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656B1 - 물관리가 최적화된 계단식 연료 전지 스택 및 연료 전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관리가 최적화된 계단식 연료 전지 스택 및 연료 전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656B1
KR102603656B1 KR1020197025201A KR20197025201A KR102603656B1 KR 102603656 B1 KR102603656 B1 KR 102603656B1 KR 1020197025201 A KR1020197025201 A KR 1020197025201A KR 20197025201 A KR20197025201 A KR 20197025201A KR 102603656 B1 KR102603656 B1 KR 102603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segment
cell segment
gas diffusion
diffus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5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7767A (ko
Inventor
나탈랴 에어마췐코
크리스티안 루카스
게롤트 휘프너
Original Assignee
아우디 아게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디 아게,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아우디 아게
Publication of KR20200107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1Arrangements for managing water in solid electrolyte fuel cell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9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comprising two or more groupings of fuel cells, e.g. modular assemb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47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material, e.g. consisting of composites
    • H01M4/8657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material, e.g. consisting of composites layer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3Composites
    • H01M8/0228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or coat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41Composites
    • H01M8/0245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or coat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7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with both reactants being gaseous or vapori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7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porosity, ionic conductivity or thick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57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both reactants being gaseous or vapori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01M8/04126Humidifying
    • H01M8/04149Humidifying by diffusion, e.g. making use of membr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uel Cell (AREA)
  • Inert Electro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 전극 접합체(20) 및 하나 이상의 가스 확산층(21)을 포함하는 복수의 연료 전지(18)를 갖는 연료 전지 스택(5)에 관한 것으로, 이들 연료 전지는 복수의 연료 전지(18)의 일 부분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22) 및 복수의 연료 전지(18)의 다른 일 부분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23)로 세분되어 있으며, 이 경우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22) 및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23)는 하나의 공통 연료 전지 계단부(24) 내에 배열되어 있고,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22)는 작동 매체용의 제1 수집 유입 라인(25)과,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23)의 제2 수집 유입 라인(27)과 통합된 상태로 형성된 제1 수집 유출 라인(26)을 포함하며, 그리고 이 경우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23)는 제2 수집 유출 라인(28)을 포함한다.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23) 내부에 있는 막 전극 접합체(20) 및/또는 가스 확산층(21)은,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22)의 막 전극 접합체(20) 및/또는 가스 확산층(21)보다 더 방수성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와 같은 연료 전지 스택(5)을 갖는 연료 전지 시스템(1)과도 관련이 있다.

Description

물관리가 최적화된 계단식 연료 전지 스택 및 연료 전지 시스템
본 발명은, 막 전극 접합체 및 하나 이상의 가스 확산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연료 전지를 갖는 연료 전지 스택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2개 이상의 가스 확산층들이 제공되어 있다. 연료 전지는, 복수의 연료 전지의 일 부분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 및 복수의 연료 전지의 다른 또는 추가의 일 부분을 구비하는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로 세분되어 있다.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 및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는 하나의 공통 연료 전지 계단부 내에 배열되어 있다.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는, 작동 매체용의 제1 수집 유입 라인과,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제2 수집 유입 라인과 통합된 상태로 형성된 제1 수집 유출 라인을 포함한다.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는 제2 수집 유출 라인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와 같은 연료 전지 스택을 갖는 상응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과도 관련이 있다. 이 경우, 제2 수집 유입 라인과 통합된 상태로 또는 일체로 형성된 제1 수집 유출 라인은 또한 단일 (수집)-부품으로서도 이해될 수 있다.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상기와 같은 계단 형상의 또는 계단식(cascaded) 연료 전지 스택은, 예를 들어 US 2007/0128479 A1호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수집 유출 라인이, 후속하는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수집 유입 라인을 동시에 형성한다. 이와 같은 계단 형태 스택의 장점은, 개별 연료 전지 세그먼트가 전체의 또는 완전한 연료 전지 스택보다 높은 화학량론을 갖는다는 데 있다. 이 경우, 최적의 구조는 세그먼트마다 동일한 화학량론을 제공하며, 공지된 해결책에서는 이와 같은 상황이 2개의 연료 전지 세그먼트들 내에 있는 상이한 수의 연료 전지에 의해서 달성된다. 작동 매체가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 내로 유입될 때에는, 최적의 반응 시퀀스를 보장하기 위하여, 작동 매체가 우선 가습되어야만 한다고 밝혀졌다. 이 목적을 위해, (하류에 배열된)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 내에서는 물 축적의 위험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물 축적은 작동 불안정성을 초래한다. 축적된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증가된 화학량론이 빈번하게 재차 사용된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의 과제는, 최적화된 물관리에 의해 안정적인 작동이 달성되도록, 서문에 언급된 유형의 연료 전지 스택 및 연료 전지 시스템을 개선하는 것이다.
연료 전지 스택과 관련된 과제는, 청구항 1의 특징 요건을 갖는 연료 전지 스택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목적에 맞는 개선예들을 갖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 내부에 있는 막 전극 접합체 및/또는 가스 확산층이,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막 전극 접합체 및/또는 가스 확산층보다 더 방수성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성은, 다시 말해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구성 요소들이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구성 요소들에서의 경우보다 더욱 강하게 나타나는 소수성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는 건식 유입 조건 및 적은 물의 발생을 위해 설계되어 있는 한편,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는 높은 가스 습도 및 높은 물의 발생을 위해 설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막과 상이한 막이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에서 사용될 수 있다. 퍼플루오로술폰산 중합체(PFSA)로 형성된 양성자 전도성 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서 입증되었다. 이와 같은 막은 높은 산화 안정성을 갖는다. 대안적으로는, 술폰화 탄화수소 중합체(HC)가 막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막은 퍼플루오로술폰산 중합체 막에 비해, 막의 두께가 동일한 경우에 더 적은 기체 투과를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막 전극 접합체가 제1 이오노머 타입의 막으로써 형성되는 것, 그리고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막 전극 접합체의 막이 제2 이오노머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이오노머 타입은,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에 비해 더 방수성인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가 생성되도록 선택되었다.
연료 전지 스택의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막 전극 접합체의 막의 당량이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막 전극 접합체의 막의 당량보다 낮다. 이 경우, 더 낮은 당량을 갖는 이오노머는 더 높은 당량을 갖는 이오노머보다 높은 물 저장 능력을 갖는다.
전형적으로, 막 전극 접합체의 전극(애노드/캐소드)은, 바람직하게 골조 형태로 형성된 이오노머에 의해 서로 연결된 탄소계 지지체들을 포함한다. 이 경우, 지지체는 촉매 활성 입자, 예컨대 백금 나노 입자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 내 전극의 이오노머의 당량도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 내 전극의 이오노머의 당량보다 낮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온 전도성 막의 당량 또는 전극의 이오노머의 당량은 600 그램 내지 1200 그램이다. 이 경우, 이온 전도성 막의 당량 또는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전극의 이오노머의 당량은 예를 들어 600 그램 내지 830 그램이다. 이온 전도성 막의 당량 또는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전극의 이오노머의 당량은 바람직하게는 830 그램 내지 1100 그램, 더욱 바람직하게는 900 그램 내지 1000 그램이다.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막의 두께는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막의 두께보다 얇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막의 두께는 4 마이크로미터(㎛) 내지 12 마이크로미터이고,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막의 두께는 14 마이크로미터 내지 35 마이크로미터이다. 수분 평형은 건조한 사용 조건에서 더 얇은 막에 의해 개선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물 운송이 촉진된다.
또 다른 대안적인 일 실시예는,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가스 확산층이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가스 확산층보다 큰 다공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높은 다공성에 의해서는, 연료 전지 스택으로부터의, 특히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로부터의 물 배출이 촉진되며, 이로써 더 높은 습도가 발생하는 곳에서 물 배출이 촉진된다. 예를 들어,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가스 확산층의 평균 공극 크기는 5 마이크로미터 미만, 바람직하게는 심지어 1 마이크로미터 미만이다. 이때,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평균 공극 크기는 5 마이크로미터 초과, 예를 들어 10 마이크로미터이다. 이로써,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 내부에서의 물 흡수 및 이로부터 상황에 따라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물 넘침이 방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보완적으로,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가스 확산층의 두께는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가스 확산층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로부터의 물 배출을 추가로 촉진하기 위하여,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가스 확산층이 소수성 코팅을 구비하는 경우가 바람직한 것으로서 입증되었다. 이와 같은 소수성 코팅은 예를 들어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및 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중합체 및 공중합체일 수 있다. 가스 확산층을 코팅, 가공 또는 함침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어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코-에틸렌)의 용액 또는 분산액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 확산층은 또한 여러 부분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미세 다공성 층 및 거대 다공성 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미세 다공성 층은 5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바람직하게는 1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평균 공극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거대 다공성 층은 5 마이크로미터보다 큰 평균 공극 크기를 갖는다.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가스 확산층의 미세 다공성 층 및/또는 거대 다공성 층에는 소수성 코팅이 제공될 수 있는 한편,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서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가스 확산층의 미세 다공성 층 및/또는 거대 다공성 층에는 친수성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전형적인 친수성 코팅은 예를 들어 산화주석(SnO2), 이산화티탄(TiO2) 또는 또한 카본 블랙(예컨대 Black Pearls® 1000 또는 2000)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구성 요소들이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구성 요소들보다 더 방수성으로 형성되는 것이 보장되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연료 전지는, 반응 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유동장을 구비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 경우에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바이폴라 플레이트에는, 이 바이폴라 플레이트로 하여금 물을 끌어당기게 하는 친수성 코팅이 제공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의 바이폴라 플레이트에는, 이 바이폴라 플레이트로 하여금 물을 막게 하는 소수성 코팅이 제공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연료 전지 스택은, 또한 막 전극 접합체 및/또는 가스 확산층이 제1 수집 유입 라인과 제2 수집 유출 라인 사이에서 진행하는 소수성의 구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소수성의 구배로 인해, 유입부 측에 더 가까운 계단식 연료 전지 스택의 섹션은 유출부 측에 더 가까운 섹션보다 더 많이 물을 끌어당기게 된다. 다른 말로 다시 말하자면, 유입부 측이 유출부 측보다 더 많이 물을 끌어당긴다.
자동차용 연료 전지 시스템과 관련된 과제는, 청구항 10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들, 특징부들 및 세부 사항은 청구범위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그리고 도면을 참조해서 나타난다. 도면부에서,
도 1은 계단식 연료 전지 스택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2는 계단식 연료 전지 스택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3은 연료 전지(단위 전지)를 절단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는, 캐소드 측에 습도 조절기(2)를 구비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1)이 도시되어 있다. 습도 조절기(2)는, 자신의 캐소드 측 유출부(3)에 의해서 캐소드 공급 라인(4)을 통해 계단식 연료 전지 스택(5)의 캐소드 챔버들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습도 조절기(2)는, 자신의 캐소드 측 유입부(6)에 의해서 캐소드 폐가스 라인(7)을 통해 캐소드 챔버들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캐소드 폐가스 라인을 통해서는 해제 반응되지 않은 캐소드 가스 또는 습한 캐소드 폐가스가 습도 조절기(2)로 복귀된다. 캐소드 챔버들을 통해서는, 계단식 연료 전지 스택(5) 내에 배열된 복수의 연료 전지(18)의 캐소드(30)에 캐소드 가스(예컨대 공기 또는 산소)가 공급될 수 있다. 캐소드 가스는 압축기(13)에 의해서 흡입된 후에 공급 라인(14) 내로 주입된다. 유입되는 압축된 캐소드 가스는, 도시된 예에서 상기 압축된 캐소드 가스가 가습을 위해 습도 조절기(2)의 캐소드 가스 유입부(15)에 공급되기 전에, (회생) 열 교환기(16)에 의해서 냉각된다. 습도 조절기(2)는, 캐소드 폐가스로부터 수분을 추출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수증기 투과성 습도 조절기 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수분은, 압축기 측에서 습도 조절기(2) 내로 흐르는 캐소드 가스에 공급된다. 그 다음에, 남아 있는 폐가스가 폐가스 라인(17)에 의해 습도 조절기(2)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양성자 전도성 막(19)은 연료 전지(18)의 애노드(31)로부터 캐소드(30)를 분리하며, 이 경우에는 연료(예컨대 수소)가 애노드 챔버를 통해 애노드(31)에 공급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애노드 챔버는 애노드 공급 라인(8)을 통해 연료 저장기(9)와 연결되어 있다. 애노드 재순환 라인(10)을 통해서는, 애노드(31)에서 해제 반응되지 않은 연료가 애노드 챔버에 새로이 공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 경우에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재순환 팬이 애노드 재순환부에 할당되어 있거나 애노드 재순환 라인(10) 내에 유체 역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연료의 공급을 조절하기 위해, 연료 조정 부재(11)가 애노드 공급 라인(8)에 할당되어 있거나 애노드 공급 라인(8) 내에 배열되어 있다. 상기 연료 조정 부재(11)는 바람직하게 압력 조절 밸브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압력 조절 밸브의 상류에는 열 교환기(12)가 연료의 가열 또는 온도 조절을 위한 리큐퍼레이터(recuperator)의 형태로 제공되어 있다.
도 2에는, 계단식 연료 전지 스택(5)이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계단식"이란, 연료 전지 스택(5)의 계단 형상의 혹은 계단 형태의 구조물 또는 계단 형상의 구조로 이해될 수 있다. 연료 전지 스택(5)은, 복수의 연료 전지(18)의 일 부분을 구비하는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22)(도면의 하부) 및 복수의 연료 전지(18)의 다른, 바람직하게는 상보적인 부분을 구비하는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23)(도면의 상부)로 세분된다. 이 경우,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22) 및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23)는 하나의 공통 연료 전지 계단부(24) 내에 배열되어 있다. 연료 전지 스택(5)은 캐소드 가스(예컨대 공기 또는 산소)와 관련하여, 애노드 가스(예컨대 수소)와 관련하여 또는 2개의 작동 매체들과 관련하여 계단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계단 형태의 디자인에 의해 복수의 편향을 경험하는 작동 매체 또는 가스 질량 흐름의 유동(33)이 도시되어 있다. 작동 매체를 연료 전지 스택(5)에 공급할 수 있기 위하여,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22)는 제1 수집 유입 라인(25)을 구비한다. 제1 수집 유입 라인(25)에 공급되는 작동 매체는 특히 측면에서 또는 가로 방향으로 연료 전지(18)에 [또는 유동장을 이용한 바이폴라 플레이트(34)에 의해 제공되는 작동 매체 챔버]에 공급되며, 이곳에서 상기 작동 매체는, 제1 수집 유입 라인(25)에 마주 놓여 있는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22)의 측에서 연료 전지들(18)로부터 재차 제1 수집 유출 라인(26) 내로 배출되기 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비된다. 제1 수집 유출 라인(26)은 통합된 상태로, 다시 말하자면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23)의 제2 수집 유입 라인(27)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 다음에, 작동 매체는 재차, 특히 측면에서 또는 가로 방향으로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23)의 연료 전지(18) [또는 유동장을 이용한 바이폴라 플레이트(34)에 의해 제공되는 작동 매체 챔버] 내로 유입되며, 이곳에서는 작동 매체의 추가의 부분이 소비된다. 이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계속 소비된) 작동 매체는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23)의 연료 전지(18)로부터 나와서 제2 수집 유출 라인(28) 내로 배출된다. 그 다음에, 제2 수집 유출 라인(28)으로부터, 작동 매체 폐가스는 예를 들어 연료 전지 스택(5)을 떠나거나 추가의 인접한 연료 전지 세그먼트(22, 23)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본 경우에, 제1 수집 유입 라인(25) 및 제2 수집 유출 라인(28)은 하나의 공통 라인으로서 형성되어 있지만, 여기에서 상기 공통 라인은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23)로부터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22)를 분리하기 위한 차단부(29) 또는 격벽을 구비한다. 상기 격벽(29)의 위치에 따라,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22) 내의 연료 전지(18)의 수 및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23) 내의 연료 전지(18)의 수가 확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계단식 연료 전지 스택(5)의 경우에는, 연료 전지(18)가 대략 70 퍼센트[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22)]로부터 대략 30 퍼센트[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23)]까지 분할된 상태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분할이 가능하며, 이 경우 다른 분할은 특히 격벽(29)의 위치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는, 계단식 연료 전지 스택(5)의 세그먼트에 적용되는 바와 같은 연료 전지(18)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연료 전지는, 본 경우에 2개의 가스 확산층들(21)이 할당되어 있는 막 전극 접합체(20)를 포함한다. 그러나 가스 확산층(21)은 자체적으로도 막 전극 접합체(20)의 전극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지, 막 전극 접합체(20)는 양성자 전도성 막(19)에 의해 상호 분리된 제1 전극[캐소드(30)] 및 제2 전극[애노드(31)]을 포함한다. 전극의 표면 및 이로써 막(19)의 표면에 걸쳐 개별 작동 매체를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위하여, 2개의 전극들에는 각각 가스 확산층들(21) 중 하나가 할당되어 있다. 작동 매체의 더 우수한 분포를 위해, 가스 확산층(21)은 전극에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거나 전극에 가까운 미세 다공성 층(32) 및 상기 미세 다공성 층(32)에 인접한 거대 다공성 층(33)을 구비한다. 미세 다공성 층(32)의 공극 크기는 거대 다공성 층(33)의 공극 크기보다 훨씬 더 작다. 가스 확산층(21) 옆에 배열된 바이폴라 플레이트(34)는, 자신의 유동장에 의해서 연료 전지(18)를 위한 캐소드 챔버 또는 애노드 챔버를 제공한다. 이들 챔버는, 도면에 대한 개관을 명확하게 할 목적으로 가스 확산층(21)과 별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압축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스 확산층 상에 놓여 있다.
본 경우에,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22)의 연료 전지(18)는, 적거나 많지 않은 방수 구조를 갖는다는 점에서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23)의 연료 전지와 상이하다.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22)의 연료 전지(18) 및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23)의 연료 전지(18)의 상이한 구조는 도 2에 상이한 선 두께에 의해서 표시되어 있다. 2개 세그먼트들의 연료 전지들(18)은 막(19)의 당량 측면에서, 막(19)을 위해 사용된 이오노머 유형 측면에서, 막(19)의 두께 측면에서, 가스 확산층(21)의 두께 측면에서, 가스 확산층(21) 내부에서의 그리고/또는 막(19) 내부에서의 공극 직경 측면에서 그리고 이들의 열 전도성 또는 물 운송 능력 및 물 저장 능력 측면에서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설계 데이터는, 항상 전체 연료 전지 스택(5) 내부에서 화학량론 증가 없이 안정적인 작동이 보장될 수 있도록 선택되었다.
1: 연료 전지 시스템
2: 습도 조절기
3: 유출부
4: 캐소드 공급 라인
5: 연료 전지 스택
6: 유입부
7: 캐소드 폐가스 라인
8: 애노드 공급 라인
9: 연료 저장기
10: 애노드 재순환 라인
11: 연료 조정 부재
12: 열 교환기
13: 압축기
14: 공급 라인
15: 캐소드 가스 유입부
16: 열 교환기
17: 폐가스 라인
18: 연료 전지
19: 막
20: 막 전극 접합체(MEA)
21: 가스 확산층
22: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
23: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
24: 연료 전지 계단부
25: 제1 수집 유입 라인
26: 제1 수집 유출 라인
27: 제2 수집 유입 라인
28: 제2 수집 유출 라인
29: 차단부(격벽)
30: 캐소드
31: 애노드
32: 미세 다공성 층
33: 거대 다공성 층
34: (유동장을 갖는) 바이폴라 플레이트
35: 작동 매체의 유동

Claims (10)

  1. 막 전극 접합체(20) 및 하나 이상의 가스 확산층(21)을 포함하는 복수의 연료 전지(18)를 갖는 연료 전지 스택(5)이며, 상기 연료 전지는 복수의 연료 전지(18)의 일 부분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22) 및 복수의 연료 전지(18)의 다른 일 부분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23)로 세분되어 있으며,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22) 및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23)는 하나의 공통 연료 전지 계단부(24) 내에 배열되어 있고,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22)는 작동 매체용의 제1 수집 유입 라인(25)과,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23)의 제2 수집 유입 라인(27)과 통합된 상태로 형성된 제1 수집 유출 라인(26)을 포함하며,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23)는 제2 수집 유출 라인(28)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5)에 있어서,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23) 내부에 있는 막 전극 접합체(20) 및/또는 가스 확산층(21)은,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22)의 막 전극 접합체(20) 및/또는 가스 확산층(21)보다 더 방수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스택(5).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22)의 막 전극 접합체(20)의 막(19)의 당량은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23)의 막 전극 접합체(20)의 막(19)의 당량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스택(5).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22)의 막 전극 접합체(20)의 막(19)의 두께가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23)의 막 전극 접합체(20)의 막(19)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스택(5).
  4. 제3항에 있어서,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22)의 막(19)의 두께는 4 내지 12 마이크로미터이고,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23)의 막(19)의 두께는 14 내지 35 마이크로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스택(5).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23)의 가스 확산층(21)은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22)의 가스 확산층보다 큰 다공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스택(5).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23)의 가스 확산층(21)은 소수성 코팅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스택(5).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23)의 가스 확산층(21)은 미세 다공성 층 및 거대 다공성 층을 포함하며, 제2 연료 전지 세그먼트(23)의 가스 확산층(21)은 미세 다공성 층 및/또는 거대 다공성 층에 소수성 코팅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스택(5).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22)의 가스 확산층(21)은 미세 다공성 층 및 거대 다공성 층을 포함하며, 제1 연료 전지 세그먼트(22)의 가스 확산층(21)은 미세 다공성 층 및/또는 거대 다공성 층에 친수성 코팅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스택(5).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막 전극 접합체(20) 및/또는 가스 확산층(21)은 제1 수집 유입 라인(25)과 제2 수집 유출 라인(28) 사이에서 진행하는 소수성의 구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스택(5).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연료 전지 스택(5)을 갖는, 자동차용 연료 전지 시스템(1).
KR1020197025201A 2018-01-17 2018-12-06 물관리가 최적화된 계단식 연료 전지 스택 및 연료 전지 시스템 KR102603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00687.3A DE102018200687A1 (de) 2018-01-17 2018-01-17 Kaskadierter Brennstoffzellenstapel und Brennstoffzellensystem
DE102018200687.3 2018-01-17
PCT/EP2018/083734 WO2019141429A1 (de) 2018-01-17 2018-12-06 Kaskadierter brennstoffzellenstapel mit optimiertem wassermanagement und brennstoffzellen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767A KR20200107767A (ko) 2020-09-16
KR102603656B1 true KR102603656B1 (ko) 2023-11-21

Family

ID=64664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201A KR102603656B1 (ko) 2018-01-17 2018-12-06 물관리가 최적화된 계단식 연료 전지 스택 및 연료 전지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01346B2 (ko)
JP (1) JP6861293B2 (ko)
KR (1) KR102603656B1 (ko)
CN (1) CN110326145B (ko)
DE (1) DE102018200687A1 (ko)
WO (1) WO20191414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208276A1 (de) 2020-07-02 2022-01-05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Gasdiffusionslage für eine Brennstoffzelle mit entlang einer Flächenerstreckung variablen Eigenschaft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1120A (ja) * 2000-11-09 2002-05-24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のガス流路
JP2004158369A (ja) 2002-11-08 2004-06-03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
JP2007273215A (ja) * 2006-03-31 2007-10-18 Equos Research Co Ltd 燃料電池用拡散層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3303A (en) * 1982-07-09 1985-09-24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Fuel cell battery with in cell oxidant-product liquid separators
EP0596366B1 (de) * 1992-11-05 1997-04-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Wasser- und/oder Inertgasentsorgung eines Brennstoffzellenblocks
US6627338B2 (en) * 1999-12-22 2003-09-30 Ballard Power Systems Inc. Integrated fuel cell and pressure swing adsorption system
JP4233208B2 (ja) * 2000-08-11 2009-03-04 三洋電機株式会社 燃料電池
US6660423B2 (en) * 2000-12-15 2003-12-09 Motorola, Inc. Direct methanol fuel cell including a wat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fabrication
JP4037698B2 (ja) * 2002-06-26 2008-01-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固体高分子型セルアセンブリ
JP4049633B2 (ja) 2002-08-06 2008-02-20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フッ素系イオン交換膜
US6794068B2 (en) 2002-08-29 2004-09-21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el cell stack design and method of operation
KR20050004729A (ko) 2004-12-09 2005-01-12 김표언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용 메탄올 개질기의 구조
JP2006294594A (ja) 2005-03-18 2006-10-26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用電極触媒層、および、これを用いた燃料電池
KR100909521B1 (ko) * 2005-03-31 2009-07-2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연료 전지
JP5157047B2 (ja) * 2005-07-06 2013-03-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固体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で用いる電解質膜の製造方法
US7727655B2 (en) * 2005-10-25 2010-06-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Fuel cell stack having catalyst coated proton exchange member
US8007943B2 (en) * 2005-11-03 2011-08-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ascaded stack with gas flow recycle in the first stage
US7976990B2 (en) 2005-12-06 2011-07-12 Honda Motor Co., Ltd. High efficiency fuel cell system
CN1988225A (zh) * 2005-12-23 2007-06-27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用于质子交换膜燃料电池的气体扩散层及其制备方法
US7858258B2 (en) * 2006-03-03 2010-12-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Cascaded fuel cell stack operation with anode gas recirculation
JP2007242306A (ja) 2006-03-06 2007-09-20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
US20070218344A1 (en) 2006-03-20 2007-09-20 Chunxin Ji Diffusion media with vapor deposited fluorocarbon polymer
EP1968148A1 (de) 2007-02-21 2008-09-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Brennstoffzellenanordnung
JP2009016074A (ja) 2007-07-02 2009-01-22 Toyota Motor Corp 電解質膜および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DE102007060719A1 (de) 2007-12-09 2009-06-10 FuMA-Tech Gesellschaft für funktionelle Membranen und Anlagentechnologie mbH Brennstoffzelle, Protonen leitende Membran, Membran-Elektroden-Einheit, Verwendungen von Ionomeren und Kit
JP2009230902A (ja) 2008-03-19 2009-10-08 Aquafairy Kk 燃料電池
CN102318121B (zh) * 2008-12-22 2015-04-08 3M创新有限公司 具有多层阴极的燃料电池膜电极组件
JP6053251B2 (ja) 2010-03-17 2016-12-27 日本ゴア株式会社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ガス拡散層
KR101240973B1 (ko) * 2010-09-29 2013-03-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국부 친수성 가스 확산층과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DE102013207900A1 (de) * 2013-04-30 2014-10-30 Volkswagen Ag Membran-Elektroden-Einheit und Brennstoffzelle mit einer solchen
CA2939193C (en) 2014-02-24 2022-03-08 Toray Industries, Inc. Gas diffusion electrode substrate, an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fuel cell equipped with same
DE102014217700A1 (de) * 2014-09-04 2016-03-10 Volkswagen Ag Brennstoffzelle sowie Kraftfahrzeug
DE102014221321A1 (de) * 2014-10-21 2016-04-21 Volkswagen Ag Brennstoffzellensystem sowie Verfahren zum Abschalten eines Brennstoffzellenstapels
CN116093388A (zh) 2015-03-13 2023-05-09 Stc.Unm 公司 用于大功率燃料电池的智能mea的设计
JP2016195105A (ja) 2015-03-31 2016-11-17 東レ株式会社 ガス拡散電極基材、膜電極複合体および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ならびにガス拡散電極基材の製造方法
DE102015224841A1 (de) * 2015-12-10 2017-06-1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efeuchter für Brennstoffzellen
CN107507983A (zh) * 2017-08-15 2017-12-22 福建亚南电机有限公司 一种疏水性梯度变化的扩散层及其制备方法与应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1120A (ja) * 2000-11-09 2002-05-24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のガス流路
JP2004158369A (ja) 2002-11-08 2004-06-03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
JP2007273215A (ja) * 2006-03-31 2007-10-18 Equos Research Co Ltd 燃料電池用拡散層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26145A (zh) 2019-10-11
US20210288343A1 (en) 2021-09-16
CN110326145B (zh) 2022-10-14
WO2019141429A1 (de) 2019-07-25
US11201346B2 (en) 2021-12-14
JP6861293B2 (ja) 2021-04-21
DE102018200687A1 (de) 2019-07-18
JP2020509552A (ja) 2020-03-26
KR20200107767A (ko)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0533B2 (en) Fuel cell having interdigitated flow channels and water transport plates
US9172106B2 (en) Fuel cell microporous layer with microchannels
JP3596332B2 (ja) 積層型燃料電池の運転方法、積層型燃料電池及び積層型燃料電池システム
KR20090128005A (ko) 연료전지용 가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시스템
US20020071978A1 (en) Fuel cell having a hydrophilic substrate layer
JP2007511888A (ja) 改良されたプロトン交換膜燃料電池
US7745032B2 (en) Fuel cell with humidifier
KR102084568B1 (ko) 그래핀폼을 포함하는 가스유로/가스확산층 복합 기능 연료전지용 부재
US8936885B2 (en) Fuel cell system
JP5145831B2 (ja) 燃料電池、燃料電池用拡散層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CN110165265B (zh) 制造集成水蒸气传输装置和燃料电池的方法-ii
US20070178341A1 (en) Gas channel coating with water-uptake related volume change for influencing gas velocity
KR102603656B1 (ko) 물관리가 최적화된 계단식 연료 전지 스택 및 연료 전지 시스템
US20130087936A1 (en) Water vapor transport membrane
JP5128909B2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KR101258325B1 (ko) 연료 전지용 분리기 플레이트 구성
US9318760B2 (en) Fuel cell and method of operating fuel cell
CN113226522B (zh) 包括多通道中空纤维膜的用于燃料电池的膜加湿器
KR20190035002A (ko) 이종 재질의 중공사막을 구비한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막가습기
US20090325020A1 (en) Fuel cell
US1081171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tegrated water vapor transfer device and fuel cell
US8426076B2 (en) Fuel cell
US20190123364A1 (en) Fuel cell having an integrated water vapor transfer region
JP2023177808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3069536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