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437B1 - 체인형 공구 매거진 - Google Patents

체인형 공구 매거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437B1
KR102603437B1 KR1020220008655A KR20220008655A KR102603437B1 KR 102603437 B1 KR102603437 B1 KR 102603437B1 KR 1020220008655 A KR1020220008655 A KR 1020220008655A KR 20220008655 A KR20220008655 A KR 20220008655A KR 102603437 B1 KR102603437 B1 KR 102603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tool
track
guide
steer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2418A (ko
Inventor
징-산 장
Original Assignee
산제트 인터내셔널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제트 인터내셔널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산제트 인터내셔널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20008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437B1/ko
Publication of KR20230112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4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7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 B23Q3/15713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 B23Q3/157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a transfer device taking a single tool from a storage device and inserting it in a spindle the storage device comprising rotating or circulating storing means
    • B23Q3/15724Chains or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Tool Replacement In Machine Tools (AREA)

Abstract

체인형 공구 매거진은 본체, 트랙, 체인 및 구동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트랙은 상기 본체의 장착면에 결합되어 작동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작동 경로는 실체 지지 구간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 행정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체인은 복수의 공구 체인이 직렬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작동 경로를 따라 선회하도록 상기 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체인은 상기 실체 지지 구간을 지날 때 상기 실체 지지 구간을 구성하는 트랙과 접촉하고, 상기 체인의 상기 공구 체인은 상기 아이들 행정 구간을 지날 때 상기 트랙과 접촉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상기 트랙은 비연속적인 설계를 채택함으로써, 비용 지출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체인형 공구 매거진{CHAIN-TYPE TOOL MAGAZINE}
본 발명은 체인형 공구 매거진과 관련된 것으로, 비연속적인 트랙을 구비한 체인형 공구 매거진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체인형 공구 매거진은 수십개 이상의 공구를 보관할 수 있는 대형 기구로서, 주로 공구가 탑재된 체인이 소정의 궤도를 따라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교환할 공구를 지정된 위치로 옮겨, 공구 교환 작업이 계속 진행되도록 한다.
수직 설치된 본체를 구비한 체인형 공구 매거진에서, 본체에는 체인의 작동 경로를 구성하도록 가이드 트랙이 잠금 고정되어 있고, 가이드 트랙은 체인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선회 시의 체인에 접촉 지지를 제공한다. 이동 중의 체인이 부적절하게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존의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가이드 트랙은 평행하게 연장되어 이격 설치된 외측 가이드 트랙 및 내측 가이드 트랙으로 구성되며, 체인은 상기 외측 가이드 트랙과 상기 내측 가이드 트랙 사이에 제한되어, 제어를 받으면서 상기 가이드 트랙이 제공하는 경로를 따라 선회한다. 다만, 상기 가이드 트랙은 완전 폐쇄형 트랙이며, 즉 외측 가이드 트랙과 내측 가이드 트랙은 모두 연속적인 구조이고, 외측 가이드 트랙과 내측 가이드 트랙의 전체 길이는 설치 비용 및 공구 매거진의 전체 중량에 영향을 미치며, 상기 비용 및 중량은 또한 공구 매거진 제조업자가 개발 및 설계에 있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체인형 공구 매거진은 대부분 전용 기구이며, 체인에 탑재된 공구 포트는 특정 규격 사이즈의 공구 생크의 삽입 장착에만 적합하여, 다른 규격 사이즈의 공구 생크의 결합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종래의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체인 기구는 보편적이지 않아, 실용성이 떨어진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공구 매거진의 기존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설치 비용 및 공구 매거진의 중량을 줄일 수 있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 트랙, 체인 및 구동 기구를 포함하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을 제공한다. 상기 본체는 장착면을 구비하며; 상기 트랙은 상기 본체의 상기 장착면에 결합되어 작동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작동 경로는 실체 지지 구간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 행정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체인은 복수의 공구 체인이 직렬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트랙이 제공하는 작동 경로를 따라 선회하도록 상기 체인을 구동하고, 상기 체인의 상기 공구 체인은 상기 실체 지지 구간을 지날 때 상기 실체 지지 구간을 구성하는 트랙과 접촉하고, 상기 체인의 상기 공구 체인은 상기 아이들 행정 구간을 지날 때 상기 트랙과 접촉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트랙에 대해 비연속적인 설계를 채택함으로써, 트랙의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본체 및 트랙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일부 구성 요소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체인의 일부 구성 요소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면과 결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체인형 공구 매거진(100)은 본체(10), 트랙(20), 체인(30) 및 구동 기구(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본체(10)는 수직으로 설치된 견고한 구조이고 수직 방향의 장착면(10a)을 구비하며; 상기 트랙(20)은 상기 장착면(10a)에 결합되어 작동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체인(30)은 복수의 공구 체인(31)이 직렬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구동 기구(40)는 상기 트랙(20)이 제공하는 작동 경로를 따라 선회하도록 상기 체인(30)을 구동한다.
상기 트랙(20)의 작동 경로는 실체 지지 구간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 행정 구간을 포함하며, 체인(30)의 공구 체인(31)이 상기 실체 지지 구간을 지날 때, 공구 체인(31)은 상기 실체 지지 구간을 구성하는 트랙과 접촉하고, 체인(30)의 공구 체인(31)이 상기 아이들 행정 구간을 지날 때, 공구 체인(31)은 트랙(20)과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실체 지지 구간은 상기 체인(30)이 맞닿고 위치 한정되도록 하는 측방향의 면 및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구체적인 실시방식에서, 실체 지지 구간은 적어도 하나의 스트어링 베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직선 가이드 트랙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방향의 면과 가이드 홈은 스티어링 베이스와 직선 가이드 트랙 상에 형성되고, 스티어링 베이스 및 직선 가이드 트랙의 수량은 작동 경로의 길이와 관련되고, 동시에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용적 효율(volumetric efficiency)에 영향을 미친다.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상기 실체 지지 구간을 구성하는 스티어링 베이스 및 직선 가이드 트랙은 복수개이며, 스티어링 베이스는 제1 스티어링 베이스(21), 제2 스티어링 베이스(22), 제3 스티어링 베이스(23) 및 제4 스티어링 베이스(24)를 포함하고, 직선 가이드 트랙(25)은 2개가 한 세트인 방식으로 하나의 스티어링 베이스와 함께 배치된다. 상기 제1 스티어링 베이스(21) 및 제2 스티어링 베이스(22)는 반원형이고, 제3 스티어링 베이스(23) 및 제4 스티어링 베이스(24)는 부채꼴이며, 각 스티어링 베이스는 모두 호면(弧面)을 구비하고 호면의 양단은 각각 하나의 직선 가이드 트랙(25)의 일단과 맞대어 연결되고,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된 아이들 행정 구간은 작동 경로에 위치한 서로 인접한 직선 가이드 트랙(25) 사이의 거리로 구성되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아이들 행정 구간은 제1 아이들 행정 구간(L1), 제2 아이들 행정 구간(L2) 및 제3 아이들 행정 구간(L3)을 포함하고, 아이들 행정 구간은 작동 경로의 수직 방향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아이들 행정 구간의 많고 적음은 작동 경로의 길이와 관련이 있다. 즉, 작동 경로의 길이가 길수록, 미리 설치할 수 있는 아이들 행정 구간이 많아진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를 결합하면, 제2 스티어링 베이스(22) 및 이에 배치된 직선 가이드 트랙(25)을 예로 들어 본 실시예의 실체 지지 구간의 측방향의 면 및 가이드 홈을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제2 스티어링 베이스(22)의 호면(22a) 및 직선 가이드 트랙(25)의 측면(25a)은 실체 지지 구간의 일부 측방향의 면을 공동으로 구성하며, 제2 스티어링 베이스(22)는 호면(22a)을 따라 설치된 만곡 홈(22b)을 구비하고, 직선 가이드 트랙(25)은 긴 홈(25b)을 구비하며, 상기 만곡 홈(22b) 및 긴 홈(25b)은 실체 지지 구간의 일부 가이드 홈을 공동으로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측방향의 면을 상부 맞닿음면(S1) 및 하부 맞닿음면(S2)으로 구분하는 측면 개구를 구비하고, 가이드 홈은 서로 대향하는 상부 구속면(S3) 및 하부 구속면(S4)을 구비한다. 설명해야 할 점은, 상기 직선 가이드 트랙(25)은 측면에 긴 홈이 오목 형성된 단일 트랙 구조일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서 공개된 바와 같이 2개의 트랙(25c)이 상하로 이격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두 트랙(25c) 사이에 상기 긴 홈(25b)이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제1 스티어링 베이스(21)는 상기 장착면(10a)에서 푸싱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본체(10)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스티어링 베이스(22), 제3 스티어링 베이스(23) 및 제4 스티어링 베이스(24)는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방식으로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스티어링 베이스(21)는 이동 가능한 설계를 통해 체인 장력 조정 장치(50)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30)의 장력을 안정되고 균형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하 상기 목적에 도달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를 결합하면, 상기 제1 스티어링 베이스(21)가 푸싱될 수 있는 방식을 실현하는 것은 복수의 동일한 방향으로 연신된 긴 슬롯(21a)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복수의 위치 고정핀(26)이 각각 대응되는 긴 슬롯(21a)을 통과하고 위치 고정핀(26)이 상기 본체(10)에 고정 연결되면, 상기 제1 스티어링 베이스(21)는 평행 이동만 가능할 뿐 편향될 수 없고, 상기 긴 슬롯(21a)이 상기 제1 스티어링 베이스(21)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체인 장력 조정 장치(50)는 고정 블록(51), 가동 블록(52), 조정 부재(53) 및 복수의 탄성 부재(54)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블록(51)은 상기 본체(10)에 고정되고 나사홀(51a)를 구비하며, 상기 가동 블록(52)은 상기 고정 블록(51)과 상기 제1 스티어링 베이스(21)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정 부재(53)는 스크류이고 일부 몸체는 상기 나사홀(51a)에 나사 연결되며, 스크류의 일단은 상기 고정 블록(51)을 관통하여 상기 가동 블록(52)에 닿고,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54)의 일단은 상기 스티어링 베이스(21)에 작용하고, 타단은 상기 가동 블록(52)에 닿음으로써 탄력이 상기 조정 부재(53)에 작용하도록 한다. 상기 조정 부재(53)가 상기 고정 블록(51)에 대해 앞으로 또는 뒤로 회전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54)의 탄성 위치 에너지(elastic potential energy)를 변화시킬 수 있고,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54)는 변형 방식을 통해 상기 체인(30)의 선회 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체인(30) 장력의 균형을 효과적으로 유지하여 체인(30)의 작동을 순조롭게 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점은, 상기 조정 부재(53) 및 탄성 부재(54)의 사용 수량은 실제 필요에 따라 증감하고, 예를 들면 1개 또는 1개 이상일 수 있다. 또 설명해야 할 점은, 상기 이동 가능한 스티어링 베이스는 제1 스티어링 베이스(21)를 예로 들었으나, 실무적으로는 제2 스티어링 베이스(22)일 수도 있고, 또는 제1 스티어링 베이스(21) 및 제2 스티어링 베이스(22)가 모두 이동 기능을 구비하고, 체인 장력 조정 장치(50)와 결합하여 체인(30) 장력의 안정적인 균형을 유지하는 목적을 실현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트랙 조정 유닛(6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트랙 조정 유닛(60)은 직선 가이드 트랙(25)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고 체인(30) 장력의 안정에 도움을 준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각 직선 가이드 트랙(25)에는 1개의 가이드 트랙 조정 유닛(60)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트랙 조정 유닛(60)은 고정판 부재(61) 및 2개의 조정 볼트(62)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판 부재(61)는 상기 본체(10)에 고정되고, 상기 2개의 조정 볼트(62)는 각각 상기 고정판 부재(61)를 관통하여 대응되는 트랙(25c)의 나사홀(미도시)에 잠금되며, 상기 조정 볼트(62)를 정 회전 또는 역 회전시키면 트랙(25c)을 미세하게 밀거나 당길 수 있어, 체인(30) 장력의 안정에 도움을 준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를 결합하면, 상기 체인(30)의 각 공구 체인(31)은 체인 결합 본체(32), 공구 포트(33) 및 공구 잠금 유닛(34)을 포함한다. 상기 체인 결합 본체(32)의 중간 부위에 상기 체인 결합 본체(32)를 관통하는 조립홀(32a)을 구비하고, 상기 조립홀(32a)은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된 장착부를 구성하고, 상기 체인 결합 본체(32)의 전단면은 상기 조립홀(32a)의 주변에 복수의 나사홀(32b)과 하나의 위치 고정홀(32c)을 구비한다.
상기 공구 포트(33)는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체인 결합 본체(32)와 결합되고 Z방향을 따라 상기 조립홀(32a)에 입출하며, 상기 공구 포트(33)는 공구 생크(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구 수용 공간(33a)을 구비하고, 상기 공구 생크는 상기 공구 포트(33)의 후단에 설치된 공구 잠금 유닛(34)에 의해 제한되어 상기 공구 포트(33)로부터 이탈할 수 없다. 본 실시예의 공구 포트(33)의 전단에는 외부 플랜지(331)가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외부 플랜지(331)에는 관통된 복수의 관통홀(331a)을 구비하고 전측면과 후측면에 각각 위치 고정 블록(331b) 및 위치 고정홀(331c)이 설치되어 있으며, 위치 고정핀(35)의 양단은 체인 결합 본체(32)의 위치 고정홀(32c) 및 공구 포트(33)의 위치 고정홀(331c)에 각각 삽입되어, 복수의 볼트(36)가 대응되는 관통홀(331a)과 나사홀(32b)에 빠르게 관통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공구 포트(33)가 분리 방식으로 상기 체인 결합 본체(32)와 결합하는 목적을 실현하고, 상기 위치 고정 블록(331b)은 상기 공구 생크가 상기 공구 포트(33)에 삽입된 후 편향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공구 포트(33)의 후단은 복수의 통홀(332)을 구비하고, 상기 공구 잠금 유닛(34)은 대응되는 통홀(332)에 배치된 복수의 비드(34a), 스프링(34b) 및 저지 부재(34c)로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34b)은 비드(34a)와 저지 부재(34c) 사이에 위치하여, 일단은 상기 저지 부재(34c)에 맞닿고, 타단은 상기 비드(34a)를 푸싱하여 비드(34a)의 일부가 상기 공구 생크의 목부(미도시)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공구 생크가 상기 공구 포트(33)로부터 이탈할 수 없게 한다. 언급해야 할 점은, 상기 체인 결합 본체(32)와 결합된 공구 포트(33)의 후단은 체인 결합 본체(32)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공구 잠금 유닛(34)에 대한 검사 및 수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각 공구 체인(31)의 체인 결합 본체(32)는 X방향에서 상기 조립홀(32a)의 양측에 각각 좌측 가이드부(321) 및 우측 가이드부(332)를 구비하고, Y방향에서 상기 조립홀(32a)의 양측에 각각 제1 체인 결합부(323) 및 제2 체인 결합부(324)를 구비한다. 상기 좌측 가이드부(321) 및 우측 가이드부(322)는 각각 제1 롤러, 제2 롤러 및 제3 롤러로 구성되고, 좌측 가이드부(321) 및 우측 가이드부(322)는 대칭 구조에 속하므로, 이하 우측 가이드부(322)를 예로 설명한다. 상기 우측 가이드부(322)의 제1 롤러(322a)는 상기 X방향의 X축선을 회전 중심으로 상기 체인 결합 본체(32)에 결합되고, 상기 우측 가이드부(322)의 제2 롤러(322b) 및 제3 롤러(322c)는 각각 상기 제1 롤러(322a)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Z방향의 Z축선을 회전 중심으로 상기 체인 결합 본체(32)에 결합된다. 그리고, 인접한 공구 체인 사이는 앞의 공구 체인(31)의 제1 체인 결합부(323)가 뒤의 공구 체인(31)의 제2 체인 결합부(324)에 피봇 연결되는 것으로 직렬 연결되는 목적을 실현하며, 본 실시예의 제1 체인 결합부(323)는 관통홀을 구비한 피벗 베이스(323a)로 구성되고, 제2 체인 결합부(324)는 마찬가지로 관통홀을 구비하고 이격 설치된 2개의 피벗 러그(324a)로 구성되며, 상기 피벗 베이스(323a)는 상기 2개의 피벗 러그(324a) 사이에 위치하고, 핀체(37)가 피벗 러그(324a) 및 피벗 베이스(323a) 상의 관통홀을 관통하는 것을 통하여 피벗 연결을 완성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체인(30)의 공구 체인(31)은 우측 가이드부(322)의 제1 롤러(322a)가 실체 지지 구간을 구성하는 트랙(20)의 가이드 홈에 위치하고, 제1 롤러(322a)는 상기 상부 구속면(S3) 및 상기 하부 구속면(S4)에 접촉되며; 공구 체인(31) 상의 우측 가이드부(322)의 제2 롤러(322b) 및 제3 롤러(322c)는 각각 상기 상부 맞닿음면(S1) 및 상기 하부 맞닿음면(S2)에 접촉한다. 본 실시예의 체인(30)은 상기 구조 관계를 통해 상기 체인 장력 조정 장치(50)와 결합하여 탄성 부재(54)의 탄성 위치 에너지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트랙 조정 유닛(60)은 트랙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장력의 균형 및 안정에 유익할 뿐만 아니라, 공구 체인(31)이 상기 실체 지지 구간(스티어링 베이스 및 직선 가이드 트랙을 포함)을 지날 때, 공구 체인(31)은 동시에 X방향 및 Z방향의 위치 제한을 받아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구 체인(31)이 작동 방향에서 최대 너비를 가지는 것으로 정의되며, 도 9에 도시한 것을 예로 들면, 상기 공구 체인(31)의 최대 너비는 상기 체인 결합 본체(32)의 피벗 베이스(323a)와 피벗 러그(324a)의 Y방향에서의 최대 거리(L)이다. 다시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를 결합하면, 본 실시예의 제1 아이들 행정 구간(L1), 제2 아이들 행정 구간(L2) 및 제3 아이들 행정 구간(L3)의 적어도 하나는 하나의 공구 체인(31)의 최대 거리(L1)의 1/2보다 크고, 심지어는 하나의 공구 체인(31)의 최대 거리(L1)의 1배 또는 2배 이상보다 클 수 있고, 예를 들면, 제1 아이들 행정 구간(L1)은 2개의 최대 거리(L)에 해당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를 다시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구동 기구(40)는 회전 가능한 스프로켓(41) 및 위치 고정 유닛(42)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로켓(41)은 동축으로 함께 움직이고 이격 설치된 상부 회전판(41a) 및 하부 회전판(41b)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회전판(41a)과 상기 하부 회전판(41b) 사이에 스프로켓홈(41c)이 형성되고, 상부 회전판(41a) 및 하부 회전판(41b)의 외주면에는 각각 복수의 가이드 푸시 오목부(41d)를 구비한다. 상기 스프로켓(41)를 통과하는 상기 체인(30)의 공구 체인(31)은 제1 롤러(332a)가 상기 스프로켓홈(41c)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제2 롤러(322b)가 상기 상부 회전판(41a)의 가이드 푸시 오목부(41d)에 대응되게 위치하며, 제3 롤러(322c)가 상기 하부 회전판(41b)의 가이드 푸시 오목부(41d)에 대응되게 위치한다. 상기 스프로켓(41)이 구동되어 회전하면, 스프로켓(41)은 상부 회전판(41a) 및 하부 회전판(41b)의 가이드 푸시 오목부(41d)를 통해 공구 체인(31)의 체인 결합 본체(32)에 설치된 제2 롤러(322b)와 제3 롤러(322c)를 밀어, 상기 체인(30)이 상기 트랙(20)에 의해 제공되는 작동 경로를 따라 선회하도록 구동하는 목적을 실현한다.
상기 위치 고정 유닛(42)는 작동 실린더(42a), 위치 고정 블록(42b) 및 리드 센서(42c)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실린더(42a)는 상기 본체(1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작동 실린더(42a)는 제어되면서 이동하는 신축 로드(미도시)를 구비하며, 신축 로드의 전단은 상기 위치 고정 블록(42b)에 연결되고, 위치 고정 블록(42b)의 전연(前緣) 윤곽은 가이드 푸시 오목부(41d)와 매칭되고, 신축 로드와 함께 움직이면서 제1 위치(P1)(도 11의 가상선으로 표시)와 제2 위치(P2) 사이에서 이동한다. 상기 위치 고정 블록(42b)이 상기 제1 위치(P1)에 위치할 경우, 전단은 상기 스프로켓(1)의 가이드 푸시 오목부(41d)로 돌출되어, 스프로켓(41)이 안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하며; 상기 위치 고정 블록(42b)이 상기 제2 위치(P2)에 위치할 경우, 전단은 상기 스프로켓(41)의 가이드 푸시 오목부(41d)를 이탈하고 상기 스프로켓(41)의 회전 경로를 이탈하여, 스프로켓(41)이 순조롭게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리드 센서(42c)는 상기 위치 고정 블록(42b)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 명령을 적시에 발송하여 상기 작동 실린더(42a)를 정지시킨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체인형 공구 매거진(100)의 구성을 설명한 것이며, 구체적인 효과는 후술한다.
상기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각 공구 체인(31)은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제1 체인 결합부(323), 우측 가이드부(322), 좌측 가이드부(321) 및 제2 체인 결합부(324)가 있으며, 인접한 공구 체인(31) 사이는 상기 핀체(37)로 피봇 연결되므로, 상기 체인(30)이 선회할 때, 각 공구 체인(31)은 상기 핀체(37)를 단일 지지점으로 하여 선회 방향을 바꿀 수 있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30)은 시계 방향으로 상기 스티어링 베이스(22)를 돌고,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제1 스티어링 베이스(21)를 돌며, 회전 반경이 작은 장점이 있어, 체인(30)은 더 많은 수량의 공구 생크를 탑재하도록 길이를 적절하게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체인(30)은 공구 체인(31) 상의 제1 롤러(322a), 제2 롤러(322b)와 제3 롤러(322c)가 X방향 및 Z방향에서 동시에 위치 제한되는 장점이 있고, 상기 체인 장력 조정 장치(50)가 상기 체인(30)의 장력 안정성에 기여하므로, 체인(30)이 단일 측으로 트랙(20)에 맞닿는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체인(30)은 조향측의 가이드부로 트랙(20)에 맞닿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30)은 공구 체인(31) 상의 우측 가이드부(322)로 상기 제1 스티어링 베이스(21)에 맞닿아 조향되고, 체인(30)은 공구 체인(31) 상의 좌측 가이드부(321)로 상기 스티어링 베이스(22)에 맞닿아 조향된다. 종래의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체인은 평행 설치된 내측 트랙과 외측 트랙에 의해 좌우 제한되는 것과 비교하면, 본 실시예의 체인(30)의 단일 측으로 트랙(20)에 맞닿는 설계는 안정적으로 작동할 뿐만 아니라, 사용 트랙을 감소시켜, 제조 비용 지출을 줄이고 공구 매거진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랙은 비연속적인 설계(도 4 참고)를 채택하여, 공구 매거진의 설치 비용을 더 줄일 수 있다. 물론, 체인(30) 작동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트랙(20)은 보조 가이드 트랙(27)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보조 가이드 트랙(27)은 예를 들면 체인(30)이 작동하는 수평 방향과 같은 특정 영역에 장착되어, 체인(30)을 지지하므로, 비용이 너무 많이 증가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공구 포트(33)는 상기 체인 결합 본체(32)로부터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설계되었으므로, 공구 포트(33)는 선택적 구성 요소로 볼 수 있다. 즉, 스트립 형태로 직렬 연결된 체인 결합 본체(32)를 변경하지 할 필요 없이, 서로 다른 공구 수용 공간을 가진 공구 포트를 교체하기만 하면 더 많은 서로 다른 규격 사이즈의 공구 생크를 탑재하기에 적합하며; 또한, 공구 포트(33)의 후단은 체인 결합 본체(32) 외부로 돌출되어, 공구 잠금 유닛(34)을 점검 및 수리하기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스프로켓(41)은 상부 회전판(41a) 및 하부 회전판(41b)의 가이드 푸시 오목부(41d)로 각각 체인 결합 본체(32) 상의 제2 롤러(322b) 및 제3 롤러(322c)에 작용하므로, 상기 스프로켓(41)이 회전할 때, 체인 결합 본체(32)의 상하 부위가 모두 힘을 받아, 간접적으로 핀체(37)가 균일하게 힘을 받도록 하여 한쪽에 과도한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없어, 체인(30)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를 응용한 등가 변화는 모두 본 발명의 특허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 체인형 공구 매거진
10: 본체
10a: 장착면
20: 트랙
21: 제1 스티어링 베이스
21a: 긴 슬롯
22: 제2 스티어링 베이스
22a: 호면
22b: 만곡 홈
23: 제3 스티어링 베이스
24: 제4 스티어링 베이스
25: 직선 가이드 트랙
25a: 측면
25b: 긴 홈
25c: 트랙
26: 위치 고정핀
27: 보조 가이드 트랙
30: 체인
31: 공구 체인
32: 체인 결합 본체
32a: 조립홀
32b: 나사홀
32c: 위치 고정홀
321: 좌측 가이드부
322: 우측 가이드부
322a: 제1 롤러
322: 제2 롤러
322c: 제3 롤러
323: 제1 체인 결합부
323a: 피벗 베이스
324: 제2 체인 결합부
324a: 피벗 러그
33: 공구 포트
33a: 공구 수용 공간
331: 외부 플랜지
331a: 관통홀
331b: 위치 고정 블록
331c: 위치 고정홀
332: 통홀
34: 공구 잠금 유닛
34a: 비드
34b: 스프링
34c: 저지 부재
35: 위치 고정핀
36: 볼트
37: 핀체
40: 구동 기구
41: 스프로켓
41a: 상부 회전판
41b:하부 회전판
41c: 스프로켓홈
41d: 가이드 푸시 오목부
42: 위치 고정 유닛
42a: 작동 실린더
42b: 위치 고정 블록
42c: 리드 센서
50: 체인 장력 조정 장치
51: 고정 블록
51a: 나사홀
52: 가동 블록
53: 조정 부재
54: 탄성 부재
60: 가이드 트랙 조정 유닛
61: 고정판 부재
62: 조정 볼트
L1: 제1 아이들 행정 구간
L2: 제2 아이들 행정 구간
L3: 제3 아이들 행정 구간
P1: 제1 위치
P2: 제2 위치
S1: 상부 맞닿음면
S2: 하부 맞닿음면
S3: 상부 구속면
S4: 하부 구속면

Claims (14)

  1. 장착면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상기 장착면에 결합되어 작동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작동 경로는 실체 지지 구간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 행정 구간을 포함하는 트랙;
    복수의 공구 체인이 직렬 연결되어 구성된 체인; 및
    상기 트랙이 제공하는 작동 경로를 따라 선회하도록 상기 체인을 구동하고, 상기 체인의 상기 공구 체인은 상기 실체 지지 구간을 지날 때 상기 실체 지지 구간을 구성하는 트랙과 접촉하고, 상기 체인의 상기 공구 체인은 상기 아이들 행정 구간을 지날 때 상기 트랙과 접촉하지 않는 구동 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체인의 상기 공구 체인은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구 체인은 X방향에서 상기 장착부의 양측에 각각 좌측 가이드부 및 우측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구 체인은 Y방향에서 상기 장착부의 양측에 각각 제1 체인 결합부 및 제2 체인 결합부를 구비하고, 인접한 공구 체인 사이는 상기 제1 체인 결합부를 통해 상기 제2 체인 결합부에 피봇 연결되고, 상기 공구 체인은 상기 좌측 가이드부 또는 상기 우측 가이드부로 상기 실체 지지 구간을 구성하는 상기 트랙에 맞닿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인 장력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의 상기 실체 지지 구간은 적어도 하나의 스티어링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어링 베이스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체인 장력 조정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조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양단은 상기 스티어링 베이스 및 상기 조정 부재에 각각 작용하고,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 위치 에너지를 변경하기 위한 것인, 체인형 공구 매거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경로의 상기 실체 지지 구간에는 측방향의 면 및 가이드 홈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측방향의 면을 상부 맞닿음면 및 하부 맞닿음면으로 구분하는 측면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서로 대향하는 상부 구속면 및 하부 구속면을 구비하고, 상기 공구 체인의 상기 좌측 가이드부 및 상기 우측 가이드부는 각각 제1 롤러, 제2 롤러 및 제3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X방향의 X축선을 회전 중심으로 하고, 상기 제2 롤러 및 상기 제3 롤러는 상기 제1 롤러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Z방향의 Z축선을 회전 중심으로 하고,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상부 구속면 및 상기 하부 구속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2 롤러는 상기 상부 맞닿음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3 롤러는 상기 하부 맞닿음면에 접촉하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경로의 상기 실체 지지 구간은 제1 스티어링 베이스 및 제2 스티어링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체인의 상기 공구 체인은 상기 우측 가이드부로 상기 제1 스티어링 베이스에 맞닿거나, 상기 체인의 상기 공구 체인은 상기 좌측 가이드부로 상기 제2 스티어링 베이스에 맞닿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경로의 상기 실체 지지 구간은 적어도 하나의 스티어링 베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직선 가이드 트랙을 포함하고, 상기 스티어링 베이스는 호면으로 구성된 측방향의 면을 구비하고, 상기 직선 가이드 트랙의 일단은 상기 스티어링 베이스의 호면의 일단과 맞대어 연결되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티어링 베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선 가이드 트랙의 수량은 복수개이며, 각 스티어링 베이스의 호면의 양단은 각각 직선 가이드 트랙과 맞대어 연결되고, 작동 경로에 위치한 서로 인접한 직선 가이드 트랙 사이의 거리는 상기 아이들 행정 구간을 구성하고, 상기 복수의 직선 가이드 트랙은 적어도 가이드 트랙 조정 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트랙 조정 유닛은 상기 직선 가이드 트랙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기 위한 것인, 체인형 공구 매거진.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의 상기 아이들 행정 구간은 상기 체인의 상기 공구 체인의 작동 방향에서의 최대 폭의 1/2보다 큰, 체인형 공구 매거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의 상기 공구 체인은 체인 결합 본체 및 공구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체인 결합 본체는 상기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체인 결합 본체를 관통하는 조립홀이고, 상기 공구 포트는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체인 결합 본체에 결합되어 Z방향을 따라 상기 조립홀에 입출하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포트는 공구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공구 수용 공간은 공구 생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공구 포트의 후단에는 공구 잠금 유닛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구 잠금 유닛은 상기 공구 생크가 상기 공구 포트로부터 이탈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회전 가능한 스프로켓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로켓은 동축으로 이격 설치된 상부 회전판 및 하부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회전판 및 상기 하부 회전판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가이드 푸시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구 체인 상의 제1 롤러는 상기 상부 회전판과 상기 하부 회전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공구 체인 상의 제2 롤러는 상기 상부 회전판의 가이드 푸시 오목부에 위치하고, 상기 공구 체인 상의 제3 롤러는 상기 하부 회전판의 가이드 푸시 오목부에 위치하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위치 고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고정 유닛은 위치 고정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 고정 블록은 제어 받으면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고; 상기 위치 고정 블록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위치 고정 블록의 전단은 상기 스프로켓의 가이드 푸시 오목부로 돌출되고, 상기 위치 고정 블록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위치 고정 블록의 전단은 상기 스프로켓의 가이드 푸시 오목부에서 이탈하고 상기 스프로켓의 회전 경로를 이탈하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수직 설치되고, 상기 장착면은 수직 방향이고, 상기 트랙의 작동 경로의 상기 아이들 행정 구간은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체인형 공구 매거진.
  14. 삭제
KR1020220008655A 2022-01-20 2022-01-20 체인형 공구 매거진 KR102603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655A KR102603437B1 (ko) 2022-01-20 2022-01-20 체인형 공구 매거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655A KR102603437B1 (ko) 2022-01-20 2022-01-20 체인형 공구 매거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418A KR20230112418A (ko) 2023-07-27
KR102603437B1 true KR102603437B1 (ko) 2023-11-16

Family

ID=87433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655A KR102603437B1 (ko) 2022-01-20 2022-01-20 체인형 공구 매거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4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4272A (ja) * 2002-09-30 2004-04-15 Howa Mach Ltd 工具マガジン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418B1 (ko) * 2014-01-28 2020-10-14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툴 매거진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4272A (ja) * 2002-09-30 2004-04-15 Howa Mach Ltd 工具マガジ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418A (ko)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27278B (zh) 导轨夹具支座
US8276281B2 (en) Circular saw
KR102603437B1 (ko) 체인형 공구 매거진
EP3287580B1 (en) Door closer device comprising an adjustment mechanism
US20120210831A1 (en) Feeding device of screw gun
KR20230030171A (ko) 체인형 공구 매거진의 공구 운반 기구
US20100190598A1 (en) Chain with tooth type rollers
JP7370088B2 (ja) チェーン式工具マガジン
JP3147805U (ja) チェーン式ツールマガジンのツールガイド結構
CN216759081U (zh) 链式刀库
TWM636105U (zh) 自動換刀裝置之換刀臂
US7520792B2 (en) Wheel assembly for a model airplane
GB2148773A (en) Stapler
CN116252175A (zh) 链式刀库
CN113148538A (zh) 一种带式输送机不停机调偏机构
TW201807302A (zh) 關門裝置之調整座
CN113878374A (zh) 挖掘机底盘履带链节加工工装夹具
CN2557291Y (zh) 一种扳手
US11548109B1 (en) Chain-type tool magazine
TWI753726B (zh) 刀庫總成
CN216969650U (zh) 一种连接机构、贯通道及轨道车辆
US8893393B2 (en) Lock for power tool
CN217207549U (zh) 用于传动带的连接装置
CN211991763U (zh) 一种倾倒式拼圆机构
US20050139022A1 (en) Propulsion apparatus using centrifugal fo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