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959B1 - Method for supporting self-directed learning mathematics of student using mathematics teaching tool - Google Patents

Method for supporting self-directed learning mathematics of student using mathematics teaching 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959B1
KR102599959B1 KR1020230101800A KR20230101800A KR102599959B1 KR 102599959 B1 KR102599959 B1 KR 102599959B1 KR 1020230101800 A KR1020230101800 A KR 1020230101800A KR 20230101800 A KR20230101800 A KR 20230101800A KR 102599959 B1 KR102599959 B1 KR 102599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cell
unit
natural number
stu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18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미영
Original Assignee
김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영 filed Critical 김미영
Priority to KR1020230101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9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95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2Counting; Calcula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학교구를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사칙연산에 대한 개념을 전달하고, 마인드맵시트를 활용하여 사칙연산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복습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의 수학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주도형 수학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학교구는, 직사각형의 직물재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을 따라 상단영역(161), 중앙영역(162), 하단영역(163)으로 구분되며, 상기 상단영역(161)과 중앙영역(162)의 사이 및 상기 중앙영역(162)과 하단영역(163)의 사이에 각각 너비 방향을 따라 주름(164)이 형성되어서 상기 하단영역(163)이 중앙영역(162)과 중첩되도록 접혀지고 다시 상기 중앙영역(162)이 상단영역(161)과 중첩되도록 접혀지는 접이식본체(160); 상기 접이식본체(160)의 외면 중 상기 중앙영역(162)에 구비되는 포켓(165); 상기 포켓(165) 내에 구비되며, 1 내지 150의 자연수가 기재된 스티커(166); 상기 포켓(165)의 외면에 구비되는 암형스냅버튼; 상기 접이식본체(160)의 상단영역(161)으로부터 연장되는 스트랩커버(167); 상기 스트랩커버(167)에 구비되어서 상기 접이식본체(160)가 접혀진 상태일 때 상기 암형스냅버튼과 체결되는 숫형스냅버튼; 상기 스트랩커버(167)로부터 연장되는 어깨끈(168); 및 상기 접이식본체(160)의 내면에 마련되는 수배열판(169);을 포함하고, 상기 수배열판(169)은, 상기 너비 방향을 따라 10개의 열과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15개의 행으로 배열되어 총 150개로 구성되며, 상기 스티커(166)가 낱개 별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사각형의 칸; 상기 칸을 형성하는 경계선 중 상기 칸의 5번째 열 및 6번째 열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적색의 기준선; 상기 칸을 형성하는 경계선 중 상기 칸의 5번째 행과 6번째 행 사이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흑색의 제1 행기준선; 및 상기 칸을 형성하는 경계선 중 상기 칸의 10번째 행과 11번째 행 사이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분홍색의 제2 행기준선;을 포함하며, 상기 마인드맵시트는, 상기 수학교구를 통해 학습한 내용을 대표하는 목차를 기재할 수 있게 마련되는 세로형의 중앙공란; 및 상기 중앙공란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수학교구를 통해 학습한 내용의 세부사항들을 기재할 수 있게 마련되는 모눈영역;을 포함하여서, 학생이 사칙연산에 대한 개념을 학습할 수 있도록 상기 수학교구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학교구를 통해 사칙연산에 대한 개념을 학습한 학생이 기학습한 내용을 종합하여 요약정리할 수 있도록 상기 마인드맵시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elf-directed method that can improve students' math learning efficiency by conveying the concept of four arithmetic operations to students using mathematics tools and reviewing what they have learned about four arithmetic operations using a mind map sheet. In a method for supporting math learning, the math tool is made of a rectangular fabric material and is divided along the length into an upper area (161), a central area (162), and a lower area (163), wherein the upper area Wrinkles 164 are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area 161 and the central area 162 and between the central area 162 and the lower area 163, so that the lower area 163 is the central area ( A foldable body 160 that is folded to overlap with 162 and folded again so that the central area 162 overlaps with the upper area 161; A pocket 165 provided in the central area 162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oldable body 160; A sticker 166 provided in the pocket 165 and having natural numbers from 1 to 150 written on it; A female snap button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cket 165; A strap cover 167 extending from the upper area 161 of the foldable body 160; a male snap button provided on the strap cover 167 and engaged with the female snap button when the foldable body 160 is in a folded state; A shoulder strap (168) extending from the strap cover (167); and a water array plate 169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oldable main body 160, wherein the water array plate 169 is arranged in 10 columns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15 rows along the length direction, so as to form a total of 15 rows. It consists of 150 rectangular compartments where the stickers 166 are individually attached and detachable; Among the boundaries forming the cell, a red baseline consisting of the boundaries of the 5th and 6th columns of the cell; Among the border lines forming the cell, a black first row reference line formed as a border between the fifth and sixth rows of the cell; And a pink second row reference line consisting of a border line between the 10th row and the 11th row of the box among the border lines forming the box, wherein the mind map sheet represents the content learned through the math tool. A vertical central blank space provided to write a table of contents; And a grid area located on the side of the central blank space and provided to write down details of content learned through the math tool; providing the math tool so that the student can learn the concept of four arithmetic operations. steps; and providing the mind map sheet so that a student who has learned the concept of four arithmetic operations through the math tool can summarize and summarize the content already learned.

Description

수학교구를 활용한 자기주도형 수학 학습 지원 방법{METHOD FOR SUPPORTING SELF-DIRECTED LEARNING MATHEMATICS OF STUDENT USING MATHEMATICS TEACHING TOOL}How to support self-directed mathematics learning using mathematics tools {METHOD FOR SUPPORTING SELF-DIRECTED LEARNING MATHEMATICS OF STUDENT USING MATHEMATICS TEACHING TOOL}

본 발명은 수학교구를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사칙연산에 대한 개념을 쉽게 이해시키기 위한 자기주도형 수학 학습 지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supporting self-directed mathematics learning to help students easily understand the concept of four arithmetic operations using mathematics tools.

특허문헌 0001은 인공지능 기반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독서 코칭 시스템을 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독서를 통해 최고의 지적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유소년기, 청년기와 같은 시기에 특히 학생들에게 객관적으로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하여 자신들의 독서력에 적합한 맞춤형 독서 프로그램을 제시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전문 독서 코치의 코칭 과정을 통해 올바른 독서 습관, 글쓰기 능력 향상, 다양한 배경 지식의 습득 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독서 코칭 시스템을 제시한다.Patent document 0001 discloses a reading coaching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ig data analysis. More specifically, in periods such as childhood and adolescence when the best intellectual growth can be achieved through reading, a customized reading program suitable for students' reading ability can be presented based on objectively analyzed data, and professional reading programs can also be provided. We present a reading coaching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big data analysis that can enable correct reading habits, improvement of writing skills, and acquisition of various background knowledge through the coaching process of a reading coach.

특허문헌 0002는 창의력 향상을 위한 맞춤형 학습놀이와 학습 교재일지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어린이용 학습교재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어린이 교육을 위한 복수 개의 교육 서적이 존재하고 상기 복수 개의 교육 서적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 교육 서적이 선정된 상태에서, 상기 교육 서적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복수 개의 평가 카테고리가 적어도 제1 평가 카테고리, 제2 평가 카테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평가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평가 항목으로 적어도 제1-1 평가항목, 제1-2 평가항목이 포함되고, 상기 제2 평가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평가 항목으로 적어도 제2-1 평가항목, 제2-2 평가항목이 포함되어 있다고 할 때, i) 상기 특정 교육 서적에 대해 상기 제1-1 평가항목의 점수 및 상기 제1-2 평가항목의 점수에 기초한 상기 제1 평가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제1 평가점수가 연산되고, ii) 상기 특정 교육 서적에 대해 상기 제2-1 평가항목의 점수 및 상기 제2-2 평가항목의 점수에 기초한 상기 제2 평가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제2 평가점수가 연산되며, 기설정된 구간대의 평가 레벨 중에서 상기 제1 평가점수에 대응하는 제1 평가레벨 및 상기 제2 평가점수에 대응하는 제2 평가레벨이 각각 산출되고, 상기 제1 평가레벨 및 상기 제2 평가레벨이 표현된 특정 평가표 이미지가 생성된 후, 상기 특정 교육 서적을 이용하는 특정 학습교재의 일부 영역에 상기 특정 교육 서적에 대한 상기 특정 평가표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방법을 제시한다.Patent Document 0002 discloses technology related to customized learning games and learning materials logs to improve creativity. More specifically, in the method of providing learning materials for children, when a plurality of education books for children's education exist and at least one specific education book is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education books, evaluation of the education books A plurality of evaluation categories required to perform include at least a first evaluation category and a second evaluation category, and evaluation items corresponding to the first evaluation category include at least the 1-1 evaluation item and the 1-2 evaluation item. is included, and at least the 2-1 evaluation item and the 2-2 evaluation item are included as evaluation item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valuation category, i) the 1-1 evaluation of the specific education book A first evaluation scor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valuation category is calculated based on the score of the item and the score of the 1-2 evaluation item, ii) the score of the 2-1 evaluation item and the A second evaluation scor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valuation category based on the score of the 2-2 evaluation item is calculated, and the first evaluation level and the second evalu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valuation score among the evaluation levels of the preset interval are calculated. After each second evaluation level corresponding to the score is calculated, and a specific evaluation sheet image expressing the first evaluation level and the second evaluation level is generated, the specific evaluation table image is generated in some areas of the specific learning material using the specific education book. A learning method is presen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cific evaluation table image for the educational book is included.

특허문헌 0003은 한글 및 수학 연계 학습 교구를 포함하는 트리플 N 스터디 세트 및 이를 활용한 한글 및 수학 연계 학습 방법을 개시한다. 아동 학습자가 낱글자학습부, 그림연상카드부와, 게임학습부 및 쓰기교제부를 포함하는 50분과정의 트리플 N 한글과정패키지; 구체물학습부와, 이미지학습부와, 문제풀이부를 포함하는 60분과정의 트리플 N 수학과정패키지;를 통해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한글과 수학을 학습한 후, 트리플 N 교구를 활용하는 트리플 N 최종과정패키지를 통한 창의적인 활동에 의해 한글과 수학을 동시 학습하여 창의력, 사고력, 문제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여 전반적인 학습능률을 극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및 수학을 동시에 학습할 수 있는 교구를 포함하는 트리플 N 스터디 세트에 관한 기술을 제시한다.Patent document 0003 discloses a Triple N study set including Hangul and mathematics linked learning materials and a Hangul and mathematics linked learning method using the same. Triple N Hangul course package, a 50-minute course for child learners that includes a letter learning section, picture association card section, game learning section, and writing study section; After learning Hangul and math efficiently in a short period of time through the 60-minute Triple N math course package, which includes a concrete object learning section, an image learning section, and a problem solving section, the Triple N final course utilizes Triple N teaching aids. A triple package that includes teaching aids for learning Hangul and math at the same time, which maximizes overall learning efficiency by fostering creativity, thinking skills, and problem-solving skills by learning Hangul and math simultaneously through creative activities through the package. We present a description of N study sets.

특허문헌 0004는 유아용 한글 교재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다. 유아용 한글 교재는, 복수의 낱글자가 연상 이미지와 개별적으로 매칭되어 제공되는 낱글자 연상학습부, 상기 낱글자 학습부에서 제공된 낱글자에 대표 받침이 결합된 확장 낱글자가 상기 대표 받침의 발음시에 구현되는 얼굴의 모양 또는 형태에 관한 관찰 이미지와 매칭되어 제공되는 확장낱글자 관찰학습부, 및 상기 낱글자 및 상기 확장 낱글자에 대해 자모음을 분리하고, 분리된 각각의 자음의 형태를 연상시키는 물체 이미지가 매칭되어 제공되는 자모음 분리학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낱글자는 기본 자음과 기본 모음만으로 구성되며 받침이 없는 글자인 기술을 제시한다.Patent document 0004 discloses technology related to Hangul teaching materials for children. The Hangul textbook for children includes a single-letter association learning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single letters are individually matched with associative images, and an extended single letter in which representative consonants are combined with the single letters provided in the single-letter learning unit to form a face that is implemented when pronunciation of the representative consonants. An extended letter observation learning unit provided in matching with an observation image of the shape or form, and an object image reminiscent of the form of each separated consonant that separates consonants for the single letter and the extended single letter and provides matching It includes a consonant and vowel separation learning unit, and presents a technology in which the single letter consists of only basic consonants and basic vowels and is a letter without a final consonant.

KR 10-2386688 (등록일자 2022년04월11일)KR 10-2386688 (registration date April 11, 2022) KR 10-2355026 (등록일자 2022년01월19일)KR 10-2355026 (registration date January 19, 2022) KR 10-2535507 (등록일자 2023년05월18일)KR 10-2535507 (registration date May 18, 2023) KR 10-1537802 (등록일자 2015년07월13일)KR 10-1537802 (registration date: July 13, 2015)

본 발명은 수학교구를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사칙연산에 대한 개념을 전달하고, 마인드맵시트를 활용하여 사칙연산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복습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의 수학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주도형 수학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elf-directed mathematics method that can improve students' math learning efficiency by conveying the concept of four arithmetic operations to students using math tools and reviewing what they have learned about four arithmetic operations using a mind map shee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to support learn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claims.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기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은 수학교구를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사칙연산에 대한 개념을 전달하고, 마인드맵시트를 활용하여 사칙연산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복습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의 수학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주도형 수학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학교구는, 직사각형의 직물재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을 따라 상단영역(161), 중앙영역(162), 하단영역(163)으로 구분되며, 상기 상단영역(161)과 중앙영역(162)의 사이 및 상기 중앙영역(162)과 하단영역(163)의 사이에 각각 너비 방향을 따라 주름(164)이 형성되어서 상기 하단영역(163)이 중앙영역(162)과 중첩되도록 접혀지고 다시 상기 중앙영역(162)이 상단영역(161)과 중첩되도록 접혀지는 접이식본체(160); 상기 접이식본체(160)의 외면 중 상기 중앙영역(162)에 구비되는 포켓(165); 상기 포켓(165) 내에 구비되며, 1 내지 150의 자연수가 기재된 스티커(166); 상기 포켓(165)의 외면에 구비되는 암형스냅버튼; 상기 접이식본체(160)의 상단영역(161)으로부터 연장되는 스트랩커버(167); 상기 스트랩커버(167)에 구비되어서 상기 접이식본체(160)가 접혀진 상태일 때 상기 암형스냅버튼과 체결되는 숫형스냅버튼; 상기 스트랩커버(167)로부터 연장되는 어깨끈(168); 및 상기 접이식본체(160)의 내면에 마련되는 수배열판(169);을 포함하고, 상기 수배열판(169)은, 상기 너비 방향을 따라 10개의 열과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15개의 행으로 배열되어 총 150개로 구성되며, 상기 스티커(166)가 낱개 별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사각형의 칸; 상기 칸을 형성하는 경계선 중 상기 칸의 5번째 열 및 6번째 열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적색의 기준선; 상기 칸을 형성하는 경계선 중 상기 칸의 5번째 행과 6번째 행 사이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흑색의 제1 행기준선; 및 상기 칸을 형성하는 경계선 중 상기 칸의 10번째 행과 11번째 행 사이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분홍색의 제2 행기준선;을 포함하며, 상기 마인드맵시트는, 상기 수학교구를 통해 학습한 내용을 대표하는 목차를 기재할 수 있게 마련되는 세로형의 중앙공란; 및 상기 중앙공란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수학교구를 통해 학습한 내용의 세부사항들을 기재할 수 있게 마련되는 모눈영역;을 포함하여서, 학생이 사칙연산에 대한 개념을 학습할 수 있도록 상기 수학교구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학교구를 통해 사칙연산에 대한 개념을 학습한 학생이 기학습한 내용을 종합하여 요약정리할 수 있도록 상기 마인드맵시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mentioned purpose is to convey the concept of the four arithmetic operations to students using mathematics tools and to review what they have learned about the four arithmetic operations using a mind map sheet. In a method for supporting self-directed math learning that can improve students' math learning efficiency, the math tool is made of a rectangular fabric material, and has an upper area 161 and a central area 162 along the length direction. ), divided into a lower area 163, and wrinkles 164 along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upper area 161 and the central area 162 and between the central area 162 and the lower area 163. A foldable body 160 that is formed and folded so that the lower area 163 overlaps the central area 162 and then the central area 162 overlaps the upper area 161; A pocket 165 provided in the central area 162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oldable body 160; A sticker 166 provided in the pocket 165 and having natural numbers from 1 to 150 written on it; A female snap button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cket 165; A strap cover 167 extending from the upper area 161 of the foldable body 160; a male snap button provided on the strap cover 167 and engaged with the female snap button when the foldable body 160 is in a folded state; A shoulder strap (168) extending from the strap cover (167); and a water array plate 169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oldable main body 160, wherein the water array plate 169 is arranged in 10 columns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15 rows along the length direction, so as to form a total of 15 rows. It consists of 150 rectangular compartments where the stickers 166 are individually attached and detachable; Among the boundaries forming the cell, a red baseline consisting of the boundaries of the 5th and 6th columns of the cell; Among the border lines forming the cell, a black first row reference line formed as a border between the fifth and sixth rows of the cell; And a pink second row reference line consisting of a border line between the 10th row and the 11th row of the box among the border lines forming the box, wherein the mind map sheet represents the content learned through the math tool. A vertical central blank space provided to write a table of contents; And a grid area located on the side of the central blank space and provided to write down details of content learned through the math tool; providing the math tool so that the student can learn the concept of four arithmetic operations. steps; and providing the mind map sheet so that a student who has learned the concept of four arithmetic operations through the mathematics tool can synthesize and summarize the content already learned.

여기서, 칸매니징부(180)가 태블릿의 화면에 너비 방향을 따라 10개의 열과 길이 방향을 따라 1개 내지 15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사각형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칸색상매니징부(181)가 상기 칸의 5번째 열 및 6번째 열을 제1 색상으로 변경하는 단계; 덧셈티칭부(182)가 상기 칸을 이용하여 학생에게 A + B = C(A,B,C는 자연수)의 덧셈 연산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학생이 상기 덧셈티칭부(182)에 의한 프로세스를 합격하면, 뺄셈티칭부(183)가 상기 칸을 이용하여 학생에게 D - E = F(D,E,F는 자연수)의 뺄셈 연산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학생이 상기 뺄셈티칭부(183)에 의한 프로세스를 합격하면, 뛴수티칭부(184)가 상기 칸을 이용하여 학생에게 Gn + H = Gn+1(Gn,H,Gn+1,n은 자연수)의 뛴수 연산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학생이 상기 뛴수티칭부(184)에 의한 프로세스를 합격하면, 연산티칭부(185)가 학생에게 숫자 자체를 이용한 연산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ox management unit 180 creates a square box arranged in 10 columns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1 to 15 row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the compartment color management unit 181 changing the 5th and 6th columns of the compartment to a first color; The addition teaching unit 182 performing a process to teach the student the addition operation of A + B = C (A, B, C are natural numbers) using the box; If the student passes the process by the addition teaching unit 182, the subtraction teaching unit 183 uses the box to teach the student the subtraction operation of D - E = F (D, E, F are natural numbers). performing a process for; If the student passes the process by the subtraction teaching unit 183, the jumping number teaching unit 184 uses the box to tell the student Gn + H = Gn +1 (Gn, H, Gn +1 , n is a natural number) performing a process for teaching the number of jumps calculation; If the student passes the process by the number teaching unit 184, the operation teaching unit 185 performs a process to teach the student an operation using the numbers themselves.

여기서, 상기 덧셈티칭부(182)가 상기 칸을 이용하여 학생에게 A + B = C의 덧셈 연산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A + B ="(A,B,A+B는 10이하의 자연수)의 덧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10개의 열과 1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사각형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앞숫자생성부(187)가 상기 1개의 행 중 A번째 칸에 자연수 A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1개의 행 중 1번째부터 A-1번째까지의 칸을 삭제하는 단계; 정답생성부(188)가 상기 A번째 칸에 자연수 A+B를 상기 자연수 A와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채점부(189)가 상기 A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B가 학생에 의해 A+B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A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B가 상기 A+B번째가 아닌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정답해설부(190)가 A+1번째 칸부터 A+B번째 칸까지 차례대로 각각 1부터 B까지의 자연수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A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B가 상기 A+B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상기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A1 + B1 ="(A1,B1,A1+B1는 20이하의 자연수)의 덧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10개의 열과 2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사각형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앞숫자생성부(187)가 상기 2개의 행 중 A1번째 칸에 자연수 A1을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2개의 행 중 1번째부터 A1-1번째까지의 칸을 삭제하는 단계; 정답생성부(188)가 상기 A1번째 칸에 자연수 A1+B1을 상기 자연수 A1과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채점부(189)가 상기 A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1+B1가 학생에 의해 A1+B1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A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1+B1가 상기 A1+B1번째가 아닌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정답해설부(190)가 A1+1번째 칸부터 A1+B1번째 칸까지 차례대로 각각 1부터 B1까지의 자연수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A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1+B1가 상기 A1+B1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상기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A2 + B2 ="(A2,B2,A2+B2는 30이하의 자연수)의 덧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ddition teaching unit 182 performs a process to teach the addition operation of A + B = C to the student using the box; the question asking unit 186 displays “ Outputting an addition problem of A + B = "(A, B, A + B are natural numbers less than 10); A step of the box management unit 180 creating square boxes arranged in 10 columns and 1 row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ting a natural number A in the Ath column of the one row; A step of the cell management unit 180 deleting the cells from the 1st to the A-1st rows in the row; A step of the answer generator 188 repeatedly outputting the natural numbers A+B in the A-th column alternately with the natural numbers A; The grad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natural number A+B output in the A-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A+B-th column by the student; When the natural number A+B output in the A-th cell is dragged and placed in a cell other than the A+B-th cell, the answer explanation unit 190 sequentially starts from 1 in the A+1th cell to the A+Bth cell. Outputting natural numbers up to B; When the natural number A+B output in the A-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A+B-th column,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displays “A1 + B1 =” (A1, B1, A1+ B1 is a natural number of 20 or less) outputting an addition problem; A step of the box management unit 180 creating a square box arranged in 10 columns and 2 rows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ting a natural number A1 in the A1th column of the two rows; A step of the column management unit 180 deleting the columns from the 1st to A1-1th rows among the two rows; The answer generator 188 repeatedly outputting the natural numbers A1+B1 in the A1th column, alternating with the natural numbers A1; The grad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natural number A1+B1 output in the A1-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A1+B1-th column by the student; When the natural number A1+B1 output in the A1-th cell is dragged and placed in a cell other than the A1+B1-th cell, the answer interpreter 190 sequentially starts from 1 in the A1+1-th cell to the A1+B1-th cell. Outputting natural numbers up to B1; And when the natural number A1+B1 output in the A1-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A1+B1-th column,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displays "A2 + B2 =" (A2, B2, A2 +B2 may include outputting an addition problem of (a natural number less than or equal to 30).

여기서, 상기 학생이 상기 덧셈티칭부(182)에 의한 프로세스를 합격하면, 뺄셈티칭부(183)가 상기 칸을 이용하여 학생에게 D - E = F(D,E,F는 자연수)의 뺄셈 연산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D - E ="(D,E,D-E는 10이하의 자연수)의 뺄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10개의 열과 1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사각형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앞숫자생성부(187)가 상기 1개의 행 중 D번째 칸에 자연수 D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1개의 행 중 10번째부터 D+1번째까지의 칸을 삭제하는 단계; 정답생성부(188)가 상기 D번째 칸에 자연수 D-E를 상기 자연수 D와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채점부(189)가 상기 D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D-E가 학생에 의해 D-E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D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D-E가 상기 D-E번째가 아닌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정답해설부(190)가 D-1번째 칸부터 D-E번째 칸까지 차례대로 각각 1부터 E까지의 자연수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D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D-E가 상기 D-E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상기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D1 - E1 ="(D1,E1,D1-E1은 20이하의 자연수)의 뺄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10개의 열과 2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사각형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앞숫자생성부(187)가 상기 2개의 행 중 D1번째 칸에 자연수 D1을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2개의 행 중 20번째부터 D1+1번째까지의 칸을 삭제하는 단계; 정답생성부(188)가 상기 D1번째 칸에 자연수 D1-E1을 상기 자연수 D1과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채점부(189)가 상기 D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D1-E1가 학생에 의해 D1-E1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D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D1-E1가 상기 D1-E1번째가 아닌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정답해설부(190)가 D1-1번째 칸부터 D1-E1번째 칸까지 차례대로 각각 1부터 E1까지의 자연수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D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D1-E1가 상기 D1-E1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상기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D2 - E2 ="(D2,E2,D2-E2는 30이하의 자연수)의 뺄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if the student passes the process by the addition teaching unit 182, the subtraction teaching unit 183 uses the box to perform the subtraction operation of D - E = F (D, E, F are natural numbers) to the student. A step of performing a process for teaching; a step of the problem question unit 186 outputting a subtraction problem of "D - E =" (D, E, D - E are natural numbers of 10 or less)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the box management unit 180 creating square boxes arranged in 10 columns and 1 row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ting a natural number D in the D column of the one row; A step of the column management unit 180 deleting the 10th to D+1 columns in the one row; A step where the answer generator 188 repeatedly outputs natural numbers D-E in the D column, alternating with the natural numbers D; The grad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natural numbers D-E output in the D-th column are dragged and placed in the D-E-th column by the student; When the natural number D-E output in the D-th cell is dragged and placed in a cell other than the D-E-th cell, the answer interpreter 190 sequentially outputs natural numbers from 1 to E from the D-1th cell to the D-Eth cell. steps; When the natural number D-E output in the D-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D-E-th column,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displays "D1 - E1 =" (D1, E1, D1-E1 is 20 or less)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outputting a subtraction problem of a natural number of); A step of the box management unit 180 creating a square box arranged in 10 columns and 2 rows on the screen of the tablet;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ting a natural number D1 in the D1 column of the two rows; A step of the compartment management unit 180 deleting the 20th to D1+1 columns among the two rows; A step of the answer generator 188 repeatedly outputting natural numbers D1-E1 in the D1th column alternately with the natural numbers D1; The grad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natural numbers D1-E1 output in the D1-th column are dragged and placed in the D1-E1-th column by the student; When the natural number D1-E1 output in the D1-th cell is dragged and placed in a cell other than the D1-E1-th cell, the answer explanation unit 190 sequentially starts from 1 in the D1-1th cell to the D1-E1th cell. Outputting natural numbers up to E1; And when the natural number D1-E1 output in the D1-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D1-E1-th column,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displays "D2 - E2 =" (D2,E2,D2) on the screen of the tablet. -E2 may include outputting a subtraction problem of (a natural number less than or equal to 30).

여기서, 상기 학생이 상기 뺄셈티칭부(183)에 의한 프로세스를 합격하면, 뛴수티칭부(184)가 상기 칸을 이용하여 학생에게 Gn + H = Gn+1(Gn,H,Gn+1,n은 자연수)의 뛴수 연산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Gn + H ="(Gn,H,Gn+H,n은 자연수)의 뛴수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10개의 열과 15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사각형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앞숫자생성부(187)가 상기 15개의 행 중 Gn번째 칸에 자연수 Gn을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15개의 행 중 1번째부터 Gn-1번째까지의 칸을 삭제하는 단계; 정답생성부(188)가 상기 Gn번째 칸에 자연수 Gn+H를 상기 자연수 Gn과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채점부(189)가 상기 Gn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Gn+H가 학생에 의해 Gn+H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Gn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Gn+H가 상기 Gn+H번째가 아닌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정답해설부(190)가 Gn+1번째 칸부터 Gn+H번째 칸까지 차례대로 각각 1부터 H까지의 자연수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Gn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Gn+H가 상기 Gn+H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상기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Gn+1 + H ="(Gn+1 = Gn + H)의 뛴수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앞숫자생성부(187)가 상기 15개의 행 중 Gn+1번째 칸에 자연수 Gn+1을 출력하는 단계; 정답생성부(188)가 상기 Gn+1번째 칸에 자연수 Gn+1+H를 상기 자연수 Gn+1과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채점부(189)가 상기 Gn+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Gn+1+H가 학생에 의해 Gn+1+H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Gn+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Gn+1+H가 상기 Gn+1+H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칸색상매니징부(181)가 상기 15개의 행의 모든 칸 중 Gn+m번째 칸(Gn+m+1 = Gn+m + H, m은 0을 포함하는 자연수)을 제2 색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if the student passes the process by the subtraction teaching unit 183, the subtraction teaching unit 184 uses the box to give the student Gn + H = Gn +1 (Gn, H, Gn + 1 , n is a natural number) performing a process for teaching the operation of jumping numbers; is,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displays "Gn + H =" (Gn, H, Gn + H, n are natural numbers) on the screen of the tablet. Outputting the number of jumps problem; A step of the box management unit 180 creating square boxes arranged in 10 columns and 15 rows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ting a natural number Gn in the Gnth column of the 15 rows; A step of the column management unit 180 deleting the columns from the 1st to the Gn-1th rows among the 15 rows; A step of the answer generator 188 repeatedly outputting a natural number Gn+H in the Gn-th column alternately with the natural number Gn; The grad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natural number Gn+H output in the Gn-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Gn+H-th column by the student; remind When the natural number Gn+H output in the Gn-th cell is dragged and placed in a cell other than the Gn+H-th cell, the answer explanation unit 190 sequentially displays numbers from 1 to H from the Gn+1-th cell to the Gn+H-th cell. Outputting natural numbers up to; When the natural number Gn+H output in the Gn-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Gn+H-th column,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displays "Gn +1 + H =" (Gn +1 = Step of outputting the number of jumps problem of Gn + H); A step of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ting the natural number Gn +1 in the Gn + 1th column of the 15 rows; A step of the answer generator 188 repeatedly outputting the natural number Gn +1 +H in the Gn +1 -th column alternately with the natural number Gn +1 ; The grad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natural number Gn +1 +H output in the Gn +1 -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Gn +1 +H-th column by the student; And when the natural number Gn +1 +H output in the Gn +1 -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Gn +1 +H-th column, the cell color management unit 181 selects Gn + m among all cells in the 15 rows. It may include changing the second cell (Gn + m +1 = Gn + m + H, where m is a natural number including 0) to the second color.

여기서, 상기 학생이 상기 뛴수티칭부(184)에 의한 프로세스를 합격하면, 연산티칭부(185)가 학생에게 숫자 자체를 이용한 연산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A + B ="(A,B,A+B는 150이하의 자연수)의 덧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10개의 열과 15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사각형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앞숫자생성부(187)가 상기 15개의 행 중 A번째 칸에 자연수 A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A-1번째 칸, A번째 칸, A+1번째 칸을 병합하여 하나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정답생성부(188)가 상기 A번째 칸에 자연수 A+B를 상기 자연수 A와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채점부(189)가 상기 A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B가 학생에 의해 A+B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A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B가 상기 A+B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상기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A1 + B1 ="(A1,B1,A1+B1는 150이하의 자연수)의 덧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앞숫자생성부(187)가 상기 15개의 행 중 A1번째 칸에 자연수 A1을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A1-2번째 칸, A1-1번째 칸, A1번째 칸, A1+1번째 칸, A1+2번째 칸을 병합하여 하나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정답생성부(188)가 상기 A1번째 칸에 자연수 A1+B1을 상기 자연수 A1과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채점부(189)가 상기 A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1+B1가 학생에 의해 A1+B1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A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1+B1가 상기 A1+B1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상기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A2 + B2 ="(A2,B2,A2+B2는 150이하의 자연수)의 덧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A2-2번째 칸, A2-1번째 칸, A2번째 칸, A2+1번째 칸, A2+2번째 칸을 병합하여 하나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앞숫자생성부(187)가 상기 A2-2번째 칸, A2-1번째 칸, A2번째 칸, A2+1번째 칸, A2+2번째 칸 중 어느 하나의 칸을 랜덤하게 선택하고, 랜덤하게 선택된 칸에 자연수 A2를 출력하는 단계; 정답생성부(188)가 상기 랜덤하게 선택된 칸에 자연수 A2+B2를 상기 자연수 A2와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채점부(189)가 상기 랜덤하게 선택된 칸에 출력된 자연수 A2+B2가 학생에 의해 A2+B2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if the student passes the process by the number teaching unit 184, the arithmetic teaching unit 185 performs a process to teach the student an operation using the numbers themselves; ) outputting an addition problem of "A + B =" (A, B, A + B are natural numbers less than 150)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the box management unit 180 creating square boxes arranged in 10 columns and 15 rows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ting a natural number A in the Ath column of the 15 rows; A step in which the compartment management unit 180 merges the A-1st compartment, the Ath compartment, and the A+1th compartment to create one compartment; A step where the answer generator 188 repeatedly outputs the natural numbers A+B in the A-th column, alternating with the natural numbers A; The grad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natural number A+B output in the A-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A+B-th column by the student; When the natural number A+B output in the A-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A+B-th column,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displays “A1 + B1 =” (A1, B1, A1+ B1 is a natural number less than 150) outputting an addition problem; A step of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ting a natural number A1 in the A1th column of the 15 rows; A step in which the compartment management unit 180 merges the A1-2th column, the A1-1st column, the A1th column, the A1+1th column, and the A1+2th column to create one column; The answer generator 188 repeatedly outputting the natural numbers A1+B1 in the A1th column, alternating with the natural numbers A1; The grad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natural number A1+B1 output in the A1-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A1+B1-th column by the student; When the natural number A1+B1 output in the A1-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A1+B1-th column,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displays "A2 + B2 =" (A2, B2, A2+ B2 is a natural number of 150 or less) outputting an addition problem; A step in which the compartment management unit 180 merges the A2-2th column, the A2-1st column, the A2th column, the A2+1th column, and the A2+2th column to create one column;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randomly selects one of the A2-2th column, A2-1st column, A2th column, A2+1st column, and A2+2th column, and randomly selects Outputting the natural number A2 in the box; A step of the answer generator 188 repeatedly outputting the natural numbers A2+B2 in the randomly selected box, alternating with the natural numbers A2; and a step where the grad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natural number A2+B2 output in the randomly selected cell is dragged and positioned in the A2+B2th cell by the student.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자기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에 의하면, 수학교구를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사칙연산에 대한 개념을 전달하고, 마인드맵시트를 활용하여 사칙연산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복습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의 수학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concept of the four arithmetic operations is conveyed to students using mathematics tools, and the students are encouraged to review what they have learned about the four arithmetic operations using a mind map sheet. It can improve your math learning efficiency.

본 발명의 다른 효과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eff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eff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에 의해 스캐닝된 교과서의 내용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워크시트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마인드맵시트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을 구현하는데 이용되는 구성들의 블록도이다.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에 활용되는 수학교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에 활용되는 마인드맵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에서 수배열판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워크시트를 보인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을 구현하는데 이용되는 구성들의 블록도이다.
Figure 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diagrams showing the contents of a textbook scanned by the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a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worksheet provided by a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a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 to 9 are diagrams showing mind map sheets provided by the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block diagram of components used to implement a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1 to 1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mathematics tools used in a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ind map sheet used in a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8 to 28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rocess performed by the number array board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9 is a diagram showing a worksheet provided by a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0 is a block diagram of components used to implement a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The purpose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echnical configuration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se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just become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마련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로 지칭되는 구성들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내의 CPU, AP, 그래픽 카드, 하드디스크, SSD, 모니터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ncludes" or "is provided" with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means. Additionally, terms such as "... unit" us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Specifically, components referred to as “~part” may be implemented through CPU, AP, graphics card, hard disk, SSD, monitor, etc. in a desktop computer, laptop computer, smartphone, or tablet.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functional block, or means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subcomponents, and the electrical, electronic, and mechanical functions performed by each component include an electronic circuit, It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known elements or mechanical elements such as an integrated circuit or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nd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or by integrating two or more into one.

또한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온라인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아래에서 설명할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Additionally, combinations of each block in the attached block diagram and each step in the flow diagram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be mounted on the processor of a general-purpose computer, a special-purpose computer, a portable laptop computer, a network computer,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n online game service providing serv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they can be used as a computer device or other program. The instructions, which are executed through the processor of the avail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create a means of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or each step of the flow diagram described below.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장치에 이용 가능한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기 위한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memory available to a computer device or in computer-readable memory that can be directed to the computer device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manner, so that each block of the block diagram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produce a product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that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step of the flow diagram. Sinc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also be mounted on a computer device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a process for performing a series of operation steps on a computer device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is created, and each block and flow diagram of the block diagram is displaye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step.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실시예 1-1) 본 발명은 교과서, 문제집, 동화책을 학습한 학생이 학습한 내용을 스스로 요약정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 상기 교과서, 문제집, 동화책의 내용에 대한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주도형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교과서는 복수의 대단원, 상기 대단원의 하부 단원인 복수의 소단원으로 구획되어 내용이 기재되고, 상기 소단원에 기재된 교과내용을 그 내용에 따라 각각 세분하여 암시해 줌으로써 상기 학생에게 기학습한 교과서의 내용을 세분하여 가이드해주는 소목차와, 상기 소목차에 대응하는 교과내용을 상기 학생이 요약하여 기재할 수 있게 마련된 공란을 포함하는 워크시트; 및 상기 대단원에 대응하는 대목차를 기재하기 위한 세로형의 중앙공란과, 상기 중앙공란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워크시트의 공란에 기재된 교과내용과 상기 소목차를 함께 기재할 수 있게 마련된 가로형의 측면공란을 포함하는 마인드맵시트;를 이용하여서, 상기 교과서를 학습한 학생이 상기 소단원에 기재된 교과내용을 상기하여 복습할 수 있도록 상기 워크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워크시트의 공란에 교과내용을 요약하여 기재한 학생이 상기 교과서의 대단원에 기재된 복수의 교과내용들을 종합하여 요약정리할 수 있도록 상기 마인드맵시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Example 1-1) The present invention helps students who have studied textbooks, workbooks, and storybooks to summarize what they have learned on their own, thereby improving learning efficiency for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workbooks, and storybooks. , relates to a method for supporting self-directed learning. The textbook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ajor chapters and a plurality of subunits that are lower units of the major chapters, and the contents are described, and the curriculum content described in the subunits is subdivided according to the content. A worksheet including a table of contents that guides the student by subdividing the contents of the previously studied textbook by providing hints, and blank spaces provided so that the student can summarize and write down the subjec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and a vertical central blank for writing a table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main unit, and horizontal side blanks located on the sides of the central blank so that the subject content written in the blanks of the worksheet and the table of contents can be written together. providing the worksheet using a mind map sheet including a so that a student who has studied the textbook can recall and review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in the sub-unit; and providing the mind map sheet so that the student who has written a summary of the subject content in the blank space of the worksheet can synthesize and summarize a plurality of subject contents described in the main chapter of the textbook.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교과서, 문제집, 동화책 등을 학습한 학생이 배웠던 내용을 자신의 손으르 직접 요약하여 작성해 보는 경험은 학생에게 상당한 학습 효과를 주게 된다. 본 발명은 학생이 이러한 경험을 보다 손쉽게 획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게 된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As shown in Figure 1, the experience of a student who has studied textbooks, workbooks, storybooks, etc., directly summarizing and writing down what he or she has learned provides a significant learning effect to the student. The present invention helps students acquire this experience more easily. This is explain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학생들이 공부하는 교과서는 대개 대단원과 대단원의 하부 단원인 소단원으로 구획되어 내용이 기재된다. 이러한 교과서의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하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성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extbooks studied by students are usually divided into a main chapter and sub-units, which are sub-units of the main chapter, and the contents are described. If the contents of these textbooks are summarized and organized, they can be written as shown in FIG. 4.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학생에게 소단원에 기재된 교과내용을 그 내용에 따라 각각 세분하여 암시해 줌으로써 기학습한 교과서의 내용을 세분하여 가이드해주는 소목차와, 소목차에 대응하는 교과내용을 학생이 요약하여 기재할 수 있게 마련된 공란을 포함하는 워크시트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학생은 워크시트의 공란에 기학습한 교과내용을 직접 작성해 봄으로써 배웠던 내용을 복습 및 상기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ure 5,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able of contents that guides students by subdividing the content of textbooks they have already learned by subdividing and suggesting the subject content written in each subsec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and curriculum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as shown in Figure 5. Provide a worksheet with blank spaces for students to write summaries. Accordingly, students can review and recall what they have learned by directly writing down the content they have already learned in the blank spaces on the worksheet.

학생이 이러한 과정을 통해 소단원에 대한 워크시트의 작성을 마무리하면, 그 간에 배웠던 소단원들의 내용을 종합하여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단원의 내용들을 직접 작성해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마인드맵시트를 제공한다.Once the student completes the worksheet for the sub-unit through this process, he or she can synthesize the contents of the sub-units learned so far and directly write the contents of the main unit as shown in FIG. 6.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ind map sheet as shown in FIG. 7.

마인드맵시트는 대단원에 대응하는 대목차를 기재하기 위한 세로형의 중앙공란과, 중앙공란의 측면에 위치하고 워크시트의 공란에 기재된 교과내용과 소목차를 함께 기재할 수 있게 마련된 가로형의 측면공란을 포함한다. 이를 이용하여, 학생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마인드맵을 쉽게 정리해볼 수 있게 된다. 마인드맵시트는 도 8 및 도 9에 각각 도시된 것과 같이 중앙공란만 마련되거나 또는 모눈종이 형태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차이는 과목의 종류 또는 요약정리할 소단원의 갯수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The mind map sheet has a vertical central blank space for writing the table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main unit, and a horizontal side blank space located on the side of the central blank space so that the subject content and table of contents written in the blank spaces of the worksheet can be written together. Includes. Using this, the student can easily organize a mind map like the one shown in Figure 6. The mind map sheet may have only a central blank space as shown in FIGS. 8 and 9, respectively, or may be composed only in the form of grid paper. These differences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depending on the type of subject or the number of subunits to be summarized.

(실시예 2-1) 본 발명은 스캐닝부(110)가 상기 학생이 교과내용을 요약하여 기재한 워크시트와 상기 교과서를 스캐닝하는 단계; OCR인식부(111)가 상기 워크시트 및 교과서의 스캐닝 사본으로부터 그에 기재된 컨텐츠를 OCR인식하여 디지털텍스트화하는 단계; 교과서인식부(120)가 상기 교과서의 디지털텍스트 사본으로부터 교과내용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워크시트인식부(130)가 상기 워크시트의 디지털텍스트 사본의 소목차에서 상기 교과서인식부(120)에 의해 추출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소목차를 검색하여 그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교과서의 키워드와 일치하는 워크시트 내의 소목차의 위치가 인식되면, 채점부가 상기 워크시트의 소목차 옆의 공란 내의 텍스트가 상기 교과서의 또다른 키워드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단계; 및 소목차복습부(150)가 상기 워크시트의 디지털텍스트 사본에서 소목차를 삭제하고 상기 학생에 의해 소목차와 일치하는 텍스트가 입력되는지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Example 2-1)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the scanning unit 110 scanning the worksheet and the textbook on which the student summarizes the subject content; The OCR recognition unit 111 OCR-recognizes the content written in the worksheet and the scanned copy of the textbook and converts it into digital text; A textbook recognition unit 120 extracting keywords of subject content from a digital text copy of the textbook; A step where the worksheet recognition unit 130 searches the table of contents of the digital text copy of the worksheet for a table of contents matching the keyword extracted by the textbook recognition unit 120 and recognizes its loca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table of contents in the worksheet that matches the keyword of the textbook is recognized, the grading unit compares whether the text in the blank space next to the table of contents of the worksheet matches another keyword of the textbook; and the table of contents review unit 150 deleting the table of contents from the digital text copy of the worksheet and checking whether text matching the table of contents is input by the student.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종이 형태의 워크시트 및 마인드맵시트에 학생이 직접 작성한 내용들을 손쉽게 채점하거나 또는 학습한 내용들을 좀더 거시적으로 조망해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grade the contents written by the student on paper worksheets and mind map sheets, or provide a more macroscopic view of the learned contents.

(실시예 2-2)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교과서인식부(120)가 상기 교과서의 디지털텍스트 사본으로부터 교과내용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는, 문단개시인식부(121)가 상기 교과서의 디지털텍스트 사본으로부터 텍스트의 첫 음절의 위치를 인식하여, 일 텍스트의 첫 음절이 바로 윗줄 텍스트 또는 바로 아랫줄 텍스트의 첫 음절보다 오른쪽에 위치하면 일 텍스트의 첫 음절을 문단의 시작점으로 인식하는 단계; 문단종료인식부(122)가 상기 교과서의 디지털텍스트 사본으로부터 마침표 및 공백을 인식하여, 일 문장의 마침표 뒤에 띄어쓰기 3칸 이상의 공백이 존재하면 일 문장의 마침표를 문단의 종료점으로 인식하는 단계; 문장인식부(123)가 상기 교과서의 디지털텍스트 사본에서 제1 마침표를 문장의 시작점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1 마침표 뒤의 최초의 마침표인 제2 마침표를 문장의 종료점으로 인식하여 상기 제1 마침표와 제2 마침표 사이의 텍스트를 하나의 문장으로 인식하는 단계; 구절인식부(124)가 상기 교과서의 디지털텍스트 사본으로부터 쉼표 및 쉼표 앞의 문자를 인식하여, 상기 쉼표 앞의 문자가 '으로', '으로서', '고', '며' 중 어느 하나이면 상기 쉼표 앞의 텍스트 및 상기 쉼표 뒤의 텍스트를 각각 하나의 구절로 인식하는 단계; 조사삭제부(125)가 상기 교과서의 디지털텍스트 사본으로부터 '은', '는', '이', '가', '으로', '으로서', '을', '를', '이고', '이며', '있으며', '라고', '이라고', '이다', '있다', '하다', '한다'를 삭제하는 단계; 및 키워드추출부(126)가 상기 삭제하는 단계 이후의 디지털텍스트 사본에 남아있는 텍스트를 키워드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Example 2-2) In Example 2-1, the textbook recognition unit 120 extracts keywords of course content from a digital text copy of the textbook; the paragraph start recognition unit 121 performs the steps of: By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syllable of a text from a digital text copy of a textbook, if the first syllable of a text is located to the right of the first syllable of the text immediately above or below the text, the first syllable of the text is recognized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paragraph. step; The paragraph end recognition unit 122 recognizes periods and spaces from the digital text copy of the textbook, and if there is a space of three or more spaces after the period in a sentence, recognizing the period in the sentence as the end point of the paragraph; The sentence recognition unit 123 recognizes the first period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sentence in the digital text copy of the textbook and recognizes the second period, which is the first period after the first period, as the ending point of the sentence, and recognizes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as the ending point of the sentence. 2 Recognizing the text between periods as one sentence; The phrase recognition unit 124 recognizes the comma and the character before the comma from the digital text copy of the textbook, and if the character before the comma is any of 'as', 'as', 'go', and 'and', the Recognizing the text before the comma and the text after the comma as one phrase; The search deletion unit 125 selects 'eun', 'is', 'is', 'ga', 'as', 'as', 'eul', 'eul', 'and', Deleting 'is', 'is', 'say', 'is', 'is', 'is', 'do', and 'do'; and extracting, by the keyword extracting unit 126, text remaining in the copy of the digital text after the deleting step as a keyword.

본 발명은 문단개시인식부(121) 및 문단종료인식부(122)를 통해 교과서의 문단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3의 3번째 문단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4번째 줄의 첫 음절인 "지"가 3번째 줄의 첫 음절인 "으" 또는 5번째 줄의 첫 음절인 "지"보다 오른쪽에 위치하므로, 본 발명은 4번째 줄의 첫 음절인 "지"를 문단의 시작점으로 인식한다. 다음으로, "고체 상태이다."에서 마침표 뒤에 띄어쓰기 3칸 이상의 공백이 존재하므로, 본 발명은 위의 마침표를 문단의 종료점으로 인식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cognize textbook paragraphs through the paragraph start recognition unit 121 and the paragraph end recognition unit 122. The explanation is as follows using the third paragraph of Figure 3 as an example. First, since "ji", the first syllable of the 4th line, is located to the right of "eu", the first syllable of the 3rd line, or "ji", the first syllable of the 5th line,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syllable of the 4th line, “Ji” is recognized as the starting point of a paragraph. Next, since there is a space of three or more spaces after the period in “It is in a solid state,”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above period as the end point of the paragraph.

본 발명은 문장인식부(123)를 통해 교과서의 문장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3의 3번째 문단의 2번째 문장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3번째 문단의 1번째 문장 중 "구분된다."의 마침표를 문장의 시작점으로 인식하고, 위 마침표 뒤의 최초의 마침표인 "약 5km이다."의 마침표를 문장의 종료점으로 인식하여 양 마침표 사이의 텍스트를 하나의 문장으로 인식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cognize sentences in textbooks through the sentence recognition unit 123. The explanation is as follows using the second sentence of the third paragraph of Figure 3 as an example. First, in the first sentence of the 3rd paragraph, the period "It is separated." is recognized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sentence, and the period "It is about 5km," which is the first period after the above period, is recognized as the ending point of the sentence, and both periods are used. The text between is recognized as one sentence.

본 발명은 구절인식부(124)를 통해 교과서의 구절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3의 3번째 문단의 2번째 문장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구절인식부(124)는 "약35km이고,"에서 쉼표 앞에 "고"가 위치하므로, 쉼표 앞의 텍스트 및 쉼표 뒤의 텍스트를 각각 하나의 구절로 인식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cognize passages in a textbook through the passage recognition unit 124. The explanation is as follows using the second sentence of the third paragraph of Figure 3 as an example. Since “go” is located before the comma in “about 35 km,” the phrase recognition unit 124 recognizes the text before the comma and the text after the comma as one phrase.

본 발명은 조사삭제부(125)를 통해 교과서의 교과내용으로부터 핵심 키워드 추출을 위한 준비 작업을 수행한다. 도 3의 3번째 문단의 2번째 문장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대륙 지각(의) 평균 두께(는) 약35km(이고), 해양 지각의 평균 두께(는) 약5km(이다)."와 같다. 여기서, ( )안의 문자는 삭제되는 문자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preparatory work for extracting key keywords from the subject matter of the textbook through the search deletion unit 125. The explanation is as follows using the second sentence of the third paragraph of Figure 3 as an example. It is equivalent to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ntinental crust is about 35 km, and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oceanic crust is about 5 km.” Here, the characters in ( ) are the characters to be deleted.

본 발명은 키워드추출부(126)를 통해 교과서의 교과내용으로부터 핵심 키워드를 추출한다. 도 3의 3번째 문단의 2번째 문장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대륙 / 지각 / 평균 / 두께 / 약35km / 해양 / 지각의 / 평균 / 두께 / 약5km"와 같다.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key keywords from the subject matter of the textbook through the keyword extraction unit 126. The explanation is as follows using the second sentence of the third paragraph of Figure 3 as an example. It is equivalent to “Continent / Crust / Average / Thickness / About 35km / Ocean / Crust / Average / Thickness / About 5km”.

(실시예 2-3)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워크시트인식부(130)가 상기 워크시트의 디지털텍스트 사본의 소목차에서 상기 교과서인식부(120)에 의해 추출된 키워드와 일치하는 소목차를 검색하여 그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는, 문단위치매칭부가 상기 문단개시인식부(121) 및 문단종료인식부(122)에 의해 인식된 교과서의 제1 문단으로부터 추출되는 제1 키워드를 인식하여, 상기 워크시트의 디지털텍스트 사본에서 상기 제1 키워드와 일치하는 제1 소목차를 검색하는 단계; 문장위치매칭부가 상기 문장인식부(123)에 의해 인식된 교과서의 제1 문장으로부터 추출되는 제2 키워드를 인식하여, 상기 워크시트의 디지털텍스트 사본에서 상기 제2 키워드와 일치하는 제1 소목차의 하위 목차인 제2 소목차를 검색하는 단계; 및 구절위치매칭부가 상기 구절인식부(124)에 의해 인식된 교과서의 제1 구절로부터 추출되는 제3 키워드를 인식하여, 상기 워크시트의 디지털텍스트 사본에서 상기 제3 키워드와 일치하는 제2 소목차의 하위 목차인 제3 소목차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Example 2-3) In Example 2-2, the worksheet recognition unit 130 matches the keyword extracted by the textbook recognition unit 120 from the table of contents of the digital text copy of the worksheet. A step of searching the table of contents and recognizing its location; the paragraph position matching unit selects the first keyword extracted from the first paragraph of the textbook recognized by the paragraph start recognition unit 121 and the paragraph end recognition unit 122. recognizing and searching for a first table of contents matching the first keyword in the digital text copy of the worksheet; The sentence position matching unit recognizes the second keyword extracted from the first sentence of the textbook recognized by the sentence recognition unit 123, and creates a first table of contents matching the second keyword in the digital text copy of the worksheet. Searching a second table of contents, which is a lower table of contents; And the passage position matching unit recognizes the third keyword extracted from the first passage of the textbook recognized by the passage recognition unit 124, and creates a second table of contents matching the third keyword in the digital text copy of the worksheet. It includes a step of searching the third table of contents, which is the lower table of contents.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정을 통해 교과서의 교과내용과 비교되어야할 워크시트의 위치를 인식하게 된다. 도 3의 3번째 문단의 2번째 문장의 2번째 구절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worksheet to be compared with the subject matter of the textbook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explanation is as follows, taking the second phrase of the second sentence of the third paragraph of Figure 3 as an example.

먼저, 문단위치매칭부는 3번째 문단의 키워드인 "지각 / 두께 / 가장 / 얇은 / 대륙 / 지각 / 해양 / 지각 / 구분된다 / 대륙 / 지각의 / 평균 / 두께 / 약35km / 해양 / 지각의 / 평균 / 두께 / 약5km / 지각 / 여러 가지 암석 / 이루어져 / 고체 상태"를 인식하고, 이들 키워드 중 일치하는 키워드를 워크시트의 디지털텍스트 사본의 제1 소목차들인 "정의 / 특징 / 이용 / 지각 / 맨틀 / 외핵"에서 검색한다. 여기서, 일치하는 제1 소목차는 "지각"이므로, 문단위치매칭부는 교과서의 3번째 문단을 워크시트의 "지각"의 위치에 매칭시킨다.First, the paragraph position matching part contains the keywords of the 3rd paragraph: "Crust / Thickness / Thinnest / Continent / Crust / Ocean / Crust / Divided / Continent / Crust / Average / Thickness / About 35km / Ocean / Crust / Average / Thickness / About 5 km / Crust / Various rocks / Consisting of / Solid state", and match the keywords among these keywords in the first table of contents of the digital text copy of the worksheet, "Definition / Characteristics / Use / Crust / Mantle / Search for “outer core”. Here, since the matching first table of contents is “perception,” the paragraph position matching unit matches the third paragraph of the textbook to the position of “perception” in the worksheet.

다음으로, 문장위치매칭부는 3번째 문단의 2번째 문장의 키워드인 "대륙 / 지각 / 평균 / 두께 / 약35km / 해양 / 지각의 / 평균 / 두께 / 약5km"를 인식하고, 이들 키워드 중 일치하는 키워드를 워크시트의 디지털텍스트 사본의 제2 소목차들인 "모습 / 구분 / 두께 / 구성 / 상태"에서 검색한다. 여기서, 일치하는 제2 소목차는 "두께"이므로, 문장위치매칭부는 교과서의 3번째 문단의 2번째 문장을 워크시트의 "두께"의 위치에 매칭시킨다.Next, the sentence position matching unit recognizes the keywords in the second sentence of the third paragraph, “Continent / Crust / Average / Thickness / About 35km / Ocean / Crust / Average / Thickness / About 5km”, and matches any of these keywords. Search for keywords in the second table of contents of the digital text copy of the worksheet, “Appearance / Division / Thickness / Composition / Status.” Here, since the matching second table of contents is “thickness,” the sentence position matching unit matches the second sentence of the third paragraph of the textbook to the position of “thickness” in the worksheet.

다음으로, 구절위치매칭부는 3번째 문단의 2번째 문장의 2번째 구절의 키워드인 "해양 / 지각의 / 평균 / 두께 / 약5km"를 인식하고, 이들 키워드 중 일치하는 키워드를 워크시트의 디지털텍스트 사본의 제3 소목차들인 "대륙 / 해양"에서 검색한다. 여기서, 일치하는 제3 소목차는 "해양"이므로, 구절위치매칭부는 교과서의 3번째 문단의 2번째 문장의 2번째 구절을 워크시트의 "해양"의 위치에 매칭시킨다.Next, the phrase position matching unit recognizes the keywords in the second phrase of the second sentence of the third paragraph, “ocean / crust / average / thickness / about 5km”, and places the matching keywords among these keywords in the digital text of the worksheet. Search in the third table of contents of the manuscript, “Continents/Oceans.” Here, since the matching third table of contents is “ocean,” the phrase position matching unit matches the second phrase of the second sentence of the third paragraph of the textbook to the position of “ocean” in the worksheet.

(실시예 2-4)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교과서의 키워드와 일치하는 워크시트 내의 소목차의 위치가 인식되면, 채점부가 상기 워크시트의 소목차 옆의 공란 내의 텍스트가 상기 교과서의 또다른 키워드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단계;는, 정오판단부(141)가 상기 제1 문단, 제1 문장, 제1 구절로부터 추출된 제4 키워드, 제5 키워드, 제6 키워드가 각각 상기 제1 소목차, 제2 소목차, 제3 소목차 옆의 공란 내의 텍스트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단계; 및 점수산출부(142)가 상기 제4 키워드, 제5 키워드, 제6 키워드가 상기 공란 내의 텍스트와 일치하는 갯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Example 2-4) In Example 2-3, when the position of the table of contents in the worksheet that matches the keyword of the textbook is recognized, the grading unit determines that the text in the blank next to the table of contents of the worksheet is that of the textbook. A step of comparing whether it matches another keyword; the error judgment unit 141 determines that the fourth, fifth, and sixth keywords extracted from the first paragraph, first sentence, and first phrase are the first keywords, respectively. Comparing whether the text in the blank space next to the table of contents, the second table of contents, or the third table of contents matches the text; and a step of the score calculation unit 142 calculating the number of matches between the fourth keyword, the fifth keyword, and the sixth keyword with the text in the blank space.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정을 통해 학생의 미흡한 학습 부분을 손쉽게 알아낼 수 있다. 이를 위해, 정오판단부(141)는 상술한 문단, 문장, 구절로부터 추출된 상기 제1 소목차, 제2 소목차, 제3 소목차와 또 다른 키워드인 제4 키워드, 제5 키워드, 제6 키워드를 각각 상기 제1 소목차, 제2 소목차, 제3 소목차 옆의 공란 내의 텍스트와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dentify a student's learning shortcomings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error judgment unit 141 us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ntents extracted from the above-mentioned paragraphs, sentences, and phrases, and another keywords such as the fourth keyword, the fifth keyword, and the sixth keyword. Keywords are compared to see if they match the text in the blank space next to the first table of contents, second table of contents, and third table of contents.

예컨대, 도 3의 2번째 문단의 경우, 제4 키워드는 "지진파 / (이용) / 알아낸 지구 내부 / 그림1-2와 같이 / 지각, 맨틀, 외핵, 내핵 / 구분할 수"이고, 정오판단부(141)는 이를 제1 소목차인 "이용" 옆의 공란 내에 학생이 적은 텍스트와 비교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second paragraph of Figure 3, the fourth keyword is "Seismic waves / (Use) / Discovered Earth's interior / As shown in Figure 1-2 / Crust, mantle, outer core, inner core / Can be distinguished", and the noon judgment unit (141) compares this to the text the student wrote in the space next to “Use,” the first table of contents.

도 3의 4번째 문단의 3번째 문장의 경우, 제5 키워드는 "지각과 / 맨틀의 / 경계면 / (최초로 발견한 과학자) / 모호로비치치의 이름 / 따서 / 모호로비치치 불연속면"이고, 정오판단부(141)는 이를 제2 소목차인 "최초로 발견한 과학자" 옆의 공란 내에 학생이 적은 텍스트와 비교한다.In the case of the 3rd sentence of the 4th paragraph of Figure 3, the 5th keyword is "the / boundary between the crust and the / mantle / (the first scientist who discovered it) / the name of / after / the Mohorowičić discontinuity", and the noon judgment unit (141) Compare this to the text the student wrote in the space next to “First Scientist to Discover” in the second table of contents.

3번째 문단의 2번째 문장의 2번째 구절의 경우, 제6 키워드는 "(해양) / 지각의 / 평균 / 두께 / 약5km"이고, 정오판단부(141)는 이를 제3 소목차인 "해양" 옆의 공란 내에 학생이 적은 텍스트와 비교한다.In the case of the 2nd phrase of the 2nd sentence of the 3rd paragraph, the 6th keyword is "(ocean) / crust / average / thickness / about 5km", and the noon judgment unit 141 divides it into the 3rd table of contents, "Ocean " Compare with the text the student wrote in the space next to it.

이후, 점수산출부(142)는 상기 제4 키워드, 제5 키워드, 제6 키워드가 상기 공란 내의 텍스트와 일치하는 갯수를 산출한다.Thereafter, the score calculation unit 142 calculates the number of matches between the fourth keyword, fifth keyword, and sixth keyword with the text in the blank space.

(실시예 2-5) 실시예 2-4에 있어서, 상기 소목차복습부(150)가 상기 워크시트의 디지털텍스트 사본에서 소목차를 삭제하고 상기 학생에 의해 소목차와 일치하는 텍스트가 입력되는지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제4 키워드, 제5 키워드, 제6 키워드가 상기 공란 내의 텍스트와 모두 일치하면, 제3 소목차복습부(153)가 상기 워크시트의 디지털텍스트 사본에서 제3 소목차를 삭제하고, 상기 학생에 의해 제3 소목차와 일치하는 텍스트가 입력되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제3 소목차와 일치하는 텍스트가 입력되면, 제2 소목차복습부(152)가 상기 워크시트의 디지털텍스트 사본에서 제2 소목차를 삭제하고, 상기 학생에 의해 제2 소목차와 일치하는 텍스트가 입력되는지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소목차와 일치하는 텍스트가 입력되면, 제1 소목차복습부(151)가 상기 워크시트의 디지털텍스트 사본에서 제1 소목차를 삭제하고, 상기 학생에 의해 제1 소목차와 일치하는 텍스트가 입력되는지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Example 2-5) In Example 2-4, the table of contents review unit 150 deletes the table of contents from the digital text copy of the worksheet and determines whether text matching the table of contents is input by the student. Checking; If the fourth keyword, fifth keyword, and sixth keyword all match the text in the blank space, the third table of contents review unit 153 selects the third table of contents from the digital text copy of the worksheet. deleting and checking whether text matching the third table of contents is input by the student; When text matching the third table of contents is input, the second table of contents review unit 152 deletes the second table of contents from the digital text copy of the worksheet, and selects a text matching the second table of contents by the student. checking whether text is entered; And when text matching the second table of contents is input, the first table of contents review unit 151 deletes the first table of contents from the digital text copy of the worksheet, and matches the table of contents with the first table of contents by the student. It includes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text to be entered is entered.

본 발명은 워크시트의 공란에 모두 정답을 적은 학생에게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 추가적으로 소목차까지 적어보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교과서의 교과내용의 전체적인 흐름을 종합적으로 조망해보도록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students who have written all the correct answers in the blank spaces on the worksheet to additionally write down the table of contents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reby providing a comprehensive view of the overall flow of the textbook's subject matter.

이후에는 전술한 것과 같이 학생에게 마인드맵시트을 제공함으로써, 그 간에 배웠던 소단원들의 내용들을 정리하여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대단원의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작성해보도록 할 수 있다.Afterwards, by providing a mind map sheet to the student as described above, the student can organize the contents of the sub-units learned so far and comprehensively write the contents of the main unit as shown in FIG. 6.

한편, 상술한 워크시트 및 마인드맵시트는 종이 형태 이외에도 태블릿의 화면에 직접 출력되고 또한 학생이 태블릿에 직접 텍스트를 작성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워크시트의 공란에는 디지털텍스트가 직접 입력되므로, 상술한 스캐닝부(110) 및 OCR인식부(111)를 통한 워크시트의 스캐닝 및 OCR인식 과정은 제거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mentioned worksheet and mind map sheet can be printed directly on the tablet screen in addition to paper form, and can also be implemented in a form where the student writes text directly on the tablet. In this case, since digital text is directly input into the blank spaces of the worksheet, the scanning and OCR recognition processes of the worksheet through the above-described scanning unit 110 and OCR recognition unit 111 can be eliminated.

(실시예 3-1) 본 발명은 수학교구를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사칙연산에 대한 개념을 전달하고, 마인드맵시트를 활용하여 사칙연산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복습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의 수학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주도형 수학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학교구는, 직사각형의 직물재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을 따라 상단영역(161), 중앙영역(162), 하단영역(163)으로 구분되며, 상기 상단영역(161)과 중앙영역(162)의 사이 및 상기 중앙영역(162)과 하단영역(163)의 사이에 각각 너비 방향을 따라 주름(164)이 형성되어서 상기 하단영역(163)이 중앙영역(162)과 중첩되도록 접혀지고 다시 상기 중앙영역(162)이 상단영역(161)과 중첩되도록 접혀지는 접이식본체(160); 상기 접이식본체(160)의 외면 중 상기 중앙영역(162)에 구비되는 포켓(165); 상기 포켓(165) 내에 구비되며, 1 내지 150의 자연수가 기재된 스티커(166); 상기 포켓(165)의 외면에 구비되는 암형스냅버튼; 상기 접이식본체(160)의 상단영역(161)으로부터 연장되는 스트랩커버(167); 상기 스트랩커버(167)에 구비되어서 상기 접이식본체(160)가 접혀진 상태일 때 상기 암형스냅버튼과 체결되는 숫형스냅버튼; 상기 스트랩커버(167)로부터 연장되는 어깨끈(168); 및 상기 접이식본체(160)의 내면에 마련되는 수배열판(169);을 포함하고, 상기 수배열판(169)은, 상기 너비 방향을 따라 10개의 열과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15개의 행으로 배열되어 총 150개로 구성되며, 상기 스티커(166)가 낱개 별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사각형의 칸; 상기 칸을 형성하는 경계선 중 상기 칸의 5번째 열 및 6번째 열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적색의 기준선; 상기 칸을 형성하는 경계선 중 상기 칸의 5번째 행과 6번째 행 사이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흑색의 제1 행기준선; 및 상기 칸을 형성하는 경계선 중 상기 칸의 10번째 행과 11번째 행 사이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분홍색의 제2 행기준선;을 포함하며, 상기 마인드맵시트는, 상기 수학교구를 통해 학습한 내용을 대표하는 목차를 기재할 수 있게 마련되는 세로형의 중앙공란; 및 상기 중앙공란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수학교구를 통해 학습한 내용의 세부사항들을 기재할 수 있게 마련되는 모눈영역;을 포함하여서, 학생이 사칙연산에 대한 개념을 학습할 수 있도록 상기 수학교구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학교구를 통해 사칙연산에 대한 개념을 학습한 학생이 기학습한 내용을 종합하여 요약정리할 수 있도록 상기 마인드맵시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Example 3-1)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students' math learning efficiency by conveying the concept of four arithmetic operations to students using mathematics tools and allowing them to review what they have learned about four arithmetic operations using a mind map sheet. In a method for supporting self-directed mathematics learning, the mathematics tool is made of a rectangular fabric material and has an upper area 161, a central area 162, and a lower area 163 along the length direction. It is divided into, and wrinkles 164 are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upper area 161 and the central area 162 and between the central area 162 and the lower area 163, respectively, so that the lower area ( A foldable body 160 in which the central region 163 is folded to overlap the central region 162 and the central region 162 is folded to overlap the upper region 161; A pocket 165 provided in the central area 162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oldable body 160; A sticker 166 provided in the pocket 165 and having natural numbers from 1 to 150 written on it; A female snap button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cket 165; A strap cover 167 extending from the upper area 161 of the foldable body 160; a male snap button provided on the strap cover 167 and engaged with the female snap button when the foldable body 160 is in a folded state; A shoulder strap (168) extending from the strap cover (167); and a water array plate 169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oldable main body 160, wherein the water array plate 169 is arranged in 10 columns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15 rows along the length direction, so as to form a total of 15 rows. It consists of 150 rectangular compartments where the stickers 166 are individually attached and detachable; Among the boundaries forming the cell, a red baseline consisting of the boundaries of the 5th and 6th columns of the cell; Among the border lines forming the cell, a black first row reference line formed as a border between the fifth and sixth rows of the cell; And a pink second row reference line consisting of a border line between the 10th row and the 11th row of the box among the border lines forming the box, wherein the mind map sheet represents the content learned through the math tool. A vertical central blank space provided to write a table of contents; And a grid area located on the side of the central blank space and provided to write down details of content learned through the math tool; providing the math tool so that the student can learn the concept of four arithmetic operations. steps; and providing the mind map sheet so that a student who has learned the concept of four arithmetic operations through the mathematics tool can synthesize and summarize the content already learned.

본 발명은 수학교구를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사칙연산에 대한 개념을 쉽게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수학교구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핸드백 형태의 가방으로 변경될 수 있어, 학생들이 휴대하기 쉽게 구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nvey the concept of four arithmetic operations to students by using mathematical tools. Here, the math tool can be changed into a handbag-type bag as shown in Figure 11, making it easy for students to carry.

본 발명의 수학교구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트랩커버(167)를 제쳐서 펼칠 수 있게 구성된다. 이 경우, 포켓(165)에는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연수가 붙어있는 스티커(166)가 구비된다. 접이식본체(160)는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상단영역(161), 중앙영역(162), 하단영역(163)으로 구분되며, 상기 상단영역(161)과 중앙영역(162)의 사이 및 상기 중앙영역(162)과 하단영역(163)의 사이에는 각각 너비 방향을 따라 주름(164)이 형성되어서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쉽게 접혀질 수 있다.The math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able to unfold the strap cover 167 aside, as shown in FIG. 12. In this case, the pocket 165 is provided with a sticker 166 with a natural number attached as shown in FIG. 13. The foldable body 160 is divided into an upper area 161, a central area 162, and a lower area 163 along the length direction, as shown in Figure 15, and the upper area 161 and the central area 162 Wrinkles 164 are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between and between the central area 162 and the lower area 163, so that they can be easily folded as shown in FIG. 14.

접이식본체(160)의 내면에는 도 15와 같이 수배열판(169)이 마련된다. 수배열판(169)은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티커(166)를 붙일 수 있게 구성되어 학생들에게 사칙연산에 대한 개념을 쉽게 전달할 수 있다.A water array plate 169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oldable body 160, as shown in FIG. 15. The number array board 169 is configured so that stickers 166 can be attached as shown in FIG. 16, so that the concept of four arithmetic operations can be easily conveyed to students.

한편, 수배열판(169)의 경계선 중 5번째 열 및 6번째 열의 기준선은 적색으로 구성되어, 학생들이 좌우로 몇 칸을 이동하는지 쉽게 구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5번째 행과 6번째 행 사이의 제1 행기준선은 흑색으로 구성되고, 10번째 행과 11번째 행 사이의 제2 행기준선은 분홍색으로 구성되어, 학생들이 상하로 몇 칸을 이동하는지 쉽게 구분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among the boundaries of the number array board 169, the reference lines of the 5th and 6th columns are colored red, allowing students to easily distinguish how many spaces they move to the left and right. In addition, the first row standard between the 5th and 6th rows is colored black, and the second row standard between the 10th and 11th rows is colored pink, making it easy for students to know how many spaces they move up and down. It can be distinguished.

본 발명의 마인드맵시트는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앙공란에 수학교구를 통해 학습한 내용을 대표하는 목차를 기재할 수 있고, 모눈영역에 수학교구를 통해 학습한 내용의 세부사항들을 기재할 수 있게 구성되어서, 수학교구를 통해 사칙연산에 대한 개념을 학습한 학생이 기학습한 내용을 종합하여 요약정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인드맵시트는 후술할 태블릿을 활용한 실시예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도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 29에 도시된 워크시트를 활용하여, 학생이 수학교구를 통해 학습한 내용을 요약정리해 보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7, the mind map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write a table of contents representing the content learned through the math tool in the central blank space, and write details of the content learned through the math tool in the grid area. It is structured so that students who have learned the concept of four arithmetic operations through mathematics tools can synthesize and summarize what they have already learned. This mind map sheet can be used in the same way in an embodiment using a table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f cours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use the worksheet shown in FIG. 29 to allow students to summarize what they have learned through the math tool.

(실시예 4-1) 본 발명은 칸매니징부(180)가 태블릿의 화면에 너비 방향을 따라 10개의 열과 길이 방향을 따라 1개 내지 15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사각형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칸색상매니징부(181)가 상기 칸의 5번째 열 및 6번째 열을 제1 색상으로 변경하는 단계; 덧셈티칭부(182)가 상기 칸을 이용하여 학생에게 A + B = C(A,B,C는 자연수)의 덧셈 연산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학생이 상기 덧셈티칭부(182)에 의한 프로세스를 합격하면, 뺄셈티칭부(183)가 상기 칸을 이용하여 학생에게 D - E = F(D,E,F는 자연수)의 뺄셈 연산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학생이 상기 뺄셈티칭부(183)에 의한 프로세스를 합격하면, 뛴수티칭부(184)가 상기 칸을 이용하여 학생에게 Gn + H = Gn+1(Gn,H,Gn+1,n은 자연수)의 뛴수 연산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학생이 상기 뛴수티칭부(184)에 의한 프로세스를 합격하면, 연산티칭부(185)가 학생에게 숫자 자체를 이용한 연산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Example 4-1)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the box management unit 180 creating square boxes arranged in 10 columns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1 to 15 row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the compartment color management unit 181 changing the 5th and 6th columns of the compartment to a first color; The addition teaching unit 182 performing a process to teach the student the addition operation of A + B = C (A, B, C are natural numbers) using the box; If the student passes the process by the addition teaching unit 182, the subtraction teaching unit 183 uses the box to teach the student the subtraction operation of D - E = F (D, E, F are natural numbers). performing a process for; If the student passes the process by the subtraction teaching unit 183, the jumping number teaching unit 184 uses the box to tell the student Gn + H = Gn +1 (Gn, H, Gn +1 , n is a natural number) performing a process for teaching the number of jumps calculation; If the student passes the process by the number teaching unit 184, the arithmetic teaching unit 185 performs a process to teach the student arithmetic operations using the numbers themselves.

본 발명은 태블릿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데, 이하에서는 실시예 4-1의 구체적인 예시들을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implemented using a tablet, and specific examples of Example 4-1 will be described below.

(실시예 4-2)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덧셈티칭부(182)가 상기 칸을 이용하여 학생에게 A + B = C의 덧셈 연산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A + B ="(A,B,A+B는 10이하의 자연수)의 덧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10개의 열과 1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사각형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앞숫자생성부(187)가 상기 1개의 행 중 A번째 칸에 자연수 A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1개의 행 중 1번째부터 A-1번째까지의 칸을 삭제하는 단계; 정답생성부(188)가 상기 A번째 칸에 자연수 A+B를 상기 자연수 A와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채점부(189)가 상기 A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B가 학생에 의해 A+B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A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B가 상기 A+B번째가 아닌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정답해설부(190)가 A+1번째 칸부터 A+B번째 칸까지 차례대로 각각 1부터 B까지의 자연수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A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B가 상기 A+B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상기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A1 + B1 ="(A1,B1,A1+B1는 20이하의 자연수)의 덧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10개의 열과 2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사각형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앞숫자생성부(187)가 상기 2개의 행 중 A1번째 칸에 자연수 A1을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2개의 행 중 1번째부터 A1-1번째까지의 칸을 삭제하는 단계; 정답생성부(188)가 상기 A1번째 칸에 자연수 A1+B1을 상기 자연수 A1과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채점부(189)가 상기 A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1+B1가 학생에 의해 A1+B1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A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1+B1가 상기 A1+B1번째가 아닌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정답해설부(190)가 A1+1번째 칸부터 A1+B1번째 칸까지 차례대로 각각 1부터 B1까지의 자연수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A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1+B1가 상기 A1+B1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상기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A2 + B2 ="(A2,B2,A2+B2는 30이하의 자연수)의 덧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Example 4-2) In Example 4-1, the addition teaching unit 182 performs a process to teach the addition operation of A + B = C to the student using the box;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outputs an addition problem of “A + B =” (A, B, A + B are natural numbers of 10 or less)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the box management unit 180 creating square boxes arranged in 10 columns and 1 row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ting a natural number A in the Ath column of the one row; A step of the column management unit 180 deleting the columns from the 1st to A-1st rows in the row; A step where the answer generator 188 repeatedly outputs the natural numbers A+B in the A-th column, alternating with the natural numbers A; The grad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natural number A+B output in the A-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A+B-th column by the student; When the natural number A+B output in the A-th cell is dragged and placed in a cell other than the A+B-th cell, the answer explanation unit 190 sequentially starts from 1 in the A+1th cell to the A+Bth cell. Outputting natural numbers up to B; When the natural number A+B output in the A-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A+B-th column,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displays “A1 + B1 =” (A1, B1, A1+ B1 is a natural number of 20 or less) outputting an addition problem; A step of the box management unit 180 creating a square box arranged in 10 columns and 2 rows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ting a natural number A1 in the A1th column of the two rows; A step of the column management unit 180 deleting the columns from the 1st to A1-1th rows among the two rows; The answer generator 188 repeatedly outputting the natural numbers A1+B1 in the A1th column, alternating with the natural numbers A1; The grad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natural number A1+B1 output in the A1-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A1+B1-th column by the student; When the natural number A1+B1 output in the A1-th cell is dragged and placed in a cell other than the A1+B1-th cell, the answer interpreter 190 sequentially starts from 1 in the A1+1-th cell to the A1+B1-th cell. Outputting natural numbers up to B1; And when the natural number A1+B1 output in the A1-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A1+B1-th column,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displays "A2 + B2 =" (A2, B2, A2 +B2 includes a step of outputting an addition problem of (a natural number less than or equal to 30).

본 발명의 덧셈 연산 학습 방법에 대해 예시를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문제출제부(186)가 태블릿의 화면에 "5 + 3 ="의 덧셈 문제를 출력하면, 칸매니징부(180)가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10개의 열과 1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사각형의 칸을 생성한다. 이후, 앞숫자생성부(187)가 5번째 칸에 자연수 5를 출력하고, 칸매니징부(180)가 1번째부터 4번째까지의 칸을 삭제한다. 이러한 칸의 삭제는 학생들의 헷갈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The addition operation learn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lained with an example as follows. First, when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outputs the addition problem of “5 + 3 =” on the screen of the tablet, the box management unit 180 creates a square arranged in 10 columns and 1 row as shown in FIG. 18. Create a space. Afterwards,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s the natural number 5 in the 5th column, and the column management unit 180 deletes the 1st to 4th columns. Deletion of these boxes serves the function of preventing confusion among students.

이후, 정답생성부(188)가 5번째 칸에 정답인 8을 앞숫자인 5와 번갈아가며 깜빡이는 방식으로 출력한다. 학생은 정답인 8을 드래그하여 정답인 8번째 칸으로 옮길 수 있다. 이때, 채점부(189)가 5번째 칸의 8이 8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한다. 여기서, 학생이 정답인 8을 다른 칸으로 드래그하여 위치시키면, 정답해설부(190)가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이 6번째 칸부터 8번째 칸까지 차례대로 각각 1부터 3까지의 자연수를 출력한다. 이를 통해, 학생은 +3의 개념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Afterwards, the correct answer generator 188 outputs the correct answer, 8, in the fifth column, blinking alternately with the preceding number, 5. The student can drag the correct answer, 8, and move it to the 8th column, which is the correct answer. At this time, the scor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8 in the 5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8th column. Here, when the student drags and places the correct answer, 8, into another cell, the answer interpreter 190 sequentially outputs natural numbers from 1 to 3 from the 6th to the 8th cell, as shown in FIG. 19. . Through this, students can easily recognize the concept of +3.

학생이 정답인 8을 8번째 칸에 드래그하여 위치시키면, 문제출제부(186)는 좀더 어려운 문제인 "7 + 6 ="의 덧셈 문제를 출력한다. 이 경우, 칸매니징부(180)가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10개의 열과 2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사각형의 칸을 생성하고, 앞숫자생성부(187)가 7번째 칸에 자연수 7을 출력하며, 칸매니징부(180)가 1번째부터 6번째까지의 칸을 삭제한다.When the student drags and places the correct answer, 8, into the 8th column,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outputs a more difficult problem, the addition problem of “7 + 6 =”. In this case, the cell management unit 180 creates a square cell arranged in 10 columns and 2 rows as shown in FIG. 20, and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s the natural number 7 in the 7th cell. , the compartment management unit 180 deletes the 1st to 6th columns.

이후, 정답생성부(188)가 7번째 칸에 정답인 13을 앞숫자인 7과 번갈아가며 깜빡이는 방식으로 출력한다. 학생이 정답인 13을 드래그하여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답인 13번째 칸으로 옮기면, 문제출제부(186)는 좀더 어려운 문제인 30이하의 덧셈 문제를 출력할 수 있고, 이후의 과정은 상술한 과정과 같다.Afterwards, the correct answer generator 188 outputs the correct answer, 13, in the 7th column, blinking alternately with the previous number, 7. If the student drags 13, which is the correct answer, and moves it to the 13th column, which is the correct answer, as shown in FIG. 20, the problem assignment unit 186 can output a more difficult problem, an addition problem of 30 or less, and the subsequent process is as described above. It's the same as the process.

(실시예 4-3)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학생이 상기 덧셈티칭부(182)에 의한 프로세스를 합격하면, 뺄셈티칭부(183)가 상기 칸을 이용하여 학생에게 D - E = F(D,E,F는 자연수)의 뺄셈 연산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D - E ="(D,E,D-E는 10이하의 자연수)의 뺄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10개의 열과 1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사각형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앞숫자생성부(187)가 상기 1개의 행 중 D번째 칸에 자연수 D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1개의 행 중 10번째부터 D+1번째까지의 칸을 삭제하는 단계; 정답생성부(188)가 상기 D번째 칸에 자연수 D-E를 상기 자연수 D와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채점부(189)가 상기 D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D-E가 학생에 의해 D-E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D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D-E가 상기 D-E번째가 아닌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정답해설부(190)가 D-1번째 칸부터 D-E번째 칸까지 차례대로 각각 1부터 E까지의 자연수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D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D-E가 상기 D-E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상기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D1 - E1 ="(D1,E1,D1-E1은 20이하의 자연수)의 뺄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10개의 열과 2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사각형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앞숫자생성부(187)가 상기 2개의 행 중 D1번째 칸에 자연수 D1을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2개의 행 중 20번째부터 D1+1번째까지의 칸을 삭제하는 단계; 정답생성부(188)가 상기 D1번째 칸에 자연수 D1-E1을 상기 자연수 D1과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채점부(189)가 상기 D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D1-E1가 학생에 의해 D1-E1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D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D1-E1가 상기 D1-E1번째가 아닌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정답해설부(190)가 D1-1번째 칸부터 D1-E1번째 칸까지 차례대로 각각 1부터 E1까지의 자연수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D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D1-E1가 상기 D1-E1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상기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D2 - E2 ="(D2,E2,D2-E2는 30이하의 자연수)의 뺄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Example 4-3) In Example 4-1, if the student passes the process by the addition teaching unit 182, the subtraction teaching unit 183 uses the box to teach the student D - E = A step of performing a process for teaching the subtraction operation of F (D, E, F is a natural number); the problem question unit 186 displays "D - E =" (D, E, D-E is a natural number)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outputting a subtraction problem of (a natural number less than or equal to 10); A step of the box management unit 180 creating square boxes arranged in 10 columns and 1 row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ting a natural number D in the D column of the one row; A step of the column management unit 180 deleting the 10th to D+1 columns in the one row; A step where the answer generator 188 repeatedly outputs natural numbers D-E in the D column, alternating with the natural numbers D; The grad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natural numbers D-E output in the D-th column are dragged and placed in the D-E-th column by the student; When the natural number D-E output in the D-th cell is dragged and placed in a cell other than the D-E-th cell, the answer interpreter 190 sequentially outputs natural numbers from 1 to E from the D-1th cell to the D-Eth cell. steps; When the natural number D-E output in the D-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D-E-th column,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displays "D1 - E1 =" (D1, E1, D1-E1 is 20 or less)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outputting a subtraction problem of a natural number of); A step of the box management unit 180 creating a square box arranged in 10 columns and 2 rows on the screen of the tablet;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ting a natural number D1 in the D1 column of the two rows; A step of the compartment management unit 180 deleting the 20th to D1+1 columns among the two rows; A step of the answer generator 188 repeatedly outputting natural numbers D1-E1 in the D1th column alternately with the natural numbers D1; The grad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natural numbers D1-E1 output in the D1-th column are dragged and placed in the D1-E1-th column by the student; When the natural number D1-E1 output in the D1-th cell is dragged and placed in a cell other than the D1-E1-th cell, the answer explanation unit 190 sequentially starts from 1 in the D1-1th cell to the D1-E1th cell. Outputting natural numbers up to E1; And when the natural number D1-E1 output in the D1-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D1-E1-th column,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displays "D2 - E2 =" (D2,E2,D2) on the screen of the tablet. -E2 includes a step of outputting a subtraction problem of (a natural number less than or equal to 30).

본 발명의 뺄셈 연산 학습 방법에 대해 예시를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문제출제부(186)가 태블릿의 화면에 "5 - 3 ="의 뺄셈 문제를 출력하면, 칸매니징부(180)가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10개의 열과 1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사각형의 칸을 생성한다. 이후, 앞숫자생성부(187)가 5번째 칸에 자연수 5를 출력하고, 칸매니징부(180)가 10번째부터 6번째까지의 칸을 삭제한다. 이러한 칸의 삭제는 학생들의 뺄셈 학습시에 헷갈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The method for learning the subtraction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lained with an example as follows. First, when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outputs a subtraction problem of “5 - 3 =” on the screen of the tablet, the box management unit 180 creates a square arranged in 10 columns and 1 row as shown in FIG. 21. Create a space. Afterwards,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s the natural number 5 in the 5th column, and the column management unit 180 deletes the 10th to 6th columns. Deletion of these boxes serves to prevent confusion when students learn subtraction.

이후, 정답생성부(188)가 5번째 칸에 정답인 2를 앞숫자인 5와 번갈아가며 깜빡이는 방식으로 출력한다. 학생은 정답인 2를 드래그하여 정답 칸인 2번째 칸으로 옮길 수 있다. 이때, 채점부(189)가 5번째 칸의 2가 2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한다. 여기서, 학생이 정답인 2를 다른 칸으로 드래그하여 위치시키면, 정답해설부(190)가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이 4번째 칸부터 2번째 칸까지 차례대로 각각 1부터 3까지의 자연수를 출력한다. 이를 통해, 학생은 -3의 개념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Afterwards, the correct answer generator 188 outputs the correct answer, 2, in the fifth column, blinking alternately with the preceding number, 5. The student can drag the correct answer, 2, and move it to the second correct answer column. At this time, the scor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2 in the 5th column is dragged into the 2nd column. Here, when the student drags the correct answer, 2, to another cell, the answer interpreter 190 sequentially outputs natural numbers from 1 to 3 from the 4th cell to the 2nd cell, as shown in FIG. 22. . Through this, students can easily recognize the concept of -3.

학생이 정답인 2를 2번째 칸에 드래그하여 위치시키면, 문제출제부(186)는 좀더 어려운 문제인 "18 - 12 ="의 뺄셈 문제를 출력한다. 이 경우, 칸매니징부(180)가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10개의 열과 2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사각형의 칸을 생성하고, 앞숫자생성부(187)가 18번째 칸에 자연수 18을 출력하며, 칸매니징부(180)가 20번째부터 19번째까지의 칸을 삭제한다.When the student drags and places the correct answer, 2, into the second column,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outputs a more difficult problem, the subtraction problem of “18 - 12 =”. In this case, the cell management unit 180 creates a square cell arranged in 10 columns and 2 rows as shown in FIG. 23, and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s the natural number 18 in the 18th cell. , the compartment management unit 180 deletes the 20th to 19th columns.

이후, 정답생성부(188)가 18번째 칸에 정답인 6을 앞숫자인 18과 번갈아가며 깜빡이는 방식으로 출력한다. 학생이 정답인 6을 드래그하여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답인 6번째 칸으로 옮기면, 문제출제부(186)는 좀더 어려운 문제인 30이하의 뺄셈 문제를 출력할 수 있고, 이후의 과정은 상술한 과정과 같다.Afterwards, the correct answer generator 188 outputs the correct answer, 6, in the 18th column, blinking alternately with the previous number, 18. If the student drags 6, which is the correct answer, and moves it to the 6th column, which is the correct answer, as shown in FIG. 23, the problem question section 186 can output a more difficult problem, a subtraction problem of 30 or less, and the subsequent process is as described above. It's the same as the process.

(실시예 4-4)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학생이 상기 뺄셈티칭부(183)에 의한 프로세스를 합격하면, 뛴수티칭부(184)가 상기 칸을 이용하여 학생에게 Gn + H = Gn+1(Gn,H,Gn+1,n은 자연수)의 뛴수 연산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Gn + H ="(Gn,H,Gn+H,n은 자연수)의 뛴수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10개의 열과 15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사각형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앞숫자생성부(187)가 상기 15개의 행 중 Gn번째 칸에 자연수 Gn을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15개의 행 중 1번째부터 Gn-1번째까지의 칸을 삭제하는 단계; 정답생성부(188)가 상기 Gn번째 칸에 자연수 Gn+H를 상기 자연수 Gn과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채점부(189)가 상기 Gn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Gn+H가 학생에 의해 Gn+H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Gn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Gn+H가 상기 Gn+H번째가 아닌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정답해설부(190)가 Gn+1번째 칸부터 Gn+H번째 칸까지 차례대로 각각 1부터 H까지의 자연수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Gn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Gn+H가 상기 Gn+H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상기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Gn+1 + H ="(Gn+1 = Gn + H)의 뛴수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앞숫자생성부(187)가 상기 15개의 행 중 Gn+1번째 칸에 자연수 Gn+1을 출력하는 단계; 정답생성부(188)가 상기 Gn+1번째 칸에 자연수 Gn+1+H를 상기 자연수 Gn+1과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채점부(189)가 상기 Gn+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Gn+1+H가 학생에 의해 Gn+1+H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Gn+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Gn+1+H가 상기 Gn+1+H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칸색상매니징부(181)가 상기 15개의 행의 모든 칸 중 Gn+m번째 칸(Gn+m+1 = Gn+m + H, m은 0을 포함하는 자연수)을 제2 색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Example 4-4) In Example 4-1, if the student passes the process by the subtraction teaching unit 183, the subtraction teaching unit 184 uses the box to give the student Gn + H = A step of performing a process for teaching the operation of the jump number of Gn + 1 (Gn, H, Gn + 1 , n is a natural number); the problem question unit 186 displays "Gn + H =" ( A step of outputting a jump number problem of (Gn, H, Gn + H, n is a natural number); A step of the box management unit 180 creating square boxes arranged in 10 columns and 15 rows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ting a natural number Gn in the Gnth column of the 15 rows; A step of the column management unit 180 deleting the columns from the 1st to the Gn-1th rows among the 15 rows; A step of the answer generator 188 repeatedly outputting a natural number Gn+H in the Gn-th column alternately with the natural number Gn; The grad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natural number Gn+H output in the Gn-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Gn+H-th column by the student; remind When the natural number Gn+H output in the Gn-th cell is dragged and placed in a cell other than the Gn+H-th cell, the answer explanation unit 190 sequentially displays numbers from 1 to H from the Gn+1-th cell to the Gn+H-th cell. Outputting natural numbers up to; When the natural number Gn+H output in the Gn-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Gn+H-th column,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displays "Gn +1 + H =" (Gn +1 = Step of outputting the number of jumps problem of Gn + H); A step of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ting the natural number Gn +1 in the Gn + 1th column of the 15 rows; A step of the answer generator 188 repeatedly outputting the natural number Gn +1 +H in the Gn +1 -th column alternately with the natural number Gn +1 ; The grad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natural number Gn +1 +H output in the Gn +1 -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Gn +1 +H-th column by the student; And when the natural number Gn +1 +H output in the Gn +1 -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Gn +1 +H-th column, the cell color management unit 181 selects Gn + m among all cells in the 15 rows. It includes changing the second cell (Gn + m +1 = Gn + m + H, where m is a natural number including 0) to the second color.

본 발명의 뛴수 연산 학습 방법에 대해 예시를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여기서, 뛴수란 앞숫자에 동일한 숫자를 반복하여 더하는 연산을 말한다.The method of learning the number of ru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plained with an example as follows. Here, a jump number refers to an operation that repeatedly adds the same number to the previous number.

먼저, 문제출제부(186)가 태블릿의 화면에 "3 + 8 ="의 뛴수 문제를 출력한다. 이후, 칸매니징부(180)가 태블릿의 화면에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10개의 열과 15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사각형의 칸을 생성하고, 앞숫자생성부(187)가 3번째 칸에 자연수 3을 출력한다.First,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outputs a jump number problem of “3 + 8 =” on the tablet screen. Thereafter, the cell management unit 180 creates a square cell arranged in 10 columns and 15 rows as shown in FIG. 24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nd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creates the natural number 3 in the third cell. Outputs .

이후, 정답생성부(188)가 3번째 칸에 정답인 11을 앞숫자인 3과 번갈아가며 깜빡이는 방식으로 출력한다. 학생은 정답인 11을 드래그하여 정답 칸인 11번째 칸으로 옮길 수 있다. 이후, 채점부(189)가 3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11이 학생에 의해 11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한다.Afterwards, the correct answer generator 188 outputs the correct answer, 11, in the third column, blinking alternately with the preceding number, 3. Students can drag the correct answer, 11, and move it to the 11th correct answer box. Afterwards, the scor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natural number 11 output in the 3rd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11th column by the student.

여기서, 3번째 칸에 출력된 정답인 11이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11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문제출제부(186)가 "11 + 8 ="의 뛴수 문제를 출력한다. 이후, 앞숫자생성부(187)가 11번째 칸에 11을 출력하고, 정답생성부(188)가 다시 11번째 칸에 정답인 19를 11과 번갈아가며 깜박이듯 출력한다. 이후, 채점부(189)가 11번째 칸에 출력된 정답 19가 학생에 의해 19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한다.Here, when the correct answer, 11, displayed in the 3rd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11th column as shown in FIG. 24, the problem question unit 186 outputs a jump number problem of "11 + 8 =". Afterwards,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s 11 in the 11th column, and the correct answer generator 188 outputs the correct answer, 19, in the 11th column alternately with 11 as if blinking. Afterwards, the scor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correct answer 19 output in the 11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19th column by the student.

여기서, 정답 19가 19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칸색상매니징부(181)가 수배열판의 모든 칸 중 8의 뛴수에 대응하는 칸에 도 25와 같이 제2 색상을 출력한다. 이에 의해, 학생은 뛴수 연산이 일정한 패턴을 가지게 됨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학생에게 곱셈 연산의 기초 개념을 쉽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위의 예에서 앞숫자를 3이 아닌 8로 시작하는 경우, 이는 구구단 8단에 대응하는데, 이와 같이 앞숫자와 뛴수를 적절히 조절해 가며 구구단 1단부터 9단까지 쉽게 이해시킬 수 있다.Here, when the correct answer 19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19th cell, the cell color management unit 181 outputs the second color to the cell corresponding to the jump number of 8 among all cells of the number array board, as shown in FIG. 25. As a result, students can easily recognize that the multiplication operation has a certain pattern, and through this, the basic concept of the multiplication operation can be easily conveyed to the student. For example, in the example above, if the first number starts with 8 instead of 3, this corresponds to the 8th column of the multiplication table. In this way,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first number and the number of steps, you can easily understand the 1st to 9th column of the multiplication table.

(실시예 4-5)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학생이 상기 뛴수티칭부(184)에 의한 프로세스를 합격하면, 연산티칭부(185)가 학생에게 숫자 자체를 이용한 연산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A + B ="(A,B,A+B는 150이하의 자연수)의 덧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10개의 열과 15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사각형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앞숫자생성부(187)가 상기 15개의 행 중 A번째 칸에 자연수 A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A-1번째 칸, A번째 칸, A+1번째 칸을 병합하여 하나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정답생성부(188)가 상기 A번째 칸에 자연수 A+B를 상기 자연수 A와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채점부(189)가 상기 A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B가 학생에 의해 A+B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A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B가 상기 A+B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상기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A1 + B1 ="(A1,B1,A1+B1는 150이하의 자연수)의 덧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앞숫자생성부(187)가 상기 15개의 행 중 A1번째 칸에 자연수 A1을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A1-2번째 칸, A1-1번째 칸, A1번째 칸, A1+1번째 칸, A1+2번째 칸을 병합하여 하나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정답생성부(188)가 상기 A1번째 칸에 자연수 A1+B1을 상기 자연수 A1과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채점부(189)가 상기 A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1+B1가 학생에 의해 A1+B1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A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1+B1가 상기 A1+B1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상기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A2 + B2 ="(A2,B2,A2+B2는 150이하의 자연수)의 덧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A2-2번째 칸, A2-1번째 칸, A2번째 칸, A2+1번째 칸, A2+2번째 칸을 병합하여 하나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앞숫자생성부(187)가 상기 A2-2번째 칸, A2-1번째 칸, A2번째 칸, A2+1번째 칸, A2+2번째 칸 중 어느 하나의 칸을 랜덤하게 선택하고, 랜덤하게 선택된 칸에 자연수 A2를 출력하는 단계; 정답생성부(188)가 상기 랜덤하게 선택된 칸에 자연수 A2+B2를 상기 자연수 A2와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채점부(189)가 상기 랜덤하게 선택된 칸에 출력된 자연수 A2+B2가 학생에 의해 A2+B2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Example 4-5) In Example 4-1, if the student passes the process by the number teaching unit 184, the arithmetic teaching unit 185 is used to teach the student arithmetic using the numbers themselves. A step of performing the process; a step of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outputting an addition problem of “A + B =” (A, B, A + B are natural numbers of 150 or less)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the box management unit 180 creating square boxes arranged in 10 columns and 15 rows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ting a natural number A in the Ath column of the 15 rows; A step in which the compartment management unit 180 merges the A-1st compartment, the Ath compartment, and the A+1th compartment to create one compartment; A step of the answer generator 188 repeatedly outputting the natural numbers A+B in the A-th column alternately with the natural numbers A; The grad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natural number A+B output in the A-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A+B-th column by the student; When the natural number A+B output in the A-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A+B-th column,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displays “A1 + B1 =” (A1, B1, A1+ B1 is a natural number of 150 or less) outputting an addition problem; A step of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ting a natural number A1 in the A1th column of the 15 rows; A step in which the compartment management unit 180 merges the A1-2th column, the A1-1st column, the A1th column, the A1+1th column, and the A1+2th column to create one column; The answer generator 188 repeatedly outputting the natural numbers A1+B1 in the A1th column, alternating with the natural numbers A1; The grad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natural number A1+B1 output in the A1-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A1+B1-th column by the student; When the natural number A1+B1 output in the A1-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A1+B1-th column,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displays "A2 + B2 =" (A2, B2, A2+ B2 is a natural number of 150 or less) outputting an addition problem; A step in which the compartment management unit 180 merges the A2-2th column, the A2-1st column, the A2th column, the A2+1th column, and the A2+2th column to create one column;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randomly selects one of the A2-2th column, A2-1st column, A2th column, A2+1st column, and A2+2th column, and randomly selects Outputting the natural number A2 in the box; A step of the answer generator 188 repeatedly outputting the natural numbers A2+B2 in the randomly selected box, alternating with the natural numbers A2; and a step where the grad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natural number A2+B2 output in the randomly selected cell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A2+B2th cell by the student.

본 발명의 다음 레벨의 연산 학습 방법에 대해 예시를 들어 설명한다. 학생은 아래의 연산 학습 방법을 기초로 하여 숫자 자체를 이용한 일반적인 사칙연산 계산법을 쉽게 터득하게 된다.The next level arithmetic learn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plained with an example. Students will easily learn the general arithmetic calculation method using the numbers themselves based on the calculation learning method below.

먼저, 문제출제부(186)가 태블릿의 화면에 "13 + 22 ="의 덧셈 문제를 출력한다. 이후, 앞숫자생성부(187)가 도 26에 도시된 것과 같이 13번째 칸에 자연수 13을 출력하고, 칸매니징부(180)가 12번째 칸, 13번째 칸, 14번째 칸을 병합하여 하나의 칸을 생성한다. 이후, 정답생성부(188)가 13번째 칸에 정답인 35를 13과 번갈아가며 깜박이듯 출력한다.First,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outputs an addition problem of “13 + 22 =” on the tablet screen. Afterwards,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s the natural number 13 in the 13th column as shown in FIG. 26, and the column management unit 180 merges the 12th column, 13th column, and 14th column to create one Create a space. Afterwards, the correct answer generator 188 outputs the correct answer, 35, in the 13th column, blinking alternately with 13.

이후, 채점부(189)가 13번째 칸에 출력된 정답 35가 학생에 의해 35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고, 이에 합격하면 문제출제부(186)가 다시 "24 + 23 ="의 덧셈 문제를 출력한다. 이후, 앞숫자생성부(187)가 도 27에 도시된 것과 같이 24번째 칸에 자연수 24를 출력하고, 칸매니징부(180)가 22번째 칸, 23번째 칸, 24번째 칸, 25번째 칸, 26번째 칸을 병합하여 하나의 칸을 생성한다. 이후, 정답생성부(188)가 24번째 칸에 정답인 47을 24와 번갈아가며 깜박이듯 출력한다.Afterwards, the scor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correct answer 35 output in the 13th column is dragged by the student to the 35th column and, if it passes, the question assignment section 186 adds "24 + 23 =" again. Print the problem. Afterwards,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s the natural number 24 in the 24th column as shown in FIG. 27, and the cell management unit 180 outputs the natural number 24 in the 22nd column, 23rd column, 24th column, 25th column, Merge the 26th cell to create one cell. Afterwards, the correct answer generator 188 outputs the correct answer, 47, in the 24th column, blinking alternately with 24.

이후, 24번째 칸에 출력된 정답 47이 학생에 의해 47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문제출제부(186)가 다시 "24 + 23 ="의 덧셈 문제를 출력한다. 이후, 칸매니징부(180)가 도 28에 도시된 것과 같이 22번째 칸, 23번째 칸, 24번째 칸, 25번째 칸, 26번째 칸을 병합하여 하나의 칸을 생성하고, 앞숫자생성부(187)가 22번째 칸, 23번째 칸, 24번째 칸, 25번째 칸, 26번째 칸 중 어느 하나의 칸을 랜덤하게 선택하고, 랜덤하게 선택된 칸(여기서는 26번째 칸)에 자연수 24를 출력한다.Afterwards, when the correct answer 47 displayed in the 24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47th column by the student,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outputs the addition problem of "24 + 23 =" again. Afterwards, the compartment management unit 180 generates one compartment by merging the 22nd compartment, 23rd compartment, 24th compartment, 25th compartment, and 26th compartment as shown in FIG. 28, and the front number generator ( 187) randomly selects one of the 22nd, 23rd, 24th, 25th, and 26th cells, and outputs the natural number 24 in the randomly selected cell (here, the 26th cell).

이후, 정답생성부(188)가 26번째 칸에 정답인 47을 24와 번갈아가며 깜박이듯 출력하고, 채점부(189)가 정답인 47이 학생에 의해 47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한다. 이에 의하면, 앞숫자 24가 그와 매칭되는 24번째 칸이 아닌 26번째 칸에 출력되므로, 학생은 칸의 숫자를 23번 만큼 세어가며 하나하나씩 건너뛰면서는 문제를 풀 수 없게 되고, 또한 칸이 병합되어서 칸의 갯수에만 의존하는 습성을 점차 벗어날 수 있게 되어, 결국 숫자 자체를 이용하는 일반적인 사칙연산 계산법의 기초를 터득하게 된다. Afterwards, the correct answer generation unit 188 outputs the correct answer, 47, in the 26th cell alternately with 24, as if blinking, and the scor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correct answer, 47,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47th cell by the student. According to this, since the first number 24 is displayed in the 26th column rather than the 24th column that matches it, the student cannot solve the problem by counting the number of columns as many as 23 and skipping one by one, and also the columns are merged. As a result, you can gradually break away from the habit of relying only on the number of cells, and eventually learn the basics of general arithmetic calculations using the numbers themselves.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and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and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they are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intention to limit the scop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110: 스캐닝부
120: 교과서인식부
130: 워크시트인식부
140: 채점부
150: 소목차복습부
160: 접이식본체
110: scanning unit
120: Textbook recognition department
130: Worksheet recognition unit
140: Grading book
150: Table of contents review section
160: Foldable body

Claims (6)

수학교구를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사칙연산에 대한 개념을 전달하고, 마인드맵시트를 활용하여 사칙연산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복습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의 수학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주도형 수학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학교구는,
직사각형의 직물재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을 따라 상단영역(161), 중앙영역(162), 하단영역(163)으로 구분되며, 상기 상단영역(161)과 중앙영역(162)의 사이 및 상기 중앙영역(162)과 하단영역(163)의 사이에 각각 너비 방향을 따라 주름(164)이 형성되어서 상기 하단영역(163)이 중앙영역(162)과 중첩되도록 접혀지고 다시 상기 중앙영역(162)이 상단영역(161)과 중첩되도록 접혀지는 접이식본체(160);
상기 접이식본체(160)의 외면 중 상기 중앙영역(162)에 구비되는 포켓(165);
상기 포켓(165) 내에 구비되며, 1 내지 150의 자연수가 기재된 스티커(166);
상기 포켓(165)의 외면에 구비되는 암형스냅버튼;
상기 접이식본체(160)의 상단영역(161)으로부터 연장되는 스트랩커버(167);
상기 스트랩커버(167)에 구비되어서 상기 접이식본체(160)가 접혀진 상태일 때 상기 암형스냅버튼과 체결되는 숫형스냅버튼;
상기 스트랩커버(167)로부터 연장되는 어깨끈(168); 및
상기 접이식본체(160)의 내면에 마련되는 수배열판(169);을 포함하고,
상기 수배열판(169)은,
상기 너비 방향을 따라 10개의 열과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15개의 행으로 배열되어 총 150개로 구성되며, 상기 스티커(166)가 낱개 별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사각형의 칸;
상기 칸을 형성하는 경계선 중 상기 칸의 5번째 열 및 6번째 열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적색의 기준선;
상기 칸을 형성하는 경계선 중 상기 칸의 5번째 행과 6번째 행 사이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흑색의 제1 행기준선; 및
상기 칸을 형성하는 경계선 중 상기 칸의 10번째 행과 11번째 행 사이의 경계선으로 이루어지는 분홍색의 제2 행기준선;을 포함하며,
상기 마인드맵시트는,
상기 수학교구를 통해 학습한 내용을 대표하는 목차를 기재할 수 있게 마련되는 세로형의 중앙공란; 및
상기 중앙공란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수학교구를 통해 학습한 내용의 세부사항들을 기재할 수 있게 마련되는 모눈영역;을 포함하여서,
학생이 사칙연산에 대한 개념을 학습할 수 있도록 상기 수학교구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학교구를 통해 사칙연산에 대한 개념을 학습한 학생이 기학습한 내용을 종합하여 요약정리할 수 있도록 상기 마인드맵시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
Supports self-directed math learning that can improve students' math learning efficiency by conveying concepts about the four basic operations to students using math tools and reviewing what they have learned about the four basic operations using mind map sheets. In the method for doing so,
The math school district is,
It is made of a rectangular fabric material and is divid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into an upper area 161, a central area 162, and a lower area 163, between the upper area 161 and the central area 162 and in the center. Wrinkles 164 are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region 162 and the lower region 163, so that the lower region 163 is folded to overlap the central region 162, and the central region 162 is again folded. A foldable body 160 that is folded to overlap the upper area 161;
A pocket 165 provided in the central area 162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oldable body 160;
A sticker 166 provided in the pocket 165 and having natural numbers from 1 to 150 written on it;
A female snap button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ocket 165;
A strap cover 167 extending from the upper area 161 of the foldable body 160;
a male snap button provided on the strap cover 167 and engaged with the female snap button when the foldable body 160 is in a folded state;
A shoulder strap (168) extending from the strap cover (167); and
It includes; a water array plate 169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oldable body 160,
The water array plate 169 is,
Rectangular compartments arranged in 10 columns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15 rows along the length direction, for a total of 150, to which the stickers 166 are individually and detachably attached;
Among the boundaries forming the cell, a red baseline consisting of the boundaries of the 5th and 6th columns of the cell;
Among the border lines forming the cell, a black first row reference line formed as a border between the fifth and sixth rows of the cell; and
Among the border lines forming the cell, a pink second row reference line is formed as a border between the 10th and 11th rows of the cell,
The mind map sheet is,
A vertical central blank space provided to write a table of contents representing the content learned through the math tool; and
Including a grid area located on the side of the central blank space and provided to write down details of content learned through the math tool,
Providing the mathematical tools so that students can learn the concept of four arithmetic operations; and
A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 method including providing the mind map sheet so that a student who has learned the concept of four arithmetic operations through the mathematics tool can synthesize and summarize the content already learned.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setup registration fee.◈ 청구항 1에 있어서,
칸매니징부(180)가 태블릿의 화면에 너비 방향을 따라 10개의 열과 길이 방향을 따라 1개 내지 15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사각형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칸색상매니징부(181)가 상기 칸의 5번째 열 및 6번째 열을 제1 색상으로 변경하는 단계;
덧셈티칭부(182)가 상기 칸을 이용하여 학생에게 A + B = C(A,B,C는 자연수)의 덧셈 연산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학생이 상기 덧셈티칭부(182)에 의한 프로세스를 합격하면, 뺄셈티칭부(183)가 상기 칸을 이용하여 학생에게 D - E = F(D,E,F는 자연수)의 뺄셈 연산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학생이 상기 뺄셈티칭부(183)에 의한 프로세스를 합격하면, 뛴수티칭부(184)가 상기 칸을 이용하여 학생에게 Gn + H = Gn+1(Gn,H,Gn+1,n은 자연수)의 뛴수 연산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학생이 상기 뛴수티칭부(184)에 의한 프로세스를 합격하면, 연산티칭부(185)가 학생에게 숫자 자체를 이용한 연산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
In claim 1,
A step of the box management unit 180 creating square boxes arranged in 10 columns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1 to 15 row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the compartment color management unit 181 changing the 5th and 6th columns of the compartment to a first color;
The addition teaching unit 182 performing a process to teach the student the addition operation of A + B = C (A, B, C are natural numbers) using the box;
If the student passes the process by the addition teaching unit 182, the subtraction teaching unit 183 uses the box to teach the student the subtraction operation of D - E = F (D, E, F are natural numbers). performing a process for;
If the student passes the process by the subtraction teaching unit 183, the jumping number teaching unit 184 uses the box to tell the student Gn + H = Gn +1 (Gn, H, Gn +1 , n is a natural number) performing a process for teaching the number of jumps calculation;
When the student passes the process by the number teaching unit 184, the arithmetic teaching unit 185 performs a process to teach the student an operation using the numbers themselves. A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 method comprising a.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setup registration fe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덧셈티칭부(182)가 상기 칸을 이용하여 학생에게 A + B = C의 덧셈 연산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A + B ="(A,B,A+B는 10이하의 자연수)의 덧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10개의 열과 1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사각형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앞숫자생성부(187)가 상기 1개의 행 중 A번째 칸에 자연수 A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1개의 행 중 1번째부터 A-1번째까지의 칸을 삭제하는 단계;
정답생성부(188)가 상기 A번째 칸에 자연수 A+B를 상기 자연수 A와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채점부(189)가 상기 A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B가 학생에 의해 A+B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A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B가 상기 A+B번째가 아닌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정답해설부(190)가 A+1번째 칸부터 A+B번째 칸까지 차례대로 각각 1부터 B까지의 자연수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A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B가 상기 A+B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상기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A1 + B1 ="(A1,B1,A1+B1는 20이하의 자연수)의 덧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10개의 열과 2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사각형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앞숫자생성부(187)가 상기 2개의 행 중 A1번째 칸에 자연수 A1을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2개의 행 중 1번째부터 A1-1번째까지의 칸을 삭제하는 단계;
정답생성부(188)가 상기 A1번째 칸에 자연수 A1+B1을 상기 자연수 A1과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채점부(189)가 상기 A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1+B1가 학생에 의해 A1+B1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A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1+B1가 상기 A1+B1번째가 아닌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정답해설부(190)가 A1+1번째 칸부터 A1+B1번째 칸까지 차례대로 각각 1부터 B1까지의 자연수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A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1+B1가 상기 A1+B1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상기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A2 + B2 ="(A2,B2,A2+B2는 30이하의 자연수)의 덧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
In claim 2,
The addition teaching unit 182 performs a process to teach the addition operation of A + B = C to the student using the box;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outputs an addition problem of “A + B =” (A, B, A + B are natural numbers of 10 or less)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the box management unit 180 creating square boxes arranged in 10 columns and 1 row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ting a natural number A in the Ath column of the one row;
A step of the column management unit 180 deleting the columns from the 1st to A-1st rows in the row;
A step of the answer generator 188 repeatedly outputting the natural numbers A+B in the A-th column alternately with the natural numbers A;
The grad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natural number A+B output in the A-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A+B-th column by the student;
When the natural number A+B output in the A-th cell is dragged and placed in a cell other than the A+B-th cell, the answer explanation unit 190 sequentially starts from 1 in the A+1th cell to the A+Bth cell. Outputting natural numbers up to B;
When the natural number A+B output in the A-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A+B-th column,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displays “A1 + B1 =” (A1, B1, A1+ B1 is a natural number of 20 or less) outputting an addition problem;
A step of the box management unit 180 creating a square box arranged in 10 columns and 2 rows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ting a natural number A1 in the A1th column of the two rows;
A step of the column management unit 180 deleting the columns from the 1st to A1-1th rows among the two rows;
The answer generator 188 repeatedly outputting the natural numbers A1+B1 in the A1th column, alternating with the natural numbers A1;
The grad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natural number A1+B1 output in the A1-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A1+B1-th column by the student;
When the natural number A1+B1 output in the A1-th cell is dragged and placed in a cell other than the A1+B1-th cell, the answer interpreter 190 sequentially starts from 1 in the A1+1-th cell to the A1+B1-th cell. Outputting natural numbers up to B1; and
When the natural number A1+B1 output in the A1-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A1+B1-th column,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displays "A2 + B2 =" (A2, B2, A2+ A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 method including the step of outputting an addition problem (B2 is a natural number of 30 or less).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setup registration fe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학생이 상기 덧셈티칭부(182)에 의한 프로세스를 합격하면, 뺄셈티칭부(183)가 상기 칸을 이용하여 학생에게 D - E = F(D,E,F는 자연수)의 뺄셈 연산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D - E ="(D,E,D-E는 10이하의 자연수)의 뺄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10개의 열과 1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사각형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앞숫자생성부(187)가 상기 1개의 행 중 D번째 칸에 자연수 D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1개의 행 중 10번째부터 D+1번째까지의 칸을 삭제하는 단계;
정답생성부(188)가 상기 D번째 칸에 자연수 D-E를 상기 자연수 D와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채점부(189)가 상기 D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D-E가 학생에 의해 D-E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D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D-E가 상기 D-E번째가 아닌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정답해설부(190)가 D-1번째 칸부터 D-E번째 칸까지 차례대로 각각 1부터 E까지의 자연수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D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D-E가 상기 D-E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상기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D1 - E1 ="(D1,E1,D1-E1은 20이하의 자연수)의 뺄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10개의 열과 2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사각형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앞숫자생성부(187)가 상기 2개의 행 중 D1번째 칸에 자연수 D1을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2개의 행 중 20번째부터 D1+1번째까지의 칸을 삭제하는 단계;
정답생성부(188)가 상기 D1번째 칸에 자연수 D1-E1을 상기 자연수 D1과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채점부(189)가 상기 D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D1-E1가 학생에 의해 D1-E1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D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D1-E1가 상기 D1-E1번째가 아닌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정답해설부(190)가 D1-1번째 칸부터 D1-E1번째 칸까지 차례대로 각각 1부터 E1까지의 자연수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D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D1-E1가 상기 D1-E1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상기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D2 - E2 ="(D2,E2,D2-E2는 30이하의 자연수)의 뺄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
In claim 2,
If the student passes the process by the addition teaching unit 182, the subtraction teaching unit 183 uses the box to teach the student the subtraction operation of D - E = F (D, E, F are natural numbers) Steps of performing a process to:
A problem solving unit 186 outputting a subtraction problem of “D - E =” (D, E, DE are natural numbers less than 10)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the box management unit 180 creating square boxes arranged in 10 columns and 1 row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ting a natural number D in the D column of the one row;
A step of the column management unit 180 deleting the 10th to D+1 columns in the one row;
A step of the answer generator 188 repeatedly outputting the natural number DE in the D column alternately with the natural number D;
The grad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natural number DE output in the D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DE column by the student;
When the natural number DE output in the D-th cell is dragged and placed in a cell other than the DE-th cell, the answer interpretation unit 190 sequentially outputs natural numbers from 1 to E from the D-1th cell to the DE-th cell. steps;
When the natural number DE output in the D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DE column,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displays "D1 - E1 =" (D1, E1, D1 - E1 are 20 or less)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outputting a subtraction problem of a natural number of);
A step of the box management unit 180 creating a square box arranged in 10 columns and 2 rows on the screen of the tablet;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ting a natural number D1 in the D1 column of the two rows;
A step of the compartment management unit 180 deleting the 20th to D1+1 columns among the two rows;
A step of the answer generator 188 repeatedly outputting natural numbers D1-E1 in the D1th column, alternating with the natural numbers D1;
The grad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natural numbers D1-E1 output in the D1-th column are dragged and placed in the D1-E1-th column by the student;
When the natural number D1-E1 output in the D1-th cell is dragged and placed in a cell other than the D1-E1-th cell, the answer explanation unit 190 sequentially starts from 1 in the D1-1th cell to the D1-E1th cell. Outputting natural numbers up to E1; and
When the natural number D1-E1 output in the D1-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D1-E1-th column,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displays "D2 - E2 =" (D2, E2, D2- A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 method including the step of outputting a subtraction problem (E2 is a natural number less than 30).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setup registration fe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학생이 상기 뺄셈티칭부(183)에 의한 프로세스를 합격하면, 뛴수티칭부(184)가 상기 칸을 이용하여 학생에게 Gn + H = Gn+1(Gn,H,Gn+1,n은 자연수)의 뛴수 연산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Gn + H ="(Gn,H,Gn+H,n은 자연수)의 뛴수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10개의 열과 15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사각형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앞숫자생성부(187)가 상기 15개의 행 중 Gn번째 칸에 자연수 Gn을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15개의 행 중 1번째부터 Gn-1번째까지의 칸을 삭제하는 단계;
정답생성부(188)가 상기 Gn번째 칸에 자연수 Gn+H를 상기 자연수 Gn과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채점부(189)가 상기 Gn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Gn+H가 학생에 의해 Gn+H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Gn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Gn+H가 상기 Gn+H번째가 아닌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정답해설부(190)가 Gn+1번째 칸부터 Gn+H번째 칸까지 차례대로 각각 1부터 H까지의 자연수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Gn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Gn+H가 상기 Gn+H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상기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Gn+1 + H ="(Gn+1 = Gn + H)의 뛴수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앞숫자생성부(187)가 상기 15개의 행 중 Gn+1번째 칸에 자연수 Gn+1을 출력하는 단계;
정답생성부(188)가 상기 Gn+1번째 칸에 자연수 Gn+1+H를 상기 자연수 Gn+1과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채점부(189)가 상기 Gn+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Gn+1+H가 학생에 의해 Gn+1+H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Gn+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Gn+1+H가 상기 Gn+1+H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칸색상매니징부(181)가 상기 15개의 행의 모든 칸 중 Gn+m번째 칸(Gn+m+1 = Gn+m + H, m은 0을 포함하는 자연수)을 제2 색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
In claim 2,
If the student passes the process by the subtraction teaching unit 183, the jumping number teaching unit 184 uses the box to tell the student Gn + H = Gn +1 (Gn, H, Gn + 1 , n is a natural number ) A step of performing a process for teaching the calculation of the number of jumps;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outputs a jump number problem of “Gn + H =” (Gn, H, Gn + H, n are natural numbers)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the box management unit 180 creating square boxes arranged in 10 columns and 15 rows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ting a natural number Gn in the Gnth column of the 15 rows;
A step of the column management unit 180 deleting the columns from the 1st to the Gn-1th rows among the 15 rows;
A step of the answer generator 188 repeatedly outputting a natural number Gn+H in the Gn-th column alternately with the natural number Gn;
The grad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natural number Gn+H output in the Gn-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Gn+H-th column by the student;
remind When the natural number Gn+H output in the Gn-th cell is dragged and placed in a cell other than the Gn+H-th cell, the answer explanation unit 190 sequentially displays numbers from 1 to H from the Gn+1-th cell to the Gn+H-th cell. Outputting natural numbers up to;
When the natural number Gn+H output in the Gn-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Gn+H-th column,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displays "Gn +1 + H =" (Gn +1 = Step of outputting the number of jumps problem of Gn + H);
A step of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ting the natural number Gn +1 in the Gn + 1th column of the 15 rows;
A step of the answer generator 188 repeatedly outputting the natural number Gn +1 +H in the Gn +1 -th column alternately with the natural number Gn +1 ;
The grad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natural number Gn +1 +H output in the Gn +1 -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Gn +1 +H-th column by the student; and
When the natural number Gn +1 +H output in the Gn + 1-th cell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Gn +1 +H-th cell, the cell color management unit 181 selects the Gn + m-th cell among all the cells in the 15 rows. A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 method including the step of changing a cell (Gn + m +1 = Gn + m + H, m is a natural number including 0) to a second color.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the setup registration fe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학생이 상기 뛴수티칭부(184)에 의한 프로세스를 합격하면, 연산티칭부(185)가 학생에게 숫자 자체를 이용한 연산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는,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A + B ="(A,B,A+B는 150이하의 자연수)의 덧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10개의 열과 15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사각형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앞숫자생성부(187)가 상기 15개의 행 중 A번째 칸에 자연수 A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A-1번째 칸, A번째 칸, A+1번째 칸을 병합하여 하나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정답생성부(188)가 상기 A번째 칸에 자연수 A+B를 상기 자연수 A와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채점부(189)가 상기 A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B가 학생에 의해 A+B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A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B가 상기 A+B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상기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A1 + B1 ="(A1,B1,A1+B1는 150이하의 자연수)의 덧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앞숫자생성부(187)가 상기 15개의 행 중 A1번째 칸에 자연수 A1을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A1-2번째 칸, A1-1번째 칸, A1번째 칸, A1+1번째 칸, A1+2번째 칸을 병합하여 하나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정답생성부(188)가 상기 A1번째 칸에 자연수 A1+B1을 상기 자연수 A1과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채점부(189)가 상기 A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1+B1가 학생에 의해 A1+B1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A1번째 칸에 출력된 자연수 A1+B1가 상기 A1+B1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면, 상기 문제출제부(186)가 상기 태블릿의 화면에 "A2 + B2 ="(A2,B2,A2+B2는 150이하의 자연수)의 덧셈 문제를 출력하는 단계;
칸매니징부(180)가 A2-2번째 칸, A2-1번째 칸, A2번째 칸, A2+1번째 칸, A2+2번째 칸을 병합하여 하나의 칸을 생성하는 단계;
앞숫자생성부(187)가 상기 A2-2번째 칸, A2-1번째 칸, A2번째 칸, A2+1번째 칸, A2+2번째 칸 중 어느 하나의 칸을 랜덤하게 선택하고, 랜덤하게 선택된 칸에 자연수 A2를 출력하는 단계;
정답생성부(188)가 상기 랜덤하게 선택된 칸에 자연수 A2+B2를 상기 자연수 A2와 번갈아가며 반복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채점부(189)가 상기 랜덤하게 선택된 칸에 출력된 자연수 A2+B2가 학생에 의해 A2+B2번째 칸에 드래그되어 위치하는지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주도형 학습 지원 방법.
In claim 2,
If the student passes the process by the number teaching unit 184, the arithmetic teaching unit 185 performs a process to teach the student arithmetic operations using the numbers themselves;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outputs an addition problem of “A + B =” (A, B, A + B are natural numbers of 150 or less)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the box management unit 180 creating square boxes arranged in 10 columns and 15 rows on the screen of the tablet;
A step of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ting a natural number A in the Ath column of the 15 rows;
A step in which the compartment management unit 180 merges the A-1st compartment, the Ath compartment, and the A+1th compartment to create one compartment;
A step where the answer generator 188 repeatedly outputs the natural numbers A+B in the A-th column, alternating with the natural numbers A;
The grad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natural number A+B output in the A-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A+B-th column by the student;
When the natural number A+B output in the A-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A+B-th column,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displays “A1 + B1 =” (A1, B1, A1+ B1 is a natural number less than 150) outputting an addition problem;
A step of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outputting a natural number A1 in the A1th column of the 15 rows;
A step in which the compartment management unit 180 merges the A1-2th column, the A1-1st column, the A1th column, the A1+1th column, and the A1+2th column to create one column;
The answer generator 188 repeatedly outputting the natural numbers A1+B1 in the A1th column, alternating with the natural numbers A1;
The grading unit 189 checks whether the natural number A1+B1 output in the A1-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A1+B1-th column by the student;
When the natural number A1+B1 output in the A1-th column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A1+B1-th column, the problem solving unit 186 displays "A2 + B2 =" (A2, B2, A2+ B2 is a natural number of 150 or less) outputting an addition problem;
A step in which the compartment management unit 180 merges the A2-2th column, the A2-1st column, the A2th column, the A2+1th column, and the A2+2th column to create one column;
The front number generator 187 randomly selects one of the A2-2th column, A2-1st column, A2th column, A2+1st column, and A2+2th column, and randomly selects Outputting the natural number A2 in the box;
A step of the answer generator 188 repeatedly outputting the natural numbers A2+B2 in the randomly selected box, alternating with the natural numbers A2; and
A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 method including a step of the grading unit 189 checking whether the natural number A2+B2 output in the randomly selected cell is dragged and placed in the A2+B2th cell by the student.
KR1020230101800A 2023-08-03 2023-08-03 Method for supporting self-directed learning mathematics of student using mathematics teaching tool KR1025999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800A KR102599959B1 (en) 2023-08-03 2023-08-03 Method for supporting self-directed learning mathematics of student using mathematics teaching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800A KR102599959B1 (en) 2023-08-03 2023-08-03 Method for supporting self-directed learning mathematics of student using mathematics teaching to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959B1 true KR102599959B1 (en) 2023-11-08

Family

ID=88746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1800A KR102599959B1 (en) 2023-08-03 2023-08-03 Method for supporting self-directed learning mathematics of student using mathematics teaching to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959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049U (en) * 2010-09-10 2012-03-20 이윤택 Omok game type mathematical operation learning and teaching tool
KR101242780B1 (en) * 2010-08-31 2013-03-12 박상진 Multiplication Tables Cards for Visual Education
KR101537802B1 (en) 2014-12-24 2015-07-17 주식회사 아소비교육 A Korean Study Book for a Preschool Education
KR20160046170A (en) * 2014-10-20 2016-04-28 정대영 magic squre
KR20160074048A (en) * 2014-12-18 2016-06-28 조예현 figure sticker
KR102355026B1 (en) 2019-09-11 2022-01-24 (주)책읽는미술관 Customized learning play and learning material for improving creativity
KR102386688B1 (en) 2019-01-21 2022-04-15 박경담 System for coatching reading using big data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535507B1 (en) 2022-12-26 2023-05-30 주식회사 테스 Triple n sets for learning connecting korean with mathematics and learning method using sam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780B1 (en) * 2010-08-31 2013-03-12 박상진 Multiplication Tables Cards for Visual Education
KR20120002049U (en) * 2010-09-10 2012-03-20 이윤택 Omok game type mathematical operation learning and teaching tool
KR20160046170A (en) * 2014-10-20 2016-04-28 정대영 magic squre
KR20160074048A (en) * 2014-12-18 2016-06-28 조예현 figure sticker
KR101537802B1 (en) 2014-12-24 2015-07-17 주식회사 아소비교육 A Korean Study Book for a Preschool Education
KR102386688B1 (en) 2019-01-21 2022-04-15 박경담 System for coatching reading using big data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355026B1 (en) 2019-09-11 2022-01-24 (주)책읽는미술관 Customized learning play and learning material for improving creativity
KR102535507B1 (en) 2022-12-26 2023-05-30 주식회사 테스 Triple n sets for learning connecting korean with mathematics and learning method u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ifi et al. Recognition of students’ difficulties in solving mathematical word problems from the viewpoint of teachers
Chamot et al. A cognitive academic language learning approach: An ESL content-based curriculum.
Al-Jarf A model for enhancing EFL freshman students’ vocabulary with mind-mapping software
CN105718855A (en) Online composition assessment method and system
JP5249059B2 (en) Kanji exercise notes
Veijola et al. Historical literacy and contradictory evidence in Finnish high school setting: The Bronzen Soldier of Tallinn
JP4914808B2 (en) Word learning device, interactive learning system, and word learning program
US200301621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writing
KR102599959B1 (en) Method for supporting self-directed learning mathematics of student using mathematics teaching tool
KR102621070B1 (en) Method for supporting self-directed learning of student
Pettersson Text design
JP2002207414A (en) Teaching material for learning kanji
CN116627263A (en) Multi-functional keyboard is used in middle and primary schools' teaching
Coil Differentiated activities and assessments using the common core standards
Pagliaro et al. Using ASL to navigate the semantic circuit in the bilingual mathematics classroom
Sutherland et al. A transnational comparison of primary mathematics textbooks: The case of multiplication
Ansara Language therapy to salvage the college potential of dyslexic adolescents
Isoda et al. Problematics for Conceptualization of Multiplication
CN104637368A (en) Chinese teaching method and device
Carty Exploring writing in the content areas: Teaching and supporting learners in any subject
KR100902249B1 (en) Editing formation of chinese characters learning teaching materials and characters learning teaching materials using thereof
Streets Before the Hashtag: Reconstructing ʻHerstor’Using Blackout Poetr
Ortega et al. Production of Texts with Multimodal Resources by Two Groups of Primary Education Students
Smith AI in bioscience education and assessment
Simpson Tobira Beginning Japane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