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812B1 - 고양이 모래 첨가물 - Google Patents

고양이 모래 첨가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812B1
KR102603812B1 KR1020200177090A KR20200177090A KR102603812B1 KR 102603812 B1 KR102603812 B1 KR 102603812B1 KR 1020200177090 A KR1020200177090 A KR 1020200177090A KR 20200177090 A KR20200177090 A KR 20200177090A KR 102603812 B1 KR102603812 B1 KR 102603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ice bran
zeolite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6884A (ko
Inventor
표 송
표 송
Original Assignee
표 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 송 filed Critical 표 송
Priority to KR1020200177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812B1/ko
Priority to US17/387,378 priority patent/US20220192143A1/en
Priority to CN202110861379.5A priority patent/CN114642175A/zh
Publication of KR20220086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8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2Naturally occurring clays or bleaching ear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01K1/0154Litter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01K1/0155Litter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2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2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two or more hetero atoms
    • A01N43/3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two or more hetero atoms six-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0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parsley, caraway, dill, lovage, fennel or snakeb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red-knees or rhubar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6Alumino-silicates
    • B01J20/18Synthetic zeolitic molecular si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4Naturally occurring macromolecular compounds, e.g. humic acids or their deriva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21Milling, crushing or gr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78Thermal treatment, e.g. calcining or pyrol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85Chemical treatments not covered by groups B01J20/3007 - B01J20/3078

Abstract

본 발명은 고양이 모래 첨가물에 관한 것으로, 제올라이트 분쇄물과 미강 분쇄물을 혼합한 뒤 소성하여 제조된 제1 첨가물 또는 제올라이트 분쇄물, 벤토나이트 분쇄물 및 미강 분쇄물을 혼합한 뒤 소성하여 제조된 제5 첨가물을 포함하여 항균 및 탈취 기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고양이 모래 첨가물{CAT SAND ADDITIVES}
본 발명은 고양이 모래 첨가물에 관한 것으로, 고양이 모래에 첨가되어 고양이의 배설물이 포함된 모래에 포함된 균과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고양이 모래 첨가물에 관한 것이다.
고양이는 배설물을 모래에 묻어버리는 습성이 있다. 이런 고양이의 습성을 이용하여 고양이의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명 '고양이 모래'가 상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양이 모래는 배설물을 흡수하는 능력이 우수한 실리카형 모래 혹은 배설물을 응고하는 벤토나이트를 파쇄한 모래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리카형 모래는 응고력이 없어 배설물이 고형물화 되지 못하고 배설물의 악취를 처리할 수 없었다. 또한, 항균기능이 없어 배설물에 포함된 균에 의해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벤토나이트형 모래는 응고력이 우수하나 입자 표면이 날카롭고 먼지가 많이 발생하며 역시 살균이나 항균 기능이 없어 배설물에 포함된 균에 의한 질병 위험도가 높은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고양이 모래는 단순히 고양이 배설물의 흡수 및 응고에만 초점을 두고 있을 뿐이며 냄새제거 및 항균기능을 부여하여 고양이 및 주변 환경에 대한 위생기능을 확보하지 못 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091842(2017년08월10일 공개)
본 발명은 고양이 배설물에 의한 균을 제거하여 고양이의 질병을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 식물 유래의 항균물질을 이용하여 고양이의 건강을 도모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양이 배설물에 의한 악취를 제거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고양이 모래 첨가물은 제올라이트 분쇄물 50 내지 100 중량부, 벤토나이트 분쇄물 50 내지 100 중량부 및 미강 분쇄물 1 내지 50 중량부을 혼합한 뒤 400℃ 내지 800℃에서 30분 내지 120분간 소성하여 입경이 2mm 내지 20mm로 제조된 첨가물에 식물유래 천연항균제를 담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유래 천연항균제는 회향과 쪽풀 유래성분의 천연 항균물질 1 내지 60 중량부, 솔비톨 4 내지 20 중량부 및 말티톨 5 내지 5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솔비톨과 말티톨은 균주의 대사를 방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모래 첨가물은 제올라이트 분쇄물 50 내지 100 중량부, 벤토나이트 분쇄물 50 내지 100 중량부 및 미강 분쇄물 1 내지 50 중량부을 혼합한 뒤 400℃ 내지 800℃에서 30분 내지 120분간 소성하여 입경이 2mm 내지 20mm로 제조된 첨가물에 물에 광촉매가 첨가된 광촉매수를 담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천연 식물 유래의 항균물질 또는 광촉매를 이용하여 고양이의 배설물에 포함된 균을 제거하여 고양이의 질병을 방지함과 동시에 기존의 화학적 항균제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올라이트에 포함된 탄화된 미강, 광촉매에 의해 고양이 배설물의 악취를 제거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모래 첨가물은 제올라이트-미강 소성물인 제1 첨가물, 상기 제1 첨가물에 천연 항균물질이 담지된 제2 첨가물, 상기 제1 첨가물에 천연 항균제가 담지된 제3 첨가물, 상기 제1 첨가물에 광촉매가 담지된 제4 첨가물,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미강 소성물인 제5 첨가물, 상기 제5 첨가물에 천연 항균물질이 담지된 제6 첨가물, 상기 제5 첨가물에 천연 항균제가 담지된 제7 첨가물, 상기 제5 첨가물에 광촉매가 담지된 제8 첨가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첨가물 제조방법>
상기 제1 첨가물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첨가물은 제올라이트를 분쇄하는 단계, 미강을 분쇄하는 단계, 제올라이트 분쇄물과 미강 분쇄물을 혼합하는 단계, 제올라이트 분쇄물과 미강 분쇄물 혼합물을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 제올라이트 분쇄단계
고양이 모래 첨가물에 사용되는 제올라이트를 분쇄기에 투입한 후 분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쇄단계를 통해 제올라이트의 입경이 1 내지 10mm가 되도록 분쇄할 수 있다.
2. 미강 분쇄단계
미강을 분쇄기에 투입한 후 분쇄하여 입경이 1 내지 10mm가 되도록 분쇄할 수 있다.
3. 혼합단계
상기 분쇄된 제올라이트와 미강을 혼합한다. 바람직하게 제올라이트 분쇄물 50 내지 100 중량부와 미강 분쇄물 1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이렇게 혼합된 제올라이트 분쇄물과 미강 분쇄물을 앞으로 '제올라이트-미강 분쇄 혼합물'로 정의한다.
4. 소성단계
상기 혼합단계에서 획득한 제올라이트-미강 분쇄 혼합물을 미리 설정한 온도에서 소성한다. 바람직하게 제올라이트-미강 분쇄 혼합물을 400~800℃에서 30~120분간 소성할 수 있다.
상기 소성단계를 거친 제올라이트-미강 분쇄 혼합물은 앞으로 '제1 첨가물'로 정의한다.
상기 소성과정을 거치면서 미강은 탄화되면서 제올라이트의 표면에 결합된다. 이렇게 탄화된 미강은 고양이 배설물의 악취를 제거하고 배설물에 포함된 유해한 균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소성과정을 통해 제조된 제1 첨가물은 입경이 2 내지 20mm이다.
<제5 첨가물 제조방법>
상기 제5 첨가물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5 첨가물은 제올라이트를 분쇄하는 단계, 벤토나이트를 분쇄하는 단계, 미강을 분쇄하는 단계, 제올라이트 분쇄물, 벤토나이트 분쇄물, 미강 분쇄물을 혼합하는 단계, 제올라이트 분쇄물, 벤토나이트 분쇄물, 미강 분쇄물 혼합물을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 제올라이트 분쇄단계
고양이 모래 첨가물에 사용되는 제올라이트를 분쇄기에 투입한 후 분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쇄단계를 통해 제올라이트의 입경이 1 내지 10mm가 되도록 분쇄할 수 있다.
2. 벤토나이트 분쇄단계
고양이 모래 첨가물에 사용되는 벤토나이트를 분쇄기에 투입한 후 분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쇄단계를 통해 벤토나이트의 입경이 1 내지 10mm가 되도록 분쇄할 수 있다.
3. 미강 분쇄단계
미강을 분쇄기에 투입한 후 분쇄하여 입경이 1 내지 10mm가 되도록 분쇄할 수 있다.
4. 혼합단계
상기 분쇄된 제올라이트와 미강을 혼합한다. 바람직하게 제올라이트 분쇄물 50 내지 100 중량부, 벤토나이트 분쇄물 50 내지 100 중량부, 미강 분쇄물 1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할 수 있다. 이렇게 혼합된 제올라이트 분쇄물, 벤토나이트 분쇄물, 미강 분쇄물을 앞으로 '제올라이트-벤토나이트-미강 분쇄 혼합물'로 정의한다.
5. 소성단계
상기 혼합단계에서 획득한 제올라이트-벤토나이트-미강 분쇄 혼합물을 미리 설정한 온도에서 소성한다. 바람직하게 제올라이트-벤토나이트-미강 분쇄 혼합물을 400~800℃에서 30~120분간 소성할 수 있다.
상기 소성단계를 거친 제올라이트-벤토나이트-미강 분쇄 혼합물은 앞으로 '제5 첨가물'로 정의한다.
상기 소성과정을 거치면서 미강은 탄화되면서 제올라이트의 표면에 결합된다. 이렇게 탄화된 미강은 고양이 배설물의 악취를 제거하고 배설물에 포함된 유해한 균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소성과정을 통해 제조된 제5 첨가물은 입경이 2 내지 20mm이다.
<천연 항균물질 제조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 항균제는 천연 항균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항균물질은 회향과 쪽풀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천연 항균물질은 세척 및 정선된 회향과 쪽풀을 추출용매로 환류 추출하여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추출액을 여과와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분말화 하는 단계, 분말을 증류수에 분산시킨 후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분획물들을 수득하는 단계, 분획물들을 혼합하고 초음파 자극을 가하여 나노화하는 단계, 나노화된 천연 식물성 성분들이 상호 간에 침투되도록 전기자극을 가하는 단계, 상기 전기자극이 가해진 나노화된 천연 식물성 성분들을 가열한 후 진공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1. 추출액 수득 단계
회향과 쪽풀을 깨끗이 세척하고 각각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1시간씩 2회 환류 추출하여 회향 추출액과 쪽풀 추출액을 수득한다.
2. 분말화 단계
이후, 회향 추출액과 쪽풀 추출액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여과하고, 여과된 회향 추출액과 쪽풀 추출액을 회전식 감압 농축기로 농축하며, 농축된 회향 추출액과 쪽풀 추출액을 각각 동결건조하여 분말화 한다. 이렇게 분말화 단계를 거친 회향 추출액과 쪽풀 추출액을 각각 회향 추출물 분말과 쪽풀 추출물 분말이라 한다.
3. 분획물 수득단계
회향 추출물 분말과 쪽풀 추출물 분말 각각에 증류수를 혼합하여 회향 추출물 분말과 쪽풀 추출물 분말을 증류수에 분산시키고, 유기용매를 투입하여 회향 추출물 분획물과 쪽풀 추출물 분획물 수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향 추출물 분말을 증류수에 분산시켜 회향 추출물이 포함된 수용액(이하, 회향 추출물 수용액이라 함)을 제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쪽풀 추출물 분말을 증류수에 분산시켜 쪽풀 추출물이 포함된 수용액(이하, 쪽풀 추출물 수용액이라 함)을 제조할 수 있다.
회향 추출물 분말과 증류수의 중량비는 쪽풀 추출물 분말과 증류수의 중량비와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말과 증류수의 중량비는 1:1 내지 1:10일 수 있다.
상기 회향 추출물 수용액과 쪽풀 추출물 수용액의 중량비는 1:0.1 내지 1: 5일 수 있다.
회향 추출물 수용액에 유기용매를 투입하여 회향 추출 분획물 수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쪽풀 추출물 수용액에 유기용매를 투입하여 쪽풀 분획물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향 추출물 수용액과 유기용매의 중량비는 1: 1.5 내지 1: 8일 수 있다. 또한, 쪽풀 추출물 수용액과 유기용매의 중량비도 1: 1.5 내지 1: 8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핵산(hexa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부탄올(butanol)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조성된 것이 사용된다.
4. 나노화 단계
상기 분획물 수득단계에서 수득된 회향 추출물 분획물과 쪽풀 추출물 분획물을 혼합한다. 이후, 혼합된 회향 추출물 분획물과 쪽풀 추출물 분획물이 나노화되도록 초음파 자극을 가한다. 상기 초음파 자극은 35000Hz 내지 50000Hz 주파수의 초음파로 3분 자극한 후 2분동안 안정시키는 과정을 총 12회 반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나노화된 회향 추출물 분획물과 쪽풀 추출물 분획물을 얻을 수 있다.
5. 전기자극 단계
이후, 나노화된 회향 분획물이 나노화된 쪽풀 분획물에 침투되도록 전기자극을 가한다. 여기서, 전기자극은 80~110V 50~65mA로 10분~30분 1회 자극하거나, 50~110V 30~50mA로 10분~20분 2회 자극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나노화된 회향 추출물 분획물이 나노화된 쪽풀 추출물 분획물에 침투하거나, 반대로 나노화된 쪽풀 분획물이 나노화된 회향 분획물에 침투될 수 있다.
6. 가열 및 진공건조 단계
이후, 전기자극이 가해진 회향 및 쪽풀 분획물을 섭씨 900도~1,100도에서 25분~35분간 가열한 후 7시간동안 진공건조하여 천연 항균물질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천연 항균물질은 나노화된 회향 분획물과 쪽풀 분획물이 이온반응을 통해 상호 침투되면서 세균의 세포막 구조를 흐트려 버리는 특수한 구조를 형성하여 항균 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수 구조는 동물의 세포막에는 안전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천연 항균물질은 나노화된 회향 추출물 분획물과 나노화된 쪽풀 추출물 분획물이 상호간에 서로 침투되어 기존의 식물 추출 농축액보다 항균성을 지니는 유효성분 결합부위에 결합 친화도를 높여 항균 기능을 높일 수 있다.
<천연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천연 항균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 항균제는 상술한 천연 항균물질만을 포함하거나,상술한 천연 항균물질에 당알코올 및 덱스트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알코올은 솔비톨, 자이리톨(Xylitol), 만니톨(Mannitol), 에리트리톨(Erithritol), 락티톨(Lactitol), 말티톨(Maltito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항균제는 상기 천연 항균물질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것으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는 상기 천연 항균물질 1~60 중량부, 솔비톨 4~ 20 중량부, 말티톨 5~ 4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말티톨과 솔비톨은 균주의 대사를 방해하여 균을 사멸시킬 수 있다. 또한, 말티톨은 만노오즈(mannose)로 전환되며 솔비톨은 글루코즈(Glucose)와 같은 글리칸 물질로 전환될 수 있다. 이렇게 전환된 글리칸은 세균과 바이러스를 둘러싸고 있는 구성물질로서 세균과 세균 또는 바이러스와 숙주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쳐 세균과 바이러스의 활성을 저해시킨다.
또한, 덱스트린, 솔비톨과 말티톨은 국내에서 식품 첨가물로 허용되고 있을 정도로 동물에 무해한 장점이 있다.
<광촉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는 물이 첨가된 광촉매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는 인산티타늄화합물, 이산화티타늄 화합물, 티타늄, 망간, 이산화망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물에 광촉매를 투입하는 경우에 물 속에서 활성산소가 발생하여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의 고양이에 유해한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를 통해 배설물에 포함된 악취가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고양이 모래 첨가물 제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모래 첨가물은 이하 서술할 제1 내지 제8 첨가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항균물질, 천연 항균제, 광촉매가 담지된 제올라이트-미강 소성물은 상기 천연 항균제, 광촉매를 제올라이트- 미강 소성물에 분사하거나, 제올라이트- 미강 소성물을 천연 항균제, 광촉매에 침지하여 제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천연 항균물질, 천연 항균제, 광촉매가 담지된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미강 소성물은 상기 천연 항균제, 광촉매를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미강 소성물에 분사하거나,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미강 소성물을 천연 항균제, 광촉매에 침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천연 항균물질, 천연 항균제와 광촉매가 담지되지 않은 제올라이트- 미강 소성물은 제1 첨가물이라 하고, 제1 첨가물에 천연 항균물질이 담지된 제올라이트- 미강 소성물은 제2 첨가물이라 하고, 천연 항균제가 담지된 제올라이트- 미강 소성물은 제3 첨가물이라 하며, 광촉매가 담지된 제올라이트- 미강 소성물은 제4 첨가물이라 한다.
또한, 상기 천연 항균물질, 천연 항균제와 광촉매가 담지되지 않은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미강 소성물은 제5 첨가물이라 하고, 천연 항균물질이 담지된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미강 소성물은 제6 첨가물이라 하고, 천연 항균제가 담지된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미강 소성물은 제7 첨가물이라 하며, 광촉매가 담지된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미강 소성물은 제8 첨가물이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 모래 첨가물은 상기 제1 첨가물 1 내지 30 중량부, 제2 첨가물 1 내지 30 중량부, 제3 첨가물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Claims (5)

  1. 제올라이트 분쇄물 50 내지 100 중량부, 벤토나이트 분쇄물 50 내지 100 중량부 및 미강 분쇄물 1 내지 50 중량부을 혼합한 뒤 400℃ 내지 800℃에서 30분 내지 120분간 소성하여 입경이 2mm 내지 20mm로 제조된 첨가물에 식물유래 천연항균제를 담지하되,
    상기 식물유래 천연항균제는 회향과 쪽풀 유래성분의 천연 항균물질 1 내지 60 중량부, 솔비톨 4 내지 20 중량부 및 말티톨 5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솔비톨과 말티톨은 균주의 대사를 방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모래 첨가물.
  2. 제올라이트 분쇄물 50 내지 100 중량부, 벤토나이트 분쇄물 50 내지 100 중량부 및 미강 분쇄물 1 내지 50 중량부을 혼합한 뒤 400℃ 내지 800℃에서 30분 내지 120분간 소성하여 입경이 2mm 내지 20mm로 제조된 첨가물에 물에 광촉매가 첨가된 광촉매수를 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모래 첨가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77090A 2020-12-17 2020-12-17 고양이 모래 첨가물 KR102603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090A KR102603812B1 (ko) 2020-12-17 2020-12-17 고양이 모래 첨가물
US17/387,378 US20220192143A1 (en) 2020-12-17 2021-07-28 Cat sand additives
CN202110861379.5A CN114642175A (zh) 2020-12-17 2021-07-29 猫砂添加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090A KR102603812B1 (ko) 2020-12-17 2020-12-17 고양이 모래 첨가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884A KR20220086884A (ko) 2022-06-24
KR102603812B1 true KR102603812B1 (ko) 2023-11-16

Family

ID=81992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090A KR102603812B1 (ko) 2020-12-17 2020-12-17 고양이 모래 첨가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92143A1 (ko)
KR (1) KR102603812B1 (ko)
CN (1) CN1146421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326B1 (ko) * 2023-04-04 2023-10-27 (주)저스트패밀리 고양이 모래의 재생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6779A (ja) 1998-10-06 2000-04-18 Earth Chem Corp Ltd 動物の排泄物用処理材
JP2000300102A (ja) 1999-04-21 2000-10-31 Kunimine Industries Co Ltd ペット用排泄物処理剤
JP2004000133A (ja) * 2002-03-27 2004-01-08 Shinichi Kato 動物用糞尿処理材
JP2010254898A (ja) * 2009-04-28 2010-11-11 Lion Shoji Kk ペット臭消臭用香料組成物及びペット臭消臭剤
KR101237700B1 (ko) 2012-06-29 2013-03-04 김용석 탈취·제습·항균기능을 갖는 다기능성의 기공성 구상 소성체
JP2016096739A (ja) 2014-11-18 2016-05-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砂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131495A (ja) 2015-01-15 2016-07-25 ライオン商事株式会社 尿臭消臭剤
KR102225823B1 (ko) 2020-06-10 2021-03-09 박상호 애완동물용 모래 냄새 제거제를 이용한 애완동물 화장실용 모래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256B1 (ko) * 1987-08-01 1990-01-24 김덕렬 악취제거제
JP3852844B2 (ja) * 2003-11-14 2006-12-06 株式会社セイスイ 汚泥分解・水質浄化剤及び浄化方法
US20100034757A1 (en) * 2006-11-24 2010-02-11 Mitsukiyo Fujii Extract powder of indigo plant, and its preparation and uses
CN102150627A (zh) * 2011-01-26 2011-08-17 青岛弗兰克精细化工有限公司 一种猫砂及其制作方法
KR101356232B1 (ko) * 2012-02-06 2014-01-29 이학섭 애완용 모래 및 그 제조방법
CN103348924A (zh) * 2013-06-19 2013-10-16 芜湖悠派卫生用品有限公司 一种膨润土/改性沸石复合高吸水猫砂
CN105028217B (zh) * 2015-07-27 2018-01-16 芜湖恒杰膨润土科技有限公司 用于空气净化的膨润土猫砂及其制备方法
KR101938452B1 (ko) 2016-02-01 2019-01-15 이준용 천연재료를 이용한 고양이모래 및 제조방법 및 장치
CN106212296A (zh) * 2016-07-26 2016-12-14 芜湖悠派护理用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沸石猫砂的生产工艺
CN107353907A (zh) * 2017-07-18 2017-11-17 合肥百绿盛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土壤改良剂及其制备方法
KR20190138525A (ko) * 2018-06-05 2019-12-13 주식회사 부강아이엔씨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
KR20200003993A (ko) * 2018-07-03 2020-01-13 재단법인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쪽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391627B1 (ko) * 2019-06-28 2022-04-28 주식회사 엘앤더블유 친환경 담체를 이용하여 해조류에 포함된 비소를 제거하도록 하는 해조류 가공방법
CN110999755A (zh) * 2020-01-13 2020-04-14 咸阳职业技术学院 一种草莓有机无土栽培复合基质
CN111528112A (zh) * 2020-06-12 2020-08-14 马学成 一种沸石猫砂及其制作方法
KR20220141428A (ko) *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포이엔 암모니아 저감형 유기질 비료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6779A (ja) 1998-10-06 2000-04-18 Earth Chem Corp Ltd 動物の排泄物用処理材
JP2000300102A (ja) 1999-04-21 2000-10-31 Kunimine Industries Co Ltd ペット用排泄物処理剤
JP2004000133A (ja) * 2002-03-27 2004-01-08 Shinichi Kato 動物用糞尿処理材
JP2010254898A (ja) * 2009-04-28 2010-11-11 Lion Shoji Kk ペット臭消臭用香料組成物及びペット臭消臭剤
KR101237700B1 (ko) 2012-06-29 2013-03-04 김용석 탈취·제습·항균기능을 갖는 다기능성의 기공성 구상 소성체
JP2016096739A (ja) 2014-11-18 2016-05-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砂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131495A (ja) 2015-01-15 2016-07-25 ライオン商事株式会社 尿臭消臭剤
KR102225823B1 (ko) 2020-06-10 2021-03-09 박상호 애완동물용 모래 냄새 제거제를 이용한 애완동물 화장실용 모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92143A1 (en) 2022-06-23
CN114642175A (zh) 2022-06-21
KR20220086884A (ko)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215B1 (ko) 먼지 없는 고양이 모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먼지 없는 고양이 모래
CN106823678A (zh) 一种凹凸棒土杀菌除臭剂及制备方法
KR102209425B1 (ko) 미네랄 함유 복합 기능수를 이용한 탈취제의 제조 방법 및 그 탈취제
KR102603812B1 (ko) 고양이 모래 첨가물
CN106489757A (zh) 医用抗菌猫砂及其制备方法
CN106922549A (zh) 一种膨润土猫砂及其制备方法
KR101527691B1 (ko) 황토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
KR100719857B1 (ko) 탈취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67761B1 (ko) 구강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구강용 조성물
KR101762096B1 (ko) 광물분말, 허브 및 한약재를 이용한 화장수의 제조방법
CN106718979A (zh) 幼猫专用猫砂及其制备方法
KR100586633B1 (ko) 저온촉매를 이용한 합지 제조용 천연 풀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788229A (zh) 一种植物源抑菌剂的用途
KR102215687B1 (ko) 미네랄 워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91915B1 (ko) 법제유황이 함유된 다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50065279A (ko) 해조류 추출물을 이용한 안티노네날 소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26245B1 (ko) 피부 손상 치료제의 제조 방법, 및 피부 손상 치료제
KR20190096088A (ko) 상추 천연 치약 조성물 제조 방법
KR101734731B1 (ko) 소금 보드 제조방법
RU2727405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функционального пищевого ингредиента на основе подмора пчёл
KR102351527B1 (ko) 오일의 유효성분의 우점비율 조절 기술 기반 바이오차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용 바이오차 제조방법
KR102195975B1 (ko) 반려동물 피모 개선용 미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655621B1 (ko) 토지 개량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25140B1 (ko) 건조된 의류 또는 건조 후 착용하여 주름이 발생한 의류의 주름을 개선하는 섬유주름 개선제
KR101295405B1 (ko) 세라믹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