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143B1 - 폐비닐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폐비닐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143B1
KR102600143B1 KR1020210056030A KR20210056030A KR102600143B1 KR 102600143 B1 KR102600143 B1 KR 102600143B1 KR 1020210056030 A KR1020210056030 A KR 1020210056030A KR 20210056030 A KR20210056030 A KR 20210056030A KR 102600143 B1 KR102600143 B1 KR 102600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vinyl
screw
transfer pipe
rota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8653A (ko
Inventor
김정희
왕건
왕다혜
왕태용
Original Assignee
김정희
왕건
왕다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희, 왕건, 왕다혜 filed Critical 김정희
Priority to KR1020210056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143B1/ko
Publication of KR20220148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2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2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 B29B17/0047Compacting complete waste articles
    • B29B17/0052Hollow articles, e.g. bottles
    • B29B2017/0057Externally powered deformation tools, e.g. tools being part of relatively big non domestic installations, powered by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Extruder as pressing tool with calibrated die openings for forming and disintegrating pasty or mel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96Pyrolysing th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비닐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나선형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회전축; 회전축을 수용하고, 일측은 폐비닐이 투입되도록 개방되고 타측은 폐비닐이 배출되도록 개방되는 이송관; 및 이송관의 타측에 배치되고, 배축되는 폐비닐에 열을 가하여 열분해시키는 소각부;를 포함하고, 이송관은 폐비닐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경로상에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니플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폐비닐 처리장치{APPARATUS PROCCESSING USED VINYL}
본 발명은 폐비닐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 들어서는 환경오염문제의 심각성을 널리 인지하고 있다. 환경오염 문제가 부각되기 시작하면서 폐비닐을 포함한 폐플라스틱의 처리 문제는 매우 심각한 환경오염 중의 하나로 되어왔다. 폐비닐의 경우 매립을 할 경우 부피가 커서 매립용적을 많이 차지할 뿐 아니라 무엇보다도 심각한 것은 분해되는데 30년 이상의 긴 시간이 소요되는 점과 소각시에는 유독성 가스를 대량 배출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폐기물 발생량의 증대, 처리능력의 급격한 감소로 인한 지역내 갈등의 심화, 지역간 분쟁으로 이어지고 있다. 나아가, 폐비닐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폐비닐에 부착된 이물질은 태우고 수지는 녹임으로써 분리하여 처리하는 열분해방식의 처리가 시행되고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폐비닐을 압착하여 소각로로 이송시켜 소각시키는 과정을 수행하는데 수행 중 압착과정에서 발생한 가스에 의해 폭발이나 이송 중 비닐의 연소가 이루어져 이송이 원활하지 않거나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폐비닐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압력이 증가되지 않도록 하여 가스발생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폐비닐처리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1-0118327 호 (2011. 10. 3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폐비닐을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하면서 가스를 방출하는 니플을 설치함으로써 폐비닐의 압축과정에서 가스가 배출되어 이송관의 내압이 증가하지 않도록 하고 가스발생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폐비닐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폐비닐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나선형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회전축; 회전축을 수용하고, 일측은 폐비닐이 투입되도록 개방되고 타측은 폐비닐이 배출되도록 개방되는 이송관; 및 이송관의 타측에 배치되고, 배축되는 폐비닐에 열을 가하여 열분해시키는 소각부;를 포함하고, 이송관은 폐비닐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경로상에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니플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회전축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외주면에 제1스크류를 포함하는 제1회전축 및 타측으로부터 제1회전축으로 연장되고 외주면에 제2스크류를 포함하며 제1회전축과 연결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고, 모터는 제1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 및 제2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2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니플은, 회전축에서 제1스크류 및 제2스크류가 미형성된 구간에 대응되는 이송관의 구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모터의 회전수는 제2모터의 회전수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크류는 회전축 상에서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형성된 제1스크류 및 타측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형성된 제2스크류를 포함하고, 제1스크류 및 제2스크류의 형성구간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니플은, 이송관에서 제1스크류 및 제2스크류가 형성된 구간과 미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은 모터에 의해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되고, 제1스크류의 피치는 제2스크류의 피치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소각부는, 스크류에 의해 압축이송되는 폐비닐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폐비닐을 회전 및 배출시키는 임펠러;를 포함하고, 임펠러는 회전방향에 대하여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송관의 개방된 타측과 소각부 사이에 위치되는 로터리피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터리피더는 이송관과 연결되는 제1개방부, 제1개방부와 연결되고 회전이송부를 수용하는 미들케이스 및 미들케이스의 내부를 경유하여 소각부 측으로 폐비닐을 이동되도록 개방된 제2개방부를 포함하고, 제2개방부는 소각부의 열원와 근접한 위치로 폐비닐이 이송되도록 제2개방부의 배출부를 적어도 일부 차단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폐비닐을 이송시키고, 이송관 및 소각부 중 하나 이상에 위치되는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고, 이송장치는, 폐비닐이 공급되는 유입구, 유입구로 유입된 폐비닐이 배출되는 배출구, 유입구 및 배출구 간의 중공부를 형성하는 실린더 및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이동하며 폐비닐이 배출구로 이송되도록 가압하는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폐비닐을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가스를 방출하는 니플을 설치함으로써 폐비닐의 압축과정에서 가스가 배출되어 이송관의 내압이 증가하지 않도록 하고 가스발생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폐비닐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폐비닐 칩을 효율적으로 압착 및 이송할 수 있으며, 상기 과정에서 소각로로부터 열기가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처리장치 중 소각부의 일부가 절개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처리장치의 측면측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처리장치의 측면측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처리장치의 측면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처리장치에 폐비닐이 처리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피더의 저면측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각부를 편면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7(a)는 이송장치의 피스톤이 후퇴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이송장치의 피스톤이 전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가 호퍼를 통해 이송관과 연결된 것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처리장치(10)(이하, 처리장치) 중 소각부(300)의 일부가 절개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처리장치(10)의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처리장치는 모터,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나선형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회전축, 회전축을 수용하고, 일측은 폐비닐(1)이 투입되도록 개방되고 타측은 폐비닐(1)이 배출되도록 개방되는 이송관(101) 및 이송관(101)의 타측에 배치되고, 배축되는 폐비닐(1)에 열을 가하여 열분해시키는 소각부(300)를 포함하고, 이송관(101)은 폐비닐(1)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경로상에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니플(101a)을 포함한다.
여기서, 회전축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외주면에 제1스크류(111)를 포함하는 제1회전축(110) 및 타측으로부터 제1회전축(110)으로 연장되고 외주면에 제2스크류(121)를 포함하며 제1회전축(110)과 연결되는 제2회전축(120)을 포함하고, 모터는 제1회전축(110)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100) 및 제2회전축(120)을 회전시키는 제2모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관(101)으로 폐비닐(1)이 공급될 수 있다. 공급되는 폐비닐(1)은 기 결정된 크기로 미리 전단된 폐비닐(1) 칩(chip)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전단된 폐비닐(1)은 이송관(101)으로 공급되기 위해 이송관(101)의 일측에 개방된 개방구와 연결된 호퍼(150) 내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호퍼(150)는 소정 분량의 폐비닐(1) 칩을 수용하여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폐비닐(1) 칩이 이송되는 속도에 의해 이송이 지연되는 경우에도 소정 분량의 폐비닐(1) 칩을 수용하여 지속적인 공급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호퍼(150)에 제공된 폐비닐(1) 칩은 제1회전축(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스크류(111)에 의해 이송관(101) 내부에서 이송관(101)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물론, 제1스크류(111)가 형성된 구간까지 제1회전축(110)의 회전에 의해 이송이 될 수 있다.
한편, 제1회전축(110)에 의해 이송된 폐비닐(1)은 제1스크류(111)가 미형성된 구간으로 누적될 수 있다. 이때 제1회전축(110)과 연결된 제2회전축(120)의 회전에 의해 지속적인 폐비닐(1)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회전축(110)과 제2회전축(120)은 회전속도의 차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속도의 차이는 제1회전축(110)의 회전수가 보다 높게 형성되어 제2회전축(120)의 회전에 의한 이송량은 제1회전축(110)의 회전에 의한 이송량보다 적을 수 있다. 이러한 이송량의 차이로 인해 이송되는 폐비닐(1)은 압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회전축(110) 및 제1스크류(111)의 회전 속도가 제2회전축(120) 및 제2스크류(121)보다 2배 빠른 것이 효율적일 것이나, 배속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폐비닐(1)의 압축은 폐비닐(1) 간의 존재하는 공간이 감소되면서 이루어지고 상기 공간에 있는 공기 및 압축이나 외부 열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 등은 니플(101a)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니플(101a)은 압축되는 구간에 이송관(101)의 표면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압축되는 구간이란 회전축에서 제1스크류(111) 및 제2스크류(121)가 미형성된 구간에 대응되는 이송관(101)의 구간일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간의 중간위치가 될 수 있다.
전술한 제1회전축(110)의 회전수와 제2회전축(120)의 회전수 간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제1회전축(110) 및 제2회전축(120)은 어느 하나가 축의 내측에 일부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삽입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지점에는 베어링이 개재되어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회전축(110) 및 제2회전축(120)의 회전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나아가, 이송관(101)의 외주면에는 이송관(101)의 내측과 열교환을 수행하는 히팅부(105) 및 냉각부(106)가 마련될 수 있다. 이송관(101)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타측방향을 기준으로 냉각부(106)는 히팅부(105)보다 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냉각부(106)는 소각로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이송관(101)의 타측부에 마련되어 소각로에서 전달되는 열을 냉각시켜 상쇄할 수 있다. 이러한 냉각 수행은 압착된 폐비닐(1)이 이송관(101)의 타측부에서 소각로로 이동되기 전에 표면이 용융되면 이송관(101)의 내측면에 점착되어 이송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융이 발생하지 않도록 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냉각부(106)는 이송관(101)의 내부환경이 폐비닐(1)의 용융점 이하의 조건으로 조성되도록 냉각할 수 있다.
반면에, 히팅부(105)는 냉각부(106)에 열을 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냉각부(106)에도 불구하고 외부영향이나 압축에 의해 폐비닐(1)이 일부 용융되어 이송관(101)의 내표면에 점착된 경우, 또는 회전축의 정지 후 재회전 시 이송관(101)의 내측면과 스크류의 접촉면 또는 인접한 부위 간의 고착에 의해 회전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히팅부(105)는 열을 전달하여 폐비닐(1)을 녹여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지속적으로 열을 전달하는 것은 아니고 회전축의 재회전 시에 일시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즉, 회전축의 구동시에는 냉각부(106)가 구동되고, 회전축의 정지후 재회전시에 일시적으로 히팅부(105)가 구동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처리장치(10a)의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스크류는 회전축 상에서 일측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형성된 제1스크류(111) 및 타측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형성된 제2스크류(112)를 포함하고, 제1스크류(111) 및 제2스크류(112)의 형성구간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동축 상에서 회전되므로, 제1스크류(111) 및 제2스크류(112)의 회전수는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제1스크류(111)는 제2스크류(112)보다 피치가 길게 형성되어 이송속도가 빠르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스크류(111)에 의해 이송되는 폐비닐(1)은 제2스크류(112)에 의해 이송되는 시점이전부터 압축될 수 있다. 즉, 이송량의 차이가 압축되는 조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자세히는 제1스크류(111)에서 서로 이웃하는 스크류의 사이 간격이, 제2스크류(112)에서 서로 이웃하는 스크류의 사기 간격보다 2배가 바람직할 것이나 비율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되는 과정에서 폐비닐(1) 간의 공극에 존재하는 가스와 압축이나 외부요인에 의해 열이 전달되어 발생하는 가스 등은 니플(101a)에 의해 이송관(101) 내에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의 배출은 보다 폐비닐(1)의 압축효율을 증가시키며, 이송관 내부의 발화 또는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니플(101a)은 이송관(101)에서 제1스크류(111) 및 제2스크류(112)가 형성된 구간과 미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고, 도시된 도 3의 니플(101a)위치인 이송관(101)의 중간위치(제1스크류(111) 및 제2스크류(112)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처리장치(10a)의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3a에서 이송관(101) 내부에 설치되는 제1회전축(110) 상에 형성된 제1스크류(111)와 제2스크류(112)의 피치가 동일하게 설치되게 하되, 대신 이송관(101)의 폐비닐(1)이 투입되는 투입부에서의 제1회전축(110) 직경을 이송관(101)의 폐비닐(1)이 배출되는 배출부에서의 제1회전축(110)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이송관(101)에서 투입부쪽에는 이송되는 폐비닐(1)의 양이 많고, 배출부쪽에는 이송되는 폐비닐(1)의 양이 적게되도록 해서 제1스크류(111)와 제2스크류(112) 사이의 압착 공간에 폐비닐이 정체 및 압착되도록 해서 니플(101a)을 통해서 외부 공기나 가스 및 유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도 2와 도 3a 및 도 3b에서는 이송관(101) 내부에서 제1스크류(111)와 제2스크류(112,121)가 동일한 제1회전축(110) 또는 제1회전축(110)과 연결된 제2회전축(120) 외측에서 서로 이격되어서 이송된 폐비닐(1)이 정체 및 압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3가지 실시예 모두에서 이러한 공간부 상에 폐비닐(1)이 압착되면서 상기한 바와 같이 니플(101a)을 통해서 외부 공기나 가스 및 유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며, 따라서 니플(101a)은 공간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폐비닐 처리장치(10, 10a)에 의하면 외부 공기가 소각부(300)로 유입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비닐 처리장치(10a)에 폐비닐(1)이 처리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폐비닐(1)은 호퍼(150)를 통해 이송관(10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송관(101)으로 유입된 폐비닐(1)은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이송관(101) 내에서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물론, 이송과정에서 압축되고 압축되는 구간에서는 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지며 압축된 폐비닐(1)은 소각부(300)로 전달될 수 있다. 소각부(300)로 전달된 폐비닐(1)은 소각부(300) 내에서 소각될 수 있다. 소각된 소각물은 배출부(400)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소각부(300)는 제공된 폐비닐(1)에 열을 가하고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소각 및 배출을 수행할 수 있다. 소각부(3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하의 도 6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이송관(101)에서 소각부(300)로 전달되는 경로에는 로터리피더(201)가 배치될 수 있다. 로터리 피더가 배치되어 일정한 속도로 폐비닐(1)을 소각부(300)에 전달할 수 있다. 로터리피더(201) 내에 위치된 회전이송부의 회전속도는 제2스크류(112)의 이송송도와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로터리피더(201)에 대하여 이하의 도 5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피더(201)의 저면측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송관(101)의 개방된 타측과 소각부(300) 사이에 위치되는 로터리피더(201)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리피더(201)는 이송관(101)과 연결되는 제1개방부(201a), 제1개방부(201a)와 연결되고 회전이송부를 수용하는 미들케이스(201e) 및 미들케이스(201e)의 내부를 경유하여 소각부(300) 측으로 폐비닐(1)을 이동되도록 개방된 제2개방부(20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개방부(201b)는 소각부(300)의 열원과 근접한 위치로 폐비닐(1)이 이송되도록 제2개방부(201b)의 배출부(201d)를 적어도 일부 차단하는 차단부(20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열원측에 가까울수록 폭이 선형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보다 넓은 폭을 통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폐비닐(1)이 배출되고, 배출되는 위치는 열원 또는 열원과 가장 인접한 곳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각부(300)를 평면측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소각부(300)는 스크류에 의해 압축이송되는 폐비닐(1)을 수용하는 하우징(301) 및 하우징(301) 내에 배치되고 폐비닐(1)을 회전 및 배출시키는 임펠러(312)를 포함하고, 임펠러(312)는 회전방향(R)에 대하여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펠러(312)는 회전충심축(305)을 기준으로 회전된다. 임펠러(312)는 회전중심부와 접한 일측을 시작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연장단부인 타측은 장방형의 제1프레임(311)의 내측에 각각 접할 수 있다. 제1프레임(311)은 회전충심축(305)과 연결되는 제2프레임(315)과 연결되어 회전이 연동될 수 있다.
즉, 장방형의 제2프레임(315) 내측 공간은 임펠러(312)에 의해 구획될 수 있고, 구획된 공간으로 낙하 또는 이동된 폐비닐(1)은 하우징(301)의 저면의 열에 의해 소각될 수 있다. 소각된 폐비닐(1)은 회전부(310)의 회전에 의해 회전충심축(305)과 멀어지면서 하우징(301)의 내주면측으로 이동(이동방향(M1))되게 된다. 이동된 폐비닐(1)은 상기 내주면 측에 누적되다가 배출부(400)와 연결된 개구를 통해 배출부(40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400)에 구성되는 이송장치(500)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7(a)는 이송장치(500)의 피스톤(510)이 후퇴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이송장치(500)의 피스톤(510)이 전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또한, 폐비닐(1)을 이송시키고, 이송관(101) 및 소각부(300) 중 하나 이상에 위치되는 이송장치(500)를 더 포함하고, 이송장치(500)는, 폐비닐(1)이 공급되는 유입구, 유입구로 유입된 폐비닐(1)이 배출되는 배출구, 유입구 및 배출구 간의 중공부(S)를 형성하는 실린더(501) 및 실린더(501) 내부에서 왕복이동하며 폐비닐(1)이 배출구로 이송되도록 가압하는 피스톤(5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500)가 호퍼(150)를 통해 이송관(101)과 연결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이송관은 배출부의 역할을 겸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실린더(501)에 폐비닐(1)이 유입되고, 실린더(501)가 가압방향(M2)으로 이동되며 폐비닐(1)을 밀어냄으로써 폐비닐(1)이 배출구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원뿔형상으로 형성된 가압부(511)는 중공부(S)에서 왕복되며, 유입된 폐비닐(1)을 배출구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된 유입구 및 배출구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결정되는 것이며, 제한적이지는 않다.
한편, 이송장치(500)는 이송관(101)에 폐비닐(1)을 공급하는 공급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고, 소각 후의 폐비닐(1)을 배출하는 배출부(400)의 배출장치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이송장치(500)는 하나 이상이 적용되어, 공급장치 및 배출장치 중 하나 이상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이송장치(500)는 전술한 호퍼(150)와 연결되어, 폐비닐(1)을 호퍼(150)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이송장치(500)의 유입구 측에 폐비닐(1)을 커팅하는 장치가 연속적으로 설치됨으로써 자동화 장치를 구축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폐비닐
10, 10a : 폐비닐 처리장치
100 : 제1모터
101 : 이송관
101a : 니플
105 : 히팅부
106 : 냉각부
110 : 제1회전축
111 : 제1스크류
120 : 제2회전축
112, 121 : 제2스크류
150 : 호퍼
200 : 제2모터
201 : 로터리피더
201a : 제1개방부
201b : 제2개방부
201c : 차단부
201d : 배출부
201e : 미들케이스
300 : 소각부
301 : 하우징
310 : 회전부
311 : 제1프레임
312 : 임펠러
315 : 제2프레임
400 : 배출부
500 : 이송장치
501 : 실린더
510 : 피스톤
511 : 가압부
S : 중공부
M1 : 이동방향
M2 : 가압방향
R : 회전방향

Claims (6)

  1.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나선형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수용하고, 일측은 폐비닐(1)이 투입되도록 개방되고 타측은 상기 폐비닐(1)이 배출되도록 개방되어 배출되는 상기 폐비닐(1)에 열을 가하여 열분해시키는 소각부(300)와 연결 설치되는 이송관(101); 및
    상기 이송관(101)은 상기 폐비닐(1)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경로상에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니플(101a);
    상기 이송관(101)의 개방된 상기 타측과 상기 소각부(300) 사이에 위치되는 로터리피더(201)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리피더(201)는 이송관(101)과 연결되는 제1개방부(201a), 상기 제1개방부(201a)와 연결되고 회전이송부를 수용하는 미들케이스(201e) 및 상기 미들케이스(201e)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소각부(300) 측으로 상기 폐비닐(1)을 이동되도록 개방된 제2개방부(201b)와,
    상기 제2개방부(201b)는 상기 소각부(300)의 열원와 근접한 위치로 상기 폐비닐(1)이 이송되도록 상기 제2개방부(201b)의 배출부(201d)를 적어도 일부 차단하는 차단부(201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외주면에 제1스크류(111)를 포함하는 제1회전축(110) 및 상기 타측으로부터 제1회전축(110)으로 연장되고 외주면에 제2스크류(121)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축(110)과 연결되는 제2회전축(120)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제1회전축(110)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100) 및 상기 제2회전축(120)을 회전시키는 제2모터(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모터(100)의 회전수는 상기 제2모터(200)의 회전수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처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상기 회전축 상에서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타측 방향으로 형성된 제1스크류(111) 및 상기 타측으로부터 상기 일측 방향으로 형성된 제2스크류(1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크류(111) 및 상기 제2스크류(112)의 형성구간은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스크류(111)의 피치는 상기 제2스크류(112)의 피치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처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각부(300)는,
    상기 스크류에 의해 압축이송되는 상기 폐비닐(1)을 수용하는 하우징(301); 및
    상기 하우징(301) 내에 배치되고 상기 폐비닐(1)을 회전 및 배출시키는 임펠러(312);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312)는 회전방향(R)에 대하여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처리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비닐(1)을 이송시키고, 상기 이송관(101) 및 상기 소각부(300) 중 하나 이상에 위치되는 이송장치(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500)는,
    상기 폐비닐(1)이 공급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폐비닐(1)이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 간의 중공부(S)를 형성하는 실린더(501) 및 상기 실린더(501) 내부에서 왕복이동하며 상기 폐비닐(1)이 상기 배출구로 이송되도록 가압하는 피스톤(510)을 포함하고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비닐 처리장치.
KR1020210056030A 2021-04-29 2021-04-29 폐비닐 처리장치 KR102600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030A KR102600143B1 (ko) 2021-04-29 2021-04-29 폐비닐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030A KR102600143B1 (ko) 2021-04-29 2021-04-29 폐비닐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653A KR20220148653A (ko) 2022-11-07
KR102600143B1 true KR102600143B1 (ko) 2023-11-09

Family

ID=84043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030A KR102600143B1 (ko) 2021-04-29 2021-04-29 폐비닐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1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4938B2 (ja) 1989-08-25 1996-11-20 松下電工株式会社 射出成形装置および射出成形方法
JP3265411B2 (ja) 1993-10-12 2002-03-11 エムエヌ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廃プラスチックの油化方法
KR100750647B1 (ko) * 2006-05-02 2007-08-21 주식회사 두림코리아 폐플라스틱 처리용 용융로 및 이를 포함하는 폐플라스틱유화장치
KR101030770B1 (ko) 2008-04-30 2011-04-27 (주)이엔에스 플라스틱 압출성형기의 배기식 스크류
WO2018084330A1 (ko) 2016-11-01 2018-05-11 주식회사 이엠이노베이션 연속식 열분해 장치 및 열분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2879A (ja) * 1984-09-28 1986-04-26 Fuji Denki Sousetsu Kk 廃プラスチツクを含む廃棄物の減容固化処理装置
KR20010046817A (ko) * 1999-11-15 2001-06-15 고나영 폐수지의 대형 용융장치
KR20070118777A (ko) * 2006-06-13 2007-12-18 겐조 다카하시 스토커형 열분해로
KR101205374B1 (ko) 2010-04-23 2012-11-28 정기창 폐비닐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4938B2 (ja) 1989-08-25 1996-11-20 松下電工株式会社 射出成形装置および射出成形方法
JP3265411B2 (ja) 1993-10-12 2002-03-11 エムエヌ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廃プラスチックの油化方法
KR100750647B1 (ko) * 2006-05-02 2007-08-21 주식회사 두림코리아 폐플라스틱 처리용 용융로 및 이를 포함하는 폐플라스틱유화장치
KR101030770B1 (ko) 2008-04-30 2011-04-27 (주)이엔에스 플라스틱 압출성형기의 배기식 스크류
WO2018084330A1 (ko) 2016-11-01 2018-05-11 주식회사 이엠이노베이션 연속식 열분해 장치 및 열분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653A (ko) 202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6736B2 (en) Was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731187B1 (ko) 고분자류 폐기물 열분해장치
KR101607869B1 (ko) 고체와 액체폐기물을 동시에 연속적으로 열분해시키기 위한 장치
EP20453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lidification processing
KR102048699B1 (ko) 폐플라스틱 재활용 장치
KR102600143B1 (ko) 폐비닐 처리장치
KR102505591B1 (ko) 각 2개의 믹싱존과 환기구를 가지는 폐합성수지 재생 압출장치
US5645233A (en) Apparatus for recycling scrapped polylon
JP2008007737A (ja) 廃プラスチック熱分解油化還元装置
KR100715482B1 (ko) 절단기가 장착된 폐합성수지의 처리장치
US11571835B2 (en) Transporting device and kneading machine with rolling element
JP2009241074A (ja) 固形化処理装置及び固形化処理装置の運転方法
JP3895103B2 (ja) 廃棄プラスチックの脱塩素処理装置
KR100715480B1 (ko) 배출공이 형성된 폐합성수지의 처리장치
KR100999952B1 (ko) 폐합성수지 용융장치
KR100838610B1 (ko) 미분 플라스틱 연소장치
KR100866308B1 (ko) 폐필름 재생기
KR100442051B1 (ko) 쓰레기 고형연료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25852A (ko)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폐가스 제거장치
JP2001263624A (ja) 有機物の炭化溶融方法及び装置
KR0179333B1 (ko) 폐수지의 용융장치 및 그 방법
JPH0724191Y2 (ja) 金属切削屑のせん断処理装置
JP2008510871A (ja) 可燃性老廃物を用いた廃棄物派生固形燃料の製造装置
CN114904454A (zh) 一种用于生产燃料棒的造粒机
KR200369291Y1 (ko) 가연성 쓰레기를 이용한 폐기물 고체연료의 건조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