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363B1 -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 결정 또는 검사를 위한 트위스팅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업그레이드 키트와 같은 컴퓨터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 결정 또는 검사를 위한 트위스팅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업그레이드 키트와 같은 컴퓨터 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363B1
KR102602363B1 KR1020207032675A KR20207032675A KR102602363B1 KR 102602363 B1 KR102602363 B1 KR 102602363B1 KR 1020207032675 A KR1020207032675 A KR 1020207032675A KR 20207032675 A KR20207032675 A KR 20207032675A KR 102602363 B1 KR102602363 B1 KR 102602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wisting
line bundle
twist length
line
recogni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2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5062A (ko
Inventor
우베 케일
비탈리 잰즌
롤랜드 캄프만
안드레아스 자일르
Original Assignee
쉴로이니게르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쉴로이니게르 아게 filed Critical 쉴로이니게르 아게
Publication of KR20210005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3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2Stranding-up
    • H01B13/0207Details; Auxiliary devic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rope- or cable-making machines; 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such machines
    • D07B7/02Machine details; Auxiliary devices
    • D07B7/022Measuring or adjusting the lay or torque in the ro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2Stranding-up
    • H01B13/0221Stranding-up by a twisting take-up devic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301/00Controls
    • D07B2301/25System input signals, e.g. set points
    • D07B2301/251Twist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301/00Controls
    • D07B2301/55Sensors
    • D07B2301/5504Sensors characterised by their arrangement
    • D07B2301/5509Sensors characterised by their arrangement being movabl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301/00Controls
    • D07B2301/55Sensors
    • D07B2301/5531Sensors using electric means or elements
    • D07B2301/5581Sensors using electric means or elements using camera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301/00Controls
    • D07B2301/55Sensors
    • D07B2301/5531Sensors using electric means or elements
    • D07B2301/5586Sensors using electric means or elements using laser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4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 or cable making machines
    • D07B2501/406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 or cable making machines for making electrically conductive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bles (AREA)
  • Ropes Or Cable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Wire Process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인 번들(13)에 전선 또는 광케이블(12)을 트위스팅 하거나 스트랜딩 하기 위한 트위스팅 장치(10)를 대상으로 한다. 트위스팅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트위스팅 헤드(15)와 한 개의 클램핑 장치(25)를 포함한다. 제1 트위스팅 헤드(15)와 클램핑 장치(25)는 서로 이격 되어 있다. 트위스팅 장치(10)는 라인 번들(13)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30)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30)는 제1 트위스팅 헤드(15)와 클램핑 장치(25)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 결정 또는 검사를 위한 트위스팅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업그레이드 키트와 같은 컴퓨터 구현 방법
본 발명은 라인 번들에 전선 또는 광케이블을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하기 위한 트위스팅 장치,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 결정 또는 검사를 위한 방법, 데이터세트의 자동 결정 및 생성을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트위스팅 장치 제어를 위한 제어 장치, 트위스팅 장치의 사용 및 독립항의 전문에 따른 트위스팅 장치를 위한 업그레이드 키트를 내용으로 한다.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는 근접한 케이블의 간섭 필드에 대한 차폐 영역을 정하기 때문에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 생성 시 꼬임 길이는 중요한 품질 특징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은 자동 제조 공정에서 기계로 쉽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주로 자동차 제작에 사용된다. 라인 번들은 일반적으로 트위스팅 장치에서 트위스팅이나 스트랜딩 공정을 거쳐 생산된다. 여기에 제시되어 기술된 트위스팅 장치는 한 개의 라인 번들에 최소 두 개의 케이블을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하기에 적합하며, 이 트위스팅 장치는 트위스팅이나 스트랜딩 공정을 실행하기에 적합하다. 두 개의 케이블만으로 이뤄진 라인 번들을 일반적으로 트위스트 페어(twisted pair)라고 일컫는다.
제시된 트위스팅 공정은 두 개 이상의 케이블이 서로 번갈아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정한 꼬임을 얻기 위해서 트위스팅 처리된 라인 번들을 생산 시 가장 간단한 경우 오버 와인딩 처리해야 하며, 그 결과로 이완 공정 후에 원하는 최종 꼬임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여기에 제시된 스트랜딩 공정은 두 개 이상의 케이블이 서로 겹치는 것을 의미한다. 스트랜딩 공정에서 스트랜딩 십(ship)은 한 개의 케이블 끝에서부터 다른 한 개의 케이블 끝까지 서로 겹쳐지는 동안 스트랜딩 되는 케이블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은 라인 번들 종축을 따라 한 개의 평면에 서로 공간적으로 분리되는 여러 개의 라인 번들 밸리 및 라인 번들 피크를 갖게 된다.
여기서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는 한 개의 라인 번들 밸리 시작에서부터 다른 라인 번들 밸리 시작까지의 일정한 거리로 이해되거나 또는 한 개의 라인 번들 피크의 시작에서부터 다른 라인 번들 피크의 시작까지의 일정한 거리로 이해된다.
또한, 꼬임 길이는 라인 번들을 따라 정의된 거리에 걸친 라인 번들 피크와 라인 번들 밸리의 기록/집계를 통해서 그리고 이렇게 정의된 거리를 기반으로 한 평균 꼬임 길이의 계산을 통해서 정의된다.
새로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케이블이 전체 길이에 걸쳐 정확하게 동일한 특성을 가질 필요가 없다는 것도 마찬가지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이완 또는 트위스팅 장치에서 제거된 후 특성이 특히, 케이블의 끝부분에서 변경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케이블의 끝부분 사이의 간격이 더 이상 고정이 아니라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라인 번들의 기존 생산 프로세스에서 일정한 꼬임 길이는 예를 들어 케이블 재료, 온도 등에 따라 다르며, 변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주기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의 규칙성, 즉 각 꼬임 길이의 균일성 및 허용 오차는 예를 들어 자동차-가이드라인 LV 122에 따른 품질 요구사항에 해당된다. 사전 선택된 트위스팅 장치의 생산 매개변수가 생산 프로세스에서 라인 번들을 생산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자동차-가이드라인 LV 122에 따른 품질 요구사항이 완전히 충족되도록 트위스팅 장치의 생산 매개변수를 단계적 또는 반복적으로 조정해야 한다.
JP 2007-242431 A는 라인 번들 생산을 위한 트위스팅 장치 및 그 방법을 나타낸다. 트위스팅 장치는 기다란 베이스를 가지며 끝부분에 각 한 개의 트위스팅 헤드가 배치된다. 트위스팅 처리되는 케이블은 트위스팅 장치의 양쪽 트위스팅 헤드에 고정되고 트위스팅 처리된다. 트위스팅 처리된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 결정을 위해 트위스팅 헤드에서 베이스의 끝부분 중 한 곳에 한 개의 카메라가 배치된다.
이러한 해결책에서 단점은 트위스팅 처리된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가 한 쪽 끝에서 결정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트위스팅 처리된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에 대한 최종 품질 검사는 외부 꼬임 길이 검사 장치를 이용해 추가로 실행해야 한다.
제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한 개 이상 제거하는 데 있다. 특히, 트위스팅 장치에서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 결정 또는 검사를 위한 방법 및/또는 트위스팅 장치를 제조해 생산된 라인 번들이 요구되는 품질 요구사항을 확실하게 충족해야 한다. 또한, 특히 컴퓨터 구현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또는 트위스팅 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 장치 및/또는 트위스팅 장치를 위한 업그레이드-키트 제공해야 하며, 이는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한 개 이상 제거한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항에 정의된 장치, 방법, 설비 및 업그레이드-키트를 통해 달성된다. 유리한 발전은 도면, 설명 및 특히 종속항에 기술된다.
전선 또는 광케이블을 라인 번들에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트위스팅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트위스팅 헤드 및 클램핑 장치를 포함한다. 제1 트위스팅 헤드와 클램핑 장치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트위스팅 장치는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가 제1 트위스팅 헤드와 클램핑 장치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를 통해 트위스팅 장치에서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의 모든 위치에서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이는 라인 번들을 따라 특별한 위치, 즉 트위스팅 헤드로부터 일정한 간격에서 꼬임 길이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트위스팅 헤드 또는 그 내부에 위치한 라인 번들을 유지하는 클램핑 장치의 영향을 받지 않고 즉, 트위스팅 장치의 구조와 상관없이 꼬임 길이가 표시하는 정보는 기록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된 정보의 품질이 개선된다. 또한, 표시된 정보의 기록은 인식 장치의 이동 기능을 통해 여러 위치에서 가능하며, 이는 외부 꼬임 길이 검사 장치에서 이뤄지는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 검사를 피할 수 있게 한다.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의 기록은 유리하게 라인 번들의 이미지에 해당되며, 이미지 인식을 통해 꼬임 길이 결정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라인 번들의 이미지는 여기서 제시된 라인 번들의 이미지 제공 기록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에 의해 기록되는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가 이에 해당된다.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에 의해 기록된 공간 및/또는 시간 분해된 강도 측정(패턴, 색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된 정보는 특히, 트위스트 페어의 경우 일반적으로 한쪽 면에서 노출된 라인 번들의 이미지일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는 가장 단순한 의미에서 라인 번들의 그림자에 해당한다. 여기서 이 이미지는 라인 번들 밸리와 일치하는 수축을 갖는다. 따라서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수축에서 제2 수축까지의 거리가 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가 제1 트위스팅 헤드와 클램핑 장치와 별도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는 트위스팅 장치 및/또는 트위스팅 헤드의 상태와는 상관없이 제1 트위스팅 헤드와 클램핑 장치 사이의 다양한 위치에서 결정 가능하다.
트위스팅 장치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가 배치된 한 개의 가이드 장치를 가진다. 이를 통해 인식 장치는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을 따라 모든 위치에서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을 벗어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트위스팅 장치는 바람직하게 라인 및/또는 라인 번들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장치를 갖는다. 이를 통해 라인 번들 생산 시 라인의 진동이 억제되거나 방지되며, 높은 정확도로 라인 번들이 생산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가 기록되는 동안 라인 번들의 진동이 방지되거나 억제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 장치는 바람직하게 한 개의 지지 유닛을 가지며, 이를 통해 라인 및/또는 라인 번들이 정확하게 지지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에 대한 라인 번들의 일정한 간격을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지지 유닛은 유리하게 실린더 형태로 구성되어 라인 번들이 간단하게 지지되면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되는 라인을 실린더 형태 지지 유닛의 실린더 원주 상에 서로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다.
대안으로 지지 유닛을 T-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T-형태의 다리는 생산 프로세스에서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되는 라인이 서로 이격 되게 배치한다.
또 다른 대안으로 지지 유닛을 V-형태로 구성하면 라인 및/또는 라인 번들이 V-형태의 개구 내에 배치되므로 라인 번들의 진동 억제가 확실하게 개선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 장치가 지지 유닛의 위치 설정을 위한 한 개의 위치 설정 유닛을 갖는 것이 유리하며, 이를 통해 라인 번들과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 사이의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라인 유형(라인 단면, 피복 케이블)에 따라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에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와의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설정 유닛을 이용해서 지지 유닛을 라인 번들에 대해 접근시키거나 멀어지게 하여 라인 번들을 지지 유닛 위에 놓거나 이격 할 수 있다. 지지 유닛을 접근시키거나 멀어지게 하는 것은 회전 이동으로 유리하게 이뤄지며 이러한 이동은 특히 공간 절약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지지 장치가 가이드 장치에 배치되며, 이를 통해 지지 장치가 가이드 장치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 장치는 바람직하게 제1 트위스팅 헤드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이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지지 장치가 라인 번들을 따라 이동 가능해져서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의 모든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장치의 위치 설정이 가능해진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지지 장치가 최소 한 개의 인식 장치와 함께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의 임의의 위치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지지 장치와 인식 장치가 동시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는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이 지지 장치에 의해 지지 되는 라인 번들의 위치에서 기록된다.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는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의 기록을 위해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꼬임 길이의 기록을 위해 표시되는 정보는 적어도 두 개의 공간 차원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한 개의 카메라가 이미지 기록을 위해 예를 들면 CMOS-센서 또는 CCD-센서와 같은 한 개의 이미지 센서를 갖는다.
또한, 예를 들어 색상, 절연-패턴, 트위스팅 방향(Z-꼬임 또는 S-꼬임)또는 케이블 절연의 손상과 같은 라인 또는 라인 번들에 관한 추가 정보도 카메라의 이미지로부터 기록된다.
대안으로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는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의 기록을 위해 한 개의 레이저 센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센서는 단순하고 견고하게 설계되어 유지보수 및 설정이 용이하다. 레이저 센서, 특히 레이저 커튼은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의 기록을 위해 신속한 1차원적 측정 방법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레이저 센서는 라인 번들의 폭을 측정하고 라인 번들 피크와 라인 번들 밸리를 인식한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을 따라 장소 및/또는 시간 분해 강도 측정(그림자 측정)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는 신속한 평가 및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의 간단한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레이저 센서를 이용해 특정 라인 번들 길이를 따라 라인 번들과 레이저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고 마찬가지로 이를 통해 라인 번들 피크와 라인 번들 밸리를 식별할 수 있다. 라인 번들을 따라 실행되는 적합한 장소 분해 측정은 예를 들어 각 개별 라인 번들 밸리의 간격 결정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꼬임 길이의 적합한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트위스팅 장치는 바람직하게 한 개의 조명 장치를 갖는다. 이 조명 장치는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가 기록되는 동안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되는 라인을 밝히도록 구성되므로 라인의 치수, 라인 색상 등과 같이 다양한 특성이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에 의해 인식된다.
조명 장치는 바람직하게 한 개의 차폐 유닛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외부 빛의 유입이 차단되어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의 기록이 위조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 꼬임 길이의 향상된 이미지 제공 결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한 개의 라인 번들 내에 다양한 색상의 라인을 간단하게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다.
조명 장치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에 배치되며, 이를 통해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이 모든 위치에서 균일하게 조명될 수 있기 때문에 인식 장치를 이용한 기록의 품질은 개선된다.
특히 조명 장치는 카메라의 필수 구성요소로 콤팩트하고 단순한 구조를 보장하며, 카메라를 이용한 기록의 품질이 더욱 개선된다.
트위스팅 장치는 바람직하게 트위스팅 장치의 제어 또는 조정을 위해 한 개의 제어 장치를 갖는다. 무엇보다도 제어 장치는 제1 트위스팅 헤드와 클램핑 장치의 이동을 제어하여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을 재현하여 기계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러한 제어 장치는 가이드 장치에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인식 장치를 유리하게 제어하고 조정한다. 따라서 중앙 제어 장치를 이용해 트위스팅 장치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를 제어 또는 조정하여,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를 트위스팅 장치에 고정된 라인 번들에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트위스팅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의 이동 경로는 상호 의존적으로 제어 또는 조정될 수 있다.
인식 장치는 대안적 또는 추가적으로 한 개의 제어 장치를 가지며, 해당 인식 장치는 트위스팅 장치와는 별도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의 모든 위치에서 이동 가능하다.
트위스팅 장치는 대안적 또는 추가적으로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를 평가하기 위해 한 개의 평가 장치를 갖는다. 데이터 교환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가 평가 장치에 연결된다. 평가 장치는 인식 장치로부터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 이를 통해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의 평가는 트위스팅 장치에서 직접 실행될 수 있다.
평가 장치에서 실행되는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의 평가는 여기서 제시된 인식 장치로부터 데이터 수신 특히, 측정 데이터의 수신, 수신된 데이터와 평가 장치에 알려진 기준 데이터의 비교 그리고 라인 번들의 사전 정의된 꼬임 길이에 대해 비교된 데이터의 할당을 적어도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평가 장치는 유리하게 한 개의 중앙처리장치를 가지며, 이것은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경우에 따라 추가 처리할 수 있다.
특히, 평가 장치는 데이터 교환을 위해 제어 장치에 연결된다. 이 데이터는 평가 장치에서 추가 처리되어 라인 번들의 생산 프로세스 수정을 위해 제어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1 트위스팅 헤드의 트위스팅이나 스트랜딩 공정을 위해 적어도 개별 매개변수가 적용될 수 있다.
데이터 교환을 위해 평가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의 제어 장치에 연결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때 예를 들면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의 기록을 위해 개별 매개변수를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것은 트위스팅 장치와 별도로 조정될 수 있다.
평가 장치는 기준 데이터 제공을 위해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한다. 데이터베이스는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의 다양한 특성(유형, 구조, 치수 등)에 관해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한 한 개의 데이터 라이브러리를 가지며, 이것은 꼬임 길이에 대한 예상 표시 정보를 기준값으로 포함하는 소위 기준 데이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는 처리되는 라인과 관련된 생산 프로세스에 관한 기준 데이터도 포함한다. 따라서 꼬임 길이를 위해 측정된 표시 정보는 꼬임 길이를 위해 예상된 표시 정보의 각 기준값과 평가 장치에서 비교된다. 트위스팅 장치에서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의 특성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라이브러리에서 적합한 기준값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다수의 다양한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기준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사전 정의된 특성 및 기준값과 함께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다양한 케이블 및 케이블 조합이 트위스팅이나 스트랜딩 공정에서 트위스팅 매개변수(예를 들어 제1 트위스팅 헤드의 회전 속도) 또는 스트랜딩 매개변수(예를 들어 스트랜딩 십이 스트랜딩 되는 케이블의 종축을 따라 이동하는 속도)에 따라 사전 생성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는 수동으로 비교 시도없이 입력될 수도 있다.
트위스팅이나 스트랜딩 공정에 바람직하게 라인의 길이 변경 조정을 위해 한 개의 길이 조정 장치가 있다. 이를 통해 고정된 라인을 위해 균일한 축 방향 장력을 트위스팅이나 스트랜딩 공정에서 설정할 수 있다.
길이 조정 장치는 바람직하게 이동 가능한 한 개의 길이 조정 슬라이드를 갖는다. 트위스팅이나 스트랜딩 공정에서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되는 라인의 길이는 포물선-기능의 회전 수에 따라 단축이 이뤄지며, 라인 번들의 종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길이 조정 슬라이드를 통해 실행된다. 트위스팅 공정은 일반적으로 트위스팅 로터에서 저속으로 시작되며, 트위스팅 처리되는 라인이 서로 겹쳐지고 축 방향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때까지 계속된다.
일반적으로 길이 조정 슬라이드는 수동으로 이동 가능하며, 프리텐셔닝 요소를 통해 예를 들면 공압 제어 실린더를 통해 적어도 제1 트위스팅 헤드로부터 멀어지는 힘에 의해 움직인다. 프리텐셔닝 요소는 트위스팅 장치의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트위스팅이나 스트랜딩 공정 그리고 품질 개선을 위해 축 방향 장력은 트위스팅이나 스트랜딩 공정 동안 이동된 구성요소의 전체 경로에 걸쳐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되는 라인에 가해진다. 이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는 유리하게 제어 장치에서 평가 장치로 전송되어 라인 번들의 생산 프로세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해는 트위스팅 장치에서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 결정 또는 검사를 위한 방법을 내용으로 하며, 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 라인 번들 제공;
- 라인 번들에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 위치 설정,
- 라인 번들에 상대적으로 임의의 제1 위치로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 이동;
-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를 이용해 라인 번들의 제1 위치에서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의 기록.
트위스팅 장치에서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를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의 임의의 위치에서 기록하는 것은 예를 들어 클램핑 장치 또는 그리퍼 장치의 부정적인 영향 없이 트위스팅 헤드에서 꼬임 길이의 신속한 품질 검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의 이동은 한 개 이상의 특별한 위치에서 표시 정보의 기록을 허용한다.
따라서 외부 꼬임 길이 검사 장치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이를 통해 전체 생산 프로세스의 시간이 단축된다.
이 방법은 앞서 기술된 트위스팅 장치를 통해 유리하게 실행되며, 생산 프로세스의 시간이 추가로 단축된다.
특히, 라인 번들에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를 특정 간격으로 위치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의 기록은 질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에서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까지의 간격이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면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가 라인 번들의 종축을 따라 임의의 제1 위치로 이동하여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가 모든 위치에서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는 라인 번들의 이미지에 해당한다. 이는 라인 번들의 사실적인 모사를 가능하게 한다. 해당 이미지는 트위스팅 장치의 사용자가 직접 검사할 수 있다.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표시 정보는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 평가를 위해 바람직하게 평가 장치로 전송된다. 이를 통해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가 추가 처리될 수 있다.
평가 장치에서 예를 들어 표준화된 형식으로 처리되는 데이터를 평가 장치가 수신하여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는 바람직하게 라인 번들에 상대적으로 다른 위치로 이동하고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는 라인 번들의 다른 위치에 기록되어 평가 장치로 전송된다. 이를 통해 꼬임 길이는 라인 번들의 다른 위치에서 결정되고, 경우에 따라 사전 설정된 꼬임 길이의 편차는 라인 번들의 임의의 다른 위치에서 인식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는 바람직하게 라인 번들에 상대적으로 다른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인식장치는 이러한 다른 위치까지의 경로 상에서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 중 적어도 한 개를 기록하고 평가 장치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꼬임 길이는 라인 번들의 전체 거리에서 지속적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사전 결정된 꼬임 길이의 편차는 라인 번들에서 인식될 수 있다.
제1 위치와 다른 위치 사이의 거리는 유리하게 확실히 정의된 거리 값에 해당되므로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에 대한 평가의 품질이 개선된다.
특히, 정의된 거리 값은 1미터(1m)이며, 이는 자동차-가이드라인 LV 122의 품질 요구사항 중 한 개를 충족한다.
평가 장치는 바람직하게 제1 위치에서의 라인 번들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고 각 위치에서 라인 번들에 제1 꼬임 길이를 할당한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준 데이터나 기준값은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의 특성에 따라 평가 장치로 전송되고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와 비교를 통해 꼬임 길이의 신속한 품질 검사가 가능하다.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가 라인 번들의 제1 위치에서 기준 데이터 및 기준값을 벗어난 경우 평가 장치는 바람직하게 트위스팅 장치의 제어 장치 및/또는 인식 장치의 제어 장치에 전송될 수정 데이터나 수정 값을 생성한다. 이때 수정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수정 값은 트위스팅이나 스트랜딩 공정에서 적용되거나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 기록에서 적용된다. 예를 들어 제1 트위스팅 헤드의 회전 속도가 변경되거나 스트랜딩 십의 이동 속도가 변경된다.
평가 장치는 다른 위치에서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를 대안적 또는 추가적으로 기준 데이터 및 기준값과 비교하고, 각 위치의 라인 번들에 추가 꼬임 길이를 할당한다. 이를 통해 여러 위치에서 꼬임 길이의 측정이 가능해지고 예를 들어 변경이 결정되거나 또는 라인 번들의 종축을 따라 꼬임 길이의 평균값이 결정될 수 있다.
제1 할당된 꼬임 길이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이를 통해 첫번째 할당된 꼬임 길이와 일치하는 새로운 기준 데이터 및 기준값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그 결과 데이터베이스 인벤토리가 확장될 수 있다.
추가 할당된 꼬임 길이는 대안적 또는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이를 통해 추가 할당된 꼬임 길이와 일치하는 새로운 기준 데이터 및 기준값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데이터베이스 인벤토리는 확장될 수 있으며, 언제든 평가 장치에서 불러오기 할 수 있다.
트위스팅 장치는 라인 번들을 제공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제1 트위스팅 헤드와 한 개의 클램핑 장치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가 제1 트위스팅 장치와 클램핑 장치에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는 제1 트위스팅 장치와 클램핑 장치 사이의 모든 위치에서 결정 가능하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는 바람직하게 제1 트위스팅 헤드와 클램핑 장치에 상대적으로 독립적으로 이동해 인식 장치가 라인 번들을 따라 임의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는 트위스팅 장치의 상태 및/또는 트위스팅 헤드와 상관없이 제1 트위스팅 헤드 및 클램핑 장치 사이의 모든 위치에서 결정될 수 있다.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를 기록하기 전 라인 번들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지지 장치를 통해 적어도 단계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의 진동 운동이 완화된다.
특히, 적어도 인식 장치 영역에서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를 기록하기 전 라인 번들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 장치를 통해 적어도 단계적으로 지지된다. 이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와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 사이에 정의된 간격이 결정되고 또는 라인 번들의 사후 진동이 억제되거나 방지된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 장치가 바람직하게 라인 번들에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지지 장치가 라인 번들의 종축을 따라 모든 위치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지지 장치의 지지 유닛이 라인 번들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결과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와 라인 번들 사이에 정의된 간격이 설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 장치가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와 함께 이동한 결과 적어도 각 한 개의 지지 장치와 인식 장치가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적어도 각 한 개의 지지 장치와 인식 장치는 단 한 개의 구동 장치로 구동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각 한 개의 지지 장치와 인식 장치는 라인의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 중 이동된다. 따라서 트위스팅이나 스트랜딩 공정 중에도 트위스팅 장치에서 꼬임 길이가 결정될 수 있으며, 트위스팅이나 스트랜딩 공정이 실질적으로 실시간 제어 및/또는 모니터링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해는 적어도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를 근거로 특히, 여기 제시되어 기술된 방법에 따른 데이터세트의 자동 결정 및 생성을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 및/또는 적어도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를 근거로 한 트위스팅 장치의 제어, 특히 여기 제시되어 기술된 트위스팅 장치를 이용한 컴퓨터 구현 방법을 내용으로 한다. 컴퓨터 구현 방법은 적어도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를 이용한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의 기록;
-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와 기준 데이터의 비교;
-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와 기준 데이터의 비교를 근거로 한 수정 데이터 설정;
- 트위스팅 장치에서 트위스팅이나 스트랜딩 공정의 수정을 위해 수정 데이터를 트위스팅 장치의 제어 장치에 전송.
따라서 컴퓨터 구현 방법은 사용자가 트위스팅 장치의 제어 장치의 프로그래밍을 조정할 필요 없이 트위스팅이나 스트랜딩 공정에서 자동 조정이 가능하게 한다. 데이터세트는 예를 들어 제1 트위스팅 헤드의 구동 장치를 위한 수정 데이터에 의해 생성되는 예를 들어 이동 명령을 포함한다.
또한, 알려진 트위스팅이나 스트랜딩 공정이 없는 새로운 유형의 라인은 재현 가능하게 라인 번들에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를 이용한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의 기록은 라인 번들의 이미지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간단한 품질 검사가 가능하다.
생성된 이동 명령은 바람직하게 제어 장치로 전송되어 그곳에서 실행된다. 이를 통해 트위스팅이나 스트랜딩 공정이 자동으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해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내용으로 하며, 이는 여기 제시되어 기술된 컴퓨터 구현 방법을 트위스팅 장치 특히, 여기 제시되어 기술된 트위스팅 장치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제어 장치에서의 실행을 야기하는 이동 명령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생산될 라인 번들에 맞춘 사전 정의된 트위스팅이나 스트랜딩 공정을 트위스팅 장치에서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해는 트위스팅 장치 특히, 여기 제시되어 기술된 트위스팅 장치의 제어를 위한 제어 장치를 내용으로 한다. 이 트위스팅 장치는 여기 제시되어 기술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어 장치에 로딩 한 후 이를 통해 라인 번들을 사전 정의된 꼬임 길이로 생산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해는 트위스팅 장치의 사용, 특히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 결정 또는 검사를 위해 여기 제시되어 기술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여기 제시되어 기술된 트위스팅 장치의 사용을 내용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견해는 트위스팅 장치용 업그레이드-키트를 내용으로 한다. 업그레이드-키트는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의 기록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와 여기 제시되어 기술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한다. 기존의 트위스팅 장치에 꼬임 길이 품질 결정을 위한 장치를 추가 부품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업그레이드-키트 설치 후 사전 정의된 고품질의 라인 번들을 생산할 수 있다.
특히, 업그레이드-키트는 라인 번들의 이미지 기록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 결정을 위해 이미징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키트는 바람직하게 트위스팅 장치에 설치 가능한 한 개의 가이드 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가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 장치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위한 표시 정보가 라인 번들의 임의의 위치에서 기록된다.
업그레이드-키트는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한 개의 제어 장치를 가지며, 이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가 트위스팅 장치와 상관없이 제어 가능하다. 따라서 업그레이드-키트는 기존의 트위스팅 장치에서 단순한 자체 제어 장치를 이용해 사용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의 제어 장치가 기존의 트위스팅 장치의 제어 장치와 연결되며, 두 개의 장치는 함께 제어 가능하다.
업그레이드-키트는 여기 제시되어 기술된 트위스팅 장치의 제어를 위해 한 개의 제어 장치를 대안적 또는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업그레이드-키트는 유리하게 여기 제시되어 기술된 평가 장치와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며,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의 품질을 자동으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점, 특성 및 세부사항은 다음의 설명에서 제시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본 발명의 실행 예시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고 있다.
참조 번호 목록은 청구항과 도면의 기술적인 내용과 마찬가지로 개시의 일부이다. 도면은 일관적이고 포괄적으로 기술된다.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의미하고, 서로 다른 표시를 갖는 참조 번호는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1 인식 장치를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트위스팅 장치의 제1 실행 유형의 측면도,
도2 도1의 세부 사항X의 개략도,
도3 도1의 라인 A-A에 따른 트위스팅 장치의 개략적 상세도,
도4 휴지 위치에서의 인식 장치를 포함한 트위스팅 장치의 도1에 따른 단순도면,
도5 제1 위치에서의 인식 장치를 포함한 도4에 따른 도면,
도6 제2 위치에서의 인식 장치를 포함한 도4에 따른 도면,
도7 다른 위치에서의 인식 장치를 포함한 도4에 따른 도면 및
도8 본 발명에 따른 업그레이드-키트의 제1 실행 유형.
도 1는 인식 장치(30)를 이용해 라인 번들(13)에 전선 또는 광케이블을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하기 위한 트위스팅 장치(10)의 측면도이다. 트위스팅 장치(10)는 제1 트위스팅 헤드(15)와 클램핑 장치(25)를 포함하고, 이들은 서로 이격 되어 반대쪽에 배치되어 있다.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되는 라인(12)의 단부들이 제1 트위스팅 헤드(15)와 클램핑 장치(25)에 고정된다. 제1 트위스팅 헤드(15)에 트위스팅 로터(16)가 있고, 클램핑 장치는 그리퍼 장치(26)를 가지며, 라인(12)의 각 단부가 이곳에 고정된다. 제1 트위스팅 헤드(15)는 트위스팅 로터(16)의 회전을 위한 서보 모터를 포함한 구동 장치(17)를 갖는다. 트위스팅 장치(10)는 트위스팅이나 스트랜딩 공정에서 라인(12)의 길이 변경을 조정하기 위한 길이 조정 장치(18)를 가진다. 길이 조정 장치(18)는 이동 가능한 길이 조정 슬라이드를 가지며, 이 슬라이드에 제1 트위스팅 헤드(15)가 배치된다. 트위스팅 장치(10)는 가이드 레일(21)이 있는 가이드 장치(20)를 포함하고, 가이드 레일에 인식 장치(30)와 지지 장치(40)가 배치된다. 인식 장치(30)는 서보모터를 포함한 구동 장치(31)를 갖고, 이 구동 장치에 의해 라인 번들(13)의 종축선(14)을 따라 있는 가이드 레일(21)을 따라 인식 장치(30)가 이동한다. 또한, 지지 장치(40)는 인식 장치(30)에 배치되며 함께 이동 가능하다. 인식 장치(30)와 지지 장치(40)는 제1 트위스팅 헤드(15)와 클램핑 장치(25) 사이의 어떤 위치로도 움직일 수 있다. 가이드 장치(20)는 제1 트위스팅 헤드(15)와 클램핑 장치(25)의 외부 영역(22)에서 더 멀리 뻗어, 인식 장치(30)와 지지 장치(40)가 이 영역(22)에 위치할 수 있다.
트위스팅 장치(10)는 제1 트위스팅 헤드(15)에서 트위스팅 로터(16)의 이동을 제어하고 조정하기 위한 한 개의 제어 장치(50)를 갖는다. 제어 장치(50)는 트위스팅 로터(16)의 구동 장치(17)에 연결된다. 제어 장치(50)는 인식 장치(30)의 이동을 제어하고 조정하기 위한 인식 장치(30)의 구동 장치(31)에 전기적으로 추가 연결된다. 트위스팅 장치(10)는 한 개의 평가 장치(55)를 갖는데, 이 평가 장치는 데이터 교환을 위해 인식 장치(30)와 제어 장치(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트위스팅 장치(10)의 예에서, 데이터가 제어 장치(50), 평가 장치(55), 인식 장치(30) 및 데이터베이스(58) 사이에서 무선으로 교환될 수 있으며, 각 장치는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전송 유닛과 수신 유닛을 갖는다.
도시되지 않은 또다른 실시예에서, 지지 장치(40)는 별도의 구동 장치를 가져, 지지 장치(40)와 인식 장치(30)가 가이드 장치(20)에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트위스팅 장치(10)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클램핑 장치(25)가 트위스팅 로터와 구동 장치를 갖춘 다른 트위스팅 헤드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두 개의 트위스팅 로터들이 예를 들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X의 블록도이다. 인식 장치(30)와 지지 장치(40)는 가이드 레일(21)에 배치되고 제1 트위스팅 헤드(15) 및 클램핑 장치(35)와 상관없이 라인 번들(13)의 종축선(14)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도 1 참조). 라인 번들(13)은 2개의 라인(12)으로 구성되고, 이들 라인은 공통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꼬이거나 겹쳐진다. 인식 장치(30)와 지지 장치(40)는 트위스팅 장치(10)의 제어 장치(50)에 전기 연결된다. 제어 장치(50)는 인식 장치(30)와 지지 장치(40)의 구동 장치(31)에 이동 명령을 전송하고 가이드 레일(21)을 따라 인식 장치(30)와 지지 장치(40)의 이동을 제어 및 조정한다.
인식 장치는 대물렌즈(33)를 갖는 한 개의 카메라(32)를 포함하고 라인 번들(13)의 이미지를 캡처한다. 대물렌즈(33)는 카메라 렌즈의 초점 거리를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 인식 장치(30)에 한 개의 조명 장치(35)가 배치되며, 라인 번들(13)의 이미지가 캡처되는 동안 이 조명장치가 적어도 카메라(32) 영역에서 라인 번들(13)을 비춘다. 카메라(32)는 데이터 교환을 위해 평가 장치(55)에 전기 연결된다. 지지 장치(40)는 각 한 개의 지지 유닛(45)과 위치설정 유닛(42)을 갖는다. 라인 번들(13)은 지지 유닛(45) 위에 놓인다. 이때 카메라(32)와 라인 번들(13) 사이의 간격(△)은 지지 장치(40)의 위치 설정 유닛(42)에 의해 조정된다. 평가 장치(55)의 중앙처리장치(56)는 카메라(32)로부터 데이터, 예를 들어 라인 번들(13)의 이미지 또는 라인 번들(13)까지의 간격(△)을 수신해 처리한다. 중앙처리장치(56)는 컴퓨터와 메모리 유닛(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평가 장치(50)는 기준데이터와 기준값 교환을 위해 데이터베이스(58)에 전기 연결된다. 데이터베이스(58)는 다양하게 트위스팅이나 스트랜딩된 라인 번들(13)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라이브러리를 가지며, 이 데이터는 테스트를 통해 생성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것이다. 평가 장치(55)는 데이터 교환을 위해 제어 장치(50)에 전기 연결된다.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트위스팅 장치(10)의 블록도이다. 지지 유닛(45)의 위치 설정 유닛(42)은 라인 번들(13)에 지지 유닛(45)을 위치시키기 위해 피스톤 드라이브(44)을 갖춘 조인트로드 어셈블리(43)를 갖는다. 이렇게 하여, 지지 유닛(45)은 조인트로드 어셈블리(43) 및 피스톤 드라이브(44)를 통해 움직이거나 회전하면서 라인 번들(13)에 대해 접근하거나 멀어질 수 있다. 카메라(32)의 대물렌즈(33)에 반대쪽 라인 번들(13) 측면의 회전하거나 닫힌 위치에서 지지 유닛(45)은 트위스팅 로터(16)에 고정된 라인 번들(13)을 지지한다. 이때 인식 장치(30)의 카메라(32)와 라인 번들(13) 사이의 간격(△)은 지지 유닛(45)과 위치 설정 유닛(42)을 통해 조정할 수 있다. 지지 유닛(45)은 먼 위치(도시 안됨)에서는 라인 번들(13)에서 떨어져, 라인번들이 지지 유닛(45) 닿지 않게 한다.
피스톤 드라이브(44)는 제어 장치(50)에 전기 연결된다. 제어 장치(50)는 위치 설정 유닛(42)의 피스톤 드라이브(44)에 이동 명령을 전송하고 지지 유닛(45)의 이동을 제어 및 조정한다.
도 4~7은 도 1~3의 트위스팅 장치(10)로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13)의 꼬임 길이를 결정하거나 검사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이 방법은 적어도 일부가 평가 장치(55)의 중앙처리장치(56)나 트위스팅 장치(10)의 제어 장치(50)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된다.
도 4는 인식 장치(30)가 정지했을 때의 도 1의 트위스팅 장치(10)의 개략도이다. 1 단계로 라인 번들(13)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전선 및/또는 광케이블과 같은 라인(12)의 단부들을 제1 트위스팅 헤드(15)의 트위스팅 로터(16)와 클램핑 장치(25)의 그리퍼 장치(26)로 조이고, 소정의 트위스팅이나 스트랜딩 공정으로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한다. 이상적으로는,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13)이 상기 트위스팅이나 스트랜딩 공정에 따라 종축선(14)을 따라 소정의 꼬임 길이를 갖는다. 이때 라인 번들(13)은 트위스팅 공정에서 어느 정도 오버와인딩 처리된 후 반대로 역회전하고, 그 결과 트위스트 없는 라인 번들(13)이 생산된다. 이를 위해, 트위스팅 처리되는 라인들(12)이 서로 닿고 라인 번들(13)의 종축선(14)을 따른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때까지 트위스팅 로터(16)가 저속회전하면서 트위스팅 공정이 시작된다. 다음, 회전속도가 증가된다. 트위스팅 공정을 완료하기 위해서 회전 속도는 0으로 감속된다.
인식 장치(30)와 지지 장치(40)는 가이드 레일(21)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클램핑 장치(25)와 제1 트위스팅 헤드(15)의 외부 영역(22)에서 정지상태에 있다. 인식 장치(30)는 평가 장치(55)와 중앙처리장치(56)에 연결되고, 중앙처리장치는 제어 장치(50)와 데이터베이스(58)에 연결된다.
도 5는 제4와 비슷하되, 인식장치(30)가 라인 번들에 대해 제1 위치에 있다. 인식 장치(30)와 지지 장치(40)는 가이드 레일(21)을 따라 또는 클램핑 장치(30)와 트위스팅 헤드(15) 사이에서 라인 번들(13)의 종축선(14)을 따라 움직인다. 이때 인식 장치(30)와 지지 장치(40)는 클램핑 장치(25)에 가깝게 라인 번들(13)에 대해 제1 위치로 움직인다. 지지 장치(40)의 지지 유닛(45)은 위치 설정 유닛(42)의 도움으로 라인 번들(13)의 임의의 제1 위치로 움직이거나 회전하여, 지지 유닛(45)이 라인 번들(13)을 지지하고 라인 번들(13)이 카메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지지 장치(45)에 놓이도록 한다.
아직 이 상태가 아니면, 카메라 렌즈의 초점이 라인 번들(13)에 놓이도록 카메라(32)의 대물렌즈(33)로 라인 번들(13)에 초점을 맞춘다.
다음 단계에서, 라인 번들(13)의 이미지(들)을 인식 장치(30)의 카메라(32)를 통해 라인 번들(13)의 제1 위치에서 캡처한다. 다음, 라인 번들(13)의 꼬임 길이 결정을 위해 캡처된 이미지가 평가 장치(55)로 보내진다. 이때 필요하면 조명 장치(35)를 켤 수 있다(도2 참조).
평가 장치(55)의 중앙처리장치(56)는 캡처된 이미지를 수신해, 데이터베이스(58)에서 평가 장치(40)의 중앙처리장치(56)로 사전전송된 기준데이터나 기준이미지와 비교한다. 예를 들어 제1 위치에서 카메라(32)로 감지된 이미지가 라인번들 밸리와 피크의 관점에서 집계/평가되고 중앙처리장치(56)에 저장된다. 경우에 따라, 중앙처리장치(56)는 캡처된 이미지의 집계된 라인 번들 밸리와 피크들로부터 평균값 및/또는 서로간의 간격에 대한 평균값을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58)의 기준값과 비교한다. 이 비교를 근거로 꼬임 길이 및/또는 필요한 꼬임 길이로부터의 편차가 라인번들(13)에 할당된다. 다음, 라인 번들(13)의 꼬임 길이 및/또는 꼬임 길이의 편차가 데이터 베이스(58)에 저장된다. 꼬임 길이가 일치하면, 기준 데이터를 위한 통계 기반으로 저장된다. 꼬임 길이의 편차가 있으면, 예를 들어 생산시의 오차나 편차의 통계 평가에 사용된다. 이 단계는 라인번들(13)의 다른 구간이나 위치들에서 반복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6~7에서 설명한다.
도6은 도 4에서 인식장치(30)가 제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인식 장치(30)와 지지 장치(40)는 클램핑 장치(30)와 트위스팅 헤드(15) 사이의 제2 위치로 가이드 레일(21)을 따라 움직이는데, 이 경우에는 라인 번들(13)의 종축선(14)에 비해 제1 트위스팅 헤드(25) 근처로 움직인다. 지지 유닛(45)과 카메라(32)의 대물렌즈(33)는 제어 장치(50)의 도움으로 라인번들(13)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안내된다. 다음, 라인 번들(13)의 이미지(들)이 카메라(32)에 의해 제2 위치에서 캡처된다. 라인 번들(13)상의 제2 위치까지의 경로상의 이미지(들)은 도 5의 설명처럼 라인 번들(13)의 꼬임 길이 결정을 위해 평가 장치(55)로 전송된다. 평가 장치(55)의 중앙처리장치(56)는 데이터베이스(58)에 연결된다.
도7은 도 4의 인식 장치(30)가 다른 위치에 있을 때를 보여준다. 인식 장치(30)와 지지 장치(40)는 라인 번들(13)의 종축선(14)에 대해 다른 위치로 이동하며, 이 위치는 라인 번들(13)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로 라인번들(13) 위에 있는데, 여기서는 클램핑 장치(25)와 제1 트위스팅 헤드(15) 사이의 중앙이다. 한편, 라인 번들의 다른 위치가 전술한 라인번들상의 위치들 각각에서 1미터(1m)의 거리에 있을 수도 있다(도시되지 않음). 다음, 지지 유닛(45)과 카메라(32)는 라인번들(13)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안내된다. 이어서, 라인 번들의 이미지가 이런 다른 위치에서 카메라(32)에 캡처되거나, 다른 위치까지의 경로에서 라인번들의 이미지 캡처가 이루어진다. 이런 라인번들(13)의 이미지는 라인 번들(13)의 꼬임 길이 결정을 위해 평가 장치(55)로 전송되는데, 이는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평가 장치(55)의 중앙처리장치(56)가 제1, 제2 및 다른 위치들에서 캡처된 이미지를 기준 데이터나 기준 이미지와 비교할 수도 있다. 기준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58)에서 평가 장치(55)의 중앙처리장치(56)로 미리 전송된다. 한편, 중앙처리장치(56)는 제1, 제2 및 다른 위치들에서 캡처된 이미지에서 평균값을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58)의 기준 이미지와 비교할 수도 있다. 기준데이터나 기준이미지와의 비교는 중앙처리장치(56)에서 이루어진다. 한편, 라인 번들 밸리의 수나 간격처럼 이미지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해당 기준값과 비교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전체 라인 번들(13)에 평균 꼬임 길이가 할당될 수 있다. 다음, 라인 번들(13)의 꼬임 길이가 데이터베이스(58)에 저장된다. 산출된 꼬임 길이의 치수 허용오차가 계산되고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런 비교에서 소정의 허용오차를 벗어난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 사이의 편차가 감지되지 않으면, 꼬임 길이가 라인 번들에 할당된다.
이런 비교에서 소정의 허용오차를 벗어난 라인 번들(13)의 꼬임 길이의 편차가 감지되면, 평가 장치(55)의 중앙처리장치(56)는 수정 데이터나 수정 값을 생성해 평가 장치(55)에 저장한다.
다음, 지지 유닛(45)은 조인트로드 어셈블리(43)와 피스톤 드라이브(44)을 통해 라인 번들(13)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거나 회전하며, 라인 번들(13)은 트위스팅 장치(10)에서 배출된다. 그러나, 꼬임 길이의 편차가 발생한 경우, 즉, 품질조건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조작자가 라인 번들의 배출을 확인하거나 직접 수동으로 배출해, 생산라인에서 별도로 제거해야만 한다.
새로운 데이터세트와 이동 명령 생성을 위해 수정 데이터나 수정 값이 중앙처리장치(56)에서 고려된다. 이렇게 생긴 데이터세트와 이동 명령은 트위스팅 장치(10)와 인식 장치(30)의 이동 제어를 위해 제어 장치(50)로 전송된다. 그 결과 라인(12)의 트위스팅이나 스트랜딩 공정 및/또는 라인 번들(13)의 결정된 꼬임 길이가 수정된다. 예를 들어, 후속 트위스팅이나 스트랜딩 공정에서 라인 번들(13)의 꼬임길이가 허용오차내에서 균일하도록 제1 트위스팅 헤드(15)의 트위스팅 로터(16)의 회전 속도가 조정된다.
도8은 모든 트위스팅 장치에 사용할 업그레이드-키트(60)를 보여준다. 업그레이드-키트는 라인 번들의 이미지 캡처를 위한 인식 장치(30)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갖는다. 또한, 업그레이드-키트(60)는 지지 장치(40)를 갖는다. 업그레이드-키트(60)는 트위스팅 장치에 설치할 수 있는 가이드 장치(20)를 가지며, 인식 장치(30)와 지지 장치(40)는 가이드 장치(20)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업그레이드-키트(60)가 중앙처리장치(56)와 데이터베이스(58)를 갖춘 평가 장치(55)와, 인식 장치(30)와 지지 장치(40)의 제어와 조정을 위한 제어 장치(50)를 더 갖는다. 제어 장치(50)는 이동 명령이나 데이터세트 교환을 위해 트위스팅 장치의 제어 장치에 전기 연결된다. 업그레이드-키트의 구성요소와 기능은 도 1~7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10 트위스팅 장치
12 라인
13 라인 번들
14 13의 종축
15 제1 트위스팅 헤드
16 15의 트위스팅 로터
17 16의 구동 장치
18 길이 조정 장치
19 길이 조정 슬라이드
20 가이드 장치
21 가이드 레일
22 영역
25 클램핑 장치
26 그리퍼 장치
30 인식 장치
31 30의 구동 장치
32 카메라
33 32의 대물렌즈
35 조명 장치
40 지지 정치
42 위치 설정 유닛
43 조인트로드 어셈블리
44 피스톤 드라이브
45 지지 유닛
50 제어 장치
55 평가 장치
56 중앙처리장치
58 데이터베이스
60 업그레이드-키트

Claims (23)

  1. 전선이나 광케이블을 포함한 라인들(12)을 트위스팅이나 스트랜딩 처리하여 라인 번들(13)을 형성하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트위스팅 헤드(15)와 클램핑 장치(25), 및 라인 번들(13)의 꼬임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캡처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30)를 포함하는 트위스팅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팅 장치(10)가 라인들(12)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장치(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식 장치(30)와 지지 장치(40)가 제1 트위스팅 헤드(15)와 클램핑 장치(25)에 대해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 장치(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식 장치(30)가 이 가이드 장치(20)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40)가 지지 유닛(45)을 갖고, 이 지지 유닛은 원통형, T-형태 및 V-형태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팅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40)가 가이드 장치(20)에 배치되고 상기 인식 장치(30)와 함께 제1 트위스팅 헤드(15)에 대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장치(30)가 라인 번들(13)의 꼬임 길이를 나태내는 정보를 캡처하기 위한 카메라(32)나 레이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조명 장치(35)를 더 포함하고, 이 조명 장치(35)가 상기 인식 장치(30)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트위스팅 장치(10)의 제어나 조정을 위한 제어 장치(50) 및/또는 라인 번들(13)의 꼬임 길이의 표시 정보의 평가를 위한 평가 장치(5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식 장치(30)가 데이터 교환을 위해 평가 장치(55)에 연결되고, 평가 장치(55)는 제어 장치(5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장치(55)가 기준 데이터 제공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58)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팅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트위스팅이나 스트랜딩 공정 동안 라인(12)의 길이변화를 보정할 길이 조정 장치(18)가 더 제공되고, 길이 조정 장치는 이동가능한 길이 조정 슬라이드(1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팅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트위스팅 장치(10)에서 트위스팅 또는 스트랜딩 처리된 라인 번들(13)의 꼬임 길이를 결정하거나 검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 라인 번들(13)을 제공하는 단계;
    - 라인 번들(13)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30)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 상기 인식 장치(30)가 라인 번들(13)에 대해 제1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 상기 인식 장치(30)를 이용해 라인 번들(13)상의 제1 위치에서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를 표시하는 정보를 캡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 라인 번들(13)의 꼬임 길이를 표시하는 정보를 캡처하기 전에 인식 장치(30)의 영역내에서 지지 장치(40)로 라인 번들(13)의 적어도 하나의 구간이 지지되며;
    상기 인식 장치(30)와 지지 장치(40)가 트위스팅 장치의 제1 트위스팅 헤드(15) 및 클램핑 장치(25)에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라인 번들(13)의 꼬임 길이를 표시하는 정보가 라인 번들(13)의 꼬임 길이 평가를 위해 평가 장치(55)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장치(30)가 라인 번들(13)에 대해 다른 위치로 이동하고, 라인 번들(13)의 꼬임 길이를 표시하는 정보를 상기 다른 위치에서 캡처하며, 라인 번들(13)의 꼬임 길이를 표시하는 상기 다른 위치까지의 경로에 걸쳐 캡처해 평가 장치(55)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장치(55)가 상기 제1 위치 및/또는 다른 위치로부터의 라인 번들(13)의 꼬임 길이를 표시하는 정보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고, 각 위치에서의 라인 번들(13)에 제1 꼬임 길이 및/또는 다른 꼬임 길이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또는 다른 할당된 꼬임 길이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58)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40)가 라인 번들(13)에 대해 움직이고, 상기 지지 장치(40)는 인식 장치(30)와 함께 움직이며, 상기 지지 장치(40)와 인식 장치(30)는 라인들(12)이 트위스팅이나 스트랜딩되는 동안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삭제
  17. 라인 번들(13)의 꼬임 길이를 표시하는 정보를 근거로,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트위스팅 장치(10)의 제어를 하기 위한 컴퓨터 구현 방법에 있어서:
    - 적어도 하나의 인식 장치(30)를 이용해 라인 번들(13)의 꼬임 길이 표시하는 정보를 캡처하되, 라인 번들(13)의 꼬임 길이를 표시하는 정보를 캡처하기 전에 인식 장치(30)의 영역내에서 지지 장치(40)로 라인 번들(13)의 적어도 하나의 구간이 지지되는 단계;
    - 라인 번들(13)의 꼬임 길이를 표시하는 정보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는 단계;
    - 라인 번들(13)의 꼬임 길이를 표시하는 정보와 기준 데이터의 비교를 근거로 수정 데이터를 설정하는 단계;
    - 트위스팅 장치(10)에서 트위스팅이나 스트랜딩 공정을 수정하기 위해 수정 데이터를 트위스팅 장치(10)의 제어 장치(5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구현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207032675A 2018-04-25 2018-04-25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 결정 또는 검사를 위한 트위스팅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업그레이드 키트와 같은 컴퓨터 구현 방법 KR102602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8/052868 WO2019207344A1 (de) 2018-04-25 2018-04-25 Verdrill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stimmen oder überprüfen einer schlaglänge eines leitungsbündels, computerimplementiertes verfahren sowie ein computerprogrammprodukt und ein upgrade-kit dazu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062A KR20210005062A (ko) 2021-01-13
KR102602363B1 true KR102602363B1 (ko) 2023-11-14

Family

ID=62116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2675A KR102602363B1 (ko) 2018-04-25 2018-04-25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 결정 또는 검사를 위한 트위스팅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업그레이드 키트와 같은 컴퓨터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118594A1 (ko)
EP (1) EP3785282A1 (ko)
JP (1) JP7150052B2 (ko)
KR (1) KR102602363B1 (ko)
CN (1) CN112020753B (ko)
SG (1) SG11202010401XA (ko)
WO (1) WO20192073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30118A1 (de) * 2020-06-24 2021-12-29 Schleuniger AG Kabelbearbeitungsvorrichtung zum bearbeiten eines kabels, computerimplementierte verfahren, computerprogrammprodukt sowie computerlesbares speichermedium
CN113818266A (zh) * 2021-08-09 2021-12-21 镇江耐丝新型材料有限公司 一种钢帘线捻距检测装置
CN114289637A (zh) * 2022-01-12 2022-04-08 天长市富达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可贴合电源线生产工艺实现改变定位姿态的夹持工装
CN114914035B (zh) * 2022-06-09 2024-01-12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三绞线的绞前落料长度确定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7032A (ja) * 2007-04-26 2008-11-13 Yazaki Corp 電線撚り合わせ装置
JP2018054478A (ja) * 2016-09-29 2018-04-05 新明和工業株式会社 ツイスト電線のピッチ測定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線ツイス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09584A (en) * 1939-04-15 1940-07-30 William E Somerville Lay indicator for wire rope machines
US2909393A (en) * 1954-06-01 1959-10-20 Tuboscope Company Pipe inspection apparatus
US3277420A (en) * 1963-12-09 1966-10-04 Plastic Applicators Hydraulically operated clamping mechanism
US3299349A (en) * 1964-02-28 1967-01-17 Plastic Applicators Magnetic pipe inspection device with pivotally mounted sensor means
US3743928A (en) * 1971-01-12 1973-07-03 F Forster Magnetic flaw detector system for reciprocating pairs of leakage field detecto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spacing between each pair of detectors
US3872378A (en) * 1971-10-01 1975-03-18 Sumitomo Metal Ind Apparatus for supporting and propelling material through magnetic flaw detection devices
US4218651A (en) * 1975-07-25 1980-08-19 Ivy Leon H Apparatus for detecting longitudinal and transverse imperfections in elongated ferrous workpieces
US4507610A (en) * 1981-07-30 1985-03-26 Shimadzu Corporation Apparatus for electromagnetically detecting flaws in metallic objects
ZA871964B (ko) * 1986-03-25 1987-09-07
US6272387B1 (en) * 1998-11-06 2001-08-07 The Boeing Company Wire harness system
IT1311382B1 (it) * 1999-12-29 2002-03-12 Armando Neri Procedimento di riconoscimento e/o connessione di conduttori elettriciin cavo.
US6728453B2 (en) * 2001-06-27 2004-04-27 Pirelli Communications Cables And Systems Usa, Llc Method of determining lay length of S-Z stranded buffer tubes in optical fiber cable during manufacturing
JP4833693B2 (ja) * 2006-03-09 2011-12-0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ツイスト電線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EP2383566B1 (de) * 2010-04-28 2013-10-23 Winspect GmbH System und Verfahren zur Prüfung von Seilen
CN103562715B (zh) * 2011-06-07 2016-02-17 三菱电机株式会社 钢丝绳探伤装置
CA2885498C (en) * 2012-10-04 2017-03-28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As Represented By The Minister Of Natural Resources Canada Measurement of lay length of wire rope
CN104217823B (zh) * 2013-06-03 2016-08-24 日本自动机械株式会社 电线绞合装置及方法、绞合式电缆制造装置及方法
CN106461611B (zh) * 2014-04-28 2019-12-27 东京制纲株式会社 钢丝绳的检查装置
JP2016192135A (ja) * 2015-03-31 2016-11-1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線群加工用の画像取得システム
US10984925B2 (en) * 2016-03-14 2021-04-20 Shinmaywa Industries, Ltd. Electric wire twisting device and electric wire twisting method
DE102016109151B3 (de) * 2016-05-18 2017-09-14 Lisa Dräxlmaier GmbH Verdrilleinricht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7032A (ja) * 2007-04-26 2008-11-13 Yazaki Corp 電線撚り合わせ装置
JP2018054478A (ja) * 2016-09-29 2018-04-05 新明和工業株式会社 ツイスト電線のピッチ測定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線ツイス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020753B (zh) 2022-08-16
KR20210005062A (ko) 2021-01-13
CN112020753A (zh) 2020-12-01
JP7150052B2 (ja) 2022-10-07
SG11202010401XA (en) 2020-11-27
JP2021528575A (ja) 2021-10-21
WO2019207344A1 (de) 2019-10-31
US20210118594A1 (en) 2021-04-22
EP3785282A1 (de) 202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2363B1 (ko) 라인 번들의 꼬임 길이 결정 또는 검사를 위한 트위스팅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업그레이드 키트와 같은 컴퓨터 구현 방법
US10161747B2 (en) Surface texture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CN103106076B (zh) 机器视觉检查系统和在该系统上编辑部件程序的方法
JP6685767B2 (ja) 表面性状測定機
US20060088201A1 (en) Smear-limit base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sion systems for consistently accurate and high-speed inspection
US94048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ear of a worn surface
US20220051395A1 (en) Automated defect detection
US2010017033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 tire
JP2007205802A (ja) ケーブルの形状状態測定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ケーブルの形状状態測定システム、ケーブルの形状状態測定プログラム、ケーブル状態評価方法
CN110650910B (zh) 用于监控行进纱线的纱线张力的方法和装置
JP2020532438A (ja) 非接触工具設定装置および方法
EP3662272B1 (e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for turbine vanes and blades
CN106415198B (zh) 图像记录方法和执行该方法的坐标测量机
US20230056526A1 (en) Cable processing station, cable machine with cable processing stations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
JP2019164991A (ja) 複数の電線を加工するための機器及び方法
US20160107220A1 (en) Spring Forming Device, Method For Forming A Helical Spring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JP2016223869A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検査方法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検査装置
JP4637954B2 (ja) 複数の平行に延びる光導体を有する帯状体の製造方法
JP2019049509A (ja) 表面検査装置及び表面検査方法
US20220113697A1 (en) Automated inspection-plan based detection
JP6581493B2 (ja) コイルばねの形状測定方法と形状測定装置
JP2008055432A (ja) 金属製加工線材の良否選別方法
CN115615855B (zh) 一种线缆扭曲寿命测试装置
KR100889005B1 (ko) 영상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 검사 방법
KR101333349B1 (ko) 발전시설의 볼트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