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243B1 - 앵커형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 - Google Patents

앵커형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243B1
KR102604243B1 KR1020220138041A KR20220138041A KR102604243B1 KR 102604243 B1 KR102604243 B1 KR 102604243B1 KR 1020220138041 A KR1020220138041 A KR 1020220138041A KR 20220138041 A KR20220138041 A KR 20220138041A KR 102604243 B1 KR102604243 B1 KR 102604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pair
support units
wedg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효
공대곤
정진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항도엔지니어링
합자회사 부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항도엔지니어링, 합자회사 부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항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138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66C1/6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for connection to anchor inserts embedded in concret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4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는,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대하여 상향 개구된 삽입 홀이 형성되게 매설 배치된 앵커가이드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앵커형 들고리로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쇄기 형상으로 구비되고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통과용 홀이 형성된 쇄기 유닛;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쇄기 결합용 홀이 상기 쇄기 유닛과 쇄기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쇄기 유닛의 외주면을 횡 방향 양측에서 감싸는 쇄기 결합용 홈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지지 유닛; 상기 한 쌍의 지지 유닛 사이에 개재된 상기 쇄기 유닛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의 탄성 복원력이 가해지도록 탄성적으로 인장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지지 유닛의 상측을 상호 연결하는 상측 탄성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지지 유닛 사이에 개재된 상기 쇄기 유닛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의 탄성 복원력이 가해지도록 탄성 인장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지지 유닛의 하측을 상호 연결하는 하측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앵커형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ANCHOR TYPE LIFTING UNIT AND CONCRETE BLOCK LIF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원은 앵커형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파제와 접안시설 등 항만 공사시 사용하는 콘크리트 블록은 크레인 등과 같은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인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블록에는 인양장치에 용이하게 연결되기 위하여 들고리가 설치된다.
종래의 들고리는 콘크리트 블록에 대하여 직접 매립되어 제작되었다. 이러한 매립 방식은 고가의 들고리의 회수가 불가능하고, 시공 중 콘크리트 블록이 파손되거나, 들고리가 콘크리트에서 빠지는 사고가 발생하는 등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09-0025086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블록 인양 시,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들고리가 이탈하지 않고, 콘크리트 블록을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도록 하는 앵커형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는,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대하여 상향 개구된 삽입 홀이 형성되게 매설 배치된 앵커가이드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앵커형 들고리로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쇄기 형상으로 구비되고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통과용 홀이 형성된 쇄기 유닛;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쇄기 결합용 홀이 상기 쇄기 유닛과 쇄기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쇄기 유닛의 외주면을 횡 방향 양측에서 감싸는 쇄기 결합용 홈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지지 유닛; 상기 한 쌍의 지지 유닛 사이에 개재된 상기 쇄기 유닛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의 탄성 복원력이 가해지도록 탄성적으로 인장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지지 유닛의 상측을 상호 연결하는 상측 탄성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지지 유닛 사이에 개재된 상기 쇄기 유닛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의 탄성 복원력이 가해지도록 탄성 인장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지지 유닛의 하측을 상호 연결하는 하측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앵커가이드는 내주와 외주에 주름이 형성된 주름관을 세움 상태로 배치한 것이고, 상기 한 쌍의 지지 유닛 각각의 외주는 상기 앵커가이드의 내주 주름과 맞물림 결합 가능한 외주 주름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 유닛은, 상기 와이어 통과용 홀에 대하여 앵커 와이어가 상향 이탈이 제한되게 고정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최소 이격 거리를 가지도록 상기 쇄기 유닛을 감싼 제1 상태일 때 상기 삽입 홀에 삽입 가능한 폭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앵커형 들고리가 상기 삽입 홀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쇄기 유닛이 상기 쇄기결합용 홀 내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 유닛보다 상대적으로 상향 이동되면서 상기 한 쌍의 지지 유닛이 상기 최소 이격 거리 보다 큰 확장 이격 거리만큼 상호 벌어진 제2 상태일 때 상기 앵커가이드의 내주 주름에 맞물림 결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쇄기 유닛의 최상단이 상기 쇄기 결합용 홀의 최상단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쇄기 결합용 홀이 형성되게 제공되고, 상기 상측 탄성부재와 상기 하측 탄성부재는 상기 제1 상태에서도 상기 쇄기 유닛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의 탄성 복원력을 가하도록 탄성 인장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앵커형 들고리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앵커 와이어와 상기 쇄기 결합용 홀의 최상단 사이의 벌어진 간격을 통해 상기 쇄기 유닛의 최상단 측으로 적어도 일부 삽입 배치되는 간격 유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지지 유닛이 상기 제2 상태에 대응하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 유닛 각각의 외주 주름과 상기 앵커가이드의 내주 주름은 나선으로 연장되는 주름 형상으로 서로 맞물림 결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 와이어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하단에 연결되는 와이어 고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고정 유닛은 상기 와이어 통과용 홀에 대한 통과가 제한되도록 상기 와이어 통과용 홀의 폭보다 크게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 통과용 홀에 대하여 상기 앵커 와이어가 상향 이탈이 제한되게 고정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고정 유닛은 상기 와이어 통과용 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통과용 홀의 하측 둘레에는 상기 앵커 와이어가 상향으로 당겨질 때 상기 와이어 고정 유닛이 상기 와이어 통과용 홀의 중심에 대하여 정렬된 상태로 상향 안착되도록 안착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파이프 형상이고, 상기 앵커 와이어의 외주를 둘러싸게 상기 앵커 와이어에 대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앵커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앵커 와이어와 상기 쇄기 결합용 홀의 최상단 사이의 벌어진 간격 부분으로 삽입되는 하부 파이프부; 및 상기 하부 파이프부의 상단과 연결되는 상부 파이프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파이프부는, 상기 앵커 와이어가 수직 방향보다 경사진 상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상기 상부 파이프부에 가해지는 작용력에 대한 구조적 저항성을 고려하여 상기 하부 파이프부보다 두꺼운 파이프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쇄기 결합용 홈과 상기 쇄기 유닛의 외주면 사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윤활 물질이 개재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으로서, (a) 상면에 대하여 상기 앵커가이드가 매설 배치된 콘크리트 블록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1 상태인 한 쌍의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상기 앵커형 들고리를 상기 앵커가이드의 삽입 홀에 삽입하는 단계; (c) 상기 한 쌍의 지지 유닛의 외주 주름이 앵커가이드의 내주 주름에 맞물림 결합되면서 상기 한 쌍의 지지 유닛이 상기 제2 상태에 놓이는 단계; 및 (d) 상기 앵커 와이어에 인양을 위한 하중을 가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는,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대하여 상향 개구된 삽입 홀이 형성되게 매설 배치된 앵커가이드가 내주와 외주에 주름이 형성된 주름관을 세움 상태로 배치하며, 앵커가이드의 내주 주름과 맞물림 결합 가능한 외주 주름을 갖는 한 쌍의 지지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한 쌍의 지지 유닛의 외주 주름과 앵커가이드의 내주 주름과 맞물림 결합되어, 콘크리트 블록 인양 시,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앵커형 들고리가 이탈하지 않고, 콘크리트 블록을 보다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한 쌍의 지지 유닛은, 와이어 통과용 홀에 대하여 앵커 와이어가 상향 이탈이 제한되게 고정 배치된 상태에서 최소 이격 거리를 가지도록 쇄기 유닛을 감싼 제1 상태 및 앵커형 들고리가 삽입 홀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쇄기 유닛이 쇄기결합용 홀 내에서 한 쌍의 지지 유닛보다 상대적으로 상향 이동되면서 한 쌍의 지지 유닛이 최소 이격 거리 보다 큰 확장 이격 거리만큼 상호 벌어진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이도록 구비됨으로써, 제1 상태에서 앵커형 들고리는 앵커가이드의 삽입 홀에 대해 삽입이 가능하고, 제2 상태에서 앵커형 들고리는 한 쌍의 지지 유닛이 최소 이격 거리보다 큰 확장 이격 거리만큼 상호 벌어져 앵커가이드의 내주 주름에 맞물림 결합되어 앵커형 들고리의 삽입 및 체결 작업이 보다 간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한 쌍의 지지 유닛 각각의 외주 주름과 앵커가이드의 내주 주름은 나선으로 연장되는 주름 형상으로 서로 맞물림 결합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한 쌍의 지지 유닛의 외주 주름과 앵커가이드의 내주 주름의 높이(깊이) 방향으로 맞물림 위치(피치, pitch)가 어긋나도 나선 방향으로 회전되어 자연스럽게 맞물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유도될 수 있다.
도 1은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대하여 상향 개구된 삽입 홀이 형성되게 매설 배치된 앵커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가 도 1에 도시된 앵커가이드 내부에 삽입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쇄기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단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지지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단면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제1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형 사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제2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형 사진이다.
도 7a는 도 5에 도시된 A-A'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B-B' 선을 따라 절대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간격 유지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에 간격 유지 부재가 삽입 배치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가 배치된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1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상부 막음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제1 상태에서의 상부 막음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제2 상태에서의 상부 막음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4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하부 막음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4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제1 상태에서의 하부 막음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에 분리방지 볼트가 구비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에 분리방지 볼트가 구비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지지 유닛에 분리방지 볼트 홀이 형성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분리방지 볼트 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외주 주름의 일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대하여 상향 개구된 삽입 홀이 형성되게 매설 배치된 앵커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참고로, 본원에서 콘크리트 블록이라 함은 인양을 필요로 하는 콘크리트 재질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모든 블록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넓게 이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블록은 케이슨 등과 같은 해상/해안/수중 구조물 시공을 위한 블록, 상기 블록 외에도 교량 등과 같은 다른 사회기반시설에 대응하는 구조물 시공을 위한 블록, 기타 매스 콘크리트 블록 등 다양한 블록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앵커가이드(300)는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대하여 상향 개구된 삽입 홀(310)이 형성되게 매설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앵커가이드(300)는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수직하도록 배치된다는 것은, 반드시 완전한 수직 배치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좁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대략적으로 상측을 향하도록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경우 또한 포괄하는 것으로 넓게 이해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앵커가이드(300)는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표면)으로부터 60cm의 깊이로 매설 배치(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앵커가이드(300)의 매설 배치 깊이는 콘크리트 블록의 형상 및 하중, 앵커가이드(300)의 규격, 배치 개수 등과 같은 다양한 설계 조건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앵커가이드(300)는 공칭내경(주름내부, 내주)가 80mm일 때, 외경(주름외부, 외주)는 105mm이고, 두께는 1.5mm이며, 피치는 28mm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앵커가이드(300)는 공칭내경(주름내부, 내주)가 100mm일 때, 외경(주름외부, 외주)는 130mm이고, 두께는 2.0mm이며, 피치는 35mm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앵커가이드(300)의 규격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설계 조건에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앵커가이드(300)가 매설 배치되는 콘크리트 블록의 삽입 홀의 하부(하부면)에는 삽입 홀 내부에 시멘트몰탈이 유입되는 것을 막도록 비닐 등과 같은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앵커가이드(300)의 외측은 콘크리트(시멘트몰탈)이 밀실하게(밀폐되게) 채워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앵커가이드(300)는 콘크리트 블록의 규격(형상, 하중 등)에 따라 콘크리트 블록에 대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앵커가이드(300)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작 단계에서 4개소(최소 3개소 이상)의 위치에 대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4개소의 위치는 앵커가이드(300)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앵커형 들고리(100)에 대해 콘크리트 블록의 하중이 가능한 동일하게 부하되는 위치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앵커가이드(300)는 폭이 2.0m 이하인 콘크리트 블록(소형 콘크리트 블록)에 대해서는 콘크리트 블록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앵커가이드(300)는 콘크리트 블록의 가장자리로부터 일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앵커가이드(300)는 콘크리트 블록의 가장자리로부터 50cm 이상 떨어진 위치에 대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앵커가이드(300)는 내주(320)와 외주(330)에 주름이 형성된 주름관(파형관)을 세움 상태로 배치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앵커가이드(300)는 파상형 폴리에틸렌 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앵커가이드(300)는 내주(320) 주름이 나선으로 연장되는 주름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앵커가이드(300)는 콘크리트 타설시 찌그러지는 등과 같은 파손 및 변형이 발생하기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주름관은 코로게이트(ELP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주름관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이하 '본 앵커형 들고리'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가 도 1에 도시된 앵커가이드 내부에 삽입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며,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쇄기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앵커형 들고리(100)는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대하여 상향 개구된 삽입 홀이 형성되게 매설 배치된 앵커가이드(300) 내부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앵커형 들고리(100)는 쇄기 유닛(110), 한 쌍의 지지 유닛(120), 상측 탄성부재(130), 및 하측 탄성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쇄기 유닛(110)은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쇄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 기준 상측은 12시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의 (b)를 참조하면, 쇄기 유닛(110)은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폭을 갖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쇄기 유닛(110)은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폭을 갖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쇄기 유닛(110)은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쇄기 유닛(100)의 상면은 하면에 비해 좁은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쇄기 유닛(110)의 재질은 금속 재질(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쇄기 유닛(110)의 경사각은 10도 또는 13도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쇄기 유닛(110)의 재질과 경사각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설계 조건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쇄기 유닛(110)은 외부면(측면)은 미끄러짐에 방해되는 손상이 없도록 매끈하게 가공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쇄기 유닛(110)은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통과용 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쇄기 유닛(110)은 앵커 와이어(200)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될 수 있도록 와이어 통과용 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쇄기 유닛(110)의 와이어 통과용 홀(111)은 와이어(210)의 폭(예를 들면 직경)에 대응하는 홀 크기로 형성되거나, 그보다 제작오차 등을 고려한 소정의 여유치를 갖도록 확장된 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앵커 와이어(200)는 와이어(210) 및 와이어 고정 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고정 유닛(220)은 와이어(210)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쇄기 유닛(110)의 와이어 통과용 홀(111)에 대한 통과가 제한되도록 와이어 통과용 홀(111)의 폭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와이어 통과용 홀(111)은 와이어 고정 유닛(220)의 폭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으며, 와이어 고정 유닛(220)의 통과를 제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를 참조하면, 와이어 통과용 홀(111)은 와이어(210)가 통과 가능하도록 와이어(210)의 폭(직경)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으며, 와이어 고정 유닛(220)의 통과는 제한되도록, 와이어 고정 유닛(220)의 폭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앵커 와이어(200)의 재질, 폭, 길이 등과 같은 규격은 본 앵커형 들고리(100)의 규격, 콘크리트 블록의 크기 및 하중을 고려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할 수 있는 규격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앵커 와이어(200)의 와이어 고정 유닛(220)이 와이어 통과용 홀(111)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앵커 와이어(200)는 쇄기 유닛(110)의 와이어 통과용 홀(111)에 대하여 상향 이탈이 제한되게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 고정 유닛(220)은 와이어 통과용 홀(111)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상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으며, 앵커 와이어(200)는 앵커 와이어(200)가 상향으로 당겨질 때, 와이어 고정 유닛(220)이 안착용 홈(111a)에 안착되며, 쇄기 유닛(110)은 앵커 와이어(200)와 함께 상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참고로, 도 2를 기준으로 상향은 12시 방향이며, 하측은 6시 방향일 수 있다.
도 3의 (b) 및 (c)를 참조하면, 쇄기 유닛(110)의 와이어 통과용 홀(111)의 하측 둘레에는 앵커 와이어(200)가 상향으로 당겨질 때 와이어 고정 유닛(220)이 와이어 통과용 홀(111)의 중심에 대하여 정렬된 상태로 상향 안착되도록 안착용 홈(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쇄기 유닛(110)에 삽입된 앵커 와이어는 쇄기 유닛(110)에 하중(예를 들면, 인양 하중, 상승 하중, 충격 하중 등)을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앵커 와이어(200)가 쇄기 유닛(1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쇄기 유닛(110)의 하부에 대해 와이어 고정 유닛(220)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앵커형 들고리(100)는 사다리꼴 쇄기 유닛(110)에 삽입된 와이어 스트랜드로 하강 및 인상될 수 있으며, 따라서, 와이어 스트랜드가 상향 이탈되지 않도록 사다리꼴 쇄기 유닛(110)의 하부에는 견고한 고정장치(와이어 고정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용 홈(111a)은 와이어 고정 유닛(200)의 외측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용 홈(111a)은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지지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은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쇄기 결합용 홀(121)이 쇄기 유닛(110)과 쇄기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쇄기 유닛(110)의 외주면을 횡 방향 양측에서 감싸는 쇄기 결합용 홈(121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시 말해, 하나의 지지 유닛(120a)에는 쇄기 유닛(110)의 외주면 중 횡 방향 일측을 감싸도록 쇄기 결합용 홈(12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지지 유닛(120)으로 결합될 시, 각각의 쇄기 결합용 홈(121a)이 결합되어 쇄기 유닛(110)의 외주면을 횡 방향 양측에서 감싸는 쇄기 결합용 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쇄기 결합용 홈(121a)은 쇄기 유닛(110)의 횡 방향 일측을 감싸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쇄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 유닛(120) 각각의 쇄기 결합용 홈(121a)과 쇄기 유닛(110)의 외주면 사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윤활 물질이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앵커 와이어(200)가 상향으로 당겨질 때, 쇄기 유닛(110)은 쇄기 유닛(110)의 외주면이 쇄기 결합용 홈(121a)과 접촉되며 상향 이동될 수 있으며, 이때, 쇄기 유닛(110)의 외주면과 쇄기 결합용 홈(121a)의 접촉면에는 윤활 물질이 도포(개재)되어 쇄기 유닛(110)의 상향 이동(미끄러짐 이동)이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은 평면상의 형상이 원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4의 (a)를 참조하면, 하나의 지지 유닛(120a)의 평면상의 형상이 반원형의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평면상의 형상은 사각형,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은 지지부일 수 있으며, 재질은 금속 재질(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 재질)일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내부면은 쇄기 유닛(110)의 미끄러짐 이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매끈하게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한 쌍의 지지 유닛(120)에는 쇄기 유닛(110)의 와이어 통과용 홀(111)을 통과한 와이어(210)가 상향 돌출되어 통과 가능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4를 참조하면, 쇄기 결합용 홀(121)은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져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은 상측이 서로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맞닿은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상부에 대해 와이어(210)가 통과 가능한 홀이 형성되도록 지지 유닛(120a) 각각에는 와이어(210)의 외주면을 횡 방향 양측에서 감싸도록 홈(각각 횡 방향 양측으로 함몰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높이(상하 방향 길이)는 쇄기 유닛(110)의 높이(상하방향 길이)보다 높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각각의 쇄기 결합용 홈(121a)은 쇄기 유닛(110)의 외주면의 높이(상하방향 길이)보다 긴(높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제1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형 사진이다고,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제2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형 사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지지 유닛(120) 각각의 외주는, 앵커가이드(300)의 내주(320) 주름과 맞물림 결합 가능한 외주 주름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각각의 외주 주름은 앵커가이드(300)의 내주(320) 주름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각각의 외주는 앵커가이드(300)의 파형관에 부합되는 파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외주 주름과 앵커가이드(300)의 내주(320) 주름의 주름간 맞물림 결합은 콘크리트 블록 인양 시 본 앵커형 들고리(100)가 부담해야 하는 하중에 대응하는 마찰 저항 및 전단 저항을 할 수 있는 형상 및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지지 유닛(120) 각각의 외주 주름과 앵커가이드(300)의 내주(320) 주름은 나선으로 연장되는 주름 형상으로 서로 맞물림 결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외주 주름과 앵커가이드(300)의 내주(320) 주름의 높이(깊이) 방향으로 맞물림 위치(피치, pitch)가 어긋나도 나선 방향으로 회전되어 자연스럽게 맞물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유도될 수 있다.
본 앵커형 들고리(100)의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은 앵커가이드(300)의 내주(320) 주름과 맞물림 결합 가능한 외주 주름이 형성됨으로써,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외주 주름과 앵커가이드(300)의 내주(320) 주름과 맞물림 결합되어 콘크리트 블록 인양 시,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본 앵커형 들고리(100)가 이탈하지 않고, 콘크리트 블록을 보다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다.
도 7a는 도 5에 도시된 A-A’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B-B’ 선을 따라 절대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자세하게, 도 7a는 앵커가이드의 삽입 홀에 앵커형 들고리를 삽입할 때의 제1 상태인 앵커형 들고리를 설명하기 위한 본 앵커형 들고리의 개략적인 개념도이고, 도 7b는 앵커가이드의 삽입 홀에 앵커형 들고리가 삽입된 후,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할 때의 제2 상태인 앵커형 들고리를 설명하기 위한 본 앵커형 들고리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5 및 도 7a를 참조하면,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은 와이어 통과용 홀(111)에 대하여 앵커 와이어(200)가 상향 이탈이 제한되게 고정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최소 이격 거리를 가지도록 쇄기 유닛(110)을 감싼 제1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상태는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이 서로 적어도 일부 접촉되는 경우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최소 이격 거리는 실질적으로 0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제1 상태는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보다 큰 최소 이격 거리에 대응하는 상태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예를 들어, 한 쌍의 지지 유닛(120)가 제1 상태일 때,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폭(직경)은 본 앵커형 들고리(100)의 초기직경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이 제1 상태일 때,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폭(직경)은 쇄기 유닛(110)의 하부 폭(두께)보다 크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7a를 참조하면,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은 제1 상태일 때 삽입 홀(310)에 삽입 가능한 폭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7a를 참조하면, 제1 상태에서의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외주 폭은 앵커가이드(300)의 내주(320)의 폭(직경)보다 작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5 및 도 7a를 참조하면,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은 제1 상태에 놓이고, 앵커가이드(300)의 삽입 홀(31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외주 주름의 일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며, 예를 들어, 도 19를 참조하면,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각각의 외주는 앵커가이드(300)의 파형관의 함몰부와 맞물리는 외주 주름의 돌출부는 삭제(제거)될 수 있으며, 앵커가이드(300)의 파형관의 돌출부와 맞물리는 외주 주름의 함몰부는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각각의 외주 주름의 돌출부가 삭제됨으로써, 돌출부가 구비된 한 쌍의 지지 유닛(120)보다 유용하게 삽입 홀(31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b를 참조하면,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은 본 앵커형 들고리(100)가 삽입 홀(310)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쇄기 유닛(110)이 쇄기 결합용 홀(121) 내에서 한 쌍의 지지 유닛(120)보다 상대적으로 상향 이동되면서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이 최소 이격 거리 보다 큰 확장 이격 거리만큼 상호 벌어진 제2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상태의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폭은 제1 상태의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폭보다 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를 참조하면, 제2 상태에서의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은 쇄기 유닛(110)이 쇄기 결합용 홀(121) 내에서 제1 상태에서의 쇄기 유닛(110)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상향 이동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7b를 참조하면, 제2 상태에서의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은 쇄기 유닛(110)이 쇄기 결합용 홀(121) 내에서 상향 이동되면서,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는 쇄기 유닛(110)의 하부가 상향 이동되어, 쇄기 유닛(110)의 하부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는 쇄기 결합용 홀(121)의 높이 상에 배치되어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쇄기 결합용 홀(121)은 쇄기 유닛(110)의 폭에 대응하도록 벌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은 확장 이격 거리만큼 상호 떨어지게 될수 있다.
또한, 도 7b를 참조하면,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은 제2 상태에서 쇄기 유닛(110)의 최상단이 쇄기 결합용 홀(121)의 최상단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쇄기 결합용 홀(121)이 형성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2, 도 6 및 도 7b를 참조하면,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은 제2 상태일 때 앵커가이드(300)의 내주(310) 주름에 맞물림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도 6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제2 상태에서의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은, 본 앵커형 들고리(100)가 앵커가이드(300)의 삽입 홀(310)에 대해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이 최소 이격 거리 보다 큰 확장 이격 거리만큼 상호 벌어짐으로써,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외주 주름이 앵커가이드(300)의 내주(310) 주름에 맞물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외주 주름과 앵커가이드(300)의 내주(310) 주름은 나선으로 연장되는 주름 형상으로 서로 맞물림 결합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외주 주름과 앵커가이드(300)의 내주 주름의 높이(깊이) 방향으로의 맞물림 위치가 어긋나도 나선 방향으로 회전되어 맞물림 결합 가능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앵커형 들고리(100)는 상측 탄성부재(130) 및 하측 탄성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측 탄성부재(130)는 한 쌍의 지지 유닛(120) 사이에 개재된 쇄기 유닛(110)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의 탄성 복원력이 가해지도록 탄성적으로 인장된 상태로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상측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하측 탄성부재(140)는 한 쌍의 지지 유닛(120) 사이에 개재된 쇄기 유닛(110)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의 탄성 복원력이 가해지도록 탄성 인장된 상태로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하측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 탄성부재(130) 및 하측 탄성부재(140) 각각은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이 일체가 되도록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상측 및 하측 각각에 설치(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 탄성부재(130) 및 하측 탄성부재(140)는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을 상호 연결하도록 각각의 지지 유닛(120a)에 대해 나사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측 탄성부재(130)와 하측 탄성부재(140)는 제1 상태에서도 쇄기 유닛(110)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의 탄성 복원력을 가하도록 탄성 인장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 탄성부재(130)와 하측 탄성부재(140)는 제1 상태에서,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이 서로 벌어지지 않도록 횡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제1 상태에서의 상측 탄성부재(130)와 하측 탄성부재(140)는 본 앵커형 들고리(100) 자체 자중에는 저항하여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을 상호 가까워지게 당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상태는 인양 하중, 후술할 간격 유지 부재(150) 삽입을 위한 하중(간격 유지 부재 자중 및 작업자가 가하는 인력 또는 장비 하중)이 없는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측 탄성부재(130) 와 하측 탄성부재(140)는 인양 하중이 가해진 상태(예를 들면,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을 벌어지게 하고자 하는 정도의 예비적인 하중이 가해진 상태), 후술할 간격 유지 부재(150) 삽입을 위한 하중(간격 유지 부재 자중 및 작업자가 가하는 인력 또는 장비 하중)이 가해진 상태에서는 한 쌍의 지지 유닛(120) 사이가 벌어지게 되는 정도의 적절한 탄성을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어, 상측 탄성부재(130)와 하측 탄성부재(140)는 스프링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간격 유지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단면도)이며, 도 9a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에 간격 유지 부재가 삽입 배치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평면도)이고, 도 9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에 간격 유지 부재가 삽입 배치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가 배치된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앵커형 들고리(100)는 간격 유지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앵커형 들고리(100)는 쇄기 유닛(110, 사다리꼴쇄기), 한 쌍의 지지 유닛(120, 지지부) 및 간격 유지 부재(150,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9b를 참조하면, 간격 유지 부재(150)는 제2 상태에서 앵커 와이어(200)와 쇄기 결합용 홀(121)의 최상단 사이의 벌어진 간격을 통해 쇄기 유닛(110)의 최상단 측으로 적어도 일부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150)는 와이어(210)가 상하 방향으로 통과 가능한 홀이 구비된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앵커형 들고리(100)는 간격 유지 부재(150)가 제2 상태인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쇄기 결합용 홀(121)의 최상단 사이의 벌어진 간격에 대해 삽입 배치된 상태일 때, 인양 후 최대 폭(직경)을 갖질 수 있다.
도2, 도 8 내지 도 9b을 참조하면, 간격 유지 부재(150)는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9b를 참조하면, 간격 유지 부재(150)는 제2 상태에서의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상단에 대하여 일부 삽입되어 개재될 수 있다. 이때, 간격 유지 부재(150)가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상단에 대하여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상하측에 배치된 상측 탄성부재(130)와 하측 탄성부재(140)는 횡 방향으로의 탄성 복원력이 가해져 간격 유지 부재(150)가 개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간격 유지 부재(150)는 앵커 와이어(200)의 외주를 둘러싸게 앵커 와이어(200)에 대해 삽입된 상태에서 앵커 와이어(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150)의 홀의 폭이 와이어(210)의 폭(예를 들면 직경)에 대응하는 홀 크기로 형성되거나, 그보다 제작오차 등을 고려한 소정의 여유치를 갖도록 확장된 홀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앵커 와이어(200)의 와이어(210)에 대해 와이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7a를 참조하면, 간격 유지 부재(150)는,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이 제1 상태일 때,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쇄기 결합용 홀(121)의 최상단 사이에 일부 삽입 배치되지 않고, 앵커 와이어(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할 수 있으며, 도 7b를 참조하면,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이 제2 상태일 때,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쇄기 결합용 홀(121)의 최상단 사이에 일부 삽입 배치되도록 앵커 와이어(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도 2 및 도 9b를 참조하면, 간격 유지 부재(150)는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이 제2 상태에 대응하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상태에 대응하는 간격은,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이 최소 이격 거리보다 큰 확장 이격 거리만큼 상호 벌어진 간격일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b를 참조하면, 간격 유지 부재(150)는 하부 파이프부(151) 및 상부 파이프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하부 파이프부(151)는 제2 상태에서 앵커 와이어(200)와 쇄기 결합용 홀(121)의 최상단 사이의 벌어진 간격 부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파이프부(151)는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쇄기 결합용 홀(121)의 최상단 사이의 벌어진 간격 부분으로 삽입되며, 하부 파이프부(151)의 최하면이 쇄기 유닛(110)의 최상면과 맞닿을 정도로 삽입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부 파이프부(152)는 하부 파이프부(151)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9b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부 파이프부(152)는, 앵커 와이어(200)가 수직 방향보다 경사진 상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상부 파이프부(152)에 가해지는 작용력에 대한 구조적 저항성을 고려하여 하부 파이프부(151)보다 두꺼운 파이프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파이프부(151)는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이 제2 상태일 때, 쇄기 결합용 홀(121)의 최상단 사이의 벌어진 간격에 삽입이 가능한 파이프 두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 파이프부(152)는 콘크리트 블록 인양 시 앵커 와이어(200)가 경사진 상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상부 파이프부(152)에 가해지는 작용력에 의해 상부 파이프부(152)가 변형이 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에 대하 구조적 저항성을 고려하여 하부 파이프부(151)보다 두꺼운 파이프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9b 및 도 10을 참조하면, 간격 유지 부재(150)는 간격 유지 부재 인상 와이어(400)와 연결될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 인상 와이어(400)는 간격 유지 부재(150)가 한 쌍의 지지 유닛(12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당김 힘(인장력)을 가하였을 때 상기 당김 힘을 간격 유지 부재(150)에 전달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진 규격(재질 및 폭(굵기))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150)는 파이프일 수 있으며, 간격 유지 부재 인상 와이어(400)는 파이프인양와이어일 수 있다.
도 1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상부 막음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며,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제1 상태에서의 상부 막음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고, 도 1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제2 상태에서의 상부 막음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또한, 도 14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하부 막음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며, 도 14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제1 상태에서의 하부 막음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예를 들어, 도 7a, 도 7b, 도 11 내지 도 14b를 참조하면, 본 앵커형 들고리(100)는 상부 막음판(160) 및 하부 막음판(17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막음판(160) 및 하부 막음판(170)은,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쇄기 결합용 홀(121)에 배치된 쇄기 유닛(110)이 쇄기 결합용 홀(121)로부터 이탈(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부 막음판(160)은 일부가 개구된 C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막음판(160)의 개구부는 간격 유지 부재(150)의 하부 파이프부(151)의 폭 이상의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막음판(160)이 쇄기 유닛(110)이 상향 돌출되지 않도록, 상부 막음판(160)의 개구부(C자 형상으로 함몰된 개구 영역)는 쇄기 유닛(110)의 최상면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부 막음판(160)은 한 쌍의 지지 유닛(120) 중 어느 하나의 지지 유닛(120a)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 막음판(160)은 볼트로 어느 한쪽의 지지 유닛(120a)에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앵커형 들고리(100)는 상부 막음판(160) 상에 상측 탄성부재(13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부 막음판(160)은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가 변환됨에 따라 지지 유닛(120a) 간에 이격 거리가 벌어질 때, 상부 막음판(160)은 어느 하나의 지지 유닛(120a)을 따라 그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부 막음판(160)의 개구부는 이러한 벌어짐 이동시에 하부 파이프부(151)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C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7a, 도 7b 및 도 14b를 참조하면 하부 막음판(170)은 한 쌍의 지지 유닛(120) 각각의 하면에 대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부 막음판(170)는 한 쌍의 지지 유닛(120) 각각의 하면에 대해 볼트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앵커형 들고리(100)는 하부 막음판(170) 상에 하측 탄성부재(14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하부 막음판(170)은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하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최하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가리도록(막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하부 막음판(170)은 쇄기 유닛(110)의 하단으로부터 일부 돌출된 와이어 고정 유닛(220)과 간섭(중첩)되지 않도록 일부 개구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부 막음판(170)은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을 하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면서도 와이어 고정 유닛(220)과의 간섭은 방지하는 일부 영역이 개구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 도 7b 및 도 14b를 참조하면, 하부 막음판(170)은 한 쌍의 지지 유닛(120) 각각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가 변환될 때, 각각의 지지 유닛(120a)와 함께 이격되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부 막음판(160) 및 하부 막음판(170)의 각각의 두께는 3mm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쇄기 유닛(110), 한 쌍의 지지 유닛(120) 등 본 앵커형 들고리(100)의 규격은 콘크리트 블록의 형상 및 하중, 앵커가이드(300)의 규격, 배치 개수 등과 같은 다양한 설계 조건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앵커 와이어(200) 및 간격 유지 부재 인상 와이어(400)의 굵기 등과 같은 규격은 콘크리트 블록의 형상 및 하중 등과 같은 다양한 설계 조건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 1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에 분리방지 볼트가 구비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고, 도 1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에 분리방지 볼트가 구비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1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지지 유닛에 분리방지 볼트 홀이 형성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고, 도 1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의 분리방지 볼트 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한편, 도 15, 도 16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앵커형 들고리(100)는 분리방지 볼트(18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은 쇄기 유닛(110)이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이 최소 이격 거리 보다 큰 확장 이격 거리만큼 상호 벌어진 제2 상태에 놓이며, 이때, 분리방지 볼트(180)는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이 상호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상측 탄성부재(130) 및 하측 탄성부재(140)의 탄성 복원력이 이를 견디지 못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분리방지 볼트(180)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182) 및 나사부(182)의 폭(직경)보다 큰 폭을 갖도록 구비된 머리부(18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은 쇄기 결합용 홀(121) 상측에 분리방지 볼트 홀(1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방지 볼트 홀(122)은 한 쌍의 지지 유닛(120) 각각에 대해 분리방지 볼트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의 (a) 및 (c)를 참조하면, 분리방지 볼트 홈은 한 쌍의 지지 유닛(120) 중 일측 지지 유닛에 대해 분리방지 볼트(180)의 나사부(182)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8의 (b) 및 (d)를 참조하면, 분리방지 볼트 홈은 한 쌍의 지지 유닛(120) 중 타측 지지 유닛에 대해 분리방지 볼트(180)의 머리부(181)의 횡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머리부(181)의 폭(직경)보다 큰 폭(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머리부(18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분리방지 턱(122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앵커형 들고리(100)는 제1 상태의 한 쌍의 지지 유닛(120) 사이에 개재된 쇄기 유닛(110)이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쇄기 유닛(110)의 폭에 대응하여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상호 간격은 확장 이격 거리만큼 상호 떨어지게 되며, 이때, 분리방지 볼트(180)의 머리부(181)가 타측 지지 유닛에 대해 형성된 분리방지 볼트 홈을 따라 이격된 거리만큼 횡 방향 이동될 수 있으며, 분리방지 볼트 홈에 형성된 분리방지 턱(122a)의 간섭에 의해 머리부(181)가 소정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현장에서의 콘크리트 블록 인양 시험시 상측 탄성부재(130) 및 하측 탄성부재(140)로 연결된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이 분리되어 지지 유닛을 유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앵커형 들고리(100)는 분리방지 볼트(180)가 미리 설정된 간격에 대응하여 분리방지 턱(122a)이 형성된 분리방지 볼트 홀(122)에 결합됨으로써,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분리를 방지하여 쇄기 유닛(1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상부 막음판(160)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이하 '본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이라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은 전술한 본 앵커형 들고리(100)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을 공유하는 것으로서, 본 앵커형 들고리(100)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본 콘크리트 인양 방법은 상면에 대하여 앵커가이드(300)가 매설 배치된 콘크리트 블록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앵커가이드(300)가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대해 상향 개구된 삽입 홀(310)이 형성되게 매설 배치된 상태인 콘크리트 블록이 사전에 준비될 수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블록은 공장 제작 또는 현장 인근의 제작장에서의 제착을 통해 사전 준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매설 배치 단계에서는, 앵커가이드(300)를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대하여 매설 배치한 후, 앵커가이드(300)의 배치(설치)상태를 확인하고, 내부 깊이를 측정하여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앵커가이드(300) 내에 이물질이 있으면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콘크리트 인양 방법은 제1 상태인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을 포함하는 본 앵커형 들고리(100)를 앵커가이드(300)의 삽입 홀(310)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본 앵커형 들고리(100) 삽입 단계 전에, 본 앵커형 들고리(100)의 조립상태와 상측 탄성부재(130) 및 하측 탄성부재(140)의 작동상태 및 쇄기 유닛(110)의 움직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작업자는 와이어 고정 유닛(220)과 와이어(210)가 일체로 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작업자는 쇄기 유닛(110)과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쇄기 결합용 홀(121)의 접촉면에 윤활 물질이 도포되어 있는지 또는 미끄러짐에 방해가 되는 손상이 없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본 앵커형 들고리(100) 삽입 단계 전에, 본 앵커형 들고리(100)를 들어 올리고, 간격 유지 부재(150)가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쇄기 결합용 홀(121)의 최상단에 삽입되지 않고 앵커 와이어(200)에 대해 삽입된 상태에서 상측 탄성부재(130)와 하측 탄성부재(1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이 최소 이격 거리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본 앵커형 들고리(10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간격 유지 부재(150)를 들어 올려 살짝 떨어트리면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이 간격을 가지고 양쪽으로 벌어지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간격 유지 부재9150)는 한 쌍의 지지 유닛의 내측에 삽입되어 최하면이 쇄기 유닛(110)의 최상면과 맞닿을(접할) 수 있다.
즉, 상측 탄성부재(130)와 하측 탄성부재(140)는 본 앵커형 들고리(100)의 자중에는 저항하여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을 상호 가까워지게 당긴 상태를 유지하지만, 간격 유지 부재(150) 하중 재하시에는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이 벌어지게 되는 정도의 적절한 탄성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양 하중 작용, 간격 유지 부재(파이프) 삽입을 위한 하중(간격 유지 부재 자중 및 작업자가 가하는 인력 또는 장비 하중)이 없는 상태에서는 상측 탄성부재(130)와 하측 탄성부재(140)는 본 앵커형 들고리 자체 자중에는 저항하여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을 상호 가까워지게 당긴 상태를 유지하지만, 인양 하중이 가해진 상태(예를 들면,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을 벌어지게 하고자 하는 정도의 예비적인 하중이 가해진 상태), 간격 유지 부재(140) 삽입을 위한 하중(간격 유지 부재 자중 및 작업자가 가하는 인력 또는 장비 하중)이 가해진 상태에서는 한 쌍의 지지 유닛(120) 사이가 벌어지게 되는 정도의 적절한 탄성을 가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앵커형 들고리(100) 삽입 단계에서, 작업자(크레인 조작원)가 간격 유지 부재(150)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본 앵커형 들고리(100)를 내리고, 작업자가 그 상태에서 본 앵커형 들고리(100)를 앵커가이드(300) 바닥까지 내릴 수 있다.
또한, 본 콘크리트 인양 방법은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외주 주름이 앵커가이드(300)의 내주(320) 주름에 맞물림 결합되면서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이 제2 상태에 놓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이 앵커가이드(300)에 맞물림 결합되는 단계에서, 작업자(크레인 조작원)가 간격 유지 부재(150)를 떨어트리고, 작업자는 본 앵커형 들고리(100)의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이 확장 이격 거리만큼 상호 벌어져 앵커가이드(300)에 고정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확인은 앵커 와이어(200)를 좌우로 흔들고 당겨서 정착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간격 유지 부재(150)의 상단면과 콘크리트 블록의 상단면의 높이(레벨) 차이를 보아서 간격 유지 부재(150)가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의 내부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콘크리트 인양 방법은 상기 단계(앵커가이드 매설 배치 단계, 본 앵커형 들고리 삽입 단계, 본 앵커형 들고리가 앵커가이드에 맞물림 결합되는 단계)를 콘크리트 블록의 규격에 따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블록의 4개소의 위치에 대해 앵커가이드(300)를 배치할 수 있으며, 본 앵커형 들고리(100) 4개를 상기 앵커가이드(300)에 대해 삽입 및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앵커형 들고리(100)에 삽입 배치된 앵커 와이어(200)를 인양장치(예를 들어, 크레인)의 주와이어에 걸 수 있다. 이때, 작업자(크레인 조작원)이 주와이어를 당겨서 본 앵커형 들고리(100)의 정착여부를 재차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콘크리트 인양 방법은 앵커 와이어(200)에 인양(lifting)을 위한 하중을 가하여(예를 들면 크레인 등과 같은 인양용 장비를 이용하여 가함)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하는 단계에서, 간격 유지 부재(150)는 한 쌍의 지지 유닛(120)과 체결된 형태로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콘크리트 블록을 일시적으로 바닥에 내리는 상태에서도 간격 유지 부재(150)는 한 쌍의 지지 유닛(120)과 체결된 형태로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하고, 콘크리트 블록을 거치하는 경우에는 가능한 수평으로 하여 본 앵커형 들고리에 균일한 하중이 걸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블록을 소정의 위치에 거치한 경우에는, 간격 유지 부재(150)에 연결된 간격 유지 부재 인상 와이어(400)를 당겨서 간격 유지 부재(150)가 한 쌍의 지지 유닛(120)과 분리(체결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크레인 조작원)이 주와이어를 하향시켜서(내려서) 4개의 앵커 와이어(200)와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앵커 와이어(200)를 좌우로 흔들어서 본 앵커형 들고리(100)의 벌어진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이 합쳐지도록 할 수 있다. 제1 상태가 된 한 쌍의 지지 유닛(120)을 상측으로 당겨서 올릴 수 있다. 또한, 다시 4개의 앵커 와이어(200)를 인양장치(크레인)의 주와이어에 걸어서 작업을 종료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앵커형 들고리(100)의 분리 작업은 설계 위치나 작업 방식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작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콘크리트 인양 방법은 상기 콘크리트 블록을 거치하고 상기 앵커가이드로부터 상기 앵커형 들고리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앵커형 들고리
110: 쇄기 유닛
111: 와이어 통과용 홀
111a: 안착용 홈
120: 한 쌍의 지지 유닛
121: 쇄기 결합용 홀
121a: 쇄기 결합용 홈
122: 분리방지 볼트 홀
122a: 분리방지 턱
130: 상측 탄성부재
140: 하측 탄성부재
150: 간격 유지 부재
151: 하부 파이프부
152: 상부 파이프부
160: 상부 막음판
170: 하부 막음판
180: 분리방지 볼트
181: 머리부
182: 나사부
200: 앵커 와이어
210: 와이어
220: 와이어 고정 유닛
300: 앵커가이드
310: 삽입 홀
320: 내주
330: 외주

Claims (3)

  1.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대하여 상향 개구된 삽입 홀이 형성되게 매설 배치된 앵커가이드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앵커형 들고리로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쇄기 형상으로 구비되고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통과용 홀이 형성된 쇄기 유닛;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쇄기 결합용 홀이 상기 쇄기 유닛과 쇄기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쇄기 유닛의 외주면을 횡 방향 양측에서 감싸는 쇄기 결합용 홈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지지 유닛;
    상기 한 쌍의 지지 유닛 사이에 개재된 상기 쇄기 유닛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의 탄성 복원력이 가해지도록 탄성적으로 인장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지지 유닛의 상측을 상호 연결하는 상측 탄성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지지 유닛 사이에 개재된 상기 쇄기 유닛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의 탄성 복원력이 가해지도록 탄성 인장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지지 유닛의 하측을 상호 연결하는 하측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앵커가이드는 내주와 외주에 주름이 형성된 주름관을 세움 상태로 배치한 것이고,
    상기 한 쌍의 지지 유닛 각각의 외주는 상기 앵커가이드의 내주 주름과 맞물림 결합 가능한 외주 주름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인, 앵커형 들고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 유닛은,
    상기 와이어 통과용 홀에 대하여 앵커 와이어가 상향 이탈이 제한되게 고정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최소 이격 거리를 가지도록 상기 쇄기 유닛을 감싼 제1 상태일 때 상기 삽입 홀에 삽입 가능한 폭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앵커형 들고리가 상기 삽입 홀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쇄기 유닛이 상기 쇄기 결합용 홀 내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 유닛보다 상대적으로 상향 이동되면서 상기 한 쌍의 지지 유닛이 상기 최소 이격 거리 보다 큰 확장 이격 거리만큼 상호 벌어진 제2 상태일 때 상기 앵커가이드의 내주 주름에 맞물림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인, 앵커형 들고리.
  3. 제2항에 따른 앵커형 들고리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으로서,
    (a) 상면에 대하여 상기 앵커가이드가 매설 배치된 콘크리트 블록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1 상태인 한 쌍의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상기 앵커형 들고리를 상기 앵커가이드의 삽입 홀에 삽입하는 단계;
    (c) 상기 한 쌍의 지지 유닛의 외주 주름이 앵커가이드의 내주 주름에 맞물림 결합되면서 상기 한 쌍의 지지 유닛이 상기 제2 상태에 놓이는 단계; 및
    (d) 상기 앵커 와이어에 인양을 위한 하중을 가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
KR1020220138041A 2022-10-25 2022-10-25 앵커형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 KR102604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041A KR102604243B1 (ko) 2022-10-25 2022-10-25 앵커형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041A KR102604243B1 (ko) 2022-10-25 2022-10-25 앵커형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4243B1 true KR102604243B1 (ko) 2023-11-21

Family

ID=88981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041A KR102604243B1 (ko) 2022-10-25 2022-10-25 앵커형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2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1606B1 (ko) * 2023-12-26 2024-06-04 주식회사 항도엔지니어링 분리형 지지부를 가진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0291A (ja) * 1998-03-26 1999-10-05 Toray Ind Inc コンクリート部材用筒状器材
JP2001311399A (ja) * 2000-04-28 2001-11-09 Kamishimagumi:Kk 岩への棒状部材の固定装置、この装置を用いたロックボルトおよび岩石の吊上げ装置
JP2003002576A (ja) * 2001-06-21 2003-01-08 Tokuri:Kk コンクリート構造体用吊具
WO2010045692A1 (en) * 2008-10-23 2010-04-29 Obelix Holdings Pty Limited A 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crete elements
KR20150116738A (ko) * 2014-04-08 2015-10-16 유한회사 박상술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
KR101618797B1 (ko) * 2015-12-15 2016-05-09 유한회사 박상술 해양 콘크리트구조물의 인양보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인양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0291A (ja) * 1998-03-26 1999-10-05 Toray Ind Inc コンクリート部材用筒状器材
JP2001311399A (ja) * 2000-04-28 2001-11-09 Kamishimagumi:Kk 岩への棒状部材の固定装置、この装置を用いたロックボルトおよび岩石の吊上げ装置
JP2003002576A (ja) * 2001-06-21 2003-01-08 Tokuri:Kk コンクリート構造体用吊具
WO2010045692A1 (en) * 2008-10-23 2010-04-29 Obelix Holdings Pty Limited A 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crete elements
KR20150116738A (ko) * 2014-04-08 2015-10-16 유한회사 박상술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양 보조장치
KR101618797B1 (ko) * 2015-12-15 2016-05-09 유한회사 박상술 해양 콘크리트구조물의 인양보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인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1606B1 (ko) * 2023-12-26 2024-06-04 주식회사 항도엔지니어링 분리형 지지부를 가진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4243B1 (ko) 앵커형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
CA2740498C (en) A 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crete elements
KR200470106Y1 (ko) 갱폼의 추락방지를 위한 앵커볼트 잠금장치
CA2998110C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a tensioning tendon in a wind turbine tower
CN105324538A (zh) 具有可调节高度及倾斜度的检修孔盖的检修孔
US20100192484A1 (en) Joining system for two building elements
KR101743358B1 (ko) 파일 인양기구
KR20070107310A (ko) 항두막이 장치
JP5300311B2 (ja) 立て管施工方法および立て管ユニット
KR20190113468A (ko) 잠금부를 구비한 갱폼 추락방지장치
JP2010121394A (ja) 塔状構造物解体ゴンドラ及びそれを用いた塔状構造物解体工法
KR20100092290A (ko)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가이드장치
JP5123784B2 (ja) マンホール浮上抑制装置
JP2681270B2 (ja) 杭の保持装置
KR102671606B1 (ko) 분리형 지지부를 가진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
JP2019190172A (ja) 端板付き既製コンクリート杭の吊り金具装置、及び端板付き既製コンクリート杭の建込み方法
KR101072738B1 (ko) 피에이치씨 파일의 두부 보강 장치
KR101587908B1 (ko) 인양 고리 장치
KR101254502B1 (ko) 반자동 샤클
JP2021173041A (ja) 土木工事用構造体
JP3084895U (ja) コンクリート製マンホール塊の位置合わせ装置
KR102455291B1 (ko) 갱폼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KR200492861Y1 (ko) 거푸집 지지 장치
WO2023243113A1 (ja) 土木工事用袋体の型枠装置
JP7437830B2 (ja) 吊り部材、及び吊り部材による蓋部材の開放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