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790B1 - 맨홀판 장치 - Google Patents

맨홀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790B1
KR102600790B1 KR1020220043440A KR20220043440A KR102600790B1 KR 102600790 B1 KR102600790 B1 KR 102600790B1 KR 1020220043440 A KR1020220043440 A KR 1020220043440A KR 20220043440 A KR20220043440 A KR 20220043440A KR 102600790 B1 KR102600790 B1 KR 102600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ate
light emitting
spac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4318A (ko
Inventor
윤인호
정용규
Original Assignee
(주) 엘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앤티 filed Critical (주) 엘앤티
Priority to KR1020220043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790B1/ko
Publication of KR20230144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or fals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맨홀판은 야간에 발광하여 위치가 식별되는 맨홀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맨홀판 장치는 투명한 재질의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의해 감싸지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맨홀판 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을 통과한 빛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솔라셀과, 상기 솔라셀의 전력을 이용하여 빛을 상기 맨홀판 장치의 외부로 방출하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솔라셀 및 발광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맨홀판 장치{Manhole plate device}
본 발명은 LED 등을 발산하는 발광부 및 솔라셀을 포함하는 맨홀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판은 도로 등을 따라 일정 거리마다 설치될 수 있다. 작업자는 맨홀판을 통하여 지하의 하수관이나 상수관, 케이블 등과 같은 지하시설물 관리 또는 수리를 위하여 출입할 수 있다. 맨홀판 하부에는 지역난방시배관, 수도관, 가스관 등 다양한 용도의 파이프가 설치될 수 있다.
가스/유수의 누출, 화재 발생, 균열/파손 등의 파이프의 상태 변환에 따른 긴급상황 발생시, 작업자는 신속하게 긴급상황이 발생한 파이프가 위치한 맨홀판의 위치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야간에는 화재 발생이나 파손시 신속하게 맨홀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고, 운전자도 맨홀판의 위치를 파악못하고 맨홀판 위에 주차를 하는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야간에도 맨홀판의 위치 및 맨홀판 하부 파이프의 상태를 쉽게 식별할 수 있는 맨홀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맨홀판 장치에 의해 야간의 긴급상황 발생시에도 맨홀판의 위치 및 맨홀판 하부의 파이프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긴급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맨홀판 장치는, 투명한 재질의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조립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을 통과한 빛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솔라셀; 상기 솔라셀의 전력을 이용하여 발광하는 발광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은 상호 조립된 채로 맨홀판의 삽입홈에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맨홀판 장치는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삽입 밀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하우징이 제2 하우징에 하부의 삽입 밀봉됨으로써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는 제1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간에는 빛을 수광하고 발광할 수 있는 솔라셀 및 발광부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밀봉 구조에 의해서, 본 발명의 솔라셀 및 발광부는 맨홀판 주변의 유수와 먼지로부터 방수 또는 방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판부, 무선 통신부, 배터리, 및 주야간 센서부는 제2 하우징 하부의 제2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공간는 고무, 합성 수지 등의 탄력성 높은 소재의 충전재로 채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맨홀판 장치는 도로 표면에 노출되어 차바퀴 등의 잦은 진동 충격에 노출되기 쉬운 상태에 놓이지만, 전기적 신호의 수신과 제어 등을 담당하는 부품을 제2 공간의 충전재 속에 배치하여 본 발명의 맨홀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저면 커버는 제2 공간의 하부에서 제2 하우징 내부의 충전재를 덮을 수 있다. 저면 커버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의 밀착된 틈을 하부에서 덮음으로써 본 발명의 제1 공간의 방오성/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맨홀판 장치는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충전재, 및 저면 커버의 결합에 의한 이중 밀봉 구조에 의해 전체적으로 방수성 및 방오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맨홀판 장치는 발광부에서 발생하는 LED 등의 빛을 확산 공간에 최대한 집결시켜 외부로 방출되는 발광부의 빛을 증폭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확산판은 길이와 배치 각도가 다른 제1 확산판과 제2 확산판, 및 제1 확산판 및 제2 확산판의 측면에 위치하는 제3 확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확산판, 제2 확산판, 및 제3 확산판으로 둘러 싸인 확산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확산판의 일부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확산판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는 발광부의 빛을 더욱 증폭시킬 수 있다.
확산 공간의 확산판의 일부에 형성된 요철에 의해, 발광부의 빛이 굴곡 반사되어 확산판을 통해 발광하는 발광부의 빛을 더욱 확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배치에 따라 발광부의 빛의 도달 높이가 다르게 설정가능한 확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광부는 하부에 위치한 파이프의 용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파이프에 설치된 본 발명의 상태 센서부는 비정상적인 파이프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태 센서부는 비정상적인 파이프의 상태를 감지하면 이상 신호를 무선 통신부로 전송할 수 있다. 기판부는 무선 통신부에서 이상 신호를 감지하면 발광부에서 발하는 LED 등의 빛의 색을 경보색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솔라셀에 빛이 수광되는지 여부를 주야간 센서부는 감지할 수 있다. 기판부는 주야간 센서부에 의해 솔라셀의 빛 수광이 감지되면, 배터리를 충전시켜 발광부를 소등시킬 수있다. 기판부는 주야간 센서부에 의해 솔라셀의 빛 수광이 감지되지 않으면, 배터리를 방전시켜 발광부를 점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맨홀판 장치의 배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맨홀판 장치와 맨홀판의 결합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맨홀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맨홀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맨홀판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확산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발광부에서 발산된 빛이 확산판 및 테이퍼부에 의해 굴절되어 외부로 발산되는 것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확산판에 형성되는 요철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발광부 및 확산판의 배치 예들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하우징의 함몰 부분에 의해 생성되는 확산 공간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구별 표시부를 구비한 맨홀판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맨홀판 장치(5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외부로 빛을 발하여 맨홀판(10)의 위치를 야간에도 식별가능케하는 맨홀판 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맨홀판(10) 하부의 파이프(400)의 내부에 설치되어 파이프(400)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상태 센서부(420)가 마련될 수 있다.
맨홀판(10)은 지면 또는 도로와 편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맨홀판(10)의 상면에 삽입되는 맨홀판 장치(50)는 맨홀판(10) 표면과 편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발광부(260)에 의해 작업자는 야간에 맨홀판(10)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상관없이 맨홀판(1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작업자는 맨홀판(10)을 열고 맨홀(30)을 통해 지하의 파이프(400)로 접근하여 파이프(4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맨홀판(10)에는 맨홀판 장치(5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6)는 맨홀판(10)의 외형 프레임을 이룰 수 있다. 작업자는 지지대(16)로부터 맨홀판(10)을 분리함으로써, 맨홀(30)을 통하여 맨홀판(10) 하부의 파이프(400)에 도달할 수 있다. 맨홀(30)은 맨홀판(10)과 그 하부의 파이프(400)를 연결하는 관일 수 있다.
맨홀판 장치(50)를 맨홀판(10)에 결합가능하도록 하는 케이스(5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52)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케이스 체결공(54)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볼트(56)는 케이스 체결공(54)을 관통하여 맨홀판(10)에 마련되는 나사공(15)에 체결될 수 있다. 맨홀판 장치(50)는 체결 볼트(56) 및 케이스 체결공(54)에 의해 삽입홈(13)에 고정될 수 있다.
맨홀판(10)에는 관통공(14)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4)은 삽입홈(13)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52)와 삽입홈(13) 사이에 발생하는 비 또는 습기로 인한 누수는 관통공(14)을 통하여 맨홀판(10)의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케이스(52),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2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200), 제1 하우징(100), 및 케이스(52)의 순서로 점차 직경이 커지며 감싸는 구조일 수 있다.
맨홀판 장치(50)는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200)의 밀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이 제2 하우징(200)의 하부에 삽입됨으로써,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 사이에는 제1 공간(20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200)은 상호 조립된 채로 맨홀판(10)의 삽입홈(13)에 끼워질 수 있다.
제2 하우징의 측벽(210) 및 상판(220)은 제1 하우징(10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제1 하우징의 측벽(110)에 연결되는 제1 하우징의 상판(112)은 주위로 노출될 수 있고, 제1 하우징(100)의 하부는 개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의 측벽(210)에 연결되는 제2 하우징의 상판(220)은 제1 하우징(100)의 하부를 통하여 제1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하우징의 측벽(210)은 제1 하우징의 측벽(110)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의 내부에 제2 하우징(200)이 삽입되면, 제1 하우징의 측벽(110)과 제2 하우징의 측벽(210)은 상호 밀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의 상판(112) 및 제2 하우징의 상판(220) 사이에 제1 공간(20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의 상판(220) 및 제2 하우징의 측벽(210) 사이에는 제2 공간(28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간(202)은 제1 하우징의 상판(112), 제1 하우징의 측벽(110), 및 제2 하우징의 상판(220)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제2 하우징의 상판(220)은 제1 공간(202)에 노출될 수 있다. 솔라셀(240) 및 발광부(260)는 제1 공간(202)에서 제2 하우징의 상판(220)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하우징의 측벽(110), 제1 하우징의 상판(112), 제2 하우징의 측벽(210), 및 제2 하우징의 상판(220)으로 구성되는 밀봉 구조로 인해, 제1 공간(202)은 외부로부터 방오 또는 방수될 수 있다.
제1 공간(202)에는 빛을 수광하는 솔라셀(240) 및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26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밀봉 구조에 의해서 솔라셀(240) 및 발광부(260)는 맨홀판(10) 주변의 유수와 먼지로부터 방수 또는 방오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솔라셀(240), 기판부(310), 무선 통신부(330), 배터리(350), 및 주야간 센서부(3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솔라셀(240), 기판부(310), 배터리(350), 또는 발광부(26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350)는 솔라셀(240)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축전지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350)는 제2 하우징(200)의 제2 공간(280)에 내장될 수 있다. 빛 에너지는 솔라셀(240)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전환될 수 있다. 솔라셀(240)에 빛 에너지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는 경우, 배터리(35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에 의해 발광부(260)는 빛을 발산시킬 수 있다.
주위가 밝아 솔라셀(240)에 충분한 빛이 조사되면, 발광부(260)는 소등될 수 있고, 주위가 어두워 솔라셀(240)에 충분한 빛이 조사되지 않으면, 발광부(260)는 점등될 수 있다.
기판부(310)는 제2 하우징(200)의 제2 공간(280)에 내장될 수 있다. 기판부(310)는 주위가 밝으면 발광부(260)를 소등시키고, 주위가 어두우면 발광부(260)가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주야간 센서부(370)는 솔라셀(240)에 빛이 수광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기판부(310)는 주야간 센서부(370)에 의해 솔라셀(240)의 빛 수광이 감지되면, 배터리(350)를 충전시켜 발광부(260)를 소등시킬 수 있다. 기판부(310)는 주야간 센서부(370)에 의해 솔라셀(240)의 빛 수광이 감지되지 않으면, 배터리(350)를 방전시켜 발광부(260)를 점등시킬 수 있다.
기판부(310), 무선 통신부(330), 배터리(350), 및 주야간 센서부(370)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하우징(200) 하부의 제2 공간(280)에 배치될 수 있다.
햇빛을 수광하는 솔라셀(240)과 LED를 발광하는 발광부(260)는 제1 공간(202)에 배치되고, 그 외 부품들은 제2 공간(280)에 배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그 외 나머지 부품들은 기판부(310), 배터리(350), 무선 통신부(330), 주야간 센서부(3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350)는 전선으로 기판부(310)에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350)와 기판부(310)을 연결하는 전선은 납땜방식으로 융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의 상판(220)을 관통하며 솔라셀(240) 및 발광부(260)를 기판부 (310) 및 배터리(35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 연결부(222)가 마련될 수 있다.
기판부(310)는 제2 하우징의 상판(220)을 관통하는 구멍을 통해 발광부(260) 또는 솔라셀(240)에 전선(31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하우징의 상판(220)에는 제1 공간(202) 및 제2 공간(280)에 노출되는 접점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공간(202)에 노출된 접점의 일단은 솔라셀(240) 또는 발광부(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공간(280)에 노출된 접점의 타단은 기판부(310) 또는 배터리(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점의 일단 및 타단에서의 전기적 연결은 전선 납땜 방식일 수 있다.
전원 연결부(222)는 제2 하우징의 상판(220)을 관통하는 구멍 또는 제2 하우징의 상판(220)의 접점일 수 있다.
제1 공간(202)에 배치되는 솔라셀(240) 및 발광부(260)와 제2 공간(280)에 배치되는 기판부(310) 및 배터리(350)가 제2 하우징 상판(220)을 관통하는 전원 연결부(222)에 의해 연결되면, 충전재 주입부(500)에 의해서 충전재(380)가 제2 공간(280)에 가득 채워질 수 있다.
제2 하우징(200)의 제2 공간(280)는 고무, 합성 수지, 실리콘 등의 탄력성 높은 소재의 충전재(380)로 채워질 수 있다.
맨홀판 장치(50)는 도로 표면에 노출되어 차바퀴 등의 잦은 진동 충격에 노출되기 쉬운 상태에 놓이지만, 전기적 신호의 수신과 제어 등을 담당하는 부품을 제2 공간(280)의 충전재(380) 속에 배치함으로써 맨홀판 장치(5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재(380)는 맨홀판(10)의 삽입홈(13)의 수분이 기판부(310) 및 배터리(350)에 유입되는 것을 방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맨홀판 장치(50)는 저면 커버(390)를 포함할 수 있다.
저면 커버(390)는 제2 하우징(200)의 하부에 결합하여 충전재(380)가 꽉 채워진 상태로 제2 공간(280)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킬 수 있다.
저면 커버(390)는 충전재(380)가 제2 공간(280) 내부를 꽉 채운 상태에서 제2 하우징(200)에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꽉 채워진 충전재(380)에 의해 제2 공간(280) 내부에 배치된 부품들(310,330,350,370)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하우징(200)의 저면에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저면 커버(390)의 돌기가 상기 제2 하우징(200)의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00)은 'ㄷ'자 형상의 제1 하우징(100)의 하부에 꽉 끼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밀봉 구조로 인해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 사이의 미세한 틈으로는 외부의 수분과 먼지가 침투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ㄷ'자 형상의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이 꽉 끼도록 밀착 삽입되는 부분을 각각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측벽 및 제2 하우징의 제2 하우징 측벽(210)이라 할 수 있다.
제2 하우징의 제2 하우징 측벽(210)는 책상다리와 같이 길게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침투할 수 있는 좁은 경로가 길어져 제1 공간(202)이 외부로부터 확실하게 밀폐될 수 있다.
저면 커버(390)는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 사이의 밀착된 틈을 하부에서 덮음으로써 제1 공간(202)의 방오성/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맨홀판 장치(50)는 제1 하우징(100), 제2 하우징(200), 충전재(380), 및 저면 커버(390)의 결합에 의한 이중 밀봉 구조에 의해 전체적으로 방수성 및 방오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200)은 세워진 'ㄷ' 자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솔라셀(240), 발광부(260), 및 확산판(1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200)은 제2 하우징 상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상판(220)에는 솔라셀(240), 발광부(260)이 안착되어, 솔라셀(240), 발광부(260)는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 사이의 제1 공간(20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은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어 태양 빛 또는 발광부의 빛을 잘 투과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하우징(200)의 상면인 제2 하우징 상판(220)에 배치되는 솔라셀(240)은, 제1 하우징(100)을 통하여 충분한 햇빛에 노출될 수 있고, 발광부(260)에서 발광된 빛은 제1 하우징(100)을 통하여 외부로 발광될 수 있다.
솔라셀(240)은 제2 하우징 상판(22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260)는 중앙에 배치된 솔라셀(24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솔라셀(240)은 태양빛을 흡수하여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다.
발광부(260)는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LED 등을 포함하는 발광부(260)는 제2 하우징 상판(220) 또는 제2 하우징(200)의 상면에 경사지게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의 상면에는 돌기(180)가 적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돌기(180)는 차량 등이 제1 하우징(100)을 밟고 지나갈 때, 제1 하우징(100)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광부(260)에서 발한 빛은 제1 하우징(100)을 굴절 또는 투과하여 외부로 발광하기에, 제1 하우징(100)에 발생한 스크래치는 제1 하우징(100)을 불투명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이 불투명해지면 솔라셀(240)의 흡수 효율 및 발광부(260)의 확산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확산판(120), 확산 공간(140), 및 테이퍼부(16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확산판(120)은 제1 확산판(121), 제2 확산판(122), 및 제3 확산판(1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260)에서 생성된 빛은 확산판(120) 및 제1 하우징(100)의 테이퍼부(160)를 통과하여 맨홀판 장치(50)의 외부로 발광될 수 있다.
제1 공간(202)은 복수의 확산판(120)으로 둘러싸인 확산 공간(1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 제1 확산판(121) 내지 제3 확산판(123)으로 둘러싸인 확산 공간(140)이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260)에서 발산된 빛은 발광부(260)에서 발산된 빛은 확산판(120) 및 확산 공간(140)에 의해 더욱 증폭확산되어 제1 하우징(100)의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맨홀판 장치(50)는 발광부(260)에서 발생하는 LED 등의 빛을 확산 공간(140)에 최대한 집결시켜 외부로 방출되는 발광부(260)의 빛을 증폭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하우징(100)은 전체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하우징(200)을 커버하는 제1 하우징(100)의 부분이 투명하여, 제1 하우징(100)에 조사되는 햇빛이 넓은 면적으로 투과되어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의 사이 공간인 제1 공간(202)으로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확산판(120) 또는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200)에 의한 굴절 구조에 의해 제1 하우징(100)을 통과하여 제1 공간(202)에 배치되는 솔라셀(240)에 도달하는 빛은 증가될 수 있다.
솔라셀(240)에 도달되는 빛의 양을 증가시키는 굴절 구조는,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200)의 모서리(190)에 의한 빛 집중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서리(190)는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200)의 4개 코너 부분에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모서리(190)는 원기둥 형상의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오목하게 안쪽으로 파서 형성될 수 있다. 모서리(190)에 의해 햇빛은 프리즘과 마찬가지로 최대한 제1 하우징(100)에 조사되는 햇빛을 솔라셀(240) 방향으로 집중 굴절시켜 솔라셀(240)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맨홀판 장치(50)를 맨홀판(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스(52)의 케이스 체결공(54)은 케이스(52)의 모서리(190)와 인접하도록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모서리(190)는 솔라셀(240)로 햇빛을 더 굴절시키는 효과에 더해 케이스(520)의 케이스 체결공(54)을 위한 공간도 확보할 수 있다.
제1 확산판(121), 제2 확산판(122), 및 제3 확산판(123)은 각각의 길이와 배치 각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확산판(121) 및 제2 확산판(122)은 수평면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다. 제1 확산판(121)의 수평면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는 제2 확산판(122)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보다 더 클 수 있다.
제1 확산판(121)의 수평면에 대한 길이는 제2 확산판(122)의 수평면에 대한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확산판(120)의 일 실시 예로, 제1 확산판(121), 제2 확산판(122), 및 제3 확산판(123)은 전체로 삼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1 확산판(121)은 제2 확산판(122)보다 더 길 수 있고, 제1 확산판(121)이 수평과 이루는 각도는 제2 확산판(122)에 비해 더 클 수 있다. 제1 확산판(121) 및 제2 확산판(122)은 삼각 기둥 형상의 기둥 부분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확산판(121) 및 제2 확산판(122)은 삼각 기둥 형상의 3개의 기둥 중 2개 기둥에 해당할 수 있다.
제3 확산판(123)은 제1 확산판(121) 및 제2 확산판(122)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확산판(123)은 확산판(120)으로 이루어지는 삼각 기둥 형상 중 삼각형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발광부(260)에 생성되는 빛은 제1 확산판(121)을 통하여 발광하도록 기울어지거나, 제2 확산판(122)을 통하여 발광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제1 확산판(121)과 제2 확산판(122)을 통하여 발광하는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도 7은 발광부(260)에서 발생한 LED를 포함하는 빛이 확산판(101) 및 제1 하우징(100)을 통하여 굴절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경우의 일 실시 예일 수 있다. 즉, 발광부(260)의 빛은 두 번의 굴절을 거쳐 본 발명의 맨홀판 장치(50)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기울어져 발광하는 발광부(260)가 대면하는 확산판을 제1 확산판(121)이라 할 수 있다. 발광부(260)에서 발광하는 빛의 대부분은 제1 확산판(121)을 통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00)에는 확산판(120)을 통과한 발광부(260)의 빛이 굴절로 작업자가 목표로하는 위치에 집중적으로 도달하도록하는 테이퍼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테이퍼부(160)의 경사는 발광부(260)가 주로 발광되는 확산판(예를 들어 제1 확산판(121))의 경사를 반영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확산판(120)의 일부에는 요철(120a)이 형성되어 확산판(120)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는 발광부(260)의 빛을 더욱 증폭시킬 수 있다.
확산판(120)의 일부에 형성된 요철(120a)에 의해, 발광부(260)의 빛이 굴곡 반사되어 확산판(120)을 통해 발광하는 발광부(260)의 빛을 더욱 확산시킬 수 있다.
도 8의 (a)는 확산판(120)의 측면도이고, 도 8의 (b)는 확산판의 평면도이다. 도 8의 (a)와 (b)는 제2 확산판(122) 또는 제3 확산판(123)에 요철(120a)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도 8은 제1 확산판(121)을 통하여 발광부(260)의 빛이 방출되는 경우의 실시 예일 수 있다. 제2 확산판(122)을 통하여 방출되는 경우도 아래의 동일한 논의가 적용될 수 있다.
제1 확산판(121) 또는 제2 확산판(122) 중 하나를 통해 발광부(260)의 빛이 외부로 방출되는 경우, 그 발광부(260)의 빛이 방출된 확산판은 매끄럽게 요철(120a)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나머지 확산판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확산 공간(140)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3 확산판(123)의 요철은 발광부(260)의 빛이 방출되는 방향과 무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확산판(121)을 통하여 발광부(260)의 빛이 방출되는 경우, 제2 확산판(122) 또는 제3 확산판(123)에는 요철(120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확산판(122) 및 제3 확산판(123) 양쪽 모두에 요철(120a)이 형성된 경우, 최단 경로로 제1 확산판(121)에 도달하지 못한 발광부(260)의 빛의 일부도, 확산 공간(140) 내부에서 복수의 요철(120a)에 의한 효과적으로 확산 공간(140)에 집결되어 제1 확산판(121)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도 9는 발광부(260)의 조사 방향과 확산판(120)의 배치에 대한 실시 예들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로, 맨홀판 장치(50)를 통과하여 방출된 빛이 제1 확산판(121)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경우, 방출되는 빛의 각도는 제1 각도(α)이고 방출된 빛이 도달하는 높이는 제1 높이일 수 있다. 이는 도 4의 A-A' 단면일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로, 맨홀판 장치(50)를 통과하여 방출된 빛이 제2 확산판(122)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경우, 방출되는 빛의 각도는 제2 각도(β)이고 방출된 빛이 도달하는 높이는 제2 높이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각도(α)는 제2 각도(β)보다 작을 수 있고, 제1 높이는 제2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맨홀판(10)에 구비되는 맨홀판 장치(50)는 맨홀판(10)에서 멀리 떨어진 차량 또는 작업자도 쉽게 맨홀판(10)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함이기에, 도로의 통행 방향과 맨홀판 장치(50)의 발광 방향은 일치하도록 맨홀판 장치(50)를 배치할 것이다. 따라서, 멀리 있는 작업자의 식별을 위해 주요 발광부(260)는 맨홀판(10) 또는 맨홀판 장치(50)의 외측 방향으로 발산하도록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도 9의 (a) 및 (b)는 이러한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배치일 수 있다.
사거리를 포함하는 맨홀판(10)의 위치에 따라 십자 양 방향으로 모두 멀리 있는 경우, 일 방향의 서로 마주보는 발광부 한쌍 및 상기 발광부 한쌍에 수직한 다른 한쌍도 모두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일 방향의 서로 마주보는 발광부 한쌍이 맨홀판 장치(50)의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인 예를 들어 수직한 다른 방향의 서로 마주보는 발광부 다른쌍은 맨홀판 장치(50)의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도 9의 (c)는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발광부(260) 배치를 나타낸다. 이는 도 4의 B-B' 단면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발광부(260) 및 확산판(120) 배치의 일 실시 예로, 마주보는 발광부(260) 중 한 쌍은 맨홀판 장치(50)의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마주보는 발광부(260) 중 다른 쌍은 맨홀판 장치(50)의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배치된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같이, 마주보는 발광부(260) 쌍에 의해, 차량 높이의 차이 등으로 인해 다른 높이에서 접근하는 작업자 또는 일반 차량도 맨홀판(10)에서 발광되는 빛을 잘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맨홀판 장치(50)는 배치에 따라 발광부(260)의 빛의 도달 높이가 다르게 설정가능한 확산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하우징(100)의 함몰 부분에 의해 생성되는 확산 공간(140)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5 및 도 10은 확산 공간(140)이 생성되는 실시 예들일 수 있다. 도 5는 확산판(120)을 이용하여 확산 공간(140)이 형성되는 경우이고, 도 10은 제1 하우징 상판(112)의 함몰 구조에 의해 확산 공간(140)이 형성되는 경우일 수 있다.
제1 하우징(100)의 일부를 함몰시킨 확산 공간(140)이 제1 공간(202)에 마련될 수 있다. 발광부(260)에서 발광되는 빛은 확산 공간(240)을 통하여 주위로 방출될 수 있다. 확산 공간(240)은 제1 하우징의 상판(112)에 대해 경사진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광부(260)는 하부에 위치한 파이프(400)의 용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이프(400)가, 지역난방서비스용인 경우 적색일 수 있고, 수도관용인 경우 파랑색일 수 있으며, 가스관용인 경우 노란색일 수 있다.
또한, 파이프(400)가 공급관인지 회수관인지도 발광부(260)의 색으로 분별가능할 수 있다.
파이프(400)의 내부에는 비정상적인 파이프(400)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상태 센서부(4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태 센서부(420)는 비정상적인 파이프(400)의 상태를 감지하면 이상 신호를 무선 통신부(330)로 전송할 수 있다. 기판부(310)는 무선 통신부(310)에서 이상 신호를 감지하면 발광부(260)에서 발하는 LED 등의 빛의 색을 경보색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비정상적인 파이프(400)의 상태는 파이프(400)의 화재발생 또는 파손 등의 파이프(400) 자체의 고장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정상적인 파이프(400)의 상태는 파이프(400)에 흐르는 유체가 기설정된 설정치와 다르게 변경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정상적인 파이프(400)의 상태는 파이프(400)에 흐르는 유체의 양이 기설정한 범위를 초과하거나 범위 미만으로 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별 표시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구별 표시부(600)는 맨홀(30) 하부의 파이프(400)에 흐르는 유체의 종류 또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구별 표시부(600)는 제1 하우징(100)의 상부와 마찬가지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맨홀판(10)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지면 상의 관측자는 구별 표시부(600)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구별 표시부(600)는 체결부(620)에 의해 맨홀판(10)에 설치될 수 있다. 체결부(620)에 의해 구별 표시부(600)가 가르키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체결부(620)는 렌치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별 표시부(600)는 맨홀판(10)의 하부 파이프(400)가 공급관인지 회수관인지 구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별 표시부(600)의 일 실시 예로, 지역난방 열배관인 경우, 파이프(400)는 발전소로부터 뜨거운 물이 공급되는 공급관, 및 뜨거운 물이 사용된 후 다시 발전소로 되돌아오는 회수관의 2열로 구성될 수 있다. 구별 표시부(600)는 맨홀판(10)의 하부 파이프(400)가 공급관인지 회수관인지 구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별 표시부(600)는 화살표 형상일 수 있고, 파이프(400)에 흐르는 유체의 방향을 외부에 나타낼 수 있다.
구별 표시부(600)는 색으로 역할이 구분될 수 있다. 공급관은 제1 색, 회수관은 제2 색으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지상 관측자는 구별 표시부(600)의 방향 표시와 색을 이용하여 맨홀판(10) 하부에 흐르는 파이프(400)에 흐르는 유체의 방향 및 목적(공급관인지 회수관인지)을 명확히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 등은 야간에도 차량을 타고 주행하면서도 쉽게 해당 지역의 맨홀판(10)의 정확한 위치 및 맨홀(30) 하부의 파이프(400)를 흐르는 유체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10... 맨홀판 13... 삽입홈
14... 관통공 15... 나사공
16... 지지대 30... 맨홀
50... 맨홀판 장치
52... 케이스 54... 케이스 체결공
56... 체결 볼트 100... 제1 하우징
110... 제1 하우징 측벽 112... 제1 하우징 상판
120... 확산판 120a... 요철
121... 제1 확산판 122... 제2 확산판
123... 제3 확산판 140... 확산 공간
160... 테이퍼부 180... 돌기
190... 모서리 200... 제2 하우징
202... 제1 공간 210... 제2 하우징 측벽
220... 제2 하우징 상판 222... 전원 연결부
240... 솔라셀 260... 발광부
280... 제2 공간 310... 기판부
312... 전선 330... 무선 통신부
350... 배터리 370... 주야간 센서부
380... 충전재 390... 저면 커버
400... 파이프 420... 상태 센서부
500... 충전재 주입부 600... 구별 표시부
620... 체결부

Claims (13)

  1. 투명한 재질의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조립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을 통과한 빛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솔라셀;
    상기 솔라셀의 전력을 이용하여 발광하는 발광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은 상호 조립된 채로 맨홀판의 삽입홈에 끼워지며,
    상기 제1 하우징의 상판 및 제2 하우징의 상판 사이에 제1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공간에는 제1 확산판, 제2 확산판, 및 제3 확산판을 포함하는 확산판이 마련되고,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빛은 상기 제1 확산판, 제2 확산판, 및 제3 확산판으로 둘러싸인 확산 공간으로 집중된 후, 상기 제1 확산판 또는 제2 확산판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며,
    상기 제3 확산판은 상기 제1 확산판 및 제2 확산판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확산판의 일부에는 상기 확산 공간으로 상기 발광부의 빛을 집중시켜 상기 확산판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는 빛을 증폭시키는 요철이 구비되며,
    상기 발광부의 빛이 상기 제1 확산판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면, 상기 요철은 상기 제2 확산판 또는 제3 확산판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부의 빛이 상기 제2 확산판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면, 상기 요철은 상기 제1 확산판 또는 제3 확산판에 형성되며,
    상기 맨홀판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발광 각도는 변경가능하며,
    상기 발광부의 변경된 발광 각도에 따라, 상기 제1 확산판 및 제2 확산판의 수평면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 및 상기 제1 확산판 및 제2 확산판 간의 연결 각도는 다르게 설정되는 맨홀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벽 및 상판은 상기 제1 하우징에 의해 감싸지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벽에 연결되는 제1 하우징의 상판은 주위로 노출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부는 개방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벽에 연결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상판은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부를 통하여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벽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벽에 밀착되는 맨홀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제2 하우징이 삽입되면,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벽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벽은 상호 밀착되고,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상판,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벽,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상판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상판은 상기 제1 공간에 노출되며,
    상기 솔라셀 및 발광부는 상기 제1 공간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상판에 안착되고,
    상기 제1 공간은 외부로부터 방오 또는 방수되는 맨홀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제2 하우징이 삽입되면, 상기 제1 하우징의 측벽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벽은 상호 밀착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상판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벽 사이에는 제2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솔라셀의 수광 여부를 감지하는 주야간 센서부는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주야간 센서부는 상기 솔라셀이 빛을 받아서 전력을 생산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솔라셀의 수광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솔라셀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가 마련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발광부에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공간에 위치한 상기 솔라셀의 빛 수광이 상기 제2 공간에 위치한 상기 주야간 센서부에 의해 감지되고,
    상기 솔라셀의 빛 수광이 상기 주야간 센서부에 의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를 방전시켜 상기 발광부를 점등시키는 기판부가 상기 제2 공간에 마련되는 맨홀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상판 및 측벽으로 둘러싸인 개구된 공간인 제2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솔라셀 및 발광부는 상기 제1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솔라셀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발광부를 스위칭하는 기판부가 상기 제2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상판을 관통하며 상기 솔라셀 및 발광부를 상기 기판부 및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 연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공간은 탄성적인 충전재로 채워지며,
    상기 충전재는 상기 맨홀판의 삽입홈의 수분이 상기 기판부 및 배터리에 유입되는 것을 방수시키는 맨홀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지하에 위치한 파이프의 용도 또는 상기 파이프가 공급관인지 회수관인지 여부에 따라 다른 색의 빛을 발광하는 맨홀판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의 발광 색상을 제어하는 기판부가 마련되고,
    상기 기판부는 상기 맨홀판 주변의 파이프가 지역난방서비스용인 경우 제1 색, 수도관용인 경우 제2 색, 가스관용인 경우 제3 색을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부를 설정하는 맨홀판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지하의 맨홀에 위치한 파이프의 비정상적인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 센서부가 상기 파이프에 배치될 때,
    상기 제2 하우징의 제2 공간에는 무선 통신부가 마련되며,
    상기 상태 센서부는 파이프의 비정상적인 상태를 감지하면 이상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에서 이상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발광부에서 발하는 빛의 색을 경보색으로 변경하는 맨홀판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가 확산 공간은 제1 하우징의 상판에 대해 경사진 면을 형성하는 맨홀판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마주보는 복수의 발광부 쌍을 포함하고,
    일 방향의 서로 마주보는 발광부 한쌍이 상기 맨홀판 장치의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의 서로 마주보는 다른쌍의 발광부는 상기 맨홀판 장치의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맨홀판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맨홀판에 설치되는 구별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별 표시부는 상기 맨홀판 하부의 파이프가 공급관인 경우 및 회수관인 경우가 서로 구별되도록 설치되는 맨홀판 장치.
KR1020220043440A 2022-04-07 2022-04-07 맨홀판 장치 KR102600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440A KR102600790B1 (ko) 2022-04-07 2022-04-07 맨홀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440A KR102600790B1 (ko) 2022-04-07 2022-04-07 맨홀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318A KR20230144318A (ko) 2023-10-16
KR102600790B1 true KR102600790B1 (ko) 2023-11-10

Family

ID=88506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440A KR102600790B1 (ko) 2022-04-07 2022-04-07 맨홀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7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0944A (ja) * 1999-04-12 2000-10-17 Tagawa Tadahiro 盲人用点字ブロック
KR101963598B1 (ko) * 2018-07-03 2019-04-01 (주)미라클산업 엘이디 도로표지병
KR102106380B1 (ko) * 2019-09-20 2020-05-04 주식회사 한국신호 다기능 교통 표지판
KR102151551B1 (ko) 2020-04-07 2020-09-03 주식회사 에이치비세계로 엘이디 조명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6016A (ko) * 2008-08-29 2010-03-10 주식회사 와텍 제수 밸브실 맨홀 뚜껑체
KR20110003871U (ko) * 2009-10-14 2011-04-20 김무광 태양전지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KR200467298Y1 (ko) * 2011-04-13 2013-06-07 주식회사 기남금속 야간식별기능을 갖는 맨홀
KR102198937B1 (ko) * 2018-11-07 2021-01-05 김동현 수위 측정을 위한 맨홀유닛
KR20210019927A (ko) * 2019-08-13 2021-02-23 (주) 엘림 매립형 태양광 엘이디 도로표지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0944A (ja) * 1999-04-12 2000-10-17 Tagawa Tadahiro 盲人用点字ブロック
KR101963598B1 (ko) * 2018-07-03 2019-04-01 (주)미라클산업 엘이디 도로표지병
KR102106380B1 (ko) * 2019-09-20 2020-05-04 주식회사 한국신호 다기능 교통 표지판
KR102151551B1 (ko) 2020-04-07 2020-09-03 주식회사 에이치비세계로 엘이디 조명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318A (ko) 202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0933B1 (ko) 매립형 태양광 엘이디 도로 표지병
KR101986162B1 (ko) 횡단보도용 엘이디 도로표지병
US4907139A (en) Photocontrol device for grade mounted light fixture
KR20130024126A (ko) 전 방향 투사 매립형 태양광 도로 표지병
KR101064714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160119B1 (ko) 태양전지 표지병
KR102324262B1 (ko) 매립식 도로 표지병
KR200451384Y1 (ko) 솔라타입 다기능 차선규제봉
KR100934621B1 (ko) 발광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00790B1 (ko) 맨홀판 장치
KR100813301B1 (ko) 가로등 기초 덮개
US20110090693A1 (en) Building material and built-up building material structure
KR20220102092A (ko) Led 도로 표지병
KR101999672B1 (ko) 고정장치가 구비된 매립형 유도등
KR100934620B1 (ko) 버스도착 신호 연동형 정류장 조명시스템
KR20100026016A (ko) 제수 밸브실 맨홀 뚜껑체
KR101499708B1 (ko) 도로 표지병
KR101663008B1 (ko) 차단봉
KR102255974B1 (ko) 태양전지모듈이 결합된 도로용 조명장치
KR101914363B1 (ko)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도로 조명 장치
JP6964172B2 (ja) 防護壁装置
JPH0738338Y2 (ja) 自発光鋲
JP5845121B2 (ja) 自発光式道路鋲の設置方法
CN210373011U (zh) 机场立式助航灯
KR200410350Y1 (ko) 볼라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