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096B1 -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생분해성 성형품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생분해성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096B1
KR102605096B1 KR1020220132731A KR20220132731A KR102605096B1 KR 102605096 B1 KR102605096 B1 KR 102605096B1 KR 1020220132731 A KR1020220132731 A KR 1020220132731A KR 20220132731 A KR20220132731 A KR 20220132731A KR 102605096 B1 KR102605096 B1 KR 102605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esin composition
biodegradable resin
crystal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2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지영
김지훈
이창희
장준연
Original Assignee
산수음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수음료(주) filed Critical 산수음료(주)
Priority to KR1020220132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0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0Extru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 B65D65/466Bio- or photodegradable packag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생분해성 성형품이 개시된다. 개시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 100중량부, 결정성 D형 폴리락트산 0.5~14중량부,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 1~8중량부,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 1~12중량부 및 미네랄 필러 11~4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의 분자량은 상기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의 분자량의 20배 이상이다.

Description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생분해성 성형품{Biodegradable resin composition, method of preparing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and biodegradable molded product prepared from the same}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생분해성 성형품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열성과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생분해성 성형품이 개시된다.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플라스틱 필름은 보편화되어 대량으로 생산됨으로써 물품이나 식품의 포장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지구 온난화, 전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플라스틱의 환경 오염, 동물체내 축적화 및 미세 플라스틱의 문제로 PET 등의 종래 플라스틱에 대한 거부감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재생 가능한 식물 자원으로 제조되는 생분해성 바이오 수지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생분해성 수지의 원료로는 천연 고분자인 폴리락트산(PLA: polylactic acid),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polyhydroxybutyrate), 셀룰로오스(cellulose), 녹말(starch), 키틴(chitin), 키토산(chitosan) 등이 있고, 석유계에서 나오는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PBS: polybutylene succinate),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코-부틸렌 아디페이트)(PBSA: poly(butylene succinate-co-butylene adipate)),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 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폴리카프로락톤(PCL: polycaprolactone) 등도 있다.
그 중에서도 PLA는 전분, 사탕수수 등의 재생 가능한 원료에서 얻을 수 있는 생분해성 및 생체 적합성 고분자로서, 뛰어난 기계적 강도, 투명성을 가져 다양한 산업분야에 사용하기 위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PLA는 생체 대사 물질인 락트산(lactic acid)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분해시 완전한 대사가 이루어진다(KFDA: 기계적 특성 물리화학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가이드 (2009년), 한국과학기술정보원 2002년: PLA는 약물 방출 제재로 사용되고 있는 생체 적합성 수지, FCN=food contact notification NO178 인증).
그러나, PLA는 반결정성 고분자로서 쉽게 깨지는 특성(brittleness)이 있어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결정핵제와 가소제를 적절하게 배합하여 결정화도를 증가시켜 보강한다.
한편, 고분자 수지의 일차 구조는 중합 조건에 따라 다양한 구성 배열 형태를 가지는 화학결합에 의해 결정되는 구조이다. 분자쇄의 집합체로 결정 및 비결정 구조를 가지며, 결정구조는 일차 구조 및 이차 구조에 영향을 주고, 고분자 수지의 결정화도는 일차 구조에 달려 있다. 결정의 응집구조는 결정화의 조건인 용융상태, 압력 및 온도 등에 달려 있다. 고분자 수지의 사슬 간의 결합은 외부 환경에 따라 영향을 받아 고분자 수지의 중합도, 사슬의 형태와 입체구조, 및 반복단위의 화학구조 분자내 인력 등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고분자 수지의 중합 및 컴파운드 제조에 따르는 열 및 압력 등에 의한 가공 조건에 따라 최종 제품의 구조 및 특성들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성형 공정에서 결정화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열처리 과정 중에 온도가 너무 높거나, 결정화 시간이 짧아지면 성형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금형에서 취출이 안되거나, 금형에서 취출할 때 제품이 손상되어 제품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내열성과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생분해성 성형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내열성과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 100중량부;
결정성 D형 폴리락트산 0.5~14중량부;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 1~8중량부;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 1~12중량부; 및
미네랄 필러 11~4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의 분자량은 상기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의 분자량의 20배 이상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의 분자량은 8,000 이상이고, 상기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의 분자량은 4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미네랄 필러는 탈크, 탄산칼슘, 카올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산제 1~1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방지제 0.01~4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사슬연장제 0.1~1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160~200℃의 압출기에 투입하는 단계(S10);
상기 압출기의 다이에서 압출되는 압출물로 펠릿을 제조하는 단계(S20); 및
상기 펠릿을 사출온도 160~200℃ 및 금형온도 100~120℃에서 결정화를 위해 금형 내에서 50~110초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성형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 성형품은 용기, 용기뚜껑 또는 식기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과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이란 폴리(L-락티드)(PLLA: Poly(L-Lactide))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결정성 D형 폴리락트산"이란 폴리(D-락티드)(PDLA: Poly(D-Lactide))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성분비"이란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함량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 100중량부, 결정성 D형 폴리락트산 0.5~14중량부,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 1~8중량부,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 1~12중량부 및 미네랄 필러 11~40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이 상기 성분비를 갖는 경우에는 성형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산소투과도 및 수분투과도가 낮고, 내열성, 결정화도, 파단강도, 굴곡탄성률, 내마모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이 상기 성분비를 갖지 않는 경우에는 성형성이 불량하거나, 및/또는 광투과도, 수분투과도, 내열성, 결정화도, 파단강도, 굴곡탄성률, 내마모성 및 충격강도 중 적어도 하나의 물성이 열악한 성형품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은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주성분이다.
상기 결정성 D형 폴리락트산은 핵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의 내열성과 결정화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 및 상기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는 함께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의 파단강도, 굴곡탄성률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의 분자량은 상기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의 분자량의 20배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의 분자량은 8,000 이상이고, 상기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의 분자량은 4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미네랄 필러는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의 충격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미네랄 필러는 탈크, 탄산칼슘, 카올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산제 1~1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성분들을 골고루 잘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분산제는 아미드계 왁스, 금속계 지방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미드계 왁스는 에틸렌비스(스테아르산 아미드)(EBS: ethylene bis(stearami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계 지방산은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아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알루미늄, 올레산 칼슘, 올레산 아연, 올레산 마그네슘, 올레산 알루미늄, 팔미트산 칼슘, 팔미트산 아연, 팔미트산 마그네슘, 팔미트산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방지제 0.01~4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이 성형 과정에서 열에 의해 분해되거나 황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인계 산화방지제, 아민계 산화방지제, 티오계 산화방지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2,6-디-t-부틸-p-크레졸, 옥타데실-3-(4-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테트라비스[메틸렌-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비스[3,3-비스-(4'-히드록시-3'-터트- 부틸페닐)부탄산]글리콜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페놀계 산화방지제로는 ADK STAB AO-60 및/또는 Songnox 1010(송원산업)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계 산화방지제는 인산, 트리메틸포스페이트, 트리에틸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계 산화방지제로는 Songnox 1680(송원산업)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민계 산화방지제는 페닐-α-나프틸아민,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N,N'-디-β-나프틸-p-페닐렌디아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티오계 산화방지제는 디라우릴디설파이드, 디라우릴티오 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테트라메틸티우람디설파이드 테트라비스[메틸렌-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메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사슬연장제 0.1~1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슬연장제는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을 개선시켜줄 뿐만 아니라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용융혼련물의 점도 및 분자량을 조절하여 성형품의 기계적 특성을 개선시켜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러한 사슬연장제로는 Joncryl® ADR 4468C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성형품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성형품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160~200℃의 압출기에 투입하는 단계(S10), 상기 압출기의 다이에서 압출되는 압출물로 펠릿을 제조하는 단계(S20) 및 상기 펠릿을 사출온도 160~200℃ 및 금형온도 100~120℃에서 결정화를 위해 금형 내에서 50~110초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사출온도는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호퍼에 투입한 후, 압출기의 실린더 내에서 스크류에 의해 믹싱 및 용융되는 구간부터 하트런너(스크류에서 금형으로 원재료가 주입되는 파트)의 온도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수지 조성물은 2종 이상의 성분들이 혼합된 조성물로서 각 성분의 용융점이 다르므로 적절한 사출온도 조건을 설정하지 않으면, 온도가 너무 높을 때에는 탄화가 발생하고 온도가 너무 낮으면 제대로 용융되지 않아서 골고루 혼합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성형품의 제조방법에서는 사출온도를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상기 금형온도와 관련하여 상기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이 압출기의 실린더 내에서 용융된 후 금형으로 주입되는데, 금형을 온수기나 온유기 등으로 고온으로 설정하여 사출하게 되면 열에 의한 결정화가 일어나므로 결정화도가 높아진다. 금형온도는 결정화와 관련이 있고 결정화는 제품의 내구성 및 내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상기 단계(S30)에서 금형온도가 100~120℃이고, 결정화 시간이 50~110초인 경우에는 미성형(未成形) 또는 취출시 외관 불량과 같은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술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 성형품은 용기, 용기뚜껑 또는 식기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PLLA) 100중량부, 결정성 D형 폴리락트산(PDLA) 7중량부,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PEG 8000: 분자량이 8,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5중량부,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PEG 400: 분자량이 4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 6중량부, 미네랄 필러(탈크) 25중량부, 분산제(EBS) 5중량부, 제1 산화방지제(ADK STAB AO-60) 1중량부, 제2 산화방지제(Songnox 1680(송원산업)) 1중량부 및 사슬연장제(Joncryl® ADR 4468C) 5중량부를 혼합하여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결정성 D형 폴리락트산(PDLA)의 함량을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PLLA) 100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결정성 D형 폴리락트산(PDLA)의 함량을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PLLA) 100중량부에 대하여 14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PEG 8000)의 함량을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PLLA)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PEG 8000)의 함량을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PLLA) 100중량부에 대하여 8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PEG 400)의 함량을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PLLA)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PEG 400)의 함량을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PLLA) 100중량부에 대하여 12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미네랄 필러(탈크)의 함량을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PLLA) 100중량부에 대하여 11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미네랄 필러(탈크)의 함량을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PLLA) 100중량부에 대하여 40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결정성 D형 폴리락트산(PDLA)의 함량을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PLLA) 100중량부에 대하여 0.3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결정성 D형 폴리락트산(PDLA)의 함량을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PLLA) 100중량부에 대하여 16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PEG 8000)의 함량을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PLLA) 100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PEG 8000)의 함량을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PLLA)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PEG 400)의 함량을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PLLA) 100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PEG 400)의 함량을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PLLA) 100중량부에 대하여 14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미네랄 필러(탈크)의 함량을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PLLA) 100중량부에 대하여 9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미네랄 필러(탈크)의 함량을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PLLA) 100중량부에 대하여 42중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9: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PEG 400) 대신에 제3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PEG 4000: 분자량이 4,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를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PLLA) 100중량부에 대하여 6중량부의 함량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0: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PEG 8000) 대신에 제3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PEG 4000: 분자량이 4,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를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PLLA)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의 함량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9 및 비교예 1~10에서 사용된 물질 및 함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함량(중량부)
베이스 수지 핵제 역할 가소제 미네랄 필러 분산제 산화방지제 사슬
연장제
PLLA PDLA PEG 8000 PEG 400 PEG 4000 탈크 EBS AO-60 Songnox 1680 Joncryl® ADR 4468C
실시예 1 100 7 5 6 0 25 5 1 1 5
실시예 2 100 0.5 5 6 0 25 5 1 1 5
실시예 3 100 14 5 6 0 25 5 1 1 5
실시예 4 100 7 1 6 0 25 5 1 1 5
실시예 5 100 7 8 6 0 25 5 1 1 5
실시예 6 100 7 5 1 0 25 5 1 1 5
실시예 7 100 7 5 12 0 25 5 1 1 5
실시예 8 100 7 5 6 0 11 5 1 1 5
실시예 9 100 7 5 6 0 40 5 1 1 5
비교예 1 100 0.3 5 6 0 25 5 1 1 5
비교예 2 100 16 5 6 0 25 5 1 1 5
비교예 3 100 7 0.5 6 0 25 5 1 1 5
비교예 4 100 7 10 6 0 25 5 1 1 5
비교예 5 100 7 5 0.5 0 25 5 1 1 5
비교예 6 100 7 5 14 0 25 5 1 1 5
비교예 7 100 7 5 6 0 9 5 1 1 5
비교예 8 100 7 5 6 0 42 5 1 1 5
비교예 9 100 7 5 0 6 25 5 1 1 5
비교예 10 100 7 0 6 5 25 5 1 1 5
평가예 1: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9 및 비교예 1~10에서 제조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190℃의 압출기에 투입하였다. 이후, 상기 압출기의 다이에서 압출되는 압출물로 펠릿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펠릿을 사출온도 190℃, 금형온도 105℃ 및 결정화 시간 80초의 조건으로 열처리하여 성형품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성형 과정에서 성형이 안되거나 금형으로부터 성형품을 취출할 경우 취출이 안되는 경우에는 “불량”으로 기록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양호”로 기록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예 2: 생분해성 성형품의 물성 평가
상기 평가예 1에서 제조된 성형품의 물성을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산소투과도(OTR): ASTM D398. 단위는 cc/pkg/day이다. 산소투과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필름으로 측정하거나 용기 자체로 측정하는 방법이 있는데, 용기 자체로 측정했을 때는 pkg(package) 단위로 표시된다.
(2) 수분투과도(WVTR): ASTM F1249. 단위는 g/pkg/day이다. 수분투과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필름으로 측정하거나 용기 자체로 측정하는 방법이 있는데, 용기 자체로 측정했을 때는 pkg(package) 단위로 표시된다.
(3) 열변형온도: ASTM D648. 단위는 ℃이다.
(4) 결정화도: 시차 주사 열량계법으로 측정. 단위는 %이다.
(5) 파단강도: ASTM D 638. 단위는 MPa이다.
(6) 굴곡탄성률: ASTM D 790. 단위는 MPa이다.
(7) 내마모성: 마찰마모시험기로 무게 감소율을 분석하여 측정. 단위는 %이고, Loss율을 의미한다. 수치가 작을수록 내마모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8) 충격강도: ASTM D256. 단위는 kJ/m2이다.
OTR WVTR 열변형
온도
결정화도 파단
강도
굴곡
탄성률
내마모성 충격
강도
성형성
실시예1 0.0233 0.00044 138 51.6 47 4168 0.069 2.8 양호
실시예2 0.0861 0.00053 125 47.3 45.2 4320 0.098 2.3 양호
실시예3 0.0314 0.00061 137 52.1 43.1 4390 0.083 3.1 양호
실시예4 0.0563 0.00031 129 50.3 43 3980 0.082 2.1 양호
실시예5 0.0395 0.00043 134 51.2 44 3280 0.071 2.7 양호
실시예6 0.0333 0.00050 126 49.7 39.1 4540 0.092 2.5 양호
실시예7 0.0495 0.00066 120 44.2 41.5 4270 0.083 3.0 양호
실시예8 0.0673 0.00075 118 43.7 42 3516 0.098 2.7 양호
실시예9 0.0597 0.00067 127 43.9 38.7 4973 0.043 1.9 양호
비교예1 0.0984 0.00108 82.2 35.2 41.9 3963 0.087 2.2 불량
비교예2 0.1044 0.00131 95 38.4 37.9 4130 0.135 1.7 불량
비교예3 0.0697 0.00041 121 49.3 22.1 2370 0.123 2.8 양호
비교예4 0.0486 0.00084 116 47.0 30.9 3590 0.147 2.4 양호
비교예5 0.0431 0.00079 113 45.9 35 2980 0.131 2.9 양호
비교예6 0.0963 0.00098 99.3 38.6 43 2890 0.113 2.0 불량
비교예7 0.0793 0.00103 114 43.3 40 3140 0.097 1.1 양호
비교예8 0.0992 0.00198 98 38.4 34 2255 0.134 0.5 불량
비교예9 0.1044 0.00216 109 41.2 29 3330 0.23 1.5 양호
비교예10 0.9079 0.00165 113 36.1 23 3950 0.22 1.2 불량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9에서 제조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성형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산소투과도(≤ 0.0861 cc/pkg/day) 및 수분투과도(≤ 0.00075 g/pkg/day)가 낮고, 내열성(≥ 118℃), 결정화도(≥ 43.7%), 파단강도(≥ 38.7 MPa), 굴곡탄성률(≥ 3280 MPa), 내마모성(≤ 0.0985) 및 충격강도(≥ 1.9 kJ/m2)가 우수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비교예 1~10에서 제조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은 성형성이 불량하거나, 산소투과도 및 수분투과도가 낮거나, 내열성, 결정화도, 파단강도, 굴곡탄성률, 내마모성 및 충격강도 중 적어도 하나의 물성이 열악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 100중량부;
    결정성 D형 폴리락트산 0.5~14중량부;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 1~8중량부;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 1~12중량부; 및
    미네랄 필러 11~4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의 분자량은 상기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의 분자량의 20배 이상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의 분자량은 8,000 이상이고, 상기 제2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가소제의 분자량은 400 이하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 필러는 탈크, 탄산칼슘, 카올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산제 1~1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방지제 0.01~4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L형 폴리락트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사슬연장제 0.1~1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160~200℃의 압출기에 투입하는 단계(S10);
    상기 압출기의 다이에서 압출되는 압출물로 펠릿을 제조하는 단계(S20); 및
    상기 펠릿을 사출온도 160~200℃ 및 금형온도 100~120℃에서 결정화를 위해 금형 내에서 50~110초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성형품의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용기, 용기뚜껑 또는 식기류인 성형품.
KR1020220132731A 2022-10-14 2022-10-14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생분해성 성형품 KR102605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731A KR102605096B1 (ko) 2022-10-14 2022-10-14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생분해성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731A KR102605096B1 (ko) 2022-10-14 2022-10-14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생분해성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096B1 true KR102605096B1 (ko) 2023-11-24

Family

ID=88972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2731A KR102605096B1 (ko) 2022-10-14 2022-10-14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생분해성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0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647A (ko) * 2014-11-19 2016-05-27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폴리유산 스테레오 콤플렉스 수지 조성물
KR20210043675A (ko) * 2018-08-24 2021-04-21 차이나 토바코 후난 인더스트리얼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냉각 담배 필터 및 담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647A (ko) * 2014-11-19 2016-05-27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폴리유산 스테레오 콤플렉스 수지 조성물
KR20210043675A (ko) * 2018-08-24 2021-04-21 차이나 토바코 후난 인더스트리얼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냉각 담배 필터 및 담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2786B1 (ko) 폴리락트산-함유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EP2352777B1 (en) Blends of polylactic acid and thermo-plastic polymers for packaging applications
US20120196950A1 (en) Biodegradable polymer composition with calcium carbonate and methods and products using same
KR102342537B1 (ko) 향상된 투명성, 침투차단성 및 내충격성을 갖는 생분해성 pla 병 및 그의 제조 방법
JP5687492B2 (ja) 硬化された植物性エステルに基づく離型剤を含む熱可塑性組成物
US7682548B2 (en) Injection molded article,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pellets used for injection molded article
EP3233984B1 (en) Extrudable polylactic acid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molded articles utilizing the same
EP3064542B1 (en) Biodegradable thermoplastic polymer compostion, method for its manufacture and use thereof
KR20190018131A (ko) 저온 성형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KR100912698B1 (ko)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염기성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KR102605096B1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생분해성 성형품
US20220314515A1 (en) A biodegradable biocomposite and a process for its preparation
JP2005280361A (ja) 成形体の製造方法
Mishra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fibre/filler based polylactic Acid (PLA) composites: a brief review
KR20240069454A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성형품의 제조방법 및 생분해성 성형품
KR20210080636A (ko) 다공성구조를 성형하기 위한 생분해성 pla필라멘트 조성물
KR102393643B1 (ko) 표면처리된 부산석고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필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9224B1 (ko) 저온 성형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DE112010003612T5 (de) Harzzusammensetzung auf der Basis von Polyolefin und Formgegenstand
KR102486042B1 (ko)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KR20210095004A (ko) 향상된 반투명성, 침투차단성, 내충격성 및 밀봉성을 갖는 생분해성 pla 스크류 캡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20075394A (ko) 첨가제가 있는 대마 고분자 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07140B1 (ko) 바이오매스 기반의 생분해성 수지 제조방법
KR102459228B1 (ko) 재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용기의 제조방법
US20240117155A1 (en) Manufacturing method and molded article of heat-resistant tablew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