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030B1 -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 - Google Patents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030B1
KR102600030B1 KR1020200175901A KR20200175901A KR102600030B1 KR 102600030 B1 KR102600030 B1 KR 102600030B1 KR 1020200175901 A KR1020200175901 A KR 1020200175901A KR 20200175901 A KR20200175901 A KR 20200175901A KR 102600030 B1 KR102600030 B1 KR 102600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on
mask
heat
air inflow
inflow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5663A (ko
Inventor
김보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클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클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클린
Priority to KR1020200175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030B1/ko
Publication of KR20220085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가장자리융착블럭에는 마스크패드의 중첩부와 일치하도록 복수의 융착방지중첩공간부를 형성하고, 인접하여 나란하게 형성된 가장자리융착블럭의 외측에는 융착방지중첩공간부와 동일선상에 결착점융착돌기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를 제조할 때에 마스크 패드의 상단과 하단을 열 융착하면서 양측 단부의 결착점을 1회 공정에 의해 열융착할 수 있도록 된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과;
가로 방향의 중간부에 복수의 중첩부가 형성된 마스크 패드의 상단과 하단 및 양측 단부를 열융착하고, 마스크 패드의 상단에는 코걸이연성와이어를 내장하며, 마스크 패드의 양측 단부에 귀걸이를 고정설치하되, 마스크 패드를 중첩시킨 각 중첩부의 양측 단부를 결착점에 의해서만 결속시켜 마스크 패드의 양측 단부가 착용자의 얼굴(빰)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마스크 패드를 중첩시킨 각 중첩부의 양측 단부를 결착점에 의해서만 결속시켜 줌으로써, 마스크 패드이 양측 단부를 분할된 자유상태로 유지시켜 마스크 패드이 양측 단부가 착용자의 얼굴(빰)에 접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숨을 쉴 때에 외기가 마스크 패드의 이격된 양측 단부와 얼굴(빰)과의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신선하게 정화된 공기를 호홉(흡입)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각 가장자리융착블럭에는 마스크패드의 중첩부와 일치하도록 복수의 융착방지중첩공간부를 형성하고, 인접하여 나란하게 형성된 가장자리융착블럭의 외측에는 융착방지중첩공간부와 동일선상에 결착점융착돌기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를 제조할 때에 마스크 패드의 상단과 하단을 열 융착하면서 양측 단부의 결착점을 1회 공정에 의해 열융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공정 및 시간을 추가시키지 않고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A heat dream for product of mask}
본 발명은 얼굴의 안면에 착용하여 외기 또는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공기를 흡입하도록 된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원통형으로 형성된 열융착드럼본체의 양단에 상단융착부와 하단융착부를 형성하고, 상단융착부와 하단융착부와의 사이에는 박리방지융착부가 구비된 한 쌍의 가장자리융착블럭을 인접하여 나란하게 형성하되, 각 가장자리융착블럭에는 마스크패드의 중첩부와 일치하도록 복수의 융착방지중첩공간부를 형성하고, 인접하여 나란하게 형성된 가장자리융착블럭의 외측에는 융착방지중첩공간부와 동일선상에 결착점융착돌기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를 제조할 때에 마스크 패드의 상단과 하단을 열 융착하면서 양측 단부의 결착점을 1회 공정에 의해 열융착할 수 있도록 된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삭제
얼굴의 안면에 착용하여 외기 또는 이물질을 여과하여 공기를 흡입하도록 된 본 발명과 유사한 종래의 마스크로는 국내의,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0-3441호(일회용 방진 마스크),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20-0001910호(다수의 지지클립이 구비된 마스크),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035737호(마스크), 실용신안등록 제20-0199304호(일회용 방진방균 마스크), 실용신안등록 제20-0199307호(일회용 마스크), 등록특허 제10-1948962호(소취 마스크)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알려진 종래의 마스크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마스크(1-10)는, 가로 방향의 중간부에 복수의 중첩부(14)가 형성된 마스크 패드(10)의 상단과 하단을 열융착하여 내ㆍ외피 및 필터가 서로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되, 마스크 패드(10)의 상단에는 코걸이연성와이어(12)를 내장하고, 마스크 패드(10)의 양측 단부를 일괄박리방지열융착띠(20)에 의해 열융착하거나 측면띠 또는 측면보강대(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일체형으로 접착(열융착)하며, 마스크 패드(10)의 양측 단부에 귀걸이끈(13)을 각각 부착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형성된 종래의 마스크(1-10)는 마스크 패드(10)의 양측 단부가 일괄박리방지열융착띠(20: 측면띠, 측면보강대)에 의해 일체형으로 접착(열융착) 되어 길이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마스크(1-10)를 안면에 착용하였을 때에 마스크 패드(10)의 전면부는 중첩부(14)가 전개되어 코와 입 및 턱까지 덮어 주지만 마스크 패드(10)의 양측 단부는 일괄박리방지열융착띠(20: 측면띠, 측면보강대)에 의해 중첩부(14)가 착용자의 안면(얼굴)에 부합하도록 충분히 전개되지(펼쳐 지지) 않게 되고, 일괄박리방지열융착띠(20: 측면띠, 측면보강대)의 중간 부분이 외측으로 꺾이면서 돌출되어 돌출부와 안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괄박리방지열융착띠(20: 측면띠, 측면보강대)의 돌출부와 안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발생 된 상태에서 호홉을 하게 되면 공기가 공간을 통하여 마스크(1-10)의 내부와 외부를 드나들게 되므로 외기 및 이물질을 여과할 수 없게 되어 마스크(1-10)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된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각 가장자리융착블럭에는 마스크패드의 중첩부와 일치하도록 복수의 융착방지중첩공간부를 형성하고, 인접하여 나란하게 형성된 가장자리융착블럭의 외측에는 융착방지중첩공간부와 동일선상에 결착점융착돌기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를 제조할 때에 마스크 패드의 상단과 하단을 열 융착하면서 양측 단부의 결착점을 1회 공정에 의해 열융착할 수 있도록 된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가장자리융착블럭에는 마스크패드의 중첩부와 일치하도록 복수의 융착방지중첩공간부를 형성하고, 인접하여 나란하게 형성된 가장자리융착블럭의 외측에는 융착방지중첩공간부와 동일선상에 결착점융착돌기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를 제조할 때에 마스크 패드의 상단과 하단을 열 융착하면서 양측 단부의 결착점을 1회 공정에 의해 열융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공정 및 시간을 추가시키지 않고 제조할 수 있도록 된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열융착드럼본체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단융착부와 하단융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단융착부와 하단융착부와의 사이에는 한 쌍의 가장자리열융착블럭을 나란하게 설치하되 각 가장자리융착블럭에는 박리방지융착부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각 가장자리융착블럭에 형성되는 박리방지융착부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에 형성된 마스크패드의 중첩부와 일치하도록 복수의 융착방지중첩공간부를 형성한 것과;
인접하여 나란하게 형성된 각 가장자리융착블럭의 외측에는 융착방지중첩공간부와 동일선상에 결착점융착돌기를 각각 형성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각 가장자리융착블럭에는 마스크패드의 중첩부와 일치하도록 복수의 융착방지중첩공간부를 형성하고, 인접하여 나란하게 형성된 가장자리융착블럭의 외측에는 융착방지중첩공간부와 동일선상에 결착점융착돌기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를 제조할 때에 마스크 패드의 상단과 하단을 열 융착하면서 양측 단부의 결착점을 1회 공정에 의해 열융착할 수 있도록 된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을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은, 각 가장자리융착블럭에는 마스크패드의 중첩부와 일치하도록 복수의 융착방지중첩공간부를 형성하고, 인접하여 나란하게 형성된 가장자리융착블럭의 외측에는 융착방지중첩공간부와 동일선상에 결착점융착돌기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를 제조할 때에 마스크 패드의 상단과 하단을 열 융착하면서 양측 단부의 결착점을 1회 공정에 의해 열융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공정 및 시간을 추가시키지 않고 제조할 수 있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보인 측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를 보인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정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의 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측면도 및 측단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을 보인 평면도와 측면도 및 작동관계 설명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종래의 마스크를 보인 정면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 ~ 100-3)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 1-1 ~ 1-3)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 ~ 100-3)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 1-1 ~ 1-3)를 보인 예시도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 ~ 100-3)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 1-1 ~ 1-3) 의 착용상태를 보인 측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 ~ 100-3)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 1-1)를 보인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 ~ 100-3)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 1-2, 1-3) 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정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 ~ 100-3)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 1-1)의 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 ~ 100-3)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 1-1)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측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도 6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 1-1 ~ 1-3)를 제조하기 위한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 ~ 100-3)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예시도로서,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 1-1 ~ 1-3)를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을 보인 평면도와 측면도 및 사용상태 예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2, 100-3)의 각기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측면도이다.
먼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 ~ 100-3)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 1-1 ~ 1-3)의 구조를 설명한다.
가로 방향의 중간부에 복수의 중첩부(14)가 형성된 마스크 패드(10)의 상단과 하단을 열융착하여 내ㆍ외피 및 필터가 서로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되, 마스크 패드(10)의 상단에는 코걸이연성와이어(12)를 내장하였고, 마스크 패드(10)의 양측 단부에 귀걸이끈(13)을 각각 부착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선 출원 및 등록된 마스크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들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 ~ 100-3)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 1-1 ~ 1-3)의 구조적인 특징은, 마스크 패드(10)의 양측 단부는 중첩부(14)를 제외한 가장자리부와 중첩부(14)에 박리방지띠(11:11-1, 11-2, 11-3, 11-4)를 분리하여 형성한 것과, 각 중첩부(14)에서 가장자리의 내측 즉, 박리방지띠(11:11-1, 11-2, 11-3, 11-4) 보다의 내측부에 결착점(15: 15-1 ~ 15-5)을 형성하여 중첩부(14)를 일체형으로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중첩부(14)에 형성되는 박리방지띠(11: 11-2, 11-3, 11-4)는 도 1과 도 2 및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열융착점을 다열 횡대로 형성하는 것과,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2열 횡대로 형성하는 것, 및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1열 횡대로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중첩부(14)에도 박리방지띠(11: 11-2, 11-3, 11-4)를 형성하여 박리방지띠(11: 11-2, 11-3, 11-4)와 중첩부(14)의 하단과의 사이에 간격(d)가 형성되도록 하여 줌으로써, 마스크패드(10)의 내ㆍ외피 및 필터가 박리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중첩부(14)에서 가장자리의 내측 즉, 박리방지띠(11: 11-1, 11-2, 11-3, 11-4) 보다 내측부에 형성되는 결착점(15:15-2 ~ 15-5)은, 도 1과 도 2 및 도 4와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1점결착점(15-1)으로 형성하는 것,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2점결착점(15-2)으로 형성하는 것,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3점을 삼각형상의 형성한 3점결착점(15-3)으로 형성하는 것, 도 3c에 예시된 바와 같이 4점을 사각형상의 형성한 4점결착점(15-4)으로 형성하는 것, 도 3d에 형성된 바와 같이 결착점(15)을 장방형(정사각형, 직사각형)으로 형성한 장방형결착점(15-5)으로 형성한 것을 들 수 있으며,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삼각형의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 중첩부(14)에서 박리방지띠(11: 11-1, 11-2, 11-3, 11-4) 보다 내측부에 결착점(15:15-1 ~ 15-5)을 형성하여 각 중첩부(14)를 일체형으로 결속시켜 줌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를 착용하여 호홉을 하게 되면 마스크 패드(10)의 양측 단부가 전개되면서 착용자의 얼굴(안면의 뺨)에 당접 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 ~ 100-3)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의 착용(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중첩부(14)에 의해 정첩된 마스크패드(10)를 전개시키면서 착용자의 안면에 유지시키고, 하측을 턱의 밑면을 감싸도록 유지시킨 상태에서 양측의 신축성이 있는 귀기걸이끈(13)을 귀에 걸어주고, 콧등에 위치하게 되는 코걸이연성와이어(12)를 압착하여 착용자의 코의 형상과 일치시키며 준다.
상기와 같은 착용방법은 이미 알려진 착용방법이므로 이와 같은 마스크의 착용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를 착용하게 되면, 귀에 걸어진 귀걸이끈(13)이 늘어나면서 탄력에 의해 마스크패드(10)의 양측 단부(상하 양측)를 당기게 되고, 귀걸이끈(13)의 탄력에 의해 당겨지는 양측 단부의 상하측에 형성된 박리방지띠(11:11-1)는 안면(뺨)에 밀접하게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동시에 각 결착점(15:15-2 ~ 15-5)에 의해 억류되는 각 중첩부(14)도 안면(뺨)에 밀접하게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각 결착점(15:15-2 ~ 15-5)이 안면(뺨)에 당접된 상태에서 중첩부(14)의 외측 가장자리가 각 결착점(15:15-2 ~ 15-5)을 기준으로 약간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를 착용하면, 마스크패드(10)가 착용자의 안면을 감싸주고, 양측 단부(상하측)에 형성된 박리방지띠(11:11-1)와 각 결착점(15:15-2 ~ 15-5)에 의해 억류되는 각 중첩부(14)도 안면(뺨)에 밀접하게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숨을 들이쉴 때에 외기가 착용자의 안면(뺨)과 중첩부(14)와의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마스크패드(10)를 통해서만 통과하면서 마스크패드(10)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착용자는 정화된 공기만으로 호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도 6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를 제조하기 위한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 ~ 100-3)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먼저, 도 6a 및 도 6b에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를 제조하기 위한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은, 열융착드럼본체(110)를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열융착드럼본체(110)의 폭을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의 폭(W)과 동이라케 하였고, 열융착드럼본체(110)의 원둘레(101)를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의 길이(L)과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상기 열융착드럼본체(11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단융착부(120)와 하단융착부(125)를 형성하였고, 상기 상단융착부(120)와 하단융착부(125)와의 사이에는 한 쌍의 가장자리열융착블럭(130)을 나란하게 설치하였으며, 각 가장자리융착블럭(130)에는 박리방지융착부를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과 동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각 가장자리융착블럭(130)에 형성되는 박리방지융착부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에 형성된 마스크패드(10)의 중첩부(14)와 일치하도록 복수의 융착방지중첩공간부(136)(137)(138)를 형성하여 박리방지융착부를 양측의 외측박리방지융착부(131)(132)와 분할박리방지융착부(134)(135)(136)로 분할 형성하였다.
특히, 인접하여 나란하게 형성된 각 가장자리융착블럭(130)의 외측에는 융착방지중첩공간부(136)(137)(138)와 동일선상에 결착점융착돌기(140)를 이격시켜 각각 형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를 제조하기 위한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은 도 7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의 원둘레(111)를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의 길이(L)보다 2배로 하여 1/2원둘레(111-1)에 가장자리융착블럭(130)과 결착점융착돌기(140)를 형성하는 것과,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의 원둘레(111)를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의 길이(L)보다 4배로 하여 1/4원둘레(111-2)에 가장자리융착블럭(130)과 결착점융착돌기(140)를 각각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의 원둘레(111)를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의 길이(L)보다 3배로 하여 1/3원둘레(지점)에 가장자리융착블럭(130)과 결착점융착돌기(140)를 각각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 ~ 10-3)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를 제조하는 공정(과정)을 설명한다.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를 제조하는 공정(과정)을 보인 예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를 제조하는 제조장치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관계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를 제조할 때에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는 길이(L)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열기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의 밑면을 통과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이 1회전 할 때마다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가 제조된다.
도 7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의 원둘레(111-1)가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의 길이(L)보다 2배 클 경우에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이 1회전할 때마다 2장씩의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가 제조된다.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2)의 원둘레(111-2)가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의 길이(L)보다 4배 클 경우에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3)이 1회전할 때마다 4장씩의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가 제조된다.
길이(L)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이동(전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가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을 통과하게 되면,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상단융착부(120)와 하단융착부(125)에 의해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의 양측으로 박리방지띠가 형성된다.
이와 동시에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의 선단부는 인접하게 형성된 가장자리융착블럭(130)과 결착점유착돌기(140)에서 먼저 접촉되는 가장자리융착블럭(130)과 결착점유착돌기(140)에 의해 외측박리방지융착부(131)(132)와 분할박리방지융착부(134)(135)(136) 및 중첩부(14)가 형성하게 되고, 계속적으로 이동(전진)하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의 양측으로 박리방지띠가 형성되며,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의 후단부가 나중에 접촉되는 가장자리융착블럭(130)과 결착점유착돌기(140)에 의해 외측박리방지융착부(131)(132)와 분할박리방지융착부(134)(135)(136) 및 중첩부(14)가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100: 100-1 ~ 1-3)을 이용하여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1:1-1 ~ 1-3)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1, 1-1, 1-2, 1-3: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
10: 마스크패드
11, 11-1, 11-2, 11-3, 11-4: 분할박리방지띠
12: 코걸이연성와이어 14: 중첩부
15, 15-1, 15-2, 15-3, 15-4, 15-5: 결착점
100, 100-1, 100-2: 열융착드럼 110: 열융착드럼본체
111: 원둘레 111-1: 1/2원둘레
111-2: 1/4원둘레 120: 상단융착부
125: 하단융착부 130: 가장자리융착블럭
131, 132: 외측박리방지융착부 134, 135: 분할박리방지융착부
136, 137, 138: 공간부 140: 결착점융착돌기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원통형으로 형성된 열융착드럼본체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단융착부와 하단융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단융착부와 하단융착부와의 사이에는 한 쌍의 가장자리열융착블럭을 나란하게 설치하되 각 가장자리융착블럭에는 박리방지융착부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각 가장자리융착블럭에 형성되는 박리방지융착부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에 형성된 마스크패드의 중첩부와 일치하도록 복수의 융착방지중첩공간부를 형성한 것과;
    인접하여 나란하게 형성된 각 가장자리융착블럭의 외측에는 융착방지중첩공간부와 동일선상에 결착점융착돌기를 각각 형성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의 외주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가장자리융착블럭과 복수의 결착점융착돌기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의 원둘레를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의 길이(L)보다 2 ~ 4배로 한 것과;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의 원둘레에서 1/2원둘레 ~ 1/4원둘레에 한 쌍의 가장자리융착블럭과 복수의 결착점융착돌기를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
KR1020200175901A 2020-12-15 2020-12-15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 KR102600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901A KR102600030B1 (ko) 2020-12-15 2020-12-15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901A KR102600030B1 (ko) 2020-12-15 2020-12-15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663A KR20220085663A (ko) 2022-06-22
KR102600030B1 true KR102600030B1 (ko) 2023-11-08

Family

ID=8221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901A KR102600030B1 (ko) 2020-12-15 2020-12-15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0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02452A (ja) 2015-06-12 2017-01-05 日進医療器株式会社 フィット性を向上させるプリーツマスク
JP2018083988A (ja) * 2016-11-21 2018-05-31 白元アース株式会社 マスク
CN111408903A (zh) 2020-03-31 2020-07-14 中山迈雷特数控技术有限公司 一种口罩机熔接辊高效加工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497B1 (ko) * 2004-09-02 2006-08-09 이용철 마스크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02452A (ja) 2015-06-12 2017-01-05 日進医療器株式会社 フィット性を向上させるプリーツマスク
JP2018083988A (ja) * 2016-11-21 2018-05-31 白元アース株式会社 マスク
CN111408903A (zh) 2020-03-31 2020-07-14 中山迈雷特数控技术有限公司 一种口罩机熔接辊高效加工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663A (ko)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56388B1 (en) Mask
KR101918084B1 (ko) 공기챔버 확보형 주름 마스크
KR102073914B1 (ko) 교체가능한 필터조립체를 구비한 안면 마스크
KR101995995B1 (ko) 필터 교체식 마스크
CN111770696A (zh) 一次性口罩
KR20200116431A (ko) 코마스크
KR102568995B1 (ko) 마스크
KR20190078254A (ko) 오리가미식 주름을 구비한 닥섬유 부직포의 마스크
JP3157770U (ja) マスク
KR102600030B1 (ko) 외기유입방지형 마스크제조용 열융착드럼
KR100510163B1 (ko) 상하 융출부를 갖는 일회용 방진마스크
KR102286176B1 (ko) 미세먼지용 코 마스크
KR102624660B1 (ko) 마스크
KR200290424Y1 (ko) 방진용 코 마스크
TWM563773U (zh) 可透視口罩
JP3660036B2 (ja) 使い捨て衛生マスク
KR20210052403A (ko) 마스크
TWM620726U (zh) 口罩
JP3955905B2 (ja) 簡易マスク
CN105054397A (zh) 呼吸道延伸式鼻形罩及具有该鼻形罩的呼吸过滤装置
KR101249610B1 (ko) 상용마스크
JP3121985U (ja) 襞付き立体マスク
CN212088206U (zh) 口罩
KR102654650B1 (ko) 마스크
CN204949586U (zh) 呼吸道延伸式鼻形罩及具有该鼻形罩的呼吸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