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3173A - 특대립주아를 이용한 마늘상품화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특대립주아를 이용한 마늘상품화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3173A
KR20120053173A KR1020100114304A KR20100114304A KR20120053173A KR 20120053173 A KR20120053173 A KR 20120053173A KR 1020100114304 A KR1020100114304 A KR 1020100114304A KR 20100114304 A KR20100114304 A KR 20100114304A KR 20120053173 A KR20120053173 A KR 20120053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extra
vinyl
mulching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2208B1 (ko
Inventor
유재혁
Original Assignee
신안군농업기술센터소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안군농업기술센터소장 filed Critical 신안군농업기술센터소장
Priority to KR1020100114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208B1/ko
Publication of KR20120053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35Bulbs; Alliums, e.g. onions or lee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8Immunis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1/00Methods of fertilising, sowing or planting
    • A01C21/005Following a specific plan, e.g. patter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2Mulches, i.e. covering material not-pre-formed in mat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01G13/0275Fil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00Plant husbandry
    • Y10S47/09Physical and chemical treatment of seeds for plan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otany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대립주아를 이용한 마늘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크기를 갖는 다수의 주아 중에서 마늘종자로 사용할 무게 4~8g의 특대립주아를 선별하는 마늘종자 선별단계와; 선별된 특대립주아를 물100L에 황산구리400g과 생석회 400g이 혼합된 4-4식 석회보르도액 살균액에 1시간 침지한 후 그늘에서 말려 특대립주아를 소독하는 마늘종자 소독단계와; 특대립주아의 파종 1~2주전 퇴비와 석회를 땅에 살포한 후 경운(耕耘)하는 경운단계와, 경운된 땅에 이랑과 고랑을 만드는 밭구조 형성단계와, 특대립주아의 파종 1~2일 전에 경운된 땅의 이랑에 유기질비료를 살포하는 비료살포단계와, 물100L에 황산구리400g과 생석회 400g이 혼합된 4-4식 석회보르도액으로 관주처리하는 관주단계로 이루어진 밭준비단계와; 토질이 개선된 밭의 이랑에 특대립주아를 파종한 후 유공(有孔)의 검은색 멀칭용 비닐을 이랑에 설치하는 비닐멀칭단계와; 상기 비닐멀칭단계 이후에 마늘종자가 파종된 밭에 특대립주아의 생육보조, 광합성촉진 및 내병성 증가를 위하여 살균액과 거름을 투입하고 토양의 수분을 조절하는 마늘재배단계와; 상기 마늘재배단계를 통하여 재배된 마늘을 줄기와 잎이 1/2 ~ 2/3정도 황변되는 시기에 수확하는 마늘수확단계;로 구성되어, 양질의 마늘을 수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특대립주아를 이용한 마늘상품화 재배방법{A method of cultivation for garlic using large bulbil}
본 발명은 특대립주아를 이용한 마늘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질의 마늘을 수확할 수 있는 특대립주아를 이용한 마늘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한국음식의 대표적 향신 재료로서 사용되어온 마늘이 인간의 건강증진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사실은 이미 오래 전부터 여러 의학 및 식품 연구기관의 연구에 의하여 널리 알려져 있다. 이제까지 알려진 대표적인 마늘의 효능으로서는, 식욕증진, 피로회복에 좋을 뿐만 아니라 신경통, 류머티스, 관절염, 갱년기질환, 알레르기질환, 신진대사이상 등의 개선에 매우 유효하다는 것이다. 또한 세포에 활력을 주어 세포를 젊어지게 하고 변비로 인해 고심하는 사람의 변통을 좋게 하고, 혈장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고혈압에도 도움이 되며, 스테미너와 미용에도 효과가 있다는 보고들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마늘 추출물이 전립선암과 방광암의 예방에도 효능이 있다는 의학계의 연구결과가 주목받기도 하였다.
한편, 마늘은 영양번식 작물로서 생산된 마늘의 인편을 다시 종구로서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 병충해 및 바이러스의 감염도가 점차 증가하여 종구갱신 없이는 수확량이 점차 낮아지므로, 종구갱신을 위하여 일부 마늘주아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마늘주아는 마늘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제거 폐기되고 있어 이들의 효율적인 이용으로 농가소득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무게 4~8g의 특대립주아를 마늘종자로 사용함으로써 고품질의 마늘을 수확할 수 있는 특대립주아를 이용한 마늘재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특대립주아를 이용한 마늘재배방법은 다양한 크기를 갖는 다수의 주아 중에서 마늘종자로 사용할 무게 4~8g의 특대립주아를 선별하는 마늘종자 선별단계와; 선별된 특대립주아를 물100L에 황산구리400g과 생석회 400g이 혼합된 4-4식 석회보르도액 살균액에 1시간 침지한 후 그늘에서 말려 특대립주아를 소독하는 마늘종자 소독단계와; 특대립주아의 파종 1~2주전 퇴비, 석회, 요소, 용인 또는 용과린, 염가 또는 황가를 땅에 살포한 후 경운(耕耘)하는 경운단계와, 경운된 땅에 이랑과 고랑을 만드는 밭구조 형성단계와, 특대립주아의 파종 1~2일 전에 경운된 땅의 이랑에 유기질비료를 살포하는 비료살포단계와, 물100L에 황산구리400g과 생석회 400g이 혼합된 4-4식 석회보르도액으로 관주처리하는 관주단계로 이루어진 밭준비단계와; 토질이 개선된 밭의 이랑에 특대립주아를 파종한 후 유공(有孔)의 검은색 멀칭용 비닐을 이랑에 설치하는 비닐멀칭단계와; 상기 비닐멀칭단계 이후에 마늘종자가 파종된 밭에 특대립주아의 생육보조, 광합성촉진 및 내병성 증가를 위하여 살균액과 거름을 투입하고 토양의 수분을 조절하는 마늘재배단계와; 상기 마늘재배단계를 통하여 재배된 마늘을 줄기와 잎이 1/2 ~ 2/3정도 황변되는 시기에 수확하는 마늘수확단계;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비닐멀칭단계에서 이랑에 멀칭용 비닐을 설치한 이후에 고랑을 따라 고랑 상측에 검은색의 부직포를 더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특대립주아를 이용한 마늘재배방법은 무게 4~8g의 특대립주아를 마늘종자로 사용하므로 고품질의 마늘을 수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검은색의 유공비닐을 이랑에 설치하고 고랑에는 검은색의 부직포를 설치함으로써 제초제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친환경적으로 잡초를 방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특대립주아를 이용한 마늘재배방법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특대립주아를 이용한 마늘재배방법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특대립주아를 이용한 마늘재배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특대립주아를 이용한 마늘재배방법은 마늘종자 선별단계(S10)와, 마늘종자 소독단계(S20)와, 밭준비단계(S30)와, 비닐멀칭단계(S40)와, 마늘재배단계(S50)와, 마늘수확단계(S60)로 구성된다.
상기 마늘종자 선별단계(S10)는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서 종래의 마늘종자 보다 크기 및 무게가 증가된 마늘종자를 선별하가 위한 과정이다. 즉, 다양한 크기를 갖는 다수의 주아 중에서 무게 4~8g의 특대립주아를 선별하는 것이다. 이렇게 선별된 무게 4~8g의 특대립주아를 본 발명에 의한 마늘재배방법에 있어서의 마늘종자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무게를 갖는 특대립주아를 마늘종자로 선택하면 상기한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종래보다 크기 및 무게가 증가된 마늘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무게가 0.8g 이상 나가는 주아는 재배의 여러 과정을 거쳤을 때 벌마늘이 생기기 쉬우므로 선택하지 않도록 한다. 벌마늘은 2차생장이라고 하는데 잎 생장이 활발한 4월부터 눈에 띄는 현상으로 입 사이에 새로운 입피 자라나 옆줄기가 터지고 심하면 꽃줄기(장다리)가 생긴다. 바로 이러한 문제 때문에 무게가 8.0g 이상 나가는 주아는 선택하지 않는 것이다.
상기 마늘종자 소독단계(S20)는 상기 마늘종자 선별단계(S10)에서 선별된 특대립주아를 살균액에 1~2시간정도 침지한 후 그늘에서 말려 특대립주아를 소독하는 과정이다.
마늘종자의 선별은 마늘재배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고, 또한 마늘종자는 병해충에 의하여 피해를 입기 쉬우므로 파종 전에 미리 소독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양질의 마늘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마늘종자 소독단계(S20)에서 사용되는 살균액은 4-4식 석회보드도액을 사용한다.
상기 4-4식 석회보르도액은 물100L에 황산구리 400g과 생석회 400g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여기서, 4-4식 석회보르도액의 제조방법을 간단히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생석회에 물을 가하여 소석회를 만들고, 동시에 황산구리를 물에 녹여 황산구리용액을 만든다. 그런 다음 소석회에 황산구리용액을 부으면서 저어준다. 이렇게 해서 소석회와 황산구리용액의 혼합이 끝나면 전착제를 가한다. 간단하게 설명하였지만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침으로써 4-4식 석회보르도액이 완성된다.
석회보르도액에 사용되는 황산구리는 병이 발생하는 포자 등에서 산화작용을 하여 병균을 살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생석회는 황산구리 중화와 충해기피효과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밭준비단계(S30)는 상기 마늘종자 소독단계(S20)에서 소독된 특대립주아를 파종할 밭의 토질을 개선함과 아울러 이랑과 고랑을 만드는 과정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 분류하면 경운단계(S31)와, 밭구조 형성단계(S32)와, 비료살포단계(S33)와, 관주단계(S34)로 구성된다.
상기 경운단계(S31)는 특대립주아의 파종 1~2주전 친환경퇴비, 석회, 요소, 용인 또는 용과린, 염가 또는 황가를 특대립주아를 파종할 땅에 살포한 후 경운(耕耘)하는 과정이다.
마늘은 약산성 토양이나 중성 토양에서 생육이 양호하다. 특히 pH 6.0 이하의 산성토양에서는 생육이 저조하여 마늘의 생장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토양의 pH농도를 약산성이나 중성으로 개선하고 토질 자체를 좋게 하기 위하여 친환경퇴비, 석회, 요소, 용인 또는 용과린, 염가 또는 황가를 투입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양은 10a당 친환경퇴비 2000kg, 석회 100~150kg, 요소 20kg, 용인 또는 용과린 40kg, 염가 10kg, 황가 12kg이다.
한편, 미숙한 퇴비를 사용하면 고자리파리나 뿌리응애가 많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완전히 숙성된 퇴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밭구조 형성단계(S32)는 상기 경운단계(S31)에서 친환경퇴비와 석회로 경운된 땅에 특대립주아를 파종할 이랑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랑과 이랑 사이의 고랑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상기 비료살포단계(S33)는 상기 밭구조 형성단계(S32)에서 형성된 이랑에 친환경 유기질비료를 살포하는 과정으로서, 이러한 과정은 특대립주아의 파종 1~2일 전에 수행된다. 이때, 사용되는 친환경 유기질비료로는 시중에서 '한포로-300', '쌀맛나골드'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것으로서, '쌀맛나골드'는 규산과 석회, 고토 및 붕소가 함유되어 토양개량 및 비효가 오래 지속되는 특징을 갖고 있고, '한포로-300'은 저인산, 저가리 형태의 복합비료소서 토양중 인산, 가리의 과다한 축적을 방지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리고, 시중에서 '토토그린'이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질소와 인산과 가리 및 유기물을 포함하고 있어서 식물성 유기물이 풍부하게 골고루 혼합되어 토양지력을 개선하고 작품의 생육을 촉진하며 토양미생물의 활성을 촉진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상기 관주단계(S34)는 물100L에 황산구리400g과 생석회 400g이 혼합된 4-4식 석회보르도액으로 관주(灌注)처리하는 과정이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10a당 600L의 석회보르도액을 사용하여 관주한다. 이러한 관주단계(S34)를 거치는 이유는 연작장애 해소를 위한 흑색썩음균핵병을 방제하기 위함이다.
상기 비닐멀칭단계(S40)는 토질이 개선된 밭의 이랑에 특대립주아를 파종한 후 멀칭용 비닐을 이랑에 설치하는 과정이다. 이렇게 멀칭용 비닐을 설치하면 지온을 상승시켜 초기 생육을 촉진시키고 숙성기를 앞당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비닐멀칭단계(S40)에서 사용되는 멀칭용 비닐은 마늘의 줄기와 잎부분이 나올 수 있도록 구멍이 있는 유공(有孔)의 비닐임과 동시에 그 색상이 검은색인 것을 사용한다. 구멍을 형성시킨 이유는 앞서 말한대로 마늘 성숙시에 자라는 줄기와 잎부분이 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검은색상을 선택하는 이유는 잡초의 발아를 억제하기 위함이다.
물론, 멀칭용 비닐을 선택함에 있어서 유공의 투명비닐을 선택할 수도 있다. 투명한 비닐을 사용하면 흑색비닐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양호한 생육을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비닐멀칭단계(S40)에서 특대립주아가 파종된 이랑에 검은색의 유공비닐을 설치하였으면 고랑을 따라 고랑 상측에 검은색의 부직포를 더 설치한다.
이렇게 검은색의 부직포를 설치하는 이유는 검은색의 유공비닐을 이랑에 설치하는 이유와 같은 잡초 방제를 위해서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잡초 방제를 위하여 제초제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검은색의 유공비닐과 검은색의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으로 마늘을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마늘재배단계(S50)는 상기 비닐멀칭단계(S40) 이후에 마늘종자가 파종된 밭에 특대립주아의 생육보조, 광합성촉진 및 내병성 증가를 위하여 살균액과 웃거름을 투입하고 토양의 수분을 조절하는 과정이다.
마늘재배과정 중에는 여러 가지 병해충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병해충에 맞는 살균액을 살포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웃거름은 10a당 퇴비 6~14kg, 요소 34kg, 염가 24kg이다. 염가 대신에 황가 28kg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토양이 건조하게 되면 토양 중에 있는 양분이 이용하기 어려운 불가급 상태로 생육에 지장을 주게 되므로, 토양에 적절한 수분을 공급하여 마늘생장에 최적상태로 유지하는 과정이 마늘재배단계(S50)이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물을 줄 때는 겉흙이 충분히 적셔질 만큼 충분한 양을 주고, 4~5월 가뭄시에는 10일 간격으로 30mm정도씩 이~3외 물대기를 하거나 이동식 스프링클러를 이용하여 관수를 한다.
상기 마늘수확단계(S60)는 상기 마늘재배단계(S50)를 통하여 재배된 마늘을 줄기와 잎이 1/2 ~ 2/3정도 황변(黃變)되는 시기에 수확하는 과정이다.
S10: 마늘종자 선별단계 S20: 마늘종자 소독단계
S30: 밭준비단계 S31: 경운단계
S32: 밭구조 형성단계 S33: 비료살포단계
S34: 관주단계 S40: 비닐멀칭단계
S50: 마늘재배단계 S60: 마늘수확단계

Claims (6)

  1. 다양한 크기를 갖는 다수의 주아 중에서 마늘종자로 사용할 무게 4~8g의 특대립주아를 선별하는 마늘종자 선별단계(S10)와;
    선별된 특대립주아를 살균액에 1시간 침지한 후 그늘에서 말려 특대립주아를 소독하는 마늘종자 소독단계(S20)와;
    상기 마늘종자 소독단계(S20)에서 소독된 특대립주아를 파종할 밭의 토질을 개선함과 아울러 이랑과 고랑을 만드는 밭준비단계(S30)와;
    토질이 개선된 밭의 이랑에 특대립주아를 파종한 후 멀칭용 비닐을 이랑에 설치하는 비닐멀칭단계(S40)와;
    상기 비닐멀칭단계(S40) 이후에 마늘종자가 파종된 밭에 특대립주아의 생육보조, 광합성촉진 및 내병성 증가를 위하여 살균액과 웃거름을 투입하고 토양의 수분을 조절하는 마늘재배단계(S50)와;
    상기 마늘재배단계(S50)를 통하여 재배된 마늘을 줄기와 잎이 1/2 ~ 2/3정도 황변되는 시기에 수확하는 마늘수확단계(S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대립주아를 이용한 마늘재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늘종자 소독단계(S20)에서 사용되는 살균액은 물100L에 황산구리400g과 생석회 400g이 혼합된 4-4식 석회보르도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대립주아를 이용한 마늘재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밭준비단계(S30)는 특대립주아의 파종 1~2주전 퇴비, 석회, 요소, 용인 또는 용과린, 염가 또는 황가를 땅에 살포한 후 경운(耕耘)하는 경운단계(S31)와;
    경운된 땅에 이랑과 고랑을 만드는 밭구조 형성단계(S32)와;
    특대립주아의 파종 1~2일 전에 경운된 땅의 이랑에 유기질비료를 살포하는 비료살포단계(S33)와;
    물100L에 황산구리400g과 생석회 400g이 혼합된 4-4식 석회보르도액으로 관주처리하는 관주단계(S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대립주아를 이용한 마늘재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닐멀칭단계(S40)에서 사용되는 멀칭용 비닐은 마늘의 줄기와 잎 부분이 나올수 있도록 구멍이 있는 유공(有孔)의 비닐임과 동시에 그 색상이 검은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대립주아를 이용한 마늘재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닐멀칭단계(S40)에서 이랑에 멀칭용 비닐을 설치한 이후에 고랑을 따라 고랑 상측에 검은색의 부직포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대립주아를 이용한 마늘재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늘재배단계(S50)에서 투입되는 웃거름은 10a당 퇴비 6~14kg, 요소 34kg, 염가 24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대립주아를 이용한 마늘재배방법.
KR1020100114304A 2010-11-17 2010-11-17 특대립주아를 이용한 마늘상품화 재배방법 KR101282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304A KR101282208B1 (ko) 2010-11-17 2010-11-17 특대립주아를 이용한 마늘상품화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304A KR101282208B1 (ko) 2010-11-17 2010-11-17 특대립주아를 이용한 마늘상품화 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173A true KR20120053173A (ko) 2012-05-25
KR101282208B1 KR101282208B1 (ko) 2013-07-04

Family

ID=46269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304A KR101282208B1 (ko) 2010-11-17 2010-11-17 특대립주아를 이용한 마늘상품화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20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09897A (zh) * 2015-07-14 2015-11-04 太仓市惠勤农场专业合作社 一种大蒜优质高产种植方法
CN105359896A (zh) * 2015-11-20 2016-03-02 李中校 一种重楼栽培有效防治病虫害的方法
CN106034651A (zh) * 2016-06-03 2016-10-26 丽江云全生物开发有限公司 一种切块繁育滇重楼的方法
CN106941921A (zh) * 2017-04-05 2017-07-14 丽江星宇生物开发有限公司 滇重楼间种川贝母技术
CN107018771A (zh) * 2017-03-02 2017-08-08 丽江永胜绿阳生物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滇重楼的种植方法
KR102603981B1 (ko) * 2022-09-08 2023-11-17 박수민 이모작을 통한 마늘의 재배방법
KR102624870B1 (ko) * 2023-05-22 2024-01-15 충청남도 홍성군 (농업기술센터장) 마늘 주아밥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7439B (zh) * 2014-05-14 2015-07-15 遵义琦琅生物技术咨询有限公司 紫皮大蒜的栽培方法
CN106561209A (zh) * 2016-10-20 2017-04-19 陈�峰 一种青蒜的种植方法
CN108605750A (zh) * 2016-12-16 2018-10-02 内蒙古蒙吉药业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桔梗标准化高效种植技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6223A (ja) * 1998-07-09 2000-01-25 Inoue Sekkai Kogyo Kk ボルドー液及び農業用殺菌剤
KR100519725B1 (ko) * 2003-07-30 2005-10-10 이원우 종이피복을 이용한 생강이나 마늘의 재배방법
KR100894681B1 (ko) * 2008-01-04 2009-04-24 좌옥자 마늘 재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09897A (zh) * 2015-07-14 2015-11-04 太仓市惠勤农场专业合作社 一种大蒜优质高产种植方法
CN105359896A (zh) * 2015-11-20 2016-03-02 李中校 一种重楼栽培有效防治病虫害的方法
CN106034651A (zh) * 2016-06-03 2016-10-26 丽江云全生物开发有限公司 一种切块繁育滇重楼的方法
CN107018771A (zh) * 2017-03-02 2017-08-08 丽江永胜绿阳生物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滇重楼的种植方法
CN106941921A (zh) * 2017-04-05 2017-07-14 丽江星宇生物开发有限公司 滇重楼间种川贝母技术
KR102603981B1 (ko) * 2022-09-08 2023-11-17 박수민 이모작을 통한 마늘의 재배방법
KR102624870B1 (ko) * 2023-05-22 2024-01-15 충청남도 홍성군 (농업기술센터장) 마늘 주아밥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208B1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208B1 (ko) 특대립주아를 이용한 마늘상품화 재배방법
CN102487621B (zh) 一种有效减轻设施土壤连作障碍的方法
CN105309186A (zh) 一种芥菜的种植方法
CN106613073A (zh) 一种有机大白菜直播栽培的方法
CN104488524A (zh) 一种生物多样性茶园构建方法
CN105052484A (zh) 一种洋葱优质高产高效栽培方法
CN108633669A (zh) 一种华南地区中熟蔓生短豇豆品种夏季露地的栽培方法
CN107047040A (zh) 一种樱桃树的种植方法
CN105309169A (zh) 高产玉米种植方法
CN105519325A (zh) 一种无公害蔬菜的栽培方法
CN104472069A (zh) 一种大顶苦瓜的种植方法
CN105875412B (zh) 富有机硒甘味绞股蓝的种植方法
CN108040788A (zh) 一种牛大力的种植方法
CN103988707B (zh) 一种耐寒香水莲的栽培方法
CN111903443A (zh) 一种蒲公英的栽培方法
CN107409684A (zh) 一种提高产量的大棚丝瓜种植方法
CN106718112A (zh) 无刺花椒嫁接繁殖方法及栽培方法
CN106561241A (zh) 一种蓝莓苗木的种植方法
CN108293640B (zh) 一种有机香芹苗菜大棚栽培方法
CN107251750A (zh) 玉米全膜双垄沟播种植方法及其应用
CN106613072A (zh) 一种有机秋白菜间作套种的直播栽培方法
CN105993438A (zh) 一种有机辣椒的种植方法
CN105993449A (zh) 一种砂仁的育苗方法
CN106258455B (zh) 一种甘蔗黑穗病的防治方法
CN105210744A (zh) 一种有机水稻的高产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