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459B1 -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459B1
KR102604459B1 KR1020210106816A KR20210106816A KR102604459B1 KR 102604459 B1 KR102604459 B1 KR 102604459B1 KR 1020210106816 A KR1020210106816 A KR 1020210106816A KR 20210106816 A KR20210106816 A KR 20210106816A KR 102604459 B1 KR102604459 B1 KR 102604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hole
plate
spring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4720A (ko
Inventor
조병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비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비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비앤아이
Priority to KR1020210106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459B1/ko
Publication of KR20230024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4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 B30B11/0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co-operating with a fixed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30B15/028Loading or unloading of dies, platens or press r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2Composition of linings ; Methods of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간 성형판과 상기 중간 성형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가압판 및 하부 고정판을 포함하며, 중간 성형판은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며 내부에 마찰재가 충진되는 복수 개의 성형 캐비티와, 성형 캐비티의 외측에서 모서리에 위치하며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스프링 관통홀과, 스프링 관통홀의 상부에서 스프링 관통홀을 포함하는 영역에 하부 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상부 지지판 수용홈 및 상부 지지판 수용홈과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는 하부 지지판 수용홈을 포함하는 중간 성형 본체와, 판상 블록으로 형성되며 상부 지지판 수용홈 또는 하부 지지판 수용홈에 삽입되는 스프링 지지판 및 스프링 관통홀에 결합되며, 상단이 스프링 지지판의 하면에 접촉되며 하부가 중간 성형 본체의 하부로 노출되어 하부 고정판의 상면에 고정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Brake Pad for Automotive}
본 발명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브레이크 패드를 성형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는 일반적으로 판상으로 형성되는 백플레이트의 일면에 마찰재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마찰재는 다양한 종류의 마찰 재료가 혼합된 마찰재 분말이 블록 형상으로 성형되어 형성된다. 상기 마찰재는 성형 과정에서 백플레이트에 열간가압되면서 결합된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마찰재 분말을 성형하면서 백플레이트에 열간 가압하여 부착하는 브레이크 패드 성형 장치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 성형 장치는 일반적으로 마찰재 분말이 충진되는 성형 캐비티가 형성된 중간 성형판과 중간 성평판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부판 및 중간 성형판의 상부에서 성형 캐비티의 마찰재 분말을 가압하는 상부판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 성형 장치는 마찰재 분말이 충진되어 가압되는 성형 캐비티가 상대적으로 많이 마모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성형판은 성형 캐비티의 마모가 일정 정도되면 폐기되어야 한다. 상기 중간 성형판은 상부판 또는 하부판과 대비하여 부피가 크며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아서 제조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중간 성형판의 수명을 증가시켜 전체적으로 수명이 증가될 수 있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는 중간 성형판과 상기 중간 성형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가압판 및 하부 고정판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성형판은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며 내부에 마찰재가 충진되는 복수 개의 성형 캐비티와, 상기 성형 캐비티의 외측에서 모서리에 위치하며,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스프링 관통홀과, 상기 스프링 관통홀의 상부에서 상기 스프링 관통홀을 포함하는 영역에 하부 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상부 지지판 수용홈 및 상기 상부 지지판 수용홈과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는 하부 지지판 수용홈을 포함하는 중간 성형 본체와, 판상 블록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지지판 수용홈 또는 상기 하부 지지판 수용홈에 삽입되는 스프링 지지판 및 상기 스프링 관통홀에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스프링 지지판의 하면에 접촉되며, 하부가 상기 중간 성형 본체의 하부로 노출되어 상기 하부 고정판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간 성형 본체는 상기 상부 지지판 수용홈과 상기 하부 지지판 수용홈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지지판 고정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지지판은 상기 지지판 고정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지지판홀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성형판은 상부에서 상기 지지판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판 고정홀에 결합되는 스프링 지지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성형 본체는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며, 꼭짓점 영역에 형성되는 가이드 관통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고정판은 상기 중간 성형 본체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판상이며, 상기 중간 성형 본체의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는 하부 고정 본체 및 상기 하부 고정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관통홀의 하부로부터 결합되는 하부 가이드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성형 본체는 상기 가이드 관통홀의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하며, 상면에서 하면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상부 이격 제한홈 및 상기 가이드 관통홀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 이격 제한홈과 90도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이격 제한홈과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는 하부 이격 제한홈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이격 제한홈은 바닥면에서 상기 중간 성형 본체의 하면으로 관통되는 상부 제한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 이격 제한홈은 바닥면에서 상기 중간 성형 본체의 상면으로 관통되는 하부 제한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중간 성형판은 상기 상부 이격 제한홈의 이격 제한 관통홀 또는 상기 하부 이격 제한홈의 이격 제한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 지지판에 결합되는 이격 제한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 캐비티는 상단에서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상단 챔퍼 및 하단에서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하단 챔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성형판은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성형 캐비티의 양측 사이에 위치하며 전측에서 후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본체 및 상기 가이드 본체와 인접하는 성형 캐비티의 측부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는 백플레이트 가이드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는 중간 성형판의 상부와 하부를 순차적으로 사용하므로 중간 성형판의 수명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는 중간 성형판의 수명이 증가되므로 전체적으로 수명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는 단순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중간 성형판과 하부 고정판의 분리와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C"에 대한 부분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중간 성형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D-D"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E-E"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8은 상부 가압판의 평면도이다.
도 9는 하부 고정판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C"에 대한 부분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중간 성형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D-D"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E-E"에 대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8은 상부 가압판의 평면도이다. 도 9는 하부 고정판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중간 성형판(100)과 상부 가압판(200) 및 하부 고정판(30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10)는 중간 성형판(100)의 상부와 하부를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수명이 2배로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10)는 중간 성형판(100)과 하부 고정판(300)이 단순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중간 성형판(100)과 하부 고정판(300)의 분리와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상면 또는 상측과 하면 또는 하측은 도 1에서 각각 + x축과 - x축을 향하는 면 또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일측 방향은 + y, 타측 방향은 - y축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전측 방향은 - z축 방향, 후측 방향은 + z축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중간 성형판(100)은 중간 성형 본체(110)와 스프링 지지판(120)과 지지 스프링(130)과 스프링 지지 볼트(140) 및 이격 제한 볼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성형판(100)은 중간 이동 바(160) 및 백플레이트 가이드 바(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성형 본체(110)는 성형 캐비티(111)와 스프링 관통홀(112)과 상부 지지판 수용홈(113)과 하부 지지판 수용홈(114)과 지지판 고정홀(115)과 가이드 관통홀(116)과 상부 이격 제한홈(117) 및 하부 이격 제한홈(1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성형 본체(110)는 소정 두께를 갖는 대략 사각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간 성형 본체(110)는 상부와 하부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성형 본체(110)는 마찰재 분말로 마찰재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외측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성형 본체(110)는 성형 과정중에 외부에서 인가되는 열이 마찰재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성형 캐비티(111)는 중간 성형 본체(11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성형 캐비티(111)는 중간 성형 본체(110)의 중앙 영역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성형 캐비티(111)는 마찰재의 평면 형상과 동일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성형 캐비티(111)는 마찰재를 성형하는데 필요한 마찰재 분말의 충진 높이의 적어도 2배의 깊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형 캐비티(111)는 마찰재를 성형하는데 필요한 마찰재 분말의 충진 높이의 2배보다 큰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성형 캐비티(111)는 먼저 상부 영역에서 마찰재를 성형한 후에 상부 영역이 마모등으로 치수가 커져서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 하부 영역에서 마찰재를 성형할 수 있다. 다만, 이때는 중간 성형 본체(110)가 뒤집어져서 결합되어 상부가 하부로 가고 하부가 상부로 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성형 캐비티(111)도 상부 영역이 하부 영역으로 되고, 하부 영역이 상부 영역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성형 캐비티(111)는 상단에서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상단 챔퍼(111a)와 하단에서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하단 챔퍼(11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단 챔퍼(111a)와 하단 챔퍼(111b)는 대략 외측 방향으로 0.3 ~ 0.5˚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 챔퍼(111a)와 하단 챔퍼(111b)는 3 ~ 6 mm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 챔퍼(111a)와 하단 챔퍼(111b)는 성형된 마찰재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성형 캐비티(111)는 상단 챔퍼(111a)뿐만 아니라 하단에도 하단 챔퍼(111b)가 형성되어 하부 영역도 성형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성형 캐비티(111)는 자체의 평면 면적과 중간 성형 본체(110)의 면적 및 브레이크 제조 장치가 장착되는 성형 프레스의 가압 용량에 따라 적정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성형 캐비티(11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3 열 x 4행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관통홀(112)은 중간 성형 본체(11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관통홀(112)은 성형 캐비티(111)의 외측에서 중간 성형 본체(110)의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관통홀(112)은 중간 성형 본체(110)의 일측 모서리와 타측 모서리와 전측 모서리 및 후측 모서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관통홀(112)은 각 모서리 별로 적어도 1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관통홀(112)은 사용되는 지지 스프링(130)의 장력과 중간 성형판(100)에서 필요로 하는 반발력에 따라 필요로 하는 지지 스프링(13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관통홀(112)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모서리 별로 3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관통홀(112)은 사용되는 지지 스프링(13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판 수용홈(113)은 스프링 관통홀(112)의 상부에서 스프링 관통홀(112)을 포함하는 영역에 하부 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지지판 수용홈(113)은 중간 성형 본체(110)의 상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판 수용홈(113)은 적어도 스프링 지지판(120)의 두께에 대응되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판 수용홈(113)은 스프링 지지판(120)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판 수용홈(113)은 스프링 지지판(120)의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판 수용홈(113)은 스프링 지지판(120)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스프링 지지판(120)의 직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판 수용홈(113)은 스프링 지지판(120)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스프링 지지판(120)의 폭과 길이보다 큰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판 수용홈(113)은 스프링 관통홀(112)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판 수용홈(113)은 스프링 관통홀(112)의 내경보다 큰 폭과 길이를 갖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판 수용홈(113)은 스프링 지지판(120)이 수용되어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판 수용홈(113)은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의 사용 초기에 스프링 지지판(120)을 지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지지판 수용홈(113)은 성형 캐비티(111)의 상부가 마모되어서 사용되지 못하면 함께 사용되지 않는다.
상기 하부 지지판 수용홈(114)은 상부 지지판 수용홈(113)과 상하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지지판 수용홈(114)은 상부 지지판 수용홈(113)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부 지지판 수용홈(114)은 스프링 관통홀(112)의 하부에서 스프링 관통홀(112)을 포함하는 영역에 상부 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판 수용홈(114)은 적어도 스프링 지지판(120)의 두께에 대응되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판 수용홈(114)은 스프링 지지판(120)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판 수용홈(114)은 스프링 지지판(120)의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판 수용홈(114)은 스프링 지지판(120)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스프링 지지판(120)의 직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판 수용홈(114)은 스프링 지지판(120)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스프링 지지판(120)의 폭과 길이보다 큰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판 수용홈(114)은 스프링 관통홀(112)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판 수용홈(113)은 스프링 관통홀(112)의 내경보다 큰 폭과 길이를 갖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판 수용홈(114)은 스프링 지지판(120)이 수용되어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판 수용홈(114)은 성형 캐비티(111)의 상부가 마모되어 성형 캐비티(111)의 하부가 사용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지지판 수용홈(114)은 중간 성형 본체(110)의 상부와 하부가 바뀌게 되면, 상부에 위치하여 스프링 지지판(120)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판 고정홀(115)은 상부 지지판 수용홈(113)과 하부 지지판 수용홈(114)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 고정홀(115)은 스프링 관통홀(112)의 외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 고정홀(115)은 스프링 지지 볼트(140)가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판 고정홀(115)은 상부 지지판 수용홈(113)과 하부 지지판 수용홈(114)을 관통하여 형성되므로 스프링 지지 볼트(140)가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 고정홀(115)은 스프링 지지판(120)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스프링 지지 볼트(14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판 고정홀(115)은 적어도 2개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4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관통홀(116)은 중간 성형 본체(11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중간 성형 본체(110)의 꼭짓점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관통홀(116)은 적어도 2개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4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관통홀(116)은 하부 고정판(300)에 형성되는 하부 가이드 바(330)의 외경 또는 폭에 대응되는 내경 또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관통홀(116)은 상하 가이드 바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상부 이격 제한홈(117)은 중간 성형 본체(110)의 상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되며, 바닥면에서 중간 성형 본체(110)의 하면으로 관통되는 상부 제한 관통홀(117a)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 이격 제한홈(117)은 중간 성형 본체(110)의 꼭짓점 영역에서 가이드 관통홀(116)의 일측 또는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이격 제한홈(117)은 적어도 2개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4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이격 제한홈(117)은 이격 제한 볼트(150)가 관통하며, 머리부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이격 제한홈(117)은 이격 제한 볼트(150)의 머리부가 수용되는데 필요한 깊이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제한 관통홀(117a)은 이격 제한 볼트(150)의 볼트부가 관통되는 공간을 제공하므로 이격 제한 볼트(150)의 볼트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이격 제한홈(117)은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의 사용 초기에 이격 제한 볼트(150)가 중간 성형 본체(110)의 상면에서 하부로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이격 제한홈(117)은 성형 캐비티(111)의 상부가 마모되어서 사용되지 못하면 함께 사용되지 않는다.
상기 하부 이격 제한홈(118)은 중간 성형 본체(110)의 하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되며, 바닥면에서 중간 성형 본체(110)의 상면으로 관통되는 하부 제한 관통홀(118a)을 구비한다. 즉, 상기 하부 이격 제한홈(118)은 상부 이격 제한홈(117)과 상하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격 제한홈(118)은 중간 성형 본체(110)의 꼭짓점 영역에서 가이드 관통홀(116)의 전측 또는 후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격 제한홈(118)은 가이드 관통홀(116)을 중심으로 상부 이격 제한홈(117)과 90도 간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격 제한홈(118)은 적어도 2개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4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격 제한홈(118)은 이격 제한 볼트(150)가 관통하며, 머리부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 이격 제한홈(118)은 이격 제한 볼트(150)의 머리부가 수용되는데 필요한 깊이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제한 관통홀(118a)은 이격 제한 볼트(150)의 볼트부가 관통되는 공간을 제공하므로 이격 제한 볼트(150)의 볼트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격 제한홈(118)은 성형 캐비티(111)의 상부가 마모되어 성형 캐비티(111)의 하부가 사용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이격 제한홈(118)은 중간 성형 본체(110)의 상부와 하부가 바뀌게 되면, 상부에 위치하여 이격 제한 볼트(150)가 하부로 관통하여 하부 고정판(300)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 지지판(120)은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 블록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지지판(120)은 상부 지지판 수용홈(113)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지지판(120)은 상부 지지판 수용홈(113) 또는 하부 지지판 수용홈(11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스프링 지지판(120)은 중간 성형 본체(110)의 상부가 사용될 때 상부 지지판 수용홈(113)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지지판(120)은 중간 성형 본체(110)의 하부가 사용될 때 하부 지지판 수용홈(11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 지지판(120)은 지지 스프링(13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지지판(120)은 지지판홀(120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홀(120a)은 스프링 지지판(12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홀(120a)은 상부 지지판 수용홈(113)에 결합될 때 지지판 고정홀(115)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홀(120a)은 스프링 지지 볼트(140)가 관통되어 지지판 고정홀(115)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스프링(130)은 압축 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스프링 관통홀(112)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지지 스프링(130)은 상단이 스프링 지지판(120)의 하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며, 하부가 중간 성형 본체(110)의 하부로 도출되도록 스프링 관통홀(112)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 스프링(130)은 중간 성형 본체(110)의 두께보다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스프링(130)은 성형 캐비티(111)에 충진된 마찰재 분말이 필요한 압력으로 성형되도록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스프링(130)은 마찰재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 다시 중간 성형 본체(110)가 상승하는데 필요한 반발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간 성형 본체(110)는 성형 캐비티(111)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다음 성형될 마찰재 분말이 충진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스프링(130)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스프링(130)은 스프링 관통홀(112)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지지 볼트(140)는 스프링 지지판(120)의 지지판홀(120a)을 관통하여 중간 성형 본체(110)의 지지판 고정홀(115)에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 지지 볼트(140)는 지지판 고정홀(115)의 높이의 대략 1/2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지지 볼트(140)는 지지판 고정홀(115)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지지 볼트(140)는 스프링 지지판(120)을 스프링 관통홀(112)의 상단에 고정한다. 상기 스프링 지지 볼트(140)는 지지판 고정홀(115)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 제한 볼트(150)는 중간 성형 본체(110)의 상부 이격 제한홈(117)의 이격 제한 관통홀을 관통하여 하부 고정판(300)에 결합된다. 상기 이격 제한 볼트(150)는 중간 성형 본체(110)의 하면과 하부 고정판(300)의 상면이 이격되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성형 본체(110)는 성형 캐비티(111)에 충진된 마찰재 분말이 성형될 때 하부로 하강하게 되며, 성형이 완료된 후에 다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중간 성형 본체(110)는 지지 스프링(130)의 반발력에 의하여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중간 성형 본체(110)는 성형 캐비티(111)의 깊이가 일정하게 되도록 일정한 높이로 상승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이격 제한 볼트(150)는 중간 성형 본체(110)가 상승하는 높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이격 제한 볼트(150)는 중간 성형 본체(110)의 사용 초기에는 상부 이격 제한홈(117)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이격 제한 볼트(150)는 성형 캐비티(111)의 상부가 마모되어 성형 캐비티(111)의 하부가 사용되는 경우에 하부 이격 제한홈(118)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이동 바(160)는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간 성형 본체(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이동 바(160)는 브레이크 제조 장치가 장착되는 프레스 장치에 결합되며, 프레스 장치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면서 중간 성형 본체(110)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중간 이동 바(160)는 프레스 장치의 결합 부위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백플레이트 가이드 바(170)는 가이드 본체(171) 및 가이드 돌기(172)를 포함한다. 상기 백플레이트 가이드 바(170)는 중간 성형 본체(110)의 상면 또는 하면에서 성형 캐비티(111)의 양측 사이에 위치한다. 즉, 상기 백플레이트 가이드 바(170)는 중간 성형 본체(110)의 상부가 마찰재의 성형에 이용될 때는 중간 성형 본체(11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플레이트 가이드 바(170)는 중간 성형 본체(110)가 뒤집어져서 하부가 마찰재의 성형에 이용될 때는 중간 성형 본체(110)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백플레이트 가이드 바(170)는 백플레이트가 성형 캐비티(111)의 상면에서 일정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백플레이트 가이드 바(170)는 백플레이트를 일정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본체(171)는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본체(171)는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성형 캐비티(111)의 양측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본체(171)는 전측에서 후측 방향으로 배열되는 성형 캐비티(111)의 전체 거리보다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본체(171)는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웃하는 성형 캐비티(111)의 양측 사이에 위치하며, 전측에서 후측으로 연장되도록 위치한다.
상기 가이드 돌기(172)는 가이드 본체(171)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72)는 가이드 본체(171)와 인접하는 성형 캐비티(111)의 측부로 연장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72)는 성형 캐비티(111)의 상부에 위치하는 백플레이트와 접촉하여 백플레이트를 항상 일정한 위치에 위치시킨다. 상기 가이드 돌기(172)는 백플레이트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압판(200)은 소정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가압판(200)은 중간 성형 본체(110)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간 성형 본체(110)의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가압판(200)은 중간 성형판(100)의 상부에 위치하며, 마찰재의 성형 과정에서 중간 성형판(100)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부 가압판(200)은 성형 캐비티(111)의 상부에 위치하는 백플레이트의 상면을 지지하여 마찰재 분말이 가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압판(200)은 상부 가압 가이드홀(210) 및 상부 가압 이격홀(2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가압 가이드홀(210) 및 상부 가압 이격홀(220)은 중간 성형판(100)의 분해 조립 과정에서 상부 가압판(200)이 상부로 이격되어 분해 조립에 지장을 주지 않는 경우에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압 가이드홀(210)은 상부 가압판(200)이 중간 성형판(100)의 상부에 결합될 때 중간 성형 본체(110)의 가이드 관통홀(116)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상부 가압 가이드홀(210)은 가이드 관통홀(116)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압 이격홀(220)은 상부 가압판(200)이 중간 성형판(100)의 상부에 결합될 때 중간 성형 본체(110)의 상부 이격 제한홈(117)과 하부 이격 제한홈(118)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부 가압 이격홀(220)은 이격 제한 볼트(150)의 머리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압 이격홀(220)은 이격 제한 볼트(150)가 관통되어 상부 이격 제한홈(117) 또는 하부 이격 제한홈(118)에 결합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이격 제한 볼트(150)는 이격 제한 볼트(150)의 결합 상태를 확인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판(300)은 하부 고정 본체(310)와 하부 성형 펀치(320) 및 하부 가이드 바(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판(300)은 중간 성형판(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마찰재의 성형 과정에서 성형 캐비티(111)내에 충진된 마찰재 부재의 하부를 지지하여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고정판(300)은 지지 스프링(130)의 하부를 지지하여 지지 스프링(130)이 중간 성형판(100)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 본체(310)는 중간 성형 본체(110)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판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 본체(310)는 중간 성형 본체(110)의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 고정 본체(310)는 상부 가압판(200)과 동일한 형상과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 본체(310)는 중간 성형 본체(110)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하부 고정 본체(310)는 스프링 지지홈(311)과 가이드 고정홈(312) 및 이격 볼트홈(3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지지홈(311)은 하부 고정 본체(310)의 상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지지홈(311)은 지지 스프링(13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지지홈(311)은 하부 고정 본체(310)가 중간 성형판(100)의 하부에 위치할 때 지지 스프링(130)의 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지지홈(311)은 지지 스프링(13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지지홈(311)은 지지 스프링(130)의 하부를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고정홈(312)은 하부 고정 본체(310)의 상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고정홈(312)은 하부 가이드 바(33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고정홈(312)은 하부 고정 본체(310)가 중간 성형판(100)의 하부에 위치할 때 중간 성형 본체(110)의 가이드 관통홀(116)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고정홈(312)은 하부 고정 본체(310)의 4개의 꼭짓점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고정홈(312)은 하부 가이드 바(330)의 하부를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이격 볼트홈(313)은 하부 고정 본체(310)의 상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 볼트홈(313)은 이격 제한 볼트(150)의 나사부에 대응되는 내경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 볼트홈(313)은 이격 제한 볼트(150)의 나사부에 대응되는 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 볼트홈(313)은 하부 고정 본체(310)가 중간 성형판(100)의 하부에 위치할 때 중간 성형 본체(110)의 상부 이격 제한홈(117)과 하부 이격 제한홈(118)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격 볼트홈(313)은 가이드 고정홈(312)의 일측 또는 타측과 전측 또는 후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격 볼트홈(313)은 하부 고정 본체(310)의 4개의 꼭짓점에 가이드 고정홈(312)을 기준으로 90도 간격으로 각각 2개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 볼트홈(313)은 이격 제한 볼트(150)의 하부가 나사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 성형 펀치(320)는 수평 평면이 성형하는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재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성형 펀치(320)는 마찰재 분말을 마찰재로 형성하는데 필요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하부 성형 펀치(320)는 중간 성형 본체(110)가 가장 상부에 위치할 때 즉, 성형 캐비티(111)에 마찰재 분말을 충진하기 전의 위치일 때 상단이 성형 캐비티(111)의 중간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성형 펀치(320)는 하부 고정 본체(310)의 상면에 별도의 볼트등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이드 바(330)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이드 관통홀(116)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이드 바(330)는 가이드 관통홀(116)의 수평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수평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이드 바(330)는 성형 과정에서 중간 성형 본체(110)가 가장 하부 위치에 위치할 때 상단이 중간 성형 본체(110)의 가이드 관통홀(116)의 상단으로 돌출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가이드 바(330)는 성형 과정에서 중간 성형 본체(110)가 가장 상부 위치에 위치할 때 상단이 중간 성형 본체(110)의 가이드 관통홀(116)의 하단에서 빠지지 않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이드 바(330)는 하부 고정 본체(310)의 상부에 고정되며, 가이드 관통홀(116)의 하부로부터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가이드 바(330)는 하단이 가이드 고정홈(312)에 결합되고 상부가 중간 성형 본체(110)의 가이드 관통홀(116)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이드 바(330)는 성형 과정에서 중간 성형 본체(110)가 상하로 일정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10: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
100: 중간 성형판
110: 중간 성형 본체(110)
111: 성형 캐비티 112: 스프링 관통홀
113: 상부 지지판 수용홈 114: 하부 지지판 수용홈
115: 지지판 고정홀 116: 가이드 관통홀
117: 상부 이격 제한홈 117a: 상부 제한 관통홀
118: 하부 이격 제한홈 118a: 하부 제한 관통홀
120: 스프링 지지판 120a: 지지판홀
130: 지지 스프링 140: 스프링 지지 볼트
150: 이격 제한 볼트 160: 중간 이동 바
170: 백플레이트 가이드 바
200: 상부 가압판
210: 상부 가압 가이드홀 220: 상부 가압 이격홀
300: 하부 고정판
310: 하부 고정 본체 311: 스프링 지지홈
312: 가이드 고정홈 313: 이격 볼트홈
320: 하부 성형 펀치 330: 하부 가이드 바

Claims (6)

  1. 중간 성형판과 상기 중간 성형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가압판 및 하부 고정판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성형판은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며 내부에 마찰재가 충진되는 복수 개의 성형 캐비티와, 상기 성형 캐비티의 외측에서 모서리에 위치하며,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스프링 관통홀과, 상기 스프링 관통홀의 상부에서 상기 스프링 관통홀을 포함하는 영역에 하부 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상부 지지판 수용홈 및 상기 상부 지지판 수용홈과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는 하부 지지판 수용홈을 포함하는 중간 성형 본체와,
    판상 블록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지지판 수용홈 또는 상기 하부 지지판 수용홈에 삽입되는 스프링 지지판 및
    상기 스프링 관통홀에 결합되며, 상단이 상기 스프링 지지판의 하면에 접촉되며, 하부가 상기 중간 성형 본체의 하부로 노출되어 상기 하부 고정판의 상면에 지지되는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성형 본체는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며, 꼭짓점 영역에 형성되는 가이드 관통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간 성형 본체는
    상기 가이드 관통홀의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하며, 상면에서 하면으로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상부 이격 제한홈 및
    상기 가이드 관통홀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 이격 제한홈과 90도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이격 제한홈과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는 하부 이격 제한홈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이격 제한홈은 바닥면에서 상기 중간 성형 본체의 하면으로 관통되는 상부 제한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 이격 제한홈은 바닥면에서 상기 중간 성형 본체의 상면으로 관통되는 하부 제한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중간 성형판은 상기 상부 이격 제한홈의 상부 제한 관통홀 또는 상기 하부 이격 제한홈의 하부 제한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 고정판에 결합되는 이격 제한 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성형 본체는 상기 상부 지지판 수용홈과 상기 하부 지지판 수용홈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지지판 고정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지지판은 상기 지지판 고정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지지판홀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성형판은 상부에서 상기 지지판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판 고정홀에 결합되는 스프링 지지 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판은 상기 중간 성형 본체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판상이며, 상기 중간 성형 본체의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는 하부 고정 본체 및 상기 하부 고정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관통홀의 하부로부터 결합되는 하부 가이드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캐비티는 상단에서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상단 챔퍼 및 하단에서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하단 챔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성형판은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성형 캐비티의 양측 사이에 위치하며 전측에서 후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본체 및
    상기 가이드 본체와 인접하는 성형 캐비티의 측부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는 백플레이트 가이드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
KR1020210106816A 2021-08-12 2021-08-12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 KR102604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816A KR102604459B1 (ko) 2021-08-12 2021-08-12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816A KR102604459B1 (ko) 2021-08-12 2021-08-12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720A KR20230024720A (ko) 2023-02-21
KR102604459B1 true KR102604459B1 (ko) 2023-11-22

Family

ID=85327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816A KR102604459B1 (ko) 2021-08-12 2021-08-12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4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47488B (zh) * 2024-01-30 2024-04-19 东营宝丰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刹车片凸点检测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4660A (ja) * 2003-02-12 2004-09-02 Sumitomo Coal Mining Co Ltd パルス通電加圧焼結用のダイセット及びパルス通電加圧焼結システム
JP2005030505A (ja) * 2003-07-07 2005-02-03 Nisshinbo Ind Inc 摩擦部材の製造装置
KR100590180B1 (ko) * 2005-01-20 2006-06-14 상신브레이크주식회사 자동차용 브레이크패드 성형장치
CN203818598U (zh) * 2014-05-14 2014-09-10 浙江索特电气有限公司 冲床的滑块驱动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4660A (ja) * 2003-02-12 2004-09-02 Sumitomo Coal Mining Co Ltd パルス通電加圧焼結用のダイセット及びパルス通電加圧焼結システム
JP2005030505A (ja) * 2003-07-07 2005-02-03 Nisshinbo Ind Inc 摩擦部材の製造装置
KR100590180B1 (ko) * 2005-01-20 2006-06-14 상신브레이크주식회사 자동차용 브레이크패드 성형장치
CN203818598U (zh) * 2014-05-14 2014-09-10 浙江索特电气有限公司 冲床的滑块驱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720A (ko)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1024A (en) Pressing tool structure for sheet metal forming
KR102604459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 제조 장치
WO2022067996A1 (zh) 一种自重保压机构
CN100475473C (zh) 制模机的制模插入物
US5108278A (en) Resin sealing apparatus
KR101827007B1 (ko) 프레스 금형의 쿠션압 균등화 장치
KR101401293B1 (ko) 연성회로기판용 지그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접착장치
EP0211449B1 (en) Press especially adapted to the moulding of tiles
US5281121A (en) Resin sealing apparatus
CN213195284U (zh) 一种汽车叶子板互动悬吊模具
KR20190031009A (ko) 반응고 단조성형장치
KR101493988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벤딩장치
US3238576A (en) Pattern plate with resilient member in cavity
CN110369629B (zh) 一种高效汽车覆盖件模具顶料装置
CN211307114U (zh) 一种具有防倾倒功能的大头杯组合桶模具
RU194878U1 (ru) Пластина опорная поглощающего аппарата
CN218698115U (zh) 一种压紧工装
CN104014661A (zh) 汽车安全带卷收器打凸点模具
CN102886854A (zh) 一种刹车片的摩擦片的加工模具
CN209491220U (zh) 一种能够防止偏移的冲压装置
JP3844981B2 (ja) 超高圧発生装置
CN215697374U (zh) 一种铝合金生产用拉伸成型模具
CN220697954U (zh) 一种带冲头保护功能的冲压模具
CN210730725U (zh) 整面断差成型机构及冲压模具
CN219686651U (zh) 一种制药压片机的压片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