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012B1 -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 - Google Patents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012B1
KR102603012B1 KR1020220023609A KR20220023609A KR102603012B1 KR 102603012 B1 KR102603012 B1 KR 102603012B1 KR 1020220023609 A KR1020220023609 A KR 1020220023609A KR 20220023609 A KR20220023609 A KR 20220023609A KR 102603012 B1 KR102603012 B1 KR 102603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outlet
shredder
housing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6446A (ko
Inventor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주)에스피성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피성보 filed Critical (주)에스피성보
Priority to KR1020220023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012B1/ko
Publication of KR20230126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0Disintegrating by 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 B03C1/2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with non-movable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이 투입되는 호퍼; 한 쌍의 회전칼 모듈과 상기 회전칼 모듈에 의해 파쇄된 폐기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호퍼 하부에 설치되는 파쇄기; 몸체 길이방향을 따라 토출구 측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내벽에 고정된 다수의 가이드편을 구비하며, 상기 파쇄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쇄된 폐기물이 낙하되는 하우징; 상기 파쇄기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로 낙하되는 폐기물을 수용하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된 폐기물에 대해 방사상의 압력으로 연마력을 제공하는 마찰편을 구비하며, 상기 파쇄된 폐기물을 미분 및 이송시키는 미분기; 상기 미분기를 통과하며 미세하게 파쇄된 폐기물을 자성 및 비자성 폐기물로 분리하는 선별기를 포함하며, 하나의 연마 스크류에 의해 폐기물을 미세하게 파쇄 및 이송할 수 있고 폐기물 선별 효율이 크게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Crushing Apparatus For Recycling Waste}
본 개시(The Present Disclosure)는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미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고철이나 스텐레스 소재 등을 포함한 폐기물을 파쇄 및 분류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및 산업화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재활용 처리를 통하여 회수되는 금속이나 비금속 성분들은 철강산업은 물론 소재 산업에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해 종래에 산업폐기물의 파쇄 처리를 위해 폐기물 투입용 호퍼와, 호퍼에서 공급되는 폐기물을 파쇄시키는 파쇄기, 파쇄된 폐기물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 및 파쇄되어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폐기물에 대해 재활용이 가능한 폐기물을 분리하는 선별분리기를 포함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다.
일례로, 한국등록특허 한국등록특허 제10-2008125호에는 가연물질과 비가연물질로 이루어진 산업폐기물을 파쇄하는 파쇄기와, 파쇄 산업폐기물을 가연물질과 비가연물질로 선별 분리하는 선별 분리기 및 출구측으로 갈수록 내직경이 커지는 원추형드럼을 포함하는 산업폐기물 파쇄 및 선별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외에도, 한국등록특허 제10-1270644호에는 병렬 배치되는 복수의 스크류를 이용하여 폐수 처리후 발생되는 슬러지나 오니 또는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이송, 분쇄 및 건조시키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기술들은 파쇄효율이 떨어져 대량의 폐기물을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장치 구성이 복잡하여 시설비가 과다하게 소요되기 때문에 산업현장에서 활용하는데 상당한 저해요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08125호(2019.07.31일자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270644호(2013.05.28일자 등록)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은 재활용 가능하도록 파쇄된 폐기물을 하나의 연마 스크류에 의해 미세하게 파쇄 및 이송할 수 있는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세하게 파쇄된 폐기물에 대해 자성 금속 성분들을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는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개시된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한 특징은,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이 투입되는 호퍼;
한 쌍의 회전칼 모듈과 상기 회전칼 모듈에 의해 파쇄된 폐기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호퍼 하부에 설치되는 파쇄기;
몸체 길이방향을 따라 토출구 측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내벽에 고정된 다수의 가이드편을 구비하며, 상기 파쇄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쇄된 폐기물이 낙하되는 하우징;
상기 파쇄기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로 낙하되는 폐기물을 수용하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된 폐기물에 대해 방사상의 압력으로 연마력을 제공하는 마찰편을 구비하며, 상기 파쇄된 폐기물을 미분 및 이송시키는 스크류 미분기;
상기 미분기를 통과하며 미세하게 파쇄된을 자성 및 비자성 폐기물로 분리하는 선별기를 포함하는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개시된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다른 특징은, 상이한 마찰계수를 구비한 연마부재를 포함하는 다수의 가이드편을 갖는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개시된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또 다른 특징은, 하면에 좌측배출구와 우측배출구가 나란히 형성되고, 상면 좌측에 투입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좌측배출구의 상방에 배치되는 좌측롤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우측배출구의 상방에 배치되는 우측롤러; 슬릿들 사이마다 배치되며, 전원 공급이 제어되는 전자석들을 구비하며, 상기 좌측롤러와 상기 우측롤러에 권취되어, 궤도운동하는 벨트; 상기 우측배출구의 하방에 배치되는 자성체보관함; 및 상기 좌측배출구의 하방에 배치되는 비자성체보관함;을 포함하는 선별기를 구비한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개시된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선별기가 상기 비자성체보관함의 하면에 형성되는 홀;과 상기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비자성체보관함의 하방에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원반; 상기 원반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되,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 상기 배출구에서 나선 형태로 연장되되, 선단으로 갈수록 넓은 폭을 가지며, 소정의 곡률로 기울어진 단면으로 형성되고, 후단에 물이 분사되는 분사구가 구비되는 통로; 및 상기 통로의 선단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중금속보관함, 경금속보관함 및 비금속보관함;을 더 포함하는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개시된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우측롤러가 상기 좌측롤러보다 지면으로부터 더 높이 배치되는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개시된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또 다른 특징은,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이 투입되는 호퍼; 한 쌍의 회전칼 모듈과 상기 회전칼 모듈에 의해 파쇄된 폐기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호퍼 하부에 설치되는 파쇄기; 몸체 길이방향을 따라 토출구 측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내벽에 고정된 다수의 가이드편을 구비하며, 상기 파쇄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쇄된 폐기물이 낙하되는 하우징; 상기 파쇄기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로 낙하되는 폐기물을 수용하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된 폐기물에 대해 방사상의 압력으로 연마력을 제공하는 마찰편을 구비하며, 상기 파쇄된 폐기물을 미분 및 이송시키는 스크류 미분기; 및 상기 미분기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미분된 폐기물을 자성 및 비자성 폐기물로 분리하는 선별기;를 포함하되, 상기 선별기는 하면에 좌측배출구와 우측배출구가 나란히 형성되고, 상면 좌측에 투입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슬릿들 사이마다 배치되며, 전원 공급이 제어되는 전자석들을 구비하며, 상기 좌측롤러와 상기 우측롤러에 권취되어, 궤도운동하는 벨트;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 상기 배출구에서 나선 형태로 연장되되, 선단으로 갈수록 넓은 폭을 가지며, 소정의 곡률로 기울어진 단면으로 형성되고, 후단에 물이 분사되는 분사구가 구비되는 통로; 상기 통로의 선단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중금속보관함, 경금속보관함 및 비금속보관함; 상기 우측배출구의 하방에 배치되는 자성체보관함; 및 상기 좌측배출구의 하방에 배치되는 비자성체보관함;을 포함하는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는 하나의 연마 스크류 미분기에 의해 미세하게 파쇄 및 이송하므로서 대용량의 폐기물 처리 효율이 크게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는 미세하게 파쇄된 폐기물을 자성 및 비자성 폐기물로 선별하므로서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의 선별 효율이 큰 장점이 있다.
개시된 내용은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개시된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의 개략도,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파쇄기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미분기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에 표기된 요부 확대도,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의 선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의 선별기 사용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의 선별기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파쇄기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미분기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에 표기된 요부 확대도,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의 선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의 선별기 사용예를 나타낸 단면도 및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의 선별기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실예에 따른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는,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이 투입되는 호퍼(10)와, 한 쌍의 회전칼 모듈(21, 31)과 상기 회전칼 모듈(21, 31)에 의해 파쇄된 폐기물을 배출하는 배출구(20b)를 구비하며, 상기 호퍼(10) 하부에 설치되는 파쇄기(20) 및 몸체 길이방향을 따라 토출구 측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내벽(46)에 고정된 다수의 가이드편(49)을 구비하며, 상기 파쇄기(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쇄된 폐기물이 낙하되는 하우징(41)이 구성된다.
상기 회전칼 모듈(21, 31)은 각각 상이한 표면마찰계수를 구비하며, 철분이나 스텐레스를 포함하는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을 절단 및 파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는, 상기 파쇄기(20)를 통하여 하우징(41) 내부로 낙하되는 폐기물을 수용하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43)와, 상기 블레이드(43)의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된 폐기물에 대해 방사상의 압력으로 연마력을 제공하는 마찰편(44)을 구비하며, 상기 파쇄된 폐기물을 미분 및 이송시키는 스크류 미분기(40)가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 미분기(40)는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43)은 소정 각도의 나선형 경사를 가지며, 블레이드 표면에 수용된 폐기물에 대해 방사상으로 밀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43)들은 상기 마찰편(44) 및 가이드편(49)를 통하여 미분되는 폐기물들을 토출통로(47)를 따라 점진적으로 압출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는, 상기 미분기(4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미분된 폐기물을 자성 및 비자성 폐기물로 분리하는 선별기(100)가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의 선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의 선별기 사용예를 나타낸 단면도 및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의 선별기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선별기(100)은 파쇄기에 의해 일정한 입도로 절단된 폐기물(A)[이하 '일정한 입도로 절단된 폐기물(A)'은 '폐기물(A)'이라 함.]을 재료의 자성과 비중에 의해 선별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폐기물(A)은 자성을 띄는 폐기물(F)과 자성을 띄지 않는 폐기물(U)로 분류될 수 있으며, 그 중 자성을 띄지 않는 폐기물(U)는 스테인레스(S), 구리(C), 알루미늄(L), 플라스틱(P) 및 불순물(D)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선별기(100)은 폐기물(A)을 자성에 의해 자성을 띄는 폐기물(F)과 자성을 띄지 않는 폐기물(U)로 선별하기 위해, 하우징(110), 좌측롤러(121), 우측롤러(122), 벨트(123), 슬릿(123a), 전자석(123b), 자성체보관함(124) 및 비자성체보관함(125)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자성에 의해 폐기물(A)이 선별되도록 투입 및 배출되는 곳으로서, 투입구(111), 좌측배출구(112) 및 우측배출구(113)를 포함한다.
투입구(111)는 하우징(110)의 상면 좌측에 형성되며,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되는 깔때기 형태일 수 있다.
좌측배출구(112)는 하우징(110)의 하면 좌측에 형성된다.
우측배출구(113)는 하우징(110)의 하면 우측에 좌측배출구(112)와 나란하게 형성된다.
좌측롤러(121)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되, 좌측배출구(112)의 상방에 배치된다.
우측롤러(122)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되, 우측배출구(113)의 상방에 배치된다.
벨트(123)는 좌측롤러(121)와 우측롤러(122)에 권취되어, 궤도운동한다. 구체적으로, 벨트(123)는 자성을 띄지 않는 폐기물(U)이 먼저 자유낙하되도록, 정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벨트(123)는 길이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우측롤러(122)는 좌측롤러(121)보다 지면으로부터 더 높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벨트(123)는 정면에서 바라볼 때, 좌측이 내려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벨트(123)는 슬릿(123a)과 전자석(123b)을 포함한다.
상기 슬릿(123a)에 의해 벨트(123)의 내부로 들어온 자성을 띄지 않는 폐기물(U)은 벨트(123)의 경사면을 따라 비자성체보관함(125)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슬릿(123a)은 자성을 띄지 않는 폐기물(U)이 통과되도록, 벨트(123)의 길이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릿(123a)들 사이마다 상기 전자석(123b)들이 배치된다. 또한, 전자석(123b)들 각각은 전원 공급이 제어되는데, 우측배출구(113)에 위치될 때 전원 공급이 제한되어, 붙어있던 자성을 띄는 폐기물(F)을 우측배출구(113)로 자유낙하시킨다.
자성체보관함(124)은 자성을 띄는 폐기물(F)을 수용하는 곳으로서, 우측배출구(113)의 하방에 배치된다.
비자성체보관함(125)은 자성을 띄지 않는 폐기물(U)을 수용하는 곳으로서, 좌측배출구(112)의 하방에 배치된다. 하지만, 비자성체보관함(125)에는 자성을 띄지 않는 폐기물(U)이 배출되는 홀(126)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좌측롤러(121)와 벨트(123) 또는 우측롤러(122)와 벨트(123) 사이의 폐기물(A)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좌측롤러(121)와 우측롤러(122) 사이에 걸림방지판(128)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걸림방지판(128)은 폐기물(A) 유입이 방지되도록,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벨트(123)의 내측면을 향해 돌기가 형성된 브러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벨트(123)의 내측면은 궤도운동을 하는 도중 우측롤러(122)와 좌측롤러(121)에 맞닿는 면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하우징(110)은 내부 좌측 벽면에 가이드판(1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127)은 폐기물(A)이 전자석(123b)에 닿도록, 폐기물(A)의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선별기 작동을 설명하면, 투입구(111)를 통해, 미분된 폐기물(A)이 하우징(110)의 내부로 투입된다.
좌측롤러(121)와 우측롤러(122)에 의해 회전 중인 벨트(123)에는, 폐기물(A)이 적재된다. 또한, 벨트(123)는 적재된 폐기물(A)을 반시계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가이드판(127)은 자성을 띄는 폐기물(F)이 벨트(123)에 닿지 않은 채 좌측배출구(112)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벨트(123)는 폐기물(A)을 반시계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도중, 자성을 띄는 폐기물(F)을 전자석(123b)에 붙인 상태로 우측배출구(113)까지 이동시키며, 자성을 띄지 않는 폐기물(U)을 슬릿(123a)을 통해 좌측배출구(112)로 자유낙하시키거나, 자성을 띄지 않는 폐기물(U)을 벨트(123)의 외측면에 적재된 상태로 좌측배출구(112)까지 이동시킨다.
전자석(123b) 각각은 좌측배출구(112)에 도달할 때, 전원 공급이 제어되며, 자성을 띄는 폐기물(F)을 우측배출구(113)로 자유낙하시킨다.
자성을 띄지 않는 폐기물(U)은 비자성체보관함(125)에 수용되며, 자성을 띄는 폐기물(F)은 자성체보관함(124)에 수용된다.
한편, 자성을 띄지 않는 폐기물(U)은, 중금속(예를 들어, 스테인레스(S)와 구리(C) 등), 경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L) 등) 및 비금속(예를 들어, 플라스틱(P)과 불순물(D) 등)으로 더 분류될 수 있다.
예컨대, 선별기(100)은 자성을 띄지 않는 폐기물(U)을 재료별 비중에 의해 중금속, 경금속, 플라스틱 및 불순물로 선별하기 위해, 비자성체보관함(125)의 하방에 회전축(131), 원반(132), 원통(133), 통로(135), 분사구(136), 중금속보관함(137), 경금속보관함(138) 및 비금속보관함(13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31)은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비자성체보관함(125)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단에 자성을 띄지 않는 폐기물(U)이 적재되지 않도록 원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반(132)은 자성을 띄지 않는 폐기물(U)을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회전축(131)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회전축(13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올라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원반(132)은 상면에 등 간격으로 방사형 가이드(132a)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중심에서 테두리까지 이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형 가이드(132a)는 자성을 띄지 않는 폐기물(U)에 접촉된다.
원통(133)은 원반(132)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되, 회전되지 않으며, 원반(132)의 하면을 덮는 형태로 연장되어도 무방하다.
원통(133)의 일측에는 자성을 띄지 않는 폐기물(U)을 후술할 통로(135)로 배출하는 배출구(134)가 형성된다.
통로(135)는 배출구(134)에서 나선 형태로 연장되되, 선단으로 갈수록 넓은 폭을 가지며, 소정의 곡률로 기울어진 단면으로 형성되고, 후단에 물이 분사되는 분사구(136)가 구비된다.
자성을 띄지 않는 폐기물(U)은, 소정의 곡률로 기울어진 단면으로 형성된 통로(135)를 통해 내려오는 과정에서, 비중에 의해 통로(135)의 선단에서의 위치가 결정되는데, 구체적으로, 비중이 클수록 통로(135)의 안쪽 둘레로 이동되며, 비중이 작을수록 통로(135)의 바깥쪽 둘레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통로(135)의 선단에는 폭 방향인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중금속보관함(137), 경금속보관함(138) 및 비금속보관함(139)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중금속보관함(137)에는 중금속(예를 들어, 스테인레스(S), 구리(C) 등)이 보관된다.
경금속보관함(138)에는 중금속보다 작은 비중을 갖는 경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L) 등)이 보관된다.
비금속보관함(139)에는 경금속보다 작은 비중을 갖는 비금속(예를 들어, 플라스틱(P), 불순물(D) 등)이 보관된다.
선별기 작동과정에 있어서, 자성을 띄지 않는 폐기물(U)은 비자성체보관함(125)의 하부에 형성된 홀(126)를 통해, 원반(132)의 상부로 투입된다.
이때, 회전축(131)에 의해 회전되고 있는 원반(132)은 자성을 띄지 않는 폐기물(U)을 원반(132)의 테두리로 밀어낸다.
상기 자성을 띄지 않는 폐기물(U)은 원반(132)의 테두리에 구비된 원통(133)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는 도중 구심력에 의해 배출구(134)를 통해 통로(135)로 이송된다.
이어서, 상기 자성을 띄지 않는 폐기물(U)은 분사구(136)로부터 분사된 물과 함께 이동된다.
이때, 중금속에 해당하는 스테인레스(S)와 구리(C)는, 소정의 곡률로 기울어진 단면으로 형성된 통로(135)를 물과 함께 지나는 동안, 통로(135)의 안쪽 둘레로 이동된다.
또한, 경금속에 해당하는 알루미늄(L)은, 통로(135)의 중앙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비금속에 해당하는 플라스틱(P)과 불순물(D)은, 소정의 곡률로 기울어진 단면으로 형성된 통로(135)를 물과 함께 지나는 동안, 통로(135)의 바깥쪽 둘레로 이동된다.
따라서, 자성을 띄지 않는 폐기물(U)은 비중에 의해 각각 중금속보관함(137), 경금속보관함(138) 및 비금속보관함(139) 중 어느 하나에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호퍼 20 : 파쇄기
30 : 스크류 미분기 60: 구동부
70: 컨트롤 패널 100 : 선별기
121 : 좌측롤러 122 : 우측롤러
123 : 벨트 123a : 슬릿
123b : 전자석 124 : 자성체보관함
125 : 비자성체보관함 139 : 비금속보관함

Claims (6)

  1.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이 투입되는 호퍼;
    한 쌍의 회전칼 모듈과 상기 회전칼 모듈에 의해 파쇄된 폐기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호퍼 하부에 설치되는 파쇄기;
    몸체 길이방향을 따라 토출구 측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내벽에 고정된 다수의 가이드편을 구비하며, 상기 파쇄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쇄된 폐기물이 낙하되는 하우징;
    상기 파쇄기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로 낙하되는 폐기물을 수용하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된 폐기물에 대해 방사상의 압력으로 연마력을 제공하는 마찰편을 구비하며, 상기 파쇄된 폐기물을 미분 및 이송시키는 스크류 미분기;
    상기 미분기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미분된 폐기물을 자성 및 비자성 폐기물로 분리하는 선별기를 포함하며,
    상기 선별기는,
    하면에 좌측배출구와 우측배출구가 나란히 형성되고, 상면 좌측에 투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좌측배출구의 상방에 배치되는 좌측롤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우측배출구의 상방에 배치되는 우측롤러;
    슬릿들 사이마다 배치되며, 전원 공급이 제어되는 전자석들을 구비하며, 상기 좌측롤러와 상기 우측롤러에 권취되어, 궤도운동하는 벨트;
    상기 우측배출구의 하방에 배치되는 자성체보관함; 및
    상기 좌측배출구의 하방에 배치되는 비자성체보관함;를 포함하는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이드편은 상이한 마찰계수를 구비한 연마부재를 포함하는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기는,
    상기 비자성체보관함의 하면에 형성되는 홀;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비자성체보관함의 하방에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원반; 상기 원반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되,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 상기 배출구에서 나선 형태로 연장되되, 선단으로 갈수록 넓은 폭을 가지며, 소정의 곡률로 기울어진 단면으로 형성되고, 후단에 물이 분사되는 분사구가 구비되는 통로; 및 상기 통로의 선단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중금속보관함, 경금속보관함 및 비금속보관함;을 더 포함하는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롤러는 상기 좌측롤러보다 지면으로부터 더 높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
  6.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이 투입되는 호퍼;
    한 쌍의 회전칼 모듈과 상기 회전칼 모듈에 의해 파쇄된 폐기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호퍼 하부에 설치되는 파쇄기;
    몸체 길이방향을 따라 토출구 측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내벽에 고정된 다수의 가이드편을 구비하며, 상기 파쇄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쇄된 폐기물이 낙하되는 하우징;
    상기 파쇄기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로 낙하되는 폐기물을 수용하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된 폐기물에 대해 방사상의 압력으로 연마력을 제공하는 마찰편을 구비하며, 상기 파쇄된 폐기물을 미분 및 이송시키는 스크류 미분기; 및
    상기 미분기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미분된 폐기물을 자성 및 비자성 폐기물로 분리하는 선별기;를 포함하되,
    상기 선별기는,
    하면에 좌측배출구와 우측배출구가 나란히 형성되고, 상면 좌측에 투입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좌측배출구의 상방에 배치되는 좌측롤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우측배출구의 상방에 배치되는 우측롤러;
    슬릿들 사이마다 배치되며, 전원 공급이 제어되는 전자석들을 구비하며, 상기 좌측롤러와 상기 우측롤러에 권취되어, 궤도운동하는 벨트;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원통; 상기 배출구에서 나선 형태로 연장되되, 선단으로 갈수록 넓은 폭을 가지며, 소정의 곡률로 기울어진 단면으로 형성되고, 후단에 물이 분사되는 분사구가 구비되는 통로;
    상기 통로의 선단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중금속보관함, 경금속보관함 및 비금속보관함;
    상기 우측배출구의 하방에 배치되는 자성체보관함; 및
    상기 좌측배출구의 하방에 배치되는 비자성체보관함;을 포함하는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
KR1020220023609A 2022-02-23 2022-02-23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 KR102603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609A KR102603012B1 (ko) 2022-02-23 2022-02-23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609A KR102603012B1 (ko) 2022-02-23 2022-02-23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446A KR20230126446A (ko) 2023-08-30
KR102603012B1 true KR102603012B1 (ko) 2023-11-17

Family

ID=87846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609A KR102603012B1 (ko) 2022-02-23 2022-02-23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012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75104B1 (en) * 1992-06-17 1996-05-08 Nippon Shokubai Co., Ltd. Maleimide-based copolymer and process for producing it
KR101228984B1 (ko) * 2011-05-03 2013-02-01 조성경 분쇄기
KR101270644B1 (ko) 2013-01-15 2013-06-03 정홍철 폐기물 및 슬러지 처리장치의 분쇄장치
KR102482717B1 (ko) * 2015-08-13 2022-12-30 주식회사 씨아이에코텍 폐기물 관리 및 재생 시스템
KR102008125B1 (ko) 2019-02-22 2019-08-06 서경미 산업폐기물 파쇄 및 선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446A (ko) 202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2860A (en) Material reducing and shredding apparatus
KR101436698B1 (ko) 분쇄기능을 갖는 자력선별기
US5120767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reclaiming the economic components of scrap rubber tires
KR101560334B1 (ko) 분쇄장치
KR100961271B1 (ko) 전자스크랩 파쇄장치
KR101320976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US6250576B1 (en) Method for producing glass sands and system therefor
US201402996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Fiber and Plastics in Municipal Solid Waste
KR102017478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 선별장치
KR200314639Y1 (ko) 음식물쓰레기 선별파쇄기
US3878995A (en) Refuse shredder and classifier
KR101825846B1 (ko) 음식물 쓰레기 선별 파쇄장치
KR20210068784A (ko) 폐스티로폼 분쇄장치
KR102603012B1 (ko)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파쇄장치
KR100559483B1 (ko)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
JP3509714B2 (ja) 生ごみ破砕分別装置および生ごみ処理装置
JP3583374B2 (ja) 廃プラスチックのリサイクル設備
KR102307715B1 (ko) 폐석고보드 파분쇄장치
US20010050319A1 (en) Method for producing glass sands and system therefor
KR102454111B1 (ko) 유기성폐기물 건조시스템의 음식물류 폐기물 건조제품의 생산효율 향상된 제품균질화 및 협잡물재순환을 통한 협잡물 최소화 생산설비
KR102536224B1 (ko) 플라스틱 파쇄장치
KR101612534B1 (ko) 산업폐기물 분쇄기
KR200403511Y1 (ko) 생활쓰레기 선별장치
JP7253362B2 (ja) シュレッダーダストの処理方法及び処理設備
KR19980033677A (ko) 폐 타이어의 분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