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1606B1 - 분리형 지지부를 가진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 - Google Patents

분리형 지지부를 가진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1606B1
KR102671606B1 KR1020230191014A KR20230191014A KR102671606B1 KR 102671606 B1 KR102671606 B1 KR 102671606B1 KR 1020230191014 A KR1020230191014 A KR 1020230191014A KR 20230191014 A KR20230191014 A KR 20230191014A KR 102671606 B1 KR102671606 B1 KR 102671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lock
lifting
insertion hole
central key
up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91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효
공대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항도엔지니어링
합자회사 부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항도엔지니어링, 합자회사 부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항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30191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16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1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1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66C1/6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for connection to anchor inserts embedded in concret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Caissons; Construction or placing of cais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원은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협하광 형상의 쇄기부와, 하단에 형성된 걸림쇄를 가지는 중앙 키; 상협하광 형상의 쇄기 결합용 홀이 상기 쇄기부와 쇄기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쇄기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쇄기 결합용 홈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지지부; 복수의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삽입 홀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의 탄성 복원력이 가해지도록 복수의 상기 지지부를 감싸는 탄성부재; 및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기 지지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핀 가이드와, 상기 걸림쇄가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는 결합 공간을 가지는 바닥부를 포함하되, 상기 핀 가이드의 가이드홈에 상기 지지부의 하단이 맞물림 결합되어, 상기 중앙 키의 상승에 의한 쇄기 힘 작용 시 상기 지지부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지지부를 가진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CONCRETE BLOCK LIFTING UNIT HAVING DETACHABLE SUPPORT AND CONCRETE BLOCK LIF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원은 분리형 지지부를 가진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파제와 접안시설 등 항만 공사시 사용하는 콘크리트 블록은 크레인 등과 같은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인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블록에는 인양장치에 용이하게 연결되기 위하여 들고리가 설치된다.
종래의 들고리는 콘크리트 블록에 대하여 직접 매립되어 제작되었다. 이러한 매립 방식은 고가의 들고리의 회수가 불가능하고, 시공 중 콘크리트 블록이 파손되거나, 들고리가 콘크리트에서 빠지는 사고가 발생하는 등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09-0025086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원은 콘크리트 블록 인양 시,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들고리가 이탈하지 않고, 콘크리트 블록을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앵커형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는, 콘 형상의 쇄기부와, 하단에 형성된 걸림쇄를 가지는 중앙 키; 콘 형상의 쇄기 결합용 홀이 상기 쇄기부와 쇄기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쇄기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쇄기 결합용 홈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지지부; 복수의 상기 지지부에 대해 내측 방향으로의 탄성 복원력이 가해지도록 복수의 상기 지지부를 감싸는 탄성부재; 및 복수의 상기 지지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홈이 형성된 핀 가이드와, 상기 걸림쇄가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는 결합 공간을 가지는 바닥부를 포함하되, 상기 핀 가이드의 홈에 상기 지지부의 하단이 맞물림 결합되어, 상기 중앙 키의 상승에 의한 쇄기 힘 작용 시 상기 지지부가 외측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중앙 키가 상기 바닥부에 대하여 상향 이탈이 제한되게 고정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쇄기부를 감싸는 제1 상태일 때, 상기 삽입 홀에 삽입 가능한 폭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가 상기 삽입 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중앙 키가 상기 바닥부에 대하여 상향 이탈한 상태에서 복수의 상기 지지부가 상호 이격된 제2 상태일 때, 상기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가 상기 삽입 홀로부터 이탈 방지되도록 상기 삽입 홀의 내주면을 가압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키가 상기 바닥부에 대하여 상향 이탈이 제한되게 고정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중앙 키의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쇄가 상기 결합 공간으로부터 상향 이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상기 중앙 키의 회전 시 상기 바닥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은, (a) 상면에 대하여 상향 개구된 삽입 홀이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중앙 키가 상기 바닥부에 대하여 상향 이탈이 제한되게 고정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를 상기 삽입 홀에 삽입하는 단계; (c) 상기 중앙 키를 회전시켜, 중앙 키가 상기 바닥부에 대하여 상향 이탈하면서 복수의 상기 지지부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삽입 홀의 내주면을 가압 지지하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에 인양을 위한 하중을 가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는, 상협하광 형상의 쇄기부와, 하단에 형성된 걸림쇄를 가지는 중앙 키; 상협하광 형상의 쇄기 결합용 홀이 상기 쇄기부와 쇄기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쇄기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쇄기 결합용 홈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지지부; 복수의 상기 지지부에 대해 내측 방향으로의 탄성 복원력이 가해지도록 복수의 상기 지지부를 감싸는 탄성부재; 및 복수의 상기 지지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홈이 형성된 고리와, 상기 걸림쇄가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는 결합 공간을 가지는 바닥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리의 홈에 상기 지지부의 하단이 맞물림 결합되어, 상기 중앙 키의 상승에 의한 쇄기 힘 작용 시 상기 지지부가 외측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콘크리트 블록 인양 시,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들고리가 이탈하지 않고, 콘크리트 블록을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상기 중앙 키가 상기 바닥부에 대하여 상향 이탈이 제한되게 고정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쇄기부를 감싸는 제1 상태일 때, 상기 지지부가 상기 삽입 홀에 삽입 가능한 폭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가 상기 삽입 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중앙 키가 상기 바닥부에 대하여 상향 이탈한 상태에서 복수의 상기 지지부가 상호 이격된 제2 상태일 때, 상기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가 상기 삽입 홀로부터 이탈 방지되도록 상기 삽입 홀의 내주면을 가압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블록을 보다 간편하고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에 의해 달성되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대하여 상향 개구된 삽입 홀이 형성되게 매설 배치된 앵커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키(100)의 개략적인 정면도(a) 및 측면도(b)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0)의 개략적인 상측 평면도(a) 및 하측 평면도(b)이다.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0)의 외주 주름(200b)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400)의 개략적인 상측 평면도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400)의 개략적인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걸림쇄가 결합 공간으로부터 상향 이탈 불가능하게 형성되는 부분(a) 및 걸림쇄가 결합 공간으로부터 상향 이탈 가능하게 형성되는 부분(b)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상태(a) 및 제2 상태(b)에서 복수의 지지부(200)와 들고리(130)의 상측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1 상태(a) 및 제2 상태(b)에서 중앙 키(100) 및 복수의 지지부(200)의 거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S)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제2~"와 같은 용어는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순서를 달리 표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제1", "제2" 등을 표시하지 않은 구성과 실질적으로 같은 구성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상면, 하측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도 1은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대하여 상향 개구된 삽입 홀이 형성되게 매설 배치된 앵커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참고로, 본원에서 콘크리트 블록이라 함은 인양을 필요로 하는 콘크리트 재질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모든 블록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넓게 이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블록은 케이슨 등과 같은 해상/해안/수중 구조물 시공을 위한 블록, 상기 블록 외에도 교량 등과 같은 다른 사회기반시설에 대응하는 구조물 시공을 위한 블록, 기타 매스 콘크리트 블록 등 다양한 블록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앵커가이드(500)는 콘크리트 블록(1000)의 상면에 대하여 상향 개구된 삽입 홀(1000a)이 형성되게 매설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앵커가이드(500)는 콘크리트 블록(1000)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수직하도록 배치된다는 것은, 반드시 완전한 수직 배치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좁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대략적으로 상측을 향하도록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경우 또한 포괄하는 것으로 넓게 이해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앵커가이드(500)는 콘크리트 블록(1000)의 상면(표면)으로부터 100mm 내지 1000mm의 깊이로 매설 배치(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앵커가이드(500)의 매설 배치 깊이는 콘크리트 블록의 형상 및 하중, 앵커가이드(500)의 규격, 배치 개수 등과 같은 다양한 설계 조건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앵커가이드(500)의 내경, 두께, 주름의 피치 등의 규격은 후술할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의 크기(규격)와, 삽입 홀(1000a) 내측으로의 삽입 및 삽입 홀(1000a) 내주면(앵커가이드 내주면)에 대한 가압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는 후술하는 복수의 지지부(200)가 이격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120mm 내외의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쇄기부(110)의 상승에 따라 복수의 지지부(200)가 최대로 이격된 상태에서는 130mm 내지 140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는데, 앵커가이드(500)의 규격은 지지부(200)의 외측면으로부터 삽입 홀(1000a)의 내주면에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압 지지력이 가해지는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앵커가이드(500)의 규격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설계 조건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앵커가이드(500)가 매설 배치되는 콘크리트 블록(1000)의 삽입 홀(1000a)의 하부(하부면)에는 삽입 홀 내부에 시멘트몰탈이 유입되는 것을 막도록 비닐 등과 같은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앵커가이드(500)는 콘크리트 블록(1000)의 규격(형상, 하중 등)을 고려하여 배치 개소 등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앵커가이드(500)는 콘크리트 블록의 제작 단계에서 4개소(최소 3개소 이상)의 위치에 대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4개소의 위치는 앵커가이드(500)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에 대해 콘크리트 블록(1000)의 하중이 가능한 동일하게 부하되는 위치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앵커가이드(500)는 폭이 2.0m 이하인 콘크리트 블록(소형 콘크리트 블록)에 대해서는 콘크리트 블록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앵커가이드(500)는 콘크리트 블록(1000)의 가장자리로부터 일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앵커가이드(500)는 콘크리트 블록(1000)의 가장자리로부터 50cm 이상 떨어진 위치에 대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앵커가이드(500)는 내주(510)와 외주(520)에 주름이 형성된 주름관(파형관)을 세움 상태로 배치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앵커가이드(500)는 파상형 폴리에틸렌 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앵커가이드(500)는 내주(510) 주름이 나선으로 연장되는 주름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앵커가이드(500)는 콘크리트 타설시 찌그러지는 등과 같은 파손 및 변형이 발생하기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주름관은 코로게이트(ELP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주름관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앵커가이드(500)의 내주 또는 외주의 형상은 주름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의 외주면과 맞물리거나 상기 외주면과의 마찰을 더욱 증대할 수 있는 다양한 요철 형태 또는 높은 조도를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앵커가이드(500) 내부에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콘크리트 블록(1000)에는 앵커가이드(500)가 매설되지 않은 형태로 삽입 홀(1000a)이 형성되고, 삽입 홀(1000a)의 내측 둘레면(내주면)을 가압하도록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가 삽입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는 콘크리트 블록에 형성된 삽입 홀, 또는 삽입 홀이 형성되도록 매설 배치된 앵커가이드 내부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는 중앙 키(100), 복수의 지지부(200), 탄성부재(500) 및 바닥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의 직경은 100mm 내지 1000mm, 높이는 150mm 내지 1500mm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의 직경은 복수의 지지부(200)가 상호 이격되지 않은 제1 상태 또는 초기 상태에서 120mm일 수 있고, 복수의 지지부(200)가 최대로 이격된 상태에서는 136mm일 수 있으며,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의 높이는 약 200mm 내외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콘크리트 블록(1000)의 크기나 무게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중앙 키(100)는 콘크리트 블록에 형성된 삽입 홀 내부에 삽입되어 하중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가 삽입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중앙 키(100)의 일부분은 삽입 홀(1000a) 외부로 노출되어 노출된 부분을 통해 콘크리트 블록의 인양을 위한 하중을 인가할 수 있다. 중앙 키(100)는 쇄기부(110), 걸림쇄(120) 및 들고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쇄기부(110)는 상협하광 형상을 가져 상측(도 4의 12시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쇄기부(110)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회전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쇄기부(110)는 하측의 일부분이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쇄기부(1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져 후술하는 복수의 지지부(200)와 쇄기 결합을 형성하고, 중앙 키(100)의 상승에 따라 복수의 지지부(200)가 외측 반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면 족하다.
예를 들어, 쇄기부(110)를 포함하는 중앙 키의 재질은 금속 재질(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쇄기부(110)의 경사각은 10도 또는 13도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쇄기부(110)의 재질과 경사각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설계 조건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쇄기부(110)는 외측면이 미끄러짐에 방해되는 손상이 없도록 매끈하게 가공될 수 있다.
걸림쇄(120)는 중앙 키(100)의 하단에 형성되며, 후술하는 바닥부(400)에 형성된 결합 공간(420) 내부에 걸림쇄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걸림쇄(120)는 비-회전체로 형성되어, 중앙 키(100)의 회전에 따라 바닥부(400)와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걸림쇄(120)를 결합 공간(420) 내에 삽입한 후 중앙 키(10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중앙 키가 바닥부에 대하여 상향 이탈이 제한되게 고정 배치된 상태에서는, 걸림쇄(120)가 격벽(421)에 막혀 결합 공간(420)에 대한 상향 이탈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중앙 키가 바닥부에 대해 상향 이탈이 제한되게 고정 배치된 상태로부터, 중앙 키(10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중앙 키가 바닥부에 대하여 상향 이탈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일예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걸림쇄(120)는 쇄기부(110)의 하부에서 비-회전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걸림쇄(120)는 쇄기부(110)의 하측에서, 쇄기부(110)의 하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연장된 하단에서 수평 방향 양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는데, 걸림쇄(120)가 연장된 길이는 쇄기부(110)의 중심으로부터 외주면까지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의 제작 여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걸림쇄(120)는 바닥부(400)에 대해 상향 이탈 불가능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를 인양하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걸림쇄(120)가 결합 공간(420) 내부에서 결합 공간(420)에 대해 상향 이탈 불가능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들고리(130)에 인양을 위한 하중을 가하는 경우, 걸림쇄(120)는 바닥부(400)에 형성된 결합 공간(420)의 상측 격벽(421)에 걸리면서, 바닥부(400)와 함께 바닥부(400)에 착저된 복수의 지지부(200)를 인양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들고리(130)는 쇄기부(110)의 상측에 형성되며, 콘크리트 블록의 삽입 홀 외부로 연장되어 콘크리트 블록 인양을 위한 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들고리(130)는 쇄기부(110)로부터 연결봉이 소정 길이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단에는 하중을 가하기 위한 수단을 연결할 수 있도록 고리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들고리(130)에는 콘크리트 블록의 인양을 위한 큰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쇄기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들고리(130)는 쇄기부(110)의 상부면에 견고하게 용접될 수 있다. 들고리의 재질, 폭, 길이 등과 같은 규격은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의 규격, 콘크리트 블록의 크기 및 하중을 고려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할 수 있는 규격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3, 도 5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지지부(200)는 동일한 크기로 복수 개 구비되어, 쇄기부(1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부(200)는 상협하광 형상의 쇄기 결합용 홀(200a)이 쇄기부(110)와 쇄기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쇄기부(11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쇄기 결합용 홈(21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지지부(200)에는 쇄기부(110)의 외주면 중 일부분을 감싸도록 쇄기 결합용 홈(2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지지부들의 쇄기 결합용 홈이 결합되어 쇄기부(11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쇄기 결합용 홀(200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쇄기 결합용 홈(210)은 쇄기부(110)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쇄기부(110) 측, 또는 복수의 지지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상협하광 형상의 쇄기 결합용 홀(200a)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쇄기 결합용 홈(210)은 쇄기부(110)와 쇄기 결합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미끄러짐에 방해되는 손상이 없도록 매끈하게 가공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부(200)는 쇄기부(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60도의 중심각을 가지는 6개의 지지부(200)가 쇄기부(110)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지지부(200)의 개수는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의 규격, 콘크리트 블록에 형성된 삽입 홀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지지부(200)의 재질은 금속 재질(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 재질)일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지지부(200)의 외면에는 앵커가이드(500)의 내주(510) 주름과 맞물림 결합 가능한 외주 주름(200b)이 형성됨으로써, 지지부(200)의 외주 주름(200b)과 앵커가이드(500)의 내주(510) 주름이 맞물림 결합되어 콘크리트 블록 인양 시, 콘크리트 블록으로부터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가 이탈하지 않고, 콘크리트 블록을 보다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다. 일예로, 외주 주름(200b)은 요철이 있는 주름으로 형성될 수 있고, 외주 주름(200b)의 파형 깊이는 약 0.5mm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의 제작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0) 각각의 외주 주름과 앵커가이드(500)의 내주(510) 주름은 나선으로 연장되는 주름 형상으로 서로 맞물림 결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200)의 외주 주름과 앵커가이드(500)의 내주(510) 주름의 높이(깊이) 방향으로 맞물림 위치(피치, pitch)가 어긋나도 나선 방향으로 회전되어 자연스럽게 맞물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블록에 앵커가이드(50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지지부(200)의 외주 주름(200b)은 후술하는 제2 상태에서 삽입 홀과 밀착하여 삽입 홀의 내주면을 가압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지지부(200)는 지지부(200) 하단의 중간 부분에서 형성된 블록아웃부(220)와, 블록아웃부(220)를 사이에 둔 지지부(200)의 대향하는 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핀(230)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아웃부(220)는 지지부(200)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개구부로 이해될 수 있으며, 블록아웃부(220)는 적어도 지지부(200)의 하단 방향과 외측면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200)의 핀(230)이 바닥부(400)의 핀 가이드(410)에 형성된 가이드홈(411)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지지부(200)는 핀 가이드(410)에 대해 삽입 홀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여 핀 가이드의 가이드홈(411)에 지지부(200)의 하단이 맞물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핀 가이드(410)와 블록아웃부(220)가 맞물림 결합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고하면, 지지부(200)는 외측면(도 6의 9시 방향)에 형성되는 탄성부재 안착홈(24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 안착홈(240)에는 탄성부재(300)가 안착 내지 삽입될 수 있다.
탄성부재(300)는 복수의 지지부(200)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의 탄성 복원력이 가해지도록 복수의 지지부(200)를 감싸게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탄성부재(300)는 탄성부재 안착홈(240)에 안착되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300)는 제1 상태에서도 복수의 지지부(200)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의 탄성 복원력을 가하도록, 탄성 인장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탄성부재(300)는 인양 하중이 가해진 상태(예를 들면, 지지부(200)가 상호 이격되도록 하는 정도의 하중이 가해진 상태)이 가해진 상태에서는 복수의 지지부(200)가 상호 이격되는 정도의 적절한 탄성을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부재 안착홈(240)은 지지부(200)의 상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200)의 하단 부분은 핀 가이드(410)와 맞물림 결합되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탄성부재(300)가 지지부(200)의 상측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탄성부재 안착홈(240)이 지지부(200)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둘 이상의 탄성부재(300)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된 채 복수의 지지부(200)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지지부(200)는 지지부(200)의 둘레 방향 일측면 상에 함입 형성된 연결 홈(250)과, 지지부(200)의 둘레 방향 타측면 상에 돌출 형성된 연결 돌기(26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홈(250)은,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지지부(200)에 형성된 연결 돌기(260)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져 이웃하는 지지부(200 사이 결합을 보조하면서, 이웃하는 지지부(200)가 반경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상태에서 지지부(200)의 연결 홈(250)에 이웃하는 지지부의 연결 돌기(260)가 수용되어 지지부(200) 사이 연결이 유지될 수 있으며, 제2 상태에서는 지지부의 연결 홈(250)으로부터 이웃하는 지지부의 연결 돌기(260)가 빠져 이웃하는 지지부(200)가 이격될 수 있다.
일예로, 연결 홈(250) 및 연결 돌기(260)는 지지부(20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 홈(250) 및 연결 돌기(260)는 지지부(200)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연장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과 위치는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의 규격을 고려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바닥부(400)은 본원의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의 하부에 형성되어, 쇄기부(11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지지부(200)의 반경 방향 내외측 이동을 가이드하고, 중앙 키의 걸림쇄(120)를 수용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걸림쇄(120)가 바닥부(400)에 대해 상향 이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가 삽입 홀에서 빠지지 않은 상태로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닥부(400)는 복수의 지지부(200)가 그 상면에 착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부(400)는 지지부(200)의 하단과 맞물림 결합될 수 있다. 즉, 바닥부(400)는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의 인양 시 지지부(200)를 지지하면서, 복수의 지지부(200)가 중앙 키(100)와 함께 이동하여 콘크리트 블록에 형성된 삽입 홀(1000a) 내부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바닥부(400)은 전체적으로 소정 높이를 가지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바닥부(400)의 단면은 콘크리트 블록에 형성된 삽입 홀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거나, 제작오차 등을 고려한 소정 여유치를 가져 삽입 홀의 내경보다 소정 정도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바닥부(400)의 재질은 금속 재질(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 재질)일 수 있다. 다만, 바닥부(400)의 재질과 형상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설계 조건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바닥부(400)은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핀 가이드(410), 중앙 부분에 형성된 결합 공간(420) 및 하면에 형성된 돌출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핀 가이드(410)는 지지부(200)의 하단과 맞물림 결합되어 지지부의 반경 방향 내외측 이동을 가이드하고, 지지부(20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핀 가이드(410)는 바닥부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부(20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핀 가이드(410)는 바닥부(400) 상면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예로, 60도의 중심각을 가진 6개의 지지부(200)가 쇄기부(110)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경우, 핀 가이드(410)는 이에 대응되게 바닥부(400) 상에 60도의 간격을 가지고 6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 가이드(410)는 바닥부(40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핀 가이드(410)는 바닥부(400) 상면의 설정된 위치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 부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바닥부(400)의 제조 여건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 가이드(410)는 바닥부(400)의 상면에 핀 가이드의 설치를 위해 형성된 핀 가이드 홀에 삽입된 후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핀 가이드(410)는 지지부(200)가 바닥부(400) 상에 착저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형상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핀 가이드(410)는 지지부의 블록아웃부(22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블록아웃부(220)를 제외한 지지부(200)의 하단이 바닥부(400)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착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핀 가이드(410)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홈(41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411)은 반경 방향 내측이 개방되어 반경 방향 내측을 통해 전술한 핀(230)이 수용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반경 방향 외측은 폐쇄될 수 있다.
가이드홈(411)에 수용되는 핀(230)은 가이드홈(4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가이드홈(411) 외측이 폐쇄됨에 따라 핀(230) 및 지지부(20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411)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중앙 키(100)가 바닥부(400)에 대해 상향 이탈하여 중앙 키가 상승할 시, 쇄기부(110)를 둘러싸는 지지부(200)가 쇄기 힘에 의해 상승하면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결합 공간(420)은 중앙 키의 걸림쇄(120)를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결합 공간(420)의 바닥부(40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 방향으로 걸림쇄(120)의 진입을 위한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일예로, 결합 공간(420)은 바닥부(400)에 블록아웃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걸림쇄(120)가 결합 공간(420) 내부로 진입하는 부분은 걸림쇄(120)의 형상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제작오차 등을 고려한 소정 여유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걸림쇄(120)가 회전하는 결합 공간(420) 내부는 걸림쇄(120)의 설정된 각도 범위의 회전이 보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결합 공간(420)은 걸림쇄(120)의 회전에 따라 걸림쇄(120)가 결합 공간(420)으로부터 상향 이탈 가능하거나, 상향 이탈 불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쇄(120)는 비-회전체로 형성될 수 있다. 비-회전체 형상의 걸림쇄(120)를 결합 공간(420) 내에 삽입한 후 중앙 키(10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중앙 키가 바닥부에 대하여 상향 이탈이 제한되게 고정 배치된 상태에서는, 걸림쇄(120)가 격벽(421)에 막혀 결합 공간(420)에 대한 상향 이탈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중앙 키가 바닥부에 대해 상향 이탈이 제한되게 고정 배치된 상태로부터, 중앙 키(10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중앙 키가 바닥부에 대하여 상향 이탈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공간(420)은 걸림쇄(120)가 소정 각도 회전하는 범위만큼 바닥부(400)에 블록아웃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쇄(120)의 상향 이탈을 방지하는 각도에서는 결합 공간(420)의 상측에 격벽(421)이 형성되고, 걸림쇄(!20)의 상향 이탈이 가능한 각도에서는 결합 공간(420)의 상측에 격벽(421)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9의 (a)에 도시된 단면의 경우 걸림쇄(120)가 결합 공간(420)으로부터 상향 이탈 불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 9의 (b)에 도시된 단면의 경우 걸림쇄(120)가 결합 공간(420)으로부터 상향 이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걸림쇄(120)는 도 9의 (b)에 도시된 단면 방향을 따라 결합 공간(420) 내부에 삽입된 후, 연장봉(130)의 회전에 따라 걸림쇄(120)가 결합 공간(420) 내부에서 회전하여 도 9의 (a)에 도시된 단면 방향으로 정렬되어, 걸림쇄(120)가 결합 공간(420)으로부터 상향 이탈 불가능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430)는 바닥부(400)의 삽입 홀의 바닥면 또는 앵커가이드(500)의 바닥면에 대한 회전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430)는 바닥부(400)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삽입 홀의 바닥면에 바닥부(400)의 회전 방지를 위한 가압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돌출부(430)는 중앙 키(100)의 회전 시 바닥부(400)가 중앙 키를 따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중앙 키(100)가 바닥부(400)에 대해 상향 이탈이 제한되게 고정 배치된 제1 상태에서 들고리(130)를 통해 중앙 키(100)를 회전시켜 걸림쇄(120)가 결합 공간(420)으로부터 상향 이탈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바닥부(400)가 중앙 키(100)와 함께 삽입 홀 내에서 회전하게 되는 경우 걸림쇄(120)가 결합 공간(420) 내부에서 상향 이탈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으므로, 돌출부(430)를 통해 바닥부(400)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중앙 키(100)를 회전시킴으로써 중앙 키(100)가 바닥부(400)으로부터 상향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430)는 바닥부(400)의 하면에 형성된 받침 핀일 수 있으며, 바닥부(400)의 중앙으로부터 120도의 간격을 가지며 3개가 배치될 수 있고, 약 10mm 내외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회전방재부(430)의 형상과 수량은 삽입 홀의 크기 및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의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의 (a) 및 도 11의 (a)를 참고하면, 복수의 지지부(200)는 중앙 키(100)가 바닥부(400)에 대해 상향 이탈이 제한되게 고정 배치된 상태에서, 쇄기부(110)를 감싸는 제1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a) 및 도 11의 (a)에 도시된 제1 상태는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의 초기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상태에서는 복수의 지지부(200)가 상호 이격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제1 상태에서는 지지부의 연결 홈(250)에 이웃하는 지지부의 연결 돌기(260)가 수용되어, 지지부의 연결 홈(250)과 이웃하는 지지부의 연결 돌기(260)가 상보적으로 결합한 상태일 수 있다.
제1 상태에서는 복수의 지지부(200)가 콘크리트 블록에 형성된 삽입 홀에 삽입 가능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상태에서 복수의 지지부(200)의 외주 직경은 삽입 홀의 내경보다 작도록 구비되어, 콘크리트 블록의 인양 전 제1 상태의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를 삽입 홀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b) 및 도 11의 (b)를 참고하면, 복수의 지지부(200)는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가 삽입 홀에 배치되고, 중앙 키(100)가 바닥부(400)에 대하여 상향 이탈한 상태에서 복수의 지지부(200)가 상호 이격된 제2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b) 및 도 11의 (b)에 도시된 제2 상태는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를 인양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쇄기부(110)의 상승에 의해 복수의 지지부(200)가 최대로 이격된 상태가 아닐 때에도 복수의 지지부(200)가 앵커가이드(500)와 맞물릴 수 있고, 삽입 홀(1000a)에 가압 지지력을 작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0의 (a) 및 도 11의 (a)에 도시된 초기 상태에서, 복수의 지지부(200)가 도 10의 (b) 및 도 11의 (b)에 도시된 상태까지 반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지지부의 외주 주름(200b)이 앵커가이드(500)의 내주(510) 주름 맞물림 결합한 인양 상태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2 상태는 도 10의 (b) 및 도 11의 (b)에 도시된 상태를 포함하여,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가 삽입 홀(1000a)로부터 이탈 방지되도록 복수의 지지부(200)가 삽입 홀의 내주면을 가압 지지하도록 하는 상태로 넓게 이해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제2 상태는 도 10의 (b) 및 도 11의 (b)에 도시된 상태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삽입 홀(1000a)과의 앵커링을 고려하여 지지부(200) 및 핀(230)이 도 10의 (a) 및 도 11의 (a)와, 도 10의 (b) 및 도 11의 (b)에 도시된 위치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제2 상태에서는 걸림쇄(120)가 결합 공간(420)으로부터 상향 이탈되고, 쇄기부(110)가 바닥부(400)에 대해 상향 이동할 수 있다. 쇄기부(110)의 상승에 따라 쇄기부(110)를 둘러싸는 복수의 지지부(200)에는 쇄기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복수의 지지부(200)가 가이드홈(411)을 따라 상측 및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0의 (b) 및 도 11의 (b)에 도시된 제2 상태는 도 10의 (a) 및 도 11의 (a)에 도시된 초기 상태로부터 중앙 키(100)를 90도 회전시킨 것일 수 있다. 즉, 삽입 홀(1000a)인 구멍이 나있는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하기 위해 본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를 삽입하고, 중앙 키(100)를 회전시켜 인양하면 지지부(200)가 확장되어 삽입 홀(1000a)에 밀착 고정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2 상태에서는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가 삽입 홀로부터 이탈 방지되도록, 복수의 지지부(200)의 외측면, 또는 외주 주름(200b)이 삽입 홀의 내주면을 가압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0의 (b) 및 도 11의 (b)의 제2 상태에서 이웃하는 지지부(200) 사이의 거리는 도 10의 (a) 및 도 11의 (a)의 제1 상태에서 이웃하는 지지부(200)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2 상태에서 복수의 지지부(200)의 쇄기 결합용 홈(210)에 의해 형성되는 쇄기 결합용 홀(210a)의 크기는, 제1 상태에서 형성되는 쇄기 결합용 홀(210a)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일예로,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을 위하여, 들고리(130)를 이용하여 중앙 키(100)를 90도 회전시켜 중앙 키(100)가 바닥부(400)와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바닥부(400)에 대해 상향 이탈된 중앙 키(100)는, 쇄기부(11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지지부(200)에 대해 쇄기 힘을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지지부(200)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복수의 지지부(200)가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이때, 바닥부(400)의 상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마련된 핀 가이드(410)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홈(411)이 형성되고, 지지부(200)의 핀(230)이 가이드홈(411) 내에 삽입되어 핀 가이드(410)와 지지부(200)의 하단이 맞물림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홈(411)에 의해 핀(23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중앙 키(100)에 의한 반경 방향 외측으로의 쇄기 힘 작용 시 지지부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 이동되는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고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S)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S)은 전술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을 공유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S)은, 콘크리트 블록을 준비하는 단계(S1),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를 삽입하는 단계(S2), 중앙 키를 이탈시키는 단계(S3) 및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하는 단계(S4)를 포함할 수 있다.
S1 단계에서는 상면에 대해 상향 개구된 삽입 홀이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을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앵커가이드(500)가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대해 상향 개구된 삽입 홀(1000a)이 형성되게 매설 배치된 상태인 콘크리트 블록이 사전에 준비될 수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블록은 공장 제작 또는 현장 인근의 제작장에서의 제작을 통해 사전 준비될 수 있다.
또한, 앵커가이드(500)가 콘크리트 블록에 매설되지 않고, 블록아웃 등의 방법으로 삽입 홀(1000a)이 형성될 수도 있다.
S2 단계에서는 제1 상태인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를 삽입 홀(1000a)에 삽입할 수 있다. 즉, 중앙 키(100)가 바닥부(400)에 대해 상향 이탈이 제한되게 고정 배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를 삽입 홀(1000a)에 삽입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의 삽입 전에,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의 조립 상태와 탄성부재(300)의 작동 상태 및 중앙 키(100)의 바닥부(400)에 대한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복수의 지지부(200)가 이웃하는 지지부(200)와 이격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또는 설정된 최소 이격 거리를 가지는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S2 단계에서, 작업자는 크레인 등을 조작하여 들고리(130)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를 콘크리트 블록에 형성된 삽입 홀(1000a)의 바닥에 놓을 수 있다.
또한, S3 단계에서는 중앙 키(100)가 바닥부(400)에 대해 상향 이탈하면서 복수의 지지부가 제2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중앙 키(100)가 바닥부(400)에 대하여 상향 이탈한 상태에서 복수의 지지부(200)가 상호 이격되어, 지지부(200)의 외측면 또는 외주 주름이 삽입 홀(1000a)의 내주면을 가압 지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가 삽입 홀로부터 이탈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키(100)를 바닥부(400)에 대해 상향 이탈시키기 위해, 들고리(130)를 소정 각도(예를 들면 90도) 회전시킬 수 있다. 들고리(130)의 회전을 통해 이와 연결된 걸림쇄(120)가 결합 공간(420) 내에서 회전하여 걸림쇄(120)가 결합 공간(420)으로부터 상향 이탈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S3 단계에서는 중앙 키(100)를 회전시켜, 중앙 키(100)가 바닥부(400)에 대하여 상향 이탈하면서 복수의 지지부(200)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삽입 홀의 내주면을 가압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S3 단계에서는 걸림쇄(120)가 결합 공간(420)으로부터 상향 이탈 가능한 상태에서, 들고리(130)에 쇄기부(110)의 상승을 위한 하중을 가할 수 있다. 쇄기부(110)가 상승함에 따라, 쇄기부(110)를 둘러싸는 복수의 지지부(200)에 쇄기 힘이 작용하여 지지부(200)가 상측 및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핀 가이드(410)의 가이드홈(411)에 지지부의 하단, 자세하게는 블록아웃부(220) 사이의 핀(230)이 맞물림 결합되어, 지지부(200)가 가이드홈(411)이 형성된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지지부(20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복수의 지지부(200)에 의해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가 콘크리트 블록의 삽입 홀로부터 이탈 방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확인은 들고리(130)를 흔들거나 당기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S)은 S2 및 S3 단계를 콘크리트 블록의 규격에 따라 복수회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블록의 4개소의 위치에 대해 삽입 홀(1000a)을 형성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를 4개의 삽입 홀에 삽입 및 고정할 수 있다.
S4 단계에서는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에 인양을 위한 하중을 가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할 수 있다.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하는 단계에서, 복수의 지지부(200)는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가 삽입 홀(1000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상태로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콘크리트 블록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바닥에 내리는 과정에서도 복수의 지지부(200)가 제2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S)은 콘크리트 블록을 목표한 위치에 배치한 후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를 삽입 홀(1000a)로부터 이탈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를 삽입 홀(1000a)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중앙 키(100)에 가해지는 하중을 제거하여 중앙 키(100)를 바닥부(400) 측으로 하향 이동시키고, 걸림쇄(120)가 결합 공간(420) 내부로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중앙 키(100)가 바닥부(400) 측으로 하향 이동되면, 복수의 지지부(400)는 쇄기 힘의 제거에 따라 하측 및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부(400)의 이동은 가이드홈(411)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으며, 복수의 지지부(400)를 둘러싸게 배치된 탄성부재(400)의 탄성 복원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후 중앙 키(100)를 회전시켜 중앙 키(100)가 바닥부(400)에 대하여 상향 이탈이 제한되게 고정 배치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를 삽입 홀(1000a)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중앙 키(100)가 바닥부(400)에 대하여 상향 이탈이 제한되게 고정 배치된 상태에서는, 쇄기부(110)가 바닥부(400)에 대해 상향 이동이 방지되므로, 지지부(200)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1)를 삽입 홀(1000a)로부터 안정적으로 빼낼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
100: 중앙 키
110: 쇄기부
120: 걸림쇄
130: 들고리
200: 지지부
200a: 쇄기 결합용 홀
210: 쇄기 결합용 홈
220: 블록아웃부
230: 핀
240: 탄성부재 안착홈
250: 연결 홈
260: 연결 돌기
300: 탄성부재
400: 바닥부
410: 핀 가이드
411: 가이드홈
420: 결합 공간
430: 돌출부
S: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

Claims (3)

  1.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대하여 상향 개구된 삽입 홀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로서,
    콘 형상의 쇄기부와, 하단에 형성된 걸림쇄를 가지는 중앙 키;
    콘 형상의 쇄기 결합용 홀이 상기 쇄기부와 쇄기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쇄기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쇄기 결합용 홈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지지부;
    복수의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삽입 홀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의 탄성 복원력이 가해지도록 복수의 상기 지지부를 감싸는 탄성부재; 및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기 지지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핀 가이드와, 상기 걸림쇄가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는 결합 공간을 가지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인,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
  2. 제1항에 있어서,
    중앙 키가 상기 바닥부에 대하여 상향 이탈이 제한되게 고정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중앙 키의 회전에 의해 상기 걸림쇄가 상기 결합 공간으로부터 상향 이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상기 중앙 키의 회전 시 상기 바닥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
  3. 제1항의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으로서,
    (a) 상면에 대하여 상향 개구된 삽입 홀이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중앙 키가 상기 바닥부에 대하여 상향 이탈이 제한되게 고정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를 상기 삽입 홀에 삽입하는 단계;
    (c) 상기 중앙 키를 회전시켜, 중앙 키가 상기 바닥부에 대하여 상향 이탈하면서 복수의 상기 지지부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기 삽입 홀의 내주면을 가압 지지하도록 하는 단계; 및
    (d) 상기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에 인양을 위한 하중을 가하여 상기 콘크리트 블록을 인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
KR1020230191014A 2023-12-26 2023-12-26 분리형 지지부를 가진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 KR102671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91014A KR102671606B1 (ko) 2023-12-26 2023-12-26 분리형 지지부를 가진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91014A KR102671606B1 (ko) 2023-12-26 2023-12-26 분리형 지지부를 가진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1606B1 true KR102671606B1 (ko) 2024-06-04

Family

ID=91466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1014A KR102671606B1 (ko) 2023-12-26 2023-12-26 분리형 지지부를 가진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16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1676B2 (ja) * 2003-03-05 2008-04-02 株式会社日栄商事 コンクリート製品の吊上具及び吊部材
KR20200129422A (ko) * 2019-05-08 2020-11-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변형 홀 고정장치
KR102604243B1 (ko) * 2022-10-25 2023-11-21 주식회사 항도엔지니어링 앵커형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1676B2 (ja) * 2003-03-05 2008-04-02 株式会社日栄商事 コンクリート製品の吊上具及び吊部材
KR20200129422A (ko) * 2019-05-08 2020-11-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변형 홀 고정장치
KR102604243B1 (ko) * 2022-10-25 2023-11-21 주식회사 항도엔지니어링 앵커형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2169A (en) Jack-up type platform including adjustable stop assembly
US4018470A (en) Anchor insert for embedment in a concrete slab
KR101800327B1 (ko) 파일 인양용 기구
KR102671606B1 (ko) 분리형 지지부를 가진 콘크리트 블록 인양용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
WO2009017417A1 (en) Joining system for two building elements
GB2104039A (en) A device for handling an object such as a pipe or pile
KR102604243B1 (ko) 앵커형 들고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인양 방법
KR100843509B1 (ko)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
KR101626423B1 (ko) 해상 풍력발전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006249808A (ja) 杭とフーチングの接合構造
KR102155651B1 (ko) 파일 인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716394B1 (ko) 정합식 맨홀
JP4096191B2 (ja) ジャケット構造体の構築方法
KR102413710B1 (ko) 개량형 버킷 앵커의 제조방법 및 설치방법
JP3903548B2 (ja) 吊り足場
JP5121028B2 (ja) ライナープレート及び深礎工法
JP2681270B2 (ja) 杭の保持装置
KR101574663B1 (ko) 말뚝압입장치 및 압입말뚝공법
KR10236030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단 보강형 교량받침 및 그의 시공방법
JP2019007201A (ja) 免震構造
KR101123955B1 (ko) 배수판 조립체
KR101943185B1 (ko) 파형 마이크로파일 및 분산 플레이트를 활용한 기초 풋 구조의 하부증타 시공방법
KR101931475B1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KR200477655Y1 (ko) 확장식 스마트 철근구조물
KR101748927B1 (ko) 조립식 측벽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