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981B1 - 이모작을 통한 마늘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이모작을 통한 마늘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981B1
KR102603981B1 KR1020220113960A KR20220113960A KR102603981B1 KR 102603981 B1 KR102603981 B1 KR 102603981B1 KR 1020220113960 A KR1020220113960 A KR 1020220113960A KR 20220113960 A KR20220113960 A KR 20220113960A KR 102603981 B1 KR102603981 B1 KR 102603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temperature
sowing
seed
harve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3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민
Original Assignee
박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민 filed Critical 박수민
Priority to KR1020220113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9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35Bulbs; Alliums, e.g. onions or lee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4Distributing under pressure; Distributing mud; Adaptation of watering systems for fertilising-liquids
    • A01C23/047Spraying of liquid fertilis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Dentistry (AREA)
  • Zo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모작을 통한 마늘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7월에 수확한 마늘을 냉장 저장고에서 동면 보관하여 씨마늘로 9월에 파종하고, 다음해 1월에 수확하는 첫 번째 수확기 및 상기 1월에 수확된 마늘을 건조 후 외부에서 보관하는 동면 보관하여 씨마늘로 3월에 파종하고, 7월에 수확하는 두 번째 수확기와 같은 이모작을 통한 마늘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재배방법에 의하면 마늘을 1년에 2회 수확이 가능하고, 토양의 산성화를 피할 수 있으며, 인건비와 자제구입비 등의 비용이 절감되고, 잡초피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마늘의 생산량이 증가(면적대비 6배정도의 수확량 기대)되고, 무농약 마늘 재배로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마늘 이외의 작물을 재배하지 않기 때문에 최소 3년 정도는 토양관리가 필요치않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재배방법에 있어서 씨마늘을 파종 시 토양에 복합 미생물제재를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우 마늘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키실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Description

이모작을 통한 마늘의 재배방법{Cultivation method of garlic through two-crop farming}
본 발명은 이모작을 통한 마늘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9월에 파종하여 다음해 1월에 수확 및 상기 수확된 마늘을 씨마늘로 하여 3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이모작을 통한 마늘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재배방법에 있어서, 마늘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토양에 복합 미생물제재를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우리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지속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관심도의 증가에 따라 먹거리를 이루는 각종 채소 및 재배된 음식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유효한 효능이 다량 함유된 마늘을 이용한 각종 음식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마늘은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마늘의 대표적인 효능으로는 혈압 강하, 염증 진정, 콜레스테롤 수치 개선, 면역력 증진, 혈액 응고 감소 및 항산화 작용, 항암 작용 등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가장 주목받고 있는 마늘의 효능은 항암 작용이다. 미국국립암연구소는 마늘을 ‘최고의 항암 식품’으로 꼽았다. 마늘 성분 중 유기성 게르마늄, 셀레늄 등이 암 억제와 예방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식도암, 대장암, 유방암, 피부암, 구강암, 간암, 위암, 폐암 등에 마늘의 항암작용 효능이 입증되었고, 마늘 항암 성분은 수입산보다 국내산에 56배 더 들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마늘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기존에는 7월에 수확 후 10월초중순경에 파종하여 다음해 7월 수확하는 재배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토양관리 및 동해피해를 막기 위한 작업이 필요(논이나 타작물재배지를 이용)하고, 가뭄, 폭우, 기온상승 등 자연재해 피해 노출도가 증가하며, 면적대비 수확량 기대가 저하되고, 유기농 및 무농약 재배가 까다로우므로 주변농가와의 협업이 어려우며, 잡초등 병충해로 인한 일손이 부족한 것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7월에 수확한 마늘을 냉장 저장고에서 동면 보관하여 씨마늘로 9월에 파종하고, 다음해 1월에 수확하는 첫 번째 수확기 및 상기 1월에 수확된 마늘을 건조 후 외부에서 보관하는 동면 보관하여 씨마늘로 3월에 파종하고, 7월에 수확하는 두 번째 수확기와 같은 이모작을 통한 마늘의 재배방법을 완성하였다. 또한 이때 씨마늘을 파종 시 토양에 복합 미생물제재를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우 마늘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10-0894681
본 발명의 목적은 이모작을 통한 마늘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재배방법에서 마늘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재배된 품질 및 생산성이 향상된 마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7월~8월에 수확한 마늘 중 씨마늘을 선별하여 동면보관하는 1단계;
선별된 씨마늘을 이용하여 8월~9월에 파종을 하는 2단계;
파종된 마늘을 생육시키는 3단계;
다음해 1월~2월에 마늘을 1차 수확하는 4단계;
수확된 마늘 중 씨마늘을 선별하여 동면보관하는 5단계;
선별된 씨마늘을 이용하여 2월~3월에 파종을 하는 6단계;
파종된 마늘을 생육시키는 7단계; 및
7월~8월에 마늘을 2차 수확하는 8단계를 포함하는 이모작을 통한 마늘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9월 ~ 10월말 온도는 영상 16℃ 내외로 마늘이 성장하기에 적정한 온도이므로 따로 온도를 컨트롤 하지 않고, 11월 ~ 다음해 1월까지는 온실재배방법으로 실내온도를 17℃ 내지 19℃로 유지시키며, 생육이 시작되는 시기에는 온도를 5℃ 내지 10℃로 유지시키고, 잎이 자라기 시작하면 온도를 10℃ 내지 15℃로 유지시키며, 잎이 완전히 자라난 경우 15℃ 내지 17℃로 유지시켜 마늘구가 커지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7단계”는, 3월에 파종 후 생육이 시작되는 시기에는 온도를 5℃ ~ 10℃로 유지시키고, 잎이 자라기 시작하면 온도를 10℃ 내지 15℃로 유지시키며, 잎이 완전히 자라난 경우 15℃ 내지 17℃로 유지시켜 마늘구가 커지도록 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1단계 또는 5단계”는, 5 ~ 7g의 마늘 중 상처가 없는 마늘을 씨마늘로 선별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단계 또는 6단계”는, 파종 1일 전 선별된 씨마늘을 양파자루에 넣어 벤레이트티 500배액(물 20L 당 40g) 및 디메토유제 1000배액(물 20L 당 20mL)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1시간 담갔다가 그늘에 말린 후 파종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단계 또는 6단계”는,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말리스(Bifidobacterium animalis) 및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로 이루어진 복합 미생물제재 1과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및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로 이루어진 복합 미생물제재 2를 파종하기 전의 토양과 씨마늘을 파종한 후의 토양 위에 흩뿌리기 방법으로 아침 저녁에 1회씩 뿌려주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3단계 또는 7단계”는,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말리스(Bifidobacterium animalis) 및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로 이루어진 복합 미생물제재 1과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및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로 이루어진 복합 미생물제재 2를 1차 수확기를 위해 8월~9월에 파종한 경우 11월 1일 내지 5일 중 어느 한 날에 아침 저녁으로 1회씩 추가로 뿌려주고, 2차 수확기를 위해 2월~3월에 파종한 경우 5월 1일 내지 5일 중 어느 한 날에 아침 저녁으로 1회씩 추가로 뿌려주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재배방법에 의해 생산된 항산화 효능이 증대된 마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모작을 통한 마늘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9월에 파종하여 다음해 1월에 수확 및 상기 수확된 마늘을 씨마늘로 하여 3월에 파종하여 7월에 수확하는 이모작을 통한 마늘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재배방법에 의하면 마늘을 1년에 2회 수확이 가능하고, 토양의 산성화를 피할 수 있으며, 인건비와 자제구입비 등의 비용이 절감되고, 잡초피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마늘의 생산량이 증가(면적대비 6배정도의 수확량 기대)되고, 무농약 마늘 재배로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마늘 이외의 작물을 재배하지 않기 때문에 최소 3년 정도는 토양관리가 필요치않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재배방법에 있어서 씨마늘을 파종 시 토양에 복합 미생물제재를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우 마늘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키실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모작을 통한 마늘의 재배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합 미생물제재 살포 단계를 포함한 이모작을 통한 마늘의 재배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w/w) %, 고체/액체는 (w/v) %, 그리고 액체/액체는 (v/v) %이다.
본 발명에서는 마늘을 재배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반적인 마늘 재배방법인 하기 방법을 따른다. 7월에 수확한 마늘을 8월까지 냉장저장고에서 동면 보관하고, 9월 중순에 파종을 한다. 9월 ~ 10월말 온도는 영상 16℃ 내외로 마늘이 성장하기에 적정한 온도이므로 따로 온도를 컨트롤 하지 않고, 11월 ~ 다음해 1월까지는 온실재배방법으로 실내온도를 18℃ 정도로 유지한다. 이때 0℃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동해 피해가 발생하고, 지면 온도는 영상 5℃ 이상이 되어야 생육이 시작되므로 지면의 온도를 5℃ 이상으로 컨트롤 해준다. 또한 잎이 완전히 자라는 온도는 10℃ 이상이 되어야 하며 15℃ 이상시 잎에서 뿌리로 양분이 전달되어 마늘구가 커지기 시작하므로 해당 단계에서 적절하게 온도를 컨트롤 해준다. 상기 방법에 따라 1월 말에 마늘을 1차 수확할 수 있다. 1차 수확된 마늘 중 씨마늘을 선별하여 동면 보관한다. 동면기간 중에는 마늘쪽에서 뿌리가 발달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시기이며, 20일 정도 후에 뿌리가 활착하게 된다. 상기 씨마늘을 이용하여 3월 초에 파종하면 3월 중에 뿌리가 안착하게 되고 본격적인 생육이 시작된다. 이때 5℃ ~ 10℃ 이상으로 온도 유지가 필요하다. 4월부터 잎의 성장이 빨라지고 5월 ~ 6월중에는 마늘구가 커진다. 이때 15℃ 이상으로 충분한 양분(미네랄공급을 위해 소량의 소금 및 유익한 미생물 공급을 위해 EM 희석액을 뿌려준다)을 공급해준다. 상기 방법에 따라 7월 초에 마늘을 2차 수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모작을 이용한 마늘의 재배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마늘을 1년에 2회 수확이 가능하고, 토양의 산성화를 피할 수 있으며, 인건비와 자제구입비 등의 비용이 절감되고, 잡초피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마늘의 생산량이 증가(면적대비 6배정도의 수확량 기대)되고, 무농약 마늘 재배로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마늘 이외의 작물을 재배하지 않기 때문에 최소 3년 정도는 토양관리가 필요치않다는 장점을 가진다.
더욱 구체적인 재배방법으로는 하기 방법에 의한다.
① 씨마늘 준비하기: 마늘의 품종 선택은 지역이나 재배목적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 지역에 따라서 남부해안 및 도서지역에서는 난지형 마늘인 여러 쪽 마늘, 중북부지방 에서는 한지형인 여섯 쪽 마늘을 선택해 재배한다. 재배목적별로는 풋마늘이나 햇마늘 생산을 목적으로 할 때는 휴면기간이 짧은 난지형, 저장을 목적으로 할 때는 한지형 마늘을 선택해 재배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품종의 대부분이 바이러스에 감염돼 수량이 낮고 품질이 떨어진다. 바이러스에 걸리지 않은 마늘이나 감염 정도가 낮은 씨마늘을 이용하면 수량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늘에서 발생되는 대부분의 병해충은 씨마늘을 통해 감염되므로 씨마늘 소독을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파종 1일 전 선별된 씨마늘을 양파자루에 넣어 벤레이트티(카바메이트계인 베노밀과 디지오카바메이트계인 치람의 혼합제) 500배액(물 20L 당 40g) + 디메토유제 1000배액(물 20L 당 20mL)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1시간 담갔다가 그늘에 말린 후 파종에 사용하였다.
② 밭 만들기: 마늘의 뿌리는 곧게 자라므로 뿌리가 쉽게 뻗을 수 있도록 밭을 깊게 갈아 주어야 한다. 파종하기 1 ~ 2주 전에 퇴비와 석회를 밭 전면에 골고루 뿌린 다음 깊이 갈고, 화학비료 및 토양 살충제를 고루 뿌리고 땅을 고른다. 본 발명에서는 파종 1일 전과 1일 후에 복합 미생물제재를 추가로 살포하였다.
③ 마늘 심기: 마늘 심을 골을 6 ~ 7㎝ 깊이로 파고 심는다. 이때 뿌리부분이 밑으로 가도록 심어야 하며 옆으로 비스듬히 심거나 거꾸로 심으면 마늘통의 모양이 비뚤어져 상품가치가 떨어진다. 너무 깊게 심으면 싹이 늦게 나오고 또 너무 얕게 심으면 뿌리가 흙을 차고 마늘쪽이 땅위로 올라와 겨울동안 언 피해를 받거나 김매기를 할 때 뿌리나 엽초부가 상할 염려가 있다. 재식거리는 본 발명에서 사용한 5 ~ 7g짜리 씨마늘의 경우 줄 사이는 20㎝, 포기사이는 10㎝로 하였다.
④ 마늘 가꾸기: 시비방법의 기본은 요소와 칼리는 전량의 1/3, 인산질 비료는 전량을 밑거름으로 주고 웃거름은 해빙기와 4월 중순에 각각 1/3씩 준다. 마늘은 유황을 많이 필요로 하는 작물이기 때문에 염화칼리 대신 황산칼리를 사용하면 품질이 향상된다. 마늘쫑 제거는 난지형은 4월 하순 ~ 5월 상순, 한지형은 5월 하순 ~ 6월 상순경 마늘쫑이 출현하므로 이때 마늘쫑을 제거한다. 이는 일반적인 마늘 재배방법에 따른 것이고, 본 발명의 이모작을 이용한 재배방법에서는 각각의 파종과 수확기를 고려하여 변경하여 적용한다.
⑤ 마늘 수확하기: 보통 9 ~ 10월에 심은 마늘의 수확기는 품종이나 재배형태 및 재배지역에 따라 다르나 중부내륙 6 ~ 7월에 수확한다. 수확기가 가까워지면 하위엽과 잎의 끝부터 마르기 시작하는데 1/2 ~ 2/3 정도 마를 때 수확한다. 수확기가 빠르면 인편의 비대가 끝나지 않아서 구의 발달이 덜 되어 미숙인편 및 잎의 수분 함량이 많아 부패하기 쉽기 때문에 주의한다. 날씨가 좋은 날 상처가 나지 않도록 마늘을 캐서 밭에서 2~3일간 말리는 것이 좋다.
⑥ 씨마늘 파종 전후로 복합 미생물제재 살포하기: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일반적인 마늘 재배방법에 더하여 마늘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토양에 복합 미생물제재를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였고, 복합 미생물제재는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말리스(Bifidobacterium animalis),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의 비피도박테리움 속 균주와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의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를 복합하여 처리하는 경우 마늘의 품질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준비예 1> 실험에 사용된 미생물 준비 및 발효
본 발명에서는 마늘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토양에 복합 미생물제재를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였다. 복합 미생물제재에 사용된 미생물은 표 1과 같고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서 분양을 받아 사용하였다.
균주명 기탁번호(KCCM) 배양 시 온도(℃) 배양 시 PH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 42255 37 6.8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말리스 11209 37 6.8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11953 37 6.8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32820 37 6.5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12452 37 6.5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40717 37 6.5
복합 미생물제재 1: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KCCM 42255,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말리스(Bifidobacterium animalis) KCCM 11209,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KCCM 11953의 비피도박테리움 속 균주는 각각 또는 복합으로 RCM 배지(효모 추출물 3.0 g, 비프 추출물 10.0 g, 펩톤 10.0 g, 수용성 전분 1.0 g, 글루코스 5.0 g, 시스테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5 g, 염화나트륨 5.0 g, 아세트산나트륨 3.0 g, 한천 15.0 g, 증류수 1.0 L)를 이용하여 37℃에서 PH 6.8로 맞추어 종균배양(seed culture)한 후 상기 배지와 동일한 성분인 본 배양배지의 0.6~1.0 중량%(v/v)로 접종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이때 복합 배양 시에는 각 균주를 1:1:1 중량비로 접종). 배양이 마친 배양액 또는 배양농축액을 -40℃에서 완전 동결시킨다. 동결시작 5 ~ 10시간 이후부터 진공을 시작하는데, 이때 진공도는 50 ~ 300 mtorr가 바람직하다. 완전동결 후 5 ~ 10℃씩 가온하여 최종온도가 15 ~ 40 ℃로 되게 한다. 이때에도 진공을 계속 유지하고(진공도 50 ~ 300 mtorr) 진공 건조시킨다. 60 ~ 100 시간 동안 완전히 동결건조 시킨 후 마개로 완전히 밀봉하여 실험에 사용되기 전까지 냉동보관한다.
복합 미생물제재 2: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KCCM 32820,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KCCM 12452,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 KCCM 40717의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는 각각 또는 복합으로 MRS 배지(펩톤 10.0 g, 비프 추출물 10.0 g, 효모 추출물 5.0 g, 글루코스 20.0 g, Tween 80 1.0 g, 시트르산암모늄 2.0 g, 아세트산나트륨 5.0 g, K2HPO4 2.0 g, MgSO4·7H2O 0.1 g, MnSO4·4H2O 0.05 g, 증류수 1.0 L)를 이용하여 37℃에서 PH 6.5로 맞추어 종균배양(seed culture)한 후 상기 배지와 동일한 성분인 본 배양배지의 0.6~1.0 중량%(v/v)로 접종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이때 복합 배양 시에는 각 균주를 1:1:1 중량비로 접종). 배양이 마친 배양액 또는 배양농축액을 -40℃에서 완전 동결시킨다. 동결시작 5 ~ 10시간 이후부터 진공을 시작하는데, 이때 진공도는 50 ~ 300 mtorr가 바람직하다. 완전동결 후 5 ~ 10℃씩 가온하여 최종온도가 15 ~ 40 ℃로 되게 한다. 이때에도 진공을 계속 유지하고(진공도 50 ~ 300 mtorr) 진공 건조시킨다. 60 ~ 100 시간 동안 완전히 동결건조 시킨 후 마개로 완전히 밀봉하여 실험에 사용되기 전까지 냉동보관한다.
상기 배양 및 동결건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피도박테리움 속 균주 및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의 복합 미생물제재는 실험에 사용 시 파종하기 전의 토양과 씨마늘을 파종한 후의 토양 위에 흩뿌리기 방법으로 아침 저녁에 1회씩 뿌려주었다. 또한, 1차 수확기를 위해 9월에 파종한 경우 11월 1일에 아침 저녁으로 1회씩 추가로 뿌려주었으며, 2차 수확기를 위해 3월에 파종한 경우 5월 1일에 아침 저녁으로 1회씩 추가로 뿌려주었다.
<실험예 1> 실험 세팅 및 방법
1-1. 실험 세팅
본 발명의 복합 미생물제재를 이용한 마늘의 이모작 재배방법의 우수성을 확인하여 위하여 하기 표 2와 같이 비교군을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분 내용
실시예 1 복합 미생물제재 1 및 2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살포
실시예 2 복합 미생물제재 1 및 2를 1: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살포
실시예 3 복합 미생물제재 1 및 2를 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살포
비교예 1 복합 미생물제재를 사용하지 않음
비교예 2 복합 미생물제재 1만 살포
비교예 3 복합 미생물제재 2만 살포
1-2. 수확된 마늘의 상품성에 대한 관능평가 방법
위 1-2의 구분에 따라 각각 2020년 9월에 파종하여 2021년 1월에 1차 수확하고, 2021년 3월에 파종하여 2021년 7월에 2차 수확하였다. 수확된 마늘을 무작위로 10구씩 골라 상품가치에 대한 관능평가를 진행하였고, 대상은 40~50대 주부 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1점: 상품가치 없음 ~ 10점: 최상위등급).
1-3. 수확된 마늘의 효능증대 평가를 위한 항산화 측정 방법
또한, 수확된 마늘의 효능 증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효능 중 하나인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여 비교해 보았다. 먼저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마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자연건조된 생마늘 10구를 분쇄하고, 생마늘 분쇄물 무게(W) 대비 3배의 물(V)을 가하였다. 이들을 충분히 혼합한 다음 15~20℃로 온도 조절된 암실에서 24시간 진탕하면서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여과지로 여과하여 실험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DPPH에 대한 전자공여 활성으로 나타내었다. 즉, 96 well plate에 70 ㎕ 시료 추출물과 100 ㎕ DPPH용액(5 mg/100 ㎖ 에탄올)을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52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아래 식에 따라 시료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비로 나타내었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200μM을 사용하였다.
[수학식 1]
DPPH 라디칼 소거활성(%) = (1-시료첨가구의 흡광도/무첨가구의 흡광도)×100
<실험예 2> 실험 결과
2-1. 관능평가 결과
40~50대 주부 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마늘의 상품성에 대한 관능평가는 하기의 표 3과 같았다. 1차 수확 마늘의 경우 복합 미생물제재를 사용하지 않고 재배되어 수확된 마늘(비교예 1)의 경우 6.5점으로 가장 낮은 상품성을 평가 받았으며, 복합 미생물제재 특히 복합 미생물제재 1 및 2를 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살포하여 재배된 마늘(실시예 3)의 경우 9.5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평가받았다. 또한, 2차 수확 마늘의 경우 복합 미생물제재를 사용하지 않고 재배되어 수확된 마늘(비교예 1)의 경우 6.9점으로 가장 낮은 상품성을 평가 받았으며, 복합 미생물제재 특히 복합 미생물제재 1 및 2를 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살포하여 재배된 마늘(실시예 3)의 경우 9.3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평가받았다. 즉, 이모작을 통해 마늘을 재배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합 미생물제재 1 및 2를 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살포하는 경우 마늘의 상품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구분 상품성 평가 결과(점수)
1차 수확 마늘
(9월 ~ 다음해 1월)
2차 수확 마늘
(3월 ~ 7월)
실시예 1 8.9 8.7
실시예 2 8.7 8.4
실시예 3 9.5 9.3
비교예 1 6.5 6.9
비교예 2 7.6 8.1
비교예 3 7.2 7.9
2-2. 항산화 효능증대 평가 결과
마늘의 항산화 효능증대 평가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았다. 1차 수확 마늘의 경우 복합 미생물제재를 사용하지 않고 재배되어 수확된 마늘(비교예 1)의 경우 55.1%로 가장 낮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복합 미생물제재 특히 복합 미생물제재 1 및 2를 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살포하여 재배된 마늘(실시예 3)의 경우 89.2%로 가장 높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2차 수확 마늘의 경우 복합 미생물제재를 사용하지 않고 재배되어 수확된 마늘(비교예 1)의 경우 59.5%로 가장 낮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복합 미생물제재 특히 복합 미생물제재 1 및 2를 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살포하여 재배된 마늘(실시예 3)의 경우 90.1%로 가장 높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구분 DPPH 라디칼 소거활성(%)
1차 수확 마늘
(9월 ~ 다음해 1월)
2차 수확 마늘
(3월 ~ 7월)
실시예 1 81.2 79.4
실시예 2 79.1 81.2
실시예 3 89.2 90.1
비교예 1 55.1 59.5
비교예 2 57.8 61.7
비교예 3 60.1 64.8
비타민 C 95.1 95.1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동일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8)

  1. 7월~8월에 수확한 마늘 중 씨마늘을 선별하여 동면보관하는 1단계;
    선별된 씨마늘을 이용하여 8월~9월에 파종을 하는 2단계;
    파종된 마늘을 생육시키는 3단계;
    다음해 1월~2월에 마늘을 1차 수확하는 4단계;
    수확된 마늘 중 씨마늘을 선별하여 동면보관하는 5단계;
    선별된 씨마늘을 이용하여 2월~3월에 파종을 하는 6단계;
    파종된 마늘을 생육시키는 7단계; 및
    7월~8월에 마늘을 2차 수확하는 8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단계 또는 6단계는,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말리스(Bifidobacterium animalis) 및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로 이루어진 복합 미생물제재 1과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및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로 이루어진 복합 미생물제재 2를 파종하기 전의 토양과 씨마늘을 파종한 후의 토양 위에 흩뿌리기 방법으로 아침 저녁에 1회씩 뿌려주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이모작을 통한 마늘의 재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9월 ~ 10월말 온도는 영상 16℃ 내외로 마늘이 성장하기에 적정한 온도이므로 따로 온도를 컨트롤 하지 않고, 11월 ~ 다음해 1월까지는 온실재배방법으로 실내온도를 17℃ 내지 19℃로 유지시키며, 생육이 시작되는 시기에는 온도를 5℃ 내지 10℃로 유지시키고, 잎이 자라기 시작하면 온도를 10℃ 내지 15℃로 유지시키며, 잎이 완전히 자라난 경우 15℃ 내지 17℃로 유지시켜 마늘구가 커지도록 하는 것인, 이모작을 통한 마늘의 재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7단계는, 3월에 파종 후 생육이 시작되는 시기에는 온도를 5℃ ~ 10℃로 유지시키고, 잎이 자라기 시작하면 온도를 10℃ 내지 15℃로 유지시키며, 잎이 완전히 자라난 경우 15℃ 내지 17℃로 유지시켜 마늘구가 커지도록 하는 것인, 이모작을 통한 마늘의 재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 또는 5단계는, 5 ~ 7g의 마늘 중 상처가 없는 마늘을 씨마늘로 선별하는 것인, 이모작을 통한 마늘의 재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 또는 6단계는, 파종 1일 전 선별된 씨마늘을 양파자루에 넣어 벤레이트티 500배액(물 20L 당 40g) 및 디메토유제 1000배액(물 20L 당 20mL)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1시간 담갔다가 그늘에 말린 후 파종하는 것인, 이모작을 통한 마늘의 재배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 또는 7단계는,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말리스(Bifidobacterium animalis) 및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로 이루어진 복합 미생물제재 1과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및 락토바실러스 루테리(Lactobacillus reuteri)로 이루어진 복합 미생물제재 2를 1차 수확기를 위해 8월~9월에 파종한 경우 11월 1일 내지 5일 중 어느 한 날에 아침 저녁으로 1회씩 추가로 뿌려주고, 2차 수확기를 위해 2월~3월에 파종한 경우 5월 1일 내지 5일 중 어느 한 날에 아침 저녁으로 1회씩 추가로 뿌려주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이모작을 통한 마늘의 재배방법.
  8. 삭제
KR1020220113960A 2022-09-08 2022-09-08 이모작을 통한 마늘의 재배방법 KR102603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960A KR102603981B1 (ko) 2022-09-08 2022-09-08 이모작을 통한 마늘의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960A KR102603981B1 (ko) 2022-09-08 2022-09-08 이모작을 통한 마늘의 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981B1 true KR102603981B1 (ko) 2023-11-17

Family

ID=88968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3960A KR102603981B1 (ko) 2022-09-08 2022-09-08 이모작을 통한 마늘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98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3729A (en) * 1996-04-10 1999-06-22 Wakunaga Seiyaku Kabushiki Kaisha Method for cultivating garlic plants
KR100664747B1 (ko) * 2006-02-07 2007-01-04 한국스테비아(주) 락토바실러스속 균의 배양액을 작목에 시비하여 품질이개선된 작물의 생산방법
KR100894681B1 (ko) 2008-01-04 2009-04-24 좌옥자 마늘 재배방법
KR20120053173A (ko) * 2010-11-17 2012-05-25 신안군농업기술센터소장 특대립주아를 이용한 마늘상품화 재배방법
KR20130039782A (ko) * 2011-10-13 2013-04-23 한국과학기술원 인간에게 유익한 미생물 유인균 복합미생물 제조방법
KR20170055736A (ko) * 2015-11-12 2017-05-22 다울친환경영농조합법인 미생물을 활용한 친환경 농산물 재배방법
CN109257999A (zh) * 2018-09-27 2019-01-25 张顺勇 一种地方品种大蒜种子冬季保存方法及获得的大蒜种子的栽培方法
CN111109065A (zh) * 2018-10-30 2020-05-08 黄超 一种采用蒜瓣水培大蒜培植盒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3729A (en) * 1996-04-10 1999-06-22 Wakunaga Seiyaku Kabushiki Kaisha Method for cultivating garlic plants
KR100664747B1 (ko) * 2006-02-07 2007-01-04 한국스테비아(주) 락토바실러스속 균의 배양액을 작목에 시비하여 품질이개선된 작물의 생산방법
KR100894681B1 (ko) 2008-01-04 2009-04-24 좌옥자 마늘 재배방법
KR20120053173A (ko) * 2010-11-17 2012-05-25 신안군농업기술센터소장 특대립주아를 이용한 마늘상품화 재배방법
KR20130039782A (ko) * 2011-10-13 2013-04-23 한국과학기술원 인간에게 유익한 미생물 유인균 복합미생물 제조방법
KR20170055736A (ko) * 2015-11-12 2017-05-22 다울친환경영농조합법인 미생물을 활용한 친환경 농산물 재배방법
CN109257999A (zh) * 2018-09-27 2019-01-25 张顺勇 一种地方品种大蒜种子冬季保存方法及获得的大蒜种子的栽培方法
CN111109065A (zh) * 2018-10-30 2020-05-08 黄超 一种采用蒜瓣水培大蒜培植盒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양평시민의 소리 "이모작 가능한 마늘 경쟁력높아"(2014.07.10.)* *
인터넷포스팅 "Early planting tissue culture eyed to boost annual garlic production"(2014.07.02.)* *
인터넷포스팅 "마늘 종자소독 및 물주기 문의"(2018.10.01.)* *
인터넷포스팅 "한지형과 난지형의 마늘 이야기"(2013.12. 09.)* *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신품종 마늘 ‘대사니’ 이렇게 재배하십시오"(202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94567B (zh) 一种提高苜蓿种子产量和质量的方法
CN103814750B (zh) 一种有机蓝莓培育方法
CN105993478A (zh) 果园间作植草方法
Xizhen et al. Ginger production in southeast Asia
CN105541512A (zh) 生态菌肥及自然农法生态种植方法
CN105493812B (zh) 一种中温带春小麦、冬油菜、荞麦的两年三熟栽培方法
KR101075877B1 (ko) 자연농법
CN105900630A (zh) 一种草莓无公害种植方法
CN111480528A (zh) 一种富硒小番茄高效高产种植方法
CN110972864A (zh) 一种咸丰白术的富硒栽培方法
CN104541969A (zh) 一种双孢蘑菇生长菌剂及利用该菌剂的双孢蘑菇栽培方法
KR100612641B1 (ko) 천연광물을 이용한 채소의 재배방법
CN108633669A (zh) 一种华南地区中熟蔓生短豇豆品种夏季露地的栽培方法
CN103274837B (zh) 一种腊梅多元有机复合肥
CN108157115A (zh) 一种干旱沙区油用紫斑牡丹复合种植方法
CN109328921A (zh) 一种一年三收的甜玉米种植方法
CN107711021A (zh) 一种番茄高产种植方法
CN113930371B (zh) 一种使用多粘类芽孢杆菌af01促进蔬菜生长和抗病的方法
CN110495366A (zh) 一种富硒川党参的栽培方法
KR102603981B1 (ko) 이모작을 통한 마늘의 재배방법
CN109452116A (zh) 一种使用松针粉和烟筋粉覆盖栽培黄精的方法
JPH11255572A (ja) 微生物応用資材
CN111386989B (zh) 一种藜麦种植栽培方法、藜麦米酒及其制作方法
CN110896809B (zh) 一种玉米间作菊花脑的高效栽培方法
Edison et al. Sweetpotato in the Indian sub-conti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