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101B1 -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 - Google Patents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04101B1 KR102604101B1 KR1020220189137A KR20220189137A KR102604101B1 KR 102604101 B1 KR102604101 B1 KR 102604101B1 KR 1020220189137 A KR1020220189137 A KR 1020220189137A KR 20220189137 A KR20220189137 A KR 20220189137A KR 102604101 B1 KR102604101 B1 KR 1026041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ltra
- glass
- thin glass
- suction force
- vacuum su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98 laser cu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Glass cutting tables; Apparatus for transporting or handling sheet glass during the cutting or breaking oper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4—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 B28D7/046—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the supporting or holding device being of the vacuum type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22—Scoring using a focussed radiation beam, e.g. las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7—Controlling or regul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50—Inorganic material, e.g. metals, not provided for in B23K2103/02 – B23K2103/26
- B23K2103/54—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는 초박형 글래스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안착부; 안착부에 안착된 초박형 글래스에 커팅 라인을 형성하는 커팅부; 커팅 라인이 형성된 초박형 글래스에 진공흡인력이 작용되도록 하여 초박형 글래스가 커팅 라인을 기준으로 액티브 글래스와 더미 글래스로 분리되도록 유도하는 분리 유도부; 및 분리 유도부에 연결되고, 초박형 글래스에 진공흡인력이 작용할 때, 액티브 글래스의 단부가 더미 글래스의 단부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손상 방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박형 글래스(Ultra-Thin Glass, UTG)를 커팅하기 위해 레이저 커팅 장치와 같은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는 초박형 글래스를 스테이지 상에 진공 흡착하여 고정시키고, 스테이지 상에 고정된 초박형 글래스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커팅 라인을 형성한다.
초박형 글래스에 커팅 라인이 형성된 상태에서 초박형 글래스에는 진공흡인력이 작용된다. 이때, 스테이지에 구비되어 초박형 글래스에 진공흡인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흡인홈 상에 커팅 라인이 위치함에 따라, 커팅 라인의 내측에 배치된 초박형 글래스와 커팅 라인의 외측에 배치된 초박형 글래스가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다시 말해, 흡인홈에 작용하는 진공흡인력에 의해 커팅 라인의 내측 및 외측에 배치된 초박형 글래스의 단부가 각각 흡인홈 측으로 휘어지면서 커팅 라인의 내측 및 외측에 배치된 초박형 글래스가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커팅 라인의 내측에 배치된 초박형 글래스(이하, '액티브 글래스'라고 함.)는 핸드폰의 글래스로 사용되고, 커팅 라인의 외측에 배치된 초박형 글래스(이하, '더미 글래스'라 함.)은 폐기된다.
하지만, 종래의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의 경우, 흡인홈에 작용하는 진공흡인력에 의해 액티브 글래스의 단부와 더미 글래스의 단부가 각각 흡인홈 측으로 휘어질 때, 액티브 글래스의 단부와 더미 글래스의 단부가 서로 간섭되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커팅 라인을 기준으로 초박형 글래스를 액티브 글래스와 더미 글래스로 분리할 때, 액티브 글래스 및 더미 글래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커팅 라인을 기준으로 초박형 글래스를 액티브 글래스와 더미 글래스로 분리할 때, 액티브 글래스 및 더미 글래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초박형 글래스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초박형 글래스에 커팅 라인을 형성하는 커팅부; 상기 커팅 라인이 형성된 상기 초박형 글래스에 진공흡인력이 작용되도록 하여 상기 초박형 글래스가 상기 커팅 라인을 기준으로 액티브 글래스와 더미 글래스로 분리되도록 유도하는 분리 유도부; 및 상기 분리 유도부에 연결되고, 상기 초박형 글래스에 진공흡인력이 작용할 때, 상기 액티브 글래스의 단부가 상기 더미 글래스의 단부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손상 방지부를 포함하는,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 유도부를 통해 상기 초박형 글래스에 작용하는 진공흡인력에 의해 상기 액티브 글래스의 단부 및 상기 더미 글래스의 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분리 유도부 측으로 휘어지고, 상기 손상 방지부는, 상기 분리 유도부 측으로 휘어진 상기 액티브 글래스의 단부 및 상기 더미 글래스의 단부 중 적어도 하나와 이격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내측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외측 스테이지; 및 상기 외측 스테이지의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되, 외측면이 상기 삽입홈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내측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의 상기 측벽과 상기 내측 스테이지의 상기 외측면 사이에는 상기 손상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 유도부는, 상기 삽입홈의 상기 측벽과 상기 내측 스테이지의 상기 외측면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손상 방지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분리 유도용 홈; 상기 외측 스테이지에 구비되고, 상기 분리 유도용 홈과 연통되는 분리 유도부측 연통홀; 및 상기 분리 유도부측 연통홀과 연결되는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 상기 커팅부, 상기 분리 유도부 및 상기 손상 방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픽킹수단을 통해 상기 액티브 글래스가 상기 안착부로부터 픽킹되는 동안 상기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분리 유도부 측으로 휘어진 상기 더미 글래스의 단부에 진공흡인력이 작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팅부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초박형 글래스 중 상기 손상 방지부의 중심부 상에 배치되는 상기 초박형 글래스에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초박형 글래스 중 상기 손상 방지부의 중심부로부터 편심된 편심부 상에 배치되는 상기 초박형 글래스에 레이저를 조사하고, 상기 커팅 라인은 상기 더미 글래스보다 상기 액티브 글래스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에서 제1 진공흡인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초박형 글래스를 상기 안착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에서 제2 진공흡인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액티브 글래스의 단부 및 상기 더미 글래스의 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분리 유도부 측으로 휘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초박형 글래스를 상기 안착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외측 스테이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고정용 홈; 상기 고정용 홈과 연통되는 고정부측 연통홀; 및 상기 고정부측 연통홀과 연결되는 고정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초박형 글래스를 상기 안착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액티브 글래스의 단부 및 상기 더미 글래스의 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분리 유도부 측으로 휘어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커팅 라인을 기준으로 초박형 글래스를 액티브 글래스와 더미 글래스로 분리할 때, 액티브 글래스 및 더미 글래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의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의 손상 방지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의 손상 방지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D-D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E-E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의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의 손상 방지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의 손상 방지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D-D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E-E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측, 타측, 상측, 하측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저장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저장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1의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의 손상 방지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1)는 안착부(10), 커팅부(20), 분리 유도부(30), 손상 방지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0)는 초박형 글래스(100)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외측 스테이지(11) 및 내측 스테이지(12)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스테이지(11)에는 삽입홈(11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삽입홈(111)에는 내측 스테이지(12)가 삽입될 수 있다. 외측 스테이지(11)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는 내측 스테이지(12)의 상면과 함께 초박형 글래스(100)의 안착면으로 활용될 수 있다.
외측 스테이지(11)에는 삽입홈(111)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112)이 구비될 수 있다. 체결홀(112)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121)를 통해 외측 스테이지(11)와 외측 스테이지(11)의 삽입홈(111)에 삽입된 내측 스테이지(12)가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내측 스테이지(12)의 외측면은 삽입홈(111)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로 인해, 삽입홈(111)의 측벽과 내측 스테이지(12)의 외측면 사이에는 후술할 분리 유도부(30)의 분리 유도용 홈(31) 및 손상 방지부(4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커팅부(20)는 안착부(10)에 안착된 초박형 글래스(100)에 커팅 라인(CL)을 형성할 수 있다. 커팅부(20)는 안착부(10)에 안착된 초박형 글래스(100) 중 손상 방지부(40)의 중심부 상에 배치되는 초박형 글래스(100)에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커팅부(20)에 의해 초박형 글래스(100)에 형성되는 커팅 라인(CL)의 위치에 따라, 액티브 글래스(110)와 더미 글래스(120)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커팅부(20)를 통해 초박형 글래스(100)에 형성되는 커팅 라인(CL)은 초박형 글래스(10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분리 유도부(30)는 커팅 라인(CL)이 형성된 초박형 글래스(100)에 진공흡인력이 작용되도록 하여 초박형 글래스(100)가 커팅 라인(CL)을 기준으로 액티브 글래스(110)와 더미 글래스(120)로 분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액티브 글래스(110)는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커팅된 글래스를 의미하고, 더미 글래스(120)는 액티브 글래스(110)를 둘러싸는 나머지 글래스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분리 유도부(30)는 삽입홈(111)의 측벽과 내측 스테이지(12)의 외측면 사이에 마련되고, 손상 방지부(40)의 하측에 연결되는 분리 유도용 홈(31), 외측 스테이지(11)에 구비되고, 분리 유도용 홈(31)과 연통되는 분리 유도부측 연통홀(32) 및 분리 유도부측 연통홀(32)과 연결되는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3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유도부측 연통홀(32)은 외측 스테이지(11)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분리 유도부측 연통홀(32)에는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33)과 연결되는 유로의 일단이 연결되어 분리 유도용 홈(31) 측으로 진공흡인력이 선택적으로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33)을 통해 분리 유도용 홈(31) 측으로 진공흡인력이 발생하면, 초박형 글래스(100)에 진공흡인력이 가해져서 액티브 글래스(110)의 단부 및 더미 글래스(120)의 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분리 유도용 홈(31) 측으로 휘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유도용 홈(31)의 직경(D1)은 약 6 mm 내지 약 30 mm일 수 있다. 분리 유도용 홈(31)의 직경(D1)이 약 6 mm 미만이면, 액티브 글래스(110)의 단부 및 더미 글래스(120)의 단부가 하향 변형되는 동안, 액티브 글래스(110)의 단부 및 더미 글래스(120)의 단부가 서로 간섭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분리 유도용 홈(31)의 직경(D1)이 약 30 mm를 초과하면, 분리 유도용 홈(31)을 통한 진공흡인력의 작용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손상 방지부(40)는 초박형 글래스(100)에 진공흡인력이 작용할 때, 액티브 글래스(110)의 단부가 더미 글래스(120)의 단부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액티브 글래스(110) 및 더미 글래스(1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손상 방지부(40)는 분리 유도부(30) 측으로 휘어진 액티브 글래스(110)의 단부 및 더미 글래스(120)의 단부 중 적어도 하나와 이격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내측면(41)을 포함할 수 있다.
손상 방지부(40)의 내측면(41)에 의해 액티브 글래스(110)의 단부 및 더미 글래스(120)의 단부가 하향 변형되는 동안, 액티브 글래스(110)의 단부와 더미 글래스(120)의 단부 사이(G, 도 6 참조)가 계속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티브 글래스(110)의 단부와 더미 글래스(120)의 단부의 접촉으로 유발되는 크랙 현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정리하면, 손상 방지부(40)의 내측면(41)은 분리 유도용 홈(31) 측으로 휘어지는 액티브 글래스(110)의 단부 및 더미 글래스(120)의 단부와 접촉되지 않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면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손상 방지부(40)의 내측면(41)을 통해 확보되는 공간을 통해 액티브 글래스(110)의 단부 및 더미 글래스(120)의 단부가 분리 유도용 홈(31) 측으로 더욱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내측면(41)이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경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내측면(41)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손상 방지부(40)의 내측면(41)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과 안착부(10)에 안착된 초박형 글래스(100)의 저면이 형성하는 제1 각도(θ1)는 일 예로 약 20° 내지 약 70°일 수 있다. 제1 각도(θ1)가 약 20° 미만이면, 액티브 글래스(110)의 단부 및 더미 글래스(120)의 단부가 하향 변형되는 동안, 액티브 글래스(110)의 단부 및 더미 글래스(120)의 단부가 서로 간섭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 제1 각도(θ1)가 약 70°를 초과하면, 분리 유도용 홈(31)을 통한 진공흡인력의 작용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손상 방지부(4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상 방지부(40)의 최상측의 반경(D2)은 약 6 mm 내지 약 30 mm일 수 있다. 손상 방지부(40)의 최하측의 반경(D3)은 약 3 mm 내지 약 15 mm일 수 있다. 또한, 손상 방지부(40)의 최상측의 반경(D2)과 최하측의 반경(D3)의 차이(D4)는 약 2 mm 내지 약 10 mm일 수 있다.
분리 유도용 홈(31) 측으로 휘어지는 액티브 글래스(110)의 단부 또는 더미 글래스(120)의 단부의 수평방향 거리(D5)는 손상 방지부(40)의 최하측의 반경(D3) 및 손상 방지부(40)의 최상측의 반경(D2)과 최하측의 반경(D3)의 차이(D4)의 합일 수 있다.
제어부(50)는 픽킹수단(미도시)을 통해 액티브 글래스(110)가 안착부(10)로부터 픽킹되는 동안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33)을 제어하여 분리 유도용 홈(31) 측으로 휘어진 더미 글래스(120)의 단부에 진공흡인력이 작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액티브 글래스(110)의 픽킹시 분리 유도용 홈(31)에 형성된 진공이 유지되면, 더미 글래스(120)가 분리 유도용 홈(31) 측으로 휘어진 상태가 진공에 의해 유지됨에 따라, 액티브 글래스(110)의 픽킹이 종래에 비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33)에서 제1 진공흡인력이 발생되도록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33)을 제어하여 초박형 글래스(100)를 안착부(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50)는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33)에서 제2 진공흡인력이 발생되도록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33)을 제어하여 액티브 글래스(110)의 단부 및 더미 글래스(120)의 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분리 유도부(30) 측으로 휘어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진공흡인력 및 제2 진공흡인력의 세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제2 진공흡인력의 세기가 제1 진공흡인력의 세기보다 클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50)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제2 진공흡인력의 세기를 조절하여 액티브 글래스(110)의 단부 및 더미 글래스(120)의 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분리 유도부(30) 측으로 휘어지는 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정리하면,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33)은 초박형 글래스(100)를 안착부(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진공흡인력 및 액티브 글래스(110)의 단부 및 더미 글래스(120)의 단부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 유도부(30) 측으로 휘어지게 유도하기 위한 진공흡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1)의 손상 방지부(40)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의 손상 방지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커팅부(20)는 안착부(10)에 안착된 초박형 글래스(100) 중 손상 방지부(40)의 중심부로부터 편심된 편심부 상에 배치되는 초박형 글래스(100)에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이때, 초박형 글래스(100)에 형성되는 커팅 라인(CL)은 더미 글래스(120)보다 액티브 글래스(11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손상 방지부(40)는 분리 유도부(30)의 상측에 연결되되, 손상 방지부(40)의 내측면(41) 중 적어도 일부만 테이퍼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손상 방지부(40)의 내측면(41) 중 적어도 일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손상 방지부(40)의 내측면(41) 중 적어도 일부는 라운드면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손상 방지부(40)의 내측면(41)에 의해 액티브 글래스(110)가 아닌 더미 글래스(120)의 단부만을 휘게 하여 더미 글래스(120)를 액티브 글래스(110)와 물리적으로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액티브 글래스(110)를 별도의 픽킹수단(미도시)을 통해 픽킹할 수 있다.
손상 방지부(40)의 내측면(41)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과 안착부(10)에 안착된 초박형 글래스(100)의 저면이 형성하는 제2 각도(θ2)는 일 예로 약 20° 내지 약 70°일 수 있다. 제2 각도(θ2)가 약 20° 미만이면, 더미 글래스(120)의 단부가 하향 변형되는 동안, 더미 글래스(120)의 단부가 액티브 글래스(110)의 단부와 간섭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 제2 각도(θ2)가 약 70°를 초과하면, 분리 유도용 홈(31)을 통한 진공흡인력의 작용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분리 유도용 홈(31)의 직경(D7)은 약 6 mm 내지 약 30 mm일 수 있다. 분리 유도용 홈(31)의 직경(D7)이 약 6 mm 미만이면, 액티브 글래스(110)의 단부 및 더미 글래스(120)의 단부가 하향 변형되는 동안, 액티브 글래스(110)의 단부 및 더미 글래스(120)의 단부가 서로 간섭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분리 유도용 홈(31)의 직경(D7)이 약 30 mm를 초과하면, 분리 유도용 홈(31)을 통한 진공흡인력의 작용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초박형 글래스(100)에 형성된 커팅 라인(CL)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가상의 선과 분리 유도용 홈(31)의 측벽까지의 수평방향 거리(D6)는 일 예로 약 1 mm 내지 약 8 mm일 수 있다.
분리 유도용 홈(31)의 직경(D7)은 약 6 mm 내지 약 30 mm일 수 있다. 분리 유도용 홈(31)의 직경(D7)이 약 6 mm 미만이면, 액티브 글래스(110)의 단부 및 더미 글래스(120)의 단부가 하향 변형되는 동안, 액티브 글래스(110)의 단부 및 더미 글래스(120)의 단부가 서로 간섭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분리 유도용 홈(31)의 직경(D7)이 약 30 mm를 초과하면, 분리 유도용 홈(31)을 통한 진공흡인력의 작용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분리 유도용 홈(31)의 측벽과 초박형 글래스(100)에 형성된 커팅 라인(CL)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가상의 선 간 거리(D8)는 약 5 mm 내지 약 22 mm일 수 있다. 손상 방지부(40)의 최상측의 직경과 최하측의 직경의 차이(D9)는 약 2 mm 내지 약 10 mm일 수 있다.
분리 유도용 홈(31) 측으로 휘어지는 더미 글래스(120)의 단부와 내측면(41)의 최상측 간 거리(D10)는 분리 유도용 홈(31)의 측벽과 초박형 글래스(100)에 형성된 커팅 라인(CL)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가상의 선 간 거리(D8) 및 손상 방지부(40)의 최상측의 직경과 최하측의 직경의 차이(D9)의 합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D-D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E-E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1)는 안착부(10), 커팅부(20), 분리 유도부(30), 손상 방지부(40), 제어부(50) 및 고정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1)는 고정부(6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도시한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에 해당하는 고정부(60)에 대하여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부(60)는 안착부(10)에 안착된 초박형 글래스(100)를 안착부(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부(60)는 외측 스테이지(1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고정용 홈(61), 고정용 홈(61)과 연통되는 고정부측 연통홀(62) 및 고정부측 연통홀(62)과 연결되는 고정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63)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측 연통홀(62)은 외측 스테이지(11)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측 연통홀(62)에는 고정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63)과 연결되는 유로의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부측 연통홀(62) 측으로 진공흡인력이 선택적으로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63)에서 진공흡인력이 발생하면, 고정부측 연통홀(62) 및 고정용 홈(61)을 통해 안착부(10)에 안착된 초박형 글래스(100)에 진공흡인력이 작용함에 따라, 초박형 글래스(100)가 안착부(10)에 흡착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63)은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고정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63)을 제어하여 초박형 글래스(100)를 안착부(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33)을 제어하여 액티브 글래스(110)의 단부 및 더미 글래스(120)의 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분리 유도용 홈(31) 측으로 휘어지게 할 수 있다.
정리하면, 고정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63)으로부터 제공되는 진공흡인력에 의해 초박형 글래스(100)가 안착부(10)에 흡착 고정되면,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33)으로부터 제공되는 진공흡인력에 의해 초박형 글래스(100)가 액티브 글래스(110) 및 더미 글래스(120)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33)으로부터 제공되는 진공흡인력에 의해 초박형 글래스(100)가 액티브 글래스(110) 및 더미 글래스(120)로 완전히 분리되더라도, 제어부(50)는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33)의 구동을 지속하여 액티브 글래스(110)의 픽킹 동안 더미 글래스(120)가 안착부(10)에 흡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 10: 안착부
11: 외측 스테이지 12: 내측 스테이지
20: 커팅부 30: 분리 유도부
31: 분리 유도용 홈 32: 분리 유도부측 연통홀
33: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 40: 손상 방지부
41: 손상 방지부의 내측면 50: 제어부
60: 고정부 61: 고정용 홈
62: 고정부측 연통홀
63: 고정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 100: 초박형 글래스
110: 액티브 글래스 111: 삽입홈
112: 체결홀 120: 더미 글래스
1121: 체결부재
11: 외측 스테이지 12: 내측 스테이지
20: 커팅부 30: 분리 유도부
31: 분리 유도용 홈 32: 분리 유도부측 연통홀
33: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 40: 손상 방지부
41: 손상 방지부의 내측면 50: 제어부
60: 고정부 61: 고정용 홈
62: 고정부측 연통홀
63: 고정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 100: 초박형 글래스
110: 액티브 글래스 111: 삽입홈
112: 체결홀 120: 더미 글래스
1121: 체결부재
Claims (10)
- 초박형 글래스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초박형 글래스에 커팅 라인을 형성하는 커팅부;
상기 커팅 라인이 형성된 상기 초박형 글래스에 진공흡인력이 작용되도록 하여 상기 초박형 글래스가 상기 커팅 라인을 기준으로 액티브 글래스와 더미 글래스로 분리되도록 유도하는 분리 유도부; 및
상기 분리 유도부에 연결되고, 상기 초박형 글래스에 진공흡인력이 작용할 때, 상기 액티브 글래스의 단부와 상기 더미 글래스의 단부가 서로 간섭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손상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 유도부를 통해 상기 초박형 글래스에 작용하는 진공흡인력에 의해 상기 액티브 글래스의 단부 및 상기 더미 글래스의 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분리 유도부 측으로 휘어지고,
상기 손상 방지부는,
상기 분리 유도부 측으로 휘어진 상기 액티브 글래스의 단부 및 상기 더미 글래스의 단부 중 적어도 하나와 이격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내측면을 가지고,
상기 내측면에 의해, 휘어진 상기 액티브 글래스의 단부와 휘어진 상기 더미 글래스의 단부가 서로 이격되는,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과 상기 초박형 글래스의 저면은 20° 내지 70°의 각도를 형성하는,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외측 스테이지; 및
상기 외측 스테이지의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되, 외측면이 상기 삽입홈의 측벽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내측 스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의 상기 측벽과 상기 내측 스테이지의 상기 외측면 사이에는 상기 손상 방지부가 형성되는,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유도부는,
상기 삽입홈의 상기 측벽과 상기 내측 스테이지의 상기 외측면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손상 방지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분리 유도용 홈;
상기 외측 스테이지에 구비되고, 상기 분리 유도용 홈과 연통되는 분리 유도부측 연통홀; 및
상기 분리 유도부측 연통홀과 연결되는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을 포함하는,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 상기 커팅부, 상기 분리 유도부 및 상기 손상 방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픽킹수단을 통해 상기 액티브 글래스가 상기 안착부로부터 픽킹되는 동안 상기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분리 유도부 측으로 휘어진 상기 더미 글래스의 단부에 진공흡인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초박형 글래스 중 상기 손상 방지부의 중심부 상에 배치되는 상기 초박형 글래스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초박형 글래스 중 상기 손상 방지부의 중심부로부터 편심된 편심부 상에 배치되는 상기 초박형 글래스에 레이저를 조사하고,
상기 커팅 라인은 상기 더미 글래스보다 상기 액티브 글래스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 -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에서 제1 진공흡인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초박형 글래스를 상기 안착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에서 제2 진공흡인력이 발생되도록 상기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액티브 글래스의 단부 및 상기 더미 글래스의 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분리 유도부 측으로 휘어지게 하는,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 -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초박형 글래스를 상기 안착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외측 스테이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고정용 홈;
상기 고정용 홈과 연통되는 고정부측 연통홀; 및
상기 고정부측 연통홀과 연결되는 고정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을 포함하는,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초박형 글래스를 상기 안착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분리 유도부측 진공흡인력 발생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액티브 글래스의 단부 및 상기 더미 글래스의 단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분리 유도부 측으로 휘어지게 하는,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20150844 | 2022-11-11 | ||
KR1020220150844 | 2022-11-1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04101B1 true KR102604101B1 (ko) | 2023-11-20 |
Family
ID=88974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89137A KR102604101B1 (ko) | 2022-11-11 | 2022-12-29 |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04101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4184U (ja) * | 1991-09-03 | 1993-03-30 | 株式会社アマダ | レーザ加工機用カツテイングプレート |
KR102292024B1 (ko) * | 2021-06-17 | 2021-08-23 | ㈜ 엘에이티 | 초박형 글라스 레이저 커팅용 브레이킹 스테이지 |
-
2022
- 2022-12-29 KR KR1020220189137A patent/KR10260410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4184U (ja) * | 1991-09-03 | 1993-03-30 | 株式会社アマダ | レーザ加工機用カツテイングプレート |
KR102292024B1 (ko) * | 2021-06-17 | 2021-08-23 | ㈜ 엘에이티 | 초박형 글라스 레이저 커팅용 브레이킹 스테이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52209B2 (ja) | 容器搬送設備 | |
KR102576705B1 (ko) | 기판 본딩 장치 및 기판의 본딩 방법 | |
KR102604101B1 (ko) | 초박형 글래스 커팅 장치 | |
KR20070077115A (ko) | 레이저 할단 장치, 할단 방법 | |
US9805913B2 (en) | Ion beam dimension control for ion implantation process and apparatus, and advanced process control | |
US20170345701A1 (en) | Substrate holding device | |
WO2015129122A1 (ja) | パージ装置とパージ方法 | |
WO2016194219A1 (ja) | ロボットシステム及び傾斜検出方法 | |
JP7313575B2 (ja) | レーザ加工ツール | |
KR102114891B1 (ko) | 플라즈마 처리 장치 | |
KR102156153B1 (ko) | 전자부품 이송용 픽커장치 | |
US20230129417A1 (en) | Pickup apparatus and pickup method of semiconductor die | |
WO2020262022A1 (ja) | ピッキング機構、ロボットアーム | |
EP3904758A1 (en) | Lens for an asymmetric light distribution | |
JP6701183B2 (ja) | ベルヌーイプロセスヘッド | |
KR102604473B1 (ko) | 홈 가공 장치 및 홈 가공 방법 | |
KR101743667B1 (ko) | 반도체 디바이스 장착 가이더 | |
KR102372101B1 (ko) | 리프트 구동 어셈블리 | |
JP5473641B2 (ja) | レーザ加工機 | |
KR102585462B1 (ko) | 공작 기계의 틸팅 테이블 위치 결정 장치 | |
CN221603710U (zh) | 去盖装置 | |
WO2024105732A1 (ja) | ウェーハ搬送ロボット | |
KR102617436B1 (ko) | 레이저 조사 장치 | |
KR100271811B1 (ko) | 반도체 디바이스 고정척 아셈블리 | |
JPS5941884A (ja) | 半導体発光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