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228B1 - 재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용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재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용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228B1
KR102459228B1 KR1020220059208A KR20220059208A KR102459228B1 KR 102459228 B1 KR102459228 B1 KR 102459228B1 KR 1020220059208 A KR1020220059208 A KR 1020220059208A KR 20220059208 A KR20220059208 A KR 20220059208A KR 102459228 B1 KR102459228 B1 KR 102459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ater
container
biodegra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창
정현지
정세빈
강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차암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차암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차암홀딩스
Priority to KR1020220059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2/00Producing hollow articles
    • B29D22/003Containers for packaging, storing or transporting, e.g. bottles, jars, cans, barrel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0011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for shaping plates or sheets
    • B32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L97/02Lignocellulosic material, e.g. wood, straw or bagas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용기의 제조방법은 폴리락트산,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비변성 전분분말, 충전재, 왁스, 가교제 및 산화방지제를 혼합하는 생분해성조성물제조단계, 상기 생분해성조성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생분해성조성물을 시트로 성형하는 시트형성단계, 상기 시트형성단계를 통해 제조된 시트의 일면에 내수성 필름을 적층하는 내수성필름적층단계 및 상기 내수성필름적층단계를 통해 적층된 내수성 필름이 내면으로 형성되도록 시트를 용기의 형태로 성형하는 용기성형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생분해성 용기는 우수한 생분해성을 나타내면서도 기계적 물성과 내수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항균성이 부여되어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재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용기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REUSABLE BIODEGRADABLE CONTAINER}
본 발명은 재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한 생분해성을 나타내면서도 기계적 물성과 내수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항균성이 부여되어 재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용기에 음식물이나 물을 보관하여 사용하는데, 지나치게 많은 합성수지의 사용으로 인해 플라스틱 폐기물의 다량발생이나 미세플라스틱 문제가 심각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용기는 폐기처분 시 연소하면 고열로 인해 연소로를 파손시키며, 또한 다이옥신 등의 유독가스를 발생시키며, 토양에 매립하더라도 분해되는데 수십년에서 수백년의 시간이 소요되며, 분해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미세 플라스틱이 빗물등으로 인해 하천 등으로 유입되어 생태계를 파괴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생분해성 수지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생분해성 수지는 저분자 화합물로 자연계에서 미생물이 섭취하여, 최종적으로는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는 플라스틱을 말하는데, 생분해성 수지를 사용하면 토양 내에서 폐기 처분 등이 가능해져 자연환경의 부하를 대폭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생분해성 수지는 제조비용이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기계적 물성이 합성수지 용기에 비해 낮고, 내수성이 약하기 때문에 대부분 1회용 용기에 적용되어 상업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생분해성 수지는 항균성이 부여되지 못해, 음식물이나 물을 담은 후에는 폐기처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550823호(2015.08.27.) 한국특허등록 제10-2285554호(2021.07.29.)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생분해성을 나타내면서도 기계적 물성과 내수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항균성이 부여되어 재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락트산,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비변성 전분분말, 충전재, 왁스, 가교제 및 산화방지제를 혼합하는 생분해성조성물제조단계, 상기 생분해성조성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생분해성조성물을 시트로 성형하는 시트형성단계, 상기 시트형성단계를 통해 제조된 시트의 일면에 내수성 필름을 적층하는 내수성필름적층단계 및 상기 내수성필름적층단계를 통해 적층된 내수성 필름이 내면으로 형성되도록 시트를 용기의 형태로 성형하는 용기성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조성물제조단계는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40 내지 60 중량부, 비변성 전분분말 3 내지 8 중량부, 충전재 1.5 내지 3 중량부, 왁스 1.5 내지 3 중량부, 가교제 1 내지 3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1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비변성 전분분말은 옥수수, 밀, 쌀, 감자, 고구마 및 타피오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충전재는 활석,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및 키틴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조성물제조단계에서는 상기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 대비 천연섬유분말 1 내지 3 중량부가 더 함유되며, 상기 천연섬유분말은 볏짚, 갈대, 양마, 황마, 목분 및 대나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조성물제조단계에서는 상기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 대비 운모석 분말 3 내지 5 중량부가 더 함유되며, 상기 운모석 분말은 10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의 입자크기를 갖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수성 필름은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부티렌석시네이트, 폴리에틸렌석시네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글리콜산, 에스테르전분 및 초산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수성 필름은 0.01 내지 0.1 밀리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용기의 제조방법은 우수한 생분해성을 나타내면서도 기계적 물성과 내수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항균성이 부여되어 재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용기를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용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생분해성 용기를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용기의 제조방법은 폴리락트산,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비변성 전분분말, 충전재, 왁스, 가교제 및 산화방지제를 혼합하는 생분해성조성물제조단계(S101), 상기 생분해성조성물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생분해성조성물을 시트로 성형하는 시트형성단계(S103), 상기 시트형성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시트의 일면에 내수성 필름을 적층하는 내수성필름적층단계(S105) 및 상기 내수성필름적층단계(S105)를 통해 적층된 내수성 필름이 내면으로 형성되도록 시트를 용기의 형태로 성형하는 용기성형단계(S107)로 이루어진다.
상기 생분해성조성물제조단계(S101)는 폴리락트산,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비변성 전분분말, 충전재, 왁스, 가교제 및 산화방지제를 혼합하는 단계로,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40 내지 60 중량부, 비변성 전분분말 3 내지 8 중량부, 충전재 1.5 내지 3 중량부, 왁스 1.5 내지 3 중량부, 가교제 1 내지 3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1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락트산(PLA, Poly Lactic Acid)은 중량평균 분자량(Mw)이 50,000 내지 150,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디-락타이드(D-Lactide) 및 엘-락타이드(L-Lactide)로부터 유래된 모노머가 중합되어 제조되므로 상기 폴리락트산은 디-락타이드(D-Lactide) 함량이 9 내지 15 중량%인 무정형 폴리락트산과 디-락타이드(D-Lactide) 함량이 1 내지 5 중량%로 존재하는 결정성 폴리락트산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 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는 40 내지 60 중량부가 함유되는데, 부틸렌 아디페이트와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로,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되는 생분해성 용기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의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상대적으로 폴리락트산의 함량이 지나치게 증가하여 성형형성이 저하되며, 생분해성 용기의 인장강도 및 신장률 등과 같은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의 함량이 6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생분해성 용기에서 방출되는 포름알데히드의 검출량이 지나치게 증가하여 생분해성 용기로 부적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변성 전분분말은 3 내지 8 중량부가 함유되며 생분해성 용기의 인장강도나 신장률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옥수수, 밀, 쌀, 감자, 고구마 및 타피오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밀로스 함량이 40%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비변성 전분분말은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비변성 전분분말의 함량이 8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생분해성 용기의 제조비용을 지나치게 증가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충전재는 1.5 내지 3 중량부가 함유되며, 생분해성 용기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뿐망 아니라, 투명성 및 광택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데, 활석,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및 키틴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재의 함량이 1.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충전재의 함량이 3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제조되는 생분해성 용기의 인장강도나 신장률 등의 물성이 지나치게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왁스는 1.5 내지 3 중량부가 함유되며, 저분자량이면서 저융점인 장점이 있어 압출기를 이용하여 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할 때 활제 보조제로서의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으며, 저분자 물질로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왁스는 파라핀 왁스, 유동 파라핀 왁스, 밀납, 몰다 왁스, 이멀시파잉 왁스, 칸데릴라 왁스, PE 왁스, PP 왁스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왁스의 함량이 1.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확스의 함량이 3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생분해성 용기의 성형과정에서 성형장치에 이물질등이 잔존하게 되며, 제조되는 생분해성 용기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가교제는 1 내지 3 중량부가 함유되며, 생분해성 용기의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가교제의 성분으로는 과산화물계 가교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보다 상세하게는 디큐밀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디-t-부틸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및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가교효과가 저하되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가교제의 함량이 3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생분해성 용기의 기계적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방지제는 1 내지 3 중량부가 함유되며, 조기 산화분해에 따른 제품의 열화, 황변 및 산화분해를 지연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페놀계 산화방지제 또는 인계 산화방지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페놀계 산화방지제로는 Tetrakismethylene(3,5-di-t-butyl-4-hydroxyhydrocinnamate)methane, Octadecyl 3-(3'5'-di-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2,2'-Ethylidenebis[4,6-di-t-butylphenol], 1,3,5-tris(4-tert-butyl-3-hydroxy-2,6-dimethylbenzyl)-1,3,5-triazine-2,4,6-(1H,3H,5H)-trione, Triethylene glycol bis[3-(3-t-butyl-4-hydroxy-5-methylphenyl)propionate] 및 N,N'-hexamethylene bis[3-(3,5-di-t-butyl-4-hydroxyphenyl)propionamide]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인계 산화방지제로는 Tris(2,4-di-tert-butylphenyl)phosphit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산화방지나 황변방지 등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3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생분해성 용기가 토양에서 생분해되는 시간을 지나치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지나치게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조성물제조단계에서는 상기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 대비 천연섬유분말 1 내지 3 중량부가 더 함유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천연섬유분말이 함유되면 생분해성 용기의 생분해성은 크게 저하되지 않으면서 기계적 물성이 월등하게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연섬유분말은 볏짚, 갈대, 양마, 황마, 목분 및 대나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천연섬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재된 기름성분 등의 불순물이 제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순물이 제거되지 않은 천연섬유 분마릉ㄹ 사용하게 되면 천연섬유에 함유된 기름성분과 같은 불순물이 가교반응 등을 방해하여 기계적 물성을 저하시키거나 성형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섬유분말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천연섬유분말의 함량이 3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생분해성 용기의 외관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조성물제조단계에서는 상기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 대비 운모석 분말 3 내지 5 중량부가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상기와 같이 운모석 분말이 함유되면 생분해성 용기에 항균성능이 부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모석 분말은 10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의 입자크기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운모석의 주성분은 산화칼슘, 산화나트륨, 인산,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철, 알루미나, 이산화규소 및 황으로 이루어지며, 다공질 구조로 형성되어 칼륨 양이온, 나트륨 양이온, 마그네슘 양이온이 용출되고 산도(pH)는 시간에 따라 변하지만 수분과 지속적인 반응을 하는 경우 특히 운모석 분말이 상기와 같이 10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의 입자크기를 나타내는 경우 수분과의 비표면적이 증가하여 운모석 분말에 함유된 황 성분이 용출되어 생분해성 용기의 표면이 초기 12시간 내에 pH 8.3 내지 8.7의 약 알칼리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때문에 항균성능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 운모석 분말의 입자크기가 100 마이크로미터 미만이면 입자크기가 지나치게 작아서 입자간의 뭉침현상으로 인해 분산성이 저하되며, 상기 운모석 분말의 입자크기가 500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게 되면 비표면적이 지나치게 줄어들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생분해성 용기의 외관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모석 분말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운모석 분말의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생분해성 용기의 외관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시트형성단계(S103)는 상기 생분해성조성물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생분해성조성물을 시트로 성형하는 단계로, 상기 생분해성조성물제조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생분해성조성물을 압출기에 투입하고, 120 내지 200℃ 온도로 가열압출하여 1 내지 3 밀리미터의 두께를 나타내는 시트로 성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시트형성단계(S103)에서 시트의 두께가 1 밀리미터 미만이면 상기 용기성형단계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제품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시트의 두께가 3 밀리미터를 초과하게 되면 제품의 중량과 제조비용이 지나치게 증가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내수성필름적층단계(S105)는 상기 시트형성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시트의 일면에 내수성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로, 상기 시트형성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1 내지 3 밀리미터 두께의 시트 일면에 0.01 내지 0.1 밀리미터의 두께의 내수성 필름을 적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생분해성 용기의 내면에 내수성 필름이 위치하도록 하여 생분해성 용기의 내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다.
이때, 내수성 필름은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부티렌석시네이트, 폴리에틸렌석시네이트, 폴리비닐알코올, 폴리글리콜산, 에스테르전분 및 초산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내수성 필름의 두께가 0.01 밀리미터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내수성 필름의 두께가 0.1 밀리미터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생분해성 용기의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용기성형단계(S107)는 상기 내수성필름적층단계(S105)를 통해 적층된 내수성 필름이 내면으로 형성되도록 시트를 용기의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로, 상기 상기 내수성필름적층단계(S105)를 통해 내수성 필름이 일면에 적층된 시트를 압축성형용 금형에 투입하고, 압측성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압축성형은 100 내지 160℃의 온도를 나타내는 압축금형에서 50 내지 100kg/㎠의 압력으로 20 내지 90초 동안 압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생분해성 용기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50 중량부, 비변성 전분분말(옥수수 전분 분말) 5.5 중량부, 충전재(활석) 2.2 중량부, 왁스(파라핀 왁스) 2.2 중량부, 가교제(디큐밀퍼옥사이드) 2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Tetrakismethylene(3,5-di-t-butyl-4-hydroxyhydrocinnamate)methane} 2 중량부를 교반기가 구비된 혼합장치에 투입하고 300rpm의 속도로 30분 동안 혼합하여 생분해성 조성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생분해성 조성물을 압출성형기(JTE-58HS, tween extruder, JinsanPRM, Korea)를 이용하여 두께가 0.2 밀리미터인 시트를 제조하고, 상기 시트의 일면에 폴리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진 0.05 밀리미터의 내수성 필름을 적층하고, 내수성 필름이 생분해성 용기의 내부에 형성되도록 내수성 필름이 적층된 시트를 압축성형장치에 투입하고 130℃의 온도에서 75kg/㎠의 압력으로 50초 동안 압축성형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용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 대비 천연섬유분말(양마) 2 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용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 대비 운모석 분말(입자크기가 100 내지 500 마이크로 미터) 4 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용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 대비 천연섬유분말(양마) 2 중량부와 운모석 분말(입자크기가 100 내지 500 마이크로 미터) 4 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용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용기.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용기의 인장강도, 영률 및 신율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인장강도는 용기를 구성하는 성분을 200℃의 가열프레스에 투입하고 가열 압착하여 두께가 균일한 도그-본(dog-bone) 형태의 시편을 각각 제작하였다. 시편의 인장강도 측정 폭은 5mm, 측정 길이는 187㎜이고, 크로스헤드(crosshead)의 속도는 5㎜/분으로 인장 실험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인스트론(INSTRON)사의 5565A를 사용해 데이터를측정하였으며, 동일한 실험을 5회 반복하여 평균값을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영율은 ASTM D-790의 시험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신율은 KS M ISO1798의 시험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112022051176075-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를 통해 제조된 생분해성 용기는 종래에 PET병과 대등한 물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4를 통해 제조된 용기의 항균력을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단, 용기의 항균력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25922) 및 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에 대하여 KFIA-FI-1003법으로 항균시험을 실시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표 2>
Figure 112022051176075-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운모석 분말이 함유된 실시예 3 내지 4를 통해 제조된 생분해성 용기는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용기의 제조방법은 우수한 생분해성을 나타내면서도 기계적 물성과 내수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항균성이 부여되어 각종 소스나 드레싱과 같이 수분이 다량 함유된 식품이나 식수 등을 보관할 수 있으며, 재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용기를 제공한다.
S101 ; 생분해성조성물제조단계
S103 ; 시트형성단계
S105 ; 내수성필름적층단계
S107 ; 용기성형단계

Claims (8)

  1. 폴리락트산 100 중량부,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 50 중량부, 비변성 전분분말 5.5 중량부, 충전재 2.2 중량부, 왁스 2.2 중량부, 가교제 2 중량부, 산화방지제 2 중량부, 천연섬유분말 2 중량부 및 운모석 분말 4 중량부를 혼합하는 생분해성조성물제조단계;
    상기 생분해성조성물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생분해성조성물을 두께가 0.2 밀리미터인 시트로 성형하는 시트형성단계;
    상기 시트형성단계를 통해 제조된 시트의 일면에 0.05 밀리미터 두께의 내수성 필름을 적층하는 내수성필름적층단계; 및
    상기 내수성필름적층단계를 통해 적층된 내수성 필름이 내면으로 형성되도록 시트를 130℃의 온도에서 75kg/㎠의 압력으로 50초 동안 압축성형하여 용기의 형태로 성형하는 용기성형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비변성 전분분말은 옥수수 전분 분말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재는 활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왁스는 파라핀왁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교제는 디큐밀퍼옥사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산화방지제는 Tetrakismethylene(3,5-di-t-butyl-4-hydroxyhydrocinnamate)methane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수성 필름은 폴리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천연섬유분말은 양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운모석 분말은 입자크기가 10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용기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20059208A 2022-05-13 2022-05-13 재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용기의 제조방법 KR102459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208A KR102459228B1 (ko) 2022-05-13 2022-05-13 재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용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208A KR102459228B1 (ko) 2022-05-13 2022-05-13 재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용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228B1 true KR102459228B1 (ko) 2022-10-27

Family

ID=83810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208A KR102459228B1 (ko) 2022-05-13 2022-05-13 재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용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22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7241A (ja) * 2000-12-20 2002-07-02 Sekisui Plastics Co Ltd 生分解性樹脂フィルム積層体とそれを用いた容器
KR20060004493A (ko) * 2004-07-09 2006-01-12 율촌화학 주식회사 생분해성 전분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1550823B1 (ko) 2014-09-15 2015-09-04 김추자 생분해성 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79276A (ko) * 2015-12-30 2017-07-10 김태형 산화/생분해성 항균용기
KR20210038745A (ko) * 2019-09-30 2021-04-08 홍승회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식품 용기용 펠릿
KR102285554B1 (ko) 2021-05-14 2021-08-04 플레이디앤에이(주) 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 수지로 제조되는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7241A (ja) * 2000-12-20 2002-07-02 Sekisui Plastics Co Ltd 生分解性樹脂フィルム積層体とそれを用いた容器
KR20060004493A (ko) * 2004-07-09 2006-01-12 율촌화학 주식회사 생분해성 전분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1550823B1 (ko) 2014-09-15 2015-09-04 김추자 생분해성 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79276A (ko) * 2015-12-30 2017-07-10 김태형 산화/생분해성 항균용기
KR20210038745A (ko) * 2019-09-30 2021-04-08 홍승회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식품 용기용 펠릿
KR102285554B1 (ko) 2021-05-14 2021-08-04 플레이디앤에이(주) 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 수지로 제조되는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04011759T3 (de) Formteile, die ein polyhydroxyalkanoatcopolymer und ein in der umwelt abbaubares thermoplastisches polymer enthalten
KR101022786B1 (ko) 폴리락트산-함유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JP2009527594A (ja) 環境分解性ポリマー組成物及び環境分解性ポリマー組成物を得る方法
US20080200591A1 (en) Melt Processable Reactive Pellets Capable of Forming Ester Condensates and Process for Forming Melt Processable Reactive Pellets
KR20130002591A (ko) 생분해성 멀칭 필름
KR20140106882A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멀칭 필름
CN113631657B (zh) 聚羟基烷酸酯系树脂组合物、其成型体及膜或片
JP2006525380A (ja) 短いアニーリングサイクル時間を有するポリヒドロキシアルカノエートコポリマー組成物を含む成形又は押出成形物品
JPH06184358A (ja) 新規な熱成形可能な組成物、その製法および熱成形品を得るためのその使用
KR101987086B1 (ko)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 복합수지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시트제조방법
KR20190018131A (ko) 저온 성형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WO2008018567A1 (en) Biodegradabl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thereof
KR101288445B1 (ko) 내열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성형용기
CN109504042A (zh) Pha改性的tps/pbat可生物降解树脂及其制备方法
KR102459228B1 (ko) 재사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용기의 제조방법
KR102026121B1 (ko) 칼슘비료성분을 함유한 생분해성 농업용 반사필름
KR102286048B1 (ko) 다공성구조를 성형하기 위한 생분해성 pla필라멘트 조성물
KR100955024B1 (ko) 개선된 공정에 의한 자연 분해성 시트 및 그 제조방법
EP4013818A1 (en) A biodegradable biocomposite and a process for its preparation
KR101889224B1 (ko) 저온 성형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KR101766791B1 (ko) 이중결합을 함유하여 신속 저분자화가 가능한 생분해성 연질 바이오 원료 조성물, 및 이의 압출성형품
KR102204708B1 (ko) 복합분해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0624B1 (ko) 가소화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친환경 실리콘 원료 조성물, 및 이의 압출성형품
KR102459032B1 (ko) 바이오매스 기반의 생분해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07140B1 (ko) 바이오매스 기반의 생분해성 수지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