업대(200A)는 수평 배치되는 작업테이블(210)과 상기 작업테이블(210)에 결합되는 높낮이 조절부(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높낮이 조절부(220)는 지면에 안착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22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221) 상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222)와, 상기 베이스프레임(221)의 타측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재(223)와, 상기 고정부재(223)에 하단부가 고정 결합된 채로 직립 설치되는 파이프 구조의 지지부재(224)와, 상기 지지부재(224)의 내측에 위치되어 직립 설치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단부가 고정부재(223)를 관통하여 베이스프레임(221) 상에서 모터(222)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정역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샤프트(225)와, 상기 지지부재(224)의 내측에 위치된 채로 회전샤프트(225) 상에 나사 결합되어 정역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昇降)하도록 지지 결합되는 승강부재(226)와, 상기 승강부재(226)에 하단부가 고정 결합된 채로 직립 설치 및 지지부재(224)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입출(入出)하도록 구비되고 상면에 작업테이블(210)이 고정 결합되는 파이프 구조의 높낮이조절부재(227)와, 상기 모터(222) 측 정역회전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발판구동신호부(228)와, 상기 베이스프레임(221)과 작업테이블(210)의 사이에 배치 및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링크부(229)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24)의 내면에는 회전방지 및 직선 이동을 유도하도록 승강가이드를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승강부재(226)에 대해 직선 이동에 의한 승강(昇降)을 안정되게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샤프트(225)는 베이스프레임(221) 또는 고정부재(223) 상에 베어링배치홈을 형성한 상태에 베어링을 배치함으로써 베어링 결합구조를 갖게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모터(222)와 회전샤프트(225) 간에는 스프로킷과 체인 또는 풀리와 벨트 등의 동력전달부재를 사용하여 모터(222) 측 회전동력을 회전샤프트(225)로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작업테이블(210)은 교체 사용이 가능하도록 높낮이조절부재(227)와 상호 대응하는 체결 구조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높낮이 조절부(220)는 베이스프레임(221) 상에 좌우 한쌍 구조로 배치할 수 있으며, 하나의 모터(222)를 사용하여 승강 동작을 연동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작업대(200A)를 통해서는 작업자에 따라 자신의 신체에 맞게 높낮이를 조절한 상태로 전자폐기물의 분리 및 해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 용이성 및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근골격계 질환 방지 및 작업피로감을 줄여줄 수 있다.
상기 정보 취득부(300)는 폐 전자기기로부터 분리된 인쇄회로 기판, 전자 스크랩을 포함하는 폐기물이 입고되면, 이 전자폐기물에 포함된 성분을 조사하고, 전자폐기물의 폐기 및 유가금속 회수 여부, 전자폐기물의 재활용 가능 여부를 판별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정보 취득부(300)는 전자폐기물에 포함된 성분들을 성분비에 따라 구분하면서 각각 포함된 성분비를 독출하는 성분 독출부(310)와, 독출된 성분들의 비율에 따라 파쇄에 의한 폐기, 용융에 의한 유가금속 회수 및 재활용으로 구분하여 분리 배출하는 폐기물 배출부(320)와, 상기 성분 독출부(310)를 통해 종류별로 분리된 폐기물들이 각각 분리되게 저장되는 폐기물 저장부(330), 및 정보 취득부(300)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인가부(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폐기물 저장부(330)는 성분 독출부(310)로부터 폐기 판단이 이루어진 전자폐기물이 저장되는 제1저장부(331)와, 유가금속 회수 판단이 이루어진 전자폐기물이 저장되는 제2저장부(332), 및 재활용 판단이 이루어진 전자폐기물이 저장되는 제3저장부(333)로 분리 구성된다.
상기 성분 독출부(310)는 독출되는 성분들의 성분비에 따라 폐기, 유가금속 회수, 재활용으로 구분하며, 입고된 전자폐기물 중, 플라스틱성분이 성분비 30~35%와, 난용성 산화물이 성분비로 30~40%, 유가금속 및 귀금속 성분이 성분비 30~35%의 최소 기준치를 미달하는 전자 폐기물과, 최대 기준치를 초과하는 전자 폐기물을 구분하고, 성분 기준치에 포함되는 전자폐기물을 구분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성분 독출부(310)는 구분이 완료된 전자 폐기물들을 폐기물 배출부(320)로 각각 이송한다.
이때, 선별 구분된 전자폐기물의 이송시, 전자폐기물들로부터 금속재질 및 비금속재질의 분진이 발생 및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진흡입수단(7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분진흡입수단(700)은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분진흡입구 및 배출구를 갖되 분진흡입구의 초입부 상에 분진흡입휀(720)이 설치되는 챔버 또는 덕드형 타입의 분진흡입본체(710)와, 상기 분진흡입휀(720)의 후단에 설치되어 분진흡입본체(710)의 내부로 흡입되는 분진을 흡착하여 제거하기 위한 분진흡착제거부(730)를 포함한다.
상기 분진흡입본체(710)의 내면과 분진흡입휀(720)의 표면에는 각각 분진부착방지층을 형성함으로써 분진흡입수단의 사용 수명을 연장 및 분진흡입 및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분진부착방지층은 분진의 부착방지를 위해 표면 저항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아크릴아마이도메틸프로판술폰닉엑시드,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퍼플루오르알콕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진흡착제거부(730)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에 의한 지지체(731)와, 상기 지지체(731)의 표면에 일정 두께로 코팅 형성되는 분진흡착제거층(732)과, 상기 지지체(731)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인가부(73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분진흡착제거층(732)을 갖는 지지체(731)는 분진흡입본체(710) 내 분진흡입경로 상에 위치하여 다수가 간격 배열되고, 상기 전원인가부(733)를 통해 (+) 및 (-) 전원이 순차적으로 인가되도록 설치한다.
여기에서, 상기 상기 분진흡착제거층(732)을 갖는 지지체(731)는 분진 제거효율을 높이기 위해 1~2cm의 간격으로 배열한다.
여기에서, 상기 분진흡착제거층(732)은 분진 흡착을 위한 분진흡착제와 바인더, 기공 폐쇄를 방지하기 위한 개공제, 및 분진 흡착성을 높여주기 위한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진흡착제로는 흡착기능을 가지면서 다공성 물질로서, 제올라이트, 퍼라이트, 활성탄 중에서 선택된 1종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로는 바인더로서 기능과 더불어 기공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공성 구조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공제로는 나이트로메테인트리스프로판올, 스테아릴알콜, 디부틸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전도성을 갖는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폴리에틸렌, 실리콘,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아세틸렌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분진 제거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분진흡입휀(720)의 가동을 통한 유입공기량은 80~110L/min로 하고, 유입속도는 5~8cm/sec로 처리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분진흡입수단(700)은 폐기물 해체부(200), 폐기물 선별부(400) 및 폐기물 분리부(500) 상에도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폐기물 배출부(320)를 통해 제1저장부(331)에 저장된 전자폐기물은 후술할 폐기물 분리부(500)의 폐기물 분쇄부(510)로 이송되어 일정한 크기로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제2저장부(332) 및 제3저장부(333)에 각각 저장된 전자폐기물들은 폐기물 선별부(400)를 통해 선별 조건에 따라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폐기물 배출부(310)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 폐기물 선별부(400)는 폐기물 저장부(330)에 각각 분리되게 저장된 전자폐기물들을 크기별, 형상별로 선별하는 1차 선별부(410)와, 1차 선별부(410)에 의해 선별된 전자폐기물에 포함된 성분을 금속과 비금속 및 유가금속, 도체와 반도체로 선별하는 2차 선별부(420)와, 선별된 전자폐기물 중, 비가열성 반도체가 포함된 전자폐기물을 별도로 선별하는 3차 선별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폐기물 선별부(400)는 폐기물 저장부(330)에 각각 분리된 상태로 저장된 전자폐기물들이 순차적으로 공급되어 선별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2차 선별시에는 통상의 진동선별, 또는 자력선별에 의해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폐기물 선별부(400)는 제2 및 제3저장부(331)(332)에 저장된 전자폐기물들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1차 선별하고, 1차 선별된 전자폐기물을 크기별과 형상별 순서로 2차 선별부(420)로 공급하며, 2차 선별부(420)에서는 1차 선별이 이루어진 전자폐기물들을 금속, 비금속, 유가금속, 도체, 반도체의 포함 여부를 확인하여 선별이 이루어지며, 선별된 전자 폐기물들은 반도체의 포함 여부에 따라 3차 선별부(430)로 이송되거나 폐기물 분리부(500)측으로 이송된다.
아울러, 상기 3차 선별부(430)는 전자폐기물에 반도체가 포함된 상태의 전자 폐기물들만 이송되어 반도체의 종류에 따라 선별이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로서, 가열성 반도체와 비가열성 반도체로 선별하여 폐기물 분리부(500)측으로 이송한다.
상기 폐기물 분리부(500)는 폐기물 분쇄부(510), 금속 분리부(520) 및 반도체 분리부(530)를 포함한다.
상기 폐기물 분쇄부(510)는 제1저장부(331)에 저장된 전자폐기물 및 2차 선별부(420)를 통해 선별된 전자폐기물을 공급받으며, 이 전자폐기물을 일정 크기 이내로 분쇄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폐기물 분쇄부(510)는 상부투입구 및 하측방향으로 테이퍼지는 분쇄공간을 갖는 분쇄본체(511)와, 상기 분쇄본체(511)의 분쇄공간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커터조립체(512)와, 상기 분쇄본체(511)의 분쇄공간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커터조립체에 마주하여 적어도 1개 이상이 설치되는 고정커터(513)와, 상기 분쇄본체(511)의 분쇄공간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 힌지 결합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투입구를 통해 분쇄공간 내로 투입되는 전자폐기물을 회전커터조립체(512) 측으로 강제 가압하여주는 회동가압푸셔(514)를 포함한다.
상기 분쇄본체(511)에는 회전커터조립체(512)의 하부에 위치하여 분쇄된 전자폐기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커터조립체(512)는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도록 분쇄본체(511)의 분쇄공간 하부에 위치하여 지지 결합되고 외주면에 헬리컬 기어타입의 요철부를 갖는 분쇄드럼(512a)과, 상기 분쇄드럼의 요철부 측 요(凹)부 상에 체결되어 전자폐기물에 타격을 가하는 타격블럭(512b)과, 상기 분쇄드럼의 요철부 측 요(凹)부 상에 체결하되 타격블럭과 교번되게 위치하도록 순차 배치되고 전자폐기물을 파쇄하는 분쇄블럭(512c)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타격블럭(512b)과 분쇄블럭(512c)은 다수 개로 구비되고, 상단부가 분쇄드럼(512b)의 요철부 측 철(凸)부보다 돌출되게 장착된다.
상기 금속 분리부(520)는 폐기물 분쇄부(510)를 통해 분쇄된 분쇄물(전자폐기물)들로부터 금속과 비금속 및 유가금속을 분리하는 것으로서, 자체의 자기장을 이용하여 분쇄물로부터 금속계열의 분쇄물을 분리하는 제1분리수단(522)과, 상기 분쇄물들로부터 플라스틱계열의 분쇄물만을 분리하는 제2분리수단(52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유가금속은 제2분리수단(524)측으로 유입되어 플라스틱계열의 분쇄물과 함께 폐기물 회수부(600)로 이송된다.
또한, 유가금속 및 플라스틱계열의 분쇄물의 분리가 완료되면, 자기장을 통해 분리된 금속계열의 분쇄물이 제3분리수단(526)측으로 유입되어 폐기물 회수부(600)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반도체 분리부(530)는 3차 선별부(430)를 통해 선별된 가열성 반도체와 비가열성 반도체가 포함된 전자 폐기물들이 순차적으로 이송되면, 반도체의 종류에 따라 가열방식, 또는 커팅방식을 통해 반도체를 전자 폐기물로부터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반도체 분리부(530)는 가열성 반도체를 포함하는 전자 폐기물에 소정의 열을 가해 전자 폐기물로부터 가열성 반도체를 분리하고, 비가열성 반도체가 포함된 전자 폐기물이 이송되면, 이 비가열성 반도체가 위치한 부분을 커팅공정에 의해 전자 폐기물로부터 절단한 후, 폐기물 회수부(600)측으로 이송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폐기물 회수부(600)는 유가금속과 플라스틱계열의 분쇄물을 분리하여 유가금속만을 회수하는 유가금속 회수부(610)와, 상기 금속 분리부(520)를 통해 분리된 금속계열의 분쇄물을 용융시켜 성분별로 회수하는 금속 회수부(620)와, 상기 반도체 분리부(530)를 통해 분리된 가열성 반도체가 회수되는 제1반도체 회수부(630), 및 비가열성 반도체가 회수되는 제2반도체 회수부(640)를 포함한다.
상기 유가금속 회수부(610)는 유가금속과 플라스틱계열의 분쇄물을 분리하기 위해 금속 분리부(520) 측 제2분리수단(524)을 통해 유입되는 분쇄물을 250~500℃로 가열하여 플라스틱계열의 분쇄물을 용융시키고, 용융이 완료되면 플라스틱계열의 용융물을 냉각부를 통해 100℃의 온도까지 강제 냉각시켜 배출하여 응고된 플라스틱 용융물로부터 유가금속을 분리하여 회수한다.
여기서, 유가금속 회수부(610)는 유가금속의 회수가 이루어지면, 통상의 유가금속 정제방법을 통해 정제하여 회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금속 회수부(620)는 제3분리수단(526)으로부터 유입되는 금속계열의 분쇄물을 전기로를 통해 1200~1600℃의 온도로 1~6시간 동안 용융시키고, 용융이 완료되면, 전기로 내에서 600℃ 까지 산소분압 하에서 자연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금속계열의 분쇄물로부터 금속과 불순물을 분리하여 순수한 금속들만을 회수한다.
상기 제1반도체 회수부(630)는 반도체 분리부(530)를 통해 분리된 가열성 반도체가 회수되는 구성요소이고, 제2반도체 회수부(640)는 커팅공정에 의해 커팅처리된 비가열성 반도체가 포함된 전자폐기물만이 별도로 회수되어 재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에 따라,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통해서는 전자폐기물의 재활용도를 높이고 전자폐기물에 포함된 각종 유가금속을 포함하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으며, 전자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시 작업 편의성 및 용이성을 높여줄 수 있고 분진 발생 및 비산을 방지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음은 물론 분진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전자폐기물의 분쇄 처리시 분쇄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 크기의 분쇄물로 분쇄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권리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폐기물 이송부 200: 폐기물 해체부
200A: 작업대 210: 작업테이블
220: 높낮이조절부 300: 정보 취득부
400: 폐기물 선별부 500: 폐기물 분리부
510: 폐기물 분쇄부 511: 분쇄본체
512: 회전커터조립체 512a: 분쇄드럼
512b: 타격블럭 512c: 분쇄블럭
513: 고정커터 514: 회동가압푸셔
600: 폐기물 회수부 700: 분진흡입수단
710: 분진흡입본체 720: 분진흡입휀
730: 분진흡착제거부 731: 지지체
732: 분진흡착제거층 733: 전원인가부

Claims (4)

  1. 인쇄회로기판(PCB) 및 전자스크랩을 포함하는 전자폐기물을 이송하는 폐기물 이송부, 상기 폐기물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전자폐기물을 분리 및 해체하는 폐기물 해체부, 상기 전자폐기물에 포함된 성분을 조사하고 전자폐기물의 폐기와 유가금속 회수 여부 및 폐기물의 재활용 가능 여부를 판별하는 정보 취득부, 상기 전자폐기물을 크기별과 형상별 및 성분별로 선별하는 폐기물 선별부, 상기 폐기물 선별부를 통해 선별된 전자폐기물을 파쇄하고 분리하는 폐기물 분리부, 및 상기 폐기물 분리부를 통해 분리된 전자폐기물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폐기물 회수부를 포함하는 전자폐기물 재활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해체부는 인쇄회로기판(PCB) 및 전자스크랩을 포함하는 전자폐기물을 분리 및 해체하는 작업을 위한 작업대가 마련되며,
    상기 작업대는 수평 배치되는 작업테이블과, 상기 작업테이블에 결합되는 높낮이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지면에 안착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측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하단부가 고정 결합된 채로 직립 설치되는 파이프 구조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에 위치되어 직립 설치되고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하단부가 고정부재를 관통하여 베이스프레임 상에서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정역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샤프트;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에 위치된 채로 회전샤프트 상에 나사 결합되어 정역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昇降)하도록 지지 결합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에 하단부가 고정 결합된 채로 직립 설치 및 지지부재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입출(入出)하도록 구비되고 상면에 작업테이블이 고정 결합되는 파이프 구조의 높낮이조절부재; 상기 모터 측 정역회전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발판구동신호부;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작업테이블의 사이에 배치 및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링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내면에는 회전방지 및 직선 이동을 유도하도록 승강가이드를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승강부재에 대해 승강(昇降) 이동을 안정되게 수행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폐기물 해체부, 정보 취득부, 폐기물 선별부, 폐기물 분리부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분진흡입수단을 설치하되,
    상기 분진흡입수단은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분진흡입구 상에 분진흡입휀이 설치되는 분진흡입본체와, 상기 분진흡입휀의 후단에 설치되어 분진흡입본체의 내부로 흡입되는 분진을 흡착하여 제거하기 위한 분진흡착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진흡입본체의 내면과 분진흡입휀의 표면에는 각각 분진부착방지층을 갖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폴리비닐알코올, 퍼플루오르알콕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진흡착제거부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에 의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표면에 일정 두께로 코팅 형성되는 분진흡착제거층과, 상기 지지체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인가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진흡착제거층은 제올라이트, 퍼라이트, 활성탄 중에서 선택된 1종에 의한 분진흡착제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에 의한 바인더와; 나이트로메테인트리스프로판올, 스테아릴알콜, 디부틸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에 의한 개공제와;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폴리에틸렌, 실리콘, 폴리피롤, 폴리티오펜, 폴리아세틸렌 중에서 적어도 1종 이상이 사용되는 첨가제; 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 및 효율성 개선을 위한 전자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분리부는 폐기물 분쇄부를 포함하되,
    상기 폐기물 분쇄부는 상부투입구 및 하측방향으로 테이퍼지는 분쇄공간을 갖는 분쇄본체; 상기 분쇄본체의 분쇄공간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커터조립체; 상기 분쇄본체의 분쇄공간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커터조립체에 마주하여 적어도 1개 이상이 설치되는 고정커터; 상기 분쇄본체의 분쇄공간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 힌지 결합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투입구를 통해 분쇄공간 내로 투입되는 전자폐기물을 회전커터 측으로 강제 가압하여주는 회동가압푸셔;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커터조립체는 구동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도록 분쇄본체의 분쇄공간 하부에 위치하여 지지 결합되고 외주면에 헬리컬 기어타입의 요철부를 갖는 분쇄드럼; 상기 분쇄드럼의 요철부 측 요(凹)부 상에 체결되어 전자폐기물에 타격을 가하는 타격블럭; 상기 분쇄드럼의 요철부 측 요(凹)부 상에 체결하되 타격블럭과 교번되게 위치하도록 순차 배치되고 전자폐기물을 파쇄하는 분쇄블럭; 을 포함하며,
    상기 타격블럭과 분쇄블럭은 다수 개로 구비되고, 상단부가 분쇄드럼의 요철부 측 철(凸)부보다 돌출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 및 효율성 개선을 위한 전자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3. 삭제
  4. 삭제
KR1020210158112A 2021-11-17 2021-11-17 작업성 및 효율성 개선을 위한 전자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KR102605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112A KR102605120B1 (ko) 2021-11-17 2021-11-17 작업성 및 효율성 개선을 위한 전자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112A KR102605120B1 (ko) 2021-11-17 2021-11-17 작업성 및 효율성 개선을 위한 전자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528A KR20230072528A (ko) 2023-05-25
KR102605120B1 true KR102605120B1 (ko) 2023-11-24

Family

ID=86542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112A KR102605120B1 (ko) 2021-11-17 2021-11-17 작업성 및 효율성 개선을 위한 전자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1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372B1 (ko) * 2014-09-23 2015-01-14 박종헌 전자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KR101931252B1 (ko) * 2018-06-05 2018-12-20 최종길 산업폐기물 분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1091A (ja) * 1995-11-30 1997-06-10 Berutetsukusu:Kk 昇降式ターンテーブル作業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372B1 (ko) * 2014-09-23 2015-01-14 박종헌 전자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KR101931252B1 (ko) * 2018-06-05 2018-12-20 최종길 산업폐기물 분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528A (ko)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47125A1 (zh) 废橡胶回收加工方法及其装置
KR101230869B1 (ko) Pcb기판의 유가금속 및 부품 회수장치와 이를 이용한 회수방법
KR101441860B1 (ko)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장치 및 이를 사용한 회수방법
CN107983468B (zh) 一种磨切式的矿石处理用粉碎设备
CN110882797A (zh) 一种冶金用原料粉碎加工装置
CN1966165A (zh) 废pcb电子线路基板、线路板边角料及粉屑再利用工艺处理方法
KR102605120B1 (ko) 작업성 및 효율성 개선을 위한 전자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CN108380644A (zh) 一种带有显示屏和电路板的废旧家电拆解回收工艺
CN211190527U (zh) 一种pcb板钻孔废料的铜粉回收设备
KR101466887B1 (ko) 인쇄회로기판의 금속 단체분리장치
CN211190529U (zh) 一种废旧pcb板铜粉回收的破碎系统
CN116967255A (zh) 一种回收锂电池热脱附处理系统
CN210058417U (zh) 一种废弃木材与杂物分离装置
CN113353658A (zh) 一种工业固体废弃物装车机构
CN218222843U (zh) 一种锰合金冶炼用矿石自动分级破碎设备
KR101481372B1 (ko) 전자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CN115318620A (zh) 电气石高效提纯装置
CN213193839U (zh) 一种矿用破碎机
CN112439521B (zh) 一种废电路板的铜回收装置
KR102504453B1 (ko) 태양광 모듈의 재활용을 위한 부품 선별장치 및 그 방법
CN213113084U (zh) 一种生产矿棉纤维的高炉设备的出渣机构
CN114273384A (zh) 一种数控加工中心废料回收装置
CN209866321U (zh) 一种安全节能型尾矿回收设备
CN101665876B (zh) 有色金属冶炼尾渣存留金属提取机
CN110508492B (zh) 一种圆盘选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